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362A - 튜브 접속 - Google Patents

튜브 접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362A
KR20190009362A KR1020187036919A KR20187036919A KR20190009362A KR 20190009362 A KR20190009362 A KR 20190009362A KR 1020187036919 A KR1020187036919 A KR 1020187036919A KR 20187036919 A KR20187036919 A KR 20187036919A KR 20190009362 A KR20190009362 A KR 20190009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ube connection
connection
styren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659B1 (ko
Inventor
마시모 피니
마틴 라우어
라인홀드 레이터
알랭 베네로니
Original Assignee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0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9/049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2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for joining a flexible tube to a rigid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9/041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29/085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lubricating compositions
    • A61L29/141Plastic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53Interfaces between patient blood circulation and extra-corporal blood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61M25/0014Connecting a tube to a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J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3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distal part of the catheter, e.g. filters, plugs or valves
    • A61M2025/0031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distal part of the catheter, e.g. filters, plugs or valves characterized by lumina for withdrawing or delivering, i.e. used for extracorporeal circuit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Wrapper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수용하도록 된 튜브 접속부가 제공되며, 상기 튜브 접속부는 해당 튜브 접속부와 상기 튜브 사이에 중첩 영역을 형성하도록 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 촉진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 촉진제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튜브 접속
본 발명은 튜브 접속부와 플렉시블 튜브 간의 새로운 튜브 접속, 상기 플렉시블 튜브 및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재료로 형성된 튜브 접속부와 폴리비닐 염화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튜브를 구비하고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접착 촉진제를 개재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플렉시블 배관과 대응 접속부 간의 접속은 이전부터 의료 기기의 개발 및 생산 전반에 걸쳐 도전적인 문제가 되어 왔다. 예를 들어, 주입, 임상적 영양 처리, 투석, 수혈 또는 안과 수술 등으로 제시된 바와 같은 여러 의료 공학 분야에서, 각각의 치료 목적으로 치료액 또는 체액을 운반하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플렉시블 배관을 사용하지 않으면 환자 치료는 생각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폴리비닐 염화물(이하, PVC라 칭함)은 의학적 측면으로부터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한편, PVC를 의료용 튜브의 제조에 적합하게 하는 우수한 재료 특성을 제공하는 가장 유망한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PVC는 일회용 의료 기기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VC를 튜브와 같은 일회용 의료 기기에 사용하는 데 있어 몇 가지 중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PVC 재료 자체는 반드시 가소제에 의해 변형되어 필요한 재료 특성을 얻음으로써 PVC를 배관 또는 필름 제조에 적합하게 한다. 이러한 점에서, PVC의 가소화는 PVC 재료의 부분적 용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져 결과적으로 특히 탄력성 및 굽힘 저항성과 관련하여 고품질 튜브 제품을 제공한다.
반면에, PVC 재료는 가소제 용출의 단점을 가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소제는 PVC 재료로부터 용출하고 예를 들어 치료 기간 중에 일회용 PVC 의료품을 사용함으로써 PVC 재료와 접촉하는 체액 또는 치료액을 오염시킬 수 있다. PVC는 몇 가지 다른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일회용 의료 용품의 제조에 사용되기도 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기타 폴리올레핀과 호환될 수 없다는 사실에서 또 다른 단점을 찾을 수 있다. 이점에서 비호환성은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접착으로 연결부를 형성하는 시도에서 PVC가 다른 플라스틱 재료와 상호 작용 경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PVC와 제2 재료가 튜브 접속부와 같은 조인트를 형성할 때는 재료 상호 작용 경향이 필요하다. 언급한 경우에, PVC와 폴리프로필렌은 PVC 튜브와 폴리프로필렌 접속부 사이의 접속이 용접, 접착 또는 블로킹과 같은 접합 공정에 의한 것이 주된 것이 아닌 낮은 상호 작용 경향을 나타낸다. 임의의 보조 수단이 없으면, 어던 이러한 접속도 의료용 일회용품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만큼 아주 충분히 탄력적이지 않다.
이러한 단점과 관련하여, 의료용 일회용품의 제조로부터 PVC 재료를 분류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점에서, 폴리올레핀으로 만든 튜브는 PP와의 열등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VC 배관 대체품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예, EP 2 001 670). 그러나, 이들 튜브는 굽힘 저항, 탄성 및 재료비와 생산비의 증가와 관련하여 문제가 있다.
다른 시도는 PP와 같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VC 호환되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에 PVC 배관을 탄력 연결할 수 있는 해법을 찾고자 행해졌다. 이와 관련하여, DE 10 2005 024 621은 PVC 튜브가 튜브 부품에 연결될 수 있고 튜브 연결의 탄성이 PVC 튜브와 강성 연결부의 중첩 영역에 감겨져서 강제 결합 튜브 접합을 형성하는 열 수축 튜브에 의해 달성되는 개념을 보여준다.
미국 특허 제4,417,753호는 고주파 조사에 민감하고 가열되어 PVC 연결부와 다른 연결부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폴리(에틸-비닐 아세테이트)(EVA)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최신 기술로 보고된 해법은 특히, 투석 요법에 최근 사용되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예, WO 2010/121819)과 관련하여 의료용 일회용품에 요구되는 품질 성능에 관하여 여전히 충분하지 않다.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은 치료 세션 중에 치료액 또는 체액의 처리에 사용된다. 이러한 카세트는 튜브 접속부를 통해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에 대해 각각의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각각의 배관과 연결된다. 튜브 접속부는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PP가 선호되고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재료이다. 카세트의 경우 PP 등의 호환성 재료를 사용하고 튜브의 경우 폴리올레핀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카세트의 튜브 접속부와 배관 사이에 탄성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이 잘 확립되어 있다. 이 경우, 카세트 모듈 및 배관은 용접 가능한 접합부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호환 가능한 재료를 포함한다. PVC 재료로 전환시, 재료의 상호 작용 경향이 낮기 때문에 PP 튜브 시트, 즉 카세트의 튜브 접속부와 PVC 배관 사이에 탄성 접합부를 형성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상기 접합부를 얻는 한 가지 방법은 각 부품의 접착을 지원하는 적절한 보조 수단을 찾는 것이다.
