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371A - 플랫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플랫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371A
KR20080038371A KR1020087004760A KR20087004760A KR20080038371A KR 20080038371 A KR20080038371 A KR 20080038371A KR 1020087004760 A KR1020087004760 A KR 1020087004760A KR 20087004760 A KR20087004760 A KR 20087004760A KR 20080038371 A KR20080038371 A KR 20080038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s
mobile
display device
cabine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968B1 (ko
Inventor
장-미셸 폴리카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8003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8Ancillary device support associated with a video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에 관련한 것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플랫 스크린, 캐비넷(10) 그리고 제 1 및 제 2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암(15)을 포함한다: 제 1 위치에서 모바일 암(들)의 한 단부는 수평 방향을 따라서 스크린의 전면 표면에 상응하는 평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적어도 암(들)의 한 부분은 디바이스가 수평 평면(51) 상에 놓여 있을 때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50)로 스크린을 유지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위치에서, 암(들)은 스크린에 평행한 평면들 사이의 공간에 있으며 캐비넷의 전면 그리고 후면 각각에 접하게 된다.

Description

플랫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FLAT SCREE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스크린들 분야에 관련한 것이며, 보다 특정적으로 평면 상에 플랫 스크린들을, 예를 들어 액정 타입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위치시키는 것에 관련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라서, 플랫 스크린들은 벽에 장착되거나 평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은, 예를 들어, 특허 출원 US2004/0084588에 기술된다.
셋다운(set down) 위치에서 벽걸이 위치 또는 운반에 적합한 위치로의 이동은, 특히 스크린의 뒤에 부착된 지지대를 설치 및/또는 제거할 때, 복잡한 작업을 요구한다. 이 작업은 수행하기에 상대적으로 성가신 단점을 제공하며 복잡하고 및/또는 성가신 지지대를 요구한다.
특허 문서 US2005/0097797은, 디바이스 바닥에 평행한, 수평 축에서 접히거나 열리는 핸들들을 특징으로하는, 스크린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을 기술한다. 셋 다운 위치에서, 한 핸들은 전면을 향하여 위치되며 다른 핸들은 뒷면을 향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이들 디바이스들은, 이들이 셋다운 위치에 있건 또는 이들을 운반하게 해주는 핸들을 가지고 있던간에, 상대적으로 성가진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플랫-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인체공학을 향상시켜 시스템이 셋다운 또는 벽걸이 위치에서 제한된 사이즈를 가지는 반면 용이하게 셋다운 설치되거나 벽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플랫 스크린, 캐비넷 그리고 제 1 및 제 2 위치들을 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련한 것이다:
- 제 1 위치에서, 모바일 암 또는 모바일 암들의 한 최단부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스크린의 전면에 상응하는 평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며, 적어도 암 또는 암들의 한 부분이 디바이스가 수평 평면에 놓여 있을 때 현저하게 수직 위치로 스크린을 지지하기에 적합하며, 그리고
- 제 2 위치에에서, 암 또는 암들이 스크린에 평행한 평면들 사이의 공간에 있으며 캐비넷의 전면 및 후면에 각기 접한다.
특정 특성에 따라서, 디바이스는 두 개의 모바일 암들을 포함한다.
유리한 특성을 따라서, 다바이스는 모바일 암 또는 암들의 각각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스피커를 포함하며, 각 라우드스피커는 이와 연관된 모바일 암의 제 1 최단부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암에 연관된 스피커들의 각각의 높이는 현저하게 스크린의 높이와 같다.
유리하게, 스피커 각각의 정면(facade)은, 이와 연관된 암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스크린의 정면의 평면 안에 있다.
바람직한 특성에 따라서, 모바일 암들의 각각과 캐비넷은 스크린에 대해서 모바일 암들의 각각의 회전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한 특성에 따라서, 회전 수단은 지지대와 지지대 안으로 삽입된 모바일 볼 조인트를 포함하며, 볼 조인트는 지지대에 대해서 회전시 유동적이다.
