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10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10A
KR20210000110A KR1020190074975A KR20190074975A KR20210000110A KR 20210000110 A KR20210000110 A KR 20210000110A KR 1020190074975 A KR1020190074975 A KR 1020190074975A KR 20190074975 A KR20190074975 A KR 20190074975A KR 20210000110 A KR20210000110 A KR 20210000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lay panel
top plate
display devic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우
윤형권
사공정열
김문환
노창완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110A/ko
Priority to PCT/KR2019/008358 priority patent/WO2020262750A1/ko
Priority to US17/595,498 priority patent/US11650623B2/en
Priority to EP19934560.4A priority patent/EP3989039A4/en
Publication of KR2021000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터 가이드가 구비된 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탠드;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기 서포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바텀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바텀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부재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 또는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을 스탠드 내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부품에 의해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는 방열 수단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피커에서 제공된 음향의 경로를 전환할 수 있는 사운드 리플렉터를 구비하여, 양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하부에 고정되고,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바텀 수납부; 및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측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박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박스의 양측 단의 외측에 고정되는 슬라이더; 상기 바텀 수납부의 양측 단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탠드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바텀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수납부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텀 수납부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하방에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바텀 바디; 일 측면에서, 상기 바텀 바디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사이드 바디; 타 측면에서, 상기 바텀 바디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사이드 바디; 및 전면에서, 상기 바텀 바디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 사이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바디는, “ㄷ” 형태로 성형되어 내측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수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는,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바디는, 상기 제1 볼록부가 삽입되는 제2 오목부, 상기 제1 오목부에 삽입되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텀 수납부 내에 구비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이드 바디는, “ㄷ”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탑 플레이트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탑 수납부; 및 상기 탑 수납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하여 개방하는 탑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탑 수납부와 연통되는 사이드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수납부는, 상기 사이드 수납부와 연통되며, 상기 바디는, 상기 바텀 수납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기 설정된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하는 전자 부품;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백 커버; 상기 바디 내에 수용되는 부품; 및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탑홀을 관통하여, 상기 탑 수납부, 상기 사이드 수납부, 상기 바텀 수납부, 및 상기 바디에 수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박스 내에 구비된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는, 일측에서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유입 슬릿들을 갖는 공기 유입부; 및 타측에서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배출 슬릿들을 갖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공기 배출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팬은, 제1 토출 방향을 갖는 제1 팬; 및 상기 제1 팬 보다 상기 공기 배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토출 방향을 갖는 제2 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토출 방향과 상기 제2 토출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토출 방향은, 상기 배출 슬릿을 지향하고, 상기 제1 토출 방향은, 제2 토출 방향으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틸트된 방향을 지향하며, 상기 기 설정된 각도는, 예각 또는 직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며, 케이스 부재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함으로써, 변형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 또는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을 스탠드 내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부품에 의해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는 방열 수단을 가짐으로써, 열에 의한 부품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피커에서 제공된 음향의 경로를 전환할 수 있는 사운드 리플렉터를 구비함으로써, 양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과 케이스 부재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과 케이블의 연결 관계 및 케이블과 케이스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에 구비된 케이블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리플렉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이하 'OLED panel') 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 표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과 케이스 부재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opposite)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수평축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제1 수평축(horizontal axis)이라 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은, 수직축(vertical axis)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은, 수직축이라 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수평축과 나란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제2 수평축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화상(image)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전후 방향(back-and-forth direction)일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측면(lateral side)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상면, 하면, 우면, 좌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in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유기 표시 패널(OLED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스스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자석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물질 또는 상자성체(paramagnetic)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방출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높은 연전도도(heat conductivity)를 가질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플레이트(200)는 알루미늄(aluminum)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이너 플레이트(2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내부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이너 플레이트(2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프레임(300)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프레임(300)은, 이너 플레이트(2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0)은, 유리 섬유(glass fiber), 탄소 섬유(carbon fiber), 금속 와이어(metallic wire), 그리고 금속 섬유(metallic fi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미세 섬유(micro fiber)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케비닛(3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엣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미들 케비닛(3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도록 중심이 관통된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들 캐비닛(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엣지 가장자리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미들 캐비닛(400)의 후면에 안착되어 미들 케비닛(350)에 고정될 수 있다.
