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801B1 -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1801B1 KR102351801B1 KR1020200110174A KR20200110174A KR102351801B1 KR 102351801 B1 KR102351801 B1 KR 102351801B1 KR 1020200110174 A KR1020200110174 A KR 1020200110174A KR 20200110174 A KR20200110174 A KR 20200110174A KR 102351801 B1 KR102351801 B1 KR 1023518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teway
- iot
- power
- lora
- measurement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QVFWZNCVPCJQOP-UHFFFAOYSA-N chloralodol Chemical compound CC(O)(C)CC(C)OC(O)C(Cl)(Cl)Cl QVFWZNCVPCJQO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5 indoor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는, 건물 내부에 층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IoT단말과 연결되는 로라망과 연결되어 측정정보를 수집하고, 층간으로 설치되는 와이파이메쉬망을 통해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제1 게이트웨이와, 상기 와이파이메쉬망과 연결되어 상기 측정정보를 외부의 관제서버와 연결된 상용망을 통해 전송하는 상기 제2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환경정보 등을 로라망과 와이파이메쉬망을 이용하여 원격의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로라(LoRa)통신은 Long Range의 약어로 대규모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을 의미한다. 로라통신은 대기전력이 적고 가격이 저렴하여 IoT 기술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로라통신은 별도의 기지국이나 중계 장비 없이 저전력으로 소규모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보안화된 양방향 통신 등에 요구되고 있다. 로라통신은 가정용 뿐만 아니라 산업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건물관리자가 합리적인 에너지 이용을 기본으로 한다. 입주자를 위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쾌적한 생활환경과 기능적인 업무환경을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유지·보전하기 위한 제어·관리·경영 시스템을 말한다. BEMS를 활용하면 에너지 사용량, 실내 환경, 건물의 탄소 배출량 등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데요, 평균적으로 10%~30% 정도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뿐만 아니라 건물의 쾌적한 환경 조성, 건물의 수명 연장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3333호(2018년 6월 26일 등록)는 에너지 수요 예측 방법, 분산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구역에 설치되는 센서네트워크로부터 각 구역에 대한 환경데이터를 획득하고, 각 구역에서 작동되는 에너지기기 및 개인화기기에 대한 기기에너지사용량데이터를 획득하며, 각 구역에 대한 물리적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에이전트; 및 상기 환경데이터 중 온도데이터 및 CO2데이터와, 상기 개인화기기에 대한 기기에너지사용량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포함하는 제1기계학습모델을 통해 각 구역에 대한 재실자추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재실자추정정보, 상기 환경데이터, 상기 에너지기기 및 개인화기기에 대한 기기에너지사용량데이터 및 각 구역에 대한 물리적정보를 입력데이터로 포함하는 제2기계학습모델을 통해 각 구역에 대한 구역에너지수요예측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구역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머신러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다양한 구역에 설치된 센서와 통신시 두꺼운 콘크리트벽 내부에 설치된 분전반 등의 전력데이터를 센싱하는데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방식으로 통신이 차단되어 그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라망과 와이파이메쉬망을 이용하여 실내의 IoT단말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외부의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와이파이메시망을 이용함으로써 통신이 불안정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분전반 등에서의 화재를 신속히 감지하여 관제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화재대응을 신속히 할 수 있는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는, 건물 내부에 층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IoT단말과 연결되는 로라망과 연결되어 측정정보를 수집하고, 층간으로 설치되는 와이파이메쉬망을 통해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제1 게이트웨이와, 상기 와이파이메쉬망과 연결되어 상기 측정정보를 외부의 관제서버와 연결된 상용망을 통해 전송하는 상기 제2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공유기가 연결되는 상기 와이파이메쉬망으로 테스트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테스트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공유기를 상기 와이파이메쉬망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게이트웨이와 통신하여 서로 다른 상기 제1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수신권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IoT단말이 분전반의 화재정보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경우, 관리자단말로 알람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라-와이파이 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시스템은, 건물 내부에 층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IoT단말과, 상기 IoT단말과 연결되는 로라망과 연결되어 측정정보를 수집하고, 층간으로 설치되는 와이파이메쉬망을 통해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제1 게이트웨이와, 상기 와이파이메쉬망과 연결되어 상기 측정정보를 외부의 관제서버와 연결된 상용망을 통해 전송하는 상기 제2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IoT형 건물관리장치와,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통합관리하는 상기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로라망과 와이파이메쉬망을 이용하여 실내의 IoT단말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외부의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메시망을 이용함으로써 통신이 불안정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분전반 등에서의 화재를 신속히 감지하여 관제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화재대응을 신속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에서 제1 게이트웨이와 제2 게이트웨이가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에서 복수의 제1 게이트웨이가 와이파이메쉬망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에서 제1 게이트웨이와 제2 게이트웨이가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에서 복수의 제1 게이트웨이가 와이파이메쉬망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시스템은 IoT단말(10), IoT형 건물관리장치(100) 및 관제서버(200)를 포함한다.
