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706A - 방사 튜브에 의해서 노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 튜브에 의해서 노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706A
KR20190004706A KR1020187031557A KR20187031557A KR20190004706A KR 20190004706 A KR20190004706 A KR 20190004706A KR 1020187031557 A KR1020187031557 A KR 1020187031557A KR 20187031557 A KR20187031557 A KR 20187031557A KR 20190004706 A KR20190004706 A KR 20190004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urnace
burner
operating mode
furnac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351B1 (ko
Inventor
요아킴 게. 뷘닝
요아킴 아. 뷘닝
Original Assignee
베에스-베르메프로체스테히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9135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047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베에스-베르메프로체스테히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에스-베르메프로체스테히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0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3/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 F23C3/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chamber having an elongated tubular form, e.g. for a radiant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ir;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C2900/99001Cold flame combustion or flameless oxidation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fuel supplies
    • F23K2900/05003Non-continuous fluid fuel supply
    • F23N2037/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7/00Controlling
    • F23N2237/10High or low f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방사 튜브들(11 내지 14)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노 챔버(16)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 에너지가 방사 튜브 벽을 통해 노 챔버(16)로 전달된다. 안정된 상태 작동 동안, 방사 튜브(11 내지 14) 및 그 표면 상의 온도는 노보다 높으며, 상기 높은 온도는 방사 튜브(11 내지 14)의 비열 출력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770 ℃의 노 온도 및 50 kW/m2의 열 출력에서, 방사 튜브는 900 ℃의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방사 튜브(11 내지 14)는 노 내의 온도가 단지 100 ℃인 경우에도 이 출력에서 무화염 산화로 연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방사 튜브(11 내지 14)가 예를 들어, 연소가 중단되는 동안 770 ℃의 노 온도로 냉각되면, 관련 버너가 수 초 동안 화염으로 초기에 상기 버너를 작동시켜 점화될 때 폭연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방사 튜브에 의해서 노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간헐적으로 작동되는 방사 튜브를 가열하기 위해 무화염 산화(flameless oxidation)를 위해 설계된 버너를 점화하기 위한 노 가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EP 0 463 218 A1은 무화염 산화에 의한 버너의 작동을 개시하고 있다. 이 작동은 예열된 연료-공기 혼합물을 폐가스 재순환 와류에 고속으로 분사하는 것에 기반한다. 노 챔버는 버너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며 화염으로 작동된다. 작동 온도에 도달하면, 무화염 산화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DE 102 17 524 B4는 무화염 산화로 작동하는 버너에 의한 방사 튜브의 가열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버너는 또한 가열 단계에서 화염에 의한 작동 모드를 취하도록 설계된다.