미들 케비닛(35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소정의 강도와 더불어 방열성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강성 바(380)는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강성 바(380)는 프레임(300)의 후면에 접할 수 있다. 강성 바(380)는 프레임(300)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강성 바(380)는, 다 방향으로 분기되어, 프레임(300) 등의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강성 바(380)는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강성 바(38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바디(381)와, 제1 바디(381)로부터 수직인 방향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바디(3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381)와 제2 바디(383)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바디(383)는 제1 바디(381)로부터 분기된 일부일 수 있다. 또는, 제1 바디(381)와 제2 바디(383)는 별개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웃하는 제2 바디(282)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이웃하는 제2 바디(282) 사이에는 전자 부품들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디(381)와 제2 바디(383) 모두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PCB 플레이트(400)는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PCB 플레이트(400)는 프레임(3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PCB 플레이트(400)는 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다. PCB 플레이트(400)는 복수 개로 분할되어, 이웃하는 제2 바디(383)들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은,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는, 전원 분배기(410), 스피커(420), 타이밍 콘트롤러 보드 (430), 메인 보드(440) 등이 안착될 수 있다. 전자 부품들 사이에는 강성 바(380) 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한 프레임(300)의 변형에 의해 전자 부품들이 손상되는 불량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PCB 플레이트(400)의 재질은, 프레임(300)의 재질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PCB 플레이트(40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 플레이트(400)는 가압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00)와 PCB 플레이트(400)는, 사이에 개재된 접착 부재 등을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백 커버(500)는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500)는 PCB 플레이트(4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500)는 PCB 플레이트(400) 상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을 커버하도록 위치하여, 이를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500)는 프레임(300)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스크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백 커버(500)는 외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루브(5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501)는 백 커버(500)의 두께가 관통되어 마련된 하나 이상의 오픈홀(50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501)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501, 1503, 도 17)의 일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1500, 도 17)를 수용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오픈홀(505)은 백 커버(500)의 외측에 배치된 전자 부품과 내측에 배치된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들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케이블(1501, 1503, 도 17)은 PCB 플레이트(400) 상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에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 및/또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커넥터(1500)는 케이블(1501, 도 17)과 PCB 플레이트(400) 상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보조 커버(550)는 백 커버(5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 커버(550)는 그루브(510) 상에 위치하는 부품들을 커버하도록 위치하여, 이를 보호할 수 있다. 보조 커버(550)는 백 커버(500)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보조 커버(550)와 백 커버(500)는 그로멧(grommet)을 이용한 체결 방식을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과 케이블의 연결 관계 및 케이블과 케이스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멤버층(member layer, 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멤버층(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장변(LS2)에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멤버층(117)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멤버층(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멤버층(117)은, COF(Chip On Film), COG(Chip On Glass),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그리고 TCP(Tape Carrier Packa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PCB(172)는 멤버층(117)에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스 PCB(172)는 멤버층(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17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190)은 소스 PCB(172)에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블(190)은 소스 PCB(1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9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190)에 제공되는 전력 또는/및 신호는, 소스 PCB(172)에 전달될 수 있다. 소스 PCB(172)에 제공된 전력 또는/및 신호는, 멤버층(117)에 분배될 수 있다. 멤버층(117)에 분배된 전력 또는/및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멤버층(117)은 가요성(flexible)일 수 있다. 멤버층(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으로 굽혀질 수 있다. 