바람직하게, 회전 수단은 모바일 암들 각각의 인도(guiding)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장점적 특성에 따라서, 회전 수단은 지지대와 지지대에 삽입되는 회전 축을 포함하며, 회전 축은 지지대에 대해서 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디바이스가 두 개의 암들을 포함하는 경우, 회전 수단은 유리하게 두 개의 암들이 동기적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동기(synchronisation)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동기 수단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 톱니 바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암들의 각각과 캐비넷은, 예를 들어, 정지부(stop)를 포함하는 모바일 암들의 이동(travel)의 제한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모바일 암들의 각각과 캐비넷은 제 1 및 제 2 위치에서 모바일 암들의 블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 특성에 따라서, 모바일 암들의 각각은 암의 두 개의 최단부들을 링크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모바일 암들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플레이트는 수평 평면에 놓인다.
유리하게, 스크린의 정면은 암들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뒤쪽으로 기울어지며, 지면에 놓이는 암들의 하부 면과 정면(facade)에 의해서 형성되는 각은 엄격하게 90°보다 작다.
바람직한 특성에 따라서, 모바일 암들의 각각은 스크린의 하부 부분에 링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응하는 지지대에 관련한 것이다.
다음의 기술을 읽음으로부터 본 발명은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다른 특정 특성들과 장점들도 분명해지게 될 것이다. 상기 기술은 동반하는 도면들에 참조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플랫(flat) 위치에 있을 때의 전면도, 측면도, 상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평면상에 셋다운 위치에 있을 때, 도 1 내지 도 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전면도, 측면도, 상면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지지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른 변형모드들을 도시하는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동 동안 또는 디바이스가 벽에 걸려있을 때엔 접힌 위치의,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평면(예를 들어, 테이블 또는 가구 아이템) 상에 놓일 때는 펼쳐진 위치에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모바일 암들을 포함하는, 플랫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근거한다.
따라서, 시스템이 운반 또는 매달린 위치로부터 수평 평면 상에 설치되게 될 때, 사용자는 용이하게 모바일 암 또는 암들을 펼쳐서 스크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반대로, 시스템이 수평 평면 상에 설치로부터 운반 또는 매달린 위치로 갈 경우, 사용자는 용이하게 암 또는 암들을 접을 수 있어, 디바이스가 이 구성에서 (운반에 대해) 성가시지 않게 되고 더나아가 매달기 용이하게 된다. 이 아키텍처는 사용자에게 설치의 선택에 있어서 유연성을 제공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모드에 따라 플랫 위치에서의 또는 접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개략적 전면도를 도시하며, 이 위치는 용이한 운반(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낮은 성가심)을 가능하게 해주며 및/또한 수직 벽에 매다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셋 또는 컴퓨터 모니터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다음을 포함한다:
- 정면에서 플랫 스크린(11)을 둘러싸는 캐비넷(10)
- 두 개의 측면 라우드스피커(12, 13).
접힌 위치에서, 캐비넷(10)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라우드스피커들(12,13)은 캐비넷(10)에 인접한다. 따라서, 디바이스들의 성가심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변형 실시모드에서, 스피커들은 캐비넷(10)보다 덜 높으며, 이들의 높이는 바람직하게 캐비넷(10)의 높이의 절반보다 크다.
본 발명의 변형에 따라서, 라우드스피커들은 캐비넷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를 가진다. 특히, 이들은 캐비넷의 높이보다 덜한, 예를 들어 80에서 90mm 사이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플랫 스크린(101)은, 예를 들어, LCD 스크린 또는 플라즈마 타입 스크린 이다. 디바이스는 또한 저 두께의 오버헤드 프로젝터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 따라서, 캐비넷(1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스피커들을{예를 들어 베이스(bass) 전용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들} 스크린 아래에 포함한다.
