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188B1 -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188B1
KR102229188B1 KR1020200138589A KR20200138589A KR102229188B1 KR 102229188 B1 KR102229188 B1 KR 102229188B1 KR 1020200138589 A KR1020200138589 A KR 1020200138589A KR 20200138589 A KR20200138589 A KR 20200138589A KR 102229188 B1 KR102229188 B1 KR 102229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cam member
carrier unit
wiper
wip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구
Original Assignee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8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188B1/ko
Priority to US17/337,851 priority patent/US1146558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02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 B60S1/340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the wiper blades being moved substantially parallel with thems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52Position of the wipers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63Means for transmitting drive with means for stopping or setting the wipers at their limit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185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with means for stopping or setting the wipers at their limit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0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cable drives; by flexible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2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rotary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02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 B60S1/3409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the wiper arms consisting of two or more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4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the wiper blades having other than swinging movement, e.g. ro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은,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 유닛; 상기 캐리어 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피벗 축이 구비된 캠 부재; 상기 캠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캠 부재와 일체로 움직이며 블레이드가 결합된 와이퍼 암; 상기 캐리어 유닛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캠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퍼 암을 상기 가이드 레일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제1가압 부재; 및 상기 캐리어 유닛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캠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퍼 암을 상기 가이드 레일과 평행인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제2가압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Linear reciprocating wiper system provided with wiper park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이나 선박의 글라스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선형 형태로 왕복 이동하는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채용되는 윈도우 와이퍼 시스템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벗 축(pivot axis)에 의해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 왕복 회전 운동하는 와이퍼 암에 설치된 블레이드에 의해 윈도우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차량의 종류에 따라 해치백(hatch back) 스타일 차량이나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에는 공기역학적 특성에 따라 리어 윈도우에도 와이퍼 시스템이 설치된다. 한편, 선박과 같이 조타실의 전면 유리가 차량에 비하여 현저하게 큰 경우에는 와이퍼 암이 벨트와 같은 수단에 의해 선형적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유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선형 왕복식 와이퍼 시스템이 채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차량의 디자인 스타일이 변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리어 윈도우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향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법규상 와이퍼는 윈도우의 전체 면적 중 일정 비율 이상의 면적을 닦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리어 윈도우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향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회전형 와이퍼 시스템으로는 법규상 규정된 윈도우의 닦임 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형 왕복식 와이퍼 시스템을 차량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형 왕복식 와이퍼 시스템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된 상태에서 리어 윈도우(글라스)의 일측에 노출된 형태로 유지되므로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형 왕복식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파킹 위치는 글라스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와이퍼 블레이드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구성되므로 자동세차기와 같은 설비에 의해 와이퍼 암이 예기치 않게 손상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 등의 내구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001) KR 10-2019-0005776 (2019.01.16)
본 발명의 목적은 선형 왕복식 와이퍼 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와이퍼가 미작동 상태에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외관이 미려하며 내구성이 향상된 파킹 구조를 구비한 선형 왕복식 와이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은,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 유닛;
상기 캐리어 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피벗 축이 구비된 캠 부재;
상기 캠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캠 부재와 일체로 움직이며 블레이드가 결합된 와이퍼 암;
상기 캐리어 유닛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캠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퍼 암을 상기 가이드 레일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제1가압 부재; 및
상기 캐리어 유닛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캠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퍼 암을 상기 가이드 레일과 평행인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제2가압 부재;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종동 휠; 및
