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82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829A
KR20170139829A KR1020160072259A KR20160072259A KR20170139829A KR 20170139829 A KR20170139829 A KR 20170139829A KR 1020160072259 A KR1020160072259 A KR 1020160072259A KR 20160072259 A KR20160072259 A KR 20160072259A KR 20170139829 A KR20170139829 A KR 20170139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ver
coupling hole
display panel
wall bracke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715B1 (ko
Inventor
이하윤
김철수
민범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715B1/ko
Priority to US15/489,464 priority patent/US10356917B2/en
Priority to EP17000984.9A priority patent/EP3255624B1/en
Priority to CN201710431306.6A priority patent/CN107492562B/zh
Publication of KR2017013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01L27/327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된 모듈 커버, 및 상기 모듈 커버 전면에 위치한 상기 결합홀의 주변영역을 덮는 쿠션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홀의 주변영역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은 상기 복수의 층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홀의 주변영역에 쿠션이 위치하여 모듈 커버가 쉽게 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결합홀의 주변영역에 쿠션이 위치하여 모듈 커버가 쉽게 휘지 않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모듈 커버가 쉽게 휘지 않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형성된 모듈 커버, 및 상기 모듈 커버 전면에 위치한 상기 결합홀의 주변영역을 덮는 쿠션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홀의 주변영역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은 상기 복수의 층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모듈 커버는 후면 중심부에 위치한 서로 이격된 제 1,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제 1,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모듈 커버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케이블포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변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측에 위치한 제 1 모드와, 단변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측에 위치한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있으며, 상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는 풍경화(landscape) 모드이며, 상기 제 2 모드는 초상화(portrait)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제 1,2 영역과 다른부분의 경계가 상기 모듈 커버의 후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은 상기 모듈 커버의 네 코너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의 상기 주변영역은 상기 다른 부분보다 상기 모듈 커버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층은 상기 결합홀을 감싸는 제 1 단, 및 상기 결합홀로부터 상기 제 1 단보다 더 이격되어 위치한 제 2 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은 상기 제 1 단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쿠션은 상기 제 2 단 상에 상기 결합홀로부터 상기 제 2 단보다 더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쿠션은 상기 제 2 단 상에 상기 결합홀로부터 상기 제 2 단과 동일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은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 상에 상기 쿠션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상에 위치하는 소스 PCB, 상기 소스 PCB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소스 COF,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모듈 커버 사이에 위치한 접착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소스 COF와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홀은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장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를 피부착면에 부착하기 위한 월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홀이형성된 모듈 커버, 및 상기 모듈 커버 전면에 위치한 상기 결합홀의 주변영역을 덮는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월브라켓은 상기 헤드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홀의 주변영역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은 상기 복수의 층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월브라켓은 엣지영역에 일단이 상기 피부착면 방향으로 밴딩되는 헤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월브라켓은 상기 월브라켓의 일 측 중심부에 장축 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헤밍부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월브라켓의 상부 양 코너에 위치하는 가이드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시트는 상기 월브라켓과 이격되어 상기 헤드부의 꼭지점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패널가이드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층은 상기 결합홀을 감싸는 제 1 단, 및 상기 결합홀로부터 상기 제 1 단보다 더 이격되어 위치한 제 2 단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제 1단과 상기 제 2 단의 경계에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결합홀의 주변영역에 쿠션이 위치하여 모듈 커버가 쉽게 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4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4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8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 표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헤드부(1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헤드부(1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헤드부(1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부(1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헤드부(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모듈 커버(200) 및 PCB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헤드부(1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모서리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터페이스 PCB(174)와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가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174)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는 인터페이스 PCB(174)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PCB(172)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174)는 하우징의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과 타이밍 제어신호 등을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는 인터페이스 PCB(17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영상신호에 따라 구동파형을 인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소스 PCB(172)는 소스 COF(Chip On Film, 123)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172)의 일 측과 연결된 소스 COF(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면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COF(123)는 소스 PCB(172)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데이터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COF(123)는 데이터 집적회로(Intergrated Circuit)가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 커버(200)를 결합하기 위해 접착시트(350)가 위치할 수 있다. 접착시트(350)는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의 액자 형상일 수 있다. 접착시트(350)의 중앙이 비어있기 때문에, 비어있는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PCB가 위치할 수 있다.
접착시트(350)는 일 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결합하며, 타 면이 모듈 커버와 결합될 수 있다. 접착시트(350)의 자세한 형상은 후술하도록 한다.
소스 PCB(172)와 대응되는 부분에 절연시트(251)가 위치할 수 있다. 절연시트(251)는 모듈 커버(20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절연시트(251)는 소스PCB(172)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간섭받지 않도록 절연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 커버(4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를 누설전류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모듈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모듈 커버(200)는 접착시트(35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모듈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모듈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200)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커버(200)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커버(200)는 적어도 일부의 수직방향 두께가 다른 부분의 수직방향 두께와 다를 수 있다. 즉, 모듈 커버(200)는 포밍(forming)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백커버(200)의 엣지영역의 두께가 모듈 커버(200)의 다른 부분의 수직방향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모듈 커버(200)가 포밍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 커버(20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커버(200)는 월브라켓(500)과 결합할 때, 엣지부분의 두께로 인해 월브라켓(500)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모듈 커버(200)의 네 코너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홀(271)이 위치할 수 있다. 결합홀(271)은 모듈 커버(200)를 관통하는 부분일 수 있다. 결합홀(271)은 월브라켓(500)과 헤드부(10)를 결합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결합홀(271)이 위치하는 부분의 수직방향 두께는 다른 방향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월 브라켓(500)과 헤드부(10)가 인접하여 결합력이 더 강해질 수 있다.
모듈 커버(200)의 엣지영역의 경계에 결합부(166)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166)는 모듈 커버(200)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166)는 모듈 커버(200)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166)가 위치한 부분은 모듈 커버(200)의 결합 홀이 위치한 부분과 수직방향 높이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결합부(166)의 위치는 한정되지 아니하며 모듈 커버(200)의 두께가 얇을 부분이라면 어떤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166)는 자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66)는 바디(10)와 월브라켓(500)이 결합할 때, 자성에 의해 더 강하게 결합되도록 도울 수 있다.
