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461A -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ssr 마커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ssr 마커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461A
KR20190008461A KR1020170089045A KR20170089045A KR20190008461A KR 20190008461 A KR20190008461 A KR 20190008461A KR 1020170089045 A KR1020170089045 A KR 1020170089045A KR 20170089045 A KR20170089045 A KR 20170089045A KR 20190008461 A KR20190008461 A KR 20190008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jo
mushroom
present
pcr
primer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591B1 (ko
Inventor
고한규
권혁우
이원호
노종현
Original Assignee
산림조합중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림조합중앙회 filed Critical 산림조합중앙회
Priority to KR102017008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5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표고버섯 품종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및 참아람을 포함하는 표고버섯 품종을 판별할 수 있는 SSR 마커,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표고버섯 품종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표고버섯 18개 품종을 신속, 정확하고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국내 표고버섯 품종을 보호하고 국내 표고버섯 품종의 불법 유통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SSR 마커 및 이의 용도{SSR Markers for Cultivar Discrimination of Oak mushroom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SSR 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표고버섯 품종을 신속, 정확하고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는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SSR 마커,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표고버섯 품종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고버섯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북아시아 전역에서 오랫동안 식용되어 온 버섯이다. 예부터 "1. 능이, 2. 표고, 3. 송이”라고 구전되어 오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표고버섯은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매우 대중적인 버섯이다. 표고버섯은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대만에서 대부분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 동남아시아를 비롯하여 미국 등 서구에서도 영양가와 약용적 가치가 인정되면서 재배가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수출시장도 아시아 지역에서 구미 각국으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표고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에서는 초창기 야생 표고버섯을 분리 배양하여 육성된 품종을 1957년부터 1963년까지 지역별로 공급하였다. 이후 다양한 육종방법을 이용한 지속적인 품종개발 육성시험을 통하여 저온성·중온성·고온성 계통으로 구분하여 공급하였고,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산림버섯 유전자원 수집 및 평가, 우량품종 육성, 재배기술 정립에 주력하여 끊임없는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2008년 이후 UPOV에 의한 식물신품종보호제도가 표고에도 적용됨에 따라 우량품종의 확보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재배농가가 외국 품종을 사용할 경우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우량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집중투자와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버섯산업은 1990년대 후반 급속하게 증가하였고, 양송이, 느타리버섯, 표고, 목이, 팽이버섯류가 전 세계 버섯 생산의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표고는 약 17%를 차지하고 있다. 표고는 지리적으로 한국, 중국, 일본,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 등 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를 잇는 지역과 서쪽으로는 부탄, 네팔, 인도의 히말라야 지역까지 분포되고 있고,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식용버섯이다. 표고버섯은 2014년 국내 임산버섯 생산량의 약 91%, 약 1,858억 원을 차지하고 있고, 그 독특한 맛과 향기 때문에 동서양의 요리 재료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항종양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등 의학적 가치가 입증되고 있다. 국내의 표고버섯의 생산량과 생산액은 그동안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2015년 산림청 임산물 생산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건표고 생산량은 1,120톤, 생표고 생산량은 22,697톤으로 생산액은 약 2,227억 원이며, 이는 우리나라 식용버섯 생산액 중 국내 최고를 기록하였다.
