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7356A -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356A
KR20070027356A KR1020050082849A KR20050082849A KR20070027356A KR 20070027356 A KR20070027356 A KR 20070027356A KR 1020050082849 A KR1020050082849 A KR 1020050082849A KR 20050082849 A KR20050082849 A KR 20050082849A KR 20070027356 A KR20070027356 A KR 20070027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base
hole
panel
plasma displa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835B1 (ko
Inventor
신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2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835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36Heat pipes, e.g. wicks or capillary pu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81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62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66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기판, 격벽, 구동 전극, 형광체, 방전 가스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과, 구동 전극에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부와, 이들 회로부 및 패널을 지지하는 샤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서, 샤시의 본체를 이루는 샤시 베이스가 수지층을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수지층에는 홀이나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홀이나 홈은 화면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측면 가운데 적어도 두 측면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열전달이 적은 수시층 샤시 베이스를 사용할 때 주변 열을 모아 대기로 방출하는 역할을 원활히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including chassis of resin layer}
도1 및 도2는 종래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서 샤시가 설치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샤시 베이스의 실시예에서 홀이나 홈 형성 개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부분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홀이 형성된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홀을 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샤시 베이스 원형 홀 내측에 알미늄 관이 삽입된 형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홀 중간에서 샤시 베이스의 배면쪽으로 중간 연결홀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측면과 좌우 측면을 연결하는 홀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패널과 보호회로 기판과, 원형 홀이 다수 형성된 샤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710:패널 20: 양면 테이프
25: 열전달 매체 30,730: 샤시 베이스
31,731: 보스 40,740: 회로기판
133,336,337,338,437,533,636: 홀 235: 홈
4371:알미늄 관 534:중간 연결홀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 재질의 샤시 베이스를 적용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대향하는 두 개의 기판 사이에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과 방전을 위한 전극을 형성하고, 내부에 방전 가스를 주입한 후 밀봉하여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 이하 패널과 혼용함)을 이용한 평판형 표시장치를 말한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적은 용적으로 가벼운 대형화면을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수동 매트릭스 방식으로 구동되므로 박막 트랜지스터 같은 능동소자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자발광 방식이므로 시야각이 넓고, 휘도가 높다는 일반적인 특성을 가진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한 뒤, 패널의 각 전 극과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 등 화면 구현에 필요한 요소들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패널은 두 유리 기판이 결합된 형태이므로 구동회로부를 직접 패널에 붙이는 것은 어렵고, 공정 중이나 사용중에 손상 받을 위험도 높다. 따라서, 패널은 별도의 프레임 혹은 샤시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샤시 후방에 대개의 구동회로부가 장착되어 패널 전극들과 연결된다.
종래의 샤시는 샤시 베이스라 불리는 금속재 플레이트에 여러 가지 형태의 보강재를 부착하거나, 샤시 베이스 자체의 주변부를 절곡하여 보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통상 샤시 베이스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철재나 알미늄으로 형성하고, 샤시 베이스가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서, 히트 싱크와 접지 베이스의 역할을 하게 된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대형화가 계속되면서 샤시에 사용되는 금속 샤시 베이스의 무게도 늘게 되고, 그 형성 단가도 높아지게 된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시장성 확보를 위한 품질 향상의 과제로 저전력, 고화질, 저중량 박형화를 계속 이루기 위해 샤시도 보다 얇고, 가벼워질 것이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패널 및 보호회로 기판 설치를 위한 프레임 역할 등의 필요한 기능 수행을 위해 샤시 베이스를 이루는 금속판을 얇게 형성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샤시에 대한 향후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샤시 베이스를 플라스틱 등 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샤시 베이스를 수지 재질로 하기 위해 종래의 금속 샤시 베이스를 사출물 형태의 수지 재질 플레이트로 바꾸고 이 플레이트에 회로기판 설치를 위한 보스를 함께 설치하는 등의 구성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이런 구성에서 샤시 베이스는 기존의 금속판을 수지 플레이트로 바꾸는 것에 불과한 측면이 많다.
도1 및 도2는 이러한 수지 샤시 베이스가 패널 및 구동 회로부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수지 재질로 형성된 샤시 베이스(30)는 패널(10) 주변에 설치된 양면 테이프(20)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패널에 부착된다. 패널과 샤시 베이스(30) 사이에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도록 열전달 매체(25)가 설치된다.