백커버(200)는 결합시 인터페이스 PCB(174)와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부(273)가 위치할 수 있다. 즉, 개구부(273)는 모듈 커버(2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27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 커버(200) 사이에 인터페이스 PCB(174)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모듈 커버(200)에 개구부(273)가 너무 많이 형성되는 경우 모듈 커버(200)에 크랙이 형성되거나 강성이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200)는 개구부(273)가 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B가 위치한 영역의 후면에 PCB 커버(400)가 제공될 수 있다. PCB 커버(400)는 제 1,2 PCB 커버(431, 4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PCB 커버(431)는 소스 PCB(172)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제 2 PCB 커버(435)는 인터페이스 PCB(174)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PCB 커버(435)는 개구부(273)를 덮을 수 있다.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불투명할 수 있다.
PCB 커버(400)는 소스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간섭받지 않도록 절연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 커버(4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를 누설전류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디(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모듈 커버(200)만으로 지탱해줄 수 있다. 즉, 바디(10)는 모듈 커버(200)를 제외한 다른 커버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바디(10)의 두께가 매우 얇아졌다고 느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투명 기판(110), 상부 전극(120), 유기 발광층(130) 및 하부 전극(14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기판(110), 상부 전극(120), 유기 발광층(130) 및 하부 전극(140)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기판(110) 및 상부 전극(12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140)은 투명하지 않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하부 전극(140)은 투명한 물질(예를 들어, ITO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전극(140)의 일면으로 빛이 방출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전극(120, 140)에 전압이 인가되면 유기 발광층(13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부 전극(120)과 투명 기판(110)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이 때, 하부 전극(140)으로 발출되는 광을 전면으로 출사시키기 위하여 하부 전극(140) 뒤에 차광판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O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응 속도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1000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영상을 표시할 때 잔상이 남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 커버(200)가 접착시트(350)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접착시트(350)는 양 면을 모두 결합할 수 있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시트(350)는 별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 커버(200) 사이로 이물질 또는 먼지가 들어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 측에 실링 부재(183)를 사이드 실링할 수 있다. 실링 부재(183)는 접착시트(35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 측을 동시에 차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 측에 프레임(187)이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187)은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 측에 접하며 일 단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해 연장하도록 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 측을 동시에 차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 커버(200) 사이에 미들 케비넷(193)이 위치할 수 있다. 미들 케비넷(193)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미들 케비넷(193)은 플랜지(193a)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 커버(20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미들 케비넷(193)은 몸체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 커버(200)의 적어도 일 측을 동시에 차폐할 수 있다.
미들 케비넷(193)의 플랜지(193a)는 접착시트(350)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시트(35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체적으로 위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때 필요한 접착시트(350)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듈 커버(200)의 가장자리 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여 밴딩될 수 있다. 모듈 커버(200)의 가장자리 부분이 밴딩되기 때문에,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측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 커버(200) 사이에 다른 물질이 포함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며,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커버(200)의 가장자리가 접착시트(350)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시트(35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체적으로 위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때 필요한 접착시트(350)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접착시트(350)의 측면에 위치하는 구조들은 생략하도록 한다. 접착시트(350)의 측면에 위치하는 구조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헤드부(10)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는 구성요소들을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300)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CB)을 차폐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의 상세한 결합 구조와 결합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하우징(500)은 헤드부(10)와 접하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 표시되는 부분에 하우징(300)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우징(300)은 평평한 형상인 복수개의 플랫 케이블(161)를 통해 헤드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61)은 하우징(300)과 헤드부(10)를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신호연결 단자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단자핀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61)은 다른 케이블에 비해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다른 예로, 도 5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우징(300)은 하나의 원형 케이블(163)을 통하여 헤드부(1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도 3의 (b)에서 여러 개의 플랫 케이블(161)로 연결되던 전기 신호들을 하나의 원형 케이블(163)을 통해 연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우징(300)과 헤드부(10)가 복수개가 아닌 하나의 원형 케이블(163)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관이 더 깔끔해졌다고 느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의 (c)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우징(300)과 헤드부(10)는 무선으로 전기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플랫 케이블(161) 또는 원형 케이블(163)을 통해 하우징(300)과 헤드부(10)가 연결될 때 보다 더 외관이 깔끔해졌다고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부(10)와 하우징(300)이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더 디스플레이 화면에 집중할 수 있으며 더 얇은 헤드부(10)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부(10)가 부착되는 피부착면(700) 내부를 관통하는 전기 배선(816)을 통해 하우징(300)과 전기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부(10)는 일 측이 전기 배선(816)과 연결될 수 있다.
