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776A -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776A
KR20190005776A KR1020180078188A KR20180078188A KR20190005776A KR 20190005776 A KR20190005776 A KR 20190005776A KR 1020180078188 A KR1020180078188 A KR 1020180078188A KR 20180078188 A KR20180078188 A KR 20180078188A KR 20190005776 A KR20190005776 A KR 20190005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rail
blade
window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고르스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ublication of KR2019000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52Position of the wipers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02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 B60S1/340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the wiper blades being moved substantially parallel with thems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using several drive motors; motor synchronisation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0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cable drives; by flexible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2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a plurality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86Means to allow blade to follow curvature of the screen (i.e. rotation along longitudinal axis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25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the squeegee mounted directly to or in wiper blade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상물은, 윈도우(5) 위에서 선형 병진 형태로 그리고 이 윈도우(5)의 2개의 대향 측면(5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1 말단(31)과 제2 말단(33)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를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 특히 차량용 와이핑 시스템(1)이며, 와이핑 시스템(1)은 윈도우(5)의 측면(5a)에 배치된 적어도 제1 레일(91) 및 제2 레일(93)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제1 레일(91) 및 제2 레일(93)은 각각 윈도우(5)의 형상을 따르도록 의도된 곡률을 가지며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과 제2 말단(33)에 각각 연결된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와이핑 시스템(1)은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131)과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133)을 통하여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를 각각 구동하기 위해 제1 레일(91)과 제2 레일(93)에 각각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71)와 하나의 제2 구동 모터(73)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는 제1 런너(111)의 이동과 제2 런너(113)의 이동이 동기화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15)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WIPER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윈도우 와이핑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닦여질 윈도우 위로 블레이드가 선형 병진 운동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는 선형 와이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와이핑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쓸어냄으로써 닦아내기 위하여 제1 최종 위치와 제2 최종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 운동 형태로 이동하는 아암에 가능하게는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현재, 차량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으로, 차량의 공기 침투 계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공기 역학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한 가지 개선점은 특히 차량의 전면 윈드스크린의 곡률 반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차량의 곡률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윈드스크린과 함께, 전형적인 회전 와이핑 시스템은 이러한 윈도우의 정확한 닦임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선형 와이핑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윈도우의 최상부에 위치된 레일을 가지며 와이퍼 블레이드가 고정된 와이퍼 아암을 지지하는 이동식 요소가 그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선형 와이핑 시스템이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나, 와이퍼 블레이드는 자유 말단을 갖는다. 이 자유 말단은 특히 아암에 연결된 말단을 빠른 속도로 따를 수 없으며 닦임 수준은 보장될 수 없다. 또한, 자유 말단의 존재는 블레이드를 약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는 강한 옆바람의 경우에 구부러지거나 심지어 부서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로, 자유 말단이 계속해서 누리고 있는 자유도 때문에 이동식 요소가 손상되고 특히 변형될 수 있다. 더욱이, 와이퍼 아암에 의해 부과된 강성 때문에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충분한 유연성을 나타낼 수 없으며,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가 닦여질 윈도우의 곡률을 따르는 것을 방해한다.
더욱이, 닦여질 윈도우의 일 측면에 각 말단이 연결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갖는 선형 와이핑 시스템이 또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와이핑 시스템은 닦여질 윈도우 위로 와이퍼 블레이드가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이동식 요소를 구동하기 위하여 닦여질 윈도우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된 모터를 갖는다.
그러나, 닦여질 윈도우의 측면들이 동일한 길이를 갖지 않을 수 있고, 제1 와이핑 위치와 제2 와이핑 위치 사이에서 블레이드들의 말단들의 이동 거리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와이핑 시스템으로는 윈도우의 닦임이 불충분하다는 것이 판명될 수 있고, 블레이드 말단의 주행 말단 부근에 위치된 구역은 정확하게 닦이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잠재적으로 시계(visibility)를 악화시키고 이에 따라 주행 안전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나열된 선행 기술의 단점의 영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시키는 것이다.
위의 목적과 상이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닦여질 윈도우 전체가 정확하게 닦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선형 와이핑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윈도우의 어떠한 곡률에서도, 닦여질 윈도우의 정확한 닦임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핑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대상물은, 윈도우 위에서 선형 병진 형태로 그리고 이 윈도우의 2개의 대향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1 말단과 제2 말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 특히 차량용 와이핑 시스템이며, 이 와이핑 시스템은 윈도우의 측면에 배치된 적어도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은 각각 윈도우의 형상을 따르도록 의도된 곡률을 가지며 블레이드의 제1 말단과 제2 말단에 각각 연결된 제1 런너(runner)와 제2 런너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리고 와이핑 시스템은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과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을 통하여 제1 런너와 제2 런너를 각각 구동하기 위해 제1 레일과 제2 레일에 각각 배치된 하나의 제1 구동 모터와 하나의 제2 구동 모터를 적어도 더 포함하며, 적어도 제1 구동 모터와 제2 구동 모터는 제1 런너의 이동과 제2 런너의 이동이 동기화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존재는 닦여질 윈도우에 블레이드가 견고하게 가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이 레일의 형상은 닦여질 윈도우의 형상을 따르며, 이는 블레이드가 윈도우와 영구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고 윈도우의 어떠한 곡률에서도 윈도우의 다양한 구역에서의 정확한 닦임을 보장한다. 또한, 제1 런너 및 제2 런너가 레일 내에서 동기화된 방식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구동 모터 및 제2 구동 모터의 사용은 윈도우 위의 블레이드의 정확한 선형 병진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블레이드 이동의 말단에 배치된 구역의 닦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핑 시스템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고려되는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의 제1 말단은 블레이드의 제1 말단과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 내에 배치된 제1 런너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스프링을 갖는다.