따라서, PVC를 PP에 접착하기 위한 기본 요건은 접합 영역에서 PP 및 PVC를 양립 가능하게 하는 접착 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과 각각의 배관 사이의 튜브 연결의 탄성은 인장 및 비틀림 강도와 관련하여 현저한 과제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이 정상적으로는 투석 장치 또는 다른 치료 장치의 대응하는 수용부에 고정식으로 결합된다는 사실로부터 유래하며, 여기서 배관은 유연하고 느슨하게 이동 가능하며, 고정 결합된 카세트로부터 매달려 있다. 결과적으로, 배관의 움직임은 플렉시블 튜브와 카세트의 튜브 접속부 사이의 접합 영역에 직접 인장 및 비틀림 응력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응력은 각 튜브가 튜브 연결에서 분리되는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상황은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 상에 배치된 연결부에 펌프 튜브 섹션을 결합시키는 문제로 인해 악화된다. 이러한 펌프 튜브 섹션은 원하는 유체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롤러 펌프 작동기에 의해 지속적으로 인장 및 비틀림 응력 하에서 놓여진다. 이러한 응력 작용은 각 펌프 튜브 섹션이 그 접합부로부터 벗겨지거나 파열되는 튜브 연결 영역으로 즉시 작용된다.
접착된 접합 영역은 내열성 등의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의료 기기의 바람직한 살균 방법은 상승된 온도로 유도된 살균을 이용하는 것이다. 해당 예는 진공 증기 멸균 또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의한 고압 멸균이다.
전술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 접속부와 PVC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배관 사이의 중첩 영역에 탄성 접합부를 제공하는 튜브 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튜브 접속부와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튜브 접속부와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그 중첩 연결 영역에 탄성 접합부를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튜브와 중첩되는 중첩 연결 영역에 탄성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 접속부를 포함하고 치료액 또는 체액을 처리하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튜브 접속부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에 탄성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는 PVC 재료로 제조된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튜브 접속부 및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하고 치료액 또는 체액을 처리하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확인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문제점은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수용하도록 된 튜브 접속부에 의해 해결되고, 상기 튜브 접속부는 해당 튜브 접속부와 상기 튜브 사이에 중첩 영역을 형성하도록 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해당 슬리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 촉진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 촉진제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상기 슬리브가 그 축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중첩 영역의 일부 또는 전체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상기 돌출 립이 도브 테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상기 슬리브가 그 외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상기 접착 촉진제가 상기 슬리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오버몰딩으로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상기 접착 촉진제가 상기 튜브 접속부의 상기 슬리브 상에 외부 칼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상기 접착 촉진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튜브의 단부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면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총 스티렌 함량이 2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140℃ 이상 220℃ 이하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를 나타내거나, 80 또는 90의 범위의 쇼어 A 경도를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 및 쇼어 A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상기 슬리브가 암형 또는 수형의 접속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거나, 강성이거나, 강성이면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거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에 따른 문제점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접속부 및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의해 해결되며,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 접속부의 상기 슬리브의 중첩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접착 촉진 재료를 통해 상기 튜브 접속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폴리비닐 염화물은 트리멜리트산, 테레프탈산 또는 프탈산의 알킬 에스테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가소제는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옥틸 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에 따른 문제점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튜브 접속부 또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조립체를 포함하고 치료액 또는 체액을 처리하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은 복수의 튜브 접속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튜브 접속부는 중합체 용융물 스트림을 적어도 2개의 강성 접속부에 동시에 분배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의해 상호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에 따른 문제점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제에 의해 중첩된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접착 촉진제가 상기 튜브의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접착 촉진제가 상기 튜브의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상기 접착 촉진제/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연속층 및 상기 튜브가 공압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상기 연속층이 상기 튜브의 단부에 적용된 부싱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접속 매개 재료의 상기 연속층이 인쇄에 의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상기 폴리비닐 염화물이 트리멜리트산, 테레프탈산 또는 프탈산의 알킬 에스테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가소제는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옥틸 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80~90의 쇼어 A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폴리스티렌 블록(들) 및 적어도 하나의 랜덤화된 폴리(스티렌-코-부타디엔)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2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중량%, 예컨대, 60 중량%의 전체 스티렌 함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상기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140℃~220℃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중첩층이 5~200 ㎛, 바람직하게는 15~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60 ㎛, 더 바람직하게는 30~15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에 따른 문제점은 플렉시블 튜브를 수용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튜브 접속부 및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하는 조합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합은 상기 튜브 접속부가 해당 튜브 접속부와 상기 튜브 사이에 중첩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는 접착 촉진제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합은 상기 튜브 접속부가 해당 튜브 접속부와 상기 튜브 사이에 중첩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는 접착 촉진제가 도포되며, 상기 접착 촉진제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에 따른 문제점은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튜브 또는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을 포함하고, 치료액 또는 체액을 처리하는 유체 처리 카세트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도 1~4에 의해 예시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접속부의 축방향의 단면도로서, 튜브 접속부가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수용하여 튜브 접속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a와 유사한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접속부 및 플렉시블 튜브의 조립체의 종축에 수직인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복수의 튜브 접속부를 제공하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을 예시하며, 여기서 튜브 접속부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 튜브를 수용하여 튜브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튜브 접속부 및 복수의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예시한다.
