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61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616A
KR20160123616A KR1020150053869A KR20150053869A KR20160123616A KR 20160123616 A KR20160123616 A KR 20160123616A KR 1020150053869 A KR1020150053869 A KR 1020150053869A KR 20150053869 A KR20150053869 A KR 20150053869A KR 20160123616 A KR20160123616 A KR 20160123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display
mode
display body
wall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윤세진
정강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3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3616A/ko
Priority to US15/074,386 priority patent/US20160309602A1/en
Priority to EP16161893.9A priority patent/EP3081841B1/en
Priority to CN201610227472.XA priority patent/CN106051403A/zh
Publication of KR2016012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6Details concerning attachment of head-supporting legs, with or without actuation of locking memb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디스플레이 본체에 스탠드 모드 및 월 마운트 모드에 따라 자세가 변경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며, 스탠드부는 스탠드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며, 월 마운트 모드에서 사운드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방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 모드일 경우 스탠드의 기능을 하며, 월 마운트 모드일 경우 사운드 리플렉터의 기능을 하는 스탠드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적인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청각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로, 최근에는 음극선관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설치 공간의 제약을 덜 받으며 대화면의 영상 구현이 용이하고 평판화가 용이하며, 고화질 등 여러 가지로 성능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과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 면적에 비해 전체적인 크기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며, 취급하기가 쉽지 않았으나, 최근 두께가 얇고 가벼워짐으로써 벽에 설치하거나 스탠드식으로 설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패널이나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이 박형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화면의 구현은 물론, 고화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기존의 브라운관 방식이나 프로젝션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체할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월 마운트 모드나 스탠드 모드로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월 마운트 모드로 설치되는 경우, 설치용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시키고, 그 설치용 브라켓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와는 다르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스탠드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설치하는 월 마운트(wall mount) 모드의 경우, 스탠드 모드(standing mode) 시와 달리 스피커와 스피커에서 나오는 사운드의 반사면과의 거리가 증가되어 중/고음의 전달력이 감소 되었다. 이에 따라, 월 마운트 모드 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시청자들은 스탠드 모드에 비해 볼륨을 더 높여야 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월 마운트 모드에는 사용하지 않아 이를 분리하여 보관할 경우 파손이나 분실에 따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 아래에 경사면을 갖는 스탠드를 배치하여 사운드 리플렉터의 기능을 할 수 있었으나, 스탠드가 디스플레이 본체에 고정되어 월 마운트 모드로의 전환이 어려웠다. 특히, 이러한 스탠드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걸 경우, 경사면을 갖는 스탠드의 두께 때문에 벽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당한 거리만큼 이격시켜야 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조적으로 불안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을 위해 추가적인 부재들이 더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경사면을 갖는 스탠드는 부피가 크고 모양이 투박하여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 모드에서 월 마운트 모드로, 월 마운트 모드에서 스탠드 모드로의 전환이 용이하지 않아, 최적의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시청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스탠드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고, 월 마운트 모드에서 사운드를 반사하는 사운드 리플렉터의 기능을 하는 스탠드를 가지며, 스탠드 모드와 월 마운트 모드 간 상호 모드 전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스탠드 모드 및 월 마운트 모드에 따라 자세가 변경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부는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며,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방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부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하부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타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판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는 일단부에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나머지는 요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는 복수의 스크류에 의해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전방으로 모아 주도록 만곡 또는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는 상기 스탠드부의 길이의 0.05 내지 0.2배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벽과 고정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스탠드부가 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스탠드부 보다 더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부는 상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부는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비회전 상태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스탠드부의 기둥부에 대향하는 면으로 스프링에 의해 출입이 가능한 탄성 스토퍼; 및 상기 기둥부의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스토퍼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면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면 상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본체;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부는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며,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미리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어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방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직접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부는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며, 월 마운트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방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A 부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 모드 시 스탠브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 모드 시 고정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모드에서 고정부를 제거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B 부분으로서 힌지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C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한다.
스탠드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 스탠드부(120), 고정부(130), 마운트부(140) 및 사운드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부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11)의 하부에는 스탠드부(120)가 위치한다.