마지막으로, 문헌 EP 1 995 515 B1은 작동 온도가 무화염 산화에 필요한 한계 온도 미만인 무화염 산화에 의해 노 챔버를 가열하기 위한 버너를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고온의 가스는 꾸준히 연소되는 화염에 의해 발생되고, 그렇지 않으면 무화염 산화를 보조 및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방사 튜브는 전형적으로 약 1200 ℃까지의 온도에 대한 산업용 노의 간접 가열에 사용된다. 방사열을 소산하기 위해, 방사 튜브는 내부로부터 가열되며, 방사 튜브는 무화염 산화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이는 폐가스 내의 산화질소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산업용 노의 온도가 개별 방사 튜브 또는 전체 방사 튜브 그룹을 스위칭 온 및 오프함으로써 제어되는 경우, 방사 튜브는 작동 중에도 여전히 스위칭 온/오프되어야 한다. 스틸 또는 다른 재료의 열처리의 경우, 작동 중에 노의 온도는 예를 들어, 적용에 따라 850 ℃ 미만이다. 전형적으로 900 ℃ 미만이지만 700 ℃를 훨씬 넘는 이러한 종류의 노 온도는 방사 튜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방사 튜브가 화염으로 버너에 의해 가열되고, 에너지 보존 이유로 높은 공기 예열(특히 500 ℃ 초과의 예열)을 하여 공정을 수행하면, 결과적 산화질소 값이 허용할 수 없을만큼 높다. 대조적으로 무화염 산화를 사용하는 버너의 작동은 낮은 산화질소 값을 유도하며, 경험에 따르면, 방사 튜브에 의해 가열된 노의 경우, 무화염 산화로 버너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적어도 850 ℃의 노 작동 온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노 온도가 낮으면, 간헐적인 작동, 즉 출력 조절을 위한 버너의 스위치 온 및 오프시에 폭연(deflag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850 ℃ 미만(그러나 700 ℃ 초과)의 노 작동 온도는 간헐적인 무화염 버너 작동(무화염 펄스형 연소)에 중요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요한 노 온도에서 무화염 펄스형 연소로 방사 튜브를 신뢰성있게 작동시킬 수 있는 개념을 규정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노 가열 장치 및 청구항 9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
본 발명에 따른 노 가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 튜브,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방사 튜브를 포함하며, 각각의 경우에 방사 튜브는 버너(적어도 하나의 버너)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버너는 제 1 작동 모드에서 화염으로 작동할 수 있고 제 2 작동 모드는 화염없이(즉, 무화염 산화로) 작동할 수 있다. 방사 튜브의 내부는 노 챔버에 대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가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서 방사 튜브의 버너 또는 버너들이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활성 버너의 경우 방사 튜브의 내부 온도는 노 챔버의 온도보다 높다. 펄스형 연소의 경우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작동 중단 동안, 방사 튜브의 내부 온도는 위에서부터 노 온도에 근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온간 시동의 경우, 즉 작동 온도에 있는 노의 경우에 제 1 작동 모드에서 버너를 일시적으로 작동시킨 다음에 제 2 작동 모드에서 버너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된다. 방사 튜브의 버너가 클록되는 경우, 즉 펄스형 연소로 알려진 것으로 작동되는 경우, 버너는 확실하게 반복적으로 시동되어야 한다. 이것은 각각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수 초 동안 연소되는 화염의 점화에 의해 달성된다. 비교적 낮은(임계) 노 작동 온도에도 불구하고, 방사 튜브의 내부 온도는 예를 들어, 단지 800 ℃로부터 850 ℃를 초과하는 온도, 예를 들면 900 ℃로 상승할 수 있고, 그 다음 무화염 작동 모드로 신뢰성있게 전환된다.
버너가 무화염 작동으로 쉽게 작동될 수 있고 또한 점화될 수 있는, 노 챔버의 연료 의존 임계 온도(Tk) 미만에서, 버너가 여전히 방사 튜브 내에서 무화염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임계 온도 범위가 존재한다. 따라서, 방사 튜브 내부로부터 노 챔버로의 온도 구배가 발생되어, 방사 튜브 내부 온도가 확실히 임계 온도(Tk) 초과로 있게 된다. 그러나, 임계 온도 범위 내에서 무화염 버너 점화의 경우에는 폭연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 초 동안 지속되는 짧은 화염이 이 임계 온도 범위에서 점화되어 그 다음 즉시 무화염 작동으로 전이된다.
노 가열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전환 온도 센서의 형태로 노 온도의 적어도 국부적인 검출을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온도 센서가 산업용 노의 한 지점에 배치되면, 노 온도에 기초하여 버너의 온/오프를 결정하지만, 버너 온도에 기초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그룹으로 작동되는 버너들의 경우, 개별 버너는 버너가 시동될 때 무화염 산화를 쉽게 개시하는 온도를 갖는 반면, 다른 버너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 1 작동 모드에서 일시적으로 버너가 점화되고 이어서 제 2 작동 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모든 버너가 확실하게 점화되고 폭연은 피하게 된다. 온간 시동의 경우의 제 1 작동 모드에서의 일시적인 작동은 폭연을 피하기 위한 안전 작동 단계이다.
제 1 작동 모드에서 버너의 작동 시간 기간은 바람직하게는 수 초, 예를 들어, 5초 또는 3 초이다. 발생된 산화질소는 짧은 시간으로 인해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가 고온일 때, 노의 작동 온도가 무화염 산화의 온도 한계 미만일 때 연소 중단 후, 방사 튜브를 가열하기 위한 버너가 제 1 작동 모드에서 화염으로(안전 작동 모드) 점화되고 그 직후 온도 한계 미만의 노 온도에 관계없이 무화염 산화에 의한 제 2 작동 모드로 전환된다.
