KR20190014340A -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340A
KR20190014340A KR1020170098011A KR20170098011A KR20190014340A KR 20190014340 A KR20190014340 A KR 20190014340A KR 1020170098011 A KR1020170098011 A KR 1020170098011A KR 20170098011 A KR20170098011 A KR 20170098011A KR 20190014340 A KR20190014340 A KR 20190014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kin
composition
present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078B1 (ko
Inventor
김경태
이도현
임진선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078B1/ko
Priority to US16/635,199 priority patent/US11439577B2/en
Priority to CN201880050587.3A priority patent/CN111315377B/zh
Priority to EP18841461.9A priority patent/EP3662907B1/en
Priority to JP2020527717A priority patent/JP6823889B2/ja
Priority to PCT/KR2018/008278 priority patent/WO2019027167A1/ko
Publication of KR20190014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078B1/ko
Priority to US17/818,083 priority patent/US2022037032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식물종이 자연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피페로닐산을 이용한 것으로서 부작용이 없으며, 피페로닐산은 세포 생존(survival), 성장(growth), 및 증식(proliferation) 관련 신호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세포의 저항력 및 생존력을 증가시키고, 외부 자극 또는 노화로 인해 손상받은 피부의 재생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페로닐산은 EGF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EGF와 달리 안정적이고 크기가 작아, 피부장벽을 통과하여 피부 기저층으로 쉽게 이동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바, 본 발명의 피페로닐산은 의약용, 의약부외용, 화장료용, 향장소재용, 기능성 바이오 소재용 및 기능성 식품소재용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An anti-aging or skin regenerating composition comprising piperonyl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세포의 노화는 모든 생명체가 피할 수 없는 생리현상이다. 그 중 피부 노화는 아름다움을 갈망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피부 노화로 인해 피부는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기게 되며, 색소 침착이나 진피위축 등의 노화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피부 노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피부 기능, 구조, 모양의 변화를 나타내는 생리적 노화와 자외선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노화로 구분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세포 기능의 저하와 더불어 자외선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인해 피부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받는다. 첫째, 표피 기저층에서 분열하는 케라틴 생성 세포(Keratinocyte)의 분열 속도가 늦어진다. 정상적인 피부 재생 주기(Skin turn over)는 약 28일이지만,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 주기는 길어지게 된다. 둘째, 진피 층의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수가 감소하고 이들의 기능이 저하된다. 섬유아세포는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를 주로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들의 수가 감소하고 기능이 저하되면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의 생합성이 감소하여 진피층의 위축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셋째, 기질단백분해효소들의 발현이 증가한다. 기질단백분해효소들은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를 분해하는 효소이다. 이들의 발현이 나이에 따라 증가하면서 진피층의 위축현상이 더욱 가속화된다. 이 외에도 면역 작용 능력 변화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피부노화는 매우 복합적으로 진행된다.