블레이드의 제2 말단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 내에 배치된 제2 런너와 협력하도록 의도된, 특정 형상의, 특히 구형 또는 평행육면체의 부착물을 갖는다.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제2 말단은 블레이드의 제2 말단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 내에 배치된 제2 런너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스프링을 가질 수 있다.
제1 런너와 제2 런너는, 레일 내에 수용된 제1 말단 및 상기 런너가 블레이드의 제1 말단 또는 제2 말단과 협력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의도된 클립을 제공하는 제2 말단을 갖는다.
런너의 제1 말단은 레일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휠을 갖는다.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런너의 클립은 블레이드의 제2 말단에 의하여 지지된 부착물의 특정 형상을 보완하는 형상을 갖는다.
한 양태에 따르면, 제1 레일과 제2 레일은 0.25 미만의 마찰 계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 표면을 갖는다.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내부 표면을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은 구리, 주석, 청동,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아미드, 흑연, 나일론, 아세탈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내부 표면은 제1 런너와 제2 런너가 공기층 상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의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제1 구동 모터와 제2 구동 모터는 제1 런너와 제2 런너를 동일한 속도로 각각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의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윈도우의 2개의 대향 측면의 길이 차이의 영향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제1 구동 모터와 제2 구동 모터는 제1 런너와 제2 런너를 다른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구동 모터와 제2 구동 모터는 닦여질 윈도우의 표면 위로 블레이드를 2 m/초 이하의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한 양태에 따르면,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과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은 벨트-풀리 시스템, 케이블-풀리 시스템 또는 대안으로 랙-풀리 시스템으로부터 선택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제1 레일과 제2 레일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말단 개구를 가지며, 상기 말단 개구는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과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의 손상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형상, 특히 둥근 형상 또는 모따기된 형상을 갖는다.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핑 시스템은,
제1 레일의 중심과 제2 레일의 중심에 각각 배치된 제1 구동 모터와 제2 구동 모터,
윈도우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된 제1 블레이드 및 제1 구동 모터와 제2 구동 모터에 대하여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윈도우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된 제2 블레이드,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과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
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 및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은,
- 제1 레일의 중심과 제2 레일의 중심에 위치되며 제1 구동 모터와 제2 구동 모터에 의하여 각각 회전식으로 운동하는 제1의 4줄 홈 풀리와 제2의 4줄 홈 풀리,
- 제1 레일의 종단과 제2 레일의 종단에 각각 위치된 2개의 제1의 2줄 홈 풀리와 2개의 제2의 2줄 홈 풀리, 및
- 제1의 2줄 홈 풀리를 제1의 4줄 홈 풀리에 연결하고 제2의 2줄 홈 풀리를 제2의 4줄 홈 풀리에 연결하며,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런너를 지지하고 이 적어도 하나의 런너가 2줄 홈 풀리와 4줄 홈 풀리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4개의 케이블
을 포함하고,
닦여질 윈도우 위에서 제1 블레이드 또는 제2 블레이드가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2줄 홈 풀리와 4줄 홈 풀리는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비제한적인 설명으로서 주어진 다음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그리고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와이핑 시스템의 개략적인 고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핑 시스템의 레일의 개략적인 부분도이다.
도 3a는 도 2의 레일 내에 수용되도록 의도된 제1 런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의 레일 내에 수용되도록 의도된 제2 런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와이핑 시스템의 블레이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와이핑 시스템의 관련 결합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4줄 홈 풀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와이핑 시스템의 관련 결합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2줄 홈 풀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레일의 한 말단에 배치된 도 6의 2줄 홈 풀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a는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른 와이핑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와이핑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 도면들에서,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고 번호를 갖는다.
