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837B1 -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837B1
KR102297837B1 KR1020200118154A KR20200118154A KR102297837B1 KR 102297837 B1 KR102297837 B1 KR 102297837B1 KR 1020200118154 A KR1020200118154 A KR 1020200118154A KR 20200118154 A KR20200118154 A KR 20200118154A KR 102297837 B1 KR102297837 B1 KR 102297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ember
mounting block
air quality
pcb mount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기
Original Assignee
이노디지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디지털(주) filed Critical 이노디지털(주)
Priority to KR102020011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using a number of analysing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G01N33/0063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using a threshold to release an alarm or displa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73Control unit therefor
    • G01N33/0075Control unit therefor for multiple spatially distributed sensors, e.g.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된 상태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되 실내의 먼지로부터 장치의 방진은 물론 실내 공기 흐름의 변화와 무관하게 정확한 수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이를 위한 센서 부재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를 감지하는 더스트센서 부재, CO2수치를 감지하는 CO2센서 부재,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센서 부재, 유기화합물(VOC)와 총유기화합물(TVOC)을 감지하는 유해가스센서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 하우징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부재에 복수(예: 6개)의 항목에 대해 각각 감지한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indoor use}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된 상태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되 실내의 먼지로부터 장치의 방진은 물론 실내 공기 흐름의 변화와 무관하게 정확한 수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우징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더스트센서 부재 및 제어 부재가 주변환경(예: 먼지 축적, 환기시 바람, 공기청정기 바람)으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구조를 구현함에 따라 더스트센서 부재 및 제어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더스트센서 부재에 의해 측정된 수치의 신뢰도를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실내의 미세먼지 상태와 실외의 미세먼지 상태를 한꺼번에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종합 환경케어 서비스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용 공기질 측정 장치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용 공기질 측정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고 각각의 실내용/실외용 장치로부터 그때그때 제공받는 정보를 토대로 종합적인 판단(예: 댁내 창문의 개폐 여부)을 제공하는 별도의 정보제공 장치(예: 홈게이트 웨이)가 실내에 구비될 수 있다.
홈게이트 웨이는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 와이파이)을 통해 실내용 공기질 측정 장치와 실외용 공기질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공기질 데이터를 제공받고 그 제공받은 공기질 데이터를 소정 부분 가공한 후 인터넷을 통해 예컨대 IoT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게이트 웨이는 IoT 서버로부터 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거나 자신의 종합적인 판단을 기초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가전(예: 공기청정기, 창문 개폐기)에 대한 동작을 턴온/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공기질 측정 장치는 특히 미세먼지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방해하는 여러가지 주변환경 요인(예: 먼지 축적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바람에 의한 측정 수치의 정확도 저하)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소정의 공간에 일정한 미세먼지 농도를 유지하더라도 그 공간에 대해 센 바람을 일으키면 해당 공간에 위치하는 더스트센서 부재는 일정치 않은 미세먼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이 현실이다.
그 결과, 실제 대기에서도 강한 바람이 불게 되면 해당 위치에 구비되는 공기질 측정 장치는 예컨대 미세먼지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먼지 축적을 낮춤에 따른 양호한 방진과 아울러 주변에 부는 바람에도 불구하고 미세먼지 측정 수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의 불특정한 공기 흐름에도 불구하고 먼지나 미세먼지에 대한 측정 수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더스트센서 부재나 그 주변에 먼지가 축적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는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하나이상의 센서 부재(110); 전반적인 동작 제어와 센서 부재의 동작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부재(120); 센서 부재가 구비하는 더스트센서 부재(111)와 제어 부재를 내측에 탑재하고 내외부의 공기 흐름이 더스트센서 부재에 전달되도록 일부분이 개구된 형태의 PCB 거치블록 부재(130); PCB 거치블록 부재의 하부가 밀폐되도록 PCB 거치블록 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자신의 몸체 측벽으로 소정 깊이 절개되는 측방 진출입홀 부재(141)를 자신의 몸체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하고 각각의 측방 진출입홀 부재로부터 PCB 거치블록 부재의 하면에 대응하는 상방향으로 연통하는 상하방 진출입홀 부재(142)를 자신의 몸체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하는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 상방향으로부터 하방향으로 PCB 거치블록 부재를 덮는 형태로 끼워지고 자신의 하단부 테두리가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의 측벽에 밀착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 부재(150);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161); PCB 거치블록 부재(13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하부 하우징 부재의 상단부에 안착되며 중공형의 홀이 형성된 외부 지지블록 부재(171); 하부가 개구된 상태로 속이 빈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하단부 테두리가 외부 지지블록 부재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 부재(172); 상부 하우징 부재의 일면에 장착된 상태로 센서 부재가 감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기질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재(173); 