본 발명은 이어지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튜브 접속"이란 용어는 튜브 접속부가 플렉시블 튜브를 수용한 조립에 관한 것이다. 튜브는 유체를 통과시켜 안내하는 도관을 포함하고, 접속부도 역시 유체를 통과시켜 안내하는 도관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튜브 접속은 튜브와 접속부가 함께 결합되어 유체를 통과시커 안내하는 하나의 연통 도관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튜브 접속부"라는 용어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튜브 접속을 형성할 수 있는 부분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거나, 강성으로 제조되거나,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이 점에서 "강성"이라는 용어는 접속부가 다소 굽힘에 저항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강성 플라스틱"이라는 용어는 각 부품, 즉 튜브 접속부가 각 부품, 즉 튜브 접속부의 주변 사용 온도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제공하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강성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튜브 접속부"라는 용어는 강성 구성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플렉시블 구성부, 즉, 플렉시블 튜브와 반대로, 강성 플라스틱 접속부의 변형은 일반적으로 불가역적이므로 그 기능을 파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슬리브"란 용어는 실린더 표면으로부터 파생된 형태를 말한다. 현재의 용어에서, 상기 슬리브는 내부면과 외부면을 갖는 내부 공동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와 플렉시블 튜브 사이의 접촉은 튜브가 슬리브 내로 삽입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튜브의 외부면은 슬리브의 내부면에 인접하다. 슬리브는 암형 튜브 접속부의 일부로 간주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슬리브는 각각의 튜브의 루멘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튜브의 내부면은 슬리브의 외부면에 인접하다. 슬리브는 수형 접속부의 일부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접착 촉진제"라는 용어는 두 부분 사이의 접착을 촉진시킬 수 있고 폴리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작용제에 관한 것이다. 이 작용제는 PVC 및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하는 재료의 접착의 촉진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이하 SBC)라는 용어는 블록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블록 공중합체는 중합체 사슬 길이에 걸쳐 통계적으로는 분포되지 않지만 중합체 사슬 내에서 적어도 2개의 각각의 블록에 할당되는 적어도 2종의 상이한 모노머로 구성된다. 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시판 중이다. 상이한 블록은 서로 공유 결합되어 하나의 중합체 체인을 형성한다. 언급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관련하여, 제1 블록은 거의 전적으로 스티렌 모노머 유닛으로 구성된다. 제2 블록은 거의 전적으로 부타디엔 모노머 유닛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낮은 비율의 스티렌과 같은 임의의 코-모노머가 부타디엔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모노머 유닛으로부터 중합체 체인을 정의하는 것은 각 모노머의 중합 가능한 반응소가 중합체 체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티렌 모노머 유닛은 페닐-에틸 기로서 나타나고 부타디엔 모노머는 중합체 체인에서 부틸 기로서 나타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 블록 및 부타디엔 블록에 의해 정의되는데, 부타디엔은 1,4 형태로 중합되며, 이는 부타디엔 반복 단위의 C1 원자 및 C4 원자가 각각의 다음 모노머 유닛에 공유 결합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이란 용어는 치료 세션 중에 각각의 환자의 치료를 위해 혈액 등의 체액 또는 투석액 등의 치료액을 처리하는 기능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 내에서, 이러한 모듈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튜브가 각각의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에 대한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로 지정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튜브"라는 용어는 유체 소스로부터 유체 처리, 주입 또는 배출 장소로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관형 도관에 관한 것이다. 주요한 이해 내에서, "튜브"라는 용어는 축방향으로도 지칭되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형상을 말한다. 축방향에 대한 수직 절단은 원형 형태를 제공하는 튜브의 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튜브는 정상적으로 상기 단면의 원형부의 중심 위치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루멘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 내에서, 비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형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단면은 타원형, 다각형 또는 립(lip) 형상도 역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플렉시블은 각각의 튜브가 최소 반경까지 파손없이 구부러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소 반경은 튜브가 굽혀지고 내부 루멘이 폐쇄 되는 반경으로 정의된다 . 이 점에서 플렉시블은 폐쇄가 가역적이며 튜브를 굴곡된 형태로부터 해제할 때 튜브의 복원력에 의해 루멘이 다시 개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플렉시블 PVC 튜브"라는 용어는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튜브의 이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 내에서, 튜브는 PVC 재료만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PVC 및 다른 보조재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돌출 립(rip)"이라는 용어는 각각의 구성 요소의 섹션의 엠보싱된 형태에 관한 것이다. 립이라는 용어는 폭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고 돌출 높이가 종방향 연장보다 작은 형태에 관한 것이다. 립 형태는 직사각형, 곡선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효과가 본 발명에 기여하는 한 임의의 형태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도브 테일(dove tail)"이란 용어는 돌출 립의 소정의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립의 종방향 연장부에 수직인 단면 절단부가 도브 테일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도브 테일"이라는 용어는 기계 공학에서 잘 알려진 표현이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도브 테일"이라는 표현은 사다리꼴 모양의 형상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부싱"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필름 재료로 제조되는 플렉시블 실린더 형태를 말한다. 부싱은 튜브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부싱은 튜브 단부 섹션 또는 슬리브의 공동과 같은 원통형 제품 상에 또는 그러한 형태로 래핑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중첩된"이란 용어는 접착 촉진제의 적어도 일부가 본 발명의 플렉시블 튜브 상에 도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포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튜브와 튜브 접속부 사이의 접착을 촉진하는 한, 불규칙 층, 스퍼터링 층, 성형층, 패턴층, 피복층 또는 연속층과 같은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튜브 접속은 튜브 접속부 및 의료 튜브로서 폴리비닐 염화물(이하, PVC)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에 의해 형성된다. 의료용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튜브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있다. 특히 혈액 투석과 같은 투석 분야와 관련하여, 여러 종류의 튜브가 치료 처치 세션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이다. 치료액 또는 체액을 처리하기 위한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에 관하여, 상이한 종류의 튜브가 카세트 모듈에 연결된다. 이들 상이한 튜브 중에 찾을 수 있는 튜브는:
- 통상적으로 약 10.2mm의 외경, 7.2mm의 내부 루멘 직경 및 약 1.5mm의 벽 두께를 갖는 혈액 배관으로, 환자 혈액을 혈액 처리 장치로, 즉 투석기로 전달하는 혈액 배관;
- 신선한 투석액 및 사용된 투석액을 운반하도록 의도된 투석액 배관;
- 혈액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혈액 투석에서 체외 혈액 회로에 헤파린을 전달하도록 의도된 헤파린 배관;
- 펌프 튜브의 연동 처리에 의한 펌핑 수단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펌프 배관으로서, 상기 연동 처리는 펌프 튜브를 연동식으로 압축하도록 로터 단부 섹션에 롤러를 포함하는 로터의 형태의 펌프 액터에 의해 수행되고, 이들 튜브 섹션은 특히 혈액 투석의 체외 처리에서 혈액 및 투석액의 흐름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며, 펌프 튜브는 일반적으로 8 mm의 내강 직경, 2.1 mm의 벽 두께 및 14.2 mm의 전체 직경을 나타내는, 펌프 배관
이 있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PVC 재료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튜브 접속부에 관한 것이다. 튜브 접속부는 플렉시블 튜브를 수용하기 위해 슬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상기 튜브 접속부는 슬리브 상에 접착 촉진제가 도포된 슬리브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촉진제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튜브 접속은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의 수용부에 튜브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플렉시블 PVC 튜브와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는 모두 서로에 결합시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첩 영역은 튜브 접속의 결합이 달성될 수 있는, 플렉시블 PVC 튜브와 슬리브 사이의 접촉 영역을 형성한다. 본 발명자들은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의 표면 상에 SBC로 제조된 접착 촉진 중합체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슬리브와 플렉시블 PVC 튜브 사이의 접착이 크게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롤러 펌프 작동기의 펌프 작동으로 인해 예컨대 펌프 튜브 섹션에 유도되는 기계적 충격에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강한 탄성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였다.
본 발명자는 상기 플렉시블 PVC 튜브와 튜브 부품이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 또는 PVC 플렉시블 튜브가 다소 작은 크기로 제조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 플렉시블 PVC 튜브를 상기 튜브 접속부의 슬래브 내외에 결합시 상기 튜브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힘이 인가되어야 한다. 이것은 플렉시블 PVC 튜브를 예비 장력하에 둠으로써 접착 조건 하에서 튜브 접속부와 플렉시블 PVC 튜브 사이에서 슬리브에 도포된 접착 촉진제인 SBC 측으로 더 가깝게 재료 접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는 돌출 립을 포함한다. 돌출 립은 플렉시블 튜브와 강성 접속부 사이의 중첩 영역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중첩 영역의 축방향은 절곡되지 않은 형태인 튜브 접속부 내로 삽입시 플렉시블 튜브의 종방향을 의미한다.
