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514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514A
KR20190004514A KR1020170084826A KR20170084826A KR20190004514A KR 20190004514 A KR20190004514 A KR 20190004514A KR 1020170084826 A KR1020170084826 A KR 1020170084826A KR 20170084826 A KR20170084826 A KR 20170084826A KR 20190004514 A KR20190004514 A KR 2019000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late
supporter
fix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670B1 (ko
Inventor
이재기
김재철
이보름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670B1/ko
Priority to EP18181095.3A priority patent/EP3425477B1/en
Priority to US16/026,616 priority patent/US10709025B2/en
Priority to CN201810724343.0A priority patent/CN109215517B/zh
Publication of KR2019000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01L27/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정되는 제1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의 하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파트의 전방으로 굽어진 제2 파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 파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파트와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구비될 수 있는 사운드 시스템이나 화상제어시스템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분리되는 경향이 있고, 그에 따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슬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거치 균형을 확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정되는 제1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의 하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파트의 전방으로 굽어진 제2 파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 파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파트와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투광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브라켓;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브라켓; 그리고, 상기 프런트 브라켓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리어 브라켓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어 브라켓은, 상기 리어 브라켓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프런트 브라켓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축에 삽입되는 제1 체결부재; 그리고, 상기 프런트 브라켓,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그리고 리어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텀을 형성하는 서포터 프레임; 그리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바디의 전면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끼워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어 브라켓은: 상기 리어 브라켓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함몰부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함몰부가 삽입되는 함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고정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합입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함몰부의 하면은 상기 함입부와 접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텀을 형성하는 서포터 프레임; 상기 서포터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서포터; 그리고, 상기 서포터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에 고정되는 웨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 프레임은, 상기 서포터 프레임의 바텀에 형성된 돔을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돔에 수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브라켓의 전면을 커버하는 스피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브라켓은: 상기 프런트 브라켓의 전방에 형성되는 플렌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 커버는 상기 플렌지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텀을 형성하는 서포터 프레임; 상기 서포터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서포터; 그리고, 상기 서포터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틸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 유닛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축;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에서 움직이며, 하부에 제1경사면을 구비하는 무버; 상기 무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는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의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이동가능한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과 마주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제1 파트에 형성된 라인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라인홀을 통과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라인 홀에 끼워지는 라인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인 링은: 상기 플레이트의 제1 파트의 후면과 접촉하는 링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링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라인 홀의 내면과 접촉하는 링 월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브라켓과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 전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버퍼층; 그리고, 상기 리어 브라켓과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 후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버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프런트 브라켓 및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전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리어 브라켓 및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슬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레이트의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4 내지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2 내지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와 하우징의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0 및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3 내지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플레이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 또는 헤드부(1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향(forward direction) 또는 전측(front side) 또는 전면(fron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향(backward direction or rearward direction) 또는 후측(back side or rear side) 또는 후면(back surface or rea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전방향(forward direction) 또는 전측(front side) 또는 전면(front surface)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방향(upward direction) 또는 상측(upper side) 또는 상면(upp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방향(downward direction) 또는 하측(lower side) 또는 하면(low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방향 또는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방향 또는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헤드부(1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투명 기판(110), 상부 전극(120), 유기 발광층(130) 및 하부 전극(14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기판(110), 상부 전극(120), 유기 발광층(130) 및 하부 전극(140)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성요소들의 배치는 OLED 패널의 타입에 따라서 바뀔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입은 상면 발광(Top emission) 타입과 하면 발광(Bottom emission)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기판(110) 및 상부 전극(120)은 투명한 물질(예를 들어, IT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140)은 투명하지 않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하부 전극(140)은 투명한 물질(예를 들어, ITO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전극(140)의 일면으로 빛이 방출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전극(120, 140)에 전압이 인가되면 유기 발광층(130)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상부 전극(120)과 투명 기판(11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전극(140)으로 발출되는 광을 전면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하부 전극(140) 뒤에 차광판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기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자발광 소자인 OLED는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HIL, HTL, EML, ETL, EIL)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OLED는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OLED는 반응 속도가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보다 1000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영상을 표시할 때 잔상이 남지 않을 수 있다.
도 3및 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600)는 성형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600)는 유리, 강화유리, 투명 플라스틱, 또는 투명 강화플라스틱일 수 있다. 플레이트(600)의 가공 지점에 열을 가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제1 파트(640), 그리고 제2 파트(66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헤드부(10)는 제1 파트(640)에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한 제어박스는 제2 파트(660)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600)의 가공 지점은 제1 파트(640)와 제2 파트(660)의 경계 영역일 수 있다.
가공 지점(HP)에 열을 가한 플레이트(600)는 굽어질 수 있다. 열을 받아 연성이 된 가공 지점(HP)을 중심으로 제1 파트(640)의 자체 하중에 의해 제1 파트(640)는 제2 파트(660)를 기준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파트(640)는 하부에 위치한 금형(Z)에 닿을 때까지 굽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헤드부(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모듈커버(200) 및 PCB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커버(200)는 프레임(200)이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헤드부(1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복수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후면에 인터페이스 PCB(174)와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가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174)는 소스 PCB(172)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172)는 인터페이스 PCB(17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PCB(172)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174)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CON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과 타이밍 제어신호 등의 구동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배선들은 플랫 케이블 또는 원형 케이블일 수 있다.
소스 PCB(172)는 인터페이스 PCB(17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소스 PCB(17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영상신호에 따라 구동파형을 인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소스 PCB(172)는 소스 COF(Chip On Film, 123)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172)의 일측과 연결된 소스 COF(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COF(123)는 소스 PCB(172)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데이터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COF(123)는 데이터 집적회로(Inter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커버(200)를 결합하기 위해, 접착시트(35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커버(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시트(350)는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의 액자 형상일 수 있다. 접착시트(350)의 중앙의 비어있는 공간에 전자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절연시트(25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와 모듈커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시트(251)는 모듈커버(200)의 전면에 부착되고, 소스 PCB(172)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시트(251)는 소스PCB(172)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자기적으로 간섭 받지 않도록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접착시트(350)를 통해 모듈커버(200)에 결합 또는 고정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모듈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모듈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듈커버(200)는 금속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커버(200)는 알루미늄(Al)일 수 있다.