도 2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0)은 그 후면 부분 상에 커버(14)를 포함하며, 이는,특히, 스크린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기 부분들, 전원 그리고 커넥터들(전원, 오디오/비디오 연결 케이블들)을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디바이스(1)는 또한 모바일 암들(15, 16)을 포함한다. 도 2에 있는 원안에서, 캐비넷(10)의 하부 부분의 확대 단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부분은 특히 모바일 암들(15, 16)이 숨겨질 수 있도록 해주는 정면 상의 돌출 엘리먼트(101), 바람직하게 연속적이며 커버(14)의 하부 면에 접하고 암들(15, 16)이 펼쳐졌을 때 디바이스(1)가 지면 상에 놓일 수 있게 해주는 하부 면(102)을 포함한다.
접힌 위치에서, 모바일 암들(15, 16)은 스크린(11)에 평행하며 전면(190){또는 스크린(11)의 정면{facade})와 캐비넷{또는 커버(14)}의 뒷면(191)에 각각 접하는 두 개의 평면들 사이에 있다.
본 발명의 변형에 따라서, 암들(15, 16) 및/또는 라우드스피커들은 디바이스가 벽에 매달려있을 때 암들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지지수단은, 예를 들어, 암들 각각의 모바일 최단부 근처 및/또는 라우드스피커들의 상부에 위치된 럭(lug) 타입의 그리고 예를 들어 캐비넷(12) 또는 커버(14)에 부착된 럭(lug)에 고정된 기계적 수단이다. 이는 또한 암들의 모바일 최단부 및/또는 라우드스피커들의 상부 및/또는 커버 또는 캐비넷 근처에 위치된 자석 수단(예를 들어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수단 또는 비슷한 수단은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매달려 있거나 또는 운반되는 동안 접힌 위치에서 암들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디바이스(1)의 상면도이다. 암들 중 하나는 캐비넷(10)과 연관된 링크 메커니즘(17)을 스피커들(12, 13)의 하나에 연결하는 단단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접힌 위치에서 링크 메커니즘(17)과 암들(15, 16)은 캐비넷(10)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며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다.
스피커들(12, 13)은 단단한 방식으로 암들(15, 16) 각각에 고정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들(12, 13)의 각각의 정면은 이와 연관된 암이 접힌 위치에 있을 때 스크린(11)의 정면의 평면에 있다.
수평 평면 상에 셋다운 위치의 디바이스(1)를 도시하는 도 4 내지 도 6에 따라서, 모바일 암들(15, 16)은 접힌 위치에 대해서 각 (β)만큼 뒤쪽으로 펼쳐지며, 암들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스크린으로부터 멀어져서, 펼쳐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또는 반대로 가게 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현저하게 수평 평면 상에서의 사용의 모드에서, 캐비넷(11)의 베이스와 모바일 암들(15, 16)은 지면에 놓인다. 캐비넷 뒤에 위치되는 라우드스피커들은, 이들의 중량으로 인해, 디바이스(1)의 무게 중심이 뒤쪽으로 이동하게 해서 수평 평면 상에 놓이는 디바이스의 안정성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더나아가, 접힌 위치에서, 모바일 암들(15, 16)은 시청자들이 볼 수 없게 하는 식으로 유닛(11)의 정면 뒤에 위치되며, 이는 디바이스(1)의 인체공학을 향상시켜주고 캐비넷이 모바일 암들이 열릴 때 평면 상에 놓여서 남겨져 있도록 허용해준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암들(15)이 펼쳐질 때, 캐비넷의 정면은 수직 평면(50)에 대해서 각(α)으로 약간 기울어져, 디바이스가 수평 평면(51) 상에 셋다운 될 때 디바이스(1)의 안정성을 향상시켜준다. 이 현저하게 수직인 위치는 게다가 스크린 전면에 위치한 시청자가 알맞은 사야를 가질 수 있게 해주는 안락 위치(a position of comfort)에 상응한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암들(15, 16)은 음향 시그널들을 전송하는 링크 케이블 그리고 가능하게 스피커들(12, 13)의 각각에 캐비넷(10)의 전원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이들 케이블들은 인체공학적 및/또는 구현의 용이성 때문에 모바일 암들(15, 16)안으로 삽입된다.