스탠드부(12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하부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지지하는 것이다. 스탠드부(120)는 지지부(121), 제1 스크류 결합부(122), 기둥부(123), 제1 결합부(125), 제2 결합부(127,129)를 포함한다.
지지부(121)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하중을 지지대(160)에 분산 및 지지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지지대(160)에 대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가지고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121)는 연결부(124)에 의해 기둥부(123)와 연결된다. 지지부(121)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하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21)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부(120)는 판형으로 형성된 지지부(121)와 연결부(124) 및 기둥부(123)에 의해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가진다. T자 형상에 의해 지지대(160)의 상부에서 소정의 면적으로 지지대(160)와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21)는 또한 지지대(160)와 함께 스피커들(151,153)에서 나오는 소리를 반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스크류 결합부(122)는 기둥부(123)의 상부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 결합부(122)는 제1 및 제2 결합부(125,127,129)와 함께 스탠드부(120)를 고정부(130) 또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고정하는 것이다.
기둥부(123)는 일단부가 고정부(130) 또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기둥부(123)의 일단부는 고정부(130) 또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와 결합하기 위하여 제1 결합부(125), 제2 결합부(127,129) 및 제1 스크류 결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123)의 타단부는 연결부(124)에 의해 지지부(121)와 연결될 수 있다.
기둥부(123)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좌굴에 대한 염려가 없는 단주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기둥부(123)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130) 또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와 스크류 결합하기 위해 내부가 빈 박형의 중공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스크류(미도시)를 이용하여 기둥부(123)를 고정부(130)나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결합할 수 있다. 기둥부(123)의 전면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면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5)는 기둥부(123)를 고정부(130)나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 결합부(125)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5)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 모드일 경우, 제1 결합부(125)에 대응하여 고정부(130)는 제3 결합부(135)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월 마운트 모드일 경우, 제1 결합부(125)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본체(110a)는 제3 결합부(115a)를 가질 수 있다.
제2 결합부(127,129)는 제1 결합부(125)와 마찬가지로 기둥부(123)를 고정부(130)나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2 결합부(127,129)는 요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7,129)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 모드일 경우, 제2 결합부(127,129)에 대응하여 고정부(130)는 제4 결합부(137,139)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월 마운트 모드일 경우, 제2 결합부(129a)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본체(110a)는 제4 결합부(119a)를 가질 수 있다.
스탠드 모드일 경우, 고정부(130)의 하부에는 기둥부(123)의 스크류 결합부(122)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제2 스크류 결합부(132)가 형성된다.
한편, 월 마운트 모드일 경우 고정부(130a)는 디스플레이 본체(110a)의 하부에서 분리된다. 고정부(130a)가 분리된 디스플레이 본체(110a)의 부분에는 기둥부(123a)가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후면 하부에서 스탠드부(12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부(130)는 제2 스크류 결합부(132), 제3 결합부(135) 및 제4 결합부(137,139)를 포함한다.
고정부(13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부(13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후면과 결합한다. 스탠드부(12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고정 결합된 고정부(130)에 결합된다.
도 10은 월 마운트 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고정부(130a)를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대하여 분리한 것을 나타낸다. 스탠드 모드에서, 고정부(13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결합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크류 결합홀(114)을 가질 수 있다.
제2 스크류 결합부(132)는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부(120)의 제1 스크류 결합부(122)와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스크류들(미도시)들이 제1 및 제2 스크류 결합부(122,132)를 관통하여 스탠드부(120)와 고정부(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결합부(135)는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부(120)의 제1 결합부(125)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돌기 형상을 가지는 제1 결합부(125)에 대응하도록 제3 결합부(135)는 요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결합부(137,139)는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부(120)의 제2 결합부(127,129)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요홈의 형상을 가지는 제2 결합부(127,129)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4 결합부(137,139)는 돌기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월 마운트 모드에서, 고정부(130a)는 마운트부(140)과 결합하여 벽(190)에 있는 브라켓(191)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벽(190)에 대하여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마운트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월 마운트 모드 시 벽(190)과 결합하는 것이다. 마운트부(140)의 상부 중앙에는 월 마운트 모드 시 고정부(130)가 결합하는 체결부(141)를 포함한다.
