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841A -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841A
KR20190108841A KR1020180030419A KR20180030419A KR20190108841A KR 20190108841 A KR20190108841 A KR 20190108841A KR 1020180030419 A KR1020180030419 A KR 1020180030419A KR 20180030419 A KR20180030419 A KR 20180030419A KR 20190108841 A KR20190108841 A KR 20190108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dust
flow path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근
오상호
정중흠
송인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841A/ko
Publication of KR2019010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841A/ko
Priority to KR1020230059114A priority patent/KR10255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7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screening; with classification by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4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using distillation, extraction, sublimation, condensation, freezing, or crystall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11Sample conditioning
    • G01N33/0016Sample conditioning by regulating a physical variable, e.g. pressure or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차량의 공조설비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먼지의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는 공기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포함하는 유동경로를 구비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유동경로를 통한 공기의 강제 송풍을 구현하는 송풍팬(20),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교통하는 복수의 분지경로(13)를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분지경로(13)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는 먼지농도 검출부, 및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DUST SENS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구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먼지의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기조화설비(HVAC;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에 적용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 먼지의 양, 즉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센서로는 광학식 센서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 산란되는 빛의 양을 검출하는 광산란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종래, 광산란 방식의 먼지 센서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와 같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수광부, 및 공기 중의 먼지에 의해 산란된 빛을 집광하는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광원부와 수광부 및 렌즈는 센서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케이스는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유동경로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 먼지 센서에서는 하우징의 내부 조사영역을 향해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조사된 빛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고, 산란된 빛의 양은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계측된다. 이때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검출되는 빛의 양은 공기 중 포함되는 먼지의 양과 비례하게 된다.
특히, 종래 먼지 센서는 공기 포함된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된 광을 렌즈를 이용하여 집광하고, 집광된 광을 포토 다이오드가 수광하여 먼지 농도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게 됨으로써 먼지의 농도를 계측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먼지 센서는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입자에 의해 정확한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지 못하게 되는 데, 이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미세한 수분입자와의 충돌에 의해 산란되기 때문에 수반되는 것이다.
이 결과, 종래 먼지 센서는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의 양에 의해 정확한 먼지의 농도를 계측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공개특허 제10-2017-0081972호 공개특허 제10-2017-008227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로부터 차량의 공조설비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먼지의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먼지의 농도 계측용 센서에 대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계측용 센서를 부가하고 단일의 송풍팬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의 공통 유동장에 걸쳐 먼지의 농도와 공기의 온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일의 복합 기능형 센서로서 부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포함하는 유동경로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유동경로를 통한 공기의 강제 송풍을 구현하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의 유동경로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교통하는 복수의 분지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분지경로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는 먼지농도 검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수분 제거부는 발열 구조물 또는 흡습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먼저, 상기 발열 구조물은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하여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에서 유동경로의 전 단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네트형 발열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흡습 구조물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유동경로로 유입되는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에서 유동경로의 전 단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제습제로 이루어지고 공기로부터 제거된 수분의 외부 배출을 위한 드레인 설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의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온도 검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에서 상기 수분 제거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서미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미스터로부터 계측된 온도 정보는 외부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 및 상기 수분 제거부에 대한 동작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되는 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회로 기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부는 외부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고 검출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는 차량의 공조설비로 제공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발열 또는 흡습의 기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먼지의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계측용 센서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센서에 대해 온도의 측정을 위한 계측용 센서를 부가하고, 단일의 송풍팬을 이용하여 공기의 공통 유동장에 걸쳐 먼지의 농도와 공기의 온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복합 기능의 단일형 센서로서 부품의 상품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는 차량의 공조설비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내부에 공기의 이동을 위한 유동경로를 갖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를 통한 공기의 송풍을 구현하는 송풍팬(2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는 먼지농도 검출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 및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와 상기 수분 제거부를 통해 검출되는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회로 기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하방향으로 조립 가능한 분할 구조물로서, 내부에 유동경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11)와 공기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12)를 갖추는 바, 이들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유동경로에 대해 상호 교통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먼지농도 검출부의 장착을 위한 분지경로(13)를 구비하는 바, 상기 분지경로(13)는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유동경로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교통하는 복수의 수량으로 설정되고, 특히 각각의 분지경로(13)는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상호 직접적으로 마주보는 위치를 벗어난 부위에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분지경로(13)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유동경로를 중심으로 예각의 경사각을 두고 분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송풍팬(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동경로를 통한 공기의 강제적인 송풍을 구현한다. 이 경우, 상기 송풍팬(20)에 의한 공기의 유동경로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유출구(12)를 거쳐 외부로 방출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팬(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유동경로 중에서 상기 유출구(12)와 인접한 위치로 배치되는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로 기판부(30)는 상기 송풍팬(20)과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 및 상기 수분 제거부에 대한 동작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를 통해 계측되는 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회로 기판부(30)는 외부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고 검출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커넥터(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유동경로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교통하는 복수의 분지경로(13)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되는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는 상기 분지경로(13)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발광소자(40)와 수광소자(42)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소자 전방에는 집광렌즈(44)가 설치된다.