모듈커버(200)는 굴곡지도록 프레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커버(20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모듈커버(200)의 엣지영역의 두께가 모듈커버(200)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커버(200)는 브라켓(500)과 결합할 때, 엣지 부분의 두께로 인해 브라켓(500)을 차폐할 수 있다.
체결홀(271)은 모듈커버(200)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홀(271)은 모듈커버(200)를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체결홀(271)은 제1 체결홀(271a)과 제2 체결홀(27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11을 참조하면, 브라켓(500)은 고정핀(511)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핀(511)은 제1 고정핀(511a) 내지 제4 고정핀(51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핀(511a)은 브라켓(50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핀(511b)은 브라켓(500)의 좌측 및 우측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핀(511a)이 브라켓(500)의 좌측에 위치하면, 제2 고정핀(511b)은 브라켓(50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고정핀(511c) 및 제4 고정핀(511d)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듈커버(200)의 제1 및 제2 체결홀(271a, 271b)은 브라켓(500)의 제1 및 제2 고정핀(511a, 511b)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체결홀(271a)은 모듈커버(20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제2 체결홀(271b)은 모듈커버(200)의 좌측 및 우측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홀(271)은 적어도 한 쌍 이상이 모듈커버(20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듈커버(200)는 다수의 고정핀(511a1, 내지 511d1)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핀은 제1 고정핀(511a1) 내지 제4 고정핀(511d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핀(511a1) 내지 제4 고정핀(511d1) 각각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500)은 체결홀들(1271)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홀(1271)은 브라켓(500)을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체결홀(1271)은 제1 체결홀(1271a) 내지 제4 체결홀(1271d)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00)은 상부 브라켓(500a)과 하부 브라켓(500b1,500b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커버(200)의 제1 고정핀(511a1) 내지 제4 고정핀(511d1) 각각은 브라켓(500)의 제1 체결홀(1271a) 내지 제4 체결홀(1271d)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체결홀(1271a)은 상부 브라켓(500a)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제2 체결홀(1271b)은 상부 브라켓(500a)의 좌측 및 우측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체결홀(1271c)은 두 개의 하부 브라켓(500b1,500b2)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체결홀(1271d)은 두 개의 하부 브라켓(500b1,500b2) 중 나머지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모듈커버(200)는 결합보조부재들(27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보조부재들(275)은 모듈커버(200)와 브라켓(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보조부재들(275)은 모듈커버(200)의 후면에 위치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 결합보조부재들(275)은 모듈커버(200)의 테두리 영역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할 수 있다. 결합보조부재(275)는 브라켓(500)의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결합보조부재(275)는 자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보조부재(275)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보조부재(275)는 자기력을 통해 모듈커버(200)와 브라켓(500)을 결합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커버(200)는 브라켓(5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모듈커버(200)는 인터페이스 PCB(174)와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부(27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개구부(273)는 모듈커버(20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27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커버(200) 사이에 인터페이스 PCB(174)가 위치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PCB 커버(400)는 제1,2 PCB 커버(431, 4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CB 커버(431)는 소스 PCB(172)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제2 PCB 커버(435)는 인터페이스 PCB(174)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PCB 커버(435)는 개구부(273)를 덮을 수 있다.
PCB 커버(400)는 소스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자기 간섭을 받지 않도록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 커버(4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를 누설전류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브라켓(5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 또는 헤드부(10: 도 5 및 6참조)의 후방 또는 모듈커버(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500)은 플레이트(6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600)는 유리, 강화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 일 수 있다.
브라켓(500)은 상부 브라켓(500a)과 하부 브라켓(500b1,500b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500a)은 헤드부(10)의 제1 장변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500a)은 소정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하부 브라켓(500b1,500b2)은 헤드부(10: 도 5 및 6 참조)의 하측 중 양측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하부 브라켓(500b1,500b2)은 헤드부(10)의 하면 중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인 제3 코너(C3)의 주변,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인 제4 코너(C4)의 주변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브라켓(500b1,500b2)은 'ㄴ' 형상일 수 있다.
브라켓(500)은 상부 브라켓(500a)과 하부 브라겟(500b1,500b2)으로 분리되지 않고,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의 액자 형상일 수 있다.
브라켓(500)은 접착부재(550)를 통해 플레이트(60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550)는 접착 시트 또는 양면 테잎 또는 도포된 접착제일 수 있다.
접착부재(550)는 브라켓(500)와 플레이트(600)가 접하는 부분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접착부재(550)는 상부 접착부재(550a)와 하부 접착부재(550b1, 550b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접착부재(550a)는 상부 브라켓(500a)와 플레이트(6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접착부재(550a)는 상부 브라켓(50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접착부재(550b1, 550b2)는 하부 브라켓(500b1,500b2)와 플레이트(6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접착부재(550b1, 550b2)는 하부 브라켓(500b1,500b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550)의 면적은 브라켓(500)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작을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모듈커버(200) 또는 브라켓(5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6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유리(glass)일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헤드부(1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지닐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중앙영역의 하단 근처에 라인홀(610)을 구비할 수 있다. 라인홀(610)은 플레이트(60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라인홀(610)은 케이블(161)을 통과 시킬 수 있다. 라인홀(610)을 통과한 케이블(161)은 후술하는 하우징(800, 도 37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브라켓(500)은 전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핀(511)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핀(511)은 제1 고정핀(511a)과 제2 고정핀(51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 고정핀(511)은 제1 고정핀(511a) 내지 제4 고정핀(51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핀(511a)은 브라켓(500)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핀(511b)은 브라켓(500)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고정핀(511c)은 브라켓(500)의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고정핀(511d)은 브라켓(500)의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핀(511a) 내지 제4 고정핀(511d)은 브라켓(500)에 체결되는 헤드부(10)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핀(511)은 핀 헤드(521), 핀 네크(522) 및 고정홀(525)을 포함할 수 있다. 핀 헤드(521)는 제1 직경(W1)을 지니는 원판 형상이며, 핀 네크(522)는 핀 헤드(521)와 연결되고, 제1 직경(W1)보다 작은 제2 직경(W2)을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고정핀(511)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핀 헤드(521)와 핀 네크(522)를 포함함으로써, 체결홀(271: 도 5 참조)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핀 헤드(521)는 연결부(52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핀 헤드(521)는 연결부(523)로부터 핀 네크(522)에 의해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고정핀(511)은 고정홀(52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525)은 제3 직경(W3)을 가지며, 제3 직경(W3)은 제2 직경(W2)보다 작은 직경일 수 있다.
