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894A - A windscreen wiper arm - Google Patents
A windscreen wiper ar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6894A KR20080086894A KR1020087017468A KR20087017468A KR20080086894A KR 20080086894 A KR20080086894 A KR 20080086894A KR 1020087017468 A KR1020087017468 A KR 1020087017468A KR 20087017468 A KR20087017468 A KR 20087017468A KR 20080086894 A KR20080086894 A KR 200800868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windscreen wiper
- wiper arm
- mounting head
- hold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63—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 B60S1/3465—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with coil springs
- B60S1/3468—Mounting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을 위한 차창용 와이퍼 아암에 관한 것으로, 구동샤프트에 장착헤드부와 피봇을 수단으로 하여 장착헤드부에서 회전되게 연결된 아암부재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아암부재는 2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상기 피봇에 근접한 실제로 U자형상의 단면을 갖는바, 여기서 장착헤드부의 일부가 측벽 사이와 상기 피봇핀을 가로질러 길이연장되어 있고 스프링은 장착헤드부에 제1단부를 걸어 놓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a windscreen wiper arm for a vehicle, comprising an arm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a mounting head portion by means of a mounting head portion and a pivot on a drive shaft, wherein the arm member comprises the pivot consisting of two side walls. It actually has a U-shaped cross section close to, wherein a portion of the mounting head portion extends between the sidewalls and across the pivot pin and a spring hangs the first end on the mounting head portion.
이러한 차창용 와이어 아암은 독일 특허공보 제34 33 106호(SWF Auto-Electric GmbH사)에 기재된다. 여기에 기술된 아암부재는 와이어 로드에 연결되되, 와이어 로드의 한쪽 단부는 아암부재의 U자형상의 단면 내로 길이연장된다. 아암부재의 측벽은 와이어 로드 둘레에서 일부 겹쳐지는 반면에, 홀더는 로드의 단부 둘레에서 겹쳐진다. 종래기술의 차창용 와이어 아암의 스프링은 장착헤드부의 핀에 제1단부를 걸치고 홀더의 2개 구멍(eye)에 제2단부를 걸어 놓는다.Such a wire arm for a windshield is described in German Patent Publication No. 34 33 106 (SWF Auto-Electric GmbH). The arm member described herein is connected to a wire rod, with one end of the wire rod extending length into the U-shaped cross section of the arm member. The side wall of the arm member partially overlaps around the wire rod, while the holder overlaps around the end of the rod. The spring of the wire arm for a windshield of the prior art hangs a first end on a pin of a mounting head portion and hangs a second end on two eyes of a holder.
기술된 독일 특허공보에 기재된 차창용 와이어 아암의 단점은, 상기 차창용 와이어 아암이 스프링을 수용하는 추가 구조부품과 같은 상기 와이퍼 로드를 구비하는 한편, 복잡한 기계장치 또는 공구가 상기 와이퍼 로드를 제작하고 장착하기 위해 필요하되, 이러한 과정에서 비용이 산출된다. 덧붙여서, 와이퍼 로드는 상기 로드의 단부 둘레에 상기 홀더와 겹치기 위해 최소 길이를 구비해야만 한다.A disadvantage of the windshield wire arm described in the described German patent publication is that the windshield wire arm has the wiper rod as an additional structural part for receiving a spring, while a complex mechanism or tool allows the windshield rod to be manufactured and mounted. Necessary, but in this process costs are calculated. In addition, the wiper rod must have a minimum length to overlap the holder around the end of the rod.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기계장치 또는 추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최소 비용적 측면에서 위에 기술된 단점을 제거하는 것으로,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적 부품이 없는 단순한 차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국한되지 않고 궤도차량 및 다른 (고속) 운송수단에도 관련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minate the disadvantages described above in terms of minimum cost without the use of complicated machinery or additional tools, and propose a simple windscreen wiper arm without structural parts for spring mounting.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vehicles but also relates to tracked vehicles and other (high speed) vehicles.