샤시 베이스(30) 배면에는 샤시 베이스에 설치된 보스(31) 등을 통해 구동 회로부를 형성하는 회로 기판(40)이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지만 패널의 각 전극 단자와 구동 회로부의 단자들 사이에는 TCP(Tape Carrier Package), FPC(Flexible Printed Circuit)등의 연결 수단을 통해 전기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플라스틱은 열의 양도체가 아니므로 열전달 매체 배면이 플라스틱 샤시 베이스에 닿거나 인접할 경우에도 샤시 베이스가 패널의 열을 받아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패널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기 어렵다. 오히려 샤시 베이스가 패널의 열이 방출되는 경로를 차단하여 방열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열전달 매체의 열을 받아 외부로 열을 잘 방출하려면 플라스틱 샤시 베이스가 매우 얇아져야 한다. 이런 경우, 샤시가 패널을 잘 지지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기계적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패널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샤시는 종래의 금속 샤시와 같이 TCP나 기타 구동 회로부의 열원들로부터 열을 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주변으로부터 열을 받아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열 방출 기능을 가지면서 외력에 대항할 수 있는 자체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널이나 회로부의 소음 진동이 주변으로 확산되거나, 공진을 일으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 기판, 격벽, 구동 전극, 형광체, 방전 가스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과, 구동 전극에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부와, 이들 회로부 및 패널을 지지하는 샤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서, 샤시의 본체를 이루는 샤시 베이스가 수지층을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수지층에는 홀이나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홀이나 홈은 화면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측면 가운데 적어도 두 측면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지층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는 것은 주로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되 내부나 외측에 금속 메쉬나 금속 박판이 설치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홀이나 홈은 화면을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홀이나 홈에는 금속 파이프 또는 열전달 파이프(heat pipe)와 같이 열전달 능력이 우수한 부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들 파이프는 샤시 베이스를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면서 인서트 사출 방법으로 샤시 베이스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샤시 베이스에는 두 측면을 연결하는 홀의 경로 중간에 연결되는 중간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중간 연결홀은 샤시 베이스의 상하측면을 연결하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홀 중간에서 샤시 베이스의 배면쪽으로 혹은 좌우 측면쪽으로 가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홈은 홈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입구가 샤시 베이스를 기준으로 패널이 있는 쪽이나 그 반대편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입구가 홈 내측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입구에 턱이 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샤시 베이스의 실시예에서 홀이나 홈 형성 개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부분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보호회로부 부착을 위한 보스나 기타 샤시 베이스에 부착되는 부재가 생략된 상태로 샤시 베이스가 표현된다. 샤시 베이스(130,230)를 이루는 수지층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하 측면을 연결하는 홀(133)이나 홈(235)이 도시되어 있다.
도4의 홈(235)은 도3의 홀(133)과 거의 같은 형태이며, 홀을 형성하는 샤시 베이스(230) 벽면 가운데 배면쪽 일부가 개방된 상태이다. 따라서 홈(235)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평 단면을 가상하면 자연스럽게 홈(235) 입구가 있는 배면쪽으로 입구에 턱이 형성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수평 단면에서 볼 때 홈(235)의 입구가 전면 기판쪽으로 향하는 경우에 열전달 매체에서 열을 쉽게 전달받아 패널 측 방열을 쉽게 할 수 있다. 대개 구동회로부가 형성된 배면쪽에는 공간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홀(133)이나 홈(235)을 이용하지 않아도 공기중으로 방열이 이루어지기 쉽다. 따라서 홈(235)은 입구가 전면쪽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235)은 열전달 매체(미도시)의 일부분에만 직접 통하고 있으나 열전달 매체가 흑연이나 금속 같이 횡방향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이라면 부분적 방열에 따른 패널의 온도차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5는 홀이 형성된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홀을 본 단면도이다.