상기 구동 휠과 상기 종동 휠에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유닛에 고정된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압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며,
상기 제2가압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된 구동 휠 커버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 유닛은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측벽에 형성된 롤러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 유닛은 상기 캠 부재의 회전 범위를 한정하는 회전 제한 스토퍼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은 와이퍼 암이 파킹 상태에서 와이퍼의 선형 이동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정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와이퍼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예기치 않은 충격에 의해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며, 외관이 미려한 작용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 - 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핑 작동 상태시 와이퍼 암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시스템의 파킹 상태시 와이퍼 암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에서 캠 부재가 와이핑 동작 상태로부터 파킹 상태로 전환되는 순간의 캠 부재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에서 캠 부재가 파킹 상태로 완전하게 전환된 후 캠 부재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에서 캠 부재가 파킹 상태로부터 와이핑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캠 부재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에서 와이핑 작동 상태에서 파킹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에서 파킹 상태로부터 와이핑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 - 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핑 작동 상태시 와이퍼 암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시스템의 파킹 상태시 와이퍼 암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에서 캠 부재가 와이핑 동작 상태로부터 파킹 상태로 전환되는 순간의 캠 부재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에서 캠 부재가 파킹 상태로 완전하게 전환된 후 캠 부재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에서 캠 부재가 파킹 상태로부터 와이핑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캠 부재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에서 와이핑 작동 상태에서 파킹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에서 파킹 상태로부터 와이핑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10, 이하 "와이퍼의 파킹 시스템"이라 함)은, 가이드 레일(20)과, 캐리어 유닛(30)과, 구동 휠(40)과, 종동 휠(50)과, 동력 전달 부재(60)와, 캠 부재(70)와, 와이퍼 암(80)과, 제1가압 부재(91)와, 제2가압 부재(9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선형 형태로 연장된 롤 가공물 또는 압출 구조물이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예컨대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가공된 구조물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차량에서 지면에 평행인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윈도우의 하단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차량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내측면 양측벽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롤러 가이드(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롤러 가이드(25)는 후술하는 롤러(32)가 결합되어 캐리어 유닛(30)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캐리어 유닛(30)은 상기 가이드 레일(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캐리어 유닛(30)은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 유닛(30)은 롤러(32)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32)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롤러(32)는 4개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32)는 상기 가이드 레일(20)에 구비된 롤러 가이드(25)에 구름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롤러 가이드(25)를 따라 구름 이동한다. 상기 롤러(32)는 상기 캐리어 유닛(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 휠(40)은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구동 모터(42)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구동 휠(40)은 구동 휠 커버(45)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일단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휠 커버(45)는 상기 가이드 레일(20)에 볼트나 스크루와 같은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휠(40)은 상기 구동 모터(4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 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종동 휠(50)은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종동 휠(50)은 상기 가이드 레일(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 휠(40)의 회전축과 상기 종동 휠(50)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60)는 상기 구동 휠과 상기 종동 휠(50)을 동력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60)는 예컨대 구동 벨트, 와이어, 체인, 볼스크루, 기어 등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동력 전달 부재(60)가 구동 벨트일 경우 상기 구동 휠(40)과 상기 종동 휠(50) 간을 순환한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60)는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60)는 상기 캐리어 유닛(3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 전달 부재(6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캐리어 유닛(30)이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캠 부재(70)는 상기 캐리어 유닛(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캠 부재(70)의 상측에는 와이퍼 암(80)이 결합되는 피벗 축(72)이 구비된다. 상기 와이퍼 암(80)은 상기 피벗 축(72)에 원터치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70)는 후술하는 제1가압 부재(91) 및 제2가압 부재(92)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암(80)의 배치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캠 부재(70)는 상기 캐리어 유닛(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캠 부재(70)는 구름 베어링과 같은 수단을 매개로 상기 캐리어 유닛(3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캠 부재(70)는 상기 와이퍼 암(80)에 설치된 블레이드(82)가 윈도우 글라스(100) 표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도의 마찰력에 의해서는 회전되지 않을 정도의 회전토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캠 부재(70)는 상기 와이퍼 암(80)이 윈도우 글라스(100) 표면에 펼쳐진 상태에서 정역 방향으로 와이핑 작동시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0)과 상기 와이퍼 암(80)이 수직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와이퍼 암(80)은 상기 캠 부재(70)에 결합된다. 상기 와이퍼 암(80)은 상기 캠 부재(70)와 일체로 움직인다. 상기 와이퍼 암(80)에는 블레이드(82)가 결합된다.