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생활수준이 높아져 웰빙(Well-being)과 미(Beauty)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아름다움을 가꿀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가장 아름다운 것은 젊음”이라는 말이 있듯이 피부 노화를 예방하고 개선하여 동안(童顔)의 모습을 유지시켜 주는 획기적인 물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는 표피(Epidermis)나 외피(Epithelium) 세포들의 성장과 생존을 조절하는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다. EGF의 발견은 매우 획기적인 것으로 인정되어 1986년 노벨생리의학상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EGF는 그 기능에 따라 그동안 치유되기 힘든 궤양의 상처나 화상의 치료에 의학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피부 재생을 위한 화장품의 원료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EGF는 생합성이나 분리·정제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수반되고 활성이 유지 되도록 보관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EGF는 비교적 큰 고분자에 속하기 때문에 각질과 케라틴 생성 세포로 겹겹이 쌓여 보호막을 이루는 피부장벽(Skin barrier)을 통과하고 피부 기저층으로 이동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EGF 유사 기능을 가지면서도 안정하고 크기가 작아 피부장벽을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천연 유래 소분자 물질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한국특허공보 제10-1609041호
본 발명자들은 천연 유래의 소분자 물질인 피페로닐산(piperonylic acid)이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안정하고 크기가 작아 피부장벽을 쉽게 통과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화상 상처를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표피성장인자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에 결합하여 세포의 증식 또는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세포는 케라틴 생성 세포(Keratinocyt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외부 자극에 의한 세포손상에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외부 자극은 자외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처의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화상 상처의 개선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피페로닐산은 다양한 식물종에서 추출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를 이용하여 부작용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페로닐산은 EGF와 마찬가지로 EFGR와 결합하여 세포 생존(survival), 성장(growth), 및 증식(proliferation) 관련 신호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세포의 저항력 및 생존력을 증가시키고, 외부 자극 또는 노화로 인해 손상받은 피부의 재생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페로닐산은 EGF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EGF와 달리 안정적이고 크기가 작아, 피부장벽을 통과하여 피부 기저층으로 쉽게 이동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피페로닐산은 의약용, 의약부외용, 화장료용, 향장소재용, 기능성 바이오 소재용 및 기능성 식품소재용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도 1a는 EGFR 활성 측정 바이오센서 시스템의 세포 내 주입에 의한 바이오센서 단백질(EGFP-SH2)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1b는 상기 바이오센서 시스템이 EGF에 의해 작동함을 확인한 도이다.
도 1c는 상기 바이오센서 시스템이 EGF 선택성이 있음을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피페로닐산에 의해 상기 바이오센서 시스템이 작동함을 확인한 도이다.
도 3a는 피페로닐산이 결합된 Sepharose 4B bead에 EGFR이 결합함을 확인한 도이다.
도 3b는 PatchDock 프로그램으로 예측한 상위 10개의 피페로닐산의 EGFR 결합부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c는 EGFR에 결합하는 피페로닐산의 최상 score 결합가능 부위(파란색)를 나타낸 것이다. 보라색은 EGF의 결합부위를 나타낸다.
도 4는 피페로닐산에 의해 EGFR의 티로신 인산화가 증가한 것을 확인한 도이다. EGFR의 티로신 인산화는 EGFR이 활성화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케라틴 생성 세포인 HaCaT 세포에 대한 피페로닐산의 농도별 세포 독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6a는 피페로닐산에 의해 EGFR 하위의 ERK와 AKT가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도 6b는 피페로닐산에 의한 시간별 ERK와 AKT 활성 변화 양상을 확인한 것이다.
도 6c는 피페로닐산에 의한 ERK와 AKT 활성이 EGFR 활성에 의존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도 7a는 피페로닐산 처리 후 시간별로 변화하는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것이다.
도 7b는 피페로닐산에 의해 증가하는 c- fosegr-1 발현이 EGFR 활성에 의존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도 8a는 CCK-8 assay를 통해 피페로닐산에 의한 케라틴 생성 세포의 성장 촉진 효능을 확인한 것이다.
도 8b 및 도 8c는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피페로닐산에 의한 케라틴 생성 세포의 증식 및 성장 촉진 효능을 확인한 것이다.
