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211A - 자동차의 전자 모듈들을 위한 전류 절약 저장 개념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자 모듈들을 위한 전류 절약 저장 개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211A
KR20190005211A KR1020187035426A KR20187035426A KR20190005211A KR 20190005211 A KR20190005211 A KR 20190005211A KR 1020187035426 A KR1020187035426 A KR 1020187035426A KR 20187035426 A KR20187035426 A KR 20187035426A KR 20190005211 A KR20190005211 A KR 20190005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atile memory
memory area
electronic module
data
normal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미하엘 그라프
마르틴 슈람메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05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2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memor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5Power saving in memory, e.g. RAM, cach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02D10/1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의 에너지 절약 저장을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 모듈 (10) 이 정상 동작에 있는 경우에만 전력이 공급되는,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상기 전자 모듈의 정상 동작 동안 및 상기 정상 동작으로부터 벗어나는 상기 전자 모듈의 유휴 모드 동안 전력이 공급되는,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자동차의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의 에너지 절약 저장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에 저장된 데이터는 적어도 상기 전자 모듈 (10) 의 유휴 모드 동안 업데이트되는, 상기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전자 모듈 (10) 의 유휴 모드 동안 업데이트되지 않는,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자 모듈 (10) 이 정상 동작을 그만두는 즉시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의 전력 공급을 스위치 오프하는 단계; 상기 전자 모듈 (10) 이 정상 동작에 있는 즉시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의 전력 공급을 스위치 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자 모듈들을 위한 전류 절약 저장 개념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청구항 제 8 항의 방법에 따른 자동차의 전자 모듈의 데이터에 대한 전류 절약 저장 개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배터리 센서 - 예를 들어 지능형 배터리 센서 (IBS) 와 같은, 차량의 센서들 또는 제어 유닛들과 같은 일부 전자 모듈들은 온보드 전기 네트워크로부터 전압을 지속적으로 공급받는다. 또한, 자동차에 탑재된 모든 전자 모듈들의 기능적 범위 및 따라서 메모리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휘발성 메모리들 (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들 (EEPROM, 플래시) 양자에 관련된다.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배터리 센서와 같은 제어 유닛들 및 센서들은 차량의 주차 상태에서도 추가의 측정 데이터, 예를 들어 배터리의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프로세싱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자 모듈의 데이터는 자동차의 주차 상태에서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는 전자 모듈의 전류 요구가 차량의 주차 상태에서 바람직한 한계 값을 초과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휘발성 메모리들이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상당한 동작 전류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각 측정 후에 새롭게 측정되고 계산된 데이터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대조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들은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전류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휘발성 메모리들은 오직 소수의 기록 동작들 또는 소거 동작들만을 허용한다는 단점이 있다. 측정되고 계산된 데이터가 예를 들어 매 16 초마다 메모리에 기록되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가정 하에, 통상 15 년의 수명을 감안할 때, 2,960 만 회의 기록 동작들의 저장 요구를 초래하며, 이는 종래의 비휘발성 메모리들에 대한 기술적 사양의 맥락에서 허용되는 기록 동작들의 수를 상당히 초과한다. 100,000 회의 기록 동작들은 통상적으로 종래의 비휘발성 메모리들에 허용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점화 장치가 스위치 오프되면 차량 배터리가 직접 공급되는 전자 모듈은 일반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점화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신호들을 기반으로, 정상 동작 또는 대기 모드 (quiescent mode) 로 변경하려는 의도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이 배터리 센서인 경우, 정상 동작 또는 대기 모드로 변경하려는 의도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은 또한, 배터리 센서 자체에 의해, 예를 들어 통합된 측정 유닛들의 측정 값들에 기초하여 취해질 수 있다.
대기 모드로 변경되면, 필요하지 않은 전자 모듈의 컴포넌트들이 비활성화되거나, 스위치 오프되거나, 전류 절약 동작 모드로 스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전자 모듈의 내부 전류 공급원의 전류 소비가 감소하고, 상기 내부 전류 공급원은 차량 배터리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또한, 예를 들어 특정 기능들을 위해 상이한 내부 전압들 (5V, 3.3V) 이 사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내부 전류 공급원들이 전자 모듈에 존재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일부 내부 전류 공급원들도 또한, 완전히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로 진입하면, 내부 전류 공급원이 스위치 오프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제어기가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라, 휘발성 메모리 또한 자동으로 스위치 오프된다. 전자 모듈이 대기 모드에 있는 한, 마이크로제어기는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제어 방식으로 다시 활성화되고, 그 후 대기 모드가 계속되는지 또는 종료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이 경우, 내부 전류 공급원이 다시 활성화된다. 대기 모드가 계속되면, 내부 전류 공급원이 다시 비활성화된다.