상기 제1가압 부재(91)는 상기 캐리어 유닛(30)이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캠 부재(70)를 회전시키는 구조물이다. 상기 제1가압 부재(91)는 상기 가이드 레일(20)에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 부재(91)는 상기 캐리어 유닛(30)이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캠 부재(70)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퍼 암(80)을 상기 가이드 레일(20)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제1가압 부재(91)는 상기 와이퍼 암(80)이 상기 가이드 레일(20)과 평행인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유닛(30)의 이동을 방해하는 구조물로 작용한다. 한편, 상기 제1가압 부재(91)는 상기 와이퍼 암(80)이 상기 가이드 레일(20)과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유닛(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물로 작용한다. 즉, 상기 제1가압 부재(91)는 상기 캠 부재(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 부재(70)와 간섭이 되거나 상기 캠 부재(70)와 간섭이 해소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 부재(92)는 상기 캐리어 유닛(30)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캠 부재(70)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가압 부재(92)는 상기 캐리어 유닛(30)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캠 부재(70)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2가압 부재(92)는 상기 와이퍼 암(80)을 상기 가이드 레일(20)과 평행인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상기 제2가압 부재(92)는 상기 구동 휠 커버(45)에 고정된 구조물이거나 상기 구동 휠 커버(45)와 일체화된 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유닛(30)은 상기 캠 부재(70)의 회전 범위를 한정하는 회전 제한 스토퍼(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제한 스토퍼(34)는 상기 캠 부재(70)가 파킹 위치와 와이핑 위치간 최대 회전 범위를 한정한다. 상기 캠 부재(70)의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 제한 스토퍼(34)에 걸리는 걸림부(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와이퍼 시스템(10)의 작용 효과를 와이퍼의 작동 과정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와이퍼가 와이핑 위치로부터 파킹 위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상태가 와이퍼 작동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와이퍼 파킹 상태로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 모터(42)의 역회전에 의해 구동 휠(40)이 동력 전달 부재(60)를 움직여 캐리어 유닛(30)을 상기 구동 휠(4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캐리어 유닛(30)이 도 4에서 상기 제1가압 부재(91)와 간섭없이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캐리어 유닛(3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캠 부재(70)의 가장 돌출된 부위가 상기 제2가압 부재(92)에 접촉한다. 계속하여 캐리어 유닛(3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캠 부재(70)는 상기 제2가압 부재(92)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캠 부재(70)가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암(80)은 가이드 레일(20)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상기 캠 부재(70)의 걸림부(74)는 캐리어 유닛(30)에 구비된 회전 제한 스토퍼(34)에 걸려서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은 파킹 상태로 전환 완료된다. 파킹 상태에서 와이퍼 암(80)은 윈도우 글라스(100)로부터 이탈되어 가이드 레일(20)과 평행인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와이퍼 암(80)이 자동세차기와 같은 설비에 의해 예기치 않게 파손될 가능성을 낮추며 외관이 미려하고 운전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제, 도 5에 도시된 파킹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와이퍼 작동 상태로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 모터(42)의 정회전에 의해 구동 휠(40)이 동력 전달 부재(60)를 움직여 캐리어 유닛(30)을 상기 구동 휠(4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캐리어 유닛(30)이 도 5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캠 부재(70)는 상기 제2가압 부재(92)와 이격되어 점점 멀어진다. 계속하여 상기 캐리어 유닛(3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캠 부재(70)가 상기 제1가압 부재(91)에 접촉한다. 캐리어 유닛(30)이 계속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캠 부재(70)는 상기 제1가압 부재(91)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캠 부재(70)가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암(80)은 가이드 레일(20)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상기 캠 부재(70)의 걸림부(74)는 캐리어 유닛(30)에 구비된 회전 제한 스토퍼(34)에 걸려서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은 와이퍼 작동 상태로 전환 완료된다. 상기 와이퍼 시스템은 와이퍼 작동 상태로 상기 캐리어 유닛(30)이 왕복 선형 운동을 함으로써 윈도우 글라스(100)에 묻은 이물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은 와이퍼 암이 파킹 상태에서 와이퍼의 선형 이동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정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와이퍼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예기치 않은 충격에 의해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며, 외관이 미려한 작용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시스템은 와이퍼 작동 상태에서 와이퍼 암이 가이드 레일과 수직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윈도우 글라스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닦임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 : 와이퍼 파킹 시스템
20 : 가이드 레일
25 : 롤러 가이드
30 : 캐리어 유닛
32 : 롤러
34 : 회전 제한 스토퍼
40 : 구동 휠
42 : 구동 모터
45 : 구동 휠 커버
50 : 종동 휠
55 : 종동 휠 커버
60 : 동력 전달 부재
70 : 캠 부재
72 : 피벗 축
74 : 걸림부
80 : 와이퍼 암
82 : 블레이드
91 : 제1가압 부재
92 : 제2가압 부재
100 : 윈도우 글라스

Claims (5)

  1.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 유닛;