현재 한중 FTA의 영향으로 중국산 표고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고, 표고의 생산량보다 소비량이 많은 일본에서 중국산 표고보다 한국산을 선호하고 있어, 동북아 3국의 표고버섯 시장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직접적인 버섯의 수출입 이외에 품종의 수출도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2010년 10월 제 10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를 통해 나고야 의정서가 채택됨에 따라 각국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유전자원에 대한 보호를 강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국내의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에 품종보호출원 및 등록된 표고버섯 품종은 53개이고 이중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에서 출원한 품종은 총 24개로 약 45%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보급되고 있는 표고버섯 품종 중 산림버섯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품종을 SSR 마커로 구분하는 것은 우리나라 표고버섯 유전자원을 보호하는 한편 수입품종과의 구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한편, 해외로 건표고나 생표고로 수출될 때에도 국산품종임을 입증할 수 있는 구별 방법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3010호에 라카아제 SNP 마커를 이용하여 표고버섯의 계통을 구별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표고버섯의 게놈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표고버섯 품종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및 참아람을 판별할 수 있는 SSR 마커 서열을 확인하였다. 상기 마커 서열을 이용하면 상기 18개의 품종을 4개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신속, 정확하고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고버섯 품종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및 참아람을 판별할 수 있는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고버섯 판별용 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고버섯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열번호 1 및 2의 제1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4의 제2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6의 제3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7 및 8의 제4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고버섯 품종은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및 참아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표고버섯 품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상기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실시하는 단계; 및 (c) PCR 증폭 산물의 크기를 분석하여 표고버섯의 품종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고버섯 품종 판별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표고버섯 품종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및 참아람을 포함하는 18개의 표고버섯 품종을 4개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신속, 정확하고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개발한 국내 표고버섯 품종을 보호하고 국내 표고버섯 품종의 불법 유통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PCR 방법으로 표고버섯 18개의 품종을 판별할 수 있는 SSR 마커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r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표고버섯 18개의 품종의 단편 분석을 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2a) RL-LE-017 산조111호 (211bp→212bp), (2b) RL-LE-017 산조501호 (216bp→216bp), (2c) RL-LE-017 산조706호 (201bp→200bp), (2d) RL-LE-017 산조708호 (179bp→180bp), (2e) RL-LE-045 산조108호 (170/178bp→170/178bp), (2f) RL-LE-045 산조109호 (169bp→170bp), (2g) RL-LE-045 산조704호 (172bp→172bp), (2h) RL-LE-045 산조710호 (170/178bp→170/178bp), (2i) RL-LE-051 산조102호 (178bp→179bp), (2j) RL-LE-051 산조103호 (177/199bp→177/199bp), (2k) RL-LE-051 산조301호 (178/195bp→179/195bp), (2l) RL-LE-051 산조707호 (154bp→155bp), (2m) RL-LE-051 산조709호 (154/178bp→155/179bp), (2n) RL-LE-059 산조101호 (198/206bp→198/206bp), (2o) RL-LE-059 산조110호 (198/206bp→198/206bp), (2p) RL-LE-059 산조702호 (201bp→202bp), (2q) RL-LE-059 산조705호 (196bp→196bp), (2r) RL-LE-059 참아람 (198/206bp→198/206bp)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열번호 1 및 2의 제1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4의 제2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6의 제3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7 및 8의 제4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표고버섯의 게놈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표고버섯 품종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및 참아람을 판별할 수 있는 SSR 마커 서열을 확인하였다(도 1).