외부 지지블록 부재의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 하우징 부재의 내측에 거치되며 디스플레이 부재에 대한 공기질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 부재(1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는, 자신의 몸체 둘레를 따라 측방 진출입홀 부재보다 수평으로 외향하여 돌출됨에 따라 그 돌출된 부분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하부 하우징 부재의 하단면이 밀착 연결되도록 하는 거치리브 부재(143); 상하방 진출입홀 부재의 바깥쪽에 대응하는 거치리브 부재의 상면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그 돌출된 부분의 외측벽 테두리를 따라 하부 하우징 부재의 하부 내벽이 밀착 연결되도록 하는 방진리브 부재(14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는, PCB 거치블록 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PCB 거치블록 부재의 하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신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PCB 거치블록 부재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격지지 부재(145a 내지 145d);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PCB 거치블록 부재(130)는, 더스트센서 부재를 내측에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더스트센서 부재로의 공기 출입이 가능하도록 공기출입 슬롯부재(131a)가 형성된 보조 하우징 부재(1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공기출입 슬롯부재(131a)는 보조 하우징 부재의 외측벽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더스트센서 부재(110)는 자신의 하단부가 공기출입 슬롯부재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보조 하우징 부재에 실장되며 자신의 하단면에 공기의 진입로와 퇴출로가 구획 형성됨에 따라 공기출입 슬롯부재를 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이 꺽이면서 진입로와 퇴출로를 경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PCB 거치블록 부재(130)는, 자신의 상면이 일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는 함몰 부재(132); 자신의 몸체 상부 모서리 부분이 내측으로 절개 형성됨에 따라 자신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다굴절 형상을 갖도록 하는 복수의 모서리 절개부재(133a 내지 133d); 함몰 부재의 측부에 대응하는 자신의 몸체 상면이 하방향으로 절개 형성됨에 따라 자신의 몸체 상면이 다굴절 형상을 갖도록 하는 복수의 상면 절개부재(134a, 134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측방 진출입홀 부재와 상하방 진출입홀 부재가 구비된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로 인해 주변의 불특정한 공기 흐름에도 불구하고 먼지나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고 배출시킴과 아울러 더스트센서 부재에 의해 측정된 수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가 거치리브 부재와 방진리브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하부 하우징 부재와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의 연결 부위에서 효과적인 방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더스트센서 부재에 이르기까지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와 보조 하우징 부재를 경유하는 공기가 여러 번 굴절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PCB 거치블록 부재 내에 위치한 더스트센서 부재와 제어 부재에 먼지가 축적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각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각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 PCB 거치블록 부재가 위치한 부분을 좌우 미러링 한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
[도 6]은 [도 5]를 아래에서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바라 본 도면,
[도 7]은 [도 5]에서 PCB 거치블록 부재,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 베이스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을 아래에서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바라 본 도면,
[도 9]는 [도 7]에서 PCB 거치블록 부재를 발췌하여 분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를 아래에서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바라 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각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 각 구성을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외관을 갖는 본 발명의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는 베이스 부재(161)의 하면이 지면에 닿도록 세워서 거치할 수 있다.
즉, 댁내에 설치되는 정보제공 장치(미도시)와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그 정보제공 장치와 근접하는 실내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는 그 외표면에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고정 브라켓(182)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고정 브라켓(182)이 고정볼트(미도시)를 통해 벽에 고정시킴에 따라 결과적으로 이 고정 브라켓(182)에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도 벽에 마운트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PCB 거치블록 부재가 위치한 부분을 좌우 미러링 한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5]를 아래에서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바라 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서 PCB 거치블록 부재,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 베이스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을 아래에서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바라 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서 PCB 거치블록 부재를 발췌하여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를 아래에서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바라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는 센서 부재(110), 제어 부재(120), PCB 거치블록 부재(130),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 하부 하우징 부재(150), 베이스 부재(161), 회전 부재(162), 외부 지지블록 부재(171), 상부 하우징 부재(172), 디스플레이 부재(173), 표시제어 부재(174), 내부 지지블록 부재(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부재(110)는 하나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 부재(150), 외부 지지블록 부재(171), 상부 하우징 부재(172)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해당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부재(110)는 더스트센서 부재(111), CO2센서 부재(112), 온/습도센서 부재(113), 유해가스센서 부재(114)를 구비할 수 있다.