노 챔버의 온도가 버너의 작동 중단 중에 상기 하부 온도(Tu) 미만으로 떨어지면, 버너는 냉간-시동 작동 모드에서 점화되고 버너에서의 화염은 노 챔버에서의 온도가 다시 상기 하부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유지된다.
재한정된 실시예에서, 검출된 노 온도에 기초하여 제 1 작동 모드에 대한 시간 기간의 길이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복수의 전환 온도 센서에 의해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전개의 세부 사항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의 도면의 대상이다. 도면에서 :
도 1은 심하게 개략적으로 묘사된, 펄스형 연소로 작동하기 위한 복수의 방사 튜브를 갖는 노 가열 장치를 도시하며,
도 2는 펄스형 작동으로 작동하는 방사 튜브의 점화를 갖는 방사 튜브의 온도 조건을 도시하며,
도 3은 방사 튜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온도 한계를 그래프의 형태로 도시하며,
도 4는 방사 튜브의 펄스형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5는 제 1 작동 모드에 대한 온도 의존 시간 주기를 그래프의 형태로 도시한다.
노 가열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문헌 전반에 걸쳐 "방사 튜브"라고 약칭하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방사 가열 튜브(11 내지 14)를 포함한다. 이들은 주로 방사열에 의해 내부에 위치한 물품(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가열하기 위해 노 벽(15)으로부터 노 챔버(16) 내로 돌출한다.
방사 튜브(11 내지 14)는 버너들이 바람직하게는 가스 작동 방식으로 작동하여 방사 튜브(11 내지 14)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도 1에서 단순히 기호로 도시된 버너(17, 18, 19, 20)에 의해 가열된다. 버너(17 내지 20)는 방사 튜브(11 내지 14)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 목적을 위해 각각의 방사 튜브(11 내지 14)의 개방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사 튜브의 다른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폐쇄된다. 그러나, 버너가 방사 튜브의 양 단부들에 배치되는 디자인도 가능하다. 방사 튜브(11 내지 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이고 직선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루프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의 내부는 방사 튜브 벽에 의해 노 챔버(16)로부터 분리된다.
각각의 버너(17 내지 20)는 연소 공기(및 연료)를 예열하기 위해 폐가스 열을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열회수 및/또는 발전기 형태의 열회수 장치를 포함한다. 버너(17 내지 20)는 바람직하게는 높은 공기 예열로 작동하여, 연소를 위해 공급되는 공기가 500 ℃를 초과하는 온도를 갖는다. 내부에 배치된 공기, 가스 및 폐가스 라인 및 제어 부재, 예를 들어, 밸브는 도 1에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버너(17 내지 20)는 화염을 형성하는 제 1 작동 모드(F)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 작동 모드는 냉간 시동, 즉 방사 튜브(11 내지 14) 및 노 챔버의 가열 작동을 위해 사용된다. 일단, 노 챔버가 적어도 온도(Tu)로 가열되면, 제 1 작동 모드(F)에서 이 지점까지 작동된 버너(17 내지 20)는 화염없이(무화염 산화 FLOX®에 의한 작동) 제 2 작동 모드(NF)로 전환된다. 제 2 작동 모드(NF)는 특히 낮은 수준의 NOx 발생을 특징으로 한다.
버너들이 제 2 작동 모드(NF)에서 작동될 수 있는 노 챔버의 최저 온도(Tu)는 버너 출력에 의존하고 따라서, 방사 튜브 내부에서 작동 버너에 도달된 온도에 의존한다. FLOX® 작동, 즉 제 2 작동 모드(NF)에서의 작동이 가능한 노 챔버의 최저 온도(Tu)는 예를 들어, 750 ℃일 수 있다(도 3).
버너(17 내지 20)를 스위칭 온 및 오프하고 버너(17 내지 20)를 제 1 작동 모드(F)로부터 제 2 작동 모드(NF)로(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 장치(21)가 제공된다. 제어 장치는 화살표 22, 23, 24, 2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버너(17 내지 20)에 의해 형성된 그룹의 작동을 제어하여, 예를 들어, 2 단계 제어 동안, 예를 들어, 770 ℃의 설정 온도(Ts)에서 노 챔버(16)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버너들을 공동으로(즉, 동시에) 스위칭 온 및 오프한다. 온도(Ts)는 온도(Tu)보다 약간 높다.
