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184A -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184A
KR20190007184A KR1020170088239A KR20170088239A KR20190007184A KR 20190007184 A KR20190007184 A KR 20190007184A KR 1020170088239 A KR1020170088239 A KR 1020170088239A KR 20170088239 A KR20170088239 A KR 20170088239A KR 20190007184 A KR20190007184 A KR 20190007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essential oil
composition
iodohexadecane
skin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210B1 (ko
Inventor
이환명
김도윤
황대일
박수민
김미연
이세희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2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61K8/315Halogenated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 효능을 갖는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akino)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OR REINFORCING SKIN BARRIER CONTAINING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ESSENTIAL OIL OR 1-IODOHEXADECAN}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 효능을 갖는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akino)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비만세포는 피부계, 호흡기계 및 소화기계를 포함하는 인체의 광범위한 부위에 분포하여 존재하고 있으며, 외부자극과 항원(allergen) 침투 등에 대한 염증 및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면역세포이다. 비만세포 표면에는 FceRI(high-affinity IgE receptor)가 존재하며 외부자극과 항원 노출에 의해 생성된 항체(IgE)와 결합을 통해 탈과립화(degranulation)가 진행된다. 비만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하는 과립(granule)에는 히스타민, 헤파린, 프로스타그란딘 및 사이토카인 등 다양한 염증반응 유발 물질들이 포집되어 있어 탈과립화에 의해 방출된 염증 유발 물질들에 의해 재채기, 두드러기, 아토피 피부염 등의 다양한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이 발생된다.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는 N-ethylmaleimide 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SNARE) 가설을 기반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세포내 분비 과립(vesicle granule)들의 막 이송(membrane trafficking)과 세포막과의 융합(fusion) 및 세포외유출(regulated exocytosis) 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과립 내 포집되어 있던 염증 반응 매게 물질들이 세포 외부로 분비되어 염증/면역반응이 시작된다. 이때 비만세포 내 분비과립의 외막에는 vesicle associated membrane protein 7(VAMP7), VAMP8 등의 vesicle membrane SNARE(v-SNARE) 단백질이 존재하고 있으며, 비만세포의 내막에는 23kDa synaptosome associated protein(SNAP23), SNAP25, syntaxin 등의 target membrane SNARE(t-SNARE) 단백질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 단백질은 특이적인 결합(specificity pairing)을 통해 v-SNARE와 t-SNARE 단백질 결합하여 코일구조를 형성하며 중심복합체(core complex machinery)를 형성하게 된다. SNARE 중심복합체에 의한 막융합을 통해 세포외 유출이 시작되면 분비과립에 포집되어 있던 염증반응 매개 물질들이 세포 외로 분비되어 탈과립화가 진행된다. 아토피 피부염의 정확한 원인과 발병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비만세포내 탈과립화 과정에 관여하는 v-SNARE와 t-SNARE 단백질 상호작용 연구를 통해 새로운 측면에서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개선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까지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면역학적 요인과 함께 피부장벽과 항균장벽 기능의 이상이 중요한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표피 각질형성세포 내 존재하는 필라그린(filaggrin) 유전자의 기능 결함이 아토피피부염의 발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필라그린은 피부 표피의 과립층에서 keratohyalin granule을 구성하는 단백질인 profilaggrin이 분해되어 생성된 histidine이 풍부한 단백질로서 각질형성세포 내에서 케라틴 필라멘트의 응집을 통한 단단하고 편평한 구조의 피부 장벽 강화(integrity/cohesion)와 필라그린 분해산물을 이용한 피부 수분 유지, pH 조절 및 항균/항염 작용 등을 수행한다. 필라그린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단백질 생성을 감소시켜 피부장벽 약화, 경피수분 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의 증가 및 수분 결합력(water-binding capacity) 감소 등을 발생시켜 건조한 피부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피부 속으로 항원의 침투가 용이하여 염증/면역작용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된다. 따라서 필라그린 단백질의 소실 또는 감소가 피부 건조증을 비롯한 아토피피부염의 다양한 양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현재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개선을 위해 항히스타민제 및 경구용 스테로이드의 복용, 스테로이드 연고의 도포, 면역억제제, 광선 치료 등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나, 피부 위축, 모세혈관 확장, 홍반, 접촉성 피부염 등 인체 내 기능 이상과 태아 기형 등의 부작용이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근에는 대체의학에 기반을 둔 천연물 유래 물질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교적 안전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된 의약품 개발에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산국(山菊, Chrysanthemum boreale Makino)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일대에 분포하여 자생하고 있다. 산국은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등의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항염활성, 피부재생활성, 항동맥경화활성 및 항박테리아 활성 등의 다양한 인체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8634호