사운드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하부에 스피커들(151,153)이 배치되는 것이다. 스피커들(151,153)은 스탠드부(120)가 결합하는 고정부(130)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들(151,153)의 하부에는 각 스피커들(151,153)의 소리가 출력되는 개구부(155,157)가 설치된다.
스탠드 모드에서, 각 스피커들(151,153)에서 출력되어 개구부(155,157)를 통과한 사운드는 지지부(121)나 지지대(160)에 의해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전방으로 향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a)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월 마운트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스탠드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스탠드부(120a)와 고정부(130a)의 구성이 상이하다. 월 마운트 모드의 디스플레이 본체(100a)는 스탠드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대응되게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동일한 것이고, 디스플레이 본체(110a)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와 동일한 부재이며, 스탠드부(120a)는 스탠드부(120)과 동일한 부재이다. 또한, 고정부(130a)는 고정부(130)와 동일한 부재이며, 마운트부(140a)는 마운트부(140)과 동일한 부재이고, 사운드 출력부(150a)는 사운드 출력부(150)과 동일한 부재이다. 다만, 스탠드 모드에서 월 마운트 모드로 변함에 따라 각 부재들의 배치가 달라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른 부재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월 마운트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벽(190)에 고정지지 된다. 이 경우, 스탠드부(120a)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운드 출력부(150a)의 개구부(155a,157a)에서 출력된 음파는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121a)에 의해 반사되어 시청자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본체(110a)의 전방으로 가이드 또는 반사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드부(120a)가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대하여 경사지게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스탠트부(120a)는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대하여 수직으로 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에 따라,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부(12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월 마운트 모드에서 스탠드부(120a)는 사운드의 리플렉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탠드 모드뿐만 아니라 월 마운트 모드에서도 스탠드부(120a)를 사용함에 따라 스탠드부(120a)를 보관하다가 분실하거나 파손하게 되는 위험을 없앨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탠드부(120a)는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결합한다. 기둥부(123a)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125a)는 제3 결합부(115a)에 결합한다. 제2 결합부(129a)는 제4 결합부(119a)에 결합한다. 또한, 제1 스크류 결합부(122a) 중 하나는 제3 스크류 결합부(112a)에 마주하여 스크류(미도시)가 관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탠드부(120a)는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130a)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110a)의 하부에서 분리되어 마운트부(140a)에 결합한다. 고정부(130a)는 스탠드 모드의 방향과 반대로 마운트부(140a)에 결합한다. 이 경우, 고정부(130a)는 스탠드 모드의 체결부(141)에 결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마운트부(140a)에 고정 결합된 고정부(130a)에 결합부(133a)가 결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정부(132a)에는 복수의 결합부(133a)가 결합하는 스크류홀들(132a)이 구비된다. 결합부(133a)에는 스크류홀들(132a)과 결합하는 스크류들(139a)이 복수 개 형성된다. 각 결합부(133a)에는 벽에 있는 브라켓(191)과 결합하도록 한 쌍의 브라켓 결합홈들(139a)이 구비된다.
도 9는 월 마운트 모드 시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결합된 스탠드부(120a)와 벽(190)에 결합된 고정부(130a)를 나타낸다. 이 경우, 고정부(130a)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스탠드부(120a)가 벽(190)과 이격되도록 디스플레이 본체(110a)의 후면으로부터 스탠드부(120a) 보다 더 길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3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00a)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부(120)가 고정부(130) 없이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고정 결합되며, 월 마운트 모드에서 스탠드부(120a)가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경사지게 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00a)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과 같은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부(12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지지대(160)에 대하여 지지한다. 이 경우, 스탠드부(120)는 고정부(130)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부(13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후면에 고정 결합된다.
사운드 출력부(150)가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운드는 출력 후 지지대(160)에 의해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10) 전방의 시청자에게 향한다.
도 7 내지 도 11과 같은 월 마운트 모드에서 스탠드부(120a)는 고정부(130a)에서 분리된다. 고정부(130a)도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서 분리된다. 분리된 고정부(130a)는 마운트부(140a)에 결합된다. 스탠드부(120a)는 고정부(130a)가 분리된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결합된다.