상기 SSR(Simple Sequence Repeat)과 같은 분자 마커는 대립인자 특이적이고 공우성이다. 상기 분자 마커는 대립인자 다형성이 유의하게 잘 나타나므로 유전적 다양성 연구 및 생물체들 간의 연관성 연구에 매우 유용하다 (Ishii et al. 2001, Genenome 44: 658~666).
본 발명에 있어, 상기 SSR 마커는 도 1에 기재된 RL-LE-017 RL-LE-017, RL-LE-045, RL-LE-051, 및 RL-LE-05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SSR 마커 서열을 이용하여 상기 18개의 품종을 판별하는 상기 SSR 마커 증폭용 4개의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료로부터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및 참아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표고버섯 품종을 신속, 정확하고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키트는 PCR 반응에 필요한 당업계에 공지된 여러 성분을 포함하는 PCR 반응 혼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키트는 선택적으로 PCR 증폭에 필요한 시약, 예컨대, 완충액, DNA 중합효소(예컨대, Thermus aquaticus (Taq), Thermus thermophilus (Tth), Thermus filiformis, Thermis flavus, Thermococcus literalis 또는 Pyrococcus furiosus(Pfu)로부터 수득한 열 안정성 DNA 중합효소), DNA 중합 효소 조인자 및 dNTPs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키트는 상기한 시약 성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별도 패키징 또는 컴파트먼트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상기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실시하는 단계; 및 (c) PCR 증폭 산물의 크기를 분석하여 표고버섯의 품종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고버섯 품종 판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에서 DNA의 추출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페놀/클로로포름 추출법, SDS 추출법(Tai et al., Plant Mol. Biol. Reporter, 8:297-303, 1990), CTAB 분리법(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Murray et al., Nuc. Res., 4321-4325, 1980) 또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D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고버섯 품종 판별을 위해 DNA를 추출하는 시료는 표고버섯 배지, 표고버섯 종균, 표고버섯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PCR은 PCR 반응에 필요한 당업계에 공지된 여러 성분을 포함하는 PCR 반응 혼합액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PCR 반응 혼합액에는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에서 추출된 DNA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프라이머 세트 이외에 적당량의 DNA 중합효소, dNTP, PCR 완충용액 및 물(dH2O)을 포함한다. 상기 PCR 완충용액은 트리스-HCl(Tris-HCl), MgCl2, KCl 등을 포함한다. 이 때 MgCl2 농도는 증폭의 특이성과 수량에 크게 영향을 주며, 바람직하게는 1.5-2.5 mM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g2+가 과량인 경우는 비특이적인 PCR 증폭산물이 증가하고, Mg2+가 부족한 경우 PCR 산물의 산출율이 감소한다. 상기 PCR 완충용액에는 적당량의 트리톤 X-100(Triton X-100)이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PCR 조건은 90 내지 97℃, 2 내지 7분간 반응하고 다시 90 내지 97℃에서 20초 내지 1분, 56 내지 60℃에서 20초 내지 1분, 72℃ 20초 내지 1분으로 30 내지 40 사이클로 증폭하고 72℃ 20분간 추가로 반응시켜 실시할 수 있으나,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c) 단계의 PCR 증폭 산물의 DNA를 크기별 분석은 당업계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가로스 겔(agarose gel)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또는 형광분석장치(ABI prism 3100 genetic analyzer-electropherogram)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형광분석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당업계에 공지된 형광 다이(dye)를 붙인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PCR 단계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및 2의 제1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4의 제2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6의 제3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7 및 8의 제4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표고버섯 품종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및 참아람에 대해 PCR 증폭을 실시할 경우, 증폭된 PCR 산물의 크기는 표 2와 같다.
각 프라이머 세트로부터 증폭된 PCR 산물의 크기를 분석하여 표고버섯의 품종을 판별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표고버섯 품종 판별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제작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표고버섯 품종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및 참아람을 판별하기 위해서 상기 18개의 표고버섯 품종이 구분되는 SSR 마커 염기서열을 찾았고, 이를 이용하여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였다(도 1). 하기 표 1은 상기 표고버섯 18개의 품종을 판별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나타낸다.