IoT단말(10)은 실내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VOC(volatile organic components),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nents)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IoT단말(10)은 분전반이나 배전반에 설치되어 전류를 측정하고, 선간 전압, 주파수, 역률, 전력량을 전력정보로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IoT단말(10)은 실내에 설치된 공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IoT단말(10)은 광전식으로 화재센서를 이용하여 분전반 등의 화재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IoT형 건물관리장치(100)는 복수의 IoT단말(10)과 통신할 수 있다. IoT형 건물관리장치(100)는 제1 게이트웨이(110)와 제2 게이트웨이(120)를 이용하여 IoT단말(10)의 측정정보를 관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게이트웨이(110)는 로라망(101)과 와이파이메쉬망(102)을 이용하여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제2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제2 게이트웨이(120)는 와이파이메쉬망(102)과 상용망을 이용하여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관제서버(200)로 전송한다. IoT형 건물관리장치(100)는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있는 IoT단말(10)의 측정정보를 신속하게 관제서버(200)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관제서버(200)는 IoT형 건물관리장치(100)와 통신한다. 관제서버(200)는 IoT형 건물관리장치(100)의 제2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IoT단말(10)의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한다. 관제서버(200)는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건물 내 공조기 등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신호는 실내 공기오염도를 감소시키거나, 에너지를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관제서버(200)는 IoT단말(10)로부터 화재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이를 관리자단말(20)로 알람하여 화재진압이 조기에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관제서버(200)는 IoT단말(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탈이 발생한 경우 관리자단말(20)로 알람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에서 제1 게이트웨이와 제2 게이트웨이가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에서 복수의 제1 게이트웨이가 와이파이메쉬망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IoT형 건물관리장치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100)는 제1 게이트웨이(110) 및 제2 게이트웨이(120)를 포함한다.
제1 게이트웨이(110)는 로라망(101)과 연결된다. 로라(LoRa, Long Range)통신망은 광범위한 커버리지와 적은 대역폭을 가지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의미한다. 로라통신망은 건물 내부에 층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단말과 연결된다. 이 경우, 복수의 IoT단말(10)은 실내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거나, 공조기를 제어하거나, 분전반의 전력량을 수집하는 장비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제1 게이트웨이(110)는 층별로 설치된 복수의 IoT단말(10)을 통해 측정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제1 게이트웨이(110)는 와이파이메쉬망(102)과 연결된다. 와아피이메쉬(WIFI mesh) 통신망은 복수의 공유기(111)(Access Point, AP)를 이용하여 통신의 불안정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와이파이메쉬망(102)은 건물 내 층간으로 형성된 복수의 AP를 이용하여 건물내 통신이 가능하다. 이 경우, 와이파이메쉬망(102)은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 층간 공간이 막혀있지 않은 곳에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게이트웨이(110)는 로라망(101)으로부터 수집된 측정정보를 와이파이메쉬망(102)을 통해 제2 게이트웨이(120) 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1 게이트웨이(110)는 복수의 공유기(111)가 연결되는 와이파이메쉬망(102)으로 테스트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공유기(111)가 와이파이메쉬망을 형성하는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웨이(110)는 테스트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공유기(111)를 와이파이메쉬망으로 재설정한다. 제1 게이트웨이(11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복수의 공유기(111)에 테스트신호를 전송하면서 유효한 공유기(111)로 와이파이메쉬망(102)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이 불안정한 지역에서 와이파이메쉬망(102)을 재설정함으로써 통신이 차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게이트웨이(110)는 IoT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GPS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IoT단말(10)은 GPS모듈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IoT단말(10)의 GPS정보가 유효한 경우 측정정보와 GPS정보를 결합하여 제2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IoT단말(10)이 건물의 실외측에 설치된 경우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IoT단말(10)은 고유식별번호의 지정된 위치가 실내인 경우, GPS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관제서버(200)에서는 