    상기 캐리어 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피벗 축이 구비된 캠 부재;
    상기 캠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캠 부재와 일체로 움직이며 블레이드가 결합된 와이퍼 암;
    상기 캐리어 유닛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캠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퍼 암을 상기 가이드 레일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제1가압 부재; 및
    상기 캐리어 유닛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캠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퍼 암을 상기 가이드 레일과 평행인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제2가압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종동 휠; 및
    상기 구동 휠과 상기 종동 휠에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유닛에 고정된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며,
    상기 제2가압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된 구동 휠 커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은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측벽에 형성된 롤러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은 상기 캠 부재의 회전 범위를 한정하는 회전 제한 스토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KR1020200138589A 2020-10-23 2020-10-23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KR102229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589A KR102229188B1 (ko) 2020-10-23 2020-10-23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US17/337,851 US11465588B2 (en) 2020-10-23 2021-06-03 Linear reciprocating wiper system provided with wiper park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589A KR102229188B1 (ko) 2020-10-23 2020-10-23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188B1 true KR102229188B1 (ko) 2021-03-18

Family

ID=7523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589A KR102229188B1 (ko) 2020-10-23 2020-10-23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65588B2 (ko)
KR (1) KR102229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1853S1 (en) * 2021-02-04 2023-10-17 Keyarrow (Taiwan) Co., Ltd. Wiper blade holder for a protective cover of a machine too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251A (ja) * 1991-11-18 1993-06-08 Isao Iwazawa 横方向往復移動式ワイパーのアーム倒立装置
JP2000006766A (ja) * 1998-06-23 2000-01-11 Mitsuba Corp ワイパ装置
JP2000085544A (ja) * 1998-09-08 2000-03-28 Mitsuba Corp 平行払拭式ワイパ装置
KR101027919B1 (ko) * 2004-12-13 2011-04-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직선이동식 와이퍼의 구조
KR20190005776A (ko) 2017-07-06 2019-01-16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1388A (en) * 1928-03-06 Automatic windshield wiper
US1655670A (en) * 1927-05-02 1928-01-10 Lawrence W Waters Electric windshield wiper
US3078494A (en) * 1959-03-13 1963-02-26 Bernard M Price Windshield wiper
GB1288091A (ko) * 1969-01-03 1972-09-06
US3649989A (en) * 1970-08-27 1972-03-21 Gen Motors Corp Transverse wiper apparatus
EP0939014A3 (en) * 1998-02-27 2002-06-12 Mitsuba Corporation Co., Ltd. Wiper system with translational mo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251A (ja) * 1991-11-18 1993-06-08 Isao Iwazawa 横方向往復移動式ワイパーのアーム倒立装置
JP2000006766A (ja) * 1998-06-23 2000-01-11 Mitsuba Corp ワイパ装置
JP2000085544A (ja) * 1998-09-08 2000-03-28 Mitsuba Corp 平行払拭式ワイパ装置
KR101027919B1 (ko) * 2004-12-13 2011-04-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직선이동식 와이퍼의 구조
KR20190005776A (ko) 2017-07-06 2019-01-16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65588B2 (en) 2022-10-11
US20220126789A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5778B2 (ja) 自動車
US7257856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KR102229188B1 (ko) 파킹 구조가 구비된 선형 이동식 와이퍼 시스템
US4543839A (en) Windshield wiper transmission
US5430908A (en) Windshield wiping system with wiper blade reversal mechanism
US4729144A (en) Retractable type wiper apparatus
US4785491A (en) Rotary and reciprocating drive device
DK2669154T3 (en) Ranking Drive to a trailer
US6751825B2 (en) Wiper for multiple and independent surfaces
US3651699A (en) Vehicle windscreen wiping mechanisms
US3077628A (en) Window cleaning mechanism
KR100853706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US3086239A (en) Windscreen wipers
KR101401702B1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JP6503922B2 (ja) 車両ワイパ装置
CN108437935B (zh) 用于驱动特别是全景风挡的擦拭器臂旋转的驱动装置
KR20130009253A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KR970010063B1 (ko) 윈드 시일드 와이퍼 장치
US6591444B1 (en) Wiper apparatus
US3003172A (en) Windshield wiper mechanism
US6732400B1 (en) Windscreen wiper arrangement for vehicles
EP3562715B1 (en) A wiper system and a vehicle with such a wiper system
KR100600114B1 (ko) 유성기어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
US4475263A (en) Windshield wiper system
JPH01186448A (ja) 車両用ワイ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