고정핀(511)은 브라켓(500)에 돌출된 고정돌출부재(50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511)은 고정돌출부재(50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고정핀(511)은 고정돌출부재(501)에 리벳(revet)되면서 브라켓(5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고정핀(511)은 브라켓(500)에서 돌출된 고정돌출부재(50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재(501)는 제3 직경(W3)을 가진 고정홀(525)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재(501)는 개구부(503)와 파이프 월(502)을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503)는 브라켓(500)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파이프 월(502)은 개구부(503)의 둘레에서 브라켓(500)의 전방을 향해 연장 또는 돌출될 수 있다. 파이프 월(502)은 개구부(502)의 둘레에서 모듈커버(2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재(501)는 고정핀(511)에 삽입된 후 상단이 구부러지면서 고정핀(511)의 연결부(523)에 밀착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재(511)의 상측 외주면이 연결부(523)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돌출부재(501)는 고정핀(511)에 삽입된 후 코킹(caulking)작업을 통해 고정핀(51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재(501)가 고정핀(511)에 삽입되어 코킹(caulking)작업을 통해 고정핀(511)과 결합됨으로써, 브라켓(500)의 후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부재(550, 도 7 참조)를 이용하여 플레이트(6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헤드부(10)는 제1 고정핀(511a) 및 제2 고정핀(511b)이 형성된 상부 브라켓(500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헤드부(10)가 제1 및 제2 체결홀(1271a, 1271b)이 형성된 상부 브라켓(500a) 및 제3 및 제4 체결홀(1271c, 1271d)이 형성된 하부 브라켓(500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0 및 22를 참조하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커버(200)에 배치되는 제1 체결홀(271a)에 제1 고정핀(511a)이 체결될 수 있다. 도 20의 (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방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모듈커버(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투명하다고 가정하고 제1 체결홀(271a)과 제1 고정핀(511a)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의 (b)는 A-A'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제1 체결홀(271a)은 제1 고정핀(511a)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인입영역(27a)과 안착되는 안착영역(27b)을 포함할 수 있다. 인입영역(27a)은 제1 체결홀(271a)의 하부에 배치되며, 핀 헤드(521)와 핀 네크(523)가 모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충분한 홀 면적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인입영역(27a)은 핀 헤드(521)의 제1 직경(W1)보다 큰 홀 면적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안착영역(27b)은 인입영역(27a)을 통해 인입되는 제1 고정핀(511a)을 가이드한 후 고정시킬 수 있다. 안착영역(27b)은 제1 체결홀(271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영역(27b)은 인입된 핀 헤드(521)가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핀 헤드(521)의 제1 직경(W1)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핀 헤드(521)는 안착영역(27b)에서 제1 체결홀(271a)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
안착영역(27b)은 인입된 제1 고정핀(511a)이 제1 체결홀(271a)의 형상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안착될 수 있도록 핀 네크(522)의 제2 직경(W2)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안착영역(27b)에 안착된 제1 고정핀(511a)은 일정 값 이상의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제1 고정핀(511a)은 안착영역(27b)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정의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모듈커버(200)가 일 방향으로 틸팅(tilting) 또는 시프트(shift)될 수 있고, 제1 고정핀(511a)은 이에 대응하여 체결홀(271)의 형상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고정핀(511a)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이 제1 체결홀(271a)의 안착영역(27b)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511)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라는 표현은, 실제로 브라켓(500)에 고정된 제1 고정핀(511a)의 움직임은 구속되나, 모듈커버(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 고정핀(511a)이 제1 체결홀(271a) 내에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안착영역(27b)에 안착된 제1 고정핀(511a)이 의도치 않게 제공된 외력에 의해 인입영역(27a)으로 이동하여, 제1 체결홀(27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고정핀(511)과 체결홀(271), 제1 고정핀(511a)과 제1 체결홀(271a) 또는 제2 고정핀(511b)과 제2 체결홀(271b)은 결합유닛으로 표현하거나 칭할 수 있다. 결합유닛은 모듈커버(200)와 브라켓(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1및 22를 참조하면, 브라켓(500)에 구비되는 제1 체결홀(1271a)에 제1 고정핀(511a1)이 삽입될 수 있다. 도 21의 (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후방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브라켓(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플레이트(600)가 투명하다고 가정하고 제1 체결홀(1271a)과 제1 고정핀(511a1)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의 (b)는 B-B'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강화필름(650)은 플레이트(6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강화필름(650)은 플레이트(600)를 보호할 수 있고, 플레이트(600)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가 유리로 형성되는 경우, 강화필름은 유리로 형성된 플레이트의 취성(brittleness)을 보강할 수 있다.
강화필름(650)은 불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강화필름(650)은 플레이트(600)의 후방을 통해 플레이트(600)의 전방으로 투과될 수 있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600)는 라인홀(610)을 구비할 수 있다. 라인홀(610)은 제1 파트(640)에 형성될 수 있다. 라인홀(610)은 제1 파트(640)의 하변(제2 장변, LS2)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플레이트(60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고정홀들(67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홀들(670)은 제1 고정홀(672L) 내지 제4 고정홀(674R)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고정홀(672L) 및/또는 제2 고정홀(672R)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고정홀(674L) 및/또는 제4 고정홀(674R)은 제1 고정홀(672L) 및/또는 제2 고정홀(672R)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제1 고정홀(672L)은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파트(640)의 하변(제2 장변, LS2)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홀(672L)은 제1 파트(640)의 하변(제2 장변, LS2)과 나란할 수 있다. 제3 고정홀(674L)은 제1 고정홀(672L)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홀(672R)은 제1 고정홀(672L)과 대칭일 수 있고, 제4고정홀(674R)은 제3 고정홀(674L)과 대칭일 수 있다. 이때, 제3 고정홀(674L) 및 제4 고정홀(674R)은 제1 고정홀(672L)과 제2 고정홀(672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프런트 브라켓(700F)은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700F)은 플레이트(600)의 제1 파트(640)의 하변(제2 장변, LS2)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파트(640)의 하변(제2 장변, LS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프런트 브라켓(700F)은 고정홀들(670)에 대응되거나 마주할 수 있다.