스탠드부(120a)가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사운드 출력부(150a)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디스플레이 본체(110a)의 전방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탠드부(120a)는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대하여 수직으로 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마운트부(140a)에 결합된 고정부(130a)는 결합부(133a)에 의해 벽(190)의 브라켓(191)에 고정 지지된다. 이 경우, 스탠드부(120a)가 벽과 이격되도록 고정부(130a)는 디스플레이 본체(110a)의 후면으로부터 스탠드부(120a) 보다 더 길게 돌출형성된다.
월 마운트 모드에서 스탠드 모드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탠드 모드에서 월 마운트 모드로 변경하는 방법과 반대로 동작하면 된다. 즉, 벽(190)의 브라켓(191)에 고정 지지된 마운트부(140a)를 브라켓(191)으로부터 분리하고, 마운트부(140a)에 결합된 고정부(130a)를 분리한다. 이 후, 스탠드부(120a)를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서 분리하고, 고정부(130a)를 디스플레이 본체(110a)에 결합한다. 그 후, 스탠드부(120a)를 고정부(130a)에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100a)가 스탠드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탠드 모드에서 월 마운트 모드로, 월 마운트 모드에서 스탠드 모드로의 전환이 자유롭다. 이에 따라, 동일한 스탠드부가 스탠드 모드와 월 마운트 모드의 듀얼 모드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스탠드부는 목적에 따라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역할과 사운드 리플렉터로서의 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최적의 높이와 최적의 뷰잉존에서 최적의 사운드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하고자 하는 시청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부는 부피가 크고 모양이 투박한 형상이 아니라 스탠드 기능과 사운드 리플렉터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면서도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얇은 "T"자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스탠드부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벽과 디스플레이 본체 간의 이격 거리 내에서 벽과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소정 각도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스탠드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감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치되는 공간의 실내 인테리어의 미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200a)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20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00a)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스탠드부(220,220a)의 구성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20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00a)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대응되게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스탠드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210)를 스탠드부(220)가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지지부(221)의 모양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지지부(121)의 모양과 상이하다. 즉, 스탠드부(220)는 지지부(22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222,223)를 포함한다. 스탠드 모드에서 지지부(221)는 지지대(260)와 닿으면서 디스플레이 본체(210)를 지지한다. 그러나, 제1 및 제2 연장부(222,223)는 각각 단부로 갈수록 지지대(260)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높이를 형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a)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과 동일한 것이고, 디스플레이 본체(210a)는 디스플레이 본체(210)와 동일한 부재이며, 스탠드부(220a)는 스탠드부(220)과 동일한 부재이다. 또한, 고정부(230a)는 고정부(230)와 동일한 부재이며, 마운트부(240a)는 마운트부(240)과 동일한 부재이고, 사운드 출력부(250a)는 사운드 출력부(250)와 동일한 부재이다. 다만, 스탠드 모드에서 월 마운트 모드로 변함에 따라 각 부재들의 배치가 달라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른 부재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연장부(221,223)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사운드 출력부(250a)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전방으로 모아 주도록 디스플레이 본체(210a)의 전방을 향해 만곡 또는 절곡된다. 여기서, 만곡이란 월 마운트 모드에서 지지부(221a)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222a,223a)가 단부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본체(210a)의 전방으로 원호의 형상으로 휘어지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절곡이란 월 마운트 모드에서 지지부(221a)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222a,223a)가 양단에서 꺽여 제1 및 제2 연장부(222a,223a)의 단부가 디스플레이 본체(210a)의 전방으로 돌출된 것을 말한다.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222a,223a)의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호 형상이란 지지부(221a)와 제1 및 제2 연장부(222a,223a)가 만나는 지점에서 급격한 표면의 변동이 없이, 단부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본체(210a)의 전방으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1 및 제2 연장부(222a,223a)의 형상에 따라, 스탠드부(220a)가 사운드를 디스플레이 본체(210a)의 전방으로 보다 집중시킬 수 있어 시청자는 고음질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연장부(222,223)는 스탠드부(210) 길이의 0.05배 내지 0.2배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연장부(222,223)의 길이를 스탠드부(210) 길이의 0.2배 이상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200a)의 동작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200a)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300a)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30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00a)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스탠드부(320,320a)가 힌지부(380,380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점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30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00a)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대응되는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모드에서 고정부를 제거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 내지 17을 참조하면, 스탠드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310)를 스탠드부(320)가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부(323)를 포함하는 스탠드부(320)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스탠드부(320)는 본체(31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힌지부(38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본체(310)와 결합된다.
