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914A - Pm2.5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Pm2.5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914A
KR20190013914A KR1020187037618A KR20187037618A KR20190013914A KR 20190013914 A KR20190013914 A KR 20190013914A KR 1020187037618 A KR1020187037618 A KR 1020187037618A KR 20187037618 A KR20187037618 A KR 20187037618A KR 20190013914 A KR20190013914 A KR 20190013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cattering
housing
disposed
scattering sensor
electric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동 장
Original Assignee
동관 리파 에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관 리파 에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동관 리파 에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4Sample treatment involving radiation, e.g. he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75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42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 G01N2015/0046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in gas, e.g. smoke
    • G01N2015/069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높은 습도의 공기(damp air)에서 공기 중의 물방울이 2.5μm보다 미세하기 때문에 기존의 광 산란 센서가 잘못된 PM2.5 측정을 얻는, 낮은 측정 정확도의 기술적 문제를 다루는 PM2.5 측정 장치. PM2.5 측정 장치는 하우징(1), 광 산란 센서(2) 및 전기 가열 유닛을 포함한다. 광 산란 센서(2)는 하우징(1) 내에 배치되고, 공기 입구(21)를 가진다. 전기 가열 유닛은 하우징의 공기 입구 및 광 산란 센서(2)의 공기 입구(21)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PM2.5 측정 장치
본 출원은 2016년 7월 6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PM2.5 측정 장치"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1610532185.X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공기 질 측정의 기술 분야, 특히 PM 2.5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PM2.5 공기 질 측정은 공공 장소의 환경, 대기 환경 및 실내 공기의 검출에 적용되는 공기의 PM2.5 (초미세먼지) 값의 측정을 의미하고, 또한 공기 정화장치의 정화 효율 평가 및 분석 적용된다.
통상적으로, PM2.5 센서는 기존의 PM2.5 공기 질 측정 방법에 사용된다. PM2.5 센서는 광 산란 원리에 따라 개발된 광 산란 센서에 기초한다. 광 산란 현상은 빛의 조사 하에서 입자 및 분자에 의해 발생되고, 입자 및 분자는 조사 광의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한다. 평행한 단색광의 빔이 측정된 입자 필드에 입사되는 경우, 빛은 입자에 의한 산란 및 흡수로 인해 감쇠된다(attenuated). 측정될 농도 필드를 통과하는 입사광의 상대 감쇠 비율이 획득된다. 측정될 필드의 먼지의 상대적인 농도는 상대적인 감쇠 비율에 대해 실질적으로 선형이다. 광 강도는 광전 변환(photoelectric conversion)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의 크기에 정비례한다. 따라서, 상대적인 감쇠 비율은 전기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고, 또한 측정될 필드의 먼지 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광 산란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PM2.5 센서는 적외선 먼지 센서와 레이저 센서를 포함한다.
적외선 먼지 센서는 간단한 구조와 회로를 가진다. 적외선 먼지 센서의 광원은 적외선 LED 광원이다. 레지스터는 뜨거운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해 공기 입구 및 공기 출구에서 열을 발생시키고, 입자가 적외선 먼지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 높은 레벨이 출력된다.
레이저 센서는 복잡한 구조 및 회로를 가진다. 레이저 센서의 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이다. 샘플 공기는 복잡한 공기 채널을 통과하여 측정되기 위해, 팬이나 에어 블로어에 의해 추진된다. 공기 중의 미세 먼지가 레이저 빔의 영역에 들어갈 경우, 레이저는 산란된다. 산란된 빛은 360도 이상을 조사한다. 광 검출기는 산란된 빛만을 수용하기 위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광 검출기의 광전 효과하에서 전류 신호가 생성되고, 미세 먼지의 농도를 얻기 위해 전류 신호가 회로에 의해 증폭되고 처리된다.