이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다. 설명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이 설명은 각 참조 번호가 동일한 실시예와 관련되거나 또는 그 특징이 하나의 단일 실시예에만 적용된다는 점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로부터의 간단한 특징들은 또한 조합되거나 대체되어 다른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블레이드의 제1 말단 및 제2 말단, 윈도우의 제1 말단 및 제2 말단, 제1 구동 모터 및 제2 구동 모터, 제1 레일 및 제2 레일, 제1 런너 및 제2 런너,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 및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 그리고 윈도우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이 참조된다.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요소를 차별화하고 명칭을 지정하기 위하여 이는 단지 색인의 한 형태일 뿐이다. 이러한 색인은 한 요소가 다른 요소보다 우선한다는 것을 암시하지 않으며, 이러한 명명 관례는 본 설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쉽게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색인은, 예를 들어 와이핑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의 레이아웃을 평가할 때 또는 와이핑 시스템의 작동을 평가할 때 시간에 관한 순서를 암시하지 않는다.
다음 설명에서, "윈도우의 직사각형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에 의하여 의미되는 것은 이 윈도우의 2차원 형상이며, 이는 곡률 반경을 고려하지 않고 그 형상을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런너(runner)"가 다음 설명에서 의미하는 것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식 객체이다.
다음 설명에서, 다양한 요소들이 먼저 일반적인 용어로 도입되고, 후에 특히 그들이 어떻게 위치되는지를 지정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용어는 그 특정 용도 이전에 일반적인 용어로 도입된 요소의 다양한 특징을 나타낸다.
특히, 차량용 와이핑 시스템(1)을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한다. 도면을 복잡하게 하지 않기 위해, 와이핑 시스템(1)의 일부만이 도시된다. 와이핑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7)를 포함한다.
(도 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블레이드(3)는 화살표(F1 및 F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닦여질 차량 윈도우(5) 위로 선형 병진 형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선형 병진이 의미하는 것은, 수평선과 평행한 윈도우(5) 위로의 블레이드(3)의 병진 이동이다. 윈도우(5)는, 예를 들어 전면 윈드스크린과 같은 직사각형 형상 또는 사다리꼴 전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공기 역학 특성을 개선하고 이에 따라서 차량의 에너지 소비를 제한하기 위하여, 윈도우(5)는 차량 내부의 외부를 향하는 곡률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는 윈도우(5)의 제1 말단(50a)에 위치된 제1 말단(31), 제1 말단(50a)에 대향하는 윈도우(5)의 제2 말단(50b)에 위치된 제2 말단(33) 그리고 윈도우를 닦기 위하여 윈도우(5)와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 블레이드 러버(34; blade rubber)를 갖는다. 따라서, 와이핑 시스템(1)은 선형 와이핑 시스템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와이핑 시스템(1)은 예를 들어 윈드스크린을 형성하는 윈도우(5)의 각 측면 상에 하나씩 위치된 2개의 블레이드(3)를 포함한다. 그러나, 와이핑 시스템(1)은, 예를 들어 닦여질 윈도우(5)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블레이드(3)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7)는, 상기 윈도우(5)의 2개의 대향 측면(5a)에 평행한 방향으로, 닦여질 윈도우(5) 위로 블레이드(3)가 병진 이동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7)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15)에 연결된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핑 시스템은 윈도우(5)의 제1 말단(50a)에 배치된 제1 구동 모터(71) 및 윈도우(5)의 제2 말단(50b)에 배치된 제2 구동 모터(73)를 포함하며, 윈도우(5)의 제1 말단(50a)과 제2 말단(50b)은 대향 측면들(5a)에 대응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15)에 의해 작동되는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는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과 제2 말단(33)이 동기화된 방식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여, 이 윈도우(5)의, 특히 이 윈도우(5)의 말단 구역의, 정확한 닦임을 보장하기 위해 블레이드 러버(34)가 전체 윈도우(5), 및 특히 블레이드의 제1 말단(31)과 제2 말단(33)을 가로질러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제어 유닛(15)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와이핑 시스템(1)은 단일 제어 유닛(15)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와이핑 시스템(1)은 윈도우(5)의 측면(5a)을 따라 배치되고 이 윈도우(5) 위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도 2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레일(9)을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핑 시스템은 제1 레일(91)과 제2 레일(93)을 포함하며, 도 1을 참고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일(91)은 윈도우(5)의 제1 말단(50a)에 위치되고 제2 레일(93)은 윈도우(5)의 제2 말단(50b)에 위치된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91)과 제2 레일(93)은 각각 닦여질 윈도우(5)의 형상을 따르기 위한 곡률을 갖는다. 적어도 2개의 레일(9)은 블레이드(3)의 (도 3a 및 도 3b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런너(11)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제1 레일(91)은 제1 런너(111)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제2 레일(93)은 제2 런너(113)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는 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제1 구동 모터(71)가 제1 레일(91)에 배치되고, 제2 구동 모터(73)는 제2 레일(93)에 배치된다.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는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과 제2 말단(33)에 각각 연결된다. 와이핑 시스템(1)은 런너(11)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도 5 내지 도 7에 가장 잘 볼 수 있는) 관련 결합 메커니즘(13)을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와이핑 시스템(1)은 제1 레일(91) 내에서 제1 런너(11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구동 모터(71)에 연결된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131) 및 제2 레일(93) 내에서 제2 런너(113)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 구동 모터(73)에 연결된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133)을 포함한다.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 및 제2 말단(33)에 각각 연결되고 제1 레일(91) 및 제2 레일(93)에 수용된 제1 런너(111) 및 제2 런너(113)의 존재는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 및 제2 말단(33)이 윈도우(5)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곡률이 어떠하든 이는 특히 윈도우(5) 전체의 효과적인 닦임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윈도우(5)의 제1 말단(50a)은 길이(L1)를 가지며, 윈도우(5)의 제2 말단(50b)은 길이(L2)를 갖는다. 이 길이(L1 및 L2)는 고려되는 차량에 따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윈도우(5)의 길이(L1) 및 길이(L2)가 동일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는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를 동일한 속도로 각각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이러한 구성에서 제1 런너(111) 및 제2 런너(113)의 이동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블레이드가 윈도우(5)에 걸쳐 병진적으로 이동할 때 블레이드(3) 상의 비틀림 부하를 제한하기 위하여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는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에 의하여 동일 속도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15)은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가 제1 레일(91)과 제2 레일(93)에서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모터의 작동을 명령한다.
