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004A -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 Google Patents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004A
KR20190007004A KR1020187035716A KR20187035716A KR20190007004A KR 20190007004 A KR20190007004 A KR 20190007004A KR 1020187035716 A KR1020187035716 A KR 1020187035716A KR 20187035716 A KR20187035716 A KR 20187035716A KR 20190007004 A KR20190007004 A KR 20190007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damping force
valve
movable iron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068B1 (ko
Inventor
순스케 모리
히로시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1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characterised by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85Bi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4Control of valve bias or pre-stress, e.g. electromagne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6Structural details of the arm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가동 철심의 변위 시의 동특성(動特性)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제공한다.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1)의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를,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와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하는 솔레노이드(33)에 의해 구성한다. 솔레노이드(33)는,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39)과, 코일(39)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철심(43)과, 가동 철심(43)을 흡인하는 앵커 부재(40) 등을 구비한다. 가동 철심(43)은, 축부(44)가 고정되는 고정 구멍(43A1)이 형성된 후육(厚肉) 통부(43A)와 내주면이 테이퍼형으로 확대 개방된 테이퍼 통부(4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정 구멍(43A1) 주위에는, 작동 유체를 가동 철심(43)의 축 방향으로 유통시키는 오목부(43A2)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본 발명은, 예컨대 4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며, 차량의 진동을 완충하는 데 적합하게 이용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4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차륜측과 차체측 사이에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가 설치되어, 주행 시에 발생하는 상, 하 방향의 진동 등을 완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주행 조건, 차량의 거동 등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하도록 한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13588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는, 가동 철심의 변위 시의 동특성(動特性)을 양호하게 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철심의 변위 시의 동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 내를 로드측실과 보텀측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일측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신축에 의해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유로(流路)와, 상기 유로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감쇠력 조정 밸브를 구비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측이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철심과, 상기 가동 철심과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코일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고정 철심과, 상기 코일의 외주를 덮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오버몰드와, 상기 가동 철심 및 상기 고정 철심의 내주측에서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동 철심과 일체로 변위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상기 고정 철심측의 일단부에는, 상기 감쇠력 조정 밸브의 밸브체가 설치되고, 상기 축부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밸브체측과, 상기 가동 철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 철심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축부의 타단부측을 연통(連通)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 철심은, 상기 고정 철심과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내주측에 상기 축부가 고정되는 고정 구멍이 형성된 후육(厚肉) 통부와, 상기 후육 통부로부터 상기 축부의 타단부측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주면이 테이퍼형으로 확대 개방된 테이퍼 통부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동 철심의 변위 시의 동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코일 통전 시의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중의 가동 철심을 단체(單體)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 중의 화살표 V-V 방향에서 본 가동 철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변형예에 의한 가동 철심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변형예에 의한 가동 철심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변형예에 의한 가동 철심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4 변형예에 의한 가동 철심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차량용의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1)[이하, 완충기(1)로 함]는, 그 외각이 바닥이 있는 통형의 외통(外筒; 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외통(2)의 하단측은, 보텀 캡(3)에 의해 용접 수단 등을 이용하여 폐색되고, 외통(2)의 상단측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굴곡된 코킹부(2A)로 되어 있다. 코킹부(2A)와 내통(內筒; 4) 사이에는, 로드 가이드(9)와 시일 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외통(2)의 하부측에는, 후술하는 중간통(12)의 접속구(12C)와 동심으로 개구(2B)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2B)와 대향하여 후술하는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보텀 캡(3)에는, 예컨대 차량의 차륜측에 부착되는 부착 아이(3A)가 설치되어 있다.
외통(2) 내에는, 상기 외통(2)과 동축으로 내통(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내통(4)은, 외통(2)과 함께 실린더를 구성하고 있다. 내통(4)은, 하단측이 보텀 밸브(13)에 감합(嵌合)되어 부착되고, 상단측은 로드 가이드(9)에 감합되어 부착되어 있다. 외통(2) 내 및 내통(4) 내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작동액(오일액)이 봉입되어 있다. 한편, 작동액으로서는 오일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첨가제를 혼재시킨 물 등이어도 좋다.
내통(4)과 외통(2) 사이에는, 환형의 리저버실(A)이 형성되고, 이 리저버실(A) 내에는, 상기 오일액과 함께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이 가스는, 대기압 상태의 공기여도 좋고, 또한 압축된 질소 가스 등의 기체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내통(4)의 길이 방향(축 방향)의 도중 위치에는, 로드측실(B)을 환형실(D)에 상시 연통시키는 오일 구멍(4A)이 직경 방향으로 뚫려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5)은, 내통(4)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5)은, 내통(4) 내를 로드측실(B)과 보텀측실(C)로 구획하고 있다. 피스톤(5)에는, 로드측실(B)과 보텀측실(C)을 연통 가능하게 하는 유로(油路; 5A, 5B)가 각각 복수 개,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피스톤(5)의 하단면에는,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6)는,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에서 피스톤(5)이 상향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할 때에, 로드측실(B) 내의 압력이 릴리프 설정압을 초과하면 밸브 개방되어, 이때의 압력을 각 유로(5A)를 통해 보텀측실(C)측으로 릴리프한다. 이 릴리프 설정압은, 후술하는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가 하드하게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 개방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된다.
피스톤(5)의 상단면에는, 피스톤 로드(8)의 축소 행정에서 피스톤(5)이 하향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할 때에 밸브 개방되고, 이 이외일 때에는 밸브 폐쇄되는 축소측 역지 밸브(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지 밸브(7)는, 보텀측실(C) 내의 오일액이 로드측실(B)을 향해 각 유로(5B) 내를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와는 반대 방향으로 오일액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이 역지 밸브(7)의 밸브 개방압은, 후술하는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가 소프트하게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 개방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설정되고,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것은, 피스톤(5)이나 시일 부재(10)의 프릭션 이하의 힘이며, 차의 운동에 대해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내통(4) 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8)는, 일측으로서의 하단측이 내통(4) 내에 삽입되고, 너트(8A) 등에 의해 피스톤(5)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8)의 타측으로서의 상단측은, 로드 가이드(9)를 통해 외통(2) 및 내통(4)의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다. 한편, 피스톤 로드(8)의 하단을 더욱 연장시켜 보텀부[예컨대, 보텀 캡(3)]측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시켜, 소위, 양 로드로 해도 좋다.
내통(4)의 상단측에는, 단차식 원통형의 로드 가이드(9)가 설치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9)는, 내통(4)의 상측 부분을 외통(2)의 중앙에 위치 결정하고, 그 내주측에서 피스톤 로드(8)를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있다. 또한, 로드 가이드(9)와 외통(2)의 코킹부(2A) 사이에는, 환형의 시일 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10)는, 중심에 피스톤 로드(8)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금속성의 원륜판(圓輪板)에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베이킹한 것으로, 내주가 피스톤 로드(8)의 외주측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피스톤 로드(8)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또한, 시일 부재(10)는, 하면측에 로드 가이드(9)와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체크 밸브로서의 립 시일(10A)이 형성되어 있다. 립 시일(10A)은, 오일 저장실(11)과 리저버실(A) 사이에 배치되고, 오일 저장실(11) 내의 오일액 등이 로드 가이드(9)의 복귀 통로(9A)를 통해 리저버실(A)측을 향해 유통되는 것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의 흐름을 저지하는 것이다.