도 9은 UVB에 의한 세포손상 조건에서 케라틴 생성 세포의 저항성이 피페로닐산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유래의 소분자 물질인 피페로닐산(piperonylic acid)이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안정하고 크기가 작아 피부장벽을 쉽게 통과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피페로닐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 일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페로닐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함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피페로닐산은 다양한 식물종의 추출물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세포 내에서 세포의 생존(survival), 성장(growth), 및 증식(proliferation)에 관련된 시그널을 활성화 시키는 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와 유사한 기능을 함으로써,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세포의 저항력 및 생존력을 증가시키고, 외부 자극 또는 노화로 인해 손상받은 피부의 재생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재생”은 피부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생존력을 강화하여 외부 및/또는 내부의 자극으로부터 세포손상을 방지하고 피부의 주름 개선 및 탄력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재생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발되는 피부손상을 의미하며, 화상 상처의 개선 및/또는 치료의 의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포막의 EGF 수용체인 세포성장인자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가 활성화될 때 내포화되는 EGFR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바이오센서 시스템을 제작하여 본 발명의 피페로닐산이 EGFR을 활성화시킴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및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EGFR에 결합하여 세포의 증식 또는 성장을 촉진시킴으로써 항노화 또는 피부의 재생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증식 또는 성장되는 세포는 표피세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케라틴 생성 세포인 케라틴세포(Keratinocyt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케라틴(keratin)은 동물의 여러 조직에서 주요 구성을 이루는 단백질로서, 모발이 윤기있고 탄력있도록 하며, 피부에 생기 및 탄력을 부여한다. 또한, 피부 각칠층의 케라틴 단백질은 화학물질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갖고 있어 피부에 화학적 자극에 대한 보호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피페로닐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화상 상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포를 well plate에 가득 차게 배양한 후 일정 면적의 세포를 긁어내어 wound area를 형성한 뒤, 그 면적이 다시 채워지는 정도를 통해 세포 증식(proliferation) 및 성장(growth)을 측정하는 방법인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피페로닐산에 세포 증식 및 성장 촉진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8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외부 자극에 의한 세포손상에의 저항성을 증진시킴으로써 항노화 또는 피부의 재생을 활성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자극은 화장품 기타 외용제에 의한 화학적 자극, 물리적 자극, 또는 자외선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피페로닐산의 자외선(UVB)에 의한 세포손상에의 저항성 향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페로닐산을 처리한 케라틴 생성 세포에 UVB를 쬐여 세포 생존률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피페로닐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치로 세포 생존력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실시예 9 참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페로닐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피페로닐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피하, 정맥, 근육,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상처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쥐 (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페로닐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피페로닐산은 항노화, 피부탄력증진, 또는 피부주름개선 등의 피부재생을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페로닐산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피페로닐산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피페로닐산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바람직하게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상기 피페로닐산은 세포의 성장, 증식, 생존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보인바, 항노화, 피부탄력증진, 또는 피부주름개선 등의 피부재생을 목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품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제형이 로션,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EGFR 활성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시스템 제작
EGFR은 활성화될 때 세포질 부분의 티로신 잔기에 인산화가 일어나게 되고 이 부분에 여러 가지 단백질이 연결되면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대표적인 연결 단백질로는 Grb2가 있는데, Grb2의 SH2 도메인 부분이 인산화된 티로신 잔기에 붙는 역할을 하고 있다. EGFR의 활성이 계속 유지될 경우 EGFR은 세포 안쪽으로 내포화되어 분해되는 피드백 기전을 따르게 된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EGFR의 활성에 의해 내포화 되는 EGFR을 형광 단백질을 통해 측정할 수 있도록 바이오센서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초록형광 단백질(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에 Grb2의 SH2 도메인만을 떼어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EGFP-SH2 vector를 제작하였고, 이를 A549 세포에 주입하여 발현시켰다.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작된 상기 EGFP-SH2 바이오센서 단백질이 예상된 크기로 발현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바이오센서 시스템에 EGFP을 주입한 세포를 24시간 동안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한 후 EGF(100ng/ml)를 처리하여 EGFR의 활성이 측정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오센서를 주입한 세포에서만 EGF 처리 후 30분이 지나면서 내포화 된 EGFR에 밀집된 바이오센서가 작은 점 형태의 형광 신호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이 다른 성장인자에 의해서도 유도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인 FGF1, FGF2, FGF7을 동일하게 처리하여 형광 신호를 탐지하였다.
그 결과,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성장인자에 의해서는 바이오센서의 신호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작한 바이오센서 시스템의 EGF 선택성이 검증됨에 따라 바이오센서 발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stable cell line을 선별하였다.