윈도우(5)의 길이(L1 및 L2)들이 다른 경우에, 닦여질 윈도우(5)의 2개의 대향 측면(5a)의 길이 차이의 영향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는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를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러버(34)가 윈도우(5) 전체를 가로질러 이동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리고 블레이드가 이동할 때 블레이드(3) 상의 비틀림 부하를 제한하기 위하여, 특히 이 길이 차이의 영향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과 제2 말단(33)이 다른 속도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그에 대해, 블레이드(3)에 가해질 수 있는 비틀림 부하를 제한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블레이드 러버(34)가 윈도우(5) 전체를 가로질러 이동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1 런너 및 제2 런너가 항상 서로를 계속 향하도록 제어 유닛(15)은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가 다른 속도로 이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동 모터(7)의 작동을 명령한다.
도 1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는 닦여질 윈도우(5)의 표면 위로 블레이드(3)를 2 m/초 이하의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블레이드(3)를 윈도우(5) 위로 이러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은, 블레이드(3)가 제조되는 물질의 가열 및 이에 따른 마모를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물질은 잠재적으로, 예를 들어 고무이다.
레일(9)을 더욱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도 2가 참조된다. 다음의 설명은 도 1의 제1 레일(91) 또는 제2 레일(93)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 특정 실시예에 따른 레일(9)은 블레이드(3)의 병진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진 프로파일 요소에 비유될 수 있다. 레일(9)은 차량의 외부를 향하여 위치되도록 의도된 전방면(9a) 및 이 전방면(9a)에 대향하고 레일(9)이 차량에 설치되고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차량의 차체와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의도된 후방면(9b)을 갖는다. 레일(9)은, 예를 들어, 나사 체결, 용접 또는 심지어 접합과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9)은 적어도 하나의 런너(11)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표면(95), 전방면(9a)에 배치되고 레일(9)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블레이드(3)와 협력하는 런너(11)의 부분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중앙 개구(96), 및 런너(11)가 레일(9)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관련 결합 메커니즘(13)의 부분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하여 레일(9)의 각 말단에 배치된 말단 개구(97)를 갖는다.
레일(9) 내에서의 런너(1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 표면(95)은 0.25 미만의 마찰 계수를 갖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도 2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9)의 내부 표면(95)을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은 구리, 주석, 청동,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아미드, 흑연, 나일론, 아세탈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레일(9)의 내부 표면(95)을 위한 이러한 물질의 사용은 레일(9)의 내부를 따라 이동할 때의 런너(11)의 마모를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레일(9)의 내부 표면(95)은 런너(11)가 공기층 상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관련 결합 메커니즘(13)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9)의 말단 개구(97)는 예를 들면 둥근 형상 또는 모따기된 형상과 같이 관련 결합 메커니즘(13)의 손상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3)를 도시한 도 4가 참조된다. 이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은,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과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91)에 배치된 제1 런너(111)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스프링(35)을 가지며, 블레이드(3)의 제2 말단(33)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93) 내에 배치된 제2 런너(113)와 협동하도록 의도된, 특정 형상의, 특히 구형 또는 평행육면체의 부착물(37)을 갖는다.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에서의 스프링(35)의 존재는 이 스프링(35)의 압축 또는 신장을 통하여 제1 레일(91)과 제2 레일(93) 사이의 거리 변화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거리는 블레이드(3)가 윈도우(5) 상에 위치하는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35)의 사용은, 스프링에 의하여 블레이드 러버(34)에 가해진 장력에 의해 블레이드 러버(34)가 윈도우(5)에 견고하게 가압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도 4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3)는 블레이드 러버(34)만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이 윈도우(5)의 곡률이 어떠하든 블레이드 러버(34)가 윈도우의 제1 말단(50a)과 제2 말단(50b) 사이의 윈도우(5)의 형상을 따르기에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블레이드(3)의 제2 말단(33)은 또한, 블레이드(3)의 제2 말단(33)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93) 내에 배치된 제2 런너(113)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스프링(35)을 가질 수 있다. 이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과 제2 말단(33)은 이에 따라 각각 스프링(35)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블레이드(3)는 차량의 사용자에게 블레이드(3)를 교체할 필요가 있음을 알리도록 허용하는 마모 표시기 또는 수명(aging) 표시기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3)와 협력하도록 의도된 제1 런너(111)(도 3a) 및 제2 런너(113)(도 3b)를 도시한 도 3a 및 도 3b가 참조된다.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는, 레일(9) 내에 수용되도록 의도된 제1 말단(115) 그리고 상기 런너(11)가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 또는 제2 말단(33)과 협동하도록 의도된 클립(118)을 제공하고 있는 제2 말단(117)을 갖는다.