전기 배선(816)은 피부착면(700)의 관통된 부분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전기 배선(816)은 일 측이 헤드부(10)와 연결되며 타 측이 원형 케이블(163)과 연결될 수 있다. 전기 배선(816)은 피부착면(700) 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부착면(700)의 내부에 삽입된 전기 배선(816)을 통해 헤드부(10)와 하우징(3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300)과 헤드부(10)가 직접 연결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관이 더 깔끔해졌다고 느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에 집중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3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PCB가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PCB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PCB는 메인 보드(109)일 수 있다. 메인 보드(109)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보드(10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부품들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하여 최적의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다른 예로, 적어도 하나의 PCB는 파워 서플라이(107)일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107)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즉, 파워 서플라이(107)는 헤드부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107)는 AC 주파수를 DC 주파수로 변경해줄 수 있다. 즉, 파워 서플라이(107)는 낮은 주파수를 높은 주파수로 변경하여 전기 효율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로, 적어도 하나의 PCB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일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입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할 수 있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소스 PCB를 제어하는 타이밍 신호(CLK, LOAD, SPi)들과, 비디오 신호(R, G, B)를 소스 PCB에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영상을 제어해줄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플랫 케이블, 원형 케이블, 및 무선 송신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인터페이스 PCB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메인 보드(109)는 하우징(300)의 중심부와 우측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파워 서플라이(107)는 우측에 위치한 메인 보드(109)와 하우징(3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우징(300)의 장축 방향(예를 들어) 으로 서로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메인 보드(109) 및 파워 서플라이(107)의 상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메인 보드(109) 및 파워 서플라이(107)의 상부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우징(300)의 내부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파워 서플라이(107) 및 메인 보드(109)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막기 위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될 위치에 티콘 쉴드가 부착될 수 있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파워 서플라이(107) 및 메인 보드(109)가 아닌 티콘 쉴드 상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파워 서플라이(107) 및 메인 보드(109)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서로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티콘 쉴드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하우징(300)의 높이 방향으로 파워 서플라이(107) 및 메인 보드(109)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파워 서플라이(107) 및 메인 보드(109)와 더 쉽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의 (b)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하우징(300) 내부에 메인 보드(109)가 하나가 실장될 수 있다. 즉, 메인 보드(109)는 하우징(300)의 일 측에 위치하며 파워 서플라이(107)는 메인 보드(109)와 하우징(300)의 장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파워 서플라이(107) 및 메인 보드(109)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300) 전체의 크기가 줄어들어 미관상 향상되었다고 느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300) 전면 양 측에 스피커(117)가 위치할 수 있다. 스피커(117)는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해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117)는 하우징(3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피커(117)는 하우징(300) 내부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PCB와 이격되어 하우징(300)의 전면부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피커(117)는 하우징(300) 외부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피커(117)가 하우징(300)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음향이 잘 전달될 수 있는 위치에 스피커(117)를 위치시킬 수 있다. 스피커(117)는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부(10)의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117)가 하우징(300)의 전면 또는 외부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을 더 잘 전달받을 수 있다.
도 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시트(35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엣지영역을 둘러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접착시트(350)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모듈 커버의 엣지영역을 결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착시트(350)는 제 1 내지 5 접착층(350a-350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접착층(350a)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변을 접착할 수 있다. 제 1 접착층(350a)은 이격된 부분 없이 하나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접착층(350a)이 위치한 부분은 접착면적이 넓어 더 강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변을 접착할 수 있다.
제 2 접착층(350b)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 측변을 접착할 수 있다. 제 2 접착층(350b)은 제 1 접착층(350a)과 제 3 접착층(350c)의 양 단을 이어줄 수 있다. 제 2 접착층(350b)은 양 측변에 위치한 가이드 패널(157)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접착층(350b)은 가이드 패널(157)의 전면에서 분리되어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57)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연결되는 전극이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에 제 2 접착층(350b)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가이드 패널(157)의 전면에 부착된 제 2 접착층(350b)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가이드 패널(157)의 후면에 부착된 제 2 접착층(350b)은 하나로 연장될 수 있다.
제 3 접착층(350c)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변을 접착할 수 있다. 제 3 접착층(350c)은 중심부분이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과 헤드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위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 4 접착층(350d)은 제 3 접착층(350c)의 상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4 접착층(350d)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로 연결되는 소스 COF가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에 제 4 접착층(350d)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 4 접착층(350d)의 상측에 이격되어 제 5 접착층(350e)이 위치할 수 있다. 제 5 접착층(350e)은 소스 PCB와 대응되는 부분의 상측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모듈 커버를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착시트(350)가 엣지영역을 둘러싸며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시트(350)가 다른부분에 위치하는 것 보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소스 PCB(172)의 상부에 인터페이스 PCB(174)가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174)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174)는 커넥터(157)를 통해 소스 PCB(172)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174)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축방향으로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인터페이스 PCB(174)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74)는 플랫 케이블(161)을 통하여 하우징에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있다. 플랫 케이블(161)은 인터페이스 PCB(174)와 하우징을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신호연결 단자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단자핀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61)은 다른 케이블에 비해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1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터페이스 PCB(174)는 소스 PCB(172)의 상측에 제 1 간격(ISD1)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 1 간격(ISD1)은 짧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PCB(174)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하부에 위치한 하우징과 인터페이스 PCB(174) 사이의 간격이 짧아질 수 있다. 즉, 플랫 케이블(161)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터페이스 PCB(174) 상에 다양한 구동 IC가 실장될 수 있다. 구동 IC는 소스 PCB와 하우징 사이에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IC는 SERDES(serializer/deserializer) IC일 수 있다. SERDES IC는 칩 내부에서 주고받는 직렬데이터/병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직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ERDES IC는 신호의 전송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터페이스 PCB(174)는 소스 PCB(172)의 상측에 제 2 간격(ISD2)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 2 간격(ISD2)은 제 1 간격(ISD1)보다 클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174)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위치한 하우징과 인터페이스 PCB(174) 사이의 간격이 짧아질 수 있다. 즉, 플랫 케이블(161)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터페이스 PCB(174)를 통해 플랫 케이블(16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PCB(174) 상에 실장된 구동 IC에 의해 더 빠르고 많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장변(LS2)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측에 위치한 제 1 모드와, 제 1 단변(SS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측에 위치한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제 1 모드는 풍경화(landscape) 모드일 수 있으며, 제 2 상태는 초상화(portrait) 모드일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2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세로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화면의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모듈 커버(200)의 중심부에는 제 1 영역(273a) 및 제 2 영역(273b)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영역(273a)은 모듈 커버(2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 2 영역(273b)은 모듈 커버(2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영역(273b)은 제 1 영역(273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2 영역(273a, 273b)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인터페이스 PCB의 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 1,2 영역(273a, 273b)과 다른부분의 경계(EOA)는 후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200)가 포밍되어 쉽게 뒤틀리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모드일 때, 인터페이스 PCB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200)의 제 1 영역(273a)에 제 1 개구부(OP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 PCB와 연결되는 플랫 케이블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장변(LS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개구부(OP1)의 하측에 제 1 케이블포밍부(226a)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케이블포밍부(226a)는 전면을 향하여 포밍된 부분일 수 있다. 제 1 케이블포밍부(226a)는 플랫 케이블이 헤드부와 피부착면 사이에 위치할 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모드일 때, 인터페이스 PCB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200)의 제 2 영역(273b)에 제 2 개구부(OP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 PCB와 연결되는 플랫 케이블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단변(SS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개구부(OP2)의 하측에 제 2 케이블포밍부(226b)가 위치할 수 있다. 제 2 케이블포밍부(226b)는 전면을 향하여 포밍된 부분일 수 있다. 제 2 케이블포밍부(226b)는 플랫 케이블이 헤드부와 피부착면 사이에 위치할 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에 따라 개구부(OP) 의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 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져 제조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헤드부와 월브라켓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부(10)가 피부착면(70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헤드부(10)는 피부착면(700)과 결합된 제 1 상태(First State)와, 피부착면(700)과 분리된 제 2 상태(Second State) 중 하나의 상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헤드부(10)는 피부착면(700) 상에 위치한 월브라켓(500)을 통해 피부착면(700)과 결합할 수 있다. 즉, 헤드부(10)는 제 1 상태일 때 월브라켓(500)과 결합하며, 제 2 상태일 때 월브라켓(500)과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월브라켓(500)은 헤드부(10)의 결합홀(271)과 대응되는 부분에 후크(187)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월브라켓(500)의 네 코너부분에 후크(187)가 위치할 수 있다. 후크(187)는 제 2 상태일 때, 모듈 커버(200)의 결합 홀(271)에 삽입될 수 있다.