본 발명자들은, 산국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에센셜 오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1-아이오도헥사데칸이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피부 장벽강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akino)으로부터 추출된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친화적이면서, 비만세포의 탈과립화 저해 및 각질형성세포 내 필라그린 발현 감소 억제활성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 개선과 피부장벽강화 활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피부 장벽 강화 기능을 갖는 화장품 또는 의약품 및 피부 외용제 원료 조성물로서의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산국 꽃으로부터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국 에센셜 오일이 비만세포의 VAMP8과 SNAP23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국 에센셜 오일이 비만세포의 β-hexosaminidase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국 에센셜 오일에서 분리한 1-아이오도헥사데칸이 비만세포의 VAMP8 및 SNAP23의 발현과 β-hexosaminidase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국 에센셜 오일이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내 필라그린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국 에센셜 오일이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아토피 피부염 개선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국 에센셜 오일이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 혈액에서 (A) IgE와 (B) IL-5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akino)으로부터 추출된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국 에센셜 오일은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산국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방법 또는 수증기 증류-추출을 동시에 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국을 세척한 후 수증기 증류법으로 증류하여 증류액을 얻은 후 상기 증류액으로부터 수용성 성분이 제거된 지용성 추출 성분만을 분리 추출함으로써 산국 에센셜 오일 및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제조한다(도 1 참조).
예를 들어, 건조하지 않은 산국의 꽃 부분(꽃으로부터 5 cm)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증류시킨 다음, 저온 냉각시켜서 증류액을 얻고, 그것으로부터 수용성과 지용성 성분층을 분리/정제한 후, 산국 수용성 추출물(하이드로졸)과 산국 에센셜 오일 성분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산국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산국을 세척한 후 건조 및 분쇄하고, 분쇄물을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냉침 또는 온침하여 1회 이상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및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및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극성 용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한 1차 추출을 한 후, 순차적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을 포함하는 저극성 용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한 2차 추출을 통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증류 장치에서 적정 온도로 감압 농축시키는 과정을 더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냉침의 경우 약 12 ~ 96시간 동안 행하거나,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 등을 용매로 하여 4 ~ 25℃ 상온에서 1 ~ 20일 방치 숙성시켜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온침의 경우는 추출용매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상이하나, 용매의 환류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약 5 ~ 24시간동안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산국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1-아이오도헥사데칸, 1,8-시네올(1,8-cineol), 제르마크렌 D(Germacrene D), 캐리오필렌(caryophyllene), 파르네센(β-Farnesene), 캠퍼(Camphor), 셀리넨(β-Selinene), 사비넨(Sabinene), (1R)-2,6,6-Trimethylbicyclo[3.1.1]hept-2-ene, 후물렌(α-humulene), 뮤롤렌(γ-Muurolene), 산토리나 트리엔(Santolina triene), 미르센(myrcene), 테르피네올(4-Terpineol), 캄펜(Camphene), 코파엔(α-Copaene), 비사이클로제르마크렌(Bicyclogermacrene), 튜존(β-thujone), 2,6,6,9-tetramethyl-Piperitone-Tricyclo[5.4.0.0(2,8)]undec-9-ene, 피페리톤(Piperitone), 테르펜(α-Terpinene), 큐버빈(β-Cubebene), 4-methylene-1-methyl-2-(2-methyl-1-propen-1-yl)-1-vinyl-Cycloheptane, 카디넨(δ-Cadinene), 3,7-dimethyl-,(Z)-1,3,6-Octatriene, 유게놀(Eugenol), 세드롤(α-Cedrol), 불가론 B(Vulgarone B), l-보르닐 아세테이트, 보르네올 L(borneol L), 1-펠란드렌(l-Phellandrene), 1,2,3,4,4a,5,6,8a-octahydro-7-methyl-4-methylene-1-(1-methylethyl)-,(1 alpha,4a alpha,8a alpha)-Naphthalene, 테르피놀렌(α-terpinolene), 테르피네올(cis-β-Terpineol), 1,3-bis(1,1-dimethylethyl)-Benzene, 아주놀(Azunol), 및 아르테미시아 트리엔(Artemesia tri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국 에센셜 오일로부터 분리된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C16H33I의 