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894A - 차창용 와이퍼 아암 - Google Patents

차창용 와이퍼 아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894A
KR20080086894A KR1020087017468A KR20087017468A KR20080086894A KR 20080086894 A KR20080086894 A KR 20080086894A KR 1020087017468 A KR1020087017468 A KR 1020087017468A KR 20087017468 A KR20087017468 A KR 20087017468A KR 20080086894 A KR20080086894 A KR 20080086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windscreen wiper
wiper arm
mounting head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비에르 볼랜드
Original Assignee
페더랄-모굴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랄-모굴 에스.아. filed Critical 페더랄-모굴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8008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63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 B60S1/3465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with coil springs
    • B60S1/3468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샤프트(19)에 장착헤드부(18)와 피봇(21)을 매개로 상기 장착헤드부(18)에 회전하게 연결된 아암부재(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부재(20)는 2개의 측벽(25,26)을 구비하고 상기 피봇(21)에 근접해 실제로 U자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헤드부(19)의 일부는 상기 측벽(25,26) 사이와 상기 피봇(21)을 가로질러 길이연장되어 있고, 스프링(22)이 상기 장착헤드부(18)에 제1단부를 걸어 넣은, 특히 자동자를 위한 차창용 와이퍼 아암(8)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프링(22)은 상기 아암부재(20)에 연결된 단일 홀딩부재(29)에 제2단부를 걸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창용 와이퍼 아암 {A WINDSCREEN WIPER ARM}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을 위한 차창용 와이퍼 아암에 관한 것으로, 구동샤프트에 장착헤드부와 피봇을 수단으로 하여 장착헤드부에서 회전되게 연결된 아암부재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아암부재는 2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상기 피봇에 근접한 실제로 U자형상의 단면을 갖는바, 여기서 장착헤드부의 일부가 측벽 사이와 상기 피봇핀을 가로질러 길이연장되어 있고 스프링은 장착헤드부에 제1단부를 걸어 놓는다.
이러한 차창용 와이어 아암은 독일 특허공보 제34 33 106호(SWF Auto-Electric GmbH사)에 기재된다. 여기에 기술된 아암부재는 와이어 로드에 연결되되, 와이어 로드의 한쪽 단부는 아암부재의 U자형상의 단면 내로 길이연장된다. 아암부재의 측벽은 와이어 로드 둘레에서 일부 겹쳐지는 반면에, 홀더는 로드의 단부 둘레에서 겹쳐진다. 종래기술의 차창용 와이어 아암의 스프링은 장착헤드부의 핀에 제1단부를 걸치고 홀더의 2개 구멍(eye)에 제2단부를 걸어 놓는다.
기술된 독일 특허공보에 기재된 차창용 와이어 아암의 단점은, 상기 차창용 와이어 아암이 스프링을 수용하는 추가 구조부품과 같은 상기 와이퍼 로드를 구비하는 한편, 복잡한 기계장치 또는 공구가 상기 와이퍼 로드를 제작하고 장착하기 위해 필요하되, 이러한 과정에서 비용이 산출된다. 덧붙여서, 와이퍼 로드는 상기 로드의 단부 둘레에 상기 홀더와 겹치기 위해 최소 길이를 구비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기계장치 또는 추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최소 비용적 측면에서 위에 기술된 단점을 제거하는 것으로,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적 부품이 없는 단순한 차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국한되지 않고 궤도차량 및 다른 (고속) 운송수단에도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문에 기술된 차창용 와이퍼 아암은 스프링이 아암부재에 연결된 단일 홀딩부재에 제2단부로 걸어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자면, 홀딩부재를 아암부재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원재료의 사용이 줄어드는 한편, 추가적인 세공단계가 배제된다. 바람직하기로, 홀딩부재는 아암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피봇은 바람직하게는 피봇핀으로 되어 있는 반면에, 스프링은 장착헤드부에 핀에 제1단부에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암부재의 U자형상의 단면의 하나 이상의 측벽은 홀딩부재의 고정면에 대해 인접한 립부(lip)를 구비한다. 립부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아암부재의 길이부를 따르는) 길이방향뿐만 아니라 (예컨대, 아암부재와 수직되는) 가로방향으로 홀딩부재의 임의의 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면은 홀딩부재의 L자형상 부분의 레그부(leg)에 위치된다. 