모듈 커버(200)의 각 부분의 두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모듈 커버(200)는 포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20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모듈 커버(200)와 월브라켓(500)이 대응되지 않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제 1 길이(EPA)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상태에서, 월브라켓(500)은 모듈 커버(500)의 돌출된 두께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차폐될 수 있다.
모듈 커버(200)의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제 2 길이(HPA) 더 돌출될 수 있다. 제 2 길이(HPA)는 제 1 길이(EPA)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200)의 다른 부분에 결합부(166)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이 월브라켓(500)에 가까워져 더 쉽게 헤드부(10)와 월브라켓(500)이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 후면 상에 보호시트(260)가 위치할 수 있다. 보호시트(260)는 제 2 상태에서 후크(187)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보호시트(26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네 코너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보호 시트(260)는 후크(187)가 결합홀(271)에 삽입될 때, 후크(187)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접하여 크랙을 형성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월브라켓(500)의 상하방향 높이는 장축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의 높이(BD1)가 중심부의 높이(BD2)보다 클 수 있다. 이는 헤드부(10)의 인터페이스 PCB(174)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일 수 있다. 즉, 월브라켓(500)이 제 2 PCB커버(435)와 접하지 않기 위함일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의 상하방향 높이(DD)는 월브라켓(500)의 높이(BD)보다 클 수 있다. 이는 헤드부(10)의 소스 PCB(172)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일 수 있다. 즉, 월브라켓(500)이 제 1 PCB커버(431)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일 수 있다. 즉, 월브라켓(500)이 제 1 PCB커버(431)와 접하지 않기 위함일 수 있다.
월브라켓(50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브라켓(500)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월브라켓(500)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헤드부(10)의 결합부(166)와 자력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부(10)와 월브라켓(500)은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크(187)가 결합 홀(271)에 삽입되고 결합부(166)가 월브라켓(500)에 부착되어 헤드부(10)와 피부착면(700)이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부(10)와 피부착면(700)이 강하게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66)는 복수개로 분리될 수 있다. 결합부(166)는 모듈 커버(200)의 엣지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66)는 케이블포밍부(226)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166)는 케이블 포밍부(226)를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다.
결합부(166)가 복수개로 분리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제조가 편리하며,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271)은 삽입부(271IA)와 제 1,2 연장부(271FE, 271SE)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71IA)는 후크가 결합홀(271) 내로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271IA)는 후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직경이 큰 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삽입부(271IA)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제 1,2 연장부(271FE, 271SE)는 삽입부(271IA)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 1 연장부(271FE)와 제 2 연장부(271SE)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장부(271FE)가 Y축 방향으로부터 45도 왼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된다면, 제 2 연장부(271SE)는 Y축 방향으로부터 135도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2 연장부(271FE, 271SE)는 후크가 결합홀(271) 내에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 연장부(271FE, 271SE)는 후크가 고정될 수 있도록 직경이 작은 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제 1,2 연장부(271FE, 271SE)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에 쿠션(314)이 위치할 수 있다. 쿠션(314)은 결합 홀(271)의 주변영역에 크랙이 생기거나 휘지 않도록 두울 수 있다. 쿠션(314)은 탄성력이 강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271) 주변영역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의 후면은 제 1 단(FS)과 제 2 단(SS)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단(FS)과 제 2 단(SS)은 두께가 다른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FS)은 제 2 단(SS)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제 1 단(FS)은 결합홀(271)의 경계 부분일 수 있으며, 제 2 단(SS)은 제 1 단(FS)보다 결합홀(271)로부터 이격된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단(FS)과 제 2 단(SS)은 결합홀(271)을 기준으로 계단 형상일 수 있다.