노 온도(T)를 검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가능하면 복수의 온도 센서(27, 28)를 갖는 온도 검출 장치(26)가 제공된다. 온도 센서(27, 28)는 온도 스위치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27)는 원하는 노 온도(Ts)로 설정될 수 있고, 이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770 ℃의 전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온도 센서(27)는 노 온도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하기 위해 버너(17 내지 20)의 펄스형 연소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2 온도 센서(28)는 활성 버너가 제 1 작동 모드(F)로부터 제 2 작동 모드(NF)로 전환될 수 있는 최저 온도(Tu)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750 ℃의 전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명된 노 가열 장치(1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냉간 시동의 경우, 즉 주위 온도 또는 그 미만이지만, 임의의 경우에 온도(Tu) 미만의 영역에서 노 챔버(16)의 온도(Tcold)에서의 설비의 시동의 경우에, 제어 장치(21)는 화염, 즉 제 1 작동 모드(F)에서 모든 버너(17 내지 20)를 시동하고, 방사 튜브(11 내지 14) 및 그에 따른 노 챔버(16)를 가열한다. 이 공정은 일반적으로 몇 분 이상 지속되는 상당한 양의 시간을 소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28)에 의해 온도(Tu)에 도달하고, 이 온도에서 무화염 작동이 가능함을 검출하는 즉시, 제어 장치(21)는 버너(17 내지 20)를 이 작동 모드(NF)로 전환한다. 이 작동 모드(NF)에서, 가열은 설정점 온도(Ts)에 도달하거나 초과할 때까지 계속된다. 버너, 즉 그 내부에서의 노 온도(Tu)로부터, 방사 튜브(11 내지 14)는 무화염 작동이 가능한 온도, 예를 들어, 850 ℃의 임계 온도(Tk) 초과의 온도를 가진다.
노 챔버(16)가 설정 온도(Ts), 예를 들어, 770 ℃로 가열되는 경우, 이 온도(Ts)는 버너(17 내지 20)의 펄스형 연소 작동에 의해 유지된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27)는 작동 온도가 초과되고 언더슈트(undershot)될 때, 즉 전환 신호를 제어 장치(21)로 출력할 때, 소정의 히스테리시스로 스위칭 온 및 오프된다. 이 제어 장치는 버너(17 내지 20)를 적절히 스위칭 온 및 오프함으로써 노 챔버(16) 내의 온도를 조정한다. 도 3 및 특히 도 4는 이 작동을 도시한다. 제어 장치(21)는 설정 온도(Ts)가 언더슈트되는 즉시 버너(17 내지 20)를 스위칭 온한다. 버너들(17 내지 20)은 설정 온도(Ts)가 초과될 때 대조적으로 스위치 오프된다. 따라서, 노 챔버(16)의 실제 온도(T)는 스위칭 히스테리시스에 따라 온도(Ts) 부근에서 변동한다.
비록, 펄스형 연소 작동의 경우의 노 온도가 무화염 작동(FL)이 가능하고 가열 중에 화염 작동[제 1 작동 모두(F)]으로부터 무화염 작동[제 2 작동 모드(NF)]으로 전환되는 최저 온도(Tu)(예를 들면 750 ℃)에 있거나 또는 초과할지라도, 버너(17 내지 20)는 짧은 시간(Δt) 동안 각각의 경우에 다시 스위칭 온할 때 화염으로 제 1 작동 모드(F)에서 작동된다. 따라서, 방사 튜브(11 내지 14)가 임계 온도(Tk)(전형적으로 850 ℃)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경우에도, 버너(17 내지 20)는 폭연없이 점화될 수 있다. 시간 기간(Δt)이 경과하면, 제어 장치(21)는 버너(17 내지 20)를 무화염 작동(NF)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공정은 도 2에 다시 도시된다. 버너가 시간(Ton)의 순간에 예를 들어, 770 ℃의 온도(Ts)에서 점화된다면, 방사 튜브(11) 내의 온도(T)는 빠르게 상승하기 시작하여, 불과 수 초 후에 통상적으로 850 ℃의 임계 값(Tk)을 초과한다. 시간 기간(Δt)이 경과하면, 따라서, 시간(ton) 이후의 시간(tu)의 순간에 무화염 작동(FL)으로 전이된다. 이 작동은, 예를 들어, 온도(Ts)가 초과되었음을 신호하는 온도 센서(27)의 전환 신호로 인해, 제어 장치(21)가 버너(17 내지 20)를 다시 스위치 오프할 때까지 유지된다. 버너(17 내지 20)는 일정 시간 비활동 상태가 되어, 방사 튜브(11 내지 14)는 노 온도(예를 들면, 770 ℃)로 다시 냉각된다. 노 온도(Ts)가 언더슈트되면, 온도 센서(27)는 다시 통신하여 제어 장치(21)에게 버너(17 내지 20)를 다시 스위치 온하도록 조치한다. 이는 시간 기간(Δt) 동안 제 1 작동 모드(F)로 다시 구현되고, 그 후에 작동 모드(NF)로 전이된다.