유리하게, 모바일 암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암들의 이동이 제한되게 해주거나 및/또는 펼쳐진 위치에서 암들의 지지를 향상시켜 주는 럭(lug)(150)을 포함하며, 커버(14) 및/또는 캐비넷(10)은 럭(150)에 대해서 정지한다. 상기 럭은 충분히 작아서 모바일 암들이 펼쳐질 때 모바일 암들(15, 16)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며, 가능하게 접힌 위치로 이들이 돌아올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 암들(15, 16)의 각각 및/또는 캐비넷은 펼쳐진 위치 및/또는 접힌 위치에서 암들의 블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블로킹 수단은, 예를 들어 암들의 각각에 위치된 클립, 럭 또는 슬롯 타입으로, 기계적일 수 있으며, 두 개의 암들은 이들의 각기 모바일 최단부가 근접할 때 펼쳐진 위치에서 닫히게 되며, 이들 블로킹 수단은 결합된다 (이 경우, 암들은 펼쳐진 위치에서 연결된다). 변형에서, 캐비넷은 또한 암들이 펼쳐질 때 이들 암들의 블로킹 수단과 연관된 블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또한 자석 수단(예를 들어,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수단은 선택적이며, 캐비넷(10)과 커버(14)의 중량이 펼쳐진 위치에서 암들을 지지하는 것을 돕게된다.
이 블로킹 수단 또는 비슷한 수단은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매달려 있거나 운반 중일 때 접힌 위치에서 암들을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도 7은 캐비넷(10)과 스피커들(12, 13)의 사시도 이며, 상기 지지대는 암들(15, 16) 뿐만 아니라 링크 메커니즘(17)을 포함한다.
암(15, 16)은 다음을 포함한다:
- 지면 상에 놓이도록 디자인되고 그의 자유 최단부가 예를 들어 나사 또는 접착제 타입의 스피커(12, 13)를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플레이트(150, 160)와
- 플레이트(151, 161).
링크 메커니즘(17)은 다음을 포함한다:
- 플레이트(150)와 동일한 두께의 지면 상에 놓이도록 디자인된 플레이트(170),
- 플레이트(171),
- 플레이트(170), 플레이트(151, 161), 플레이트(171)가 성공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151, 161)가 그 주위로 피봇할 수 있는, 실린더형태 부분(172),
- 실린터형태 부분(171)에 일체형이며 캐비넷(10)이, 예를 들어, 나사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직사각 부착 플레이트(173).
플레이트(151, 161)의 회전축(18)은 암들에 수직이다; 회전축(18)은 암들이 펼쳐질 때 스크린(11)의 정면에 평면에 대해서 기울어진다. 따라서, 암들(15, 16)이 접힐 때, 이들의 베이스는 캐비넷(10)의 바닥에 인접하며 이들이 (수평 평면을 따라서) 스크린(11)의 평면과 각 (β)로 펼쳐질 때, 스크린은 각(α)으로 바람직하게 2°에서 6°사이로 보다 더 바람직하게 4°로 뒤쪽으로 기울게 된다.
예시로서, β는 30°이며 바람직하게 25°에서 45°사이이다.
캐비넷(10)의 깊이는, 예를 들어, 26"의 스크린(11)에 대해서 40 mm이다. 플레이트(151, 161)의 각각의 폭은 캐비넷의 깊이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30mm이고 바람직하게 25에서 40 cm 사이이다; 이들의 두께는, 예를 들어, 5mm와 같으며 바람직하게 5에서 8mm사이이다; 이들 디멘전들은 알맞은 강도와 안정성이 제공될 수 있게 해준다. 플레이트(151, 161)의 길이는 캐비넷(10)의 폭에 의존하며 축(18)과 플레이트들의 자유 최단부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 스피커(12, 13)의 폭이 더해지는 캐비넷(10)의 폭의 절반보다 작아서, 스피커(12, 13)가 접힌 위치에서 캐비넷(10)에 인접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들의 두께는 스크린의 비율(proportion)에 의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큰 사이즈의 스크린에 대해서 플레이트들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10mm 보다 작거나 같다.