쿠션(314)은 제 2 단(SS)보다 결합홀(271)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쿠션(314)은 제 3 단의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 1 단(FS), 제 2 단(SS) 및 쿠션(314)은 결합홀(271)을 기준으로 계단 형상일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에 쿠션(314)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후크(187)가 결합홀(271)에 정확히 결합하지 못했을 경우,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이 휘어지거나 크랙이 형성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쿠션(314)이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을 지지해주지 못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에 쿠션(3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187)가 결합홀(271)에 정확히 결합하지 못하거나, 후크(187)를 결합홀(271)에서 제거하면서 주변영역에 접하더라도 쿠션(314)이 주변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에 쿠션(314)이 위치하기 때문에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은 휘거나 크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쿠션(314)이 제 1 단(FS)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쿠션(314)이 제 2 단 상에 결합홀(271)로부터 이격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쿠션(314)이 제 2 단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쿠션(314)이 제 2 단에서 이격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할 때, 쿠션(314)이 더 결합홀(271)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을 충격으로부터 더 잘 지지해줄 수 있다.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쿠션(314)이 제 2 단(SS)보다 일정 간격(PD) 낮은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쿠션(314)은 제 2 단(SS) 내측에 위치한 함몰된 부분 상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쿠션(314)의 두께는 함몰된 두께만큼 더 두꺼워 질 수 있다. 쿠션(314)은 제 2 단(SS)보다 결합홀(271)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쿠션(314)은 제 3 단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쿠션(314)이 제 2 단(SS)보다 함몰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200)의 포밍 영역이 증가하여 모듈 커버(20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쿠션(314)이 함몰된 부분에 삽입되기 때문에 결합홀(271)의 주변영역을 충격으로부터 더 강하게 보호해줄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87)는 제 1 직경부(521) 및 제 2 직경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187)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 1 직경부(521)의 직경(FRD)와 제 2 직경부(523)의 직경(SRD)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직경부(521)의 직경(FRD)은 제 2 직경부(523)의 직경(SRD)보다 클 수 있다.
후크(187)는 직경이 서로 다른 제 1 직경부(521)와 제2 직경부(523)를 가지기 때문에, 모듈 커버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더 쉽게 걸릴 수 있다.
도 1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크(187)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홀(541)을 통해 월브라켓(5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187)와 월브라켓(500)은 서로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크(187)는 월브라켓(500)과 접착시트(350)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접착시트(350)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경우, 다른 방법을 사용해 결합하는 경우에 비하여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월브라켓(500)과 후크(187)의 두 가지 결합 방법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월브라켓(500)과 후크(187)는 벨크로 또는 용접에 의해서도 결합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후크(187)는 직경이 다른 두 부분을 포함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도 2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크(187)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경우, 후크(187)는 일 측에 외력을 가하면 외력을 가한 방향으로 기울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후크(187)는 바디와의 결합력이 약해질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헤드부와 결합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2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크(187)가 원기둥의 형상인 경우, 일 측에 외력을 가해도 후크(187)는 모든 방향에서 형상이 같기 때문에 변화가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외력에 의해 후크(187)의 결합력이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크(187)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 오랜시간이 지나도 헤드부와 후크(187)의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장부(271FE)에 후크(187)가 삽입되었을 때, 후크(187)는 제 1 연장부(271FE)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직경부(521)의 직경과 제 2 직경부(523)의 직경의 차이(DRD)는 제 1 단(FS)의 폭(FSD)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제 1 직경부(521)의 돌출된 부분이 제 1 단(FS)과 제 2 단(SS)의 경계에 접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직경부(521)와 제 1 단(FS)과 제 2 단(SS)의 경계가 서로 접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직경을 가진 제 1 직경부(521)가 삽입되어도 후크(187)가 자연스럽게 제 1 연장부(271FE)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제 1 연장부(271FE)에 후크가 삽입되는 것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제 2 연장부(271SE)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삽입부(271IA)에 후크(187)가 위치할 때, 후크(187)는 삽입부(271IA) 내외측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직경부(521)의 직경(FRD)은 삽입부(271IA)의 직경(IHD)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직경부(521)와 제 1 단(FS)과 제 2 단(SS)의 경계가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187)의 제 1 직경부(521)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271)에 후크(187)를 결합할 때, 우선 삽입부(271IA)에 후크(187)를 삽입할 수 있다. 삽입부(271IA)의 폭(HR1)은 제 1 직경부(521)의 직경(FRD)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187)가 결합홀(271)의 삽입부(271IA)로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후크(187)가 제 1 연장부(271FE)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연장부(271FE)의 폭(HR2)은 제 1 직경부(521)의 직경(FRD)보다 작기 때문에, 후크(187)는 이동 중에 결합홀(27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1 연장부(271FE)의 폭(HR2)은 제 2 직경부(523)의 직경(SRD)보다 크기 때문에, 제 1 연장부(271FE)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2 부분(271SA)이 후크(187)를 결합될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도면은 후크(187)가 삽입부(271IA)를 통해 제 1 연장부(271FE)로 이동하는 것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후크(187)는 삽입부(271IA)를 통해 제 2 연장부(271SE)로 이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합홀(271)의 삽입부(271IA)와 제 1,2 연장부(271FE, 271SE)의 폭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187)가 결합홀(271)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장부(271FE)는 적어도 일부가 다른 부분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장부(271FE)는 삽입부(271IA)와 접하는 부분은 제 1 연장방향(DRE1)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내측은 제 1 연장방향(DRE1)과 다른 제 2 연장방향(DRE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연장부(271FE)는 연장방향이 다른 부분도 폭이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 2 연장부(271FE)는 삽입부(271IA)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연장부(271FE) 또한 적어도 일부가 다른 부분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후크를 결합홀(271)에서 분리시킬 때, 후크의 이동방향을 변경시켜야 후크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부가 피부착면에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장방향(DRE1)이 상하방향으로부터 90도 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아래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중력에 의해 후크가 다시 제 1 연장부(271FE)의 끝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가 결합홀(271)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장방향(DRE1)이 상하방향으로부터 90도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연장방향(DRE1)이 다른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질 때보다 후크가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기 더 힘들 수 있다. 즉, 후크가 결합홀(271)과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4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브라켓(500)은 포밍부(521), 헤밍부(517), 후크(187) 및 제 1,2 홀(426, 428)을 포함할 수 있다.