중간통(12)은, 외통(2)과 내통(4) 사이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중간통(12)은, 예컨대 내통(4)의 외주측에 상, 하의 통형 시일(12A, 12B)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중간통(12)은, 내통(4)의 외주측을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도록 연장된 환형실(D)을 내부에 형성하고, 환형실(D)은 리저버실(A)과는 독립된 오일실로 되어 있다. 환형실(D)은, 내통(4)에 형성한 직경 방향의 오일 구멍(4A)에 의해 로드측실(B)과 상시 연통되어 있다. 즉, 환형실(D)은, 피스톤 로드(8)의 신축에 의해 오일액의 흐름이 발생하는 유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중간통(12)의 하단측에는, 후술하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통형 홀더(20)가 부착되는 접속구(12C)가 형성되어 있다.
보텀 밸브(13)는, 내통(4)의 하단측에 위치하며 보텀 캡(3)과 내통(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보텀 밸브(13)는, 보텀 캡(3)과 내통(4) 사이에서 리저버실(A)과 보텀측실(C)을 구획하는 밸브 보디(14)와, 밸브 보디(14)의 하면측에 설치된 축소측의 디스크 밸브(15)와, 밸브 보디(14)의 상면측에 설치된 신장측 역지 밸브(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밸브 보디(14)에는, 리저버실(A)과 보텀측실(C)을 연통 가능하게 하는 유로(14A, 14B)가 각각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축소측의 디스크 밸브(15)는, 피스톤 로드(8)의 축소 행정에서 피스톤(5)이 하향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할 때에, 보텀측실(C) 내의 압력이 릴리프 설정압을 초과하면 밸브 개방되어, 이때의 압력을 각 유로(14A)를 통해 리저버실(A)측으로 릴리프한다. 이 릴리프 설정압은, 후술하는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가 하드하게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 개방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된다.
신장측 역지 밸브(16)는,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에서 피스톤(5)이 상향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할 때에 밸브 개방되고, 이 이외일 때에는 밸브 폐쇄된다. 이 역지 밸브(16)는, 리저버실(A) 내의 오일액이 보텀측실(C)을 향해 각 유로(14B) 내를 유통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와는 반대 방향으로 오일액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이 역지 밸브(16)의 밸브 개방압은, 후술하는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가 소프트하게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 개방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설정되고,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음으로, 완충기(1)의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하기 위한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도 2는 솔레노이드(33)의 코일(39)에의 비통전 시에, 유압에 의해 밸브체(32)가 파일럿 보디(26)의 밸브 시트부(26E)로부터 이좌(離座)하는 측으로 이동(변위)한 밸브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솔레노이드(33)의 코일(39)에의 통전에 기초하여, 밸브체(32)가 파일럿 보디(26)의 밸브 시트부(26E)에 착좌(着座)하는 측으로 이동한 밸브 폐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중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는, 유로로서의 환형실(D)의 하단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의 기단측(일단측, 도 1 내지 도 3의 좌단측)은, 리저버실(A)과 환형실(D)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되고,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의 선단측(타단측, 도 1 내지 도 3의 우단측)은, 외통(2)의 하부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와,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하여 감쇠력 조정 밸브(18)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3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는, 환형실(D)로부터 리저버실(A)로의 오일액의 유통을, 감쇠력 조정 밸브(18)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예컨대, 메인 디스크 밸브(23)]의 밸브 개방압을,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로서 이용되는 솔레노이드(33)로 조정함으로써,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한다.
여기서, 감쇠력 조정 밸브(18)는, 그 기단측이 외통(2)의 개구(2B) 주위에 고착되고, 선단측이 외통(2)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대략 원통형의 밸브 케이스(19), 기단측이 중간통(12)의 접속구(12C)에 고정되고 선단측이 환형의 플랜지부(20A)가 되어 밸브 케이스(19)의 내측에 간극을 가지고 배치된 통형 홀더(20), 상기 통형 홀더(20)의 플랜지부(20A)에 접촉하는 밸브 부재(21), 메인 디스크 밸브(23) 및 밸브체(3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밸브 케이스(19)의 기단측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내측 플랜지부(19A)가 되고, 밸브 케이스(19)의 선단측은, 상기 밸브 케이스(19)의 내주측 결합부(19B)를 후술하는 솔레노이드(33)의 통형 케이스(36)에 결합시켜 코킹 고정하는 고정부로 되어 있다. 밸브 케이스(19)의 내주면과 후술하는 밸브 부재(21), 파일럿 보디(26) 등의 외주면 사이는, 리저버실(A)로 통하는 환형의 오일실(19C)로 되어 있다.
통형 홀더(20)의 내측은, 일단측이 환형실(D)에 연통되고, 타단측이 밸브 부재(21)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유로(20B)로 되어 있다. 또한, 통형 홀더(20)의 플랜지부(20A)와 밸브 케이스(19)의 내측 플랜지부(19A) 사이에는, 원환형의 스페이서(22)가 협지(挾持)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22)는, 오일실(19C)과 리저버실(A)을 연통시키는 부재이다.
밸브 부재(21)에는, 직경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부재(21)에는, 중심 구멍(21A) 주위에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유로(21B)가 형성되고, 이들 각 유로(21B)는, 그 일단측이 통형 홀더(20)의 유로(20B)측에 상시 연통되어 있다. 또한, 밸브 부재(21)의 타단측의 단부면에는, 유로(21B)의 타측 개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형 오목부(21C)와, 상기 환형 오목부(21C)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메인 디스크 밸브(23)가 이좌 및 착좌하는 환형 밸브 시트(21D)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 부재(21)의 유로(21B)는, 환형실(D)측[유로(20B)측]과 리저버실(A)측[오일실(19C)측] 사이에서 메인 디스크 밸브(23)를 통해 오일액을 유통시키는 것이다.
메인 밸브를 구성하는 메인 디스크 밸브(23)는, 내주측이 밸브 부재(21)와 후술하는 파일럿 핀(24)의 대직경부(24A) 사이에 협지되고, 외주측이 밸브 부재(21)의 환형 밸브 시트(21D)에 착좌되어 있다. 메인 디스크 밸브(23)의 배면측의 외주부에는, 탄성 시일 부재(23A)가 고착되어 있다. 메인 디스크 밸브(23)는, 밸브 부재(21)의 유로(21B)측[환형실(D)측]의 압력을 받아 환형 밸브 시트(21D)로부터 이좌함으로써 밸브 개방되어, 밸브 부재(21)의 유로(21B)[환형실(D)측]를 오일실(19C)[리저버실(A)측]에 연통시킨다. 이 경우, 메인 디스크 밸브(23)의 밸브 개방압은, 후술하는 파일럿실(27) 내의 압력에 따라 가변으로 제어된다.