이를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게이트웨이(110)는 IoT단말(10)의 이동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IoT단말(10)이 기 설정된 속도, 가속도, 기울기 이상의 이동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이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IoT단말(10)이 외력에 의해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IoT단말(10)에는 기울기센서, 가속도센서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oT단밀이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정확한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이탈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2 게이트웨이(120)는 와이파이메쉬망(102)과 연결된다. 제2 게이트웨이(120)는 와이파이메쉬망(102)을 통해 IoT단말(10)로부터 수집된 건물 전체의 측정정보를 수집한다. 제2 게이트웨이(120)는 수집된 측정정보를 상용망을 통해 외부의 관제서버(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용망은 LTE(Long Term Evolution)일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관제서버(200)는 일종의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부의 관제서버(200)는 건물 내의 측정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게이트웨이(120)는 복수의 제1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게이트웨이(120)는 선택적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는 복수의 제1 게이트웨이(110)가 그룹화되는 경우 일부 그룹의 신호만으로 수신하여 관제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일부 IoT단말(10)로부터 화재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제1 게이트웨이(110)와의 수신권한만 유지하고, 다른 제1 게이트웨이(110)와의 수신권한이 차단될 수 있다. 이는 화재신호와 같은 긴급신호가 다른 신호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게이트웨이(120)는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게이트웨이(120)는 GPS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제2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에 따라 통신프로토콜을 재설정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2 게이트웨이(120)가 태국에 설치되는 경우, 태국의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태국의 통신 규격을 적용하여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제2 게이트웨이(120)가 설치되는 장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통신 규격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지역에서 제2 게이트웨이(120)가 상용망을 자동으로 찾아서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IoT단말(10)이 환경측정을 하는 경우 실내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VOC(volatile organic components),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nents)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로라망(101)을 통해 제1 게이트웨이(11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IoT단말(10)을 설치할 수 있어 보다 실효적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무선으로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으로써 관제서버(200)에서 즉시적인 데이터 분석 및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IoT단말(10)이 전력정보를 측정하는 경우 분전반 및 배전반이 다른 경우에도 전체적인 전력정보를 수집하여 로라망(101)을 통해 제1 게이트웨이(11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IoT단말(10)은 분전반이나 배전반에 설치되어 전류를 측정하고, 선간 전압, 주파수, 역률, 전력량을 전력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IoT단말(10)은 실측값과의 오차율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것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부의 관제서버(200)에서 즉시적인 전력정보를 획득하여 건물의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IoT단말(10)은 공조기의 동작정보를 로라망(101)을 통해 제1 게이트웨이(11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공조기는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 공기정화기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게이트웨이(110)는 와이파이메쉬망(102)을 통해 제2 게이트웨이(120) 측으로 공조기의 동작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제2 게이트웨이(120)는 와이파이메쉬망을 통해 전송된 동작정보를 상용망을 통해 관제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관제서버(200)에서는 공조기의 동작정보를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제2 게이트웨이(120) 및 제1 게이트웨이(110)를 통해 IoT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100)는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2 게이트웨이(120)와 통신하여 서로 다른 제1 게이트웨이(110)로부터의 수신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게이트웨이(120)는 복수의 제1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권한이 부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게이트웨이(120)는 건물의 1층, 2층, 3층의 제1 게이트웨이(110) 중 1층의 제1 게이트웨이(110)로부터만 신호를 수신하여 상용망을 통해 관제서버(2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제어부(130)는 복수의 제1 게이트웨이(110)를 그룹화하여 세분화시키고, 이 중 일부 그룹의 제1 게이트웨이(110)로부터만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는 서로 다른 그룹의 제1 게이트웨이(110)로부터의 신호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일부 IoT단말(10)로부터 화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다른 제1 게이트웨이(110)의 신호 수신을 차단하고 화재신호가 감지된 제1 게이트웨이(110)의 신호만을 제2 게이트웨이(120)가 수신하도록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분전반 등에 설치된 IoT단말(10)로부터 화재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다른 신호의 간섭없이 긴급히 관제서버(200)로 알람하기 위함이다. 