멤버층(117)에 연결된 소스 PCB(17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172)에 연결된 케이블(19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케이블(190)은 프레임(30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190)은 이너 플레이트(200)의 하부를 지나, 프레임(300)에 형성된 슬롯(310)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190)의 일단은 슬롯(310)을 통과하여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한 전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190)이 이너 플레이트(200)의 하부의 여유 공간을 통해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이너 플레이트(200)의 별도 가공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방에 위치하는 스탠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600)는, 이너 플레이트(200), 프레임(300), 미들 케비닛(350), 백 커버(500), 보조 커버(550)과 같은 케이스 부재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600)는 탑 플레이트(610), 바텀 플레이트(630), 제1 사이드 플레이트(650),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600)는 바텀 플레이트(630), 제1 사이드 플레이트(650),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의 결합 구조에 의해, 전방 및 후방을 향하여 관통된 케이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탑 플레이트(610)는 스탠드(600)의 상면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6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들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수단은, 서포터 가이드(611), 서포터 헤드(612)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 가이드(611)는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1611)에 고정될 수 있다. 서포터 헤드(612)는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1612)에 고정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630)는 스탠드(600)의 하면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630)는 탑 플레이트(610)의 하방에서 탑 플레이트(610)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탑 플레이트(6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650)는 스탠드(600)의 우면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650)는 탑 플레이트(610)와 바텀 플레이트(630)의 우측에서, 탑 플레이트(610)와 바텀 플레이트(63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사이드 플레이트(650)는 탑 플레이트(610)의 우측 변과 바텀 플레이트(630)의 우측 변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는 스탠드(600)의 좌면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는 탑 플레이트(610)와 바텀 플레이트(630)의 좌측에서, 탑 플레이트(610)와 바텀 플레이트(63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는 탑 플레이트(610)의 좌측 변과 바텀 플레이트(630)의 좌측 변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는 제1 사이드 플레이트(650)와 대향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650)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통해 탑 플레이트(6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플레이트(650, 670)와 탑 플레이트(610) 사이에 앵글 브라켓(680)이 개재될 수 있고, 사이드 플레이트(650, 670)와 앵글 브라켓(680) 및 탑 플레이트(610)와 앵글 브라켓(680)이 스크류를 통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610)의 상면에서 스크류가 노출되지 않도록, 스크류는 탑 플레이트(610)의 하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650)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통해 바텀 플레이트(630)에 고정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610)는 서포터 가이드(611)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 가이드(611)는 탑 플레이트(610)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포터 가이드(611)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서포터 가이드(611)들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 가이드(611)들이 복수 개로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개소에서 케이스 부재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흔들림 및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구속 및 제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1611)는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1611)의 개수는 서포터 가이드(611) 수와 대응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1611)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1611)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강성 바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3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가이드 플레이트(1611)는 강성 바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1611)는 서포터 가이드(6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611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611a)은 서포터 가이드(61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1611a)은 상방을 향하여 관통될 수 있다. 가이드홈(1611a)에 삽입된 서포터 가이드(611)의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제한될 수 있다. 가이드홈(1611a)에 삽입된 서포터 가이드(611)의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서포터 헤드(6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 헤드(612)는 탑 플레이트(610)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터 헤드(612)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서포터 헤드(612)들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 헤드(612)들은 서포터 가이드(611)와 좌우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 헤드(612)는 제1 중공부(6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공부(612a)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서포터 헤드(612)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제1 중공부(612a)의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플레이트(1612)는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플레이트(1612)의 개수는 서포터 헤드(612)의 수와 대응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플레이트(1612)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1612)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강성 바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3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가이드 플레이트(1612)는 강성 바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플레이트(1612)는 제2 중공부(16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공부(1612a)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2 가이드 플레이트(1612)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제2 중공부(1612a)의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 