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484A -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484A
KR20190005484A KR1020170086207A KR20170086207A KR20190005484A KR 20190005484 A KR20190005484 A KR 20190005484A KR 1020170086207 A KR1020170086207 A KR 1020170086207A KR 20170086207 A KR20170086207 A KR 20170086207A KR 20190005484 A KR20190005484 A KR 20190005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assembly
ejector
lev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주희
Original Assignee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5484A/ko
Publication of KR2019000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3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locksmith's goods, e.g.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4Fastening the knob or the handle shank to the spindle by screws, springs or snap bolt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록용 레버모듈 내부에 설치되는 주요 부품 중 캠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게 한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캠을 일렬로 정렬하면서 연속 공급하는 캠피더부(51)와; 소정 높이로 캠을 밀어 올리는 캠이젝터부(52)와; 캠의 방향을 맞추면서 파지하여 레버의 스핀들(SP)에 자동 조립하는 캠조립부(5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록용 레버모듈(LM) 내부에 설치되는 주요 부품 중 캠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인건비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Cam assembly device for door lock lever assembly system}
본 발명은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록용 레버모듈 내부에 설치되는 주요 부품 중 캠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록'은 건축물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열고 닫을 때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출입문의 잠금 기능을 제공하여 방범 및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도어록은 열쇠, 버튼, 디지털 비밀번호 등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에 따라서 외형이 조금씩 달라지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출입문의 내·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내·외측 레버모듈(1, 1a)과, 상기 내·외측 레버모듈 사이에 설치하고, 작동로드(2)를 통해 내·외측 레버모듈의 레버와 연동하여 진퇴함으로써 출입문의 닫힘 및 잠금 기능의 수행을 가능케 하는 레치볼트(31)를 구비한 레치모듈(3)(또는 '모티스'라고도 함)을 출입문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록은 상기 래치볼트에 대응하는 걸림홈을 도어프레임에 형성함으로써 출입문의 내·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내·외측 레버모듈의 레버(11)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작동로드(2)에 의해 레치모듈(3)로 전달됨으로써 레치모듈(3)에서 돌출되어 도어프레임의 걸림홈에 걸려있던 레치볼트(31)가 후퇴하면서 걸림홈에서 이탈함으로써 출입문의 열림이 가능케 되고, 출입문을 닫으면 레치모듈(3)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레치볼트(31)가 돌출되면서 도어프레임의 걸림홈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출입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치모듈(3)에 구비된 잠금버튼(32)을 통해 레치볼트(31)의 후퇴를 방지함으로써 출입문이 잠기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록이 설치되어 닫힌 상태의 출입문을 열기 위해서는 출입문의 내·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내·외측 레버모듈(1, 1a)에 설치된 레버(11)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레치모듈(3)의 레치볼트(31)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레버를 회전시킨 손을 놓으면 레버에 가해진 힘이 해소됨과 동시에 레버(11)가 원래 위치로 리턴이 이루어져야 레치모듈(3)의 반복적인 작동이 가능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레버(11)의 리턴을 위해서는 첨부도면 도 2와 같이 레버모듈(1)의 커버플레이트(12)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스프링지지부(12a)에 양단부가 지지되게 설치되는 토션스프링(13)과, 상기 토션스프링(13)에 의해 탄력 회전하면서 레버(11)의 리턴 회전이 가능하도록 레버(11)의 스핀들(11a)에 결합하는 캠(14)과, 상기 스핀들(11a)에 결합된 캠(1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핀들(11a)에 형성된 스냅링설치홈에 결합하는 스냅링(15)을 필요로 하게 된다.
없음.
따라서 첨부도면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레버모듈(1)을 조립하여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작업자가 컨베이어 조립 라인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커버플레이트가 결합된 레버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면, 컨베이어를 따라서 배치된 작업자 중 첫 번째 작업자가 커버플레이트가 결합된 레버를 들어올려, 레버스핀들에 토션스프링을 압축해서 끼운 후 다시 컨베이어에 내려놓은 동작을 반복하고, 두 번째 작업자는 토션스프링이 결합되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레버를 들어올려 레버스핀들에 캠을 끼운 후 다시 컨베이어에 내려놓은 동작을 반복하고, 세 번째 작업자는 토션스프링과 캠이 결합되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레버를 들어올려 스냅링을 레버스핀들에 끼워서 조립한 후, 다시 컨베이어에 내려놓은 동작을 단순 반복하는 방식으로 조립 생산이 이루어짐으로써 레버모듈의 조립 생산을 위해서는 많은 수의 작업자가 많은 작업공간을 할애한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조립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게 되므로 우수하고 균일한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힘들게 된다.