화재신호가 감지된 경우 해당 제1 게이트웨이(110)로부터만 신호를 수신하여 제2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관제서버(200)로 신속히 실시간으로 화재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외부의 관제서버(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IoT단말(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단말(10)이 공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경우, 에너지 절감을 위해 공조기의 동작시간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공조기의 바이패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력에너지를 절감시키거나, 제상제어 및 도어시스템의 절전제어를 통해 소비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관제서버(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제1 게이트웨이(110) 및 제2 게이트웨이(120)는 수신모드로 변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제어신호가 신호의 간섭없이 IoT단말(10)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100)는 전원감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감지부(140)는 제1 게이트웨이(110) 또는 제2 게이트웨이(120)의 전원플러그와 탈착형으로 형성된다. 전원감지부(140)는 제1 게이트웨이(110) 또는 제2 게이트웨이(120)의 전원정보를 생성한다. 이는 제1 게이트웨이(110) 또는 제2 게이트웨이(120)의 외부전원이 차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웨이(110) 또는 제2 게이트웨이(120)의 외부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내부전원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 게이트웨이(110) 또는 제2 게이트웨이(120)의 외부전원의 차단이 감지되면 전원차단신호를 생성하여 관제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원이 차단된 게이트웨이의 고유식별정보를 관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관제서버(200)에서 제1 게이트웨이(110) 또는 제2 게이트웨이(120)의 전원이 차단된 것을 감지하여 고장조치를 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IoT단말
20 : 관리자단말
100 : IoT형 건물관리장치
101 : 로라망
102 : 와이파이메쉬망
110 : 제1 게이트웨이
111 : 공유기
120 : 제2 게이트웨이
130 : 제어부
140 : 전원감지부
200 : 관제서버
20 : 관리자단말
100 : IoT형 건물관리장치
101 : 로라망
102 : 와이파이메쉬망
110 : 제1 게이트웨이
111 : 공유기
120 : 제2 게이트웨이
130 : 제어부
140 : 전원감지부
200 : 관제서버
Claims (5)
- 건물 내부에 층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IoT단말과 연결되는 로라망과 연결되어 측정정보를 수집하고, 층간으로 설치되는 와이파이메쉬망을 통해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제1 게이트웨이;
상기 와이파이메쉬망과 연결되어 상기 측정정보를 외부의 관제서버와 연결된 상용망을 통해 전송하고,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통신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제2 게이트웨이;
상기 제1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제2 게이트웨이의 전원플러그와 탈착형으로 형성되어 전원정보를 생성하고, 외부전원이 차단되면 내부전원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전원감지부; 및
상기 제2 게이트웨이와 통신하여 서로 다른 상기 제1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수신권한을 제어하되, 상기 제1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제2 게이트웨이의 상기 외부전원의 차단이 감지되면 전원차단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공유기가 연결되는 상기 와이파이메쉬망으로 테스트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테스트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공유기를 상기 와이파이메쉬망으로 재설정하는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IoT단말이 분전반의 화재정보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경우, 관리자단말로 알람신호를 제공하는 로라-와이파이 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 건물 내부에 층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IoT단말;