도 3a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런너(111)와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 사이의 협력을 보장하도록 제1 런너(111)의 제2 말단(117)의 클립(118)은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의 스프링(35)의 자유 말단과 협동하도록 의도된 캐치(120)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이 캐치(120)의 사용은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이 쉽게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여 필요한 경우 블레이드(3)가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다.
도 3b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런너(113)의 제2 말단(117)이 블레이드(3)의 제2 말단(33)과 협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2 런너(113)의 클립(118)은 블레이드(3)의 제2 말단(33)에 의해 지지된 부착물(37)의 특정 형상을 보완하는 형상(119)을 나타낸다.
또한, 도 3a 및 도 3b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런너(11)의 제1 말단(115)은, 제1 말단이 레일(9)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휠(116)을 갖는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런너(11)가 공기층 상에서 레일(9)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의도될 때, 이 휠(116)의 존재는 불필요한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런너(11)가 레일(9)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관련 결합 메커니즘(13)을 도시한 도 5 내지 도 7이 참조된다.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131) 및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133)은 벨트-풀리 시스템, 케이블-풀리 시스템 또는 랙-풀리 시스템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관련 결합 메커니즘(13)은 케이블(139) 그리고 풀리(135, 137)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더욱이, 도 7을 참조하면, 레일(9)의 말단 개구(97)는 케이블(139)의 피로를 제한하도록 둥근 에지를 갖는다. 말단 개구(97)의 에지를 위한 이러한 형상은 벨트-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관련 결합 메커니즘(13)의 경우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말단 개구(97)는 레일(9)의 내부를 향하여 수렴하는 깔때기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른 와이핑 시스템(1)을 도시하는 도 8a 및 도 8b가 참조된다. 이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핑 시스템(1)은 예를 들어 (도 8a에서 볼 수 있는) 확연한 곡률을 갖는 트럭의 윈드스크린과 같은 윈도우(5) 상에 설치된다.
여기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5)는 제1 측면(51)과 제2 측면(53)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5)의 정확한 닦임을 보장하기 위해, 와이핑 시스템(1)은 윈도우(5)의 제1 측면(51) 상에 위치된 제1 블레이드(3a) 및 윈도우(5)의 제2 측면(53) 상에 위치된 제2 블레이드(3b)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윈도우(5)의 측면 및 특히 길이에 따라, 예를 들어 비가 내리는 기간 동안에 윈도우(5) 상에 축적될 수 있는 물의 효과적인 제거를 보장하기 위해 2개의 블레이드 또는 그 이상의 블레이드에 의존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a)와 제2 블레이드(3b)는 화살표(F1 및 F2)의 방향으로, 즉 선형 병진 이동으로 윈도우(5)의 제1 측면(51)과 제2 측면(53) 위에서 각각 이동되도록 의도된다. 이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블레이드(3a)와 제2 블레이드(3b)가 화살표(F1)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들은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한다. 또한, 블레이드들이 화살표(F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들은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한다.
와이핑 시스템(1)은 제1 레일(91)의 중심과 제2 레일(93)의 중심에 각각 위치된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를 포함한다.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는 하나 이상의 제어 유닛(15)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특히, 이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는 제어 유닛(15)에 의해 각각 작동된다. 더욱이, 윈도우(5)의 제1 측면(51)과 제2 측면(53)은 제1 구동 모터(71) 및 제2 구동 모터(73)에 대하여 서로 대향한다.
와이핑 시스템은 또한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131)과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133)을 포함한다.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131) 및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133)은 제1의 4줄 홈 풀리(135a) 및 제2의 4줄 홈 풀리(135b), 2개의 제1의 2줄 홈 풀리(137a) 및 2개의 제2의 2줄 홈 풀리(137b) 및 제1의 2줄 홈 풀리(137a)를 제1의 4줄 홈 풀리(135a)에 연결하고 제2의 2줄 홈 풀리(137b)를 제2의 4줄 홈 풀리(135b)에 연결하는 4개의 케이블(139)을 포함한다.