포밍부(521)는 월브라켓(500)의 내측에서 월브라켓(500)의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포밍부(521)는 월브라켓(500)의 중심부에서 장축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월브라켓(500)의 양 측에서 단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포밍부(521)는 전면을 향해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포밍부(521)는 월브라켓(5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포밍부(521)는 헤드부와 월브라켓(500)의 접촉면적을 넓게 해주기 때문에, 헤드부와 월브라켓(5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헤밍부(517)는 월브라켓(500)의 엣지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헤밍부(517)는 월브라켓(500)의 외측으로 밴딩되는 형상일 수 있다. 헤밍부(517)는 월브라켓(5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포밍부(521) 및 헤밍부(517)는 플랫 케이블이 지나가는 케이블영역(543)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케이블영역(543)을 기준으로 포밍부(521)와 헤밍부(517)가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케이블영역(543)은 월브라켓(500)의 일 측의 중심부에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부와 월브라켓(500)이 결합했을 때, 플랫 케이블이 위치할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 1 홀(426)은 월브라켓(500)을 피부착면에 결합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를 사용하여 제 1 홀(426)을 통해 월브라켓(500)을 피부착면에 결합할 수 있다. 제 1 홀(426)은 월브라켓(500)의 헤밍부(517)와 인접한 부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 1 홀(426)은 플랫케이블이 지나가는 부분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홀(426)은 플랫케이블 이 이동하는 부분에서 월브라켓(500)이 피부착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도울 수 있다.
제 2 홀(428)은 월브라켓(500)의 중심부에서 포밍부(5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홀(428)은 보조홀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제 1 홀(426)을 사용하여도 월브라켓(500)과 피부착면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았을 때, 제 2 홀(428)을 이용하여 월브라켓(500)과 피부착면을 밀착시킬 수 있다.
제 2 홀(428)은 장축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유롭게 위치를 정하여 제 2 홀(428)에 스크류를 삽입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밍부(517)는 월브라켓(500)의 다른 부분보다 일정간격(HMD)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헤밍부(517)는 일 단이 월브라켓(500)의 내측을 향해 밴딩될 수 있다. 즉, 헤밍부(517)는 일 단이 피부착면 방향으로 접힐 수 있음을 의미한다.
헤밍부(517)는 월브라켓(500)의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월브라켓(5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헤밍부(517)는 일 단이 밴딩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깔끔하게 보일 수 있으며, 월브라켓(500)의 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제 1 장변(LS1)이 상변을 구성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PCB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월브라켓(500)의 양 측 돌출된 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PCB 및 플랫 케이블이 헤드부(10)와 피부착면 사이에 위치할 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하우징(300)은 헤드부(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피부착면(700)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300)을 조작 및 설치하기 편리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제 2 장변(LS2)이 상변을 구성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PCB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월브라켓(500)의 양 측 돌출된 부분이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헤드부(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피부착면(700)의 천장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하우징(300)이 쉽게 눈에 띄지 않아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제 2 단변(SS2)이 상변을 구성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PCB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월브라켓(500)의 양 측 돌출된 부분이 우측방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월브라켓(500)의 케이블영역(543)으로 플랫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다.
하우징(300)은 헤드부(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피부착면(700)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300)을 조작 및 설치하기 편리할 수 있다.
헤드부(10)는 제 1,2 단변(SS1, SS2)이 가로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측으로 연장된 화면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제 1 단변(SS1)이 상변을 구성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PCB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월브라켓(500)의 양 측 돌출된 부분이 좌측방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월브라켓(500)의 케이블영역(543)으로 플랫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다.
하우징(300)은 헤드부(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피부착면(700)의 천장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하우징(300)이 쉽게 눈에 띄지 않아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
헤드부(10)는 제 1,2 단변(SS1, SS2)이 가로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측으로 연장된 화면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도 30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장변(LS2)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연장부(271FE)가 삽입부(271I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271IA)를 통해 후크(187)가 삽입된 후, 제 1 연장부(271FE)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1 케이블포밍부(226a)가 하측을 향할 때, 후크(187)는 삽입부(271IA)를 거쳐 제 1 연장부(271FE)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3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단변(SS1)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연장부(271FE)가 삽입부(271I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271IA)를 통해 후크(187)가 삽입된 후, 제 1 연장부(271FE)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2 케이블포밍부(226b)가 하측을 향할 때, 후크(187)는 삽입부(271IA)를 거쳐 제 1 연장부(271FE)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개구부(OP)가 형성된 부분과 연결된 케이블포밍부(226)가 하측으로 향할 때, 후크(187)는 제 1연장부(271FE)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2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장변(LS1)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연장부(271SE)가 삽입부(271I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271IA)를 통해 후크(187)가 삽입된 후, 제 2 연장부(271SE)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1 케이블포밍부(226a)가 상측을 향할 때, 후크(187)는 삽입부(271IA)를 거쳐 제 2 연장부(271SE)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3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단변(SS1)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연장부(271SE)가 삽입부(271I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271IA)를 통해 후크(187)가 삽입된 후, 제 2 연장부(271SE)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2 케이블포밍부(226b)가 상측을 향할 때, 후크(187)는 삽입부(271IA)를 거쳐 제 2 연장부(271SE)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개구부(OP)가 형성된 부분과 연결된 케이블포밍부(226)가 상측으로 향할 때, 후크(187)는 제 2연장부(271SE)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구부(OP)가 형성된 부분과 연결된 케이블포밍부(226)가 하측으로 향하면 후크(187)가 제 1 연장부(271FE)로 이동하며, 개구부(OP)가 형성된 부분과 연결된 케이블포밍부(226)가 상측으로 향하면 후크(187)가 제 2 연장부(271SE)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합홀(271)이 제 1 연장부(271FE)뿐만 아니라 제 1 연장부(271FE)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연장부(271SE)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어떠한 방향으로 위치하여도 피부착면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66)은 커넥팅부(362), 고정부(372) 및 케이블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부(362)는 플렛 케이블(166)과 인터페이스 PCB(174)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커넥팅부(362)는 케이블이 복수개로 분리되어 서로 이격된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부(362)는 커넥팅부(362)의 복수로 분리된 케이블이 하나로 모이는 부분일 수 있다. 케이블부(362)는 커넥팅부(362)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부(362)는 하나의 선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미관상 깔끔하며 정리하기도 편리할 수 있다.