리어 브라켓(700R)은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후방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브라켓(700R)은 플레이트(600)의 제1 파트(640)의 하변(LS2)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파트(640)의 하변(LS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리어 브라켓(700R)은 고정홀들(670)에 대응되거나 마주할 수 있다. 리어 브라켓(700R)은 플레이트(600)를 사이에 두고 프런트 브라켓(700F)과 대향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700F)은 제1 브라켓(700F), 리어 브라켓(700R)은 제2 브라켓(700R)이라 칭할 수 있다. 라인 링(620)은 라인 홀(6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라인 링(620)은 전체적으로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라인 링(620)은 링 플레이트(622), 그리고 링 월(624)을 구비할 수 있다. 링 플레이트는(622) 원형 또는 타원형을 그리며 길게 연장될 수 있고,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링 플레이트(622)는 플레이트(600)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링 월(624)은 원형 또는 타원형을 그리며 길게 연장될 수 있고,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링 월(624)은 라인 홀(610)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링 월(624)은 링 플레이트(622)의 내주면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링 월(624)의 외주면은 링 플레이트(622)의 내주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접합부(622a~622d)는 링 플레이트(62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622a~622d)는 링 플레이트(622)의 외면에서 함몰되거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합부(622a~622d)는 링 플레이트(622)의 전면에서 단차를 형성하며 함몰될 수 있다. 이때, 접합부(622a~622d)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폐 루프를 형성할 수 있고,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오픈 루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부재(AD)는 접합부(622a~622d)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AD)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접착부재(AD)에 의해 라인 링(620) 또는 링 플레이트(622)는 플레이트(600) 또는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돌기(624P)는 링 월(624)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624P)는 복수개가 링 월(624)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들(624P)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는데, 간격은 규칙적일 수 있고, 불규칙적일 수도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프런트 브라켓(700F)은 개구부(710), 그리고 함몰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710)는 제1 개구부(711) 내지 제6 개구부(71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700F)이 플레이트(600, 도 25참조)의 제2 파트(660)의 전면에 위치하면, 제1 개구부(711) 내지 제3 개구부(713)는 제1 고정홀(672L, 도 24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고, 제4 개구부(714) 내지 제6 개구부(716)는 제2 고정홀(672R, 도 24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제2 개구부(712) 내지 제5 개구부(715)의 형상은 후술하는 스피커 유닛의 전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함몰부(720)는 제1 함몰부(721) 내지 제4 함몰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720)는 프런트 브라켓(700F)의 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함몰부(720)는 프런트 브라켓(700F)의 전면에서 함몰될 수 있고, 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1 함몰부(721)는 제1 개구부(711)와 제2 개구부(712) 사이에 위치하고, 제2 함몰부(722)는 제3 개구부(713)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3 함몰부(723)는 제4 개구부(714)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4 함몰부(724)는 제5 개구부(715)와 제6 개구부(71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720)는 홀들(h1~h8)을 구비할 수 있다. 홀(h)은 복수개의 홀들(h1~h8)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f1~f8)가 홀(h1~h8)에 삽입되거나 홀(h1~h8)을 관통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리어 브라켓(700R)은 개구부(730), 그리고 함몰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730)는 제1 개구부(731) 내지 제6 개구부(73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브라켓(700R)이 플레이트(600, 도 25참조)의 제2 파트(660)의 후면에 위치하면, 제1 개구부(731) 내지 제3 개구부(733)는 제1 고정홀(672L, 도 24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고, 제4 개구부(734) 내지 제6 개구부(736)는 제2 고정홀(672R, 도 24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제2 개구부(732) 내지 제5 개구부(735)의 형상은 후술하는 스피커 유닛의 전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함몰부(740)는 제1 함몰부(741) 내지 제4 함몰부(744)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740)는 리어 브라켓(700R)의 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함몰부(740)는 리어 브라켓(700R)의 전면에서 함몰될 수 있고, 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1 함몰부(741)는 제1 개구부(731)와 제2 개구부(732) 사이에 위치하고, 제2 함몰부(742)는 제3 개구부(733)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3 함몰부(743)는 제4 개구부(734)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4 함몰부(744)는 제5 개구부(735)와 제6 개구부(73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740)는 홀(h)을 구비할 수 있다. 홀(h)은 홀들(h1~h8)을 구비할 수 있다. 홀(h)은 복수개의 홀들(h1~h8)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f1~f8)가 홀(h1~h8)에 삽입되거나 홀(h1~h8)을 관통할 수 있다.
도 29 내지 31을 참조하면,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는 프런트 브라켓(700F)과 리어 브라켓(700R) 사이에 위치하거나, 프런트 브라켓(700F)과 리어 브라켓(700R) 사이에서 고정되거나, 프런트 브라켓(700F)과 리어 브라켓(700R)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700F)은 고정부(702F), 사이드월(704F), 그리고 플렌지(706F)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702F)는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전면에 위치하거나 제2 파트(660)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버퍼층(BF)은 프런트 브라켓(700F)의 고정부(702F)와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전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퍼층(BF)은 합성 수지 또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버퍼층(BF)은 프런트 브라켓(700F), 리어 브라켓(700R), 그리고 플레이트(6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플레이트(6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월(704F) 및/또는 플렌지(706F)는 프런트 프라켓(700F)의 전체적인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후술하는 스피커 커버가 사이드 월(704F)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브라켓(700R)은 고정부(702R), 그리고 지지축(744N)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702R)는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후면에 위치하거나 제2 파트(660)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버퍼층(BF)은 프런트 브라켓(700F)의 고정부(702R)와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후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퍼층(BF)은 합성 수지 또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버퍼층(BF)은 프런트 브라켓(700F), 리어 브라켓(700R), 그리고 플레이트(6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플레이트(6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축(744N)은 함몰부(744)로부터 리어 브라켓(700R)의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축(744N)은 전방부(744NF)와 후방부(744NR)를 구비할 수 있다. 전방부(744NF)는 함몰부(744)에서 리어 브라켓(700R)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후방부(744NR)는 함몰부(744)에서 리어 브라켓(700R)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부(744NR)의 길이는 전방부(744NF)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지지축(744N)의 전방부(744NF)는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고정홀(670,672R)을 통해 프런트 브라켓(700F)의 함몰부(724)의 후면에 인접하거나 함몰부(724)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축들(741N,742N,743N,744N)은 전술한 리어 브라켓(700R)의 홀들(h2,h4,h6,h8)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리어 브라켓(700R)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f8)는 프런트 브라켓(700F)의 홀(h8) 및 리어 브라켓(700R)의 홀(h8)을 관통하여 리어 브라켓(700R)의 지지축(744N)으로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재(f8)는 지지축(744N)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른 체결부재들(f2,f4,f6)의 설명도 동일하다.