파일럿 핀(24)은, 축 방향 중간부에 대직경부(24A)를 가지며 직경 방향 중앙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구멍(24B)을 갖는 단차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심 구멍(24B)의 일단부에는, 오리피스(24C)가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핀(24)은, 일단측이 밸브 부재(21)의 중심 구멍(21A)에 압입되고, 대직경부(24A)와 밸브 부재(21) 사이에서 메인 디스크 밸브(23)를 협지하고 있다. 파일럿 핀(24)의 타단측은, 후술하는 파일럿 보디(26)의 중심 구멍(26C)에 감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파일럿 보디(26)의 중심 구멍(26C)과 파일럿 핀(24)의 타단측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25)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25)를 통해 메인 디스크 밸브(23)와 파일럿 보디(26) 사이에 형성되는 파일럿실(27)에 접속되어 있다.
파일럿 보디(26)는, 내측에 단차식 구멍이 형성된 원통부(26A)와, 상기 원통부(26A)를 막는 바닥부(26B)를 갖는 대략 바닥이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부(26B)의 중앙부에는, 파일럿 핀(24)의 타단측이 감합되는 중심 구멍(26C)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보디(26)의 바닥부(26B)의 일단측(도 2의 좌단측)에는, 외경측에 위치하며 전체 둘레에 걸쳐 밸브 부재(21)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통부(26D)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 통부(26D)의 내주면에는, 메인 디스크 밸브(23)의 탄성 시일 부재(23A)가 액밀하게 감합되고, 메인 디스크 밸브(23)와 파일럿 보디(26) 사이에 파일럿실(27)을 형성하고 있다. 파일럿실(27)의 내압은, 메인 디스크 밸브(23)에 대해 밸브 폐쇄 방향, 즉 메인 디스크 밸브(23)를 밸브 부재(21)의 환형 밸브 시트(21D)에 착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파일럿 보디(26)의 바닥부(26B)의 타단측(도 2의 우단측)에는, 후술하는 밸브체(32)가 이좌 및 착좌하는 밸브 시트부(26E)가, 중심 구멍(26C)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 시트부(26E)의 외주측에는, 바닥부(26B)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26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26F)는, 메인 디스크 밸브(23)의 밸브 개방 동작에 의해 파일럿실(27)의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했을 때에, 오일액을 가요성 디스크(26G)를 통해 밸브체(32)측으로 도피시키는 것이다.
또한, 파일럿 보디(26)의 원통부(26A)의 내측에는, 밸브체(32)를 파일럿 보디(26)의 밸브 시트부(26E)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28), 후술하는 솔레노이드(33)가 비통전 상태일 때[밸브체(32)가 밸브 시트부(26E)로부터 가장 멀어졌을 때]의 페일 세이프 밸브를 구성하는 디스크 밸브(29) 및 중심측에 유로(30A)가 형성된 유지 플레이트(30) 등이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보디(26)의 원통부(26A)의 개구단에는, 상기 원통부(26A)의 내측에 리턴 스프링(28), 디스크 밸브(29) 및 유지 플레이트(30) 등을 배치한 상태에서, 파일럿 캡(31)이 감합 고정된다. 이 파일럿 캡(31)에는, 유지 플레이트(30)의 유로(30A)를 통해 솔레노이드(33)측으로 흐른 오일액을 오일실(19C)[리저버실(A)측]로 유통시키는 유로가 되는 절결(31A)이, 예컨대 원주 방향의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32)는, 후술하는 솔레노이드(33)의 축부(44)의 앵커 부재(40)측인 일단측인 일단부에 설치되고, 파일럿 보디(26)와 함께 파일럿 밸브를 구성하는 것이다. 밸브체(32)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파일럿 보디(26)의 밸브 시트부(26E)에 이좌 및 착좌하는 선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밸브체(32)의 내측에는, 축부(44)가 감합 고정되고, 솔레노이드(33)[코일(39)]에의 통전(전류값)에 따라, 밸브체(32)의 개방도(밸브 개방압)가 조절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밸브체(32)의 기단측[솔레노이드(33)측]에는, 스프링 받침이 되는 플랜지부(32A)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2A)는, 솔레노이드(33)[코일(39)]가 비통전 상태일 때, 즉 밸브체(32)가 밸브 시트부(26E)로부터 가장 멀어졌을 때에, 디스크 밸브(29)와 접촉함으로써, 페일 세이프 밸브를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감쇠력 조정 밸브(18)와 함께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33)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의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전자 액추에이터)로서 이용되는 솔레노이드(33)는, 오버몰드(34), 통형 케이스(36), 보빈(38), 코일(39), 앵커 부재(40), 인서트 코어(41), 캡 부재(42), 축부(44), 제1, 제2 부시(45A, 45B), 배압실 형성 부재(46) 및 배압실(4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33)는, 예컨대 비례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로서의 오버몰드(34)는, 솔레노이드(33)의 선단측(타단측)의 외각을 이루며, 그 내부에 코일(39)을 수용하고 있다. 오버몰드(34)는, 열경화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전체로서 바닥이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코일(39)의 외주측을 덮고 있다. 이 오버몰드(34)는, 코일(39)의 외주측을 덮는 원통형의 통형부(34A)와, 상기 통형부(34A)의 일단측(도 2의 우단측)을 폐색하는 덮개부(34B)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34B)의 둘레 방향의 일부는, 리드선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35)이 접속된 케이블 취출부(34C)로 되어 있다.
통형 케이스(36)는, 솔레노이드(33)의 둘레 방향의 외각을 이루며, 그 내부에 파일럿 보디(26) 및 코일(39)을 수용하고 있다. 이 통형 케이스(36)는, 파일럿 밸브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밸브측 통부(36A)와, 오버몰드(34)의 통형부(34A)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코일측 통부(36B)와, 상기 밸브측 통부(36A)와 상기 코일측 통부(36B) 사이에 위치하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하는 플랜지부(36C)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통형 케이스(36)는, 자성체(자성 재료)에 의해 대략 원통형의 요크 부재로서 형성되고, 통전 시에 자로(磁路)를 형성하는 것이다.
밸브측 통부(36A)의 내경측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파일럿 캡(31)이 감합(내측에서 끼움)되고, 밸브측 통부(36A)의 외경측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케이스(19)가 감합(외측에서 끼움)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측 통부(36A)의 외주면에는, 시일홈(36A1)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시일홈(36A1)에는, 시일 링(36A2)이 장착되고, 상기 시일 링(36A2)에 의해 통형 케이스(36)와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케이스(19) 사이가 액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코일측 통부(36B)의 내경측에는, 오버몰드(34)의 통형부(34A)가 감합(내측에서 끼움)되어 있다. 또한, 코일측 통부(36B)의 선단측(타단측) 내주면과 오버몰드(34)의 외주면 사이에는, 통형 케이스(36)와 오버몰드(34) 사이를 빠짐 방지하는 링형 부재(36B1)와, 통형 케이스(36)와 오버몰드(34) 사이를 액밀하게 밀봉하는 시일 링(36B2)이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6C)의 내주측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점차 직경이 축소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퍼면(36C1)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부(36C)의 내주측에는, 후술하는 캡 부재(42)가 감합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36C)의 테이퍼면(36C1)과 캡 부재(42) 사이에는, 시일 링(36C2)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 링(37)은, 밸브 케이스(19)의 타단측에 위치하며,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링(37)의 내측에는, 밸브 케이스(19)의 내주측 결합부(19B)에 결합되는 외주측 결합부(37A)와, 내경 치수가 외주측 결합부(37A)의 내경 치수보다 작은 플랜지부(37B)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링(37)은, 밸브 케이스(19)의 내주측 결합부(19B)와 통형 케이스(36)와의 결합 코킹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어, 결합 코킹부를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다. 즉, 결합 링(37)은 외주측 결합부(37A)가 내주측 결합부(19B)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보빈(38)은, 오버몰드(34)의 내주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보빈(38)은, 열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코일(39)의 내주측을 덮고(몰드 성형하고) 있다. 보빈(38)의 타단측은, 오버몰드(34)의 케이블 취출부(34C)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보빈(38)은, 그 내부에 후술하는 인서트 코어(41)를 매설시켜, 밀봉하고 있다.