이와 관련하여 설명된 노 가열 장치(10)는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 구체적으로는 제 1 작동 모드(F)의 버너(17 내지 20)에 의한 방사 튜브(11 내지 14)의 가열 및 버너(17 내지 20)가 원하는 노 온도(Ts)를 유지하기 위해 펄스 방식으로 스위칭 온 및 오프되는, 펄스형 연소에 의한 제어 작동을 가진다. 제어 작동의 경우의 노 온도(Ts)는 무화염 산화에 적합한 임계 온도(Tk) 밑에 있다. 이 온도(Tk)는 사용된 연료에 의존하고, 천연 가스의 경우 약 850 ℃이다. 따라서, 제어 작동(펄스형 연소 작동)의 경우에, 버너(17 내지 20)는 짧은 시간 기간(Δt)동안 제 1 작동 모드(F)의 시작에서 버너(17 내지 20)가 점화되는 시동 시퀀스에서 항상 점화되고, 시간 기간(Δt)이 경과하면 무화염 산화에 의한 제 2 작동 모드(NF)가 전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 챔버(16)는 높은 공기 예열 및 그에 따른 낮은 산화질소 방출과 함께 개선된 에너지 사용으로 Tk보다 낮은 적당한 작동 온도(Ts)에서 작동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값으로서 시간 기간(Δt)을 특정할 수 있다. 노가 냉각상태일 때(예: T = 600 ℃ 미만) 버너가 점화되면, 먼저 버너가 화염으로 즉, 제 1 작동 모드(F)에서 작동한다. 노 온도가 온도(Tu)에 도달하면, 버너는 제 2 작동 모드(NF)로 전환되고 화염없이 계속 작동한다. 노 온도(T)가 설정 온도(Ts)를 초과하면 버너는 시간(toff)에서 스위치 오프된다. 노 온도(T)가 설정 온도(Ts)보다 현저하게 떨어지는 즉시, 버너는 시간(ton)에서 다시 스위치 온된다. 버너는 여기서 임계 온도(Tk) 밑의 노 온도(T)에서 점화된다. 이를 위해, 버너는 우선 시간 기간(Δt) 동안 화염으로 제 1 작동 모드(F)에서 작동된다. 이 고정 또는 가변 시간 기간(Δt)이 경과하면, 제 2 작동 모드(NF)로 전이된다.
냉간 시동 후에 제 1 작동 모드(F)로부터 제 2 작동 모드(NF)로의 전이가 이루어진 온도(Tu) 위의 노 온도(T)에서 버너가 다시 스위치 온될 때 버너가 점화되지만, 버너가 다시 스위치 온되었을 때, 제 1 작동 모드(F)에서 먼저 점화되고, 그 다음 수 초 후에만 제 2 작동 모드(NF)로 전환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추가의 온도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50 ℃ 위의 노 챔버(16) 내의 온도에 대한 온도 센서는 제어 장치(21)에 신호를 보낼 수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먼저 제 1 작동 모드(F)로 전환하지 않고 제 2 작동 모드(NF)에서 버너를 즉시 시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원리의 또 다른 가능한 변형 또는 개발은 버너(17 내지 20)가 각각의 시동의 경우에 화염에 의한 제 1 작동 모드(F)에서 도 4에 따라서 작동되는 시간 기간(Δt)이 노 챔버 온도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너(17 내지 20)가 폭연하지 않고 제 2 작동 모드(NF)에서 직접 점화될 수 있는 제 1 온도 한계(T1)와 무화염 작동, 즉 제 2 작동 모드(NF)에서 버너(17 내지 20)의 작동이 가능하지 않은 제 2 온도 한계(T2) 사이의 시간 기간(Δt)은 가변적일 수 있다. 온도 한계(T1) 위에서, 시간 기간(Δt)은 0과 동일하다. 온도 한계(T2) 밑에서, 시간 기간(Δt)은 크거나 고정되지 않는다. 온도 한계(T1, T2) 사이에서, 시간 기간(Δt)에 대한 기능적 프로파일은 시간 기간(Δt)이 고온을 향하여 감소하는 범위 내에서 특정될 수 있다. 기능 프로파일은 연속적으로 또는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하나 이상의 단계로 실행할 수 있다. 선형 프로파일이 가능하다.