도 32를 참조하면, 서포터 프레임(820)은 좌우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전후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좌우의 연장길이(L1)는 전후의 연장길이(L2) 보다 클 수 있다. 서포터 프레임(820)은 중앙에 개구부(822)를 구비할 수 있다. 서포터 프레임(820)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포터 프레임(820)은 고정보스들(F)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보스들(F)은 서포터 프레임(820)의 앞쪽에서 순차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840)는 서포터 프레임(820)의 하부 또는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840)는 서포터 프레임(8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840)는 돔(842)을 구비할 수 있다. 돔(842)은 서포터 프레임(820)의 개구부(822)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바텀 플레이트(840)가 서포터 프레임(820)의 하부에 결합되면, 돔(842)은 서포터 프레임(820)의 개구부(822)에 삽입될 수 있다.
서포터 웨이트(860, supporter weight)는 바텀 플레이트(840)의 하부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서포터 웨이트(860)는 바텀 플레이트(840)의 돔(840)에 수용될 수 있다. 서포터 웨이트(86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862,864,866)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 웨이트(860)의 중량, 개수 등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서포터 웨이트(86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800S)는 제1 서포터(810), 제2 서포터(830), 그리고 제3 서포터(8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포터(810)는 중앙 서포터(810)라 칭할 수 있고, 제2 서포터(830) 및/또는 제3 서포터(850)는 사이드 서포터(830,850)라 칭할 수 있다.
제1 서포터(810)는 서포터 프레임(82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고, 서포터 프레임(8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서포터(830) 및 제3 서포터(850)는 서포터 프레임(820)의 좌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서포터 프레임(820)에 고정될 수 있다.
틸팅 유닛(870,880)은 서포터 프레임(820)에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틸팅 유닛(870,880)은 제1 틸팅 유닛(870)과 제2 틸팅 유닛(8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틸팅 유닛(870)은 서포터 프레임(82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틸팅 유닛(880)은 서포터 프레임(82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1 서포터(810)는 바디(815), 제1 고정부(811), 제2 고정부(812), 제3 고정부(813), 제4 고정부(8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815)는 좌우로 길게 연장된 바 형상일 수 있고, 전체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815)는 제1 서포터(810)의 스탠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부(811) 및/또는 제2 고정부(812)는 바디(815)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811)는 바디(815)의 센터라인(CL)에 대하여 제2 고정부(812)와 대칭일 수 있다. 제1 고정부(811)는 함입부(8111), 삽입부(8113), 그리고 고정홀(8115)을 구비할 수 있다. 함입부(8111)는 바디(815)의 전면에서 바디(815)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함입부(8111)에 의해 지지부(8117)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744, 도 31참조)는 함입부(8111)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함몰부(744)의 후면은 함입부(8111)의 전면과 마주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함몰부(744)와 함입부(8111)는 싱크(sync)를 이룰 수 있다. 지지부(8117)는 함몰부(744)의 하측 또는 후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삽입부(8113)는 함입부(8111)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8115)은 함입부(8111)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삽입부(8113)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삽입부(8113)와 고정홀(8115)은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삽입부(8113)의 직경은 고정홀(8115)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지지축(744N, 도 31참조)은 삽입부(8113)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7 및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체결부재(f3)는 프런트 브라켓(700F)의 제2 함몰부(722)의 홀(h3) 및 리어 브라켓(700R)의 제2 함몰부(742)의 홀(h3)을 통과하여 고정홀(8115)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고정부(812)에 대한 설명은 제2 고정부(812)가 제1 고정부(811)와 대칭을 이루므로 생략한다.
제3 고정부(813)는 바디(815)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고, 또 바디(815)의 일측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4 고정부(814)는 바디(815)의 센터 라인(CL)에 대하여 제3 고정부(813)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고정부(813)의 바디(815)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4 고정부(814)는 바디(815)를 전방에서 바라 볼 때,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고정부(813) 및/또는 제4 고정부(814)는 바디(815)의 전면에서 바디(815)의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고정부(813)는 체결홀(h)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고정부(813)의 체결홀(h) 및/또는 제4 고정부(814)의 체결홀(h)은 도 32에서 설명된 고정보스들(F)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2 서포터(830)는 바디(831), 삽입부(832), 고정홀(833), 지지부(834), 그리고 체결홀(83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831)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831)는 제2 서포터(830)의 스탠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삽입부(832)는 바디(831)의 전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833)은 바디(831)의 전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삽입부(83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삽입부(832)와 고정홀(833)은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삽입부(832)의 직경은 고정홀(833)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지지축(744N, 도 31참조)은 삽입부(832)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834)는 바디(83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834)는 바디(831)의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834)는 삽입부(832)의 하부 또는 고정홀(83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834)는 삽입부(832) 및/또는 고정홀(833)의 하부에서 단차(835)를 형성하여 전술 또는 후술하는 리어 브라켓(700R) 또는 리어 브라켓(700R)의 함몰부(744, 도 31 참조)의 하측 또는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7 및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체결부재(f1)는 프런트 브라켓(700F)의 제1 함몰부(721)의 홀(h1) 및 리어 브라켓(700R)의 제2 함몰부(732)의 홀(h1)을 통과하여 고정홀(833)에 끼워질 수 있다.