코일(39)은, 보빈(38) 주위에 권취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39)은, 그 외주측이 오버몰드(34)의 통형부(34A)에 의해 덮여지고, 그 내주측이 보빈(38)에 의해 덮여져 있다. 코일(39)은, 케이블(35)을 통한 전력의 공급(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앵커 부재(40)는, 고정 철심으로서, 통형 케이스(36) 및 보빈(38)[코일(39)]의 내주측에 위치하며, 가동 철심(43)과 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앵커 부재(40)는, 내측에 축부(44)가 삽입 관통되는 통부(40A)와, 상기 통부(40A)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40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앵커 부재(40)는, 코일(39)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켰을 때에 후술하는 가동 철심(43)을 흡인하는 것이다. 이 경우, 플랜지부(40B)의 외주면은, 통형 케이스(36)의 밸브측 통부(36A)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플랜지부(40B)와 밸브측 통부(36A) 사이에서, 자속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통부(40A) 중 가동 철심(43)과 대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 가동 철심(43)이 흡착했을 때에 상기 가동 철심(43)이 들어가는 바닥이 있는 구멍부(4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앵커 부재(40)의 내주측에는, 후술하는 축부(44)를 지지하는 제1 부시(베어링)(45A)가 끼워 부착되는 부시 감합 구멍(40D)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앵커 부재(40) 중 가동 철심(43)측이 되는 타단측(도 2의 우단측)은, 그 외주면이 일단측[플랜지부(40B)측, 도 2의 좌단측]으로 향할수록 외경 치수가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형으로 된 환형의 코니칼부(40E)로 되어 있다. 즉, 코니칼부(40E)는, 바닥이 있는 구멍부(40C)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코니칼부(40E)는, 앵커 부재(40)와 가동 철심(43) 사이의 자기 특성을 리니어(직선적)로 하기 위한 것이다.
인서트 코어(41)는, 보빈(38)의 내부에 위치하며, 코일(39)의 내주측 및 타단측을 덮어 설치되어 있다. 이 인서트 코어(41)는, 자성재를 이용한 요크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가동 철심(43)이 삽입 관통되는 통부(41A)와, 상기 통부(41A)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41B)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철심(43)에 대향하는 통부(41A)의 내주측은, 보빈(38)에 밀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부(41A)와 가동 철심(43) 사이에서, 자속의 전달을 행할 수 있는 자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플랜지부(41B)의 외주측에는, 코일(39)에 케이블(35)을 접속하기 위한 절결(41C)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예컨대, 4개)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41C)에 의해 케이블(35)을 통과시키는 것 외에, 오버몰드(34) 및 보빈(38)의 성형 시의 수지 퍼짐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경우, 플랜지부(41B)의 외주면은, 절결(41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서 통형 케이스(36)의 코일측 통부(36B)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플랜지부(41B)와 코일측 통부(36B) 사이에서, 자속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캡 부재(42)는, 코일(39)[보빈(38)]의 내주측에 위치하며, 앵커 부재(40), 가동 철심(43), 배압실 형성 부재(46) 등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캡 부재(42)는, 비자성재의 박판에 의해 바닥이 있는 단차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부(42A)와 제1, 제2 통부(42B, 42C)와 테이퍼부(42D)와 플랜지부(42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캡 부재(42)는, 솔레노이드(33)의 내부를 액밀하게 하여, 감쇠력 조정 밸브(18) 내의 오일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캡 부재(42)의 바닥부(42A)는, 오버몰드(34)의 덮개부(34B)의 내주측에 위치하며, 캡 부재(42)의 타단측을 폐색하는 것이다. 또한, 제1 통부(42B)는 가동 철심(43) 및 배압실 형성 부재(46)의 외주측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제2 통부(42C)는 앵커 부재(40)의 외주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통부(42C)의 외형 치수는 제1 통부(42B)의 외형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 통부(42B)와 제2 통부(42C) 사이는 테이퍼부(42D)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42D)는, 앵커 부재(40)의 코니칼부(40E)의 경사를 따르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부(42E)는, 제2 통부(42C)의 일단측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통형 케이스(36)의 플랜지부(36C)와 앵커 부재(40)의 플랜지부(40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가동 철심(43)은, 코일(39) 및 캡 부재(42)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축부(44)에 일체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철심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43)은, 예컨대 철계의 자성체에 의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코일(39)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켰을 때에, 앵커 부재(40)에 흡착됨으로써 추력(推力)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가동 철심(43)은, 앵커 부재(40)측에 위치하며 앵커 부재(40)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후육 통부(43A)와, 후술하는 배압실 형성 부재(46)측에 위치하며 배압실 형성 부재(46)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테이퍼 통부(43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동 철심(43)의 후육 통부(43A)는, 그 내경이 축부(44)의 외경에 대응하고, 외경이 캡 부재(42)[제2 통부(42C)]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환형 판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후육 통부(43A)의 내주측에는, 축부(44)가 압입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구멍(43A1)이 형성되고, 가동 철심(43)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 구멍(43A1) 주위에는, 오목부(43A2)가 직경 방향으로 움푹 패여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3A2)는, 캡 부재(42)[제2 통부(42C)] 내에서 가동 철심(43)이 축부(44)와 함께 변위할 때에, 캡 부재(42) 내의 오일액이 후육 통부(43A) 내를 축 방향으로 유통되는 것을 허용하는 유통 구멍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43A2)는, 고정 구멍(43A1)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홀수 개(예컨대, 3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오목부(43A2)는, 고정 구멍(43A1)의 직경 방향(180°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43A2)는, 가동 철심(43)의 변위에 대해 솔레노이드(33) 내의 오일액에 유로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일액을 가동 철심(43)[후육 통부(43A)]의 축 방향으로 유통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고정 구멍(43A1) 주위(외주)에 위치하며 각 오목부(43A2) 사이는, 축부(44)가 압입 상태로 고정되는 비오목부(43A3)를 구성하고 있다.