다시 말하자면, 립부는 L자형상 부분의 레그부에 인접해 있는 아암부재 내에서 홀딩부재의 어떠한 이동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립부는 측벽에서 떨어져 내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홀딩부재의 U자형상의 단면의 기저부에 제2단부를 걸어 놓는다. 특히, 스프링은 U자형상의 단면의 기저부에 구비된 구멍에 제2단부를 걸어 놓는다. 특히, 구멍은 홀딩부재의 재료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암부재는 플라스틱재로 제작한다. 바람직하기로, 장착헤드부도 플라스틱재로 제작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으로 이루어진 차창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창용 와이퍼 장치는 유연하고 길이연장된 캐리어부재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소재의 길이연장된 와이퍼 블레이드로 이루어져, 닦여질 차창에 접하여 안착될 수 있으며, 와이퍼 블레이드는 길이측면에 마주보게 길이방향의 홈을 구비하여, 캐리어부재의 길이방향 스트립이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홈에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길이방향의 스트립의 인접단부는 개별적인 연결부품으로 상호연결되되, 차창용 와이퍼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용 연결장치를 구비한다. 따라서, 차창용 와이퍼장치는 "요크없는" 와이퍼장치로 설계되어 있으며, 서로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된 다수의 요크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나, 와이퍼장치는 캐리어부재로 편향되어져, 이로 인해 특정한 굴곡현상을 보여준다. 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은 측면에 피봇핀을 구비하고, 피봇핀은 측면경로를 통해 연결장치의 관통구멍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은 장점이 있다 하더라도 "요크없는 블레이드"로 국한되지 않고,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요크를 갖춘 차창용 와이퍼장치의 다른 유형으로 확장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요크 없는" 유형의 종래에 차창용 와이퍼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차창용 와이퍼 아암이 닦는 위치(도 1)와 장착위치(도 2)에 놓여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차창용 와이퍼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저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부재의 2개의 실시예를 각각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1 및 도 2의 유형의 차창용 와이퍼장치에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저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와 도 5b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차창용 와이퍼 아암이 다른 장착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차창용 와이퍼장치는 길이방향의 측면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길이방향의 홈(3)이 형성된 탄성체 와이퍼 블레이드(2)와 상기 길이방향의 홈(3)에 장착될 길이연장 된 스프링밴드강으로 만들어진 스트립(4)으로 조립된다. 상기 스트립(4)은 고무 와이퍼 블레이드(2)를 위한 부드러운 캐리어부재를 형성하되, 다시 말하자면, 만곡부에서 기울어진다(작동위치에 만곡부는 닦여질 차창으로 되어 있다). 스트립(4)의 인접단부(5)는 연결부품(6)을 매개로 하여 차창용 와이퍼장치(1)의 양 측면으로 상호연결된다. 추가로, 차창용 와이퍼장치(1)는 왕복아암(8)용 연결장치와 스포일러(9)를 장착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닦여질 위치와 장착위치에 있는 차창용 와이퍼장치(1)를 도시하는 반면에, 도 3은 도 1의 차창용 와이퍼장치(1)의 자유단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차창용 와이어 아암(8)은 도해되지 않은 기계를 매개로 한 소형 모터로 구동된 샤프트(19)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알루미늄 장착헤드부(1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차창용 와이퍼 아암(8)은 추가로 장착헤드부(18)로 지지된 금속 아암부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암부재(20)는 도 1에 도시되었듯이 연결장치(7)의 도움으로 와이퍼 블레이드(2)를 지지한다. 아암부재(20)는 피봇핀(21)을 수단으로 하여 장착헤드부(1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프링(22)은 장착헤드부(18)의 핀(23)에 제1단부를 걸고 아암(8)의 와이퍼 로드(24)에 제2단부를 걸어서 아암부재(20)를 확보하여서 이에 연결된 와이퍼 블레이드(2)가 닦여질 차창 위를 가압한다. 사용중에, 샤프트(19)가 번갈아가면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헤드장착부(18)를 교대로 회전시켜, 교대로 아암부재(20)를 회전하고 연결장치(7)로 와이퍼 블레이드(2)가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재(20)는 2개의 측벽(25,26)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봇핀(21)에 근접해 실제로 U자형상의 단면을 갖추고, 장착헤드부(18)의 일부가 측벽(25,26) 사이와 상기 피봇핀(21)을 가로질러 길이연장되어, 상기 장착헤드부(18)의 측벽(27,28)이 상기 아암부재(20)의 측벽(25,26)에 인접한다.