그러나, 상기 광 산란 센서가 습공기의 PM2.5 값을 측정하는 경우, 광 산란 센서는 공기 중 2.5㎛보다 미세한 물방울로 인해 잘못된 측정을 할 수 있고, 이는 낮은 측정 정확도의 기술적인 문제를 초래한다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PM2.5 측정 장치는 기존의 광 산란 센서가 습공기의 PM2.5 값을 측정하는 경우에 습공기 중에서 2.5㎛보다 미세한 물방울로 인한 광 산란 센서의 잘못된 측정에 의해 야기되는 낮은 측정 정확도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PM2.5 측정 장치는 하우징, 광 산란 센서 및 전기 가열 유닛을 포함한다. 광 산란 센서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입구를 가진다. 전기 가열 유닛은 하우징의 입구 및 광 산란 센서의 입구 사이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베이스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광 산란 센서는 베이스 상에 장착된다. 베이스는 통기구를 구비하고 통기구는 광 산란 센서의 입구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전기 가열 유닛은 베이스의 통기구를 덮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전기 가열 유닛은 베이스의 통기구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전기 가열 유닛은 PTC 히터이다.
선택적으로, PTC 히터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복수의 구멍 각각의 직경은 2.5㎛ 이상이다.
선택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우징의 바닥에 배치되고, 복수의 흡기 구멍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주위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주 회로 기판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다. 주 회로 기판은 광 산란 센서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PM2.5 측정 장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PM2.5 측정 장치는 하우징 내의 카드 슬롯에 제거 가능하게 플러그되고, 광산란 센서, 전기 가열 유닛 및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책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M2.5 측정 장치는 하우징, 광 산란 센서 및 전기 가열 유닛을 포함한다. 광 산란 센서는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입구를 가진다. 전기 가열 유닛은 하우징의 입구 및 광 산란 센서의 입구 사이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입구와 광 산란 센서의 입구 사이에 전기 가열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습공기 내의 물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증발시키기 위하여, 습공기는 광 산란 센서에 진입하기 전에 전기 가열 유닛에 의해 가열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기존의 광 산란 센서가 습공기의 PM2.5 값을 측정하는 경우에 습공기 중에서 2.5μm 이하의 물방울로 인한 광 산란 센서의 잘못된 측정에 의해 야기되는 낮은 측정 정확도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 요구되는 도면이 간단히 소개될 것이다. 명백하게, 다음의 설명에서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만을 도시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임의의 창의적인 작업 없이도 제공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2.5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2.5 측정 장치는 기존의 광 산란 센서가 습공기의 PM2.5 값을 측정하는 경우에 습공기 중에서 2.5㎛보다 미세한 물방울로 인한 광 산란 센서의 잘못된 측정으로 인한 낮은 측정 정확도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되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 기술되는 실시예는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2.5 측정 장치는 하우징(1), 광 산란 센서(2) 및 전기 가열 유닛을 포함한다.
광 산란 센서(2)는 하우징(1) 내에 배치되고 입구(21)를 가진다.
전기 가열 유닛은 하우징의 입구와 광 산란 센서(2)의 입구(2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12)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광 산란 센서가 베이스(2) 상에 장착된다. 베이스(12)는 통기구(11)를 구비하고, 통기구(11)는 광 산란 센서의 입구(21)에 대응한다.
또한, 전기 가열 유닛은 베이스(12)의 통기구(11)를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전기 가열 유닛은 베이스(12)의 통기구(11)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전기 가열 수단은 PTC 히터(3)이다.
또한, PTC 히터(3)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복수의 구멍 각각의 직경은 2.5㎛ 이상이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3)는 하우징(1)의 바닥에 배치되고, 복수의 흡기 구멍(131)들이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주위에 배치된다.
또한, 주 회로 기판(4)이 하우징(1) 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8)이 하우징(1)의 상부에 배치된다. 주 회로 기판(4)은 광 산란 센서(2)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PM2.5 측정 장치는 하우징(1) 내에 배치된 배터리(6)를 더 포함한다.
또한, PM2.5 측정 장치는 하우징(1)의 카드 슬롯에 제거 가능하게 플러그되고, 광 산란 센서(2), 전기 가열 유닛 및 배터리(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 회로 기판(5)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M2.5 측정 장치는 리튬 배터리(6)를 더 포함한다. 상부 커버(7)는 주 회로 기판(4) 및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8) 사이에 배치된다. 전원 공급 잭은 베이스 플레이트(13)의 바닥에 배치된다. 베이스(12)와 베이스 플레이트(13)는 나사를 통해 고정된다. 베이스(12)는 하우징(1)의 알루미늄 쉘에 고정된다.