체결홀(836)은 바디(83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836)은 지지부(834)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바디(831)를 전방에서 볼 때, 체결홀(836)은 지지부(834)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지지부(834)는 체결홀(836)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홀(836)은 도 32에서 설명된 고정보스들(F)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3 서포터(850)는 바디(851), 삽입부(852), 고정홀(853), 지지부(854), 그리고 체결홀(85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851)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851)는 제3 서포터(850)의 스탠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삽입부(852)는 바디(851)의 전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853)은 바디(851)의 전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삽입부(85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삽입부(852)와 고정홀(853)은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삽입부(852)의 직경은 고정홀(853)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지지축(744N, 도 31참조)은 삽입부(852)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854)는 바디(85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854)는 바디(851)의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854)는 삽입부(852)의 하부 또는 고정홀(85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854)는 삽입부(852) 및/또는 고정홀(853)의 하부에서 단차(855)를 형성하여 전술 또는 후술하는 리어 브라켓(700R) 또는 리어 브라켓(700R)의 함몰부(744, 도 31 참조)의 하측 또는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7 및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체결부재(f7)는 프런트 브라켓(700F)의 제4 함몰부(724)의 홀(h7) 및 리어 브라켓(700R)의 제4 함몰부(744)의 홀(h7)을 통과하여 고정홀(853)에 끼워질 수 있다.
체결홀(856)은 바디(85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856)은 지지부(854)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바디(851)를 전방에서 볼 때, 체결홀(856)은 지지부(854)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지지부(854)는 체결홀(856)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홀(856)은 도 32에서 설명된 고정보스들(F)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6 및 37을 참조하면, 하우징은 플레이트과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은 플레이트의 제2 파트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도 36A를 관련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하우징(800)은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800)과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결합은 전술한 프런트 브라켓(700F)이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전면에 고정되고, 리어 브라켓(700R)이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후면에 고정되며, 프런트 브라켓(700F)과 리어 브라켓(700R)이 체결부재들(f2,f4,f6,f8)에 의해 고정되고, 지지축(741N,742N,743N,744N) 및/또는 체결부재들(f1,f3,f5,f7)이 서포터들(810,830,850)에 체결 또는 고정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36B 를 관련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체결부재들(f1,f3,f5,f7)이 프런트 브라켓(700F)과 리어 브라켓(700R)의 홀들(h1,h3,h5,h7)을 통해 하우징(800)의 서포터들(810,830,85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7을 관련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서포터(810,830)는 서포터 프레임(820) 상에 고정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체결부재(f2,f4,f6,f8)가 프런트 브라켓(700F)과 리어 브라켓(700R)의 홀들(h2,h4,h6,h8)을 관통하여 지지축(741N,742N,743N,744N)에 삽입 또는 체결될 수 있다. 지지축(741N,742N,743N,744N)은 서포터(810,830,850)의 삽입부(8113,8123,832,852)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축(741N,742N,743N,744N)과 서보터(810,830,850)의 결합은 도 3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체결부재(f1,f3,f5,f7)들이 프런트 브라켓(700F)과 리어 브라켓(700R)의 홀들(h1,h3,h5,h7)을 통해 하우징(800)의 서포터들(810,830,850)에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고정일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들(f1,f3,f5,f7)이 프런트 브라켓(700F)과 리어 브라켓(700R)의 홀들(h1,h3,h5,h7)을 통해 하우징(800)의 서포터들(810,830,850)에 결합이 된 후에, 지지축(741N,742N,743N,744N)과 서포터(810,830,850)의 결합은 플레이트(600)와 하우징(800)의 결합구조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가 제1 파트(640)로부터 밴딩되고, 제2 파트(660)가 하우징(800)의 전방 또는 전측 또는 전면에 고정되면서 플레이트(600) 및 하우징(800)의 무게 중심(CM)은 하우징(800)의 중앙에 인접한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600)의 전방에서 외력(FF)이 가해지는 경우, 하우징(8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길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반대로, 플레이트(600)의 후방에서 외력(RF)이 가해지는 경우, 하우징(800)이 구비한 웨이트들(860, 도 37 참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600)를 하우징(800)의 전방에 결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의 안정성을 플레이트(600)의 밴딩에 의해서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하단부(PD)는 일정한 길이를 지닐 수 있다. 하우징(800)은 후퇴부(HD)를 구비할 수 있다. 후퇴부(HD)는 플레이트(600)의 하단부(PD)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600)의 하단부(PD)가 지니는 길이는 하우징(800)의 후퇴부(HD)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600)의 하단부(PD)는 하우징(800)의 후퇴부(HD)와 함께 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600)의 하단부(PD)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하우징(800)은 스피커 유닛(891,892), 프런트 커버(894), 그리고 탑 커버(89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유닛(891,892)은 제1 스피커 유닛(891)과 제2 스피커 유닛(8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피커 유닛(891)은 제2 스피커 유닛(892)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스피커 유닛(891)은 바디(8911), 제1 스피커(8912), 제2 스피커(8913), 그리고 제3 스피커(89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8911)는 빈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빈 공간은 제1 내지 제3 스피커(8912,8913,8914)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스피커(8912)는 고음역대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스피커(8913)는 저역대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스피커(8914)는 중저역 또는 보이스톤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피커(8912)는 트위터일 수 있고, 제2 스피커(8913)는 우퍼일 수 있고, 제3 스피커(8914)는 미들레인지 스피커일 수 있다.
탑 커버(893)는 제1 스피커 유닛(891) 및/또는 제2 스피커 유닛(89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들을 덮을 수 있다. 탑 커버(893)는 평편한 플레이트일 수 있는데, 좌우 측이 라운딩될 수 있다. 하우징(800)을 전방에서 볼 때, 제1 스피커(891)는 탑 커버(893)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스피커(892)는 탑 커버(893)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894)는 탑 커버(89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894)는 제1 스피커(891) 및/또는 제2 스피커(89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894)는 제1 개구부(8941) 내지 제6 개구부(894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구부(8941)는 제1 스피커 유닛(891)의 제1 스피커(8912)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개구부(8942)는 제1 스피커 유닛(891)의 제2 스피커(8913)에 대응될 수 있고, 제3 개구부(8943)는 제1 스피커 유닛(891)의 제3 스피커(8914)에 대응될 수 있다.