고정부(372)는 케이블부(362)와 커넥팅부(362)가 연결되는 부분의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양측에 위치한 각각의 고정부(372)는 고정홀(37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375)을 이용하여 플랫 케이블(166)이 헤드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72)는 플랫 케이블(166)이 헤드부(10)의 케이블포밍부(226)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해주는 부분일 수 있다. 플랫 케이블(166)이 고정되지 않는다면, 소스 PCB(172)에 접하여 서로 간섭을 일으키거나 오작동을 일으킬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PCB커버(435)는 고정돌기(441) 및 커버홀(438)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홀(438)은 제 2 PCB 커버(435)와 모듈 커버(200)를 결합하는 부분일 수 있다. 커버홀(438)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고정돌기(441)는 고정홀(도 29의 375)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돌기(441)는 제 2 PCB 커버(435)의 일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기(441)는 제 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기(441)가 고정홀(도 29의 375)에 결합되면 플랫 케이블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 2 PCB 커버(435)는 고정돌기(441)가 위치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는 플랫 케이블이 인터페이스 PCB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PCB 커버(435)에 고정돌기(441)가 위치하여 플랫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 케이블의 정리가 편리해지며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상하방향 높이(DD)는 월브라켓(500)의 높이(BD)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부(10)가 월 브라켓(500)을 전면에서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에서 월브라켓(500)이 보이지 않아 정확히 후크와 결합홀을 대응시키기 힘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10)가 일 측으로 일정각도(DPA) 기울어져도 월브라켓(500)이 보이지 않아 적어도 일부의 후크가 결합홀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헤드부(10)의 설치가 힘들며, 월브라켓(500)으로부터 분리되어 파손될 위험이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월브라켓(500)의 상부 양 코너에 가이드시트(573)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시트(573)는 피부착면에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시트(573)는 수직으로 굽어있는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시트(573)는 월브라켓(500) 상변과 측변의 일부와 접할 수 있다.
가이드시트(573)는 월브라켓(500)과 이격되어 패널가이드라인(PGL)이 형성될 수 있다. 패널가이드라인(PGL)은 가이드시트(573) 상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패널가이드라인(PGL)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헤드부(10)의 꼭지점이 위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패널가이드라인(PGL)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패널가이드라인(PGL)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헤드부(10)의 상변을 패널가이드라인(PGL)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 맞추고, 헤드부(10)의 양 측변을 패널가이드라인(PGL)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 맞출 수 있다. 이 경우, 헤드부(10)의 결합홀이 월브라켓(500)의 후크와 대응되어 쉽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헤드부(10A-10F)가 피부착면(700)에 부착될 수 있다. 각각의 인접한 헤드부(10A-10F)는 측면이 서로 접할 수 있다. 복수개의 헤드부(10A-10F)는 각각의 월브라켓(500A-500F)을 이용하여 피부착면(7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월브라켓(500A-500F)은 헤드부(10)보다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폭이 모두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월브라켓(500A-500F)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BGD1) 이격되며, 수직방향 또한 일정간격(BGD2) 이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헤드부(10A-10F)가 가로로 3열 세로로 2열이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헤드부(10A-10F)의 개수 및 배열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헤드부(10A-10F)에 하나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영상이 분할되어 복수개의 헤드부(10A-10F)에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우징 내의 적어도 하나의 PCB에서 설정된 화면 분할 방식에 따라 영상신호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분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 후에, 각 분할 영상을 각각의 대응되는 헤드부(10A-10F)로 전송하여 화면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헤드부(10A-10F)에 하나의 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매우 큰 영상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부(10)가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주영역의 비표시영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영역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영역은 액티브영역(active area), 비표시영역은 인액티브영역(inactive area)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은 표시전극 및/또는 터치전극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 및/또는 단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헤드부(10)는 인접하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헤드부(10)와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헤드부(10)의 비표시영역과 인접하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헤드부(10)의 비표시영역(BM)이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헤드부(10)와 적어도 다른 하나의 헤드부(10)가 나란히 배치되는 것보다 비표시영역(BM)이 작게 보일 수 있다. 즉, 외부에서 봤을 때, 비표시영역(BM)의 폭이 줄어든 것과 같이 보일 수 있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동을 위한 소스 PCB 등이 위치하는 변의 비표시영역은 다른 변의 비표시영역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1 헤드부(10A)의 제 2 장변(LS2)에 형성된 제 1 비표시영역(BM1)의 폭(BMD1)이 제 4 헤드부(10D)의 제 1 장변(LS1)에 형성된 제 2 비표시영역(BM2)의 폭(BMD2)보다 클 수 있다.