대안적으로, 대기 모드로 변경되면, 내부 전류 공급원이 스위치 오프되지 않고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제어기가 정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 코어의 전류 소비는 정상 동작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하지만, 휘발성 메모리는 유지되고 차량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내부 전류 공급원으로부터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여기서, 물론, 마이크로제어기는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제어 방식으로 다시 활성화된 다음, 대기 모드가 계속되는지 또는 종료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대기 상태의 연속에 관한 결정을 계산하기 위해,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 및/또는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현재 사용가능한 측정 값들은 프로세싱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양자의 경우들에서, 결정의 지속기간 동안, 프로세서 코어의 전류 소비는 정상 동작시의 전류 소비와 가까운 레벨로 순간적으로 상승한다. 제 1 경우에, 대기 모드의 전류 소비는 제 2 경우보다 낮으며, 이는 휘발성 메모리에 에너지가 영구적으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 2 경우에, 대신에, 저장된 측정 값들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대기 모드의 전체 지속 기간 동안 필요할 때 업데이트될 수 있다.
마이크로제어기의 주기적인 또는 이벤트 제어된 활성화는 예를 들어, 다음 이벤트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트리거된다:
- 타이머의 미리 설정된 값의 도달
- 통신 인터페이스의 활동
- 제어 유닛에 통합된 측정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의 도달을 보고하는 것
본 발명은 배터리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의 주차된 상태에서 전자 모듈들의 전류 소비를 최소화하고, 여기서 동시에 메모리의 긴 수명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의 전자 모듈에 대한 저장 개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청구항 제 8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2 개의 휘발성 메모리 영역들이 자동차의 전자 모듈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개념에 기초한다.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은 전자 모듈이 정상 동작에 있는 경우에만 전류가 공급된다.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은 정상 동작 동안 및 정상 동작으로부터 벗어난 대기 모드 동안 전류가 공급된다.
특히,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은 대기 모드 동안 전류 또는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다.
정상 동작 동안 및 정상 동작으로부터 벗어난 대기 모드 동안의 전류 공급은, 그 공급이 탑재형 차량 전기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 특히 탑재형 전기 네트워크의 점화 장치 위치/단자 (15) 와 독립적이며, 예를 들어 차량이 스위치 오프된 경우에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직접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영역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일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탑재형 전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 모듈이 수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제어 유닛 또는 배터리 센서, 특히 지능형 배터리 센서일 수 있다.
전자 모듈은 차량의 수명 동안, 정상 동작과 대기 모드의 적어도 2 개의 상태들에 있다. 정상 동작 동안, 전자 모듈은 더 높은 기능성 및 더 큰 저장 요구를 가지며, 여기서 전자 모듈의 더 높은 전류 소비가 허용된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엔진이 작동하는 정상 동작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제너레이터가 작동하는 정상 동작에 있을 수 있다. 대기 모드 동안, 전자 모듈은 더 낮은 기능성 및 더 낮은 저장 요구를 가지며, 여기서 전자 모듈의 더 낮은 전류 소비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제너레이터가 스위치 오프되는 대기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엔진이 스위치 오프되는 대기 모드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자 모듈은 더 많은 모드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스위치 오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스위치 오프 상태는 예를 들어, 배터리가 분리되거나 결함이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이 일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동안, 전자 모듈은 트랜지션 모드에 있다. 따라서, 차량의 수명 동안 전자 모듈은 적어도 정상 동작의 상태들에서 대기 모드로, 그리고 대기 모드에서 정상 동작으로 변화한다. 전자 모듈이 예를 들어 차량의 수명 동안 스위치 오프 상태와 같은 추가의 상태들에 있다면, 그에 따라 추가의 트랜지션 모드들이 필요하다. 정상 동작의 상태는 또한, 특히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임의의 상태 변화들을 포함한다. 정상 동작의 상태는 특히, 전자 모듈이 상태 변경 후에 정상 동작 상태에 있는 모든 상태 변경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은 차량이 주차된 경우에도 전류가 공급되고, 측정 데이터 및 그로부터 프로세싱된 값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이들은 대기 단계 동안에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업데이트되어야만 한다.
2 개의 휘발성 메모리 영역들 외에도, 디바이스는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은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EPROM) 또는 플래시 EEPROM 일 수 있다.
특히,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은 다른 메모리 영역들과는 별도로, 특히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과는 별도로, 동작 및/또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특히,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은 다른 메모리 영역들과는 별도로, 특히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과는 별도로, 동작 및/또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생각할 수 있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 메모리 상의 메모리 영역들이며, 여기서 메모리 영역들은 개별적으로 동작 및/또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고, 또한 개별적으로 동작 및/또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복수의 데이터 메모리들이다.