방사 튜브(11 내지 14)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노 챔버(16)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 에너지가 방사 튜브 벽을 통해 노 챔버(16)로 전달된다. 안정된 상태의 작동 중에, 방사 튜브(11 내지 14) 및 그 표면에서의 온도는 노보다 높으며, 상기 더 높은 온도는 방사 튜브(11 내지 14)의 비열 출력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770 ℃(< Tk)의 노 온도 및 50kW/m2의 열 출력에서, 방사 튜브는 900 ℃(> Tk)의 내부 온도를 갖는다. 무화염 산화가 가능한 연료 의존 임계 온도(Tk)는 예를 들면 850 ℃일 수 있다. 따라서, 방사 튜브(11 내지 14)는 노 내의 온도가 단지 770 ℃(< Tk) 임에 도 불구하고, 이 출력에서 무화염 산화로 연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연소 튜브(11 내지 14)가 연소 중단 중에 Tk 미만의 온도로 냉각되면, 작동 모드(NF)로 전이되기 전에, 수 초 동안 화염[작동 모드(F)]으로 초기에 상기 버너를 작동시켜서 관련 버너가 점화될 때, 폭연이 회피된다.
10: 노 가열 장치
11 내지 14: 방사 가열 튜브/방사 튜브
15: 노 벽
16: 노 챔버
17 내지 20: 버너
21: 제어 장치
22 내지 25: 화살표
26: 온도 검출 장치
27, 28: 온도 센서들
F: 제 1 작동 모드, 화염에 의한 버너
NF: 제 2 작동 모드, 무화염 산화
T: 온도
t: 시간

Claims (14)

  1. 특히 노 챔버(16)에서의 물품의 열처리를 위한 산업용 노를 위한 노 가열 장치로서,
    상기 노 챔버(16)을 가열하는데 사용되며, 버너(17)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화염에 의한 제 1 작동 모드(F)와 무화염 산화에 의한 제 2 작동 모드(NF)에서 작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 튜브(11)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 튜브(11)의 버너(17)를 스위치 온 및 오프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작동 모드들(F, NF)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21)를 포함하고,
    상기 노 챔버(16)의 온도(T)는 사용된 연료의 무화염 산화를 위해 적어도 연소실에 제공되어야만 하는 임계 온도(Tk) 미만이나, 상기 방사 튜브(11)의 버너(17)가 무화염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하부 온도(Tu) 초과의 설정 온도(Ts)로 상기 제어 장치(21)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노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1)는 상기 제 2 작동 모드(NF)에서 상기 임계 온도(Tk) 미만의 상기 노 챔버(16)의 온도(T)로 상기 버너(17)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가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1)는, 상기 제 1 작동 모드(F)에서 초기에 상기 버너(17)를 점화시키고 상기 모드에서 시간 기간(Δt) 동안 상기 버너를 작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 2 작동 모드(NF)에서 상기 버너를 작동시키기 위해, 시동시 및 상기 임계 온도(Tk) 미만이나, 상기 온도(Tu) 초과의 상기 노 챔버(16)의 온도(T)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가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 온도를 적어도 국부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장치(26)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26)는 상기 제어 장치(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가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 온도를 적어도 국부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상기 장치(26)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 온도 센서(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가열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 온도를 적어도 국부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상기 장치(26)는 상기 방사 튜브(11)의 외부에서 상기 방사 튜브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가열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1)는 상기 노 챔버(16)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너(17)를 스위칭 온 및 오프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가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1)는 상기 노 챔버(16)의 온도(T)가 상기 임계 온도 한계(Tk) 미만이나, 상기 하부 온도(Tu) 초과인 경우에만 온간 시동(warm start)을 식별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가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1)는 온간 시동의 경우에만 상기 제 1 작동 모드(F)에서 일정 시간 기간(Δt) 동안 상기 버너(17)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가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Δt)은 고정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 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가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Δt)은 상기 노 챔버(16)의 온도(T)에 따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가열 장치.