헤드(612)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1612)는 스크류(1613)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1613)는 제1 중공부(612a)와 제2 중공부(1612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300)과 스탠드(600)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서포터 헤드(612)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1612)의 결합 구조를 복수의 개소에 분산하여 구비함으로써, 탑 플레이트(610)의 전면에서, 프레임(300)과 탑 플레이트(610) 간 소정의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케이스 부재의 하중에 의해 탑 플레이트(610)의 중앙부가 처짐에 따라, 프레임(300)과 탑 플레이트(610) 간의 이격 간격이 위치에 따라 상이해지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스탠드(600)는 바텀 수납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수납부(700)는 바텀 플레이트(6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 수납부(700)는 바텀 바디(711), 제1 사이드 바디(712), 제2 사이드 바디(713), 제3 사이드 바디(7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수납부(700)는, 바텀 바디(711), 제1 사이드 바디(712), 제2 사이드 바디(713), 제3 사이드 바디(714)의 결합 구조에 의해,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바텀 바디(711)는 바텀 수납부(700)의 하면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바텀 바디(711)는 바텀 플레이트(630)의 하방에서 바텀 플레이트(630)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바텀 플레이트(63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바디(712)는 바텀 수납부(700)의 우면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바디(712)는 바텀 바디(711)와 바텀 플레이트(630)의 우측에서, 바텀 바디(711)와 바텀 플레이트(63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사이드 바디(712)는 바텀 바디(711)의 우측 변과 바텀 플레이트(630)의 우측 변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바디(713)는 바텀 수납부(700)의 좌면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바디(713)는 바텀 바디(711)와 바텀 플레이트(630)의 좌측에서, 바텀 바디(711)와 바텀 플레이트(63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사이드 바디(712)는 바텀 바디(711)의 좌측 변과 바텀 플레이트(630)의 좌측 변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바디(713)는 제1 사이드 바디(712)와 대향할 수 있다.
제3 사이드 바디(714)는 바텀 수납부(700)의 전면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제3 사이드 바디(714)는 전면에서 바텀 바디(711), 바텀 플레이트(630), 제1 사이드 바디(712)와 제2 사이드 바디(713)를 연결할 수 있다.
바텀 수납부(700)의 수용 공간에는, 소정의 수납 공간이 마련된 박스(800)가 삽입될 수 있다. 박스(800)는 바텀 수납부(700)의 수용 공간에 전방 및 후방을 따라 인입 및 배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박스(800)의 수납 공간은,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부품은,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배치된 전자 부품에, 전원 및/또는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은,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배치된 전원 분배기(410)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82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박스(800) 내에 배치된 전자 부품과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배치된 전자 부품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1501, 도 17)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부품은, 박스(800) 내 환경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 부품은 하나 이상의 팬(880)(fan)을 포함할 수 있다.
박스(800)는 바텀 수납부(700)의 수용 공간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가이드 레일(721, 723), 및 가이드 레일(721, 723)에 체결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851, 85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21, 723)은 슬라이더(851, 853)가 전방 및 후방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21, 723)은 바텀 수납부(700)의 내측에서, 좌우 방향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721, 723)은 제1 가이드 레일(721) 및 제2 가이드 레일(7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721)은 제1 사이드 바디(71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723)은 제2 사이드 바디(713)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바디(712)는 제1 가이드 레일(72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바디(713)는 제2 가이드 레일(723)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 공간은 바텀 수탑부의 내측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이드 바디(712) 및 제2 사이드 바디(713)는 “ㄷ”자 형태로 성형되어, 내측에 제1 가이드 레일(721) 및 제2 가이드 레일(723)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바디(712)와 제1 가이드 레일(721)은 볼록부와 오목부의 결합 구조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바디(712)와 제1 가이드 레일(721)은 다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제1 결합 구조 및 제2 결합 구조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구조는, 제1 가이드 레일(721)에 형성되며 제1 사이드 바디(712)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볼록부(1712a)와, 제1 사이드 바디(712)에 형성되며 제1 볼록부(1712a)가 삽입되는 제1 오목부(1712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볼록부(1712a)가 돌출되는 방향은, 좌우 방향일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결합 구조는, 제1 사이드 바디(712)에 형성되며 제1 가이드 레일(721)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볼록부(1712a)와, 제1 가이드 레일(721)에 형성되며 제1 볼록부(1712a)가 삽입되는 제1 오목부(1712b)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구조는, 제1 사이드 바디(712)에 형성되며 제1 가이드 레일(721)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볼록부(1712c)와, 제1 가이드 레일(721)에 형성되며 제2 볼록부(1712c)가 삽입되는 제2 오목부(1712d)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결합 구조는, 제1 가이드 레일(721)에 형성되며 제1 사이드 바디(712)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볼록부(1712c)와, 제1 사이드 바디(712)에 형성되며 제2 볼록부(1712c)가 삽입되는 제1 오목부(1712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볼록부(1712c)가 돌출되는 방향은, 제1 볼록부(1712a)가 돌출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일 수 있다.