제1의 4줄 홈 풀리(135a) 및 제2의 4줄 홈 풀리(135b)는 제1 레일(91)의 중심 및 제2 레일(93)의 중심에 위치되며,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에 의하여 각각 회전식으로 운동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레일(91)과 제2 레일(93)은 개구를 갖고 있어 제1의 4줄 홈 풀리(135a)와 제2의 4줄 홈 풀리(135b)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의 4줄 홈 풀리(135a) 및 제2의 4줄 홈 풀리(135b)는 제1 레일(91)과 제2 레일(9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2개의 제1의 2줄 홈 풀리(137a) 및 2개의 제2의 2줄 홈 풀리(137b)는 제1 레일(91) 및 제2 레일(93)의 말단들에 각각 위치한다. 여기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의 2줄 홈 풀리(137a) 및 제2의 2줄 홈 풀리(137b)는 제1 레일(91) 및 제2 레일(93) 밖에 배치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의 2줄 홈 풀리(137a) 및 제2의 2줄 홈 풀리(137b)는 제1 레일(91) 및 제2 레일(9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39)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런너(11)를 지지하며, 그리고 닦여질 윈도우(5) 위로 제1 블레이드(3a) 또는 제2 블레이드(3b)가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케이블(139)에 의하여 연결된 2줄 홈 풀리(137a, 137b) 중 하나와 4줄 홈 풀리(135) 중 하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런너(11)가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4줄 홈 풀리(135)의 회전의 시작과 2줄 홈 풀리(137)의 회전의 시작 사이에 지체가 없는 방식으로 케이블(139)은 4줄 홈 풀리(135)와 2줄 홈 풀리(137) 사이에서 늘어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4줄 홈 풀리(135)의 회전에 의하여 2줄 홈 풀리(137)가 회전식으로 운동하며, 런너(11)가 4줄 홈 풀리(135)와 2줄 홈 풀리(137) 사이에서 화살표(F1 또는 F2)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풀리의 이동은 케이블(139)을 통하여 전달된다.
유리하게는, 제1 레일(91)과 제2 레일(93)의 중앙에 위치된 4줄 홈 풀리(135)의 회전은 제어 유닛(15)에 의해 제어되며, 따라서 제1 블레이드(3a)와 제2 블레이드(3b)가 화살표(F1 또는 F2)의 방향으로 동기화된 방식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제1 블레이드(3a)와 제2 블레이드(3b)의 이동이 조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는 제1 레일(91)과 제2 레일(93)의 말단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 다른 실시예에서, 런너(11)들이 제1 레일(91)과 제2 레일(93)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1의 2줄 홈 풀리(137a) 중 하나와 제2의 2줄 홈 풀리(137b) 중 하나는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에 의하여 회전식으로 운동하며, 따라서 닦여질 윈도우 위로 제1 블레이드(3a)와 제2 블레이드(3b)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동 모터(71) 및 제2 구동 모터(73)는 단일 제어 유닛(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거나 각 구동 모터(7)는 자체의 제어 유닛(15)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와이핑 시스템(1)은 하나의 2줄 홈 풀리(137)의 회전을 각각 구동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배열된 4개의 구동 모터(7)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구동 모터(7)는 각각 제1 레일(91) 및 제2 레일(93)의 한 말단에 배치된다. 또한, 이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구동 모터(7)는 단일 제어 유닛(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안으로, 와이핑 시스템은 2개의 구동 모터(7)를 각각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2개의 제어 유닛(1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에서, 와이핑 시스템(1)은 4개의 제어 유닛(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제어 유닛(15)은 하나의 구동 모터(7)를 작동시킨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는 예시로서 주어진 비제한적인 예이다. 구체적으로, 당업자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블레이드(3)를 형성하기 위해 고무 이외의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블레이드(3)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물질에 따라, 이 블레이드(3)가 윈도우(5) 위로 이동하는 속도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더욱이,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레일(9)을 차량에 고정하기 위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는 다른 임의의 유형의 고정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레일의 내부 표면(95)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에서 설명된 물질 이외의, 0.25 미만의 마찰 계수를 갖는 임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블레이드(3)의 제2 말단(33)에 의해 지지된 특정 형상(37)의 구조체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당업자는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술한 것 이외의 유형의 관련 결합 메커니즘(13)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와이핑 시스템(1)에 의해서 윈도우(5)의 정확한 닦임을 허용하는 선형 와이핑 시스템(1)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제1 레일(91) 및 제2 레일(93)이 윈도우(5)의 형상 그리고 이에 따라 윈도우(5)의 다양한 영각을 따르기 때문에 윈도우(5)의 곡률은 닦임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는 제1 런너(111) 또는 제2 런너(113)의 이동 속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윈도우(5)의 측면(5a)의 임의의 잠재적인 길이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Claims (9)