제4 개구부(8944)는 제2 스피커 유닛(892)의 제3 스피커(8924)에 대응될 수 있고, 제5 개구부(8945)는 제2 스피커 유닛(892)의 제2 스피커(8923)에 대응될 수 있고, 제6 개구부(8946)는 제2 스피커 유닛(892)의 제1 스피커(8946)에 대응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894)는 함몰부(8947,8948)를 구비할 수 있다. 함몰부(8947,8948)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프런트 브라켓(700F) 또는 리어 브라켓(700R)의 설명을 차용한다. 프런트 커버(894)는 복수개의 홀들(h1~h8)을 구비할 수 있다. 홀들(h1~h8)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프런트 브라켓(700F) 또는 리어 브라켓(700R)의 설명을 차용한다.
도 41을 참조하면, 탑 커버(893)는 서포터 프레임(820)과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893)와 서포터 프레임(8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의 후방을 백 커버(894)가 막을 수 있다.
도 37 내지 39를 참조하여 설명된 플레이트(600), 프런트 브라켓(700F), 리어 브라켓(700R), 서포터들(810,830,850)의 결합의 실시예들에 추가적으로 프런트 커버가 결합되는 실시예가 후술된다.
도 37 내지 41을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894)는 서포터들(810,830,85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리어 브라켓(700R)은 프런트 커버(894)의 전방에 위치하거나 프런트 커버(894)의 전면에 인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고, 프런트 브라켓(700F)은 리어 브라켓(700R)의 전방에 결합되고, 플레이트(600)는 프런트 브라켓(700F)과 리어 브라켓(700R)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600)의 제2 파트(66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프런트 브라켓(700F)에 스피커 커버(SC)가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 커버(SC)는 메탈 메쉬 또는 직물 메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틸팅 유닛(870,880)은 케이스(871A,871B), 레그(872), 축(873), 무버(874), 그리고 슬라이더(8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틸팅 유닛(880)은 제1 틸팅 유닛(870)과 동일한 구성을 지닐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틸팅 유닛(870)을 설명하고, 제2 틸팅 유닛(880)의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871A,871B)는 제1 케이스(871A)와 제2 케이스(87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케이스(871A)는 제2 케이스(871B)와 결합할 수 있고, 내부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 공간은 틸팅 유닛(870,880)의 무밍 메커니즘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케이스(871A,871B)는 와셔홈(WH1,WH2)을 구비할 수 있다.
축(873)은 케이스(871A,871B)에 장착될 수 있다. 축(873)은 케이스(871A,871B)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일부가 케이스(871A,871B)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축(873)은 케이스(871A,871B)에서 회전할 수 있다. 축(873)은 외주면에 나사산(8733)을 구비할 수 있다. 나사산(8733)은 축(873) 외주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고,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축(873)은 렌치 홈(LH)을 구비할 수 있다. 축(873)은 와셔들(8731,8732)을 구비할 수 있다. 와셔들(8731,8732)은 와셔홈(WH1,WH2)에 끼워질 수 있다.
무버(874)는 케이스(871A,871B) 내부에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무버(874)는 축(873)과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다. 즉, 축(873)이 회전하면 무버(874)는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무버(874)는 축(873)이 삽입되어 축(873)의 나사산(8733)과 결합하는 나사산(8741)을 구비할 수 있다. 무버(874)는 경사부(8742) 또는 경사면(8742)을 구비할 수 있다. 경사면(8742)은 무버(874)의 측면에서 하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875)는 케이스(871A,871B) 내부에서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875)는 무버(874)와 접촉하여 무버(874)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즉, 무버(874)가 좌우로 운동을 하면, 슬라이더(875)는 상하로 운동을 할 수 있다. 반대로, 무버(874)가 상하로 운동을 하고, 슬라이더(875)는 좌우로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875)는 경사부(8752) 또는 경사면(8752)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더(875)의 경사면(8752)은 슬라이더(875)의 측면과 상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875)의 경사면(8752)은 무버(874)의 경사면(8742)과 마주하거나 접촉할 수 있고, 무버(874)의 경사면(8742)과 마찰할 수 있다. 슬라이더(875)는 상측 또는 상부에 축홈(8751)을 구비할 수 있다. 축(873)은 축홈(8751)에 놓여질 수 있다.