도 5a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홀딩부재(29)는 기본적으로 (상기 홀딩부재(29)의 실시예 좌측에 도시한) 2개 레그부(30) 또는 (상기 홀딩부재(29)의 실시예 우측에 도시함) 4개의 레그부(30)를 갖춘 U자형상의 단면과 기저부(31)로 구성되되, 여기서 구멍(32)은 상기 기저부(31)에 형성된다. 도 5b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아암부재(20)가 저면도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상기 아암부재(20)의 측벽(25,26)은 상기 측벽(25,26)에서 떨어져 내부로 향해 만곡된 립부(33)를 마주보게 구비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로 하면, 도 5a의 상기 홀딩부재(29)는 상기 아암부재(20)에 장착되어, 상기 홀딩부재(29)의 상기 레그부(30)는 상기 아암부재(20)의 U자형상의 단면의 기저부(34)를 향해 접하게 되고 상기 홀딩부재(29)의 기저부(31)는 상기 아암부재(20)의 U자형상의 단면의 상기 기저부(34)에서 떨어진다. 상기 홀딩부재(29)의 폭은 상기 홀딩부재(29)의 상기 레그부(30)가 상기 아암부재(20)의 상기 측벽(25,26)에 인접되게 선택된다. 상기 스프링(22)은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유형의 장착헤드부(18)의 핀(21)에 제1단부를 걸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홀딩부재(29)의 상기 기저부(31)에 구비된 상기 구멍(32)에 제2단부를 걸어 넣는다. 상기 스프링(22)의 탄발력의 영향으로 상기 아암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가로방향으로 홀딩부재(29)를 이동하지 못하게 하도록, 상기 내부로 만곡된 립부(33)는 상기 홀딩부재(29)의 고정면(35,36)에 대해 인접한다(도 5a에 도시함). 상기 고정면(35,36)은 상기 홀딩부재(29)의 L자형상 부분의 레그부에 위치된다(도 5a에 도시함).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다른 실시예로 확장가능하다.

Claims (10)

  1. 구동샤프트(19)에 장착헤드부(18)와 피봇(21)을 매개로 상기 장착헤드부(18)에 회전하게 연결된 아암부재(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부재(20)는 2개의 측벽(25,26)을 구비하여 상기 피봇(21)에 근접해 실제로 U자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헤드부(18)의 일부는 상기 측벽(25,26) 사이와 상기 피봇(21)을 가로질러 길이연장되어 있고, 스프링(22)이 상기 장착헤드부(18)에 제1단부를 걸어 넣은, 특히 자동자를 위한 차창용 와이퍼 아암(8)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2)은 상기 아암부재(20)에 연결된 단일 홀딩부재(29)에 제2단부를 걸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용 와이퍼 아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29)는 상기 아암부재(20)에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용 와이퍼 아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20)의 상기 U자형상의 단면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25,26)은 상기 홀딩부재(29)의 고정면(35,36)에 대해 인접하는 립부(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용 와이퍼 아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35,36)은 상기 홀딩부재(29)의 L자형상 부분의 레그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용 와이퍼 아암.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립부(33)는 상기 측벽(25,26)에서 떨어져 내부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용 와이퍼 아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2)은 상기 홀딩부재(29)의 U자형상의 단면의 기저부(31)에 제2단부를 걸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용 와이퍼 아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2)은 상기 U자형상의 단면의 상기 기저부(31)에 구비된 구멍(32)에 제2단부를 걸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용 와이퍼 아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20)는 플라스틱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용 와이퍼 아암.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8)을 구비한 차창용 와이어장치(1).