도5에서 홀(336,337,338)은 직사각형, 원형, 타원 혹은 트랙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런 홀의 형태는 샤시 베이스를 형성할 때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사출 성형으로 형성할 때 수지층에 홈이 있을 경우 성형이 어려워지므로 어려움을 감안하여 홀의 단면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샤시 베이스(430)에 원형 홀(437)이 형성되고, 원형 홀(437) 내측에는 알미늄 관(4371)이 삽입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알미늄 관(4371)은 샤시 베이스(430) 사출 성형시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도 홀(437)을 통해 공기층이 대류를 일으키면서 홀(437) 주변으로부터 열을 빼앗 아 방열을 원활히 하게 된다. 동시에 알미늄 관(4371)은 열의 양도체이므로 홀 주변에서 열을 보다 쉽게 홀(437) 내의 대류하는 공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부분적으로 온도가 높은 곳이 있을 때 그곳에서 전달된 열은 알미늄 관(4371) 자체를 통해서 관 내벽에 넓게 퍼지게 된다. 그러므로, 공기로의 열전달이 알미늄 관(4371) 전체의 넓은 면적에서 시간을 가지고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공기로의 열전달 효율도 높아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6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샤시 베이스에 형성된 홈이나 홀에 히트 파이프를 설치하고 방열구조를 형성하여 방열에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홈이나 홀에 설치된 열의 양도체인 파이프는 자체의 기계적 강도에 의해 샤시 베이스 전체의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재료를 절약하고, 샤시 베이스 무게를 줄이며, 공간을 형성하여 진동이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쉴드(Shield)의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수지층 샤시 베이스에는 화면을 기준으로 배면과 전면을 제외한 상하 좌우 4측면 가운데 적어도 두 측면을 연결하는 홀의 경로 중간에 연결되는 중간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도7과 같이 중간 연결홀(534)은 샤시 베이스(530)의 상하측면을 연결하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홀(533) 중간에서 샤시 베이스(530)의 배면쪽으로 가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연결홀(534)의 입구는 샤시 베이스 배면 가운데 많은 열을 방출하는 구동 회로 소자, 전원 보드의 변환기 등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도8에는 상측면과 좌우 측면을 연결하는 홀(633,636)이 형성된 실시예가 나 타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냉각용 대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는 샤시 베이스의 좌측면 혹은 우측면에 있으며, 출구는 샤시 베이스의 상측면에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샤시 베이스(630) 하면쪽에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방전을 위한 전극 가운데 어드레스 전극에 전압 신호를 인가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의 칩 부분 같은 많은 열을 방출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유입되는 공기 자체가 이미 TCP의 칩으로부터 많은 열을 받아 다른 부분을 냉각시키는 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홀 입구를 샤시 베이스(630) 좌우측면에 형성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의 공기가 유입되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지만, 많은 다른 형태로 샤시 베이스에 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홀의 출구를 좌우측면에 형성하고, 홀의 입구를 하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이 모두 장치 상측으로 몰려 방출됨으로써 있을 수 있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이런 형태를 위해서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외측 케이스에도 좌우측으로 방열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710), 열전도 시트(725:열전달 매체), 접착부재(720), 플라스틱 샤시 베이스(730)), 회로 기판(740) 구비한다.
패널(710)은 가령, 다수의 스캔전극들 및 서스테인 전극들이 형성된 전면기 판(712), 전면기판의 전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어드레스전극들 및 전면 기판(712)과의 사이에 형성된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하부기판을 가질 수 있다. 전면 기판(712)과 배면 기판(714)의 사이에는 방전셀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공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스가 충전된다.
열전도시트(Thermal Spreader Sheet : TSS, 725)는 패널(710)과 플라스틱 샤시 베이스(730) 사이에 삽입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시 패널(7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면방향으로 고르게 전달함과 아울러 방열하여 패널(4)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열전도 시트(725)는 패널(710)과 샤시 베이스(730) 사이에서 패널(710)의 열은 샤시 베이스(730)를 거쳐 본 발명의 홀(733) 내의 공기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부재(720)는 패널(7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띠 형태로 형성되어, 열전도시트(725)를 플라스틱 샤시 베이스(73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접착부재(720)로는 접착제, 접착시트 및 접착테입이 이용될 수 있다.