화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하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비만세포 내 VAMP8의 발현을 억제하고, 비만세포의 β-hexosaminidase의 분비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에서 TNF-α에 유도되는 필라그린의 발현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0.1 ~ 200 ㎍/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5~100 ㎍/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산국 에센셜 오일을 0.1㎍/mL 이하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미미하며, 에센셜 오일을 200㎍/mL 이상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0.1 ~ 200 ㎍/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0~100 ㎍/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0.1㎍/mL 이하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미미하며, 200㎍/mL 이상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국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산국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상기 생리활성성분이 동물 또는 사람에게 투여되어 목적하는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복강, 질내, 구강, 징장, 설하, 국소,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도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헝물은 또한 약제학적 제제 및/또는 영양 보조 식품으로서 신생아 (newborn), 유아 (toddler), 및 소아(infant)에게 상기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기 위한 제제로서 포유동물 밀크, 인공 포유동물 밀크, 및 포유동물 밀크 대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성 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일 실시예를 제공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제조예 1: 산국 에센셜 오일의 제조
본 발명에서는 산국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증류하여 수용성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산국 에센셜 오일 및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제조하였다(도 1 참조).
본 실시예에서 산국은 호서대학교(아산, 한국) 실습지에서 자생된 산국을 9~10월에 걸쳐 채취된 것을 사용하였다. 산국의 동정은 국립수목원(Korea National Arboretum) 산림생물조사과 양종철 연구사로부터 확인하였다. 산국 꽃이 피기 직전의 꽃망울로부터 5 cm 줄기가 포함되도록 채취하여 세척 후, 생초 20 kg씩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10 L)을 수용액 성분을 분리하여 에센셜 오일(50 mL)을 획득하였고, 4℃의 저온고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1: 산국 에센셜 오일의 성분 분석
산국 에센셜 오일의 성분 분석은 KBSI(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Seoul Center)에 의뢰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계(6890N GC/5975i MS, Agilent, USA)를 사용하였고, GC/MS의 컬럼(column)은 DB5-MS (30 m×50 μm, 0.25 μm)를 사용하였으며, 캐리어 가스(carrier gas)는 헬륨를 사용하여 1 mL/분으로 흐르게 하여 분석하였다. 오븐의 온도는 40℃-2℃/분-230℃-5℃/분-300℃(5분)으로 유지하였으며, injection의 온도는 280℃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Interface의 온도는 300℃, ion source의 온도는 230℃, analyzer의 온도는 150℃에서 분석하였으며, Mass range는 40~800 m/z에서 분석하였다.
산국 에센셜 오일 성분의 확인은 휘발성분의 지체시간(retention indices, RI)과 표준물질의 지체시간과 일치하거나 휘발물질의 질량 스펙트럼과 Wiley 7Nist 05 library의 질량 스페그럼을 비교하여 물질을 확인하였다. RI는 C6 ~ C24 (nalkane)를 이용하여 시료와 동일 조건에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총 33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amphor, Germacrene-D, β-Thujone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1- 아이오도헥사데칸이 비만세포의 VMAP8 발현에 미치는 효과
제조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한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1-아이오도헥사데칸이 비만세포 내 VAMP8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조사하였다.
비만세포(RBL-2H3)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비만세포를 60 mm dish에 각 dish 당 세포수 1 X 105/60 mm dish가 되도록 주입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부착시켰다. 산국 에센셜 오일은 25~100 μg/ml 농도,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50~100 μg/ml의 농도로 각 dish에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세포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lysis)시킨 후 anti-VAMP8 또는 SNAP23 antibody와 면역블롯 (Immuno Blot)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국 에센셜 오일은 비만세포 내 VAMP8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산국 에센셜 오일은 75, 100 μg/ml 농도에서 VAMP8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SNAP23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비만세포 내 VAMP8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100 μg/ml 농도에서 VAMP8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실시예 3.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 아이오도헥사데칸이 비만세포의 탈과립화 과정에 미치는 효과
제조예 1에서 얻은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아이오도헥사데칸이 비만세포의 β-hexosaminidase의 분비 저해를 통한 탈과립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조사하였다.