더스트센서 부재(111)는 바람직하게는 PCB 거치블록 부재(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자신이 위치한 실내의 공기질에서 먼지(PM10)와 미세먼지(PM2.5)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더스트센서 부재(111)가 배치되는 주변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CO2센서 부재(112)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하우징 부재(17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하우징 부재(172)의 내측에 배치되는 표시제어 부재(174)가 탑재된 서브 보드(174)로서의 PCB 보드에 탑재될 수 있다.
온/습도센서 부재(113)는 바람직하게는 CO2센서 부재(112)와 함께 상부 하우징 부재(17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하우징 부재(172)의 내측에 배치되는 표시제어 부재(174)가 탑재된 서브 보드(174)로서의 PCB 보드에 탑재될 수 있다.
유해가스센서 부재(114)는 바람직하게는 CO2센서 부재(112)와 함께 상부 하우징 부재(17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하우징 부재(172)의 내측에 배치되는 표시제어 부재(174)가 탑재된 서브 보드(174)로서의 PCB 보드에 탑재될 수 있다.
그 결과, CO2센서 부재(112)는 자신이 위치한 실내 공기 중의 CO2 수치를 감지하고, 온/습도센서 부재(113)는 자신이 위치한 실내 공기 중의 온도와 습도 수치를 감지하고, 유해가스센서 부재(114)는 자신이 위치한 실내 공기 중의 유해가스(예: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 TVOC)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부재(120)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와 센서 부재(110)의 동작 제어를 담당하고 외부 구성(예: 공기청정기, 창문개폐기)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을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상에서 제어 부재(120)는 PCB 보드와 동일한 부호로 기재하였는데 제어 부재(120)는 정확하게는 서브 보드(174)에 대한 메인 보드(120)로서의 PCB 보드에 장착된 MCU로 볼 수 있다.
PCB 거치블록 부재(130)는 [도 5]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센서 부재(110) 중 하나인 더스트센서 부재(111)와 제어 부재(120)를 내측에 탑재하고 내외부의 공기 흐름이 더스트센서 부재(111)에 전달되도록 일부분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PCB 거치블록 부재(130)는 [도 5]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보조 하우징 부재(131)를 구비할 수 있는데, 보조 하우징 부재(131)는 더스트센서 부재(111)를 내측에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더스트센서 부재(111)로의 공기 출입이 가능하도록 공기출입 슬롯부재(13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PCB 거치블록 부재(130)는 [도 5]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상부 거치블록 부재(130')와 하부 거치블록 부재(130")로 구획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보조 하우징 부재(131)는 [도 5]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하부 거치블록 부재(13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출입 슬롯부재(131a)는 [도 5]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보조 하우징 부재(131)의 외측벽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더스트센서 부재(110)는 [도 5]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자신의 하단부가 공기출입 슬롯부재(131a)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보조 하우징 부재(131)에 실장되며 자신의 하단면에 공기의 진입로(111a)와 퇴출로(111b)가 구획 형성됨에 따라 공기출입 슬롯부재(131a)를 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이 꺽이면서 진입로(111a)와 퇴출로(111b)를 경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실내의 불규칙한 공기 흐름(예: 창문환기시 바람, 공기청정기 바람)이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를 거치는 과정에서 수회 굴절 과정(예: 수평방향 이동과 수직방향 이동의 교번)을 거치게 되고, 이어서 다시 공기출입 슬롯부재(131a)에 다다를 때까지 복수 회 굴절(예:수직방향 이동과 수평방향 이동의 교번)하면서 그 불규칙한 공기 흐름에 무관하게 일정한 공기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공기출입 슬롯부재(131a)에 진입하는 공기는 [도 5]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더스트센서 부재(111)의 측방으로부터 더스트센서 부재(111)의 하면에 구비되는 진입로(111a)에 도달하기 때문에 더스트센서 부재(111)가 미세먼지 측정을 위해 받아들이는 공기는 실내의 불규칙한 센 바람(예: 공기청정기 바람, 창문환기시 유입 바람)으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장치가 배치된 해당 위치에서의 불규칙한 센 바람에도 불구하고 더스트센서 부재(111)는 실내 공간의 먼지나 미세먼지 수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PCB 거치블록 부재(130)는 [도 5]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함몰 부재(132), 모서리 절개부재(133a 내지 133d), 상면 절개부재(134a, 134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함몰 부재(132)는 [도 5]와 [도 7]에서와 같이 PCB 거치블록 부재(130)의 상면이 일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 함몰 부재(132)에는 [도 5]와 [도 7]에서와 같이 봉 형태로 길게 형성된 배터리 부재(181)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함몰 부재(132)도 모서리 절개부재(133a 내지 133d) 및 상면 절개부재(134a, 134b)와 함께 외력이나 오랜 시간의 경과후에도 상부 하우징 부재(130') 몸체 자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장치의 전원케이블(미도시)용 콘센트에 대응한 옵션으로서의 배터리 부재(181)는 제어 부재(120) 및 그 제어 부재(120)를 탑재하고 있는 PCB 보드의 탑재 구성들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서리 절개부재(133a 내지 133d)는 [도 