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351B1 -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351B1
KR102114351B1 KR1020190179253A KR20190179253A KR102114351B1 KR 102114351 B1 KR102114351 B1 KR 102114351B1 KR 1020190179253 A KR1020190179253 A KR 1020190179253A KR 20190179253 A KR20190179253 A KR 20190179253A KR 102114351 B1 KR102114351 B1 KR 102114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sensor
disaster
sensing information
sensor
integrated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종
김정원
Original Assignee
한국아이티사업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이티사업단(주) filed Critical 한국아이티사업단(주)
Priority to KR102019017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으로서, 로라(LoRa)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송신하는 IoT 센서를 탐색하고, 상기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시 상기 IoT 센서를 재시동시키며, 상기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송신하는 통합게이트웨이, 그리고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발생시 국가 재난망 및 사용자 단말에게 재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재난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LOW POWER INTEGRATED GATEWAY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BASED ON LPWA}
본 발명은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LPWA를 기반으로 IoT 센서 자동 탐색 및 장애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센서노드를 통합한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oT를 적용한 안전 관련 서비스와 관련하여, 모바일 광대역 공공안전 통신시장은 LTE 기술의 발전을 비롯하여 실시간 정보전송, 더욱 향상된 공공안전 운영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정부의 공공안전 통신망구축 계획의 확대 등을 주요 요인으로 인하여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종래의 재난관리 시스템은 시스템 구축 및 유지를 위해 높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재난관리 시스템은 통신 거리가 짧아서 재난알림을 위한 정보 수집에 적합하지 않았고, 게이트웨이 유지 및 보수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저비용으로 통신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도 로컬(Local)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고, 기존 센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저전력으로 게이트웨이 전력 관리가 가능한 게이트웨이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비용으로 통신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도 로컬(Local)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고, 기존 센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저전력으로 게이트웨이 전력 관리가 가능한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로라(LoRa)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송신하는 IoT 센서를 탐색하고, 상기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시 상기 IoT 센서를 재시동시키며, 상기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송신하는 통합게이트웨이, 그리고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발생시 국가 재난망 및 사용자 단말에게 재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재난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게이트웨이는, 상기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서 탐색 신호를 송출하고, 탐색된 상기 IoT 센서에 대해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고, 상기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IoT 센서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센서노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노드부는, 상기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으로 판단되면, 상기 IoT 센서에게 재시동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합게이트웨이는, 상기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재난관리 서버에게 송신하는 통신부,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열 충전부, 상기 태양열 충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 및 상기 태양열 충전부에 의한 배터리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로라(LoRa)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송신하는 IoT 센서를 탐색하고, 상기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시 상기 IoT 센서를 재시동시키며, 상기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송신하는 통합게이트웨이, 그리고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발생시 국가 재난망 및 사용자 단말에게 재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재난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게이트웨이는, 상기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서 탐색 신호를 송출하고, 탐색된 상기 IoT 센서에 대해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고, 상기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IoT 센서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센서노드부, 및 상기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재난관리 서버에게 송신하는 통신부,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열 충전부, 상기 태양열 충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 및 상기 태양열 충전부에 의한 배터리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노드부는, 상기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으로 판단되면, 상기 IoT 센서에게 재시동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IoT 센서의 장애 발생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비용으로 통신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도 로컬(Local)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고, 기존 센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저전력으로 게이트웨이 전력 관리가 가능하다.
센서노드와 게이트웨이가 하나로 통합되어 구축 및 관리가 용이하고, 망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자체 전력 관리를 통해 게이트웨이의 성능 유지 기간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LPWA 로컬 통신망(자가망) 구축이 가능하여 통신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도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로컬 통신망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른 플랫폼 및 공공기관에 재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공 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센서노드부의 동작 내용의 흐름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센서노드부의 동작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센서노드부의 동작 내용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센서노드부의 동작 내용의 흐름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센서노드부의 동작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센서노드부의 동작 내용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은 IoT 센서(10), 통합게이트웨이(100), 및 재난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IoT 센서(10)는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LPWA) 로라(LoRa)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송신한다. IoT 센서(10)는 미리 설정된 구역에 설치되어 실시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IoT 센서(10)는 한 실시예로서, 영상촬영장치, 온도센서, 습도센서, 가스센서, 압력센서, 화재감지 센서 등일 수 있다.