제2 사이드 바디(713)와 제2 가이드 레일(723)의 결합 구조는, 제1 사이드 바디(712)와 제1 가이드 레일(721)의 결합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슬라이더(851, 853)는 박스(800)의 외측에서, 좌우 방향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851, 853)는 제1 슬라이더(851) 및 제3 슬라이더(8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851)는 제1 가이드 레일(721)에 대향하도록 박스(800)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851)는 제1 가이드 레일(7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3 슬라이더(853)는 제2 가이드 레일(723)에 대향하도록 박스(800)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슬라이더(853)는 제2 가이드 레일(7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박스(800)는 바텀 수납부(700) 내에 삽입된 후, 바텀 수납부(70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박스(800)는 후면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8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커버(803)는 박스(8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리어 커버(803)는 박스(800)의 후면을 커버하며, 좌우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바텀 수납부(70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리어 커버(803)의 연장된 일부와 바텀 수납부(700)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제3 사이드 바디(714)에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7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부재(750)는 제3 사이드 바디(714)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사이드 바디(714)는 지지 부재(75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 공간은 바텀 수탑부의 내측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이드 바디(714)는 “ㄷ”자 형태로 성형되어, 내측에 지지 부재(750)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부재(750)는 제1 가이드 레일(721) 및 제2 가이드 레일(723)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사이드 바디(714)와 지지 부재(750)는 볼록부와 오목부의 결합 구조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제3 사이드 바디(714)와 지지 부재(750)는, 다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제1 결합 구조 및 제2 결합 구조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 구조는 제1 사이드 바디(712)와 제1 가이드 레일(721) 간의 제1 결합 구조와 동일할 수 있고, 제2 결합 구조는 제2 사이드 바디(713)와 제2 가이드 레일(723) 간의 제2 결합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610)는 완충 부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620)는 탑 플레이트(610)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완충 부재(620)는 케이스 부재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완충 부재(620)는 프레임(300)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620)는 고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완충 부재(620)는 하나의 몸체로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완충 부재(620)는 복수 개의 몸체로 분할되어 복수의 개소에 배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완충 부재(620)들은 좌우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620)는 탑 플레이트(6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 플레이트(610) 상면에는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 돌기(615)가 마련될 수 있고, 완충 부재(620)는 걸림 돌기(615)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걸림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탑 플레이트(610)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걸림홈(625)이 마련될 수 있고, 완충 부재(620)는 걸림홈(62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완충 부재(620)는 탑 플레이트(610)와 케이스 부재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공간을 메움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케이스 부재의 하중에 의해 탑 플레이트(610)의 중앙부의 처짐에 의해, 프레임(300)과 탑 플레이트(610)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에 구비된 케이블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스탠드(600)는 케이블 수납부(1000-1, 1000-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수납부(1000-1, 1000-2)는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배치된 전자 부품에 전원 및/또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1051, 1503)들을 수용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610)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하나 이상의 탑 수납부(610a)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수납부(610a)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610)는 상방을 향하여 개방된 하나 이상의 탑홀(613)을 포함할 수 있다. 탑홀(613)은 탑 수납부(610a)를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또는 케이스 부재를 향하여 개방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650)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제1 사이드 수납부(65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수납부(650a)는 탑 수납부(610a)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제1 사이드 수납부(650a)와 탑 수납부(610a)는 연결되어 하나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수납부(650a)는 바텀 수납부(700)를 향하여 개방된 제1 사이드홀(651)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수납부(700)는 제1 사이드홀(651)을 향하여 개방된 바텀홀(712a)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홀(712a)은 제1 사이드 바디(71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텀 수납부(700)에 삽입된 박스(800)는, 제1 사이드홀(651)을 향하여 개방된 박스홀(80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제2 사이드 수납부(67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수납부(670a)는 