또한, 레버모듈의 조립 생산을 위하여 투입된 작업자의 경험치가 균일하지 못할 경우에는 어느 한 파트의 조립이 늦어지거나 빨라지는 경우에, 부품의 조립 생산 과정이 연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작업이 지체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그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레버모듈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 중에서 토션스프링이나 스냅링은 조립 과정에서 압축이나 확대를 위해 일정한 조립 압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캠의 경우에는 레버의 스핀들과 조립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작업자가 이러한 부품을 조립하기 전용 조립 공구를 이용해 일일이 손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토션스프링이나 스냅링을 파지하여 조립하거나, 캠을 이리저리 돌리면서 조립 위치를 맞추어가면서 조립함으로써 장시간 조립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조립을 위한 작업자의 경력에 따라 조립되는 제품의 질이 천차만별인 것은 물론, 오조립과 조립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고, 오조립된 상태에서 실제 출입문에 장착하였을 때 도어록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민원이 대거 발생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수의 조립 생산 인력을 필요로 함에 따른 인건비 상승 및 조립 및 생산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됨에 따른 생산성 저하와 더불어 균일하지 못한 조립 품질 등으로 인해 제품의 상품성 및 대외 경쟁력이 저하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다량의 캠을 파츠피더(511)에 적재하여 공급라인(512)을 따라 일렬로 정렬하면서 연속 공급하는 캠피더부(51)와;
상기 공급라인(512)에서 배출되는 캠을 캠적재대(521)에 적재한 후, 캠이젝터(522a)를 이용해 상기 캠적재대(521)에서 소정 높이로 캠을 밀어 올리는 캠이젝터부(52)와;
상기 캠이젝터(522a)에 의해 소정 높이로 밀어 올려진 캠을 캠장착부(532)로 파지하여 상기 지그(2)에 고정된 레버의 스핀들(SP)에 자동 조립하는 캠조립부(5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캠이젝터부(52)는 상면에 캠이 안착되는 안착홈(521a)을 형성하고, 안착홈(521a) 중심부에 수직으로 통공(521b)을 형성한 캠적재대(521)와; 상기 안착홈(521a)에 안착된 캠을 안착홈(521a)에서 소정 높이로 배출되게 하는 캠이젝터(522a)를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5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이젝터(522a)는 상기 캠적재대(521)에 형성된 통공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봉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부는 상기 캠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공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되, 캠이젝터(522a)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테이퍼부(522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조립부(53)는 수평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동모듈(SM)에 수직으로 설치한 제3실린더(531a)의 스트로크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승강판(531)과;
상기 승강판(531)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압장치(532a)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기 캠이젝터(522a)의 테이퍼부(522b)에 거치된 캠의 파지한 후, 상기 레버의 스핀들(SP)에 장착하는 캠장착부(5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장착부(53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된 핑거 타입으로서, 각 핑거의 하단부 상호 대향하는 내면에는 캠의 두께와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파지홈(532b)을 형성함으로써 캠의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케 된다.
상기 캠적재대(521) 일측에는 상기 공급라인(512)을 통해 공급된 캠이 캠적재대(521)의 안착홈(521a)에 안착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캠이젝터부(52)의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서 도어록용 레버모듈 내부에 설치되는 주요 부품 중 캠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는 도어록용 레버모듈 내부에 설치되는 주요 부품 중 캠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버모듈의 조립 생산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인력 절감에 따른 인건비 절감을 통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록용 레버모듈 내부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을 맞추어야 하는 캠을 자동화된 조립부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자동 조립 가능케 함으로써 캠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캠의 방향성을 맞추어 조립할 때, 자동화된 조립부를 이용해 정확한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되어 레버모듈의 조립 품질이 크게 향상되고, 그로 인해 제품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조립 품질을 통해 레버모듈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도어록을 구성하는 레버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캠이젝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캠이젝터에 의해 캠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캠장착부에 의해 캠이 파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캠조립부에 의해 캠이 조립 위치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도 8은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캠장착부에 의해 캠이 스핀들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에 의해 레버모듈에 캠이 조립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어록용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어록용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어록용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의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어록용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의 투입파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어록용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의 스프링파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어록용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의 스냅링파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어록용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의 라스트파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도어록용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의 배출파트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는 캠을 일렬로 정렬하면서 연속 공급하는 캠피더부(51)와; 소정 높이로 캠을 밀어 올리는 캠이젝터부(52)와; 캠의 방향을 맞추면서 파지하여 레버의 스핀들(SP)에 자동 조립하는 캠조립부(5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하, 상기 주요 구성부를 각 구성부 별로 세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캠피더부(51)는 다량의 캠을 적재하여 일렬로 정렬하면서 배출하는 파츠피더(511)와, 상기 파츠피더(511)에서 연속 배출되는 캠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공급라인(512)을 구비한다.