번호

프라이머

서열(5'-> 3')

1

RL-LE-017F
(Forward Primer)

GTGCACTGTGCGATTTTC(18bp)
(서열번호 1)

RL-LE-017R
(Reverse Primer)

CAGCAAGGATGACTCTTGGA(20bp)
(서열번호 2)

2

RL-LE-045F
(Forward Primer)

ACATCTGAGAGGTCGTACGCT(21bp)
(서열번호 3)

RL-LE-045R
(Reverse Primer)

GTACCGAAGCGAGCAAGTT(19bp)
(서열번호 4)

3

RL-LE-051F
(Forward Primer)

ACTCTGCTGCCACTCTTGAC(20bp)
(서열번호 5)

RL-LE-051R
(Reverse Primer)

GACCGTCTCTAGCTTCTTGATG(22bp)
(서열번호 6)

4

RL-LE-059F
(Forward Primer)

CGGAGATGTACCAATTCCTG(20bp)
(서열번호 7)

RL-LE-059R
(Reverse Primer)

GCATTCGCCGTCTATACGAT(20bp)
(서열번호 8)
실시예 2: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표고버섯 품종 판별
PDB 배지에서 배양한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참아람의 균사를 미라클로스에 여과시킨 후 PBS 버퍼(NaCl 135mM, KCl 2.7mM, Na2HPO4 4.3mM, KH2PO4 1.4mM)를 부어 씻어내고 키친 타올로 물기를 제거하였다.
건조된 균사를 액체질소에 얼려 막자사발로 곱게 간 후 GeneAll® GenEx™ Plant kit를 이용해 게놈 DNA를 추출하였다. 튜브에 옮겨 담은 균사에 PL버퍼 500ul를 넣고 65℃에서 10분간 가열해준 후 파이펫을 이용해 잘 섞어주었다. 13000rpm으로 1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새 튜브로 옮겨준 후 PP버퍼를 상층액의 1/3만큼 넣고 볼텍서를 이용해 잘 섞어주었다. 얼음에서 5분간 방치 후 13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분리하여 새 튜브로 옮기고 동량의 PCI(phenol : Chloroform : isoamylalcohol = 25 : 24: 1)를 넣어준 후 뒤집어 섞어주었다. 1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새 튜브에 옮기고, 동량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넣어준 후 뒤집어 섞어 주었다. 얼음에 10분간 방치 후 13000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70% 에탄올 1ml를 넣어 DNA 펠렛을 살짝 띄우고 13000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13000rpm에서 1분간 한 번 더 원심분리하였다. 남은 에탄올을 전부 제거하고 DNA 펠렛을 상온에서 5분간 건조시킨 후, RE버퍼 100ul를 넣어 DNA 펠렛을 녹였다. 추출한 게놈 DNA 20ng을 주형으로 본 발명에서 제작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은 95℃에서 3분, 다시 95℃에서 30초, 58℃에서 30초, 72℃에서 30초로 35사이클을 증폭한 후, 추가로 72℃에서 20분간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되었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에 의해 표고버섯 품종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및 참아람이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각 품종들은 도 2의 fragment analyzer로 분석된 피크를 바탕으로 strand slippage, 분석장비의 해상도, 각 마커별 motif의 수 등을 고려하여 그 PCR 증폭 산물의 크기를 결정하여 피크의 크기를 읽어 표 2와 같이 구분하였다. 도 2는 상기 각 프라이머 세트에서 대표적으로 구분되는 품종을 나타냈다. 하기 표 2는 각 표고버섯의 품종별 PCR 증폭 산물의 크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120> SSR Markers for Cultivar Discrimination of Oak mushroom and use thereof <130> NPF31247 <160> 8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1 gtgcactgtg cgattttc 18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2 cagcaaggat gactcttgga 20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3 acatctgaga ggtcgtacgc t 21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4 gtaccgaagc gagcaagtt 19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5 actctgctgc cactcttgac 20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6 gaccgtctct agcttcttga tg 22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7 cggagatgta ccaattcct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8 gcattcgccg tctatacgat 20

Claims (2)

  1. 서열번호 1 및 2의 제1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및 4의 제2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5 및 6의 제3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7 및 8의 제4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고버섯 품종은 산조 101호, 산조 102호, 산조 103호, 산조 108호, 산조 109호, 산조 110호, 산조 111호, 산조 301호, 산조 501호, 산조 702호, 산조 704호, 산조 705호, 산조 706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산조 709호, 산조 710호, 및 참아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표고버섯 품종인,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KR1020170089045A 2017-07-13 2017-07-13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ssr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971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45A KR101971591B1 (ko) 2017-07-13 2017-07-13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ssr 마커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45A KR101971591B1 (ko) 2017-07-13 2017-07-13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ssr 마커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461A true KR20190008461A (ko) 2019-01-24
KR101971591B1 KR101971591B1 (ko) 2019-04-24