탑 수납부(610a)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제2 사이드 수납부(670a)와 탑 수납부(610a)는 연결되어 하나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수납부(670a)와 연통되는 탑 수납부(610a)는, 제1 사이드 수납부(650a)와 연통되는 탑 수납부(610a)와 구분된 별 개의 수납부일 수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는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제2 사이드홀(6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홀(671)은 하방 및/또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탑 수납부(610a), 제1 사이드 수납부(650a), 바텀 수납부(700)는, 제1 케이블 수납부(1000-1)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케이블 수납부(1000-1)는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배치된 전자 부품과 박스(800)에 수용된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501)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케이블(1501)은 백 커버(500)의 그루브(501)를 지나 스탠드(600)로 제공될 수 있다. 스탠드(600)로 제공된 케이블(1501)은 탑홀(613)을 관통하여 탑 수납부(610a), 제1 사이드 수납부(650a)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된 케이블(1501)은 제1 사이드홀(651), 바텀홀(712a), 박스홀(800a)을 지나 바텀 박스(800)에 구비된 부품에 연결될 수 있다.
탑 수납부(610a), 제2 사이드 수납부(670a)는, 제2 케이블 수납부(1000-2)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케이블 수납부(1000-2)는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배치된 전자 부품과 외부에 마련된 부품 및/또는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503)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케이블(1503)은 백 커버(500)의 그루브(501)를 지나 스탠드(600)로 제공될 수 있다. 스탠드(600)로 제공된 케이블(1503)은 탑홀(613)을 관통하여 탑 수납부(610a), 제2 사이드 수납부(670a)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된 케이블(1503)은 제2 사이드홀(671)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스탠드(600)는 케이블 수납부를 개폐하기 위한 케이블 커버(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커버(900)는 탑 수납부(610a), 제1 사이드 수납부(650a), 제2 사이드 수납부(670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 커버(900)에 의해, 탑 수납부(610a), 제1 사이드 수납부(650a), 제2 사이드 수납부(670a)에 수용된 케이블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커버(900)는 탑 수납부(610a)의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커버(900)는 탑 수납부(610a)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케이블 커버(900)는 끼움 돌기(901a, 901b)를 포함할 수 있고, 탑 수납부(610a)는 내측에 마련되어 끼움 돌기(901a, 901b)가 삽입되는 끼움홈(903a, 903b)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 돌기(901a, 901b)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끼움 돌기(901a)와,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끼움 돌기(901b)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홈(903a, 903b)은 제1 끼움 돌기(901a)가 삽입되는 제1 끼움홈(903a)과 제2 끼움 돌기(901b)가 삽입되는 제2 끼움홈(903b)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커버(90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블 커버(900)의 제1 끼움 돌기(901a) 및 제2 끼움 돌기(901b)는 탑 수납부(610a)의 내측면을 따라 상방을 향하여 이동한 후, 제1 끼움홈(903a) 및 제2 끼움홈(903b)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 커버(900)는 별도의 외력을 제공하지 않는 한 탑 수납부(610a)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박스(800) 내에 수용된 부품들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기 위한 방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스(800)는,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가 되는 공기 유입부(871) 및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가 되는 공기 배출부(87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부(871)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유입 슬릿(871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부(873)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배출 슬릿(873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슬릿(871a)들은 박스(800)의 일 측면(예를 들어, 우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배출 슬릿(873a)들은 박스(800)의 타 측면(예를 들어, 좌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방열 수단은 하나 이상의 팬(880)(fan)을 포함할 수 있다. 팬(880)은 박스(800) 내에서 공기 배출부(873)의 배출 슬릿(873a)들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팬(880)은 내부 공기 압력과 외부 공기 압력의 차이를 형성할 수 있다. 팬(880)에 의해 외부 공기 압력이 내부 공기 압력에 비하여 커짐에 따라 외부 공기는 공기 유입부(871)를 통해 박스(8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87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박스(800) 내에 수용된 부품들을 냉각 시킨 후, 팬(880)에 의해 박스(80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팬(88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880)은, 제1 팬(881), 및 제1 팬(881) 보다 공기 배출부(873)의 배출 슬릿(873a)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팬(8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881) 및 제2 팬(883)의 송풍구들(841a, 843b)은 기 설정된 토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팬(880)의 토출 방향은 송풍구들(841a, 843b)이 개방된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팬(880)의 토출 방향은 공기의 유동 효율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팬(881)의 토출 방향과 제2 팬(883)의 토출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 제1 팬(881)의 토출 방향은, 제2 팬(883)의 토출 방향으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α)만큼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팬(883)의 토출 방향은 배출 슬릿(873a)들을 지향할 수 있다. 