  10. 제9항에 있어서, 유연하고 길이연장된 캐리어부재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소재의 길이연장된 와이퍼 블레이드로 이루어져, 닦여질 뒤창에 접하여 안착될 수 있 으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길이측면으로 마주보게 길이방향의 홈을 구비하여, 캐리어부재의 길이방향 스트립이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홈에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길이방향의 스트립의 인접단부는 개별적인 연결부품으로 상호연결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용 연결장치로 이루어진 차창용 와이퍼장치.
KR1020087017468A 2006-01-18 2007-01-08 차창용 와이퍼 아암 KR200800868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00536A EP1810898A1 (en) 2006-01-18 2006-01-18 A windscreen wiper arm
EP06100536.9 2006-0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894A true KR20080086894A (ko) 2008-09-26

Family

ID=3657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468A KR20080086894A (ko) 2006-01-18 2007-01-08 차창용 와이퍼 아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18334A1 (ko)
EP (1) EP1810898A1 (ko)
JP (1) JP2009523646A (ko)
KR (1) KR20080086894A (ko)
CN (1) CN101374706A (ko)
CA (1) CA2635133A1 (ko)
WO (1) WO2007082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9937B2 (ja) * 2009-02-24 2013-07-17 市光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ーアーム
DE102015219529A1 (de) * 2015-10-08 2017-04-13 Robert Bosch Gmbh Wischarm sowie Scheibenwisch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CN107627997A (zh) * 2017-09-22 2018-01-26 厦门福来德汽配有限公司 雨刷支架及其雨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12044A (en) * 1951-04-13 1954-07-14 Trico Folberth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windscreen wipers
US2757403A (en) * 1952-04-17 1956-08-07 Productive Inventions Inc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GB1106698A (en) * 1965-07-27 1968-03-20 Trico Folberth Ltd Improvements in windscreen wipers
FR2543896B1 (fr) * 1983-04-05 1985-07-26 Marchal Equip Auto Cache-ressort pour essuie-glace et essuie-glace muni de ce cache-ressort
DE3433106C2 (de) 1984-09-08 1986-08-14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Wischarm, insbesondere für Wischanlagen an Kraftfahrzeugen
FR2693693B1 (fr) * 1992-07-15 1994-08-19 Valeo Systemes Dessuyage Bras d'essuie-glace.
FR2724897B1 (fr) * 1994-09-23 1996-12-13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pour l'accrochage du ressort d'essuyage
DE29611721U1 (de) * 1996-07-05 1997-11-06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9651856A1 (de) * 1996-12-13 1998-06-18 Teves Gmbh Alfred Wischarm einer Fahrzeugscheibenwischervorrichtung
EP1256496B1 (en) * 2001-05-08 2005-07-20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35133A1 (en) 2007-07-26
WO2007082812A1 (en) 2007-07-26
CN101374706A (zh) 2009-02-25
JP2009523646A (ja) 2009-06-25
US20100218334A1 (en) 2010-09-02
EP1810898A1 (en)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4752B1 (en) A windscreen wiper arm
KR20130062934A (ko) 차창용 와이퍼장치
JP2007504995A5 (ko)
EP3416858A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EP2790970B1 (en) Windscreen wiper arm
KR20080086894A (ko) 차창용 와이퍼 아암
JP3178011U (ja) ウィンドスクリーン用ワイパ・アーム
US20070261192A1 (en) Windscreen Wiper Arm
CN104395155B (zh) 挡风玻璃刮水器臂
KR101538184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MX2008007754A (en) A windscreen wiper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