돌출 립 구조를 형성하는 슬리브 표면 상에 접착 촉진제를 도포할 시, 유지하는 기계적 유지점이 형성된다. 돌출 립은 삽입된 튜브 측으로 전개되는 접합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안정성의 증가는 유체 처리 카세트의 튜브 재료에 삽입시 튜브의 압입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삽입된 튜브의 예비 장력은 돌출 립에 도포된 접착 촉진제에 장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돌출 립과 도포된 접착 촉진제 사이의 기계적 간섭은 전체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는 추가적인 장력 체결 접속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출 립은 도브 테일 형태로 제공된다. 이것은 상기 립의 종방향 연장부에 수직인 횡단면 절단부가 도브 테일 형태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도브 테일 형태의 립과 접착 촉진제 사이의 기계적 상호 작용이 향상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브 테일 형태의 립을 가지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튜브 접속부 및 접착 촉진제 SBC 및 PVC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진 대응하는 튜브 접속은 탄성을 제공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와 접착 촉진 SBC 사이의 기계적 유지점은 바람직하게는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와 플렉시블 튜브 사이에 형성되는 중첩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슬리브의 외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포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리세스를 충전하고 기계적 유지점을 형성하여 튜브 접속부와 SBC 사이의 상호 작용을 향상시킴으로써 튜브 접속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SBC는 다양한 기술에 의해 슬리브 표면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BC는 2-성분 사출 성형 공정에서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를 오버몰딩하는 것에 의해 도포된다. 플라스틱 부품의 오버몰딩 공정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오버몰딩된 튜브 접속부를 준비한 후에, 플렉시블 PVC 튜브가 접속부 내로 삽입되어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와 플렉시블 PVC 튜브 사이에 중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오버몰딩은 상기 슬리브의 표면의 일부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일 실시예에서, SCB 도포는 오버몰딩에 의해 달성된다.
변형된 튜브 접속부와 플렉시블 PVC 튜브 사이의 접합은 접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접착이 플렉시블 PVC 튜브와 튜브 접속부를 SBC로 함께 결합하기 위한 바람직한 공정인 경우, 접착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메틸 에틸 케톤으로부터 얻어진 용매 혼합물은 "테트라메크(Tetramek)" 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접착에 의해 강력한 접합이 형성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접착은 제1 단계에서 접착 촉진제를 포함하는 튜브 시트에 상기 테트라메크 용매로 적시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튜브 단부를 약 5초 동안 동일한 용매에 침지한다. 다음에 튜브 단부 섹션을 튜브 시트 내외에 삽입한다. 튜브는 접착된 튜브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위치에 적어도 20초 동안 차폐된다.
다른 옵션은 플렉시블 PVC 튜브와 튜브 접속부 사이에 래핑된 부싱에 의해 접착 촉진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개재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로 하나 또는 양측의 외부면 영역을 변형시킨 플렉시블 PVC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 접속부와 접착 촉진 SBC의 기계적 상호 작용은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 상에 외부 칼라를 형성하는 SPC에 의해 향상된다. 외부 칼라는 SBC의 오버몰딩 공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는 접착 촉진제를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의 구조에 고정시키는 추가적인 기계적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접착 촉진제는 튜브 접속부의 일부에 전면 플랜지를 형성한다. 표면 플랜지는 삽입된 튜브의 단부 섹션에 대한 대향면을 형성한다. 플랜지는 튜브 접속부의 종방향의 수직 절단부, 특히 중첩 영역의 종방향에 수직인 수직 절단부와 평행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접착 촉진제는 SBC 중의 폴리스티렌 블록의 함량이 5 중량% 내지 35 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BC 중의 폴리스티렌 블록의 함량은 7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이 점에서 전체 SBC 중량의 5% 미만의 스티렌 블록 함량은 약한 튜브 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냈다. 반면에, 35% 이상의 스티렌 블록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접속의 제조에 문제가 있는 것을 나타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전체 스티렌 함량, 즉 폴리스티렌 블록에 존재하는 스티렌 및 부타디엔 블록에 랜덤 코-모노머로서 존재하는 스티렌이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와 플렉시블 튜브 사이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점에서, 바람직한 전체 스티렌 함량은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의 범위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일 실시예에서, 접착 촉진 SBC를 통한 플렉시블 PVC 배관과 같은 배관과 튜브 접속부 사이의 양호한 접착 결합을 중재하는 것이 목적이며, 한쪽은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의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에, 다른 한쪽은 플렉시블 튜브에 밀착 결합될 수 있는 SBC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적절한 경도를 제공함으로써,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 및 플렉시블 PVC 튜브의 표면 거칠기를 보상함으로써, 개재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인접하게 배치된 튜브와 밀착되게 표면 접촉된다.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와 접착 촉진제의 밀착된 표면 접촉은 접합 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관련하여, 쇼어 경도 A-80~90인 쇼어 경도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표준 ISO 868에 따라 측정됨).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의 튜브 접속부에 대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유리한 상호 작용 경향을 찾기 위해 접착 촉진제, 즉 SBC의 유동 특성 및 극성 특성을 적합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또한 밝혀졌다. 유동 특성 및 극성 특성은 모두 접착 촉진제로 사용되는 중합체 체인의 화학적 이질성 및 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동 특성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체인 스티프 폴리스티렌 블록을 통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체인의 극성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플렉시블 폴리부타디엔 블록에 혼입된 임의로 분포된 스티렌 반복 유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들 2가지 영향을 결합하려면, 폴리스티렌 블록 및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랜덤 공중합체의 블록으로 구성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제가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적어도 2개의 폴리스티렌 블록 및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갖는 중합체 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전술한 중합체 구조 및 화학물로 제조된 중합체 재료는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로 상 분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중합체 재료의 마이크로 또는 나노 구조는 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및 유동 특성을 담당한다. 열 살균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고온에서도 이러한 특성을 유지하려면, 그 마이크로 또는 나노 구조가 121℃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고압 가열 살균 온도에서도 내성이 있는 접착 촉진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일 실시예에서, 튜브 접속부는 140℃ 이상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특징으로 한다.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는 유동 측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단 탄성 계수(G')가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는 온도(Kim et al.; Macromolecules 1998, 31, 4045, standard ISO 6721)로서 정의된다.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의 최대 하한이 중합체의 열분해 공정에 의해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사용된 SBC에 대하여, 220℃가 넘는 온도의 열 안정성은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이점도 제공하지 않는다.