  1. 윈도우(5) 위에서 선형 병진 형태로 그리고 상기 윈도우(5)의 2개의 대향 측면(5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1 말단(31)과 제2 말단(33)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를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1), 특히 차량용 와이핑 시스템에 있어서,
    와이핑 시스템(1)은 윈도우(5)의 측면(5a)에 배치된 적어도 제1 레일(91) 및 제2 레일(93)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제1 레일(91) 및 제2 레일(93)은 각각 윈도우(5)의 형상을 따르도록 의도된 곡률을 가지며,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과 제2 말단(33)에 각각 연결된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와이핑 시스템(1)은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131)과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133)을 통하여 제1 런너(111)와 제2 런너(113)를 각각 구동하기 위하여 제1 레일(91)과 제2 레일(93)에 각각 배치된 하나의 제1 구동 모터(71)와 하나의 제2 구동 모터(73)를 적어도 더 포함하며, 적어도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는 제1 런너(111)의 이동과 제2 런너(113)의 이동이 동기화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15)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은, 상기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과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91) 내에 배치된 상기 제1 런너(111)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스프링(3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의 제2 말단(33)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93) 내에 배치된 상기 제2 런너(113)와 협력하도록 의도된, 특정 형상, 특히 구형 또는 평행육면체의 부착물(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런너(111)와 상기 제2 런너(113)는, 상기 레일(9) 내에 수용된 제1 말단(115) 및 상기 런너가 블레이드(3)의 제1 말단(31) 또는 제2 말단(33)과 협력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의도된 클립(118)을 제공하는 제2 말단(11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모터(71)와 상기 제2 구동 모터(73)는 상기 제1 런너(111)와 상기 제2 런너(113)를 동일한 속도로 각각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5)의 2개의 대향 측면(5a)의 길이 차이의 영향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구동 모터(71)와 상기 제2 구동 모터(73)는 상기 제1 런너(111)와 상기 제2 런너(113)를 다른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131)과 상기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133)은 벨트-풀리 시스템, 케이블-풀리 시스템 또는 대안으로 랙-풀리 시스템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시스템.
  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91)과 상기 제2 레일(93)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말단 개구(97)를 가지며, 상기 말단 개구(97)는 상기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131)과 상기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133)의 손상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형상, 특히 둥근 형상 또는 모따기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윈도우(5)를 닦기 위한 와이핑 시스템(1)에 있어서, 와이핑 시스템은
    상기 제1 레일(91)의 중심과 상기 제2 레일(93)의 중심에 각각 배치된 상기 제1 구동 모터(71)와 상기 제2 구동 모터(73),
    상기 윈도우(5)의 제1 측면(51) 상에 위치된 제1 블레이드(3a) 및 상기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에 대하여 제1 측면(51)과 대향하는 상기 윈도우(5)의 제2 측면(53) 상에 위치된 제2 블레이드(3b),
    상기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131)과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133)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관련 결합 메커니즘과 상기 제2 관련 결합 메커니즘은,
    - 상기 제1 레일(91)의 중심과 제2 레일(93)의 중심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구동 모터(71)와 제2 구동 모터(73)에 의하여 각각 회전식으로 운동하는 제1의 4줄 홈 풀리(135a)와 제2의 4줄 홈 풀리(135b),
    - 상기 제1 레일(91)의 종단과 제2 레일(93)의 종단에 각각 위치된 2개의 제1의 2줄 홈 풀리(137a)와 2개의 제2의 2줄 홈 풀리(137b), 및
    - 상기 제1의 2줄 홈 풀리(137a)를 제1의 4줄 홈 풀리(135a)에 연결하고 상기 제2의 2줄 홈 풀리(137b)를 제2의 4줄 홈 풀리(135b)에 연결하는 4개의 케이블로서, 각각의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런너(11)를 지지하고, 적어도 하나의 런너(11)가 2줄 홈 풀리(137)와 4줄 홈 풀리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4개의 케이블(139)
    을 포함하고,
    닦여질 상기 윈도우(5) 위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3a) 또는 제2 블레이드(3b)가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2줄 홈 풀리와 4줄 홈 풀리는 상기 케이블(139)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시스템.