힌지부(380)는 힌지축 수용부(381)와 힌지축(383)을 포함한다. 힌지축 수용부(381)는 디스플레이 본체(310)의 후방 하부(387)에 형성된 회동홈(385)의 양측에 형성되어, 힌지축(383)을 지지한다. 힌지축(383)은 힌지축 수용부(381)와 기둥부(323)를 연결하는 것으로, 기둥부(323)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회동홈(385)은 디스플레이 본체(310)와 간섭없이 회동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힌지부(380a)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록킹구조를 통해 스탠드부(320a)가 도 18과 같이 소정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구조는 힌지부(380a)에 결합된 스탠드부(320a)의 기둥부(323a)에 고정홈(미도시)을 형성하고, 힌지부(380a) 내측 또는 회동홈(385a) 내측에 상기 고정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탄성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380a)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다단 회전구조를 통해 스탠드부(320a)가 도 18의 B 부분의 확대도인 도 19 및 도 20과 같이 형성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의 회전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본체(310a)의 후방 하부(387a), 즉 회동홈(385a)의 일측에 있는 회전각 조절홈(388a)의 기둥부(323a)에 대향하는 면으로 스프링(386a)에 의해 출입이 가능한 탄성 스토퍼(384a)를 두고, 기둥부(323a)의 회전각 조절홈(388a)에 대향하는 면으로 탄성 스토퍼(384a)의 형상에 상응하는 고정홈(382a)을 형성하여, 기둥부(323a)의 회전시 형성 각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착탈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탄성 스토퍼(384a)는 회전각 조절홈(388a)의 기둥부(323a)에 대향하는 면으로 스프링(386a)에 의해 출입될 수 있도록, 회전각 조절홈(388a)의 소정 위치에 홈을 두어 그 홈속에 스프링(386a)과 탄성 스토퍼(384a)를 지지하는 지지체(미도시)와 지지체(미도시) 위에 탄성 스토퍼(384a)를 두어 스프링(386a)에 의해 탄성 스토퍼(384a)는 기둥부(323a)에 대향하는 면으로 출입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스토퍼(384a)로 일단이 반구 형상인 원기둥을 예시하였으나, 금속성의 구슬이나 단부가 완만하고 테이퍼 진 원추형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탄성 스토퍼(384a) 및 고정홈(382a)과 같은 구성에 의해, 기둥부(323a)는 회전 시 다단계(예를 들어 5 단계, 즉 기둥부(323a)가 지지대(360a)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을 1단계로 하고, 기둥부(323a)가 1 단계에서 90도 만큼 디스플레이 본체(310a)에 대하여 후방으로 회전하여 지지대(360a)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5단계로 할 수 있다)로 스탠드부(320a)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스탠드부(320a)를 디스플레이 본체(310a)에 대하여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본인에게 적합한 스탠드부(320a)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최적의 사운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부(320)는 스탠드부(320)의 바닥면이 지지대(360)에 지지될 때, 스탠드부(320)의 기둥부(323)의 전면이 회동 방지턱(389)과 접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330)는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부(320)와 본체의 후방 하부(387)를 감싸는 형태로 스탠드부(320)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부(320)의 기둥부(323)가 회동 방지턱(389)과 고정부(330)에 의해 지지되므로, 스탠드부(320)는 디스플레이 본체(310)를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월 마운트 모드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300a)의 동작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00a)의 동작과 대부분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스탠드 모드에서 월 마운트 모드로의 모드 변경 시, 또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스탠드 모드로의 모드 변경 시, 스탠드부(320,320a)의 동작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스탠드부(320,320a)는 모드 전환 시 힌지부(380)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본체(310,310a)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보다 모드 전환이 간편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100a: 디스플레이 장치 110,110a: 디스플레이 본체
120,120a: 스탠드부 130,130a: 고정부
140,140a: 마운트부 150,150a: 사운드 출력부
160: 지지대

Claims (20)

  1.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스탠드 모드 및 월 마운트 모드에 따라 자세가 변경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부는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며,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방으로 가이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하부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타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판형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일단부에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나머지는 요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복수의 스크류에 의해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전방으로 모아 주도록 만곡 또는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는 상기 스탠드부의 길이의 0.05 내지 0.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벽과 고정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스탠드부가 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스탠드부 보다 더 길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상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비회전 상태로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스탠드부의 기둥부에 대향하는 면으로 스프링에 의해 출입이 가능한 탄성 스토퍼; 및