상기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플렉시블 튜브와 함께 튜브 접속부를 형성하도록 암형부 또는 수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리브는 튜브 접속의 탄성이 보다 높기 때문에 암형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 접속은 플렉시블 튜브, 예컨대, 플렉시블 PVC 튜브를 성형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의 튜브 접속부에 도포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재료가 튜브의 외부면과 접촉된다.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가 암형 접속부로서 형성되는 경우에 보다 높은 결합 강도를 갖는 튜브 접속이 달성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 수단에 의해 중첩 표면적은 튜브 접속부가 수형 부재를 형성하는 튜브 접속의 경우보다 크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일 실시예에서, 튜브 접속부는 폴리프로필렌(PP) 중합체 재료로 제조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튜브 접속부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PPE)의 공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가 의료용 일회용품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바람직한 재료이다. 폴리프로필렌 재료는 반투명한 데, 이는 혈액 성분의 응고 또는 염분의 석출과 같은 처리 유체의 주요한 불균일성이 시각적으로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용 유체의 처리에서 중요한 특성이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재료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제에 우수한 상용성을 제공함으로써 PP 재료 또는 PPE 공중합체 재료는 여기에 추가로 기재된 오버몰딩 공정을 위한 양호한 개시 재료임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튜브 접속부는 견고하게 제조된다. 튜브 접속이 견고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 튜브 접속은 기계적 수단에 의해 기계 부품에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기계 작동이 튜브 접속의 플렉시블 튜브 또는 단단한 튜브 접속부에 간섭하려는 경우에 중요한 특징이 된다. 예를 들어, 롤러 펌프의 로터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접속의 일부인 펌프 튜브 섹션에 작용할 수 있다.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접속부 및 PVC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참조한다. 여기에 언급된 튜브 접속은 튜브 접속부의 수용부에 튜브를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플렉시블 PVC 튜브와 튜브 접속부는 모두 서로에 결합시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첩 영역은 튜브 접속의 결합이 달성될 수 있는, 플렉시블 PVC 튜브와 튜브 접속부 사이의 접촉 영역을 형성한다. 본 발명자들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로 제조된 접착 촉진 중합체를 개지하는 것에 의해 튜브 접속부의 플렉시블 PVC 튜브 사이의 접착이 크게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롤러 펌프 작동기의 펌프 작동으로 인해 펌프 튜브 섹션에 유도되는 매우 큰 기계적 충격에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강한 탄성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일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PVC 튜브는 가소화된 재료로 형성된다. PVC용으로 사용된 가소제 열 중에서, 트리멜리트산, 테레프탈산 또는 프탈산의 알킬 에스테르가 접착 촉진제인 폴리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우수한 상용성 및 PVC 혈액 배관에서의 그것의 혈액 적합성 때문에 바람직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적절한 가소제 재료의 선택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접속의 형성에 결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몇몇 다른 가소제는 튜브 접속을 불안정화시켰다. PVC 가소제는 SBC를 용해시켜서 튜브 접속의 중첩 영역에서의 접착력을 감소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옥틸 에스테르, 테레프탈산의 디옥틸 에스테르, 프탈산의 디옥틸 에스테르는 바람직한 접착 성능을 제공함이 확인되었다. 바람직한 가소화제 중 하나는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특히 트리스(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이다.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튜브 접속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포함하고 치료액을 처리하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 처리 카세트는 복수의 튜브 접속부를 포함한다. 오버몰딩된 튜브 접속부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2개의 강성 접속부에 중합체 용융물 스트림을 고르게 분배하기 위한 하나의 도관으로 적어도 2개의 튜브 접속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에 의해 단순화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의 복잡한 구조와 관련하여, 필요한 중합체 용융물 주입 포트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 접속부와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은 일체형 유닛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 및 튜브 접속부가 하나의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제조상의 장점에서 이익을 얻는다. 또한, 연속 사출 성형 단계에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제의 오버몰드가 튜브 접속부에 도포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체형"이란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 및 튜브 접속부가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의 기능적 목적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은 폴리프로필렌(PP) 중합체로 제조되고, 대안적으로, 카세트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PPE)으로 된 공중합체로 제조된다.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이 의료용 일회용품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바람직한 재료이다. 폴리프로필렌 재료는 반투명한 데, 이는 혈액 성분의 응고 또는 염분의 석출과 같은 처리 유체의 주요한 불균일성이 시각적으로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용 유체의 처리에서 중요한 특성이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재료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제에 우수한 상용성을 제공함으로써 PP 재료 또는 PPE 공중합체 재료는 여기에 추가로 기재된 오버몰딩 공정을 위한 양호한 개시 재료임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은 암형 접속부를 형성하는 튜브 접속부를 포함한다. 성형된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에 플렉시블 튜브인 플렉시블 PVC 튜브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튜브 접속부를 형성할 수 있다.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의 튜브 접속부에 도포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재료는 튜브의 외부면에 접근 가능하다.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 상의 강성의 접속부가 암형 접속부로서 형성되는 경우 더 높은 접합 강도를 갖는 튜브 접속이 달성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 수단에 의해 중첩 표면적은 튜브 접속부가 수형 부재를 형성하는 튜브 접속의 경우보다 크다.
제4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폴리비닐 염화물로 된 재료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 재료를 포함하는 중첩된 재료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튜브에 관한 것으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로 된 중첩된 재료는 튜브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한다. 적어도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플렉시블 PVC 튜브의 단부 상에 중첩되어, 튜브와 대응하는 접속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접착 촉진제가 대응하는 접속부와 플렉시블 PVC 튜브의 중첩 영역에 개재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특정 실시예에서, 폴리비닐 염화물로 된 재료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튜브는 PVC 및 가소제로 제조된 튜브이다. 이 점에서 "폴리비닐 염화물로 된 재료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튜브"라는 용어는 "플렉시블 PVC 튜브"라는 용어도 역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로 된 재료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제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일 실시예에서, 중첩된 접착 촉진 재료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외부면에 도포된다. 이것은 상기 플렉시블 PVC 튜브와의 튜브 접속을 위해 암형의 보완 접속부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일 실시예에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첩된 접착 촉진 재료는 적어도 접착 촉진 재료가 도포된 영역과 튜브가 이러한 튜브 접속부에 삽입될 때 적어도 튜브 접속부와의 중첩이 예상되는 영역에서 튜브의 외부면을 완전히 피복하는 연속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속적으로 중첩된 접착 촉진 재료는 다층 튜브의 동시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주 튜브 층이 PVC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층이 SBC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공압출에 의해, 공압출된 튜브는 PVC 용융물 및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용융물인 2개의 중합체 용융물로부터 얻어진다. 2개의 용융물은 압출 노즐을 통해 압출되어 2개의 층의 튜브를 형성한다. PVC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모두가 용융 상태에서 접촉됨에 따라 PVC 튜브 층과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층 사이의 접착은 현저히 높다.