KR1020180078188A 2017-07-06 2018-07-05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KR201900057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6391 2017-07-06
FR1756391A FR3068664B1 (fr) 2017-07-06 2017-07-06 Systeme d'essu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776A true KR20190005776A (ko) 2019-01-16

Family

ID=6045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188A KR20190005776A (ko) 2017-07-06 2018-07-05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60852B2 (ko)
EP (1) EP3424786B1 (ko)
JP (1) JP2019031273A (ko)
KR (1) KR20190005776A (ko)
CN (1) CN109204234A (ko)
FR (1) FR30686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188B1 (ko) 2020-10-23 2021-03-18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3764B1 (fr) 2019-11-29 2022-08-26 Valeo Systemes Dessuyage Système de nettoyage d’une surface vitrée d’un véhicule automobile
US20230065115A1 (en) * 2020-03-05 2023-03-02 Volvo Truck Corporation Pressurized straight line wiper system
DE102020107708B4 (de) 2020-03-20 2024-05-29 Audi Aktiengesellschaft Scheibenwisch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scheibe
TR202022075A2 (tr) * 2020-12-28 2021-03-22 Fnss Savunma Sistemleri A S Askeri araçlar için lineer silecek sistemi
CN112590628A (zh) * 2020-12-29 2021-04-02 苏州金睿澳科物联网科技有限公司 5g+ai智能数字化座舱网联系统
US20230331190A1 (en) * 2022-04-14 2023-10-19 Kayla Bereal-Murray Horizontally Movable and Vertically Aligned Windshield Wip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7541A (en) * 1929-07-17 1930-10-07 John W Anderson Windshield wiper
US1859641A (en) * 1930-01-04 1932-05-24 Weaver Gordon Seymour Windshield cleaner
US2063055A (en) * 1932-01-02 1936-12-08 William B Shaw Windshield wiper
US2112197A (en) * 1933-09-13 1938-03-22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cleaner for buses
US2393605A (en) * 1943-12-02 1946-01-29 Charles H Bramhall Automatic window wiper
US2829394A (en) * 1956-04-27 1958-04-08 Paul L Brigmon Windshield wiper
US2984855A (en) * 1958-07-02 1961-05-23 Jerome L Murray Windshield wiper
GB1288091A (ko) * 1969-01-03 1972-09-06
BE790412A (fr) * 1971-10-23 1973-02-15 Bosch Gmbh Robert Dispositif d'entrainement d'essuie-glace, notamment pour pare-brise et glaces arriere de vehicules automobiles
JPS5890854U (ja) * 1981-12-15 1983-06-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ワイパ−装置
JPH0426158U (ko) * 1990-06-27 1992-03-02
GB9020797D0 (en) * 1990-09-25 1990-11-07 Wynstruments Ltd Double wiper system
JPH0746472Y2 (ja) * 1991-03-19 1995-10-25 株式会社安川電機 直進走行装置
JPH11342832A (ja) * 1998-06-01 1999-12-14 Mitsuba Corp 平行払拭式ワイパ装置
US6092259A (en) * 1999-01-06 2000-07-25 Reppert; Gregory D. Interior windshield cleaning system
US6446301B1 (en) * 2000-04-25 2002-09-10 John Kemp Interior windshield wiper
FR2827241B1 (fr) * 2001-07-16 2003-10-3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ssuie-glace a balayage lineaire d'un pare-brise de vehicule automobile
FR2832968B1 (fr) * 2001-12-05 2004-02-20 Frantz Luc Dispositif pour le nettoyage d'un retroviseur exterieur de vehicule automobile
JP4023291B2 (ja) * 2002-11-07 2007-12-19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制御部材駆動機構
US6986186B1 (en) * 2004-02-02 2006-01-17 Stephane Dube Window washing system
JP2008137503A (ja) * 2006-12-01 2008-06-19 Hideki Maeda ワイパー装置
DE102013104902A1 (de) * 2013-05-13 2014-11-13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arm für eine Scheibenwischanlage eines Kraftfahrzeugs, Wischblatt und Wischeinrichtung
US20160185319A1 (en) * 2013-08-19 2016-06-30 Gangxing TAN Transverse windshield wiper
CN106882159A (zh) * 2017-03-27 2017-06-23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用于汽车前挡风玻璃横向雨刷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188B1 (ko) 2020-10-23 2021-03-18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US11465588B2 (en) 2020-10-23 2022-10-11 Dy Auto Corporation Linear reciprocating wiper system provided with wiper park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04234A (zh) 2019-01-15
FR3068664B1 (fr) 2019-08-02
US10960852B2 (en) 2021-03-30
EP3424786A1 (fr) 2019-01-09
FR3068664A1 (fr) 2019-01-11
JP2019031273A (ja) 2019-02-28
US20190009749A1 (en) 2019-01-10
EP3424786B1 (fr)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5776A (ko)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KR100824223B1 (ko) 와이퍼 아암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내장치
JP2001501893A (ja) ウィンドシールドワイパ
KR101602961B1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US20050138751A1 (en) Wiper blade
JP2013525173A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KR101698705B1 (ko) 자동차 윈드실드 와이퍼의 와이퍼 레버
US9393934B2 (en) Windscreen wiper ar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70050620A1 (en) Windscreen wiper arm
KR20160032166A (ko) 횡적으로 와이핑하는 와이퍼
US20190054900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JP2013538737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装置
KR20130009253A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KR101401702B1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KR100853706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CN205632414U (zh) 风挡玻璃雨刮器装置以及具有其的车辆
KR20080086894A (ko) 차창용 와이퍼 아암
US8615840B1 (en) Surface cleaning system
US2837758A (en) Windshield wiper transmission
EP3024706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20144617A1 (en) Wiper cover
KR101799136B1 (ko) 윈드스크린용 와이퍼 장치
CN116256727A (zh) 激光雷达装置、具有激光雷达装置的车辆和用于激光雷达装置的清洁单元
US20180319372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CN105711550A (zh) 用于雨刷设备的移调机构以及雨刷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