    상기 기둥부의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스토퍼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면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면 상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부는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며, 월 마운트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미리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어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방으로 가이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직접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부는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며, 월 마운트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방으로 가이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53869A 2015-04-16 2015-04-16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23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69A KR20160123616A (ko) 2015-04-16 2015-04-16 디스플레이 장치
US15/074,386 US20160309602A1 (en) 2015-04-16 2016-03-18 Display apparatus
EP16161893.9A EP3081841B1 (en) 2015-04-16 2016-03-23 Display apparatus
CN201610227472.XA CN106051403A (zh) 2015-04-16 2016-04-13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69A KR20160123616A (ko) 2015-04-16 2015-04-1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616A true KR20160123616A (ko) 2016-10-26

Family

ID=5569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869A KR20160123616A (ko) 2015-04-16 2015-04-1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09602A1 (ko)
EP (1) EP3081841B1 (ko)
KR (1) KR20160123616A (ko)
CN (1) CN1060514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54A1 (en) * 2018-09-21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WO2020262749A1 (ko) * 2019-06-24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61596B1 (ko) * 2022-08-10 2022-11-01 주식회사밸류플러스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110A (ko) * 2019-06-24 2021-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945234B1 (en) * 2020-07-28 2023-05-31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01759U (en) * 2001-03-19 2002-09-01 Compal Electronics Inc Mainbody and base module structure of computer liquid crystal display
KR100702235B1 (ko) * 2005-07-11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EP2197324A4 (en) * 2007-10-12 2012-01-18 Ergotr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SHEARS
US20100086145A1 (en) * 2008-10-02 2010-04-08 Pt. Hartono Istana Teknologi Thin loudspeaker system with separate contoured passive radiator using transmission line
JP5332795B2 (ja) * 2009-03-25 2013-11-06 船井電機株式会社 薄型表示装置
JP2012068515A (ja) * 2010-09-24 2012-04-05 Sony Corp 表示装置
CN201956006U (zh) * 2011-03-21 2011-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平板显示装置
TWI489872B (zh) * 2011-04-20 2015-06-21 Amtran Technology Co Ltd 顯示器
US9198305B2 (en) * 2013-08-12 2015-11-24 Anthony N. Smith Sound enhancing case for electronic media devices
JP2015041814A (ja) * 2013-08-20 2015-03-02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取付構造及び表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54A1 (en) * 2018-09-21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10656671B2 (en) 2018-09-21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WO2020262749A1 (ko) * 2019-06-24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687122B2 (en) 2019-06-24 2023-06-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461596B1 (ko) * 2022-08-10 2022-11-01 주식회사밸류플러스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51403A (zh) 2016-10-26
US20160309602A1 (en) 2016-10-20
EP3081841A1 (en) 2016-10-19
EP3081841B1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36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120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8000092B2 (en) Display apparatus
US7798460B2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US20050258319A1 (en) Monitor apparatus
US7320454B2 (en) Display supporting apparatus
US20050152109A1 (en) Monitor
KR20080038371A (ko) 플랫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6179650A (ja) 電子機器
US8325966B2 (en) Detachable loudspeaker structure having both audio and supporting functions
KR102451486B1 (ko) 이젤형 tv 거치대
EP2719937A1 (en) Stan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545604B1 (ko)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 구조
KR20220064261A (ko)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US20210160451A1 (en) Display device
KR20080102714A (ko) 디스플레이 기기
JP2009500666A (ja) 対応スタンドを備えたフラット画面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0528583B1 (ko)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EP3945234A1 (en) Display device
KR100589792B1 (ko) 벽걸이와 스탠드겸용 lcd모니터
KR102323485B1 (ko)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구조
JP2001268478A (ja) スピーカ内蔵のテレビ台
KR100271451B1 (ko)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JP2011075639A (ja) 画像表示装置
KR100727135B1 (ko)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