플레이트(151, 161)는, 예를 들어, (가능하게 보다 단단한 코어를 가진)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진다. 따라서, 지지대는 상대적으로 경제적이며 제조하기에 단순하여, 종래 기술의 지지대들과 비교하여 제조 비용에 있어서 상당한 감소를 허용해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모드에 따라서, 플레이트(151, 161) 및/또는 링크 메커니즘(17)은 밸러스트되어 있어, 디바이스가 평면 상에 셋다운 위치에 놓여 모바일 암들이 열려 있을 때 디바이스(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및/또는 스크린(11)의 기울기 각(α)이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 8 과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의 접힌 위치에서의 전면도와 상면도이다.
디바이스(1, 2)는 기본적으로 이들의 모바일 암들에서 상이하며 디바이스(1, 2)에 공통인 다른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며 더 이상 기술되지 않는다.
디바이스(2)의 모바일 암들(25, 26)은, 실제로, 디바이스(1)의 모바일 암들(15, 16)보다 더 길다. 따라서, 스피커들(12, 13)은 캐비넷(10)으로부터 (예를 들어 8cm 만큼 그리고 바람직하게 5에서 15cm 사이)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2)의 음향이 특히 모바일 암들이 펼쳐져있을 때 향상되게 해준다.
접힌 위치에서, 모바일 암들(25, 26)은 스크린에 평행하고 캐비넷 {또는 커버(14)}의 전면(front) {또는 스크린의 정면(facade)} 그리고 뒷면에 각각에 접하는 두 개의 평면들 사이에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를 도시하는 전면도이다.
디바이스(1, 2)와 대조하여, 디바이스(3)는 암들(35, 36)의 각각에 고정된 모바일 스피커를 가지지 않는다{디바이스(3)는 어떤 라우드스피커도 가지지 않으며 이들은 캐비넷 안에 만들어져 있다). 디바이스(1, 2, 3)에 공통인 다른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이름과 참조 번호를 가지며 더 이상 자세하게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암들(35, 36)은 도 10에서 암들(15, 16)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하게, 이들은 캐비넷(10)의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들의 축(18)과 이들의 자유 최단부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캐비넷(10)의 절반-폭보다 작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를 도시하는 측면 도이다.
이 변형에 따라서, 모바일 암들(45, 46)은 캐비넷(40)의 상부 부분 상에 위치된 링킹 메커니즘에{이 메커니즘은 더나아가 이전에 기술된 링킹 메커니즘(17)과 유사하다} 의해서 캐비넷(40)에 연결된다. 모바일 암들(45, 46)은 각각 라우드스피커들(42, 43)을 각각 왼쪽 오른쪽에서 지지하며, 라우드스피커들의 각각의 상부 부분은 한 모바일 암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바일 암들(45, 46)이 펼쳐질 때, 이들은 디바이스(4)가 수평 평면에 놓일 때 스크린을 현저하게 수직인 위치(그리고 바람직하게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각 α로 약간 뒤쪽으로 기울어진 위치)에서 지지하며, 캐비넷(40)과 스피커들(42, 43)의 하부 부분은 평면 상에 놓이고 조립체의 안정성을 제공해주게 된다.
접힌 위치에서, 모바일 암들(45, 46)은 스크린에 평행하고 캐비넷 {또는 커버(14)}의 전면 {또는 스크린의 전면(facade)} 그리고 뒷면에 각각에 접하는 두 개의 평면들 사이에 있다.