상기 파츠피더(511)는 상부에 적재함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진동부를 구비하여 적재함에 적재된 다량의 부품이나 원료를 진동을 이용해 선별, 정렬한 후 필요한 방향으로 자동 배출하는, 공장자동화의 가장 기본적인 장비로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계에서 사용하는 주지된 기술인바, 파츠피더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의 도시나 구조 및 기능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공급라인(512)은 캠의 직경에 대응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파츠피더(511)에서 진동에 의해 정렬되어 연속 공급되는 캠이 공급라인(512)을 따라서 자연스럽게 연속 공급 가능하도록 일정한 경사를 가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라인(512)에는 캠의 하면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가 삽입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공급라인(512)을 따라서 가이드홈(512a)을 형성함으로써 공급라인(512)에 의해 캠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캠은 항상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한 채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캠이젝터부(52)는 상기 공급라인(512)을 따라서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한 채 공급된 캠이 상기 캠조립부(53)에 의해 원활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면에 캠이 안착되는 안착홈(521a)을 형성하고, 안착홈(521a) 중심부에 수직으로 통공(521b)을 형성한 캠적재대(521)와; 상기 안착홈(521a)에 안착된 캠을 안착홈(521a)에서 소정 높이로 배출되게 하는 캠이젝터(522a)를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522)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승강수단(522)은 인출, 인입 스트로크가 이루어지는 피스톤로드를 구비한 실린더를 사용하고, 상기 캠이젝터(522a)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부에 구비하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 캠이젝터(522a)는 상기 캠적재대(521)에 형성된 통공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 가능하도록 상기 통공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봉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캠이젝터(522a)의 상단부는 상기 캠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공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되, 캠이젝터(522a)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테이퍼부(522b)를 형성한다.
따라서 캠이젝터(522a)의 상단부가 상기 안착홈(521a)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521b)을 관통하면서 통공의 상방으로 돌출되면, 안착홈(521a)에 안착된 캠의 중심공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중심공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캠이젝터(522a)의 형상에 의해 캠의 중심공 내주면이 캠이젝터(522a)의 테이퍼부(522b)에 거치되면서 캠이젝터(522a)에 의해 상기 안착홈(521a)에서 배출됨과 동시에 테이퍼부(522b)에 의해 소정 높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캠조립부(53)는 턴테이블(1) 상부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1)에서 상기 캠적재대(521)와 레버를 고정한 지그(2) 간 수평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동모듈(SM)에 수직으로 설치한 제3실린더(531a)의 스트로크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승강판(531)과,
상기 승강판(531)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압장치(532a)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기 캠이젝터(522a)의 테이퍼부(522b)에 거치된 캠의 파지한 후, 상기 레버의 스핀들(SP)에 장착하는 캠장착부(532)를 구비한다.
상기 캠장착부(53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된 핑거 타입으로서, 각 핑거의 하단부 상호 대향하는 내면에는 캠의 두께와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파지홈(532b)을 형성함으로써 캠의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케 된다.
상기 슬라이동모듈(SM)은 공장자동화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주요장치의 정밀한 수직, 수평 이동을 위해서 설치하는 것으로서 통상 볼스크류나 서보모터, LM가이드 등으로 구성되어 신속하고 정확한 수직, 수평 이동 제어가 가능케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기술인바, 슬라이동모듈(SM)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의 도시나 구조 및 기능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캠적재대(521) 일측에는 상기 공급라인(512)을 통해 공급된 캠이 캠적재대(521)의 안착홈(521a)에 안착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캠이젝터부(52)의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캠 조립장치(5)의 정밀한 자동 제어가 가능케 된다.