비만세포(RBL-2H3)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비만세포를 24 well plate에 2×104 cells/ml이 되도록 주입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부착시킨 후 산국 에센셜 오일은 25~100 μg/ml 농도,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50~100 μg/ml의 농도로 각 well에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그 후 anti-DNP IgE(200 ng/ml)와 DNP-BSA(10 ng/ml)을 처리하여 감작시킨 후 96 well plate에 상층액 50 μl와 substrate buffer (1 mM 4-p-Nitrophenyl-N-acetyl-b-D-glucosaminide, sodium citrate 0.05 M, pH4.5) 100 μl를 혼합하여 37℃에서 60분 동안 반응시켰다. Stop solution 100 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국 에센셜 오일은 비만세포의 β-hexosaminidase 분비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양성 대조군(LY294002)와 비교하여 산국 에센셜 오일이 75, 100 μg/ml 농도에서 β-hexosaminidase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비만세포의 β-hexosaminidase 분비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아이오도 헥사데칸은 100 μg/ml 농도에서 β-hexosaminidase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산국 에센셜 오일이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내 필라그린 발현에 미치는 효과
제조예 1에서 얻은 산국 에센셜 오일이 피부 각질형성세포에서 염증반응에 의해 유도되는 필라그린의 발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조사하였다.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HaCat)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각질형성세포를 60 mm dish에 각 plate 당 세포수 4 X 105/60 mm dish가 되도록 주입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부착시켰다. 산국 에센셜 오일은 50~100 μg/ml 농도로 각 dish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세포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lysis)시킨 후 anti-filaggrin antibody와 면역블롯 (Immuno Blot)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국 에센셜 오일은 표피 각질형성세포에서 TNF-α에 의해 유도되는 필라그린 발현 감소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국 에센셜 오일은 75, 100 μg/ml 농도에서 TNF-α에 의해 유도되는 필라그린 발현 감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산국 에센셜 오일이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 미치는 효과
제조예 1에서 얻은 산국 에센셜 오일이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조사하였다.
6주령의 수컷 Balb/c mice를 사용하였으며, 실험동물은 통상적인 사육환경(conventional environment)에서 온도 23±2℃, 습도 55±15%, 오후 8시부터 오전 8시까지 빛을 통제한 상태에서 음식물 및 물은 자유로이 먹을 수 있는 환경에서 3일간 안정화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에 대하여 자극물질인 2,4-디니트로클로로벤젠(DNCB)를 도포하기 하루 전에 실험동물의 등에서부터 골반 쪽으로 2×4cm의 면적으로 제모를 실시하였다. 1% DNCB를 용매물질(아세톤:올리브 오일 = 4:1 혼합)에 녹여 제조하여 7일동안 제모된 등 부위에 도포하여 감작시키고 8일째에 0.5% DNCB를 다시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40일째부터 산국 에센셜 오일(100μg/mL)을 처리하였다. 60일째 실험동물은 가벼운 에테르 마취상태에서 복개 후 심장에서 혈액 및 피부조직을 채취하여 실험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 유발에 따른 실험동물의 피부(epiderms와 dermis)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H&E(hematoxylin&Eosin) 염색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의 피부조직을 적출하여 조직고정액인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용액에 고정시킨 후 통상적인 조직표본제작법에 따라 파라핀 포매한 후 5-6㎛로 절편하였다. 조직표본은 자일렌(xylene)으로 파라핀을 제거하고 함수 과정을 거친 H&E로 핵과 세포질을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모델의 피부는 표피층(epidermis)이 비후되어 있으며, 대조군에 비해 그 두께가 매우 증가되어 있다. 이는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모델이 외형상뿐만 아니라 조직학적으로도 변화가 유발되었음을 의미하며 아토피 기준에 합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산국화 에센셜 오일 처리군은 DNCB에 의해 유도된 아토피 피부염이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혈청에서 사이토카인( IgE , IL-5) 농도 감소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수득한 혈액으로부터 얻은 각각의 샘플을 효소면역 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이용하여 혈중 IgE와 인터루킨-5(IL-5)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국 에센셜 오일은 DNCB에 의해 유도되는 혈청 내 IgE와 IL-5의 분비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akino)으로부터 추출된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산국을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으로 증류하여 추출된 것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1-아이오도헥사데칸, 피넨(α-Pinene), 캄펜(Camphene), 사비넨(Sabinene), (-)피넨((-)-β-Pinene), 미르센(β-Myrcene), 펠란드렌(l-Phellandrene), 테르피넨(α-Terpinene), 시몰(Cymol), 1,8-시네올(1,8-Cineole), 1,3,6-octatrinen,3,7-dimethyl-,Z)-, 테르피넨(γ-Terpinene), 사비넨 하이드래이트(trans-Sabinene hydrate), 테르피놀렌(α-Terpinolene), 튜존(β-Thujone), 튜존(α-Thujone), 알루시멘(Alloocimene), 캄포((-)-Camphor), 엄벨루론(Umbellulon), 테르피네올(4-Terpineol), 유게놀(Eugenol), 코팬(α-Copaene), 3H-3a,7-Methanoazulene,2,4,5,6,7,8-hexanhydro-1,4,9,9-tetramethyl-[3aR-(3a.α,4β,7.α)], 3,5-Heptadienal,2-ethylidene-6-methyl-, 캐리오필렌(Caryophyllene), 쿠베벤(β-Cubebene), 셀리넨(β-Selinene), 제르마크렌 D(Germacrene-D), 비사이클로제르마크렌(Bicyclogermacrene), Naphthalene,1,2,3,4,4a,5,6,8a-octahydro-7-methyl-4-methylene-1(1-methylethyl)-,(1.