테이퍼 통부(43B)는, 후육 통부(43A)로부터 배압실 형성 부재(46)측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주면이 테이퍼형으로 확대 개방되어 형성된 테이퍼면(43B1)으로 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43B1)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향할수록 내경 치수가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확대 개방되어 있다. 이 경우, 테이퍼 통부(43B)의 배압실(47)측의 단부의 두께는, 후육 통부(43A)의 두께의, 예컨대 절반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축부(44)는, 앵커 부재(40), 가동 철심(43), 배압실 형성 부재(46)의 내주측을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축부(44)의 축 방향의 양측은, 앵커 부재(40)와 배압실 형성 부재(46)에 제1, 제2 부시(45A, 45B)를 통해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부(44)는, 그 중간부에 가동 철심(43)이 압입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고정(서브어셈블리)되고, 가동 철심(43)과 일체로 변위하여 가동 철심(43)의 추력을 밸브체(32)에 전달하는 것이다. 여기서, 축부(44)의 내주측에는, 축부(44)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파일럿 밸브를 구성하는 밸브체(32)측과 배압실 형성 부재(46) 사이를 연통하는 축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연통로(44A)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44)의 일단측(도 2의 좌단측)은, 앵커 부재(40)로부터 돌출되고, 그 돌출단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체(32)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체(32)는, 가동 철심(43)과 축부(44)와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변위)한다. 환언하면, 밸브체(32)의 밸브 개방도 또는 밸브 개방압은, 코일(39)에의 통전에 기초한 가동 철심(43)의 추력에 대응한 것이 된다. 이에 의해, 가동 철심(43)은, 그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파일럿 밸브, 즉 파일럿 보디(26)의 밸브 시트부(26E)에 대한 밸브체(32)의 밸브 개폐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부시(45A)는, 앵커 부재(40)의 내주측에 위치하며 부시 감합 구멍(40D)에 설치되고, 베어링으로서 축부(44)의 일단측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2 부시(45B)는, 후술하는 배압실 형성 부재(46)의 내주측에 위치하며 부시 감합 구멍(46C)에 설치되고, 베어링으로서 축부(44)의 타단부측인 타단측을 지지하고 있다. 즉, 제1 부시(45A) 및 제2 부시(45B)는, 가동 철심(43)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제2 부시(45A, 45B)에 의해, 축부(44)는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한편, 제1 부시(45A)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앵커 부재(40)의 내주측으로 하였으나, 앵커 부재(40)의 내주에 한하지 않고, 앵커 부재(40)의 단 등에 설치해도 좋다.
배압실 형성 부재(46)는, 캡 부재(42)의 타단측[바닥부(42A)측] 내주에 감합되고, 축부(44)의 타단[가동 철심(43)을 사이에 두고 앵커 부재(40)와는 반대측의 단부]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배압실 형성 부재(46)는, 비자성체(비자성 재료)에 의해 바닥이 있는 단차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부(46A)와 통부(46B)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압실 형성 부재(46)의 내주측에는, 축부(44)를 지지하는 제2 부시(45B)가 감합되는 부시 감합 구멍(46C)이 형성되어 있다.
배압실 형성 부재(46)는, 그 내부에 오일액이 유입되는 배압실(47)을 형성하고, 오일액이 배압실(47) 내를 채운 상태에서 밸브체(32)의 수압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다. 즉, 배압실(47)은, 축부(44)의 타단측 단부와 제2 부시(45B)의 내주면[통부(46B)의 내주면]과 배압실 형성 부재(46)의 바닥부(46A)의 내주면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배압실(47)의 수압 면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32)가 밸브 시트부(26E)와의 사이에서 유압력(油壓力)을 수압하는 수압 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 및 상기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가 편입된 완충기(1)는, 전술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으로 그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완충기(1)를 자동차 등의 차량에 실장할 때에는, 예컨대 피스톤 로드(8)의 상단측이 차량의 차체측에 부착되고, 보텀 캡(3)에 설치된 부착 아이(3A)측이 차륜측에 부착된다. 또한, 솔레노이드(33)의 케이블(35)은, 차량의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 등에 접속된다.
차량의 주행 시에는, 노면의 요철 등에 의해, 상, 하 방향의 진동이 발생하면, 피스톤 로드(8)가 외통(2)으로부터 신장, 축소하도록 변위하고,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 등에 의해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차량의 진동을 완충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에 의해 솔레노이드(33)의 코일(39)에의 전류값을 제어하여, 밸브체(32)의 개방도(밸브 개방압)를 조정함으로써, 완충기(1)[감쇠력 조정 밸브(18)]에 의한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에서는, 내통(4) 내의 피스톤(5)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5)의 축소측 역지 밸브(7)가 폐쇄된다. 피스톤(5)의 디스크 밸브(6)의 밸브 개방 전에는, 로드측실(B)의 오일액이 가압되어, 내통(4)의 오일 구멍(4A), 환형실(D), 중간통(12)의 접속구(12C)를 통해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통형 홀더(20)의 유로(20B)에 유입된다. 이때, 피스톤(5)이 이동한 분만큼의 오일액은, 리저버실(A)로부터 보텀 밸브(13)의 신장측 역지 밸브(16)를 개방하여 보텀측실(C)에 유입된다. 한편, 로드측실(B)의 압력이 디스크 밸브(6)의 밸브 개방압에 도달하면, 상기 디스크 밸브(6)가 개방되어, 로드측실(B)의 압력을 보텀측실(C)로 릴리프한다.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에서는, 통형 홀더(20)의 유로(20B)에 유입된 오일액은, 메인 디스크 밸브(23)의 밸브 개방 전(피스톤 속도 저속 영역)에 있어서는, 도 3에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21)의 중심 구멍(21A), 파일럿 핀(24)의 중심 구멍(24B), 파일럿 보디(26)의 중심 구멍(26C)을 지나, 밸브체(32)를 약간 작은 개방도로 밀어 개방하여, 파일럿 보디(26)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파일럿 보디(26)의 내측으로 유입된 오일액은, 밸브체(32)의 플랜지부(32A)와 디스크 밸브(29) 사이, 유지 플레이트(30)의 유로(30A), 파일럿 캡(31)의 절결(31A), 밸브 케이스(19)의 오일실(19C)을 지나 리저버실(A)로 흐른다.
그리고,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따라, 통형 홀더(20)의 유로(20B)의 압력, 즉, 로드측실(B)의 압력이 메인 디스크 밸브(23)의 밸브 개방압에 도달하면, 통형 홀더(20)의 유로(20B)에 유입된 오일액은, 도 3에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21)의 유로(21B)를 지나, 메인 디스크 밸브(23)를 밀어 개방하고, 밸브 케이스(19)의 오일실(19C)을 지나 리저버실(A)로 흐른다.
한편, 피스톤 로드(8)의 축소 행정에서는, 내통(4) 내의 피스톤(5)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5)의 축소측 역지 밸브(7)가 개방되고, 보텀 밸브(13)의 신장측 역지 밸브(16)가 폐쇄된다. 보텀 밸브(13)[디스크 밸브(15)]의 밸브 개방 전에는, 보텀측실(C)의 오일액이 로드측실(B)에 유입된다. 이와 함께, 피스톤 로드(8)가 내통(4) 내에 진입한 분만큼에 상당하는 오일액이, 로드측실(B)로부터 감쇠력 조정 밸브(18)를 통해 리저버실(A)로, 전술한 신장 행정과 동일한 경로로 흐른다. 한편, 보텀측실(C) 내의 압력이 보텀 밸브(13)[디스크 밸브(15)]의 밸브 개방압에 도달하면, 보텀 밸브(13)[디스크 밸브(15)]가 개방되어, 보텀측실(C)의 압력을 리저버실(A)로 릴리프한다.