제1 팬(881)의 토출 방향은 제2 팬(883)의 토출 방향으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틸트된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각도는 예각 또는 직각일 수 있다. 제1 팬(881)의 토출 방향은 박스(800)의 타 측면(예를 들어, 좌면)을 지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선택된 지향 방향을 고려하여, 공기 유로를 가이드 하기 위한 덕트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리플렉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운드 리플렉터(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리플렉터(950)는 스피커(420)로부터 제공된 음향의 음향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즉, 사운드 리플렉터(950)는 스피커(420)로부터 제공된 음향의 경로를 전환하는 것으로, 음향이 사용자가 위치한 전방을 향하도록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음향 손실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양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사운드 리플렉터(950)는 탑 플레이트(610)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배치된 스피커(420)에서 생성된 음향은, 탑 플레이트(610)의 하면에 위치한 사운드 리플렉터(950)에 의해 경로가 전환되어, 전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음향 손실을 줄이기 위해, 탑 플레이트(610)는 사운드홀(617)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홀(617)은 스피커(42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사운드홀(617)은 사운드 리플렉터(95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사운드 리플렉터(950)는 고정부(951) 및 경사부(95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951)는 탑 플레이트(610)의 하면에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고정부(951)는 탑 플레이트(6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951)와 탑 플레이트(6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으로, 마그넷(910) 및 마그넷(9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플레이트(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920)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일 수 있다. 마그넷(910)은 고정부(951)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920)는 탑 플레이트(610)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스크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부(953)는 고정부(951)로부터 연장되되, 고정부(951)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경사부(953)가 소정의 경사를 가짐에 따라, 경사부(953)와 탑 플레이트(610) 간의 간격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경사부(953)는 사운드홀(617)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즉, 사운드홀(617)은 탑 플레이트(610) 하방에 위치한 경사부(953)를 노출하되, 스피커(420)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420)에서 제공된 음향은 사운드홀(617)을 통해 경사부(953)에서 경로가 전환된 후,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1)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하부에 고정되고,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바텀 수납부; 및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측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박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양측 단의 외측에 고정되는 슬라이더;
    상기 바텀 수납부의 양측 단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방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바텀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수납부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수납부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하방에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바텀 바디;
    일 측면에서, 상기 바텀 바디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사이드 바디;
    타 측면에서, 상기 바텀 바디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사이드 바디; 및
    전면에서, 상기 바텀 바디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 사이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바디는,
    “ㄷ” 형태로 성형되어 내측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바디는,
    상기 제1 볼록부가 삽입되는 제2 오목부, 상기 제1 오목부에 삽입되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수납부 내에 구비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이드 바디는, “ㄷ”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탑 수납부; 및
    상기 탑 수납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하여 개방하는 탑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탑 수납부와 연통되는 사이드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수납부는,
    상기 사이드 수납부와 연통되며,
    상기 바디는,
    상기 바텀 수납부와 연통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기 설정된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하는 전자 부품;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백 커버;
    상기 바디 내에 수용되는 부품; 및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탑홀을 관통하여, 상기 탑 수납부, 상기 사이드 수납부, 상기 바텀 수납부, 및 상기 바디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내에 구비된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는,
    일측에서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유입 슬릿들을 갖는 공기 유입부; 및
    타측에서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배출 슬릿들을 갖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공기 배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제1 토출 방향을 갖는 제1 팬; 및