5]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자신의 몸체 상부 모서리 부분이 내측으로 절개 형성됨에 따라 자신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다굴절 형상을 갖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PCB 거치블록 부재(130)중 상부 거치블록 부재(130')의 네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면 절개부재(134a, 134b)는 [도 5]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함몰 부재(132)의 측부에 대응하는 자신의 몸체 상면이 하방향으로 절개 형성됨에 따라 상부 거치블록 부재(130')의 몸체 상면이 다굴절 형상을 갖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 거치블록 부재(130')에 복수의 모서리 절개부재(133a 내지 133d)와 복수의 상면 절개부재(134a, 134b)를 구비함에 따라 외력이나 오랜 시간의 경과후에도 몸체 자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은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PCB 거치블록 부재(130)의 하부가 밀폐되도록 PCB 거치블록 부재(130)의 하부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자신의 몸체 측벽으로 소정 깊이 절개되는 측방 진출입홀 부재(141)을 자신의 몸체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은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각각의 측방 진출입홀 부재(141)로부터 PCB 거치블록 부재(130)의 하면에 대응하는 상방향으로 연통하는 상하방 진출입홀 부재(142)을 자신의 몸체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실내의 공기 흐름이 PCB 거치블록 부재(130)의 내측에 위치하는 더스트센터 부재(111)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에 구비되는 측방 진출입홀 부재(141)와 상하방 진출입홀 부재(14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다굴절되어야만 가능하다.
그리고,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는 거치리브 부재(143)와 방진리브 부재(14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거치리브 부재(143)는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자신의 몸체 둘레를 따라 측방 진출입홀 부재(141)보다 수평으로 외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거치리브 부재(143)의 그 돌출된 부분 상면 테두리를 따라 하부 하우징 부재(150)의 하단면이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밀착 연결될 수 있다.
방진리브 부재(144)는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하방 진출입홀 부재(142)의 바깥쪽에 대응하는 거치리브 부재(143)의 상면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방진리브 부재(144)의 그 돌출된 부분 외측벽 테두리를 따라 하부 하우징 부재(150)의 하부 내벽이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밀착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는 복수 개의 이격지지 부재(145a 내지 145d)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그 이격지지 부재(145a 내지 145d)는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PCB 거치블록 부재(130) 중 하부 거치블록 부재(130")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하부 거치블록 부재(130")의 하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이격지지 부재(145a 내지 145d)는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 거치블록 부재(130")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구체적으로는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와 하부 거치블록 부재(130") 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측방 진출입홀 부재(141)과 상하방 진출입홀 부재(142)을 통해 대기의 공기에 섞인 빗방울이나 물기가 하부 하우징 부재(15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이격지지 부재(145a 내지 145d)가 위치하는 공간에 잠시 머물렀다가 중력에 의해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의 하방향으로 낙하될 것이기 때문에 PCB 거치블록 부재(130)의 내측으로 그 물기가 진입할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하부 하우징 부재(15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상방향으로부터 하방향으로 PCB 거치블록 부재(130)를 덮는 형태로 끼워지고 자신의 하단부 테두리가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의 측벽에 밀착 연결되어 PCB 거치블록 부재(130)을 내외부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베이스 부재(161)는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부재(161)는 [도 7] 상의 회전 부재(162)를 통해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베이스 부재(161)가 지면에 닿은 상태로 장치가 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61)를 기준으로 장치의 몸체를 회전시키면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디스플레이 부재(173)의 방향을 정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지지블록 부재(171)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PCB 거치블록 부재(13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하부 하우징 부재(150)의 상단부에 안착되며 중공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지지블록 부재(171)의 중공홀을 통해 제어 부재(120)가 탑재된 메인 보드와 표시제어 부재(174)가 탑재된 서브 보드를 상호 접속시키는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부재(172)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상태로 속이 빈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하단부 테두리가 외부 지지블록 