  11. 노가 고온일 때 연소 중단에 이어서 온간 시동 모드에서 간헐적으로 작동되는 방사 튜브들(11)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들(17)을 점화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노의 작동 온도(T)는 사용된 연료의 무화염 산화를 위해 적어도 노 챔버에 제공되어야 하는, 임계 온도(Tk) 미만이나, 상기 방사 튜브(11)의 버너(17)가 무화염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하부 온도(Tu) 초과로 놓이게 되고,
    - 상기 버너(17)는 화염으로 작용하는 제 1 작동 모드(F)에서 점화되고,
    - 상기 버너(17)는 상기 노 온도(T)가 여전히 상기 온도 한계(Tk) 미만에 놓여 있는 것과 무관하게 무화염 산화에 의한 제 2 작동 모드(NF)로 전환되는, 버너 점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온도(Tu) 미만의 상기 노 챔버(16)의 온도를 갖는 냉간-시동 모드에서 상기 버너(17)는 상기 제 1 작동 모드(F)에서 화염으로 점화되고 추가로 작동되는 것과, 상기 버너들(17)은 상기 노 챔버(16)의 온도(T)가 상기 하부 온도(Tu)를 초과하는 즉시 화염없이 상기 제 2 작동 모드(NF)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점화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들(17)은 상기 노 챔버의 온도(T)를 원하는 온도(Ts)로 조정하기 위해 펄스형 연소 작동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점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노 챔버(16)의 원하는 온도(Ts)는 상기 하부 온도(Tu) 초과이나, 상기 임계 온도(Tk)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점화 방법.
KR1020187031557A 2016-05-04 2017-04-28 방사 튜브에 의해서 노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66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8425.3 2016-05-04
EP16168425.3A EP3242080B1 (de) 2016-05-04 2016-05-04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eizung von öfen mittels strahlrohren
PCT/EP2017/060155 WO2017191040A1 (de) 2016-05-04 2017-04-28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eizung von öfen mittels strahlro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706A true KR20190004706A (ko) 2019-01-14
KR102366351B1 KR102366351B1 (ko) 2022-02-23

Family

ID=5591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557A KR102366351B1 (ko) 2016-05-04 2017-04-28 방사 튜브에 의해서 노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30432B2 (ko)
EP (1) EP3242080B1 (ko)
JP (1) JP7038665B2 (ko)
KR (1) KR102366351B1 (ko)
WO (1) WO2017191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43249A1 (en) 2021-11-08 2023-05-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afe start-up of a cooled radiant tube burner at high temperature ope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5683A2 (de) * 1994-06-02 1995-12-06 Joachim Dr.-Ing. Wünning Industriebrenner mit geringer NOx-Emission
JP2010528247A (ja) * 2007-05-23 2010-08-19 ベーエス−ベルメプロツェステクニ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補助フロックスの作動方法及びバーナ
US20130157204A1 (en) * 2011-12-20 2013-06-20 Eclips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DUAL MODE BURNER YIELDING LOW NOx E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3218B1 (de) 1990-06-29 1994-11-23 Joachim Dr.-Ing. Wünni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rennen von Brennstoff in einem Verbrennungsraum
DE10001293B4 (de) 2000-01-14 2008-06-12 WS-Wärmeprozeßtechnik GmbH Röhren-Erhitzerofen
DE10217524B4 (de) 2002-04-19 2005-10-13 WS - Wärmeprozesstechnik GmbH Brenner mit seitlichem Austritt zur flammenlosen Oxidation
JP2004271130A (ja) * 2003-03-11 2004-09-30 Toho Gas Co Ltd リジェネバーナの燃焼方法
ITMI20032327A1 (it) 2003-11-28 2005-05-29 Techint Spa Bruciatore a gas a basse emissioni inquinanti.