광 산란 센서(2) 내의 팬이 회전할 때 베이스 플레이트(13)의 바닥 주변에 배치된 흡기 구멍(131)을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하우징의 통기구(11)의 외부 모서리에 삽입된 PTC 히터(3)의 복수의 구멍을 통과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외부 공기 중의 수증기는 PTC 히터(3)에 의해 가열되고 증발되며, 광 산란 센서(2)는 수증기가 이미 가열되고 증발된 공기를 획득하고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2.5 측정 장치는 하우징(1), 광 산란 센서(2) 및 전기 가열 유닛을 포함한다. 광 산란 센서(2)는 하우징(1) 내에 배치되고 입구(21)를 가진다. 전기 가열 유닛은 하우징의 입구와 광 산란 센서(2)의 입구(21) 사이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입구와 광 산란 센서(2)의 입구(21) 사이에 전기 가열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습공기 내의 물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증발시키기 위하여, 습공기는 광 산란 센서에 진입하기 전에 전기 가열 유닛에 의해 가열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기존의 광 산란 센서가 습공기의 PM2.5 값을 측정하는 경우에 습공기 중에서 2.5μm 이하의 물방울로 인한 광 산란 센서의 잘못된 측정에 의해 야기되는 낮은 측정 정확도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적 해결책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기술적 해결책에 대한 변형이 이루어지거나, 기술적 해결책의 기술적 구성의 부분에 대한 균등한 치환이 이루어 질 수 있음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변형 및 치환은 기술적 해결책의 본질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적 해결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지 않는다.

Claims (10)

  1. 하우징;
    광 산란 센서; 및
    전기 가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 산란 센서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입구를 가지고, 상기 전기 가열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입구 및 상기 광 산란 센서의 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2.5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광 산란 센서는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는 통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구는 상기 광 산란 센서의 입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2.5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가열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통기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2.5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가열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통기구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2.5 측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가열 유닛은 PTC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2.5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TC 히터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구멍 각각의 직경은 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2.5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배치되고, 복수의 흡기 구멍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2.5 측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주 회로 기판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 회로 기판은 상기 광 산란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2.5 측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2.5 측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카드 슬롯에 제거 가능하게 플러그되고, 상기 광 산란 센서, 상기 전기 가열 유닛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2.5 측정 장치.
KR1020187037618A 2016-07-06 2016-11-04 Pm2.5 측정 장치 KR20190013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532185.XA CN106066296A (zh) 2016-07-06 2016-07-06 一种pm2.5检测装置
CN201610532185.X 2016-07-06
PCT/CN2016/104526 WO2018006514A1 (zh) 2016-07-06 2016-11-04 一种pm2.5检测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914A true KR20190013914A (ko) 2019-02-11

Family

ID=5720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618A KR20190013914A (ko) 2016-07-06 2016-11-04 Pm2.5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212244A1 (ko)
EP (1) EP3483586A4 (ko)
JP (1) JP2019523890A (ko)
KR (1) KR20190013914A (ko)
CN (1) CN106066296A (ko)
WO (1) WO20180065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138B1 (ko) * 2019-09-30 2020-12-30 이노디지털(주) 옥외용 미세먼지 수집 측정 장치