도9의 실시예를 도1의 종래의 예와 비교할 때 샤시 베이스(730)에 많은 수의 홀(733)이 형성되어 있다. 샤시 베이스(730)가 중심이 되는 샤시는 기본적으로 패널(710)이나 열전도시트(725)를 접착부재(720)로 고정함과 아울러, 패널(710),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미도시) 및 회로기판(740)으로부터의 열을 받아 홀(733)을 지나는 공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샤시 베이스(730)는 보스(731),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구동 회로부의 여러 인쇄 회로기판(740)을 지지 및 고정하게 된다. 플라스틱 샤시 베이스에는 각 구동 회로부들의 접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접지플레이트가 고정될 수 있고, 샤시 베이스의 수지층에는 접지를 위한 금속 메쉬나 얇은 금속판이 내재되거나 방열판이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740)은 PDP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를 형성하게 된다. 구동 회로부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 패널의 전극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어드레스 구동부, 스캔 구동부 및 서스테인 구동부 및 타이밍 컨트롤러와 같은 제어회로가 형성되는 로직기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어드레스 구동부, 스캔 구동부 및 서스테인 구동부는 도시되지 않은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또는 플렉서블 프린티드 써킷, Flexible Printed Cable : FPC)이나 구동 칩이 실장된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에 의해 전극들과 연결된다.
구동 회로부의 각 구동부 즉, 어드레스 구동부, 스캔 구동부, 서스테인 구동부는 별도의 전원 공급모듈(IPM : Intelligent Power Module)을 구비한다. 이 전원 공급 모듈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각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전극에 공급할 수 있는 신호전압으로 변환한다. 즉, 어드레스 구동부에 실장되는 전원 공급 모듈은 어드레스 구동부와 타이밍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어드레스 전극에 공급하는 어드레스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샤시 베이스에 홀이나 홈이 형성됨으로써 주변에 발생하는 열을 공기 대류를 통해 방출시키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홈이나 홀에 설치된 열의 양도체인 파이프를 설치할 경 우, 파이프 자체의 기계적 강도에 의해 샤시 베이스 전체의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홈이나 홀 설치를 위해 샤시 베이스에 빈 공간을 만들므로 재료를 절약하고, 샤시 베이스 무게를 줄이며, 공간을 형성하여 진동이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쉴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Claims (11)

  1. 두 기판 사이에 방전셀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방전셀에서의 방전을 발생시키는 구동 전극, 형광체, 방전 가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상기 패널의 상기 구동 전극에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 회로부,
    상기 플라즈마 표시 패널과 상기 회로부를 지지하는 샤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니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의 샤시 베이스는 수지층을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층에는 홀이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나 홈은 상기 샤시 베이스의 전후 좌우 4측면 가운데 적어도 두 측면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나 홈은 상기 패널을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나 홈에는 금속 파이프 또는 열전달 파이프(heat pipe)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샤시 베이스를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면서 인서트(insert) 사출 방법으로 상기 샤시 베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 베이스에는 상기 홀의 경로 중간에 연결되는 중간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상기 샤시 베이스의 배면, 상기 상기 샤시 베이스의 좌우 측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일 단은 상기 샤시 베이스의 좌우 측면 가운데 하나에 위치하고, 타 단은 상기 샤시 베이스의 하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홀이 형성된 방향에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타원형, 원형, 직사각형 가운데 하나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홈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하게 자른 단면에서 입구가 상기 패널이 있는 쪽을 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홈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하게 자른 단면에서 입구에 턱이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20050082849A 2005-09-06 2005-09-06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696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849A KR100696835B1 (ko) 2005-09-06 2005-09-06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849A KR100696835B1 (ko) 2005-09-06 2005-09-06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356A true KR20070027356A (ko) 2007-03-09
KR100696835B1 KR100696835B1 (ko) 2007-03-19

Family

ID=3810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849A KR100696835B1 (ko) 2005-09-06 2005-09-06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8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4769B2 (ja) 1997-03-14 2007-06-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233967A (ja) 1998-02-12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ャーシ部材、シャーシ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233968A (ja) 1998-02-12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ャーシおよびそれ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47123B1 (ko) * 2002-03-05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835B1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5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0770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31479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플라스틱 샤시 및 이를 가지는플라즈마 표시 장치
JP2006237558A (ja) 集積回路チップの放熱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009375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062628A1 (en) Plasma display module
KR1007513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70079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96835B1 (ko)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6964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84112B1 (ko) 듀얼형 히터 씽크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조립체
KR2008000111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705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834B1 (ko) 곡면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646565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592262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260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086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13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00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498B1 (ko) 히트싱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01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9640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0077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집적회로칩 방열 구조
KR20070058260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