Family

ID=6527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045A KR101971591B1 (ko) 2017-07-13 2017-07-13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ssr 마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526A (ko)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원목재배용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caps 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30025984A (ko) 2021-08-17 2023-02-2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온 내성 특성을 지니는 표고버섯 품종 판별을 위한 caps 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200A (ko) * 2008-04-08 2009-10-1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버섯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20100035009A (ko) * 2008-09-25 2010-04-02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표고 품종을 동정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하여 표고 품종을 동정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200A (ko) * 2008-04-08 2009-10-1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버섯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20100035009A (ko) * 2008-09-25 2010-04-02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표고 품종을 동정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하여 표고 품종을 동정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an-Hua Qin et al., FEMS Microbiol Lett, 257, pp112-116, 2006 *
Li-Zhong Fu et al.,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6, pp709-716, 2010. *
Ruiying Zhang et al., Appl. Microbiol. Biotechnol., 74, pp140-145, 2007.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526A (ko)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원목재배용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caps 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20086527A (ko)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중국 접종배지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caps 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20085994A (ko)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톱밥배지 재배용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caps 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30025984A (ko) 2021-08-17 2023-02-2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온 내성 특성을 지니는 표고버섯 품종 판별을 위한 caps 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591B1 (ko)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60136B (zh) 薄壳山核桃品种Davis的特征序列、标记引物及鉴定方法
CN107557434B (zh) 薄壳山核桃品种Van Deman的特征序列、标记引物及鉴定方法
KR101912192B1 (ko) 도라지 품종 판별을 위한 분자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US11926869B2 (en) Development of simple sequence repeat (SSR) core primer group based on whole genome sequence of pomegranate and application thereof
CN106367496B (zh) 一套猕猴桃物种关联特异单核苷酸分子标记及其检测引物组和应用
CN108330163B (zh) 薄壳山核桃品种Nacono和Sumner的特征序列、引物及鉴定方法
KR101971591B1 (ko)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ssr 마커 및 이의 용도
CN101654709B (zh) 利用sts引物鉴定人参品种的方法
KR101378161B1 (ko) 영지버섯의 분자 마커, 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영지버섯의 특이적 판별방법
KR101905980B1 (ko) 표고버섯 품종 향고 808, 산마루 1호 및 산조 705호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N103088136B (zh) 一种鉴别日光蜂不同遗传支系的引物及鉴别方法
Arruda et 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sudden‐death syndrome pathogen of soybean in Brazil
KR102163233B1 (ko) 양송이 품종 새정, 새아, 설강 구별을 위한 ssr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532566B1 (ko) 참깨의 품종 분석을 위한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참깨의 품종 분석 방법
CN109652589B (zh) 薄壳山核桃品种Gloria Grande的特征序列、标记引物及鉴定方法
KR101790769B1 (ko) 표고버섯 품종 산조 701호, 산조 707호, 산조 708호 및 참아람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090123113A (ko) 하수오, 백수오 및 이엽우피소 품종 감별용 유전자 마커
KR20180075451A (ko) 체리 대목 품종 판별 방법
KR101649589B1 (ko) 사과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JP4817238B2 (ja) 大豆ssrプライマーセット及び大豆品種鑑別方法
KR101790771B1 (ko)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790770B1 (ko) 표고버섯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N109652415B (zh) 薄壳山核桃品种Osage的特征序列、标记引物及鉴定方法
CN109652428B (zh) 薄壳山核桃品种Sioux的特征序列、标记引物及鉴定方法
KR102121145B1 (ko) 표고버섯 배지 갈변 관련 유전자 abl과 abl 유전자의 변이를 구별하는 caps 마커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