따라서 상기 캠 조립장치(5)는 상기 캠피더부(51)에서 연속 공급된 캠이 캠적재대(521) 상에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적재되면, 캠이젝터부(52)가 캠적재대(521)에 적재된 캠을 소정 높이로 밀어 올린 후, 캠조립부(53)의 캠장착부(532)가 상기 캠이젝터부(52)에 의해 소정 높이로 밀어 올려진 캠을 파지하여 지그(2) 상부로 이송한 후, 지그(2)에 고정된 레버의 스핀들(SP)이 캠의 중심공으로 삽입되도록 캠을 장착시키면, 캠에 형성된 걸림돌부가 상기 스핀들(SP)에 장착된 스프링의 양단부 외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면서 레버 리턴을 위해 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한 캠의 자동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가 적용되는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은 레버를 고정하는 지그(2)를 방사형으로 설치하여 커버플레이트(CP)가 조립된 레버를 상기 지그(2)에 고정하여 간헐 회전하면서 이송하는 턴테이블(1)과; 커버플레이트(CP)가 조립된 레버를 상기 지그(2)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그(2)의 승강체(22)를 승강시키는 공급파트(3)와; 상기 턴테이블(1)에 의해 이송된 레버의 스핀들(SP)에 스프링을 자동 조립하는 스프링파트(4)와; 스프링이 조립된 후 상기 턴테이블(1)에 의해 이송된 레버의 스핀들(SP)에 캠을 자동 조립하는 캠파트(5)와; 캠이 조립된 후 상기 턴테이블(1)에 의해 이송된 레버의 스핀들(SP)에 스냅링을 자동 조립하는 스냅링 조립장치(6)와; 스냅링이 조립된 후 상기 턴테이블(1)에 의해 이송된 레버의 스핀들(SP)에 조립된 스냅링을 재가압하여 스냅링이 정확하게 조립되게 하는 라스트파트(7)와; 조립 완료 후 상기 턴테이블(1)에 의해 이송된 레버를 지그(2)에서 자동 배출하는 배출파트(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에 의한 레버모듈(LM)의 조립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파트(3)의 제1하강수단(31)에 의해 지그(2)의 승강체(22)가 하강하면, 작업자가 커버플레이트(CP)를 결합한 레버를 지그(2)의 레버고정부재(23)에 형성된 고정홈(231)에 삽입하며, 레버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하강수단(31)이 원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승강체(22)의 하강 과정에서 압축되었던 탄성부재(24)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체(22)도 원래 위치로 상승하면서, 레버고정부재(23)에 고정된 레버의 스핀들(SP)이 상기 보디(21)의 조립공(211a)의 중심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레버와 결합된 레버플레이트의 상면이 탄성부재(24)의 탄성에 의해 상기 보디(21)의 상판(211) 하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레버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 후 턴테이블(1)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파트(4)로 이송된다.
상기 스프링파트(4)에서는 스프링피더부(41)에서 연속 공급된 스프링이 정렬부(42)에서 스프링의 양단부가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면, 이송부(43)가 상기 정렬된 스프링을 압축부(44)의 스프링적재대(441)로 이송한 후, 스프링적재대(441)와 가압대(442)의 작동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고, 이어서 스프링조립부(45)의 스프링파지부(451)가 상기 압축된 스프링을 압축된 상태로 파지하여 지그(2) 상부로 이송한 후, 스프링장착부(452)가 스프링파지부(451)에 파지된 스프링을 스프링파지부(451)에서 밀어냄으로써 스프링파지부(451)에서 이탈한 스프링이 지그(2)에 고정된 레버의 스핀들(SP) 외부에 끼워짐과 동시에 압축되었던 스프링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스프링의 양단부가 커버플레이트(CP)의 내측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스프링지지부에 각각 걸려서 장착됨으로써 스프링의 자동 조립이 이루어진 후, 턴테이블(1)의 회전에 의해 캠 조립장치(5)로 이송된다.