예를 들어, 2 개의 휘발성 메모리 영역들은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메모리 크기는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메모리 크기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은 대기 단계 동안 전류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이 특히 크고 이는 휘발성 메모리의 에너지 소비가 그 메모리 크기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의 대기 모드에서 대기 전류 요구는 100μA 미만일 수 있다. 이것은 종종 배터리 센서와 같은 전자 모듈이 대기 모드에서 최소한의 대기 전류 요구를 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별적으로 스위치 오프 및/또는 동작가능한 메모리 영역들로 인해,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만 영구적으로 전류가 공급되기 때문에 전자 모듈의 대기 전류 요구는 100μA 미만의 값으로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 절약 저장 개념을 위해 상술한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전자 모듈의 대기 모드 동안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는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 적어도 전자 모듈의 대기 모드 동안 업데이트되지 않는 데이터는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전류 공급은 전자 모듈이 정상 동작을 그만두는 즉시 스위치 오프된다. 따라서,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전류 공급은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이 대기 모드에 있는 즉시 스위치 오프된다.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전류 공급은 전자 모듈이 정상 동작에 있는 즉시 스위치 온된다. 따라서,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전류 공급은,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이 대기 모드를 그만두고 정상 동작에 있는 즉시, 다시 스위치 온된다.
전자 모듈이 정상 동작을 그만두는 즉시, 예를 들어,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는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으로 복사된다. 제 1 휘발성 메모리의 전류 공급은 복사가 종료된 후에만 스위치 오프된다. 따라서, 전자 모듈이 정상 동작으로부터 트랜지션 모드를 그만두기 전에, 즉 전자 모듈이 예를 들어 대기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복사가 완료된다. 이는 제 1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한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기록 동작은 전자 모듈이 정상 동작을 그만둘 때에만 발생한다는 사실 때문에, 통상적으로 기술적 사양의 맥락에서 허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기록 사이클들의 수는 초과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휘발성 메모리의 전류 공급이 다시 스위치 온된 후에,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이전에 복사된 데이터는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으로 다시 복사된다. 따라서, 복사 동작은 예를 들어, 대기 모드와 정상 동작 사이의 트랜지션 모드 동안 발생한다.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그에 따라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들에서:
도 1 은 정상 동작에서의 전자 모듈을 도시한다.
도 2 은 대기 모드에서의 전자 모듈을 도시한다.
도 1 에서, 전자 모듈 (10) 은 탑재형 전기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 (1) 및 제너레이터 (2) 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된다. 전자 모듈은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및 마이크로제어기 (12) 에 탑재형 전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내부 전류 공급 장치 (11) 를 갖는다. 마이크로제어기 (12) 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스위치 (13) 는 도 1 에서 폐쇄된다. 그러므로,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에는 도 1 의 전류가 공급된다. 휘발성 메모리 영역들 내의 흑색 영역은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및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이 전자 모듈 (10) 의 정상 동작 중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16) 은 도 1 의 전자 모듈의 정상 동작 중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및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은 메모리 칩의 일부분이며, 여기서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및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은 개별적으로 스위치 오프 및/또는 동작될 수 있다.
도 2 에서, 전자 모듈 (10) 은 탑재형 전기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 (1) 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는데, 그 이유는 전자 모듈이 대기 모드에 있기 때문이다. 스위치 (13) 는 도 2 에서 개방된다; 따라서,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에는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다. 도 2 에 도시된 것과 같은 대기 모드 동안,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및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16) 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자 모듈 (10) 이 정상 동작에서 대기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동안,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의 데이터는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16) 에 저장된다. 전자 모듈 (10) 이 대기 모드에서 정상 동작으로 트랜지션하는 동안,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16) 의 데이터는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으로 다시 복사된다.