실시예 2. 바이오센서 시스템에서 EGFR 활성을 유도한 피페로닐산(Piperonylic acid)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바이오센서 시스템 세포에 100μM의 피페로닐산(㈜시그마알드리치에서 구입)을 처리한 후 형광신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피페로닐산은 24시간 동안의 무혈청 배지 배양 후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매인 DMSO만을 처리한 대조군에 비하여 100μM의 피페로닐산을 처리한 세포에서 EGFR가 활성화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피페로닐산과 EGFR의 상호작용
상기 실시예 2에서 확인한 피페로닐산에 의한 EGFR 활성의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피페로닐산이 EGFR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시그마알드리치에서 구입한 Cyanogen bromide-activated-Sepharose 4B bead에 피페로닐산을 결합시켜 piperonylic acid-4B bead를 제작하였다. piperonylic acid-4B bead와 대조군으로 사용한 control-4B에 HaCaT cell lysate를 동량 넣고 bead에 붙은 단백질을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침전되는 단백질 중 EGFR을 측정하기 위해 anti-EGFR 항체를 사용하였고, 피페로닐산과의 결합이 선택적이라는 것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항존 유전자로 많은 양 존재하는 actin과 GAPDH 단백질에 대한 anti-Actin과 anti-GAPDH 항체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페로닐산이 결합된 piperonylic acid-4B bead에 EGFR이 붙어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고, cell lysate와 함께 100μM의 피페로닐산을 넣어 bead와의 상호작용에 경쟁을 시킨 경우 붙어 나오는 EGFR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EGFR의 어느 부위에서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binding site를 예측할 수 있는 PatchDock 프로그램을 이용한 in silico analysis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EGFR의 세포 밖 도메인의 3차원 구조 데이터베이스(1MOX)를 바탕으로 예측해본 결과 피페로닐산이 결합할 수 있는 위치가 다수 발견되었다. 또한, 예측된 상위 10개 score 위치 중 가장 높은 score의 결합 가능 위치를 분석한 결과 EGF가 결합하는 위치와는 약간 차이가 있었지만, 피페로닐산의 결합이 불완전하게나마 EGFR의 3차원 구조 변형을 유도한다면 활성화가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시예 4. 피페로닐산에 의한 EGFR의 활성화
피페로닐산의 EGFR 결합이 EGFR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한 HaCaT 세포에 피페로닐산을 100μM 농도로 10분간 처리한 후 증가하는 EGFR의 티로신 인산화 분석을 통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500μg의 Cell lysate를 anti-EGFR 항체와 Protein-G agarose bead를 이용한 면역침전법(immunoprecipitation)으로 EGFR만을 가라앉힌 후 티로신 인산화 정도를 웨스턴 블롯(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인 용매 DMSO에 비해 피페로닐산에 의한 티로신 인산화가 1.8배 증가하였다.
실시예 5. 피페로닐산의 농도별 세포 독성 측정
피페로닐산의 세포독성을 케라틴 생성 세포(Keratinocyte)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에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 tetrazolium을 처리하면 이 기질이 미토콘드리아의 효소에 의해 MTT formazan으로 환원되고 색이 청자색으로 바뀌게 된다. 살아있는 세포가 많을수록 청자색의 색이 진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540nm에서의 청자색 흡광도는 살아있는 세포의 농도를 반영한다. 구체적으로, 96-well plate의 각 well에 세포를 가득 차게 배양한 후 피페로닐산을 0, 25, 50, 100, 250, 500 μM 농도로 처리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과 48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MTT 시약을 통해 세포의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피페로닐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0μM)은 동량의 용매인 DMSO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500μM 농도로 48시간 배양한 조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0001) 그 차이가 10% 정도로 미미하여 케라틴 생성 세포에의 세포독성은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실험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t-검정을 실시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실시예 6. 