이에 의해,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과 축소 행정에서,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메인 디스크 밸브(23)의 밸브 개방 전(피스톤 속도 저속 영역)은, 밸브체(32)의 개방도에 따른 감쇠력이 발생하고, 메인 디스크 밸브(23)의 밸브 개방 후(피스톤 속도 고속 영역)는, 상기 메인 디스크 밸브(23)의 개방도에 따라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경우, 밸브체(32)의 개방도는, 솔레노이드(33)의 코일(39)에의 통전에 의해 가동 철심(43)에 발생시키는 자력(추력)을 조정함으로써, 하기와 같이 가변으로 제어된다.
즉, 코일(39)에의 통전 전류를 작게 하여 가동 철심(43)의 추력을 작게 하면, 밸브체(32)의 개방도는 커지고, 소프트측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때에는, 파일럿 핀(24)의 오리피스(24C)에 의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코일(39)에의 통전 전류를 크게 하여 가동 철심(43)의 추력을 크게 하면, 밸브체(32)의 개방도는 작아지고, 하드측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때, 밸브체(32)의 개방도가 변화함에 따라, 그 상류측의 유로(25)를 통해 연통되는 파일럿실(27)의 내압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밸브체(32)의 개방도를 가변으로 제어함으로써, 메인 디스크 밸브(23)의 밸브 개방압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고, 감쇠력 특성의 조정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 철심(43)의 변위에 따라, 캡 부재(42) 내의 오일액은, 가동 철심(43)의 후육 통부(43A)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43A2) 내를 유통한다.
한편, 코일(39)의 단선 등에 의해 가동 철심(43)의 추력이 상실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32)가 리턴 스프링(28)에 의해 후퇴[밸브 시트부(26E)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밸브체(32)의 플랜지부(32A)와 디스크 밸브(29)가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디스크 밸브(29)의 밸브 개방에 의해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코일의 단선 등의 상태 불량 시에도, 필요한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3)[코일(39)]에의 통전에 의해 밸브체(32)가 밸브 시트부(26E)에 착좌한 상태[즉, 밸브체(32)의 밸브 폐쇄 시]에 있어서, 밸브체(32)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파일럿 핀(24) 내의 오일액은, 축부(44)의 연통로(44A)를 통해 배압실(47)에 유통된다. 그리고, 배압실(47) 내에 충만한 오일액에 의해, 축부(44)의 타단면에는, 축부(44)를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을 향해 누르는 방향의 유압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밸브체(32)가 상류측[파일럿 핀(24)측]에서 유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은, 밸브 시트부(26E)에 대면하는 밸브체(32)의 면적으로부터 축부(44)의 단면적을 뺀 면적분이 된다.
또한, 코일(39)에 의해 발생한 자력(자속)은, 도 3 중에 화살표 M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 케이스(36)의 코일측 통부(36B), 통형 케이스(36)의 코일측 통부(36B)와 인서트 코어(41)의 플랜지부(41B)의 접촉부, 인서트 코어(41), 가동 철심(43), 가동 철심(43)으로부터 앵커 부재(40)의 코니칼부(40E), 앵커 부재(40), 앵커 부재(40)의 플랜지부(40B)와 통형 케이스(36)의 밸브측 통부(36A)의 접촉부의 순으로 순회한다.
이 경우, 배압실 형성 부재(46)는 비자성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39)의 통전 시에 발생한 자력은, 배압실 형성 부재(46)를 순회하는 일은 없고, 인서트 코어(41)를 통해 가동 철심(43)에 전해질 수 있다. 또한, 도 3 중의 화살표 M으로 나타내는 자속의 흐름은, 각각의 부재 사이의 간극이 작기 때문에, 자속의 전달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동 철심(43)의 배압실 형성 부재(46)측에는, 가동 철심(43)의 내주면이 테이퍼형으로 확대 개방된 테이퍼 통부(43B)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가동 철심(43)의 축 방향 치수를 길게 하여 자속의 전달 면적을 확보한 경우에도, 가동 철심(43)을 중공형으로 하여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통부(43B)에 의해, 가동 철심(43)의 외주측 면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가동 철심(43)을 중공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속이 흐르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솔레노이드(33) 내에 캡 부재(42)를 설치한 경우에도, 자속이 흐르는 면적을 확보하면서, 경량화에 의해 가동 철심(43)이 축 방향으로 변위할 때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철심(43)의 변위 시의 추력을 확보하여, 가동 철심(43)의 동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동 철심(43)의 후육 통부(43A)에는, 축부(44)가 고정되는 고정 구멍(43A1) 주위에, 예컨대 3개의 오목부(43A2)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가동 철심(43)이 변위할 때에, 각 오목부(43A2)를 통해 오일액이 유통되기 때문에, 가동 철심(43)의 변위 시의 유로 면적을 확보하여 체적 보상을 할 수 있고, 오일액의 흐름에 의한 스로틀 작용(댐핑)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목부(43A2)는 후육 통부(43A)의 내주측 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철심(43)[후육 통부(43A)]의 외주부의 면적(즉, 자속 밀도)을 감소시키지 않고, 오일액을 유통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가동 철심(43)의 변위 시의 추력을 확보하여, 가동 철심(43)의 변위 시의 동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동 철심(43)의 오목부(43A2)를 복수 개인 3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오일액이 유통되는 유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가동 철심(43)의 댐핑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철심(43)의 변위 시의 동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철심(43)의 오목부(43A2)를 고정 구멍(43A1)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축부(44)와 가동 철심(43)을 코킹할 때에, 축부(44)가 가동 철심(43)의 고정 구멍(43A1) 내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가동 철심(43)의 추력이 변동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철심(43)의 오목부(43A2)를 홀수 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각 오목부(43A2)를 고정 구멍(43A1)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33)의 코일(39)의 내주측에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캡 부재(42)를 배치하고, 상기 캡 부재(42) 내에 배압실 형성 부재(46), 가동 철심(43) 및 앵커 부재(4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33) 내를 용이하게 액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캡 부재(42) 내의 유압력은, 앵커 부재(40), 가동 철심(43), 배압실 형성 부재(46) 등으로 주로 받아지기 때문에, 캡 부재(42)가 솔레노이드(33) 내의 유압력을 직접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캡 부재(42)가 받는 유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캡 부재(42)의 두께 치수를 작게(얇게) 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결과, 캡 부재(42)의 자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자기 효율로, 인서트 코어(41)로부터 캡 부재(42)를 통해 가동 철심(43)에 자속을 전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철심(43)의 고정 구멍(43A1)의 비오목부(43A3)는, 축부(44)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오일액이 유통되는 오목부(43A2)의 유로 면적을 확보하면서, 비오목부(43A3)[즉, 고정 구멍(43A1)]를 이용하여 축부(44)를 고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축부(44)가 가동 철심(43)에 대해 기우는 것을 억제하고, 가동 철심(43)의 추력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식 감쇠력 조정 장치(17), 즉 완충기(1)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33)에 있어서, 자속 밀도는, 인서트 코어(41)와 가동 철심(43) 사이는 높고, 가동 철심(43)과 앵커 부재(40) 사이는 인서트 코어(41)와 가동 철심(43) 사이와 비교하여 간극이 크기 때문에 자속 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테이퍼 통부(43B)의 배압실(47)측의 두께를, 후육 통부(43A)의 두께의 절반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동 철심(43) 중 자속 밀도가 높은 부분의 두께를 작게 하고, 자속 밀도가 낮은 부분을 향해 두께를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자속 밀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자기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가동 철심(43)의 변위 시의 추력을 확보하여, 가동 철심(43)의 변위 시의 