본 발명에 따르면, 서문에 기술된 차창용 와이퍼 아암은 스프링이 아암부재에 연결된 단일 홀딩부재에 제2단부로 걸어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자면, 홀딩부재를 아암부재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원재료의 사용이 줄어드는 한편, 추가적인 세공단계가 배제된다. 바람직하기로, 홀딩부재는 아암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피봇은 바람직하게는 피봇핀으로 되어 있는 반면에, 스프링은 장착헤드부에 핀에 제1단부에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windscreen wiper arm described in the introdu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is hooked to the single holding member connected to the arm member at the second end. In other words, by directly connecting the holding member to the arm member, the use of raw materials is reduced while additional pore steps are eliminated. Preferably, the holding memb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rm member. The pivot is preferably of a pivot pin, whereas the spring preferably spans the first end to the pin in the mounting hea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암부재의 U자형상의 단면의 하나 이상의 측벽은 홀딩부재의 고정면에 대해 인접한 립부(lip)를 구비한다. 립부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아암부재의 길이부를 따르는) 길이방향뿐만 아니라 (예컨대, 아암부재와 수직되는) 가로방향으로 홀딩부재의 임의의 이동을 방지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ndscreen wiper ar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t least one side wall of the U-shaped cross section of the arm member has a lip adjacent to the holding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The lip prevents any movement of the hold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perpendicular to the arm member) as well a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along the length of the arm member) by the force of the spring.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면은 홀딩부재의 L자형상 부분의 레그부(leg)에 위치된다. 다시 말하자면, 립부는 L자형상 부분의 레그부에 인접해 있는 아암부재 내에서 홀딩부재의 어떠한 이동도 차단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ndscreen wiper ar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ixing surface is located at the leg of the L-shaped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In other words, the lip blocks any movement of the holding member in the arm member adjacent to the leg portion of the L-shape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립부는 측벽에서 떨어져 내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ndscreen wiper ar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lip is curved inwardly away from the side wall.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홀딩부재의 U자형상의 단면의 기저부에 제2단부를 걸어 놓는다. 특히, 스프링은 U자형상의 단면의 기저부에 구비된 구멍에 제2단부를 걸어 놓는다. 특히, 구멍은 홀딩부재의 재료에 형성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ndscreen wiper ar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pring hangs the second end at the base of the U-shaped cross section of the holding member. In particular, the spring hangs the second end in the hole provided in the base of the U-shaped cross section. In particular, the hole is formed in the material of the hold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암부재는 플라스틱재로 제작한다. 바람직하기로, 장착헤드부도 플라스틱재로 제작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ndscreen wiper ar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arm member is made of plastic material. Preferably, the mounting head portion is also made of plastic.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으로 이루어진 차창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창용 와이퍼 장치는 유연하고 길이연장된 캐리어부재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소재의 길이연장된 와이퍼 블레이드로 이루어져, 닦여질 차창에 접하여 안착될 수 있으며, 와이퍼 블레이드는 길이측면에 마주보게 길이방향의 홈을 구비하여, 캐리어부재의 길이방향 스트립이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홈에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길이방향의 스트립의 인접단부는 개별적인 연결부품으로 상호연결되되, 차창용 와이퍼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용 연결장치를 구비한다. 따라서, 차창용 와이퍼장치는 "요크없는" 와이퍼장치로 설계되어 있으며, 서로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된 다수의 요크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나, 와이퍼장치는 캐리어부재로 편향되어져, 이로 인해 특정한 굴곡현상을 보여준다. 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은 측면에 피봇핀을 구비하고, 피봇핀은 측면경로를 통해 연결장치의 관통구멍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은 장점이 있다 하더라도 "요크없는 블레이드"로 국한되지 않고,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요크를 갖춘 차창용 와이퍼장치의 다른 유형으로 확장된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 windscreen wiper arm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particular, the windscreen wiper device is composed of a flexible, long-length carrier member as well as a long-length wiper blade made of soft material, can be seated in contact with the window to be wiped, the wiper blade has a longitudinal groove facing the length side Thus, the longitudinal strips of the carrier member are spaced apart in the grooves, wherein the adjacent ends of the longitudinal strips are interconnected by separate connecting parts, the windscreen wiper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windscreen wiper arm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 device. Therefore, the windscreen wiper device is designed as a "yokeless" wiper device and no longer uses a plurality of yokes that are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wiper device is deflected by the carrier member, thereby exhibiting a certain bending phenomenon. The windscreen wiper arm has a pivot pin on the side, and the pivot pi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connecting device through the side path. The invention, although advantageous, is not limited to "yokeless blades" but extends to other types of windscreen wiper devices with yokes as mentioned above.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The invention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요크 없는" 유형의 종래에 차창용 와이퍼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차창용 와이퍼 아암이 닦는 위치(도 1)와 장착위치(도 2)에 놓여 있다.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conventional windscreen wiper device of the "yokeless" type, in which the windscreen wiper arm is in a wipe position (FIG. 1) and a mounting position (FIG. 2).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차창용 와이퍼장치의 상세도이다.3 is a detailed view of the windscreen wiper device of FIGS. 1 and 2.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저면도이다.4 is a bottom view of the windscreen wiper arm of FIGS. 1 and 2;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부재의 2개의 실시예를 각각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1 및 도 2의 유형의 차창용 와이퍼장치에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저면도와 측면도이다.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each of two embodiments of the hol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bottom view of the windscreen wiper arm according to the invention used in the windscreen wiper device of the type of Figures 1 and 2 Side view.