상기 캠 조립장치(5)에서는 상기 캠피더부(51)에서 연속 공급된 캠이 캠적재대(521) 상에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적재되면, 캠이젝터부(52)가 캠적재대(521)에 적재된 캠을 소정 높이로 밀어 올린 후, 캠조립부(53)의 캠장착부(532)가 상기 캠이젝터부(52)에 의해 소정 높이로 밀어 올려진 캠을 파지하여 지그(2) 상부로 이송한 후, 지그(2)에 고정된 레버의 스핀들(SP)이 캠의 중심공으로 삽입되도록 캠을 장착시키면, 캠에 형성된 걸림돌부가 상기 스핀들(SP)에 장착된 스프링의 양단부 외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면서 레버 리턴을 위해 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한 캠의 자동 조립이 이루어진 후, 턴테이블(1)의 회전에 의해 스냅링파트(6)로 이송된다.
상기 스냅링파트(6)에서는 상기 스냅링피더부(61)에서 연속 공급된 스냅링이 스냅링적재대(621) 상에 적재되면, 스냅링이젝터부(62)가 스냅링적재대(621)에 적재된 스냅링을 소정 높이로 밀어 올린 후, 스냅링조립부(63)의 파지부가 상기 스냅링이젝터부(62)에 의해 소정 높이로 밀어 올려진 스냅링을 파지하여 지그(2) 상부로 이송한 후, 지그(2)에 고정된 레버의 스핀들(SP)이 스냅링의 중심공으로 삽입되도록 스냅링파지부(631)가 하강한 상태에서 스냅링장착부(632)가 하강하면, 스냅링파지부(631)에 파지된 스냅링이 스냅링파지부(631)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내경이 축소되면서 스핀들(SP)의 스냅링설치홈에 장착되어 스핀들(SP)에 결합된 캠의 이탈 방지를 위한 스냅링의 자동 조립이 이루어진 후, 턴테이블(1)의 회전에 의해 라스트파트(7)로 이송된다.
상기 라스트파트(7)에서는 상기 스냅링파트(6)에서 스냅링 조립이 완료된 레버가 턴테이블(1)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면, 제6실린더(71)의 피스톤로드가 수직 하방으로 인출되면서, 가압관(72)의 저면이 레버의 스핀들(SP)에 결합된 스냅링을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여 스냅링을 스핀들(SP)에 형성된 스냅링설치홈까지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냅링파트(6)에서 스핀들(SP)의 스냅링설치홈에 정확하게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스냅링이 정확히 스냅링설치홈에 끼워지게 한 후, 턴테이블(1)의 회전에 의해 배출파트(8)로 이송된다.
상기 배출파트(8)에서는 상기 제2하강수단(81)에 의해 지그(2)의 승강체(22)가 하강하면, 지그(2)의 레버고정부재(23)에 고정된 레버모듈(LM)의 커버플레이트(CP) 외측면이 상기 배출수단(82)의 실린더에서 스트로크되는 피스톤로드의 중심과 수평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배출수단(82)의 피스톤로드가 인출되면서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설치된 완충부재가 커버플레이트(CP)의 외측면을 레버가 고정된 레버고정부재(23)의 전방 개구부 쪽으로 밀어내면 레버고정부재(23)의 고정홈(231)에 고정된 레버가 고정홈(231)의 전방 개구부 쪽으로 배출되어 레버모듈(LM)의 배출위치 앞에 설치된 배출슈트(83)를 통해 자동 배출됨으로써 도어록용 레버모듈(LM) 내부에 설치되는 주요 부품 중 캠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되어 레버모듈(LM)의 조립 생산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인건비 절감을 통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과정에서 일정한 방향성을 필요로 하는 캠을 자동화된 조립부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자동 조립 가능케 되어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을 통해 생산성 및 조립 품질이 크게 향상되고, 제품 불량률은 대폭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LM: 레버모듈 CP: 커버플레이트
SP: 스핀들 S: 스프링
C: 캠 R: 스냅링
1: 턴테이블 11: 베이스플레이트
2: 지그 21: 보디
22: 승강체 23: 레버고정부재
24: 탄성부재 3: 공급파트
31: 제1하강수단 4: 스프링파트
41: 스프링피더부 42: 정렬부
421: 회전판 422: 회전수단
43: 이송부 44: 압축부
45: 스프링조립부 5: 캠파트
51: 캠피더부 52: 캠이젝터부
53: 캠조립부 6: 스냅링파트
61: 스냅링피더부 62: 스냅링이젝터부
63: 스냅링조립부 7: 라스트파트
71: 제6실린더 72: 가압관
8: 배출파트 81: 제2하강수단
82: 배출수단 83: 배출슈트

Claims (6)

  1. 다량의 캠을 파츠피더(511)에 적재하여 공급라인(512)을 따라 일렬로 정렬하면서 연속 공급하는 캠피더부(51)와;
    상기 공급라인(512)에서 배출되는 캠을 캠적재대(521)에 적재한 후, 캠이젝터(522a)를 이용해 상기 캠적재대(521)에서 소정 높이로 캠을 밀어 올리는 캠이젝터부(52)와;