동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철심(43)의 고정 구멍(43A1)에 오목부(43A2)를 3개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제1 변형예와 같이, 가동 철심(51)의 고정 구멍(51A) 주위에, 오목부(51B)를 2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각 오목부(51B)는, 고정 구멍(51A)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제2 변형예와 같이, 가동 철심(61)의 고정 구멍(61A) 주위에, 오목부(61B)를 5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각 오목부(61B)는, 고정 구멍(61A)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제3 변형예와 같이, 가동 철심(71)의 고정 구멍(71A) 주위에, 오목부(71B)를 1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오목부(71B)의 면적은, 오일액이 충분히 유통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서, 예컨대 전술한 3개의 오목부(43A2)의 합계 면적에 대응한 유로 면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제4 변형예와 같이, 가동 철심(81)의 고정 구멍(81A) 주위에, 비원형(예컨대, 사각형 또는 삼각형 형상)의 오목부(81B)를 1개 또는 복수 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33)를 비례 솔레노이드로서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ON/OFF 솔레노이드로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철심(43)을 사이에 두고 고정 철심(40)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축부(44)의 단부와, 상기 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배압실 형성 부재(46) 사이에 형성되는 배압실(47)과, 배압실 형성 부재(46)의 내주측과 가동 철심(43) 사이에 설치되고 축부(44)를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베어링(45B)을 설치하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축부(44)의 지지는, 가동 철심(43)과 제1 베어링(45A)으로 행하고, 배압실 형성 부재(46), 배압실(47), 제2 베어링(45B)을 이용하지 않고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외통(2)과 내통(4)으로 이루어지는 복통식(複筒式)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완충기(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단통식의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완충기에 적용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발명에 대해, 이하에 서술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후육 통부는, 상기 고정 구멍 주위에 위치하며 직경 방향으로 움푹 패여 형성되고 상기 가동 철심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작동 유체를 축 방향으로 유통시키는 오목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를 통해 작동 유체를 유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철심의 변위 시의 동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후육 통부에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각 오목부는, 상기 고정 구멍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오일액이 유통되는 유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고, 축부가 가동 철심의 고정 구멍 내에 있어서 직경 방향 어느 한쪽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홀수 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를 고정 구멍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압실 형성 부재, 상기 가동 철심 및 상기 고정 철심은, 상기 코일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캡 부재 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 내를 용이하게 액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구멍의 비오목부는, 상기 축부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오일액이 유통되는 오목부의 유로 면적을 확보하면서, 비오목부를 이용하여 축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퍼 통부의 상기 배압실측의 두께는, 상기 후육 통부의 두께의 절반 이하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동 철심 중 자속 밀도가 높은 부분의 두께를 작게 하고, 자속 밀도가 낮은 부분을 향해 두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기초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예컨대 이하에 서술하는 양태의 것이 고려된다.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의 제1 양태로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 내를 로드측실과 보텀측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일측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신축에 의해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감쇠력 조정 밸브를 구비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측이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철심과, 상기 가동 철심과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코일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고정 철심과, 상기 코일의 외주를 덮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오버몰드와, 상기 가동 철심 및 상기 고정 철심의 내주측을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동 철심과 일체로 변위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상기 고정 철심측의 일단부에는, 상기 감쇠력 조정 밸브의 밸브체가 설치되고, 상기 축부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밸브체측과, 상기 가동 철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 철심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축부의 타단부측을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 철심은, 상기 고정 철심과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내주측에 상기 축부가 고정되는 고정 구멍이 형성된 후육 통부와, 상기 후육 통부로부터 상기 축부의 타단부측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주면이 테이퍼형으로 확대 개방된 테이퍼 통부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제2 양태로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타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배압실 형성 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압실과, 상기 배압실 형성 부재의 내주측과 상기 가동 철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 철심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축부를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제2 베어링을 구비하고 있다.
제3 양태로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후육 통부는, 상기 고정 구멍 주위에 위치하며 직경 방향으로 움푹 패여 형성되고 상기 가동 철심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작동 유체를 축 방향으로 유통시키는 오목부를 갖고 있다.
제4 양태로서는,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후육 통부에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각 오목부는, 상기 고정 구멍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5 양태로서는, 제3 또는 제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홀수 개 형성되어 있다.
제6 양태로서는, 제3 내지 제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배압실 형성 부재, 상기 가동 철심 및 상기 고정 철심은, 상기 코일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캡 부재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7 양태로서는,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멍의 비오목부는, 상기 축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8 양태로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통부의 상기 배압실측의 두께는, 상기 후육 통부의 두께의 절반 이하이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신규의 교시나 이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예시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상기 실시형태를 임의로 조합해도 좋다.
본원은 2016년 6월 24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6-125559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2016년 6월 24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6-125559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전체로서 편입된다.