센싱 정보는 한 실시예로서, 온도, 습도, 풍속, 풍량 등의 기상정보, 적외선 영상데이터, 가스농도, 압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게이트웨이(100)는 로라(LoRa)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송신하는 IoT 센서(10)를 탐색하고, IoT 센서(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IoT 센서(10)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IoT 센서(10)의 장애 발생시 IoT 센서(10)를 재시동시키며, LPWA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IoT 센서(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재난관리 서버(200)에게 송신한다.
통합게이트웨이(100)는 한 실시예로서, 센서노드부(110) 및 게이트웨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노드부(110)는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서 탐색 신호를 송출하고(S210), 탐색된 IoT 센서(10)에 대해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S220), IoT 센서(10)로부터 센싱 정보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S230), IoT 센서(10)로부터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며(S231), IoT 센서(10)로부터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 IoT 센서(10)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S232).
도 4를 참조하면, 센서노드부(110)는 시스템에 등록된 IoT 센서(1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S410),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IoT 센서(10)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S420), IoT 센서(10)의 장애 발생으로 판단되면, IoT 센서(10)에게 재시동 신호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430), 재시동 신호 송신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적으면 IoT 센서(10)에게 재시동 신호를 송신하며(S431), 재시동 신호 송신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으면 재난관리 서버(200)에게 재시동 불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S432). 센서노드부(110)는 IoT 센서(10)의 장애 발생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IoT 센서(1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S440).
센서노드부(110)는 한 실시예로서, 탐색부(111) 및 관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탐색부(111)는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서 탐색 신호를 송출하고, 센서 탐색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IoT 센서(10)에게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IoT 센서(10)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지 여부를 통해 IoT 센서(1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관리부(112)는 IoT 센서(10)에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이후, IoT 센서(10)로부터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한다. 관리부(112)는 IoT 센서(10)에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이후, IoT 센서(10)로부터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 IoT 센서(10)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시스템에 등록한다.
관리부(112)는 시스템에 등록된 IoT 센서(1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IoT 센서(10)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는 재난이 발생하지 않을 때와 재난이 발생할 때의 센싱 정보일 수 있다. 관리부(112)는 IoT 센서(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가 재난이 발생하지 않을 때와 재난이 발생할 때의 센싱 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면, 센서 장애 발생 또는 센서 오류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부(112)는 IoT 센서(10)의 장애 발생으로 판단되면, IoT 센서(10)에게 재시동 신호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리 설정된 횟수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값이다. 미리 설정된 횟수는 한 실시예로서, 10회일 수 있다.
관리부(112)는 재시동 신호 송신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적으면 IoT 센서(10)에게 재시동 신호를 송신하고, 재시동 신호 송신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으면 재난관리 서버(200)에게 재시동 불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센서의 장애 발생 여부 판단 및 재시동 신호 송신을 통해 센서의 오류 발생을 1차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리부(112)는 IoT 센서(10)의 장애 발생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IoT 센서(1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미리 설정된 주기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값이다.
게이트웨이부(120)는 한 실시예로서, 통신부(121), 태양열 충전부(122), 배터리(123), 및 제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IoT 센서(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LPWA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재난관리 서버(200)에게 송신한다.
태양열 충전부(122)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태양열 충전부(122)는 한 실시예로서, 통합게이트웨이(100)의 외부 방수 케이스에 배치되며, 복수의 태양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23)는 태양열 충전부(122)에서 생산된 전력을 통해 충전된다.
제어부(124)는 태양열 충전부(122)에 의한 배터리(123) 충전 동작 및 배터리(123)를 통한 전력 사용량을 제어한다.