    상기 제1 팬 보다 상기 공기 배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토출 방향을 갖는 제2 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토출 방향과 상기 제2 토출 방향은 상이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출 방향은,
    상기 배출 슬릿을 지향하고,
    상기 제1 토출 방향은,
    제2 토출 방향으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틸트된 방향을 지향하며,
    상기 기 설정된 각도는,
    예각 또는 직각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90074975A 2019-06-24 2019-06-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00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975A KR20210000110A (ko) 2019-06-24 2019-06-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19/008358 WO2020262750A1 (ko) 2019-06-24 2019-07-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7/595,498 US11650623B2 (en) 2019-06-24 2019-07-08 Display device
EP19934560.4A EP3989039A4 (en) 2019-06-24 2019-07-0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975A KR20210000110A (ko) 2019-06-24 2019-06-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10A true KR20210000110A (ko) 2021-01-04

Family

ID=7406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975A KR20210000110A (ko) 2019-06-24 2019-06-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50623B2 (ko)
EP (1) EP3989039A4 (ko)
KR (1) KR20210000110A (ko)
WO (1) WO20202627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8998B1 (en) * 1996-09-02 2001-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JP4094937B2 (ja) * 2001-11-19 2008-06-04 三星電子株式会社 モニタ装置
KR100443981B1 (ko) * 2001-12-04 2004-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461185B1 (ko) * 2002-06-07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534115B1 (ko) * 2003-08-01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68181B1 (ko) * 2003-10-17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107206A (ko) * 2004-05-08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US7274557B2 (en) * 2004-12-16 2007-09-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Apparatus for mounting a display system to a front side of a surface
KR100684996B1 (ko) * 2005-03-08 200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70090672A (ko) * 2006-03-03 2007-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
JP2008292692A (ja) * 2007-05-23 2008-12-04 Sony Corp 表示装置
KR101749302B1 (ko) * 2010-12-24 201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23616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73012B1 (ko) 2015-07-14 2016-11-04 주식회사 하우앳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EP3136714B1 (en) * 2015-08-28 2019-09-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9854695B1 (en) * 2015-09-29 2017-12-26 Cisco Technology, Inc. Single rack unit storage blade with redundant controllers
KR101817715B1 (ko) 2016-01-26 2018-01-15 권현수 멀티 비전 장치
JP2018067079A (ja) 2016-10-18 2018-04-26 株式会社建匠 ディスプレイ台
KR102627114B1 (ko) 2016-12-30 2024-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TWI629232B (zh) * 2017-06-07 2018-07-11 明基電通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445670B1 (ko) * 2017-07-04 202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00108A (ko) * 2019-06-24 2021-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86844A (ko) * 2019-12-31 2021-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750A1 (ko) 2020-12-30
US20220221903A1 (en) 2022-07-14
US11650623B2 (en) 2023-05-16
EP3989039A1 (en) 2022-04-27
EP3989039A4 (en)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010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054126B2 (en) Display device
CN104766547B (zh) 可弯曲的显示装置
US10304359B2 (en) Display device
KR1026554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141670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101466B1 (en) Display device having a backlight unit with a frame structure
KR201400063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235280A1 (en) Display device
KR20140036715A (ko)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
US20130038799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20293728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EP3267245B1 (en) Display device
US20180359856A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09514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10048173A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00011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631439B2 (en) Display device
KR10235024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924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032963A1 (en) Display apparatus and frame to accommodate display panel
KR201101035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
KR2024006466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20014537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27356A (ko)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