부재(171)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173)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하우징 부재(172)의 일면에 장착된 상태로 센서 부재(110)가 감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기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제어 부재(174)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외부 지지블록 부재(171)의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 하우징 부재(172)의 내측에 거치되며 디스플레이 부재(173)에 대한 공기질 정보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내부 지지블록 부재(175)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제어 부재(120)가 탑재된 서브 보드와 외부 지지블록 부재(171)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서브 보드를 직접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이때, 서브 보드에서의 발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되도록 내부 지지블록 부재(175)는 상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지봉이 돌출 형성됨에 따라 그 복수 개의 지지봉이 서브 보드의 하면을 지지함에 따라 서브 보드가 공중에 들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지지블록 부재(175)도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외부 지지블록 부재(171)의 중공홀과 연통하는 중공홀이 형성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제어 부재(174)를 PCB 보드와 동일한 부호로 기재하였는데 표시제어 부재(174)는 정확하게는 메인 보드(120)에 대한 서브 보드(174)로서의 PCB 보드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한 구성(예: LCD 케이블, 4CH IR LED)으로 볼 수 있다.
이때, 메인 보드(120)는 서브 보드(174)에 탑재된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보드(120)는 서브 보드(174)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110 : 센서 부재
111 : 더스트센서 부재
111a : 진입로
111b : 퇴출로
112 : CO2센서 부재
113 : 온/습도센서 부재
114 : 유해가스센서 부재
120 : 제어 부재
130 : PCB 거치블록 부재
130' : 상부 거치블록 부재
130" : 하부 거치블록 부재
131 : 보조 하우징 부재
131a : 공기출입 슬롯부재
132 : 함몰 부재
133a 내지 133d : 모서리 절개부재
134a, 134b : 상면 절개부재
140 :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
141 : 측방 진출입홀 부재
142 : 상하방 진출입홀 부재
143 : 거치리브 부재
144 : 방진리브 부재
145a 내지 145d : 이격지지 부재
150 : 하부 하우징 부재
161 : 베이스 부재
171 : 외부 지지블록 부재
172 : 상부 하우징 부재
173 : 디스플레이 부재
174 : 표시제어 부재
181 : 배터리 부재

Claims (6)

  1.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하나이상의 센서 부재(110);
    전반적인 동작 제어와 상기 센서 부재의 동작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부재(120);
    상기 센서 부재가 구비하는 더스트센서 부재(111)와 상기 제어 부재를 내측에 탑재하고 내외부의 공기 흐름이 상기 더스트센서 부재에 전달되도록 일부분이 개구된 형태의 PCB 거치블록 부재(130);
    상기 PCB 거치블록 부재의 하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PCB 거치블록 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자신의 몸체 측벽으로 소정 깊이 절개되는 측방 진출입홀 부재(141)를 자신의 몸체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측방 진출입홀 부재로부터 상기 PCB 거치블록 부재의 하면에 대응하는 상방향으로 연통하는 상하방 진출입홀 부재(142)를 자신의 몸체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하는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
    상방향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상기 PCB 거치블록 부재를 덮는 형태로 끼워지고 자신의 하단부 테두리가 상기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의 측벽에 밀착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 부재(150);
    상기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161);
    상기 PCB 거치블록 부재(13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의 상단부에 안착되며 중공형의 홀이 형성된 외부 지지블록 부재(171);
    하부가 개구된 상태로 속이 빈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하단부 테두리가 상기 외부 지지블록 부재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 부재(172);
    상기 상부 하우징 부재의 일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센서 부재가 감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기질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재(173);
    상기 외부 지지블록 부재의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상부 하우징 부재의 내측에 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에 대한 공기질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 부재(17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는,
    자신의 몸체 둘레를 따라 상기 측방 진출입홀 부재보다 수평으로 외향하여 돌출됨에 따라 그 돌출된 부분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의 하단면이 밀착 연결되도록 하는 거치리브 부재(143);
    상기 상하방 진출입홀 부재의 바깥쪽에 대응하는 상기 거치리브 부재의 상면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그 돌출된 부분의 외측벽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의 하부 내벽이 밀착 연결되도록 하는 방진리브 부재(144);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굴절 방진블록 부재(140)는,