피페로닐산(Piperonylic acid)에 의한 ERK, AKT의 활성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와 AKT(Protein kinase B)의 활성은 EGFR의 활성에 의해 유도되며 세포 성장과 생존에 필요한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2 및 3에서 피페로닐산에 의한 EGFR의 활성화가 검증됨에 따라 피페로닐산에 의해 EGFR의 하위에 있는 ERK와 AKT의 활성도 유도되는지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HaCaT 세포를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한 후 0, 25, 100μM의 피페로닐산을 10분간 처리한 후 인산화되어 활성화되는 ERK와 AKT를 Western blotting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항체는 활성화 된 ERK와 AKT의 표지 인자인 인산화 항체와 이들의 전체를 측정하는 일반 항체를 모두 이용하였고, 각 lane간의 전체 단백질 양의 보정을 위해서는 항존 유전자로부터 발현되는 GAPDH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μM의 피페로닐산이 10분 동안 ERK와 AKT의 활성을 충분히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회 반복 측정을 통해 100μM의 피페로닐산은 대조군 대비 ERK를 3.3배, AKT를 2.1배 유의하게(t-검정, **p<0.01, *p<0.05) 활성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피페로닐산에 의한 ERK와 AKT 활성의 시간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무혈청 배지로 배양한 HaCaT 세포에 피페로닐산을 처리한 후 시간별 활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5-10분 사이에 ERK와 AKT의 활성화가 빠르게 유도되고 곧바로 하향 조절된 다음 1-2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활성화 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피페로닐산에 의한 ERK와 AKT의 활성이 EGFR에 의해 유도되는 것임을 검증하기 위해 EGFR 길항제(antagonist)인 Tyrphostin AG1478을 세포에 처리하여 EGFR 활성을 억제한 뒤 피페로닐산에 의한 ERK와 AKT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한 HaCaT 세포에 200nM의 AG1478을 10분간 먼저 처리하고 피페로닐산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ERK와 AKT의 활성이 유도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피페로닐산에 의한 EGFR의 활성이 ERK와 AKT 활성에 필요하다는 것을 반영한다.
실시예 7. 피페로닐산에 의한 유전자 발현 변화
EGFR에 의한 신호전달은 ERK와 AKT라는 중요한 신호전달 매개 단백질을 거쳐 세포 성장과 생존에 중요한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게 된다. c- myc, c- jun, c- fos, egr-1 유전자는 EGFR에 의해 조절되며 세포 성장과 생존을 촉진시키는 유전자로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실시예 5에서 ERK와 AKT의 활성을 충분히 유도한 100μM 농도의 피페로닐산을 무혈청 배지로 배양한 HaCaT 세포에 처리하고 0, 1, 2, 6 시간 후 각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mRNA 추출은 Tri-reagent를 이용하였으며, poly-A primer와 역전사 중합효소(Reverse transcriptase)를 이용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cDNA를 만들고 Real-time quantitative PCR을 이용하여 각 mRNA의 양을 측정하였다. 각 mRNA 양은 항존 유전자인 β-actin의 양으로 보정하였다.
그 결과,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c- fos, egr-1, 및 c- myc은 2시간과 6시간째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t-검정, *p<0.05, **p<0.01) c- jun 역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상기 mRNA의 발현 증가 양상은 Egr-1과 c-Fos 단백질 발현의 증가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피페로닐산 처리 후 2시간째에 가장 두드러진 증가 양상을 보인 c- fosegr-1이 EGFR 길항제인 AG1478로 EGFR 활성을 억제할 경우 영향 받는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하여, AG1478을 처리한 후 피페로닐산을 처리한 것과 AG1478 외에 피페로닐산만을 처리한 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고 웨스턴 블롯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μM의 피페로닐산에 의해 증가한 c- fosegr-1의 유전자 발현이 AG1478에 의해 완전히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검정, **p<0.01, ***p<0.001). 또한, 상기 유전자 발현의 억제는 단백질 발현의 변화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피페로닐산에 의한 케라틴 생성 세포 성장 및 증식 촉진
Cell counting kit-8(CCK-8)은 WST-8이라는 수용성의 tetrazolium salt 시약으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에 의해 오렌지색의 수용성 포르마잔(formazan)을 형성하게 된다. CCK-8에 의해 나타나는 오렌지색 파장 450nm의 흡광도는 세포의 수를 반영하므로 세포 성장 및 증식을 측정하는 데 이용하였다. CCK-8 분석법을 통해 세포독성이 없는 50μM과 100μM 농도의 피페로닐산을 이용하여 케라틴 생성 세포인 HaCaT 세포의 성장 촉진 효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96-well plate에 1x104 개의 HaCaT 세포를 24시간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로 바꾸어 배지에 포함된 성장인자를 제거한 뒤 피페로닐산을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동량의 용매인 DMSO를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1ng/ml 농도의 EGF를 사용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뒤 CCK8을 처리하고 45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성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피페로닐산이 처리된 경우 세포 성장 및 증식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1, ****p<0.0001).