레그(872)는 슬라이더(875)의 하부에 결합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레그(872)는 길게 연장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레그(872)는 케이스(871A,871B) 내부에 설치되되, 슬라이더(875)의 움직임에 따라서 레그(872)의 일부는 케이스(871A,871B) 외부로 노출 또는 이동할 수 있다. 레그(872)는 패드(LB)를 구비할 수 있다. 패드(LB)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축(873)이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하여 무버(874)가 케이스(871A)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면과 헤드(10)가 이루는 각도(theta 1)는 90도 일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축(87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무버(874)가 케이스(871A)의 후방에서 케이스(871A)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슬라이더(875)는 무버(874)의 이동에 의해 케이스(871A)의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그(875)는 케이스(871A)의 하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레그(872)의 일부는 케이스(871A)의 외부로 나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틸팅될 수 있고, 헤드(10)의 각도(theta 2)가 달라질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600)는 플랫(flat)할 수 있다. 하우징(8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 밸런스를 위해 전후방향의 길이(Df)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800)의 전후방향의 길이(Df)는 도 38을 참조하여 설명된 하우징의 전후방향의 길이(Db)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및/또는 기능이 다른 실시예들 각각의 구성 및/또는 기능과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정되는 제1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의 하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파트의 전방으로 굽어진 제2 파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 파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파트와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투광소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브라켓;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브라켓; 그리고,
    상기 프런트 브라켓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리어 브라켓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브라켓은, 상기 리어 브라켓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프런트 브라켓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축에 삽입되는 제1 체결부재; 그리고,
    상기 프런트 브라켓,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그리고 리어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텀을 형성하는 서포터 프레임; 그리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바디의 전면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끼워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브라켓은:
    상기 리어 브라켓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함몰부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함몰부가 삽입되는 함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고정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합입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하면은 상기 함입부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텀을 형성하는 서포터 프레임;
    상기 서포터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서포터; 그리고,
    상기 서포터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에 고정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프레임은,
    상기 서포터 프레임의 바텀에 형성된 돔을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돔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브라켓의 전면을 커버하는 스피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브라켓은:
    상기 프런트 브라켓의 전방에 형성되는 플렌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 커버는 상기 플렌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텀을 형성하는 서포터 프레임;
    상기 서포터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서포터; 그리고
    상기 서포터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틸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 유닛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축;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에서 움직이며, 하부에 제1경사면을 구비하는 무버;
    상기 무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는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의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이동가능한 레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과 마주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제1 파트에 형성된 라인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라인홀을 통과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홀에 끼워지는 라인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인 링은:
    상기 플레이트의 제1 파트의 후면과 접촉하는 링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링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라인 홀의 내면과 접촉하는 링 월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브라켓과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 전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버퍼층; 그리고,
    상기 리어 브라켓과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 후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버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프런트 브라켓 및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전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리어 브라켓 및 상기 플레이트의 제2 파트의 후면에 접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70084826A 2017-07-04 2017-07-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45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826A KR102445670B1 (ko) 2017-07-04 2017-07-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18181095.3A EP3425477B1 (en) 2017-07-04 2018-07-02 Display device
US16/026,616 US10709025B2 (en) 2017-07-04 2018-07-03 Display device
CN201810724343.0A CN109215517B (zh) 2017-07-04 2018-07-04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826A KR102445670B1 (ko) 2017-07-04 2017-07-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514A true KR20190004514A (ko) 2019-01-14
KR102445670B1 KR102445670B1 (ko) 2022-09-21

Family

ID=6284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826A KR102445670B1 (ko) 2017-07-04 2017-07-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09025B2 (ko)
EP (1) EP3425477B1 (ko)
KR (1) KR102445670B1 (ko)
CN (1) CN1092155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1841A1 (ko) * 2022-03-10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483A (ko) * 2019-01-09 2020-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9804247U (zh) * 2019-01-25 2019-12-1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转动装置及包含其的交互式信息终端
KR20200133888A (ko) * 2019-05-20 2020-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00110A (ko) * 2019-06-24 2021-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09317B1 (ko) * 2020-01-06 202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92254B1 (ko) * 2020-02-20 2021-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7203784B2 (ja) * 2020-03-27 2023-01-13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及びその外装パネル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8211A (en) * 1996-11-06 1999-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structure for flat-panel display device with interface and speaker
US20050213290A1 (en) * 2004-03-25 2005-09-29 Scott Lauff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djustable cables
US20070195495A1 (en) * 2006-02-21 2007-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10007230A1 (en) * 2008-02-19 2011-01-13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30265505A1 (en) * 2012-04-06 2013-10-10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vis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50016091A1 (en) * 2013-07-12 2015-01-15 Briview Corporation Back Plate, Backlight Module Using the Back Pl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60044802A1 (en) * 2014-08-05 2016-02-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70064851A1 (en) * 2015-08-28 2017-03-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321B1 (ko) * 2004-12-01 2007-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조립체
WO2012057570A2 (en) * 2010-10-28 2012-05-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JP2012168435A (ja) * 2011-02-16 2012-09-06 Sony Corp 表示装置
TWI489872B (zh) * 2011-04-20 2015-06-21 Amtran Technology Co Ltd 顯示器
CN102837024A (zh) * 2011-06-22 2012-12-26 苏州麦德尔机械有限公司 一种调节车刀高度的刀架
US11307614B2 (en) * 2013-03-15 2022-04-19 Vider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viewing, and controlling digital art and imaging
JP2014191059A (ja) * 2013-03-26 2014-10-06 Sony Corp 表示装置
CN204042373U (zh) * 2014-05-21 2014-12-2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坐挂两用电视底座支架装置
CN104217648B (zh) * 2014-07-31 2016-09-07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一种显示器
US9374922B1 (en) * 2014-12-31 2016-06-21 Avalue Technology Inc. Waterproof structure for use in display device
CN204423818U (zh) 2015-01-04 2015-06-24 河南捷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多媒体机
KR102384312B1 (ko) 2015-07-31 2022-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2937A (ko) * 2015-11-30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3182194B1 (en) 2015-12-17 2019-06-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205560147U (zh) 2016-04-12 2016-09-07 街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支架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8211A (en) * 1996-11-06 1999-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structure for flat-panel display device with interface and speaker
US20050213290A1 (en) * 2004-03-25 2005-09-29 Scott Lauff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djustable cables
US20070195495A1 (en) * 2006-02-21 2007-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10007230A1 (en) * 2008-02-19 2011-01-13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30265505A1 (en) * 2012-04-06 2013-10-10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vis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50016091A1 (en) * 2013-07-12 2015-01-15 Briview Corporation Back Plate, Backlight Module Using the Back Pl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60044802A1 (en) * 2014-08-05 2016-02-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70064851A1 (en) * 2015-08-28 2017-03-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1841A1 (ko) * 2022-03-10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4670A1 (en) 2019-01-10
EP3425477A1 (en) 2019-01-09
CN109215517B (zh) 2021-02-02
KR102445670B1 (ko) 2022-09-21
US10709025B2 (en) 2020-07-07
CN109215517A (zh) 2019-01-15
EP3425477B1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451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052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374927B2 (en) Display device
CN108242208B (zh) 显示装置
US10595426B2 (en) Display device
KR201700668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656672B2 (en) Display device
US20160295717A1 (en) Display device wall mounting apparatus
MX2014015486A (es) Aparato de despliegue.
KR10256061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60285A (ko) 스피커모듈,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1398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0682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170034934A1 (en) Display device
JP7386932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US10244643B1 (en) Display device
KR2019000959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629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844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74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599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9266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7620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227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8719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