α.4aα.8a.α.)-, 카디넨(δ-Cadinene), Naphthalene,1,2,3,4,4a,7-hexahydro-1,6-dimethyl-4-(1-methylenthyl), 캘코렌(α-Calcorene) 및 카디놀(α-Cadin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비만세포 내 VAMP8의 발현을 억제하고, 비만세포의 β-hexosaminidase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에서 TNF-α에 유도되는 필라그린의 발현 감소를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0.1~20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아이오도헥사데칸은 0.1~200 μg/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8.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akino)으로부터 추출된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170088239A 2017-07-12 2017-07-12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016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239A KR102016210B1 (ko) 2017-07-12 2017-07-12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239A KR102016210B1 (ko) 2017-07-12 2017-07-12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184A true KR20190007184A (ko) 2019-01-22
KR102016210B1 KR102016210B1 (ko) 2019-08-29

Family

ID=6532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239A KR102016210B1 (ko) 2017-07-12 2017-07-12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1076A (zh) * 2020-09-23 2020-12-25 北京农业生物技术研究中心 一种甘菊精油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513A (ko) * 2009-11-27 2011-06-0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야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388634B1 (ko) 2012-09-07 2014-04-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산국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한델린을 포함하는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식품
KR20140109220A (ko) * 2013-03-05 2014-09-1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산국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513A (ko) * 2009-11-27 2011-06-0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야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388634B1 (ko) 2012-09-07 2014-04-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산국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한델린을 포함하는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식품
KR20140109220A (ko) * 2013-03-05 2014-09-1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산국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1076A (zh) * 2020-09-23 2020-12-25 北京农业生物技术研究中心 一种甘菊精油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210B1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8462B2 (en) Compound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having anti-inflammation activity
KR101888258B1 (ko) 개망초꽃으로부터 추출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JP6381818B2 (ja) キツネノマゴ属植物の抽出物または分画物を含む組成物
KR101694958B1 (ko) 천심련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Zubairu et al. Effect of Anacardium occidentale fruit juice extract on haematological parameters and spleen of paracetamol induced injury in albino rats
KR101885000B1 (ko) 지칭개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127570B1 (ko) 계요등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4701A (ko)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37276B1 (ko)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20190051150A (ko) 장수풍뎅이 유충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102016210B1 (ko)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1685773B1 (ko) 산국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비만 조성물
RU2640503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атопического дерматита, содержащая моноацетилдиацилглицерин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JP6360357B2 (ja) 脂肪細胞形成抑制方法
KR101681980B1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20160022190A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2420B1 (ko) 황기 및 형개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770504B2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
KR102329522B1 (ko) 골담초 꽃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450143B1 (ko) 타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09969B1 (ko) 절패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4736B1 (ko) 동백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치료용 조성물
KR20230017676A (ko)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9847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칼라만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