1: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2: 외통(실린더)
4: 내통(실린더) 8: 피스톤 로드
18: 감쇠력 조정 밸브 32: 밸브체
33: 솔레노이드 34: 오버몰드
39: 코일 40: 앵커 부재(고정 철심)
42: 캡 부재 43, 51, 61, 71, 81: 가동 철심
43A: 후육 통부 43A1, 51A, 61A, 71A, 81A: 고정 구멍
43A2, 51B, 61B, 71B, 81B: 오목부 43A3: 비오목부
43B: 테이퍼 통부 44: 축부
44A: 연통로 45A: 제1 부시
45B: 제2 부시 46: 배압실 형성 부재
47: 배압실 B: 로드측실
C: 보텀측실 D: 환형실(유로)

Claims (8)

  1.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상기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 내를 로드측실과 보텀측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일측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신축에 의해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유로(流路)와,
    상기 유로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감쇠력 조정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는,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측이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철심과,
    상기 가동 철심과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코일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고정 철심과,
    상기 코일의 외주를 덮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오버몰드와,
    상기 가동 철심 및 상기 고정 철심의 내주측을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동 철심과 일체로 변위하는 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축부의 상기 고정 철심측의 일단부에는, 상기 감쇠력 조정 밸브의 밸브체가 설치되고,
    상기 축부에는 연통로(連通路)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축부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로는, 상기 밸브체측과, 상기 가동 철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 철심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축부의 타단부측을 연통시키고,
    상기 가동 철심은, 상기 고정 철심과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내주측에 상기 축부가 고정되는 고정 구멍이 형성된 후육(厚肉) 통부와, 상기 후육 통부로부터 상기 축부의 타단부측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주면이 테이퍼형으로 확대 개방된 테이퍼 통부에 의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타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배압실 형성 부재와, 상기 타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압실과,
    상기 배압실 형성 부재의 내주측과 상기 가동 철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 철심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축부를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제2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 통부는, 상기 고정 구멍 주위에 위치하며 직경 방향으로 움푹 패여 형성되고 상기 가동 철심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작동 유체를 축 방향으로 유통시키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후육 통부에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각 오목부는, 상기 고정 구멍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홀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실 형성 부재, 상기 가동 철심 및 상기 고정 철심은, 상기 코일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캡 부재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멍의 비오목부는, 상기 축부에 고정되는 것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통부의 상기 배압실측의 두께는, 상기 후육 통부의 두께의 절반 이하인 것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20187035716A 2016-06-24 2017-06-21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2164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5559 2016-06-24
JPJP-P-2016-125559 2016-06-24
PCT/JP2017/022813 WO2017221967A1 (ja) 2016-06-24 2017-06-21 減衰力調整式緩衝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004A true KR20190007004A (ko) 2019-01-21
KR102164068B1 KR102164068B1 (ko) 2020-10-12

Family

ID=6078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716A KR102164068B1 (ko) 2016-06-24 2017-06-21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255400B2 (ko)
JP (1) JP6731047B2 (ko)
KR (1) KR102164068B1 (ko)
CN (1) CN109416102B (ko)
DE (1) DE112017003159T5 (ko)
WO (1) WO2017221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5400B2 (en) * 2016-06-24 2022-02-22 Hitachi Astemo, Ltd. Damping 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DE102020210538A1 (de) * 2020-08-19 2022-02-24 Thyssenkrupp Ag Schwingungsdämpfer und ein Dämpferrohr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DE102021214563B4 (de) 2021-12-17 2023-11-09 Zf Friedrichshafen Ag Externes Dämpfventil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sowie Schwingungsdämpfer mit dem Dämpfventil
EP4299946A1 (en) * 2022-07-01 2024-01-03 DRiV Automotive Inc. Valve arrangement, valve device, shock absorber and method of regulating pressure in a fluid flow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969U (ja) * 1983-04-14 1984-10-27 日立建機株式会社 電磁弁
JPH0635758U (ja) * 1992-10-15 1994-05-13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11038630A (ja) * 2009-07-15 2011-02-24 Tgk Co Ltd 電磁弁
JP2013213588A (ja) 2013-07-22 2013-10-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減衰力調整式緩衝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2886C2 (de) * 1979-10-24 1983-10-0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Elektrohydraulisches Servoventil
JPS59160969A (ja) 1983-03-01 1984-09-1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酸素極
DE3844642A1 (de) * 1988-07-11 1990-05-17 Daimler Benz Ag Hydraulischer teleskopstossdaempfer
JPH02248784A (ja) * 1989-03-23 1990-10-04 Aisin Aw Co Ltd 三方電磁弁
US5180039A (en) * 1989-07-06 1993-01-19 Fichtel & Sachs Ag Fluid passage unit
JPH0635758A (ja) 1992-07-20 1994-02-10 Fujitsu Ltd プログラム監視制御装置
US5346175A (en) * 1992-12-31 1994-09-13 Kelsey-Hayes Company Variable assist steering control valve
US7808134B2 (en) * 2006-06-16 2010-10-05 Continental Automotive Canada, Inc. Active control mount magnetic optimization for an engine
DE102007031855A1 (de) * 2007-07-09 2009-01-15 Robert Bosch Gmbh Ventilpatrone für ein Magnetventil
JP5387841B2 (ja) * 2009-09-30 2014-01-1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CN201575100U (zh) * 2009-12-29 2010-09-08 深圳市德平国瀚汽车电子科技有限公司 可控伸缩减振器
JP5835833B2 (ja) * 2010-11-17 2015-12-24 Kyb株式会社 緩衝器
JP6084787B2 (ja) 2012-06-29 2017-02-2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ソレノイド
DE102013213712A1 (de) * 2013-07-12 2015-01-15 Zf Friedrichshafen Ag Elektromagnetischer Aktor sowie Fluidventil mit einem solchen Aktor
DE102014101664A1 (de) * 2014-02-11 2015-08-13 Kendrion (Villingen) Gmbh Druckregelventil
KR101907036B1 (ko) * 2014-04-11 2018-10-12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CN104444698B (zh) * 2014-12-15 2017-03-15 重庆和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梯自适应还原阻尼力的缓冲系统
JP6377520B2 (ja) 2014-12-26 2018-08-2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及びこの油圧システムを備えた作業機
DE102015116464A1 (de) * 2015-09-29 2017-03-30 Voith Patent Gmbh Elektromagnetischer Stellantrieb zur Ausführung einer linearen Bewegung
DE112016001091T5 (de) * 2015-10-27 2018-01-0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Dämpfer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des Dämpfers
US11255400B2 (en) * 2016-06-24 2022-02-22 Hitachi Astemo, Ltd. Damping 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WO2018004538A2 (en) * 2016-06-28 2018-01-04 Borgwarner Inc. Solenoid having inverse tapered armature for solenoid-actuated valve
US10598298B2 (en) * 2018-08-27 2020-03-24 Borg Warner Inc. Control valve and hydraulic control module including the same
EP3951169A4 (en) * 2019-04-04 2022-11-30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969U (ja) * 1983-04-14 1984-10-27 日立建機株式会社 電磁弁
JPH0635758U (ja) * 1992-10-15 1994-05-13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11038630A (ja) * 2009-07-15 2011-02-24 Tgk Co Ltd 電磁弁
JP2013213588A (ja) 2013-07-22 2013-10-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減衰力調整式緩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28115A1 (en) 2022-04-28
US20190323575A1 (en) 2019-10-24
JP6731047B2 (ja) 2020-07-29
WO2017221967A1 (ja) 2017-12-28
JPWO2017221967A1 (ja) 2019-03-22
DE112017003159T5 (de) 2019-03-07
US11255400B2 (en) 2022-02-22
KR102164068B1 (ko) 2020-10-12
CN109416102B (zh) 2020-11-10
US11668366B2 (en) 2023-06-06
CN109416102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332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5843842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20190007004A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6084787B2 (ja) ソレノイド
KR101321386B1 (ko) 쇽업소버
JP6440861B2 (ja) 緩衝器及び緩衝器の組立方法
US20230032430A1 (en) Solenoid, damping force adjustment mechanism, and damping 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US5551540A (en) Vibration damper and a vibration damper with a valve actuation device
JP2016050612A (ja) 緩衝器
KR102587418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US10112453B2 (en) Shock absorber
JP2014073018A (ja) ソレノイド
JP6383021B2 (ja) ソレノイド
JP6719278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22181319A1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23238543A1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2023172640A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および圧力制御弁
JP2024048011A (ja) ソレノイド
JP2015068479A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2024003373A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20230048438A (ko)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