SBC는 다른 기술에 의해 플렉시블 PVC 튜브 표면에 도포될 수도 있다. 다른 기술은 스티렌 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부싱을 플렉시블 PVC 튜브의 외부면에 중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딥 코팅에 의해 플렉시블 PVB 튜브 외부면에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PVC 튜브는 가소화된 재료로 제조된다. 당업계의 PVC에 사용된 가소제 열 중에, 트리멜리트산, 테레프탈산 또는 프탈산의 알킬 에스테르가 접착 촉진제인 폴리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우수한 상용성 및 PVC 혈액 배관에서의 그것의 혈액 적합성 때문에 바람직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적절한 가소제 재료의 선택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접속의 형성에 결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몇몇 다른 가소제는 튜브 접속을 불안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PVC 가소제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용해시켜서 튜브 접속의 중첩 영역에서의 접착력을 감소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서, 의료용 튜브의 요건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튜브 접속의 강도에 해가 되지 않는 PVC 재료를 발견하는 것이 목적이다.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옥틸 에스테르, 테레프탈산의 디옥틸 에스테르, 프탈산의 디옥틸 에스테르는 바람직한 접착 성능을 제공함이 확인되었다. 바람직한 가소화제 중 하나는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특히 트리스(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이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PVC 배관과 PP로 제조된 튜브 접속부일 수 있는 튜브 접속부 사이에 양호한 접착 결합을 중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보적 튜브 접속부에 밀착 결합될 수 있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중첩된 플렉시블 PVC 튜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절한 경도를 갖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특히 튜브 접속부의 표면에 존재하는 표면 거칠기는 개재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인접한 접속부와 밀착 접촉되도록 보상될 수 있다. 중첩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경도는 접착 공정 후에 얻어지는 접합 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쇼어 A=80~90의 쇼어 경도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표준 ISO 868에 따라 측정).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OVC 튜브의 표면에 중첩된 접착 촉진제, 즉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유동 특성 및 극성 특성을 적합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유동 특성 및 극성 특성은 모두 접착 촉진제로 사용되는 중합체 체인의 화학적 이질성 및 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유동 특성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체인 스티프 폴리스티렌 블록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체인의 극성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플렉시블 폴리부타디엔 블록에 혼입된 임의로 분포된 스티렌 반복 유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들 2가지 영향을 결합하려면, 폴리스티렌 블록 및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랜덤 공중합체의 블록으로 구성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제가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적어도 2개의 폴리스티렌 블록 및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갖는 중합체 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접착 촉진제는 SBC 중의 폴리스티렌 블록의 함량이 5 중량% 내지 35 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SBC 중의 폴리스티렌 블록의 함량은 7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이 점에서 전체 SBC 중량의 5% 미만의 스티렌 블록 함량은 약한 튜브 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냈다. 반면에, 35% 이상의 스티렌 블록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접속의 제조에 문제가 있는 것을 나타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전체 스티렌 함량, 즉 폴리스티렌 블록에 존재하는 스티렌 및 부타디엔 블록에 랜덤 코-모노머로서 존재하는 스티렌이 튜브 접속부의 슬리브와 플렉시블 튜브 사이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점에서, 바람직한 전체 스티렌 함량은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의 범위인 것으로 밝혀졌다.
전술한 중합체 구조 및 화학물로 제조된 중합체 재료는 나노 크기로 상 분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중합체 재료의 마이크로 또는 나노 구조는 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및 유동 특성을 담당한다. 열 살균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고온에서도 이러한 특성을 유지하려면, 그 마이크로 또는 나노 구조가 121℃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고압 가열 살균 온도에서도 내성이 있는 접착 촉진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140℃ 이상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특징으로 한다.
제5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튜브 접속부 및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하고 치료액 또는 체액을 처리하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과 상기 플렉시블 PVC 튜브 사이의 튜브 접속은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 및 플렉시블 PVC 튜브 상에 배치된 튜브 접속부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튜브 접속부는 임의의 튜브 접속부일 수 있고 상기 플렉시블 PVC 튜브는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이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튜브 접속은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 상에 배치된 튜브 접속부 및 PVC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통해 형성되며, 여기서 튜브 접속부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이고, 플렉시블 PVC 튜브는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이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튜브 접속은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 상에 배치된 튜브 접속부 및 PVC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통해 형성되며, 튜브 접속부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이고, 플렉시블 PVC 튜브는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이고,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은 제3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이다.
도면 및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도 1~4 및 그 대응하는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의해 주어진 특징에 의해 완전히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도면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2, 제3 또는 제5 양태에 따른 튜브 접속부(1)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도면은 튜브 접속부의 종방향에 평행한 평면 절단에 따른 암형 튜브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튜브 접속부는 슬리브와 튜브 단부 섹션 사이의 중첩 영역을 나타내는 튜브 시트(4) 내의 튜브 단부 섹션을 수용하도록 된 슬리브의 내부 공동을 형성하는 강성 측벽(2)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튜브 접속부의 재료는 도 1a에 제시된 적절한 형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재료이다.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재료는 PP이며, 바람직하게 PP는 전자빔 멸균 공정에 내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이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은 LyondellBasell에 의해 상표명 Purell HP371P로 판매된다.