변형에 따라서, 모바일 암들은 캐비넷의 상부 부분 또는 중간 부분에 고정되며 스피커들이 설치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이들은 (예를 들어 구부러지거나, 또는 수평 평면에 대해서 직선이며 경사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수평 평면에 놓일 때, 이들의 자유 최단부가 또한 이 평면에 놓이는데(캐비넷의 베이스 또한 이 평면에 놓이는) 적합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이 변형에 따라서, 모바일 암들(52, 53)의 각각은 링킹 메커니즘(50, 51)각각에 의해서 캐비넷(50)의 하부 부분에 연결된다. 링킹 메커니즘(50, 51) 모두는 {예를 들어 모바일 암들(52, 53)의 두 개의 회전축들을 연결하는 플레이트(170, 171)와 유사한 링크 플레이트를 가진 메커니즘(17)과 유사한} 바람직하게 서로 맞물려서 두 개의 암들의 동기된 움직임을 제공하는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노치형 휠 유사한 메커니즘인) 서로 맞물린 톱니 타입의 동기 수단(500, 510)을 포함한다. 따라서, 한 사람에 의해서 다루어져, 암들이 접혀진 위치로부터 암들이 펼쳐진 위치로의 (또는 반대로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유리하게, 링킹 메커니즘들은 암들의 이동을 앞 및 뒤쪽 각각으로 제한하는 정지부들을 포함한다{이들 정지부들은 예를 들어 링킹 메커니즘들의 섹션에 위치된 그리고 암들의 이동을 반대편 메커니즘(50, 51)에 대해서 압착함에 의해서 제한하는 돌출한 엘리먼트들이다}.
바람직하게, 암들(50, 51)의 각각 및/또는 캐비넷은 펼쳐진 및/또는 접힌 위치에서 암들의 블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블로킹 수단은, 예를 들어, 각 암에 위치한 러그 또는 슬롯 타입의, 기계적이며, 두 개의 암들은 이들의 각각의 모바일 최단부가 근접할 때 펼쳐진 위치에서 블록되며, 이들의 블로킹 수단은 결합하게 된다(이 경우, 암들은 펼쳐진 위치에서 연결된다). 변형에서, 캐비넷은 또한 이들 암들이 펼쳐져 있을 때 암들의 블로킹 수단과 연관되는 블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또한 자석 수단(예를 들어, 자석)을 포함한다. 이들 블로킹 수단 또는 유사 한 수단은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매달려 있거나 운반 중에 접힌 위치에서 암들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접힌 위치에서, 모바일 암들(52, 53)은, 스크린에 평행하고 캐비넷 {또는 커버(14)}의 전면 {또는 스크린의 정면(facade)} 그리고 뒷면에 각각에 접하는 두 개의 평면들 사이에 있다.
변형에 따라서, 메커니즘(50, 51)은 노치형 휠 메커니즘에 의해서 링크되지 않으며 서로로부터, 예를 들어 0에서 10cm 사이의 거리 만큼 떨어져 있다. 이 경우, 메커니즘(50, 51)은 단일 모바일 암을 수용하도록 적용되어 메커니즘(17)에 유사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이 변형에 따라서, 디바이스(6)는 단지 단일 모바일 암(60)을 포함하며, 모바일 암은 {디바이스(5)에 상응하는 메커니즘과 유사한} 링킹 메커니즘(50)에 의해서 캐비넷(61)의 하부 부분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암(60)은 어떤 라우드스피커도 지지하지 않는다. 암은 또한 캐비넷(61)의 수직 중앙(median) 평면에 대해서 중심 이탈된다(off-centered).
접힌 위치에서, 모바일 암(60)은, 스크린에 평행하고 캐비넷 {또는 커버(14)}의 전면(front) {또는 스크린의 정면(facade)} 그리고 뒷면에 각각에 접하는 두 개의 평면들 사이에 있다.
자연히, 본 발명은 이전에 기술된 실시모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당업자는 모바일 암들이 펼쳐져 있을 때 스크린이 뒤로 기울지 않고 반대로 암들이 펼쳐져 있을 때 주어진 평면에 평행으로 머무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 따라서, 스크린은 암들이 펼쳐지고 수평 지면에 놓일 때 (다른 말로 스크린이 암들이 놓인 평면에 수직일 때) 수직으로 남아있는다. 이 경우, 암들이 스크린에 평행한 축 주위로 유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더나아가, 본 발명은 LCD 타입의 스크린을 부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30에서 50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모든 플랫 스크린들에 관련한 것이다.