도 6a 및 도 6b는 도 5a와 도 5b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차창용 와이퍼 아암이 다른 장착위치에 도시되어 있다.6A and 6B are views corresponding to FIGS. 5A and 5B, wherein the windshield wiper arm is shown in a different mounting position.
도 1 내지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차창용 와이퍼장치는 길이방향의 측면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길이방향의 홈(3)이 형성된 탄성체 와이퍼 블레이드(2)와 상기 길이방향의 홈(3)에 장착될 길이연장 된 스프링밴드강으로 만들어진 스트립(4)으로 조립된다. 상기 스트립(4)은 고무 와이퍼 블레이드(2)를 위한 부드러운 캐리어부재를 형성하되, 다시 말하자면, 만곡부에서 기울어진다(작동위치에 만곡부는 닦여질 차창으로 되어 있다). 스트립(4)의 인접단부(5)는 연결부품(6)을 매개로 하여 차창용 와이퍼장치(1)의 양 측면으로 상호연결된다. 추가로, 차창용 와이퍼장치(1)는 왕복아암(8)용 연결장치와 스포일러(9)를 장착한다.1 to 4 show a windscreen wi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windscreen wiper device is made of an elastic wiper blade (2) having a longitudinal groove (3) formed in an opposite direction along a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trip made of an elongated spring band steel to be mounted in the longitudinal groove (3). (4) is assembled. The strip 4 forms a soft carrier member for the
도 1 및 도 2는 각각 닦여질 위치와 장착위치에 있는 차창용 와이퍼장치(1)를 도시하는 반면에, 도 3은 도 1의 차창용 와이퍼장치(1)의 자유단을 도시한다.1 and 2 show the windscreen wiper device 1 in the position to be wiped and the mounting position, respectively, while FIG. 3 shows the free end of the windscreen wiper device 1 of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차창용 와이어 아암(8)은 도해되지 않은 기계를 매개로 한 소형 모터로 구동된 샤프트(19)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알루미늄 장착헤드부(1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차창용 와이퍼 아암(8)은 추가로 장착헤드부(18)로 지지된 금속 아암부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암부재(20)는 도 1에 도시되었듯이 연결장치(7)의 도움으로 와이퍼 블레이드(2)를 지지한다. 아암부재(20)는 피봇핀(21)을 수단으로 하여 장착헤드부(1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프링(22)은 장착헤드부(18)의 핀(23)에 제1단부를 걸고 아암(8)의 와이퍼 로드(24)에 제2단부를 걸어서 아암부재(20)를 확보하여서 이에 연결된 와이퍼 블레이드(2)가 닦여질 차창 위를 가압한다. 사용중에, 샤프트(19)가 번갈아가면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헤드장착부(18)를 교대로 회전시켜, 교대로 아암부재(20)를 회전하고 연결장치(7)로 와이퍼 블레이드(2)가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재(20)는 2개의 측벽(25,26)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봇핀(21)에 근접해 실제로 U자형상의 단면을 갖추고, 장착헤드부(18)의 일부가 측벽(25,26) 사이와 상기 피봇핀(21)을 가로질러 길이연장되어, 상기 장착헤드부(18)의 측벽(27,28)이 상기 아암부재(20)의 측벽(25,26)에 인접한다.As shown in FIG. 4, the
도 5a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홀딩부재(29)는 기본적으로 (상기 홀딩부재(29)의 실시예 좌측에 도시한) 2개 레그부(30) 또는 (상기 홀딩부재(29)의 실시예 우측에 도시함) 4개의 레그부(30)를 갖춘 U자형상의 단면과 기저부(31)로 구성되되, 여기서 구멍(32)은 상기 기저부(31)에 형성된다. 도 5b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창용 와이퍼 아암의 아암부재(20)가 저면도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상기 아암부재(20)의 측벽(25,26)은 상기 측벽(25,26)에서 떨어져 내부로 향해 만곡된 립부(33)를 마주보게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A, a
도 6a 및 도 6b를 참조로 하면, 도 5a의 상기 홀딩부재(29)는 상기 아암부재(20)에 장착되어, 상기 홀딩부재(29)의 상기 레그부(30)는 상기 아암부재(20)의 U자형상의 단면의 기저부(34)를 향해 접하게 되고 상기 홀딩부재(29)의 기저부(31)는 상기 아암부재(20)의 U자형상의 단면의 상기 기저부(34)에서 떨어진다. 상기 홀딩부재(29)의 폭은 상기 홀딩부재(29)의 상기 레그부(30)가 상기 아암부재(20)의 상기 측벽(25,26)에 인접되게 선택된다. 상기 스프링(22)은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유형의 장착헤드부(18)의 핀(21)에 제1단부를 걸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홀딩부재(29)의 상기 기저부(31)에 구비된 상기 구멍(32)에 제2단부를 걸어 넣는다. 상기 스프링(22)의 탄발력의 영향으로 상기 아암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가로방향으로 홀딩부재(29)를 이동하지 못하게 하도록, 상기 내부로 만곡된 립부(33)는 상기 홀딩부재(29)의 고정면(35,36)에 대해 인접한다(도 5a에 도시함). 상기 고정면(35,36)은 상기 홀딩부재(29)의 L자형상 부분의 레그부에 위치된다(도 5a에 도시함).6A and 6B, the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다른 실시예로 확장가능하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but may be extended to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6100536A EP1810898A1 (en) | 2006-01-18 | 2006-01-18 | A windscreen wiper arm |