상기 IoT단말과 연결되는 로라망과 연결되어 측정정보를 수집하고, 층간으로 설치되는 와이파이메쉬망을 통해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제1 게이트웨이와, 상기 와이파이메쉬망과 연결되어 상기 측정정보를 외부의 관제서버와 연결된 상용망을 통해 전송하고,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통신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제2 게이트웨이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제2 게이트웨이의 전원플러그와 탈착형으로 형성되어 전원정보를 생성하고, 외부전원이 차단되면 내부전원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전원감지부와, 상기 제2 게이트웨이와 통신하여 서로 다른 상기 제1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수신권한을 제어하되, 상기 제1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제2 게이트웨이의 상기 외부전원의 차단이 감지되면 전원차단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통합관리하는 상기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로라-와이파이 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0174A KR102351801B1 (ko) | 2020-08-31 | 2020-08-31 |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
PCT/KR2021/011599 WO2022045851A1 (ko) | 2020-08-31 | 2021-08-30 |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0174A KR102351801B1 (ko) | 2020-08-31 | 2020-08-31 |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1801B1 true KR102351801B1 (ko) | 2022-01-17 |
Family
ID=8005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0174A KR102351801B1 (ko) | 2020-08-31 | 2020-08-31 |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180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43692B2 (en) | 2022-05-12 | 2024-03-26 | Teltrust Corporation | Emergency response using non-cellular long-range radio channel and emergency use wi-fi hotspo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518697A (ja) * | 2014-05-16 | 2017-07-06 |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 高価なメッシュピアリングを伴わずに信頼性の高いルートを確立すること |
KR102047249B1 (ko) * | 2019-08-23 | 2019-11-21 | (주)스토리포유 | 해상 조난 구조 시스템 |
KR102055637B1 (ko) * | 2018-09-27 | 2019-12-13 | 주식회사 엔에스텍 | 무선 메시 네트워크를 이용한 센서 데이터 전송장치 및 그 전송방법 |
KR102114351B1 (ko) * | 2019-12-31 | 2020-05-22 | 한국아이티사업단(주) |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
-
2020
- 2020-08-31 KR KR1020200110174A patent/KR1023518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518697A (ja) * | 2014-05-16 | 2017-07-06 |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 高価なメッシュピアリングを伴わずに信頼性の高いルートを確立すること |
KR102055637B1 (ko) * | 2018-09-27 | 2019-12-13 | 주식회사 엔에스텍 | 무선 메시 네트워크를 이용한 센서 데이터 전송장치 및 그 전송방법 |
KR102047249B1 (ko) * | 2019-08-23 | 2019-11-21 | (주)스토리포유 | 해상 조난 구조 시스템 |
KR102114351B1 (ko) * | 2019-12-31 | 2020-05-22 | 한국아이티사업단(주) |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43692B2 (en) | 2022-05-12 | 2024-03-26 | Teltrust Corporation | Emergency response using non-cellular long-range radio channel and emergency use wi-fi hotspo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36271B2 (en) | Indoor air quality control system | |
JP4682912B2 (ja) | センサネットシステム、センサネット位置特定プログラム | |
JP5049472B2 (ja) | 複数のセンサノードを用いて監視を行う火災監視システム | |
US20070232288A1 (en) | Service tool for wireless automation systems | |
Allahham et al. | A smart monitoring system for campus using Zigbee wireless sensor networks | |
CN103236102A (zh) | 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化楼宇能源管理系统 | |
JP4146650B2 (ja) | ホームコントローラ | |
US20140293855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router | |
KR102351801B1 (ko) |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 |
KR20100002587U (ko) | 복합 공기질 측정모니터 | |
US7389202B2 (en) | Modular system and process for obtaining measured data and for forwarding them in a radio-based manner | |
CN105549425A (zh) | 环境检测终端和环境检测系统 | |
KR20100025308A (ko) |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방법 | |
WO2022045851A1 (ko) |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 |
KR20100077835A (ko) | 공조기기 실내기를 활용한 usn 구축 방법 및 장치 | |
CN111818447A (zh) | 一种室内人居环境的传感器网络 | |
CN111811569A (zh) | 一种用于感知室内环境的方法 | |
CN111854753A (zh) | 一种室内空间的建模方法 | |
CN104808566A (zh) | Ap面板无线自组网室内监控系统 | |
KR20170077760A (ko) |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스마트 홈 및 스마트 오피스 시스템 | |
KR20210012797A (ko) |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가지는 공기질 측정 장치 | |
KR102026360B1 (ko) | 누수 감시 시스템 및 누수 감시 방법 | |
CN204613666U (zh) | Ap面板无线自组网室内监控系统 | |
KR102406689B1 (ko) | 보안성이 향상된 로라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 |
CN111813056A (zh) | 一种调节室内环境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