또한, 피페로닐산에 의한 세포성장 촉진 효능을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2-well plate에 HaCaT 세포를 가득 차게 배양한 후 yellow tip을 이용하여 wound area를 형성하고 무혈청 배지로 바꾸어 50μM과 100μM의 피페로닐산을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용매인 DMSO, 양성대조군은 1ng/ml의 EGF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난 바와 같이, 3일간의 배양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피페로닐산을 처리하였을 때 wound area가 빠르게 채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3일째에는 음성대조군에 대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Two-way ANOVA, **p<0.01, ****p<0.0001).
실시예 9. 피페로닐산의 자외선( UVB ) 자극 저항성 효능
자외선(Ultraviolet) 파장 중 280-315nm에 해당하는 UVB 파장은 케라틴 생성 세포가 다수 존재하는 표피층을 투과하여 세포손상을 일으킨다. UVB에 의해 야기된 세포손상은 세포사멸로 이어지기도 하는데, 피페로닐산이 케라틴 생성 세포의 성장과 생존 신호전달을 촉진함에 따라 UVB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손상에 저항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x104 개의 세포가 배양된 96-well plate에 25mJ/cm2 의 UVB를 조사한 뒤 피페로닐산 또는 EGF가 존재하는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용매인 DMSO를 사용하였고, 세포 생존력 측정은 상기 실시예 7에서 사용한 CCK-8 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에서는 25mJ/cm2 의 UVB에 의해 세포사멸이 일어나 84%의 세포만이 생존한 반면 100μM의 피페로닐산에 의해서는 89%의 세포가 생존한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t-검정, *p<0.05, ****p<0.0001).
상기 결과로부터 피페로닐산은 케라틴 생성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재생주기를 줄일 수 있고 외부 및/또는 내부 환경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여 피부 노화 예방, 피부 탄력 증진, 피부 주름 개선 등의 피부 재생에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피페로닐산(piperonyl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상 상처를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표피성장인자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에 결합하여 세포의 증식 또는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케라틴 생성 세포(Keratinocy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외부 자극에 의한 세포손상에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자극은 자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피페로닐산(piperonyl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표피성장인자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에 결합하여 세포의 증식 또는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케라틴 생성 세포(Keratinocy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외부 자극에 의한 세포손상에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자극은 자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4. 피페로닐산(piperonyl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표피성장인자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에 결합하여 세포의 증식 또는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케라틴 생성 세포(Keratinocy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외부 자극에 의한 세포손상에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자극은 자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98011A 2017-08-02 2017-08-02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012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11A KR102012078B1 (ko) 2017-08-02 2017-08-02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US16/635,199 US11439577B2 (en) 2017-08-02 2018-07-23 Anti-aging or skin-regenerating composition comprising piperonylic acid as effective ingredient
CN201880050587.3A CN111315377B (zh) 2017-08-02 2018-07-23 包含吡咯酸作为有效成分的抗衰老或使皮肤再生的组合物
EP18841461.9A EP3662907B1 (en) 2017-08-02 2018-07-23 Anti-aging or skin-regenerating composition comprising piperonylic acid as effective ingredient
JP2020527717A JP6823889B2 (ja) 2017-08-02 2018-07-23 ピペロニル酸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抗老化又は皮膚再生用組成物
PCT/KR2018/008278 WO2019027167A1 (ko) 2017-08-02 2018-07-23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US17/818,083 US20220370320A1 (en) 2017-08-02 2022-08-08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piperonylic ac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11A KR102012078B1 (ko) 2017-08-02 2017-08-02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340A true KR20190014340A (ko) 2019-02-12
KR102012078B1 KR102012078B1 (ko) 2019-08-19

Family

ID=6523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011A KR102012078B1 (ko) 2017-08-02 2017-08-02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39577B2 (ko)
EP (1) EP3662907B1 (ko)