도 1a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튜브 시트는 SBC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제에 의해 형성된 층(3)에 의해 추가로 형성된다. 도 1a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촉진제는 오버몰딩 공정에 의해 도포되어 튜브 접속부의 공동을 충전하고 중첩 영역에 튜브 시트(4)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PP 재료로 제조된 튜브 접속부의 오버몰딩은 2-성분 사출 성형의 두개의 연속적인 단계 중의 제2 단계에서 수행된다. 제1 위치에서, PP로 제조된 튜브 접속부는 성형 공구의 성형 공동 내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런 다음 성형 공구가 개방된다. 내부 판이 회전하여 튜브 접속부(판 내부에서 차단됨)를 제2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후 성형 공구가 다시 폐쇄되고 제2 위치의 튜브 시트 핀이 튜브 접속부 내로 들어간다. 그 다음에, 접착 촉진제가 제2 위치에서 리세스(5)를 통해 사출된다. 그런 다음 성형 공구가 다시 개방되고 튜브 접속부가 제거된다. 도 1의 튜브 접속부는 상기 튜브 접속부의 강성 측벽의 원주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외부 칼라(7)를 더 특징으로 한다. 이 외부 칼라는 주입된 접착 촉진제를 제위치에 유지시키며 추가적인 기계적 강도를 담당한다. 한편으로는 주입구 역할을 하는 개구(5)에 의해 추가적인 지지가 제공된다. 한편, 개구(5)는 주입된 접착 촉진제에 대한 유지점으로서 작용한다. 접착 촉진 재료를 위한 바람직한 재료는 INEOS Styrolution에 의해 상표명 Styroflex 2G66으로 시판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또는 제5 양태에 따른 대안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b는 도 1a와 유사하게 튜브 접속부의 종방향에 평행한 평면 절단에 따른 암형 튜브 접속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튜브 접속부는 튜브 삽입시 펌프 튜브 섹션의 도관과 함께 하나의 연통 도관을 형성하도록 도관부(26)와 연결되는 펌프 튜브 단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1b의 튜브 접속부(21)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Purell HP371 P로 제조된 PP 재료로 된 슬리브의 내부 공동을 한정하는 강성 측벽(22)을 포함한다. 도 1b의 튜브 접속부는 슬리브와 튜브 단부 섹션 사이에 중첩 영역(24)을 제공하는 튜브 시트에 튜브 단부 섹션을 수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Styroflex 2G66을 포함하는 접착 촉진제로 제조된 오버몰딩(23)을 포함한다. 접착 촉진제는 오버몰딩 공정에서 리세스(25)를 통해 사출될 수 있다. 튜브 접속부는 상기 튜브 접속부의 강성 측벽의 원주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외부 칼라(27)를 특징으로 한다. 이 외부 칼라는 사출된 접착 촉진제를 제위치에 유지시키며 추가적인 기계적 강도를 담당한다. 한편으로는 주입구 역할을 하는 리세스(25)에 의해 추가적인 지지가 제공된다. 한편, 개구(5)는 사출된 접착 촉진제에 대한 유지점으로서 작용한다. 도 1b의 튜브 접속부는 상기 튜브 접속부의 종방향을 따라 도시된 절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전면 플랜지(28)를 특징으로 한다. 튜브 단부 섹션의 삽입에 의해 상기 플랜지는 상기 튜브의 단부면에 접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또는 제5 양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튜브 접속부 및 그 내부에 삽입된 튜브를 포함하는 그 길이 방향에 수직인 튜브 접속(101)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면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촉진 재료의 연속층(106)에 의해 둘러싸인 삽입 튜브(102)의 원형 단면을 보여준다. 튜브 접속부(103)의 측벽은 소정 형태의 립(105)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평면 절단부에서, 측벽(103)은 연속적인 주위 벽을 형성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은 튜브 시트 위치(104)에 접착 촉진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주입 포트 또는 고정 리세스 포인트로서 작용할 수 있는 개구(107)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5 양태에 따른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201)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표현의 일 측면 투영도를 예시한다.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은 복수의 유체 처리 사이트를 수용하는 기능 유닛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은 복수의 튜브 접속부(202~202i)를 포함한다. 알 수 있은 바와 같이, 강성 접속부 및 카세트 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공정, 특히 2-성분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일체형 유닛을 형성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튜브 접속부는 전술한 특징, 즉 고정 리세스(203) 및 외부 링(20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체 처리 카세트는 2개의 튜브 접속부 사이에서 연장되거나 이들을 결합시키는 슬릿(205~205c)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슬릿은 접착 촉진제의 중합체 용융물의 주입 및 2개의 튜브 접속부 사이의 주입 용융물의 분배에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착 촉진제를 성형 공구의 튜브 시트 영역 내로 주입하는 데 필요한 주입 노즐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302)을 포함하고, 튜브(304)와 튜브 접속부(309)로 이루어진 접속부(303)와 같은 복수의 튜브 접속을 더 포함하고, 플렉시블 튜브(304, 304a, 305, 305a, 306, 306a, 307, 308)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3, 제4 및 제5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조립체(301)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4는 상기 조립체의 개략적인 표현의 일 측면의 투영도를 예시한다. 조립체는 투석 치료의 체외 혈액 치료를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은 혈액 투석 치료 세션 중의 혈액 처리를 위한 것이다. 상기 조립체는 혈액 처리 세션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다수의 상이한 튜브를 구비한 것을 더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튜브는 구체적으로 연동 펌프 동작에 의해 유체의 스트림을 유지하기 위한 펌프 튜브 루프(304, 304a), 제시된 실시예에서 혈액일 수 있는 체액의 전달을 위한 시스템 튜브(305, 305a, 306, 306a), 체외 혈액 회로에 항응고제를 투여하기 위한 헤파린 튜브(307) 및 정맥 주입 튜브(308)이다.

Claims (15)

  1.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수용하도록 된 튜브 접속부로서, 상기 튜브 접속부는 해당 튜브 접속부와 상기 튜브 사이에 중첩 영역을 형성하도록 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 촉진제가 도포되는 튜브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접착 촉진제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속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 축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첩 영역의 일부 또는 전체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속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립은 도브 테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속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 외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속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촉진제는 상기 슬리브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오버몰딩으로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속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촉진제는 상기 튜브 접속부의 상기 슬리브 상에 외부 칼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속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촉진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튜브의 단부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면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속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총 스티렌 함량은 2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속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140℃ 이상 220℃ 이하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를 나타내거나, 80~90의 범위의 쇼어 A 경도를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 및 쇼어 A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속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암형 또는 수형의 접속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속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강성이거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거나, 바람직하게는 강성이면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거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속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항에 따른 튜브 접속부 및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 접속부의 상기 슬리브의 중첩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접착 촉진 재료를 통해 상기 튜브 접속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는 폴리비닐 염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폴리비닐 염화물은 트리멜리트산의 알킬 에스테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가소제는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튜브 접속부 또는 제12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액 또는 체액을 처리하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처리 카셋트 모듈은 복수의 튜브 접속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튜브 접속부는 중합체 용융물 스트림을 적어도 2개의 강성 접속부에 동시에 분배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의해 상호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카세트 모듈.