Claims (11)

  1. 자동차의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 상기 전자 모듈 (10) 이 정상 동작에 있는 경우에만 전류가 공급되는,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을 포함하며,
    - 상기 전자 모듈의 정상 동작 동안 및 상기 전자 모듈의 대기 모드 동안 전류가 공급되는,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이 제공되고,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정상 동작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16) 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은 상기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과 별도로 동작 및/또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은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과 별도로 동작 및/또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의 메모리 크기는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의 메모리 크기보다 작은,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모듈 (10) 의 상기 대기 모드 동안의 대기 전류 요구는 100 uA 미만인,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모듈 (10) 은 배터리 센서인,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바이스에 따라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는 적어도 상기 전자 모듈 (10) 의 대기 모드 동안 업데이트되는, 상기 제 2 휘발성 메모리 영역 (15) 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전자 모듈 (10) 의 대기 모드 동안 업데이트되지 않는,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 상기 전자 모듈 (10) 이 정상 동작을 그만두는 즉시,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의 전류 공급을 스위치 오프하는 단계;
    - 상기 전자 모듈 (10) 이 정상 동작에 있는 즉시,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의 전류 공급을 스위치 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모듈 (10) 이 정상 동작을 그만두는 즉시,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의 상기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16) 내로 복사하고,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의 상기 전류 공급은 오직 상기 복사가 완료될 때에만 스위치 오프되는,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16) 내로 이전에 복사되었던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의 상기 전류 공급이 다시 스위치 온된 후에 다시 상기 제 1 휘발성 메모리 영역 (14) 으로 복사하는,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 (10) 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187035426A 2016-06-15 2017-05-16 자동차의 전자 모듈들을 위한 전류 절약 저장 개념 KR20190005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0661.9 2016-06-15
DE102016210661.9A DE102016210661A1 (de) 2016-06-15 2016-06-15 Stromsparendes Speicherkonzept für Elektronikmodule in einem Kraftfahrzeug
PCT/EP2017/061669 WO2017215862A1 (de) 2016-06-15 2017-05-16 Stromsparendes speicherkonzept für elektronikmodule in einem kraft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211A true KR20190005211A (ko) 2019-01-15

Family

ID=5903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426A KR20190005211A (ko) 2016-06-15 2017-05-16 자동차의 전자 모듈들을 위한 전류 절약 저장 개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155366A1 (ko)
KR (1) KR20190005211A (ko)
CN (1) CN109313476A (ko)
DE (1) DE102016210661A1 (ko)
WO (1) WO2017215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5728B2 (ja) * 2016-08-05 2020-03-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更新装置、車載更新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の更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630B1 (en) * 1997-03-17 2001-06-05 Denso Corporation Vehicle control system
DE19961311A1 (de) * 1999-12-18 2001-07-2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atteriesensorvorrichtung
US6434076B1 (en) * 2001-01-22 2002-08-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fresh control circuit for low-power SRAM applications
US8032787B2 (en) * 2004-09-02 2011-10-04 Intel Corporation Volatile storage based power loss recovery mechanism
DE102006038595A1 (de) * 2006-08-17 2008-02-21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ieb mehrerer Steuergeräte
DE102009017910A1 (de) * 2009-04-17 2010-10-21 Volkswagen Ag Verfahren zur Speicherung flüchtiger Werte beim Ausschalten einer Versorgungsspannung eines Fahrzeugs sowie entsprechende Vorrichtung, entsprechendes Elektronikmodul, entsprechendes System und entsprechendes Fahrzeug
US8566561B2 (en) * 2010-05-14 2013-10-2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to separate and persist static and dynamic portions of a control application
US9360917B2 (en) * 2011-10-28 2016-06-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port updated threshold level based on parameter
KR20150098649A (ko) * 2012-12-22 2015-08-2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휘발성 메모리의 이용을 통한 휘발성 메모리의 전력 소비 감소
US9760149B2 (en) * 2013-01-08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dynamic memory management with intelligent current/power consumption minimization
US9424047B2 (en) * 2013-08-05 2016-08-2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an in-vehicle compu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55366A1 (en) 2019-05-23
DE102016210661A1 (de) 2017-12-21
WO2017215862A1 (de) 2017-12-21
CN109313476A (zh)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0245B2 (ja) 蓄電装置
JP5734472B1 (ja) 車載電子制御装置
US8046127B2 (en) Vehicle-mounted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US11139511B2 (en) Control circuit, battery having th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control method
JP2017184538A (ja) 電源システム
KR101508508B1 (ko)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US11251647B2 (en) Vehicle electricity storage device
KR20190005211A (ko) 자동차의 전자 모듈들을 위한 전류 절약 저장 개념
JP2005327210A (ja) 電子装置
JP6274061B2 (ja) 車載機
KR20110001689A (ko) 부하의 암전류 제어 장치 및 부하의 암전류 제어 방법
US20130002019A1 (en) Circuit, Method for Operating a Circuit, and Use
JP5018063B2 (ja) 車両用電源装置
JP2004227085A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069147A (zh) 车载控制器的休眠方法、装置及车辆
JP3915617B2 (ja) 車載無線システムおよび車載無線システム用電源制御ユニット
KR101936420B1 (ko)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기 변색거울의 제어회로
CN111801866A (zh) 电力供给控制装置
JP4889358B2 (ja) 電源管理システム及び電源管理方法
KR100783862B1 (ko) Ecu 리셋 방지 방법
KR101448526B1 (ko) 자동차의 자동 온도 조절기용 배터리 탈장착 감지 제어 장치
JP4419752B2 (ja) データ記憶装置
JP2010105526A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10016955A (ja) 電子制御装置
JP2004199375A (ja) 電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