제 1 헤드부(10A)와 제 4 헤드부(10D)가 결합되었을 때, 중첩영역(OA) 중 외부에서 제 4 헤드부(10D)의 제 2 비표시영역(BM2)만 관측될 수 있다. 즉, 제 1 헤드부(10A)의 제 1 비표시영역(BM1)은 제 4 헤드부(10D)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제 2 비표시영역(BM2)의 폭(BMD2)은 제 1 헤드부(10A)와 제 4 헤드부(10D)의 중첩영역(OA)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봤을 때, 비표시영역의 폭이 더 줄어든 것과 같이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부가 인접한 헤드부와 비표시영역이 중첩되어 비표시영역의 폭이 줄어든 것과 같이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관이 깔끔하다고 느낄 수 있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헤드부(10A-10F)가 하나의 하우징(300)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하나의 헤드부(10E)가 하우징(300)으로부터 플랫 케이블(161)을 통해 직접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다른 헤드부들은 하나의 헤드부(10E)로부터 직접 전달 받거나, 하나의 헤드부(10E)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다른 헤드부(10E)를 통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서 바라봤을 때, 각각의 헤드부(10A-10F)들은 플랫 케이블(161)로 연결되어 있어 하우징(300)으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화면에 송출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형성된 모듈 커버; 및
    상기 모듈 커버 전면에 위치한 상기 결합홀의 주변영역을 덮는 쿠션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홀의 주변영역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은 상기 복수의 층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후면 중심부에 위치한 서로 이격된 제 1,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개구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제 1,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모듈 커버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케이블포밍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변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측에 위치한 제 1 모드와,
    단변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측에 위치한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있으며,
    상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풍경화(landscape) 모드이며,
    상기 제 2 모드는 초상화(portrait)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상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제 1,2 영역과 다른부분의 경계가 상기 모듈 커버의 후면방향으로 돌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모듈 커버의 네 코너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의 상기 주변영역은,
    상기 다른 부분보다 상기 모듈 커버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은,
    상기 결합홀을 감싸는 제 1 단; 및
    상기 결합홀로부터 상기 제 1 단보다 더 이격되어 위치한 제 2 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은 상기 제 1 단보다 두꺼운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제 2 단 상에 상기 결합홀로부터 상기 제 2 단보다 더 이격되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제 2 단 상에 상기 결합홀로부터 상기 제 2 단과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은,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 상에 상기 쿠션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상에 위치하는 소스 PCB;
    상기 소스 PCB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소스 COF;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모듈 커버 사이에 위치한 접착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소스 COF와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위치하는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장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를 피부착면에 부착하기 위한 월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홀이형성된 모듈 커버; 및
    상기 모듈 커버 전면에 위치한 상기 결합홀의 주변영역을 덮는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월브라켓은,
    상기 헤드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홀의 주변영역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은 상기 복수의 층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월브라켓은,
    엣지영역에 일단이 상기 피부착면 방향으로 밴딩되는 헤밍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월브라켓은,
    상기 월브라켓의 일 측 중심부에 장축 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헤밍부가 분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월브라켓의 상부 양 코너에 위치하는 가이드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시트는,
    상기 월브라켓과 이격되어 상기 헤드부의 꼭지점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패널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은,
    상기 결합홀을 감싸는 제 1 단; 및
    상기 결합홀로부터 상기 제 1 단보다 더 이격되어 위치한 제 2 단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제 1단과 상기 제 2 단의 경계에서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72259A 2016-06-10 2016-06-1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15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259A KR102515715B1 (ko) 2016-06-10 2016-06-10 디스플레이 장치
US15/489,464 US10356917B2 (en) 2016-06-10 2017-04-17 Display device
EP17000984.9A EP3255624B1 (en) 2016-06-10 2017-06-09 Display device
CN201710431306.6A CN107492562B (zh) 2016-06-10 2017-06-09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259A KR102515715B1 (ko) 2016-06-10 2016-06-1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829A true KR20170139829A (ko) 2017-12-20
KR102515715B1 KR102515715B1 (ko) 2023-03-30

Family

ID=5915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259A KR102515715B1 (ko) 2016-06-10 2016-06-1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56917B2 (ko)
EP (1) EP3255624B1 (ko)
KR (1) KR102515715B1 (ko)
CN (1) CN10749256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076A (ko) * 2019-10-29 2021-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8340A (ko) * 2020-01-06 2021-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611B1 (ko) * 2016-08-25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066499A (ko) * 2018-11-30 2020-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64651B (zh) * 2019-10-25 2022-05-1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1572A1 (en) * 2002-02-25 2005-07-28 Scott Rawlings Stand for supporting a display in multiple orientations and a display used in combination with said stand
US20140281559A1 (en) * 2013-03-15 2014-09-18 Marc Trachtenberg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Displaying, Viewing, and Controlling Digital Art and Imaging
US9234652B2 (en) * 2012-04-23 2016-01-12 Shenzhen Chip Optech Co. Ltd. LED display module with quick mounting-dismounting structure
US20160118370A1 (en) * 2014-10-27 2016-04-28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3276A (en) * 1993-09-01 1994-11-08 Ncr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aining and supporting electronic components
US5687939A (en) 1996-04-26 1997-11-18 Moscovitch; Jerry Dual display system
US7468889B2 (en) * 2006-05-04 2008-12-23 Adlink Technology Inc. Thermal module fastener for server blade
US7733667B2 (en) * 2006-11-16 2010-06-08 Harris Stratex Networks Operating Corporation Microphonics suppression in high-speed communications systems
KR100893615B1 (ko) * 2006-11-20 2009-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3191B1 (ko) * 2006-11-27 2008-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077450A (ja) * 2011-02-07 2014-05-01 Panasonic Corp 固定システム
JP2012173706A (ja) * 2011-02-24 2012-09-10 Japan Display East Co Ltd 表示装置
US9070313B2 (en) * 2011-09-23 2015-06-30 Apple Inc. High strength cosmetic logo construction
KR102076615B1 (ko) 2013-07-3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KR102201943B1 (ko) * 2013-09-23 2021-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5087462A1 (ja) * 2013-12-09 2015-06-18 株式会社Joled 有機el表示装置、支持台、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6103688A (zh) 2014-03-10 2016-11-09 株式会社斯库林集团 摄像装置、摄像系统以及培养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1572A1 (en) * 2002-02-25 2005-07-28 Scott Rawlings Stand for supporting a display in multiple orientations and a display used in combination with said stand
US9234652B2 (en) * 2012-04-23 2016-01-12 Shenzhen Chip Optech Co. Ltd. LED display module with quick mounting-dismounting structure
US20140281559A1 (en) * 2013-03-15 2014-09-18 Marc Trachtenberg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Displaying, Viewing, and Controlling Digital Art and Imaging
US20160118370A1 (en) * 2014-10-27 2016-04-28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076A (ko) * 2019-10-29 2021-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8340A (ko) * 2020-01-06 2021-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41214A1 (ko) * 2020-01-06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5624B1 (en) 2021-06-02
US10356917B2 (en) 2019-07-16
CN107492562A (zh) 2017-12-19
KR102515715B1 (ko) 2023-03-30
US20170359909A1 (en) 2017-12-14
EP3255624A1 (en) 2017-12-13
CN107492562B (zh)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61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157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4981B1 (ko) 스피커모듈,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180097304A1 (en) Display device
CN106612594B (zh) 显示装置
KR201700695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247186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US9877403B2 (en) Display device
US9693126B1 (en) 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peaker assembly
EP3125026A1 (en) Display device
EP3125027A1 (en) Display device
US10244643B1 (en) Display device
KR201700629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47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24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29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03457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247187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KR2018009266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235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189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620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428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