EP06100536.9 | 2006-01-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6894A true KR20080086894A (en) | 2008-09-26 |
Family
ID=3657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17468A KR20080086894A (en) | 2006-01-18 | 2007-01-08 | A windscreen wiper arm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218334A1 (en) |
EP (1) | EP1810898A1 (en) |
JP (1) | JP2009523646A (en) |
KR (1) | KR20080086894A (en) |
CN (1) | CN101374706A (en) |
CA (1) | CA2635133A1 (en) |
WO (1) | WO2007082812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39937B2 (en) * | 2009-02-24 | 2013-07-17 | 市光工業株式会社 | Wiper arm |
DE102015219529A1 (en) * | 2015-10-08 | 2017-04-13 | Robert Bosch Gmbh | Wiper arm and windscreen wip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
CN107627997A (en) * | 2017-09-22 | 2018-01-26 | 厦门福来德汽配有限公司 | Windscreen wiper and its rain brush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712044A (en) * | 1951-04-13 | 1954-07-14 | Trico Folberth Ltd | Improvements relating to windscreen wipers |
US2757403A (en) * | 1952-04-17 | 1956-08-07 | Productive Inventions Inc |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
GB1106698A (en) * | 1965-07-27 | 1968-03-20 | Trico Folberth Ltd | Improvements in windscreen wipers |
FR2543896B1 (en) * | 1983-04-05 | 1985-07-26 | Marchal Equip Auto | SPRING COVER FOR WINDSCREEN WIPER AND WIPER PROVIDED WITH THIS SPRING COVER |
DE3433106C2 (en) | 1984-09-08 | 1986-08-14 |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 Wiper arm, in particular for wiper systems on motor vehicles |
FR2693693B1 (en) * | 1992-07-15 | 1994-08-19 | Valeo Systemes Dessuyage | Wiper arms. |
FR2724897B1 (en) * | 1994-09-23 | 1996-12-13 | Valeo Systemes Dessuyage | MOTOR VEHICLE WINDSCREEN WIPER COMPRISING IMPROVED MEANS FOR HANGING THE WIPING SPRING |
DE29611721U1 (en) * | 1996-07-05 | 1997-11-06 | Robert Bosch Gmbh, 70469 Stuttgart | Wiper blade for windows of motor vehicles |
DE19651856A1 (en) * | 1996-12-13 | 1998-06-18 | Teves Gmbh Alfred | Wiper arm for windscreen wiper of motor vehicle |
ES2245340T3 (en) * | 2001-05-08 | 2006-01-01 | Federal-Mogul S.A. | WINDSHIELD CLEANING DEVICE. |
-
2006
- 2006-01-18 EP EP06100536A patent/EP181089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7
- 2007-01-08 CA CA002635133A patent/CA263513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1-08 WO PCT/EP2007/050147 patent/WO200708281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1-08 CN CNA200780003273XA patent/CN101374706A/en active Pending
- 2007-01-08 KR KR1020087017468A patent/KR2008008689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1-08 US US12/161,414 patent/US2010021833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1-08 JP JP2008550715A patent/JP2009523646A/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374706A (en) | 2009-02-25 |
US20100218334A1 (en) | 2010-09-02 |
WO2007082812A1 (en) | 2007-07-26 |
JP2009523646A (en) | 2009-06-25 |
CA2635133A1 (en) | 2007-07-26 |
EP1810898A1 (en) | 2007-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14752B1 (en) | A windscreen wiper arm | |
KR20130062934A (en) | A windscreen wiper device | |
JP2007504995A5 (en) | ||
EP3416858A1 (en) | A windscreen wiper device | |
EP2790970B1 (en) | Windscreen wiper arm | |
JP3178011U (en) | Windscreen wiper arm | |
KR20080086894A (en) | A windscreen wiper arm | |
CN104395155B (en) | Windshield finger | |
KR101538184B1 (en) | Windscreen wiper device | |
EP1574409B1 (en) | A windscreen wiper arm | |
MX2008007754A (en) | A windscreen wiper ar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