즉,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에 있어, 상기 발광소자(40)는 광원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것이고, 상기 수광소자(42)는 상기 발광소자(40)로부터 조사되는 광원 중에서 유동경로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 산란된 광원을 입력받아 먼지의 농도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집광렌즈(44)는 상기 발광소자(40)와 상기 수광소자(42)의 전방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는 상기 발광소자(40)로부터 빛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한 유동경로를 향해 외부로 조사되고, 상기 수광소자(42)는 유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 중 포함된 먼지에 의해 산란된 광원을 입력받아 먼지의 농도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공기 중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 상기 집광렌즈(44)는 상기 발광소자(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유동경로에 집중되게 하고, 먼지에 의해 산란되는 빛이 상기 수광소자(42)로 집중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분 제거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유동경로의 유입구(11)에 설치되어 송풍되는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분 제거부는 공기의 가열에 따른 온도 상승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는 발열 구조물(50) 또는 공기의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수분을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는 흡습 구조물(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발열 구조물(50)은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하여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서 유동경로의 전 단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네트형 발열체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발열 구조물(50)은 상기 회로 기판부(30)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전원을 제공받아 적정의 온도로 발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발열 구조물(50)에 대한 온도 제어는 기기의 보호를 위해 바이메탈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흡습 구조물(60)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로 유입되는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서 유동경로의 전 단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흡습제 또는 제습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흡습 구조물(60)은 공기로부터 제거되어 포집된 수분을 별도의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설비를 함께 구비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흡습 구조물(60)은 카트리지 형태로서 내부에 흡습제 또는 제습제를 필요에 따라 교환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거나, 상기 발열 구조물(50)과 유사한 형태의 가열수단을 갖추고서 수분을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는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수분 제거부는 상기 발열 구조물(50)과 상기 흡습 구조물(60) 외에도 공기 중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능요소라면 어느 것이라도 대체되어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는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계측하여 외부로 온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온도 검출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온도 검출부(70)는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서 상기 수분 제거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서미스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서미스터로부터 계측된 온도 정보는 상기 회로 기판부(30)와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제1실시예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는 공기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포함하는 유동경로를 구비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유동경로를 통한 공기의 강제 송풍을 구현하는 송풍팬(20),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교통하는 복수의 분지경로(13)를 설정하고, 각각의 분지경로(13)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는 먼지농도 검출부,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 및 상기 송풍팬(20)과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 및 상기 수분 제거부에 대한 동작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되는 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회로 기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 상기 수분 제거부는 상기 회로 기판부(30)로부터 제공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발열되어 공기를 가열하고, 이를 통해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는 발열 구조물(50)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발열 구조물(50)은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하여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서 유동경로의 전 단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네트형 발열체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는 공기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포함하는 유동경로를 구비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유동경로를 통한 공기의 강제 송풍을 구현하는 송풍팬(20),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교통하는 복수의 분지경로(13)를 설정하고, 각각의 분지경로(13)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는 먼지농도 검출부,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 및 상기 송풍팬(20)과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 및 상기 수분 제거부에 대한 동작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되는 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회로 기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 상기 수분 제거부는 공기의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수분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흡습 구조물(60)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흡습 구조물(60)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로 유입되는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서 유동경로의 전 단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흡습제 또는 제습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흡습 구조물(60)은 공기로부터 제거된 수분을 별도의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설비를 함께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수분 제거부는 상기 발열 구조물(50)과 상기 흡습 구조물(60)을 모두 갖추도록 구성되어 공기 중 포함된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공기조화설비로 제공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발열 구조물(50)에 의한 발열 기능 또는 흡습 구조물(60)에 의한 흡습 기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먼지의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계측용 센서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센서에 대해 온도의 측정을 위한 계측용 센서에 해당하는 온도 검출부(70)를 부가적으로 구비하고, 단일의 송풍팬(20)을 이용하여 공기의 공통 유동장에 걸쳐 먼지의 농도와 공기의 온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복합 기능의 단일형 센서로서 부품의 상품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하우징 11-유입구