KR1020187036919A 2016-05-20 2017-05-19 튜브 접속 KR102375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001168.0A EP3246052A1 (en) 2016-05-20 2016-05-20 Tube connection
EP16001168.0 2016-05-20
PCT/EP2017/062114 WO2017198822A1 (en) 2016-05-20 2017-05-19 Tube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362A true KR20190009362A (ko) 2019-01-28
KR102375659B1 KR102375659B1 (ko) 2022-03-16

Family

ID=5608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919A KR102375659B1 (ko) 2016-05-20 2017-05-19 튜브 접속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577007B2 (ko)
EP (2) EP3246052A1 (ko)
JP (1) JP7068193B2 (ko)
KR (1) KR102375659B1 (ko)
CN (1) CN109562205A (ko)
AU (1) AU2017267282B2 (ko)
BR (1) BR112018073618B1 (ko)
CA (1) CA3024366A1 (ko)
EA (1) EA039270B1 (ko)
ES (1) ES2950351T3 (ko)
PL (1) PL3458122T3 (ko)
WO (1) WO201719882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0442A (ja) * 2002-09-20 2006-01-05 バクスタ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似ていない材料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器部材
JP2006130144A (ja) * 2004-11-08 2006-05-25 Nipro Corp 医療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524563A (ja) * 2009-04-23 2012-10-18 フレゼニウス メディカル ケア ドイッチェランド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外部機能手段、本発明に係る外部機能手段を受けるための血液処理機器、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6333A (en) * 1977-03-10 1981-03-17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Solvent-bonded joint
US4417753A (en) 1981-05-21 1983-11-29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materials
EP0085703A1 (en) * 1981-08-17 1983-08-17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Connection of polyvinyl chloride to essentially polyolefin materials
JPS58206752A (ja) * 1982-05-28 1983-12-02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器具の接合構造
US5536258A (en) 1994-02-14 1996-07-16 Fresenius Usa, Inc. Antibacterial medical tubing connector
US6303200B1 (en) * 1998-01-27 2001-10-16 Baxter International Inc. Low modulus and autoclavable monolayer medical tubing
MXPA04011616A (es) 2002-05-24 2005-03-31 Baxter Healtchare S A SISTEMAS DE HARDWARE, METODOS Y APARATOS PARA UNA MAQUINA DE DIáLISIS AUTOMáTICA.
US20040155457A1 (en) * 2003-02-12 2004-08-12 Maersk Medical A/S Connecting element comprising a first body and a method for injection moulding a connecting element
JP2005218649A (ja) * 2004-02-05 2005-08-18 Terumo Corp 医療用コネクター及び医療器
DE102005024621A1 (de) 2005-05-30 2006-12-14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festen Verbindung eines Schlauches mit einem Hartteil und mit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Verbindung
KR20090005320A (ko) * 2006-04-06 2009-01-13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의료용 튜브
DE102006023301A1 (de) 2006-05-18 2008-02-28 Raumedic Ag Medizinisches Arbeitsmittel, medizinische Baugruppe mit einem derartigen Arbeitsmittel sowie Verwendung eines derartigen medizinischen Arbeitsmittels
US8092409B2 (en) * 2007-05-18 2012-01-10 Tyco Healthcare Group Lp Reinforced connector
US20090051160A1 (en) * 2007-08-20 2009-02-26 Atrion Medical Products, Inc. Bonding socket for high pressure medical hose
JP5212541B2 (ja) 2009-04-23 2013-06-1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コネクタ構造
JP5713212B2 (ja) 2009-04-23 2015-05-07 フレゼニウス メディカル ケア ドイッチェランド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凝血塊捕捉器、外部機能手段、血液回路、および処理装置
JP5632226B2 (ja) * 2010-07-30 2014-11-26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用多層チューブ、および医療用輸液バッグ
US9901725B2 (en) * 2012-10-01 2018-02-27 Bayer Healthcare Llc Overmolded medical connector tubing and method
US10894117B2 (en) 2014-04-07 2021-01-19 Kyoraku Co., Ltd. Hollow molded article
US20150345674A1 (en) * 2014-06-02 2015-12-03 Eldon James Corp. Connector Having A Tubular Inner Surface Barb
US10668257B2 (en) 2014-10-16 2020-06-02 W. L. Gore & Associates, Inc. Blow molded composite devices and methods
US10238854B2 (en) * 2015-03-12 2019-03-26 Teknor Apex Company Methods for forming a tube assembly utilizing a joining agent
US10550966B2 (en) * 2015-04-17 2020-02-04 Meissner Filtration Products, Inc. Modular molding
CN113230532B (zh) * 2015-04-17 2023-01-03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无菌端口连接件
EP3421062A3 (en) * 2017-06-30 2019-03-06 Fenwal, Inc. Fluid circuit having reduced plasticizer migration
EP3743648A4 (en) * 2018-01-24 2021-08-25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LIQUID LINE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0442A (ja) * 2002-09-20 2006-01-05 バクスタ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似ていない材料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器部材
JP2006130144A (ja) * 2004-11-08 2006-05-25 Nipro Corp 医療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524563A (ja) * 2009-04-23 2012-10-18 フレゼニウス メディカル ケア ドイッチェランド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外部機能手段、本発明に係る外部機能手段を受けるための血液処理機器、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8822A1 (en) 2017-11-23
EP3458122B1 (en) 2023-05-03
BR112018073618B1 (pt) 2022-06-28
ES2950351T3 (es) 2023-10-09
US11577007B2 (en) 2023-02-14
EA201892673A1 (ru) 2019-04-30
US20200306416A1 (en) 2020-10-01
JP7068193B2 (ja) 2022-05-16
KR102375659B1 (ko) 2022-03-16
JP2019518525A (ja) 2019-07-04
BR112018073618A2 (pt) 2019-02-26
EP3246052A1 (en) 2017-11-22
PL3458122T3 (pl) 2023-12-04
AU2017267282A1 (en) 2018-11-22
AU2017267282B2 (en) 2021-09-09
EP3458122A1 (en) 2019-03-27
CA3024366A1 (en) 2017-11-23
CN109562205A (zh) 2019-04-02
EA039270B1 (ru)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773B1 (ko) 의료용비-pvc다층튜브와그제조공정및사용
FI78611C (fi) Uppbevaringspaose.
US4516977A (en) Storage bag
KR102087871B1 (ko) 부분적으로 슬릿된 삽입 보조기를 갖는 카테터
FI102246B (fi) Pakkausyksiköt lääketieteellistä käyttöä varten
US472402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c-shaped rubber articles, such as injection sites
US10716927B2 (en) Extrudable tubing for delivery of medicinal fluids
EP3458121B1 (en) Flexible medical tube
KR102375659B1 (ko) 튜브 접속
EP1485141B1 (en) Extracorporeal circuit with tube for medical applications
KR970006085B1 (ko) 액체수납용 용기 및 그 연결체
CA1205783A (en) Storage bag
AU2018314212A1 (en) Spike port for medical solution bag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SI8410280A8 (sl) Vrečka za shranjevanje tekočin
JPH0459339A (ja) ポリオレフィンチューブの接続方法
JPH10216225A (ja) 腹膜透析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