    상기 캠이젝터(522a)에 의해 소정 높이로 밀어 올려진 캠을 캠장착부(532)로 파지하여 상기 지그(2)에 고정된 레버의 스핀들(SP)에 자동 조립하는 캠조립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이젝터부(52)는 상면에 캠이 안착되는 안착홈(521a)을 형성하고, 안착홈(521a) 중심부에 수직으로 통공(521b)을 형성한 캠적재대(521)와; 상기 안착홈(521a)에 안착된 캠을 안착홈(521a)에서 소정 높이로 배출되게 하는 캠이젝터(522a)를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5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조립부(53)는 수평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동모듈(SM)에 수직으로 설치한 제3실린더(531a)의 스트로크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승강판(531)과;
    상기 승강판(531)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압장치(532a)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기 캠이젝터(522a)의 테이퍼부(522b)에 거치된 캠의 파지한 후, 상기 레버의 스핀들(SP)에 장착하는 캠장착부(5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적재대(521) 일측에는 상기 공급라인(512)을 통해 공급된 캠이 캠적재대(521)의 안착홈(521a)에 안착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캠이젝터부(52)의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이젝터(522a)는 상기 캠적재대(521)에 형성된 통공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봉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부는 상기 캠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공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되, 캠이젝터(522a)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테이퍼부(522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장착부(53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된 핑거 타입으로서, 각 핑거의 하단부 상호 대향하는 내면에는 캠의 두께와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파지홈(532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KR1020170086207A 2017-07-07 2017-07-07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KR20190005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07A KR20190005484A (ko) 2017-07-07 2017-07-07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07A KR20190005484A (ko) 2017-07-07 2017-07-07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84A true KR20190005484A (ko) 2019-01-16

Family

ID=65280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207A KR20190005484A (ko) 2017-07-07 2017-07-07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5484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9307B (zh) 一种汽车后视镜多关节调整器自动生产线及其生产工艺
CN109807629B (zh) 铰链阻尼器组件自动组装机
CN108381168B (zh) 电梯板式制动器自动化装配线
KR101854209B1 (ko)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스프링 조립장치
JPH0448566B2 (ko)
CN109273308B (zh) 一种全自动键盘组装流水线
CN109591251B (zh) 针对端子注塑的生产方法
CN112440100A (zh) 一种门挡治具转动装置和门挡组装机
CN108637687A (zh) 一种全自动滚筒刷鸟笼装配机
CN111673451A (zh) 一种化妆品包装瓶及其生产设备和方法
CN114273913B (zh) 一种汽车座椅滑轨丝杆自动安装机及工作方法
CN117444603B (zh) Cpu组装治具及全自动cpu支架锁螺丝机的上料机构
KR101877356B1 (ko)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스냅링 조립장치
KR20190005484A (ko)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캠 조립장치
CN110587304A (zh) 一种刷头半自动组装铆接机
KR20190005482A (ko) 도어록용 레버모듈 조립시스템
CN107812841B (zh) 一种全自动银点铆合机
CN111673450A (zh) 一种化妆品包装瓶瓶身输送装置和方法
CN110788269A (zh) 一种断路器自动穿钉设备
CN215709965U (zh) 一种载具定位装置
CN215393687U (zh) 一种护套装配件的自动装配机
KR101472418B1 (ko) 센터링 기능을 갖는 인서트 자동 공급 장치
CN112440098A (zh) 一种门挡组装设备和组装方法
CN112440099A (zh) 一种门挡螺钉组装装置和组装方法
KR101441407B1 (ko) 차량용 리프트 잭 조립 셔틀라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