JP (1) JP6823889B2 (ko)
KR (1) KR102012078B1 (ko)
CN (1) CN111315377B (ko)
WO (1) WO20190271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488B1 (ko) * 2021-11-25 2022-05-04 (주)헤세드바이오 피페로닐산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20132835A (ko) * 2021-03-24 2022-10-04 (주)헤세드바이오 피부 개선용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3313A (ja) * 2004-04-20 2007-11-22 ドイチェス インシュティテュート フェア エルネールングスフォルシュング 苦味受容体のアゴニストおよびその使用
WO2008146085A2 (en) * 2006-06-28 2008-12-04 Gary Viole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reducing composition for topical or oral administration
KR101609041B1 (ko) 2013-11-14 2016-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7691A1 (de) 1998-10-15 2000-04-20 Nestle Sa Verwendung von Piperonal als entzündungshemmender Zusatz zu Kosmetika und Arzneimitteln
JP4537545B2 (ja) 2000-07-12 2010-09-01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JP4579564B2 (ja) 2004-03-16 2010-11-10 花王株式会社 シワ改善剤
KR100786300B1 (ko) * 2006-09-19 2007-12-18 (주)아모레퍼시픽 3,4-메틸렌디옥시벤젠 또는 3,4-에틸렌디옥시벤젠 모핵을가지는 4-치환된 벤조산 유도체 화합물을 함유하는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6125B1 (ko) 2007-03-30 2008-07-15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피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50018261A (ko) 2013-08-09 2015-02-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페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3313A (ja) * 2004-04-20 2007-11-22 ドイチェス インシュティテュート フェア エルネールングスフォルシュング 苦味受容体のアゴニストおよびその使用
WO2008146085A2 (en) * 2006-06-28 2008-12-04 Gary Viole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reducing composition for topical or oral administration
KR101609041B1 (ko) 2013-11-14 2016-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14, Vol. 71, pp. 1-14 *
Process Biochemistry. 2013, Vol. 48, pp. 1706-171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835A (ko) * 2021-03-24 2022-10-04 (주)헤세드바이오 피부 개선용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4488B1 (ko) * 2021-11-25 2022-05-04 (주)헤세드바이오 피페로닐산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3096186A1 (ko) * 2021-11-25 2023-06-01 (주)헤세드바이오 피페로닐산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8934A (ja) 2020-10-01
EP3662907A4 (en) 2021-03-31
EP3662907C0 (en) 2024-04-17
JP6823889B2 (ja) 2021-02-03
US20210100728A1 (en) 2021-04-08
KR102012078B1 (ko) 2019-08-19
WO2019027167A1 (ko) 2019-02-07
US11439577B2 (en) 2022-09-13
EP3662907B1 (en) 2024-04-17
CN111315377B (zh) 2024-04-02
EP3662907A1 (en) 2020-06-10
CN111315377A (zh)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3889B2 (ja) ピペロニル酸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抗老化又は皮膚再生用組成物
KR101124441B1 (ko)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map) 및 메틸설포닐메탄(msm)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20160121074A (ko)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KR101863297B1 (ko) 클로로겐산 및 루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120619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92944B1 (ko)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KR20190063171A (ko) 까마중 추출물 또는 솔라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20064341A (ko) 2b4 효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08170B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510939B1 (ko) 밀기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조성물
KR102408169B1 (ko) 오카닌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US20220370320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piperonylic acid
KR101646347B1 (ko)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627924B1 (ko) 시린직산, 바닐릭산 및 에피카테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498201B1 (ko) 몽우리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873104B1 (ko)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60020384A (ko) 잣구과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76110A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0121B1 (ko) 잣구과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8200B1 (ko) 띠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20210030572A (ko) 리카니아 매크로카르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