더나아가, 본 발명은 LCD 타입의 스크린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부착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100mm보다 작거나 같은 전반적인 깊이를 가자며, (커버를 제외한) 캐비넷의 깊이가 일반적으로 50mm 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플랫 스크린 디바이스들에 관련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작은 깊이(예를 들어 12mm 또는 심지어 8mm인)를 가지는 모니터 타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련한 것이다. 이는 특히 운반이 용이해지기 때문에(감소된 성가심으로) 랩탑 컴퓨터용 시각 시스템에 대해서 유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축과 지지대 부분들에 제한되지 않는 링킹 메커니즘을 가지는 캐비넷과 연관된 모바일 암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 관련한 것이며, 모바일 암들은 이 축 주변으로 피봇한다. 특히, 본 발명은 암들의 각각과 캐비넷 사이의 링크가 볼 조인트와 그 지지대의 수단으로 만들어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련한 것이며, 암의 움직임은 캐비넷에 및/또는 커버에 부착된 특정 수 단에 의해서 인도된다. 따라서, 스크린의 뒤쪽으로 기우는 움직임은 암이 펼쳐질 때 상대적으로 연속적이며 부드럽다. 볼 조인트가 암들의 각각과 연관되어 있고 지지대가 캐비넷과 연관되어 있어 (또는 변형에 따라서, 지지대가 암들의 각각과 연관되며 적어도 하나의 볼 조인트가 캐비넷과 연관되어 있어), 상응하는 지지대에 삽입되는 각 볼 조인트는 회전시 유동적이다.
적어도 하나의 볼 조인트를 구현하는 또 다른 변형에 따라서, 캐비넷의 바닥은, 스크린이 암들에 수직으로 남아있으면서 암 또는 암들을 뒤쪽으로 미끄러지게 하도록 그리고 펼쳐진 위치의 암 또는 암들이 한계를 넘을 때 (조립체의 안정성 및/또는 시청자의 시각적 편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스크린을 작은 각 만큼 뒤쪽으로 기울이도록 프로파일되어 있다 (캐비넷의 프로파일은 따라서 또한 암들의 이동이 제한되고 암들이 펼쳐진 위치에서 블록되게 해준다).
본 발명은 또한 디바이스에 연결된 엘리먼트들이 적어도 암들의 하나의 최단부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관련한 것이다; 상기 엘리먼트들은, 예를 들어, 수직 드로어(drawer)를 가진 DVD 플레이어, 디바이스의 제어 유닛(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텔레비전 셋일 경우 사운드의 볼륨 세팅 또는 채널 선택), 원격 장치에 정보를 보내거나 및/또는 받기위한 수단(예를 들어,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링크된 적외선 또는 고주파수 헤드셋을 위한 트랜스미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관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스크린이 얇거나 및/또는 커버가 없거나 또는 스크린의 깊이가 감소될 경우 암들의 최단부에 오프셋된 컴포넌트들)이다.
또 다른 변형에 따라서, 라우드스피커들이 장착된 모바일 암들은 암들이 펼 쳐질 때 시청자들에게 음향의 더 나은 복원(restitution)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망원경처럼 접혀질(telescopic)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에 따라서, 암들의 단면은 평범하며, 예를 들어, 실린더 또는 반실린더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암들은 이들이 펼쳐진 위치에 있을 때 지면 상에 놓이는 평범한 단면을 가지는 연장된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스크린들 분야에 관련한 것이며, 보다 특정적으로 플랫 스크린들을, 예를 들어 액정 타입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평면 상에 위치시키는 것에 관련한 것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하다.