    상기 PCB 거치블록 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PCB 거치블록 부재의 하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신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PCB 거치블록 부재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격지지 부재(145a 내지 145d);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CB 거치블록 부재(130)는,
    상기 더스트센서 부재를 내측에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더스트센서 부재로의 공기 출입이 가능하도록 공기출입 슬롯부재(131a)가 형성된 보조 하우징 부재(131);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입 슬롯부재(131a)는 상기 보조 하우징 부재의 외측벽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센서 부재(111)는 자신의 하단부가 상기 공기출입 슬롯부재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보조 하우징 부재에 실장되며 자신의 하단면에 공기의 진입로와 퇴출로가 구획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공기출입 슬롯부재를 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이 꺽이면서 상기 진입로와 상기 퇴출로를 경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PCB 거치블록 부재(130)는,
    자신의 상면이 일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는 함몰 부재(132);
    자신의 몸체 상부 모서리 부분이 내측으로 절개 형성됨에 따라 자신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다굴절 형상을 갖도록 하는 복수의 모서리 절개부재(133a 내지 133d);
    상기 함몰 부재의 측부에 대응하는 자신의 몸체 상면이 하방향으로 절개 형성됨에 따라 자신의 몸체 상면이 다굴절 형상을 갖도록 하는 복수의 상면 절개부재(134a, 134b);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KR1020200118154A 2020-09-15 2020-09-15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KR102297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154A KR102297837B1 (ko) 2020-09-15 2020-09-15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154A KR102297837B1 (ko) 2020-09-15 2020-09-15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837B1 true KR102297837B1 (ko) 2021-09-03

Family

ID=7778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154A KR102297837B1 (ko) 2020-09-15 2020-09-15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503B1 (ko) 2022-06-11 2022-08-19 주식회사 와이티케이코퍼레이션 실내 공기 포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624B1 (ko) * 2018-05-18 2018-10-29 케이웨더(주) 실외 공기질 측정장치
KR20190013914A (ko) * 2016-07-06 2019-02-11 동관 리파 에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m2.5 측정 장치
KR20190036492A (ko) * 2017-09-26 2019-04-04 (주)신아전자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190066432A (ko) * 2017-12-05 2019-06-13 브릴리언트앤컴퍼니 주식회사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914A (ko) * 2016-07-06 2019-02-11 동관 리파 에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m2.5 측정 장치
KR20190036492A (ko) * 2017-09-26 2019-04-04 (주)신아전자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190066432A (ko) * 2017-12-05 2019-06-13 브릴리언트앤컴퍼니 주식회사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KR101912624B1 (ko) * 2018-05-18 2018-10-29 케이웨더(주) 실외 공기질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503B1 (ko) 2022-06-11 2022-08-19 주식회사 와이티케이코퍼레이션 실내 공기 포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624B1 (ko) 실외 공기질 측정장치
KR102297837B1 (ko)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US10109071B2 (en) System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fume hood sash
KR200484803Y1 (ko) 다기능 실외 공기질 측정장치
CN205861657U (zh) 多参数空气品质采集器
KR101294992B1 (ko) 화재 감지 센서
KR2017005118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145818A (zh) 除湿机
CA2886220C (en) Sash position sensor using image analysis
KR102197138B1 (ko) 옥외용 미세먼지 수집 측정 장치
KR100736250B1 (ko)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32152A (ko)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CN205910162U (zh) 空气质量监测设备
KR20110131787A (ko) 이동체 장치, 그를 이용한 환경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04374B1 (ko) 실내외 센서 모듈을 이용한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72841A (ko) Ict기반 기술과 유해가스 측정 기술을 융합한 다중이용시설 전용 대기환경 실시간 모니터링장치
JP2002333403A (ja) 室内環境モニタ装置及び室内環境監視システム
CN208026709U (zh) 一种空气质量监测装置以及系统
CN206683683U (zh) 一种生产线环境监测机械人
KR102351801B1 (ko)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US10889989B1 (en) Roof monitoring system
KR102315558B1 (ko) 옥외형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20140027809A (ko) 제습장치
KR101195757B1 (ko) 대기가스 측정장치
KR102378687B1 (ko) 옥외형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