KR102297837B1 (ko) * 2020-09-15 2021-09-03 이노디지털(주)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6296A (zh) * 2016-07-06 2016-11-02 东莞市利发爱尔空气净化系统有限公司 一种pm2.5检测装置
CN110346254A (zh) * 2018-04-05 2019-10-18 Itm半导体有限公司 灰尘探测装置及其制造方法
TWI677677B (zh) 2018-09-27 2019-11-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懸浮粒子感測裝置
CN109975186A (zh) * 2019-04-18 2019-07-05 无锡豪帮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pm2.5激光传感器
CN110553962A (zh) * 2019-10-23 2019-12-10 安徽理工大学 一种室内空气质量监测与净化系统
CN112162502A (zh) * 2020-08-28 2021-01-01 晟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门铃控制器
CN114283554B (zh) * 2022-01-17 2023-09-08 深圳市海曼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灰尘污染的补偿方法、装置、设备以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4294A (ja) * 2005-06-28 2008-12-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超微細粒子センサ
CN100592070C (zh) * 2006-04-25 2010-02-24 何宗彦 现场检测气溶胶粒子浓度的方法及其检测仪
CN201955289U (zh) * 2010-12-16 2011-08-31 武汉市天虹仪表有限责任公司 激光散射测尘仪
CN102353240B (zh) * 2011-08-29 2013-10-02 成都老肯科技股份有限公司 低温干燥柜及其干燥方法
JP2013170970A (ja) * 2012-02-22 2013-09-02 Sharp Corp 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JP2014115090A (ja) * 2012-12-06 2014-06-26 Dkk Toa Corp ダスト計
CN103217369A (zh) * 2013-05-06 2013-07-24 许楷楠 油烟现场检测设备
CN203376234U (zh) * 2013-05-06 2014-01-01 许楷楠 油烟现场检测设备
CN203431977U (zh) * 2013-06-27 2014-02-12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浴室取暖装置
CN203414387U (zh) * 2013-08-14 2014-01-29 许楷楠 一种传感装置
CN203929571U (zh) * 2014-06-04 2014-11-05 江苏天泽环保科技有限公司 分布式pm2.5远程实时监测系统
US10132934B2 (en) * 2014-09-17 2018-11-20 Stmicroelectronics S.R.L. Integrated detection device, in particular detector of particles such as particulates or alpha particles
CN104777083A (zh) * 2015-04-28 2015-07-15 东北林业大学 一种汽车尾气pm2.5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205003051U (zh) * 2015-06-08 2016-01-27 郭霄亮 一种基于激光散射的pm2.5传感器
CN205246490U (zh) * 2015-06-08 2016-05-18 博华康生(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随身pm2.5传感器
CN204679391U (zh) * 2015-06-11 2015-09-30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pm2.5检测报警装置
CN204835255U (zh) * 2015-07-30 2015-12-02 国家电网公司 自动除湿变电箱
CN105547949A (zh) * 2016-01-29 2016-05-04 中绿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抽取式低浓度粉尘仪
CN205786221U (zh) * 2016-07-06 2016-12-07 东莞市利发爱尔空气净化系统有限公司 一种pm2.5检测装置
CN106066296A (zh) * 2016-07-06 2016-11-02 东莞市利发爱尔空气净化系统有限公司 一种pm2.5检测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138B1 (ko) * 2019-09-30 2020-12-30 이노디지털(주) 옥외용 미세먼지 수집 측정 장치
KR102297837B1 (ko) * 2020-09-15 2021-09-03 이노디지털(주)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3586A4 (en) 2020-05-06
JP2019523890A (ja) 2019-08-29
US20190212244A1 (en) 2019-07-11
CN106066296A (zh) 2016-11-02
WO2018006514A1 (zh) 2018-01-11
EP3483586A1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3914A (ko) Pm2.5 측정 장치
EP3093660A1 (en) Hybrid environment sensor
WO2017070960A1 (zh) 空气处理装置
WO2018045768A1 (zh) 家用电器、粉尘传感器及其标定方法、标定装置
TWI245891B (en) Environment measuring apparatus
JP2013145236A (ja) 光電池用カバーガラスの透過率測定装置
CN108709847A (zh) 一种空气粒子检测方法及检测装置
JP2004125602A (ja) 花粉センサ
CN205826469U (zh) Pm2.5激光传感器
CN104458520A (zh) 一种粉尘传感器及空间粉尘的检测方法
KR102227028B1 (ko) 미세먼지 측정장치
CN205786221U (zh) 一种pm2.5检测装置
CN211927622U (zh) 便携式油烟检测仪
CN205138962U (zh) 灰尘浓度的激光检测设备
JP5015183B2 (ja) 防曇性評価装置および防曇性評価方法
JP2007278858A (ja) 霧粒子センサ及び霧センサ
CN208206729U (zh) 一种无风扇激光型灰尘传感器
CN211263107U (zh) 一种工作环境内粉尘浓度自动检测装置
CN206002421U (zh) 一种家用电器、粉尘传感器及其标定装置
CN106290096A (zh) 一种家用电器、粉尘传感器及其标定方法、标定装置
KR20190108841A (ko)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CN1707270B (zh) 环境测量装置
US11280715B2 (en) Particle sensor and particle sensing method
CN207816769U (zh) 光度计传感器装置
JP3638807B2 (ja) タバコ煙粒子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