12-유출구 13-분지경로
20-송풍팬 30-회로 기판부
31-커넥터 40-발광소자
42-수광소자 44-집광렌즈
50-발열 구조물 60-흡습 구조물
70-온도 검출부

Claims (10)

  1. 공기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포함하는 유동경로를 구비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유동경로를 통한 공기의 강제 송풍을 구현하는 송풍팬(20);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계측하는 먼지농도 검출부; 및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 중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분 제거부는 발열 구조물(50) 또는 흡습 구조물(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 구조물(50)은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하여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열 구조물(50)은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서 유동경로의 전 단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네트형 발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습 구조물(60)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로 유입되는 공기 중 포함되는 수분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습 구조물(60)은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서 유동경로의 전 단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공기로부터 제거된 수분의 외부 배출을 위한 드레인 설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유동경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검출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부(70)는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서 상기 수분 제거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20)과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 및 상기 수분 제거부에 대한 동작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되는 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회로 기판부(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부(30)는 외부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고 검출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커넥터(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농도 검출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교통하도록 설정되는 복수의 분지경로(13)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KR1020180030419A 2018-03-15 2018-03-15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KR20190108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19A KR20190108841A (ko) 2018-03-15 2018-03-15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KR1020230059114A KR102559490B1 (ko) 2018-03-15 2023-05-08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19A KR20190108841A (ko) 2018-03-15 2018-03-15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114A Division KR102559490B1 (ko) 2018-03-15 2023-05-08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41A true KR20190108841A (ko) 2019-09-25

Family

ID=680683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419A KR20190108841A (ko) 2018-03-15 2018-03-15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KR1020230059114A KR102559490B1 (ko) 2018-03-15 2023-05-08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114A KR102559490B1 (ko) 2018-03-15 2023-05-08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1088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028B1 (ko) * 2020-11-20 2021-03-15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미세먼지 측정장치
EP4116698A4 (en) * 2020-08-06 2024-03-20 Gonggam Sensors Co Ltd DEVICE FOR MEASURING FINE DUST BY LIGHT DIFFU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1972A (ko) 2016-01-05 2017-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광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
KR20170082272A (ko) 2016-01-06 2017-07-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광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630B1 (ko) * 2008-06-12 2009-10-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수분제거장치
KR101064216B1 (ko) * 2009-06-25 2011-09-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진계측기의 공기 유입 안정화를 위한 정밀측정용 커버
KR20160123762A (ko) * 2015-04-17 2016-10-26 윤영훈 항온항습챔버를 구비한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1966492B1 (ko) * 2016-03-25 2019-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먼지 센서
JP2017223560A (ja) * 2016-06-15 2017-1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粒子検出セ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1972A (ko) 2016-01-05 2017-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광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
KR20170082272A (ko) 2016-01-06 2017-07-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광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6698A4 (en) * 2020-08-06 2024-03-20 Gonggam Sensors Co Ltd DEVICE FOR MEASURING FINE DUST BY LIGHT DIFFUSION
KR102227028B1 (ko) * 2020-11-20 2021-03-15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미세먼지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490B1 (ko) 2023-07-26
KR20230069894A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490B1 (ko)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KR101966492B1 (ko) 차량용 먼지 센서
ES2291967T3 (es) Procedimiento para evaluar una señal de luz dispersa y detector de luz dispersa para ejecutar el procedimiento.
KR101926377B1 (ko) 바이오 센서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1065548B1 (ko) 공기 조화기
KR20170097391A (ko) 미세 먼지 감지용 센서장치
KR20130025450A (ko) 상태 변수들을 결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
KR102598425B1 (ko) 미세먼지 감지 센서 어셈블리
KR102062667B1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3914A (ko) Pm2.5 측정 장치
US20050218351A1 (en) Meter capable of measuring ambient dust concentration
WO2017141487A1 (ja) 除湿機
CN108613906A (zh) 颗粒物检测装置
CN107036949B (zh) 粉尘浓度检测装置及设有粉尘浓度检测装置空气净化设备
JPWO2017043263A1 (ja) ガス濃度検出装置
KR102227028B1 (ko) 미세먼지 측정장치
JP3090059B2 (ja) 粉塵検知センサ付空気清浄機
WO2018008234A1 (ja) 除湿機
KR102490311B1 (ko) 먼지 센서
KR100687955B1 (ko) 모터 차량의 객실에서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200249033Y1 (ko) 파티클 센서
CN106290096A (zh) 一种家用电器、粉尘传感器及其标定方法、标定装置
KR20180115447A (ko) 부유미생물 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JP2007047029A (ja) ほこりセンサおよび空気清浄器
JPH02162239A (ja) 微粒子検出装置における試料空気の流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