재난관리 서버(200)는 LPWA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합게이트웨이(1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발생시 국가 재난망(30) 및 사용자 단말(50)에게 재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
국가 재난망(30)은 한 실시예로서, 국가 재난 관리 기관,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의 유관기관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50)은 국가 재난 알림 어플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재난관리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재난 발생으로 판단되면, 드론(70)에게 재난 발생 지역으로 이동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으로서,
    로라(LoRa)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송신하는 IoT 센서를 탐색하고,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송신하는 통합게이트웨이, 그리고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발생시 국가 재난망 및 사용자 단말에게 재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재난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게이트웨이는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센서 탐색 신호를 송출하고, 탐색된 IoT 센서에 대해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며,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IoT 센서의 프로파일을 등록하며, 등록된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등록된 IoT 센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등록된 IoT 센서의 장애 발생으로 판단되면 등록된 IoT 센서에게 재시동 신호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재시동 신호 송신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적으면 등록된 IoT 센서에게 재시동 신호를 송신하며, 재시동 신호 송신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으면 상기 재난관리 서버에게 재시동 불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센서노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관리 서버는
    재난 발생으로 판단되면, 재난 발생 지역으로 이동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드론에게 송신하는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센서노드부는,
    등록된 IoT 센서의 장애 발생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등록된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통합게이트웨이는,
    등록된 IoT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재난관리 서버에게 송신하는 통신부,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열 충전부, 상기 태양열 충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 및 상기 태양열 충전부에 의한 배터리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부를 더 포함하는,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79253A 2019-12-31 2019-12-31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2114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253A KR102114351B1 (ko) 2019-12-31 2019-12-31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253A KR102114351B1 (ko) 2019-12-31 2019-12-31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351B1 true KR102114351B1 (ko) 2020-05-22

Family

ID=7091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253A KR102114351B1 (ko) 2019-12-31 2019-12-31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3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801B1 (ko) * 2020-08-31 2022-01-17 (주)클라우드앤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WO2022045851A1 (ko) * 2020-08-31 2022-03-03 (주)클라우드앤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KR102381620B1 (ko) * 2020-12-18 2022-04-04 (주)클라우드앤 쾌적존을 이용한 IoT형 건물통합관리시스템
KR102562840B1 (ko) 2023-04-21 2023-08-02 제온시스 주식회사 센서 기반의 재난 현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를 위한 관제 서버 제어 방법과 소방용 재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로 재난 현장을 운용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184B1 (ko) * 2015-03-17 2016-01-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감지 시스템
KR101986838B1 (ko) * 2019-03-12 2019-06-07 주식회사 바론시스템 LoRa망 기반의 원격 센서 제어 및 계측용 딥러닝 안전관리시스템
KR102036212B1 (ko) * 2019-06-04 2019-10-24 (주)에이티맥스 Iot를 이용한 비탈면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184B1 (ko) * 2015-03-17 2016-01-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감지 시스템
KR101986838B1 (ko) * 2019-03-12 2019-06-07 주식회사 바론시스템 LoRa망 기반의 원격 센서 제어 및 계측용 딥러닝 안전관리시스템
KR102036212B1 (ko) * 2019-06-04 2019-10-24 (주)에이티맥스 Iot를 이용한 비탈면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801B1 (ko) * 2020-08-31 2022-01-17 (주)클라우드앤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WO2022045851A1 (ko) * 2020-08-31 2022-03-03 (주)클라우드앤 로라-와이파이메쉬 통신을 이용한 iot형 건물관리장치 및 건물관리시스템
KR102381620B1 (ko) * 2020-12-18 2022-04-04 (주)클라우드앤 쾌적존을 이용한 IoT형 건물통합관리시스템
KR102562840B1 (ko) 2023-04-21 2023-08-02 제온시스 주식회사 센서 기반의 재난 현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를 위한 관제 서버 제어 방법과 소방용 재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로 재난 현장을 운용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351B1 (ko) Lpwa 기반 재난 관리용 저전력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
US10854059B2 (en) Wireless sensor network
US10275263B2 (en) Emergency video camera system
US10791193B2 (en) Remote access gateway configurable control system
US10168065B2 (en) Diagnosing and troubleshooting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70261220A1 (en) Asynchronous reporting system
CA2872267C (en) Wireless fire system with idle mode and gateway redundancy
US20150023211A1 (en) Method for handling inconsistencies in a home wireless system
CN210428181U (zh) 一种智能家居网关系统
CN111669494B (zh) 一种网络摄像机控制方法和网络摄像机
EP4140161B1 (en) Determination of user presence and absence using wifi connections
KR101643171B1 (ko)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343700A (zh) 无线传感网络通信方法
US20140092763A1 (en) Method for manag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and corresponding sensor node, sensor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177747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
WO2021228591A1 (en) Node control unit and network-service device
Minh et al. Managing heterogeneous WSNs in smart cities: Challenges and requirements
KR10119466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의 장애를판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564114B2 (en) Premises communication hub
KR102605088B1 (ko) 저전력 무선 센서 통합 시스템
US12001852B2 (en)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CN112448940B (zh) 物联网内信息处理方法、感测装置与网络封包
Benetti et al. Indoor monitoring: SensorNet integration and actuations for energy saving
CN110017577A (zh) 一种基于物联网传感器的机房恒温恒湿控制系统及方法
KR20220092360A (ko) 작업 현장에서 유해가스와 화재를 감지하는 IoT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