US7293983B2 (en) 2005-03-01 2007-11-13 Fina Technology, Inc. Heating hydrocarbon process flow using flameless oxidation burners
RU2400669C2 (ru) 2005-03-10 2010-09-27 Шелл Интернэшнл Рисерч Маатсхаппий Б.В. Способ пуска системы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го нагревания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пуска устройства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го нагревания (варианты)
WO2006133880A1 (de) 2005-06-14 2006-12-21 G. Kromschröder AG Brenneranordnung und verfahren für deren betrieb
US8062027B2 (en) 2005-08-11 2011-11-22 Elster Gmbh Industrial burner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dustrial burner
SE0700910L (sv) 2007-04-13 2008-10-14 Aga Ab Förfarande för att mäta temperaturen i en ugn
US20090136406A1 (en) 2007-11-27 2009-05-28 John Zink Company, L.L.C Flameless thermal oxidation method
US20090133854A1 (en) * 2007-11-27 2009-05-28 Bruce Carlyle Johnson Flameless thermal oxidation apparatus and methods
SE532339C2 (sv) 2007-12-10 2009-12-15 Aga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vid brännare
IT1397192B1 (it) 2009-12-01 2013-01-04 Danieli Off Mecc Bruciatore industriale e relativo processo di combustione per forni di trattamento termico.
IN2014DN09033A (ko) 2012-04-03 2015-05-22 Eclipse
US20140080072A1 (en) 2012-09-14 2014-03-20 Eclips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dual mode burner yielding low nox emission
US9476589B2 (en) 2013-03-13 2016-10-25 Fives North American Combustion, Inc. Diffuse combustion method and apparatus
ITMI20131931A1 (it) 2013-11-20 2015-05-21 Tenova Spa Bruciatore industriale autorigenerativo e forno industriale per la conduzione di processi di combustione autorigenerativ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5683A2 (de) * 1994-06-02 1995-12-06 Joachim Dr.-Ing. Wünning Industriebrenner mit geringer NOx-Emission
JPH07332624A (ja) * 1994-06-02 1995-12-22 Joachim Wunning NOx放出の低い産業用のバーナ
JP2010528247A (ja) * 2007-05-23 2010-08-19 ベーエス−ベルメプロツェステクニ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補助フロックスの作動方法及びバーナ
US20130157204A1 (en) * 2011-12-20 2013-06-20 Eclips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DUAL MODE BURNER YIELDING LOW NOx E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1040A1 (de) 2017-11-09
JP7038665B2 (ja) 2022-03-18
KR102366351B1 (ko) 2022-02-23
EP3242080A1 (de) 2017-11-08
US10830432B2 (en) 2020-11-10
US20190120483A1 (en) 2019-04-25
JP2019515229A (ja) 2019-06-06
EP3242080B1 (de)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7442B2 (ja) 補助フロックスの作動方法及びバーナ
US9188392B2 (en) Method and industrial furnace for using a residual protective gas as a heating gas
CN107685610B (zh) 用于使燃料运行的车辆取暖设备运行的方法
US20220026066A1 (en) Combustion apparatus
KR20190004706A (ko) 방사 튜브에 의해서 노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131158A1 (ja) 廃棄物の乾溜ガス化焼却処理方法
CA2829847A1 (en) Flue damper control algorithm for standing pilot type fuel-fired water heater
US20230143249A1 (en) Safe start-up of a cooled radiant tube burner at high temperature operation
CN111197737B (zh) 工业炉以及工业炉的燃烧控制方法
CN110274228A (zh) 瓦斯器具及其控制方法
JP4240773B2 (ja) 燃焼制御装置
JP3411166B2 (ja) 気化バーナ装置
JPS59219626A (ja) 燃焼装置
JP5480697B2 (ja) 燃焼設備
JP4822408B2 (ja) 濃淡バーナ
CN101701420B (zh) 气体式烘干机的点火控制装置及方法
CN117616231A (zh) 用于启动燃烧设备的方法以及具有燃烧设备的加热设备
JP6611437B2 (ja) 交番燃焼バーナ装置及び加熱炉
JP3747481B2 (ja) 蓄熱式バーナ装置における燃焼制御装置
TW201937109A (zh) 瓦斯器具及其控制方法
JP2016142442A (ja) 交番燃焼バーナ装置及び加熱炉
JP2014206302A (ja) 燃焼制御装置
JP2005188899A (ja) 廃油燃焼装置
KR960003581B1 (ko) 폐유 자동 연소장치
JP3403886B2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