Claims (20)

  1. 플랫 스크린(11)과 캐비넷(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내지 6)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제 1 및 제 2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암(arm)(15, 16, 25, 26, 45, 52, 53, 60)을 더 포함하며,
    - 제 1 위치에서, 상기 모바일 암 또는 암들의 한 최단부가 디바이스가 수평평면(51)에 놓여 있을 때 수평 방향에 따라서 스크린의 전면(190)에 상응하는 평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적어도 암 또는 암들의 한 부분이 현저하게 수직 위치로 스크린을 지지하기에 적합하고
    - 제 2 위치에서, 상기 암 또는 암들이, 상기 스크린에 평행하고 상기 캐비넷의 전면(front)(190)과 뒷면(191)에 각각 접하는 평면들 사이의 공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두 개의 모바일 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암 또는 암들의 각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 13, 42)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들 각각은 그와 연관된 모바일 암의 제 1 최단부(expremity)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 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모바일 암과 연관된 상기 스피커들의 각각의 높이가 현저하게 상기 스크린의 높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들의 각 하나의 정면(facade)이 그와 연관된 암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크린의 정면(facade)의 평면 안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암들의 각각과 캐비넷이 상기 스크린에 대해서 상기 모바일 암들의 각각의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회전 수단이 지지대와 지지대에 삽입된 모바일 볼 조인트를 포함하며, 볼 조인트는 지지대에 대해서 회전상으로 유동성을(mobile in rotation)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회전 수단이 모바일 암들의 각각의 인도(guiding)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6항에 있어서, 회전 수단이 지지대와 지지대에 삽입되는 회전 축(18)을 포함하며, 회전 축은 지지대에 대해서 회전상으로 유동성을(mobile in rotation)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암들의 각각과 캐비넷이 상기 스크린에 대해서 상기 모바일 암들의 각각의 회전 수단을 포함하며 회전 수단은 두 개의 암들이 동기적 방식으로 움직이는 회전의 동기 수단(500, 5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수단이,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인 톱니 바퀴를(partly toothed wheel)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암들의 각각과 캐비넷이 상기 모바일 암들의 이동(travel)의 제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암들의 이동(travel)의 상기 제한 수단이 정지부(sto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암들의 각각과 캐비넷이 제 1 및/또는 제 2 위치에서 상기 모바일 암들의 블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암들의 각각이 상기 암의 두 개의 최단부를 링크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암들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수평 평면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스크린의 정면(facade)은 상기 암들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뒤쪽으로 기우며(tilted), 지면 상에 놓이는 암들의 하부 면과 정면(facade)에 의해서 형성되는 각이 엄격하게 9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암들의 각각이 스크린의 하부 부 분에 링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컴퓨터 모니터들과 텔레비전 셋들을 포함하는 그룹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 위치에서, 적어도 암 또는 암들의 한 부분이, 디바이스가 수평 평면 상에 놓여 있을 때, 수직에 대해, 2°에서 6° 사이의 각의 기울어진 위치에서 스크린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 위치에서, 상기 모바일 암 또는 암들의 한 최단부가 스크린 정면(front face)에 대응하는 평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며, 암들은, 디바이스가 수평 평면상에 놓여 있을 때, 수평 평면을 따라서 25°에서 45° 사이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스크린과 캐비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087004760A 2005-09-01 2006-08-24 플랫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320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52651A FR2890150A1 (fr) 2005-09-01 2005-09-01 Dispositif d'affichage a ecran plat
FR0552651 2005-09-01
PCT/EP2006/065655 WO2007060039A2 (fr) 2005-09-01 2006-08-24 Dispositif d'affichage a ecran pl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371A true KR20080038371A (ko) 2008-05-06
KR101320968B1 KR101320968B1 (ko) 2013-10-22

Family

ID=3657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760A KR101320968B1 (ko) 2005-09-01 2006-08-24 플랫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60494B2 (ko)
EP (1) EP1920184B1 (ko)
JP (1) JP5144517B2 (ko)
KR (1) KR101320968B1 (ko)
CN (1) CN101253360B (ko)
FR (1) FR2890150A1 (ko)
WO (1) WO20070600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1059A (ja) 2013-03-26 2014-10-06 Sony Corp 表示装置
TWI595350B (zh) * 2015-12-18 2017-08-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設備
US20190041905A1 (en) * 2017-08-07 2019-02-07 Walmart Apollo, Llc Ergonomic monitor bracket
TWI641303B (zh) * 2017-10-20 2018-11-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US10524033B2 (en) * 2018-04-30 2019-12-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andable enclosure for electronic device resonance box
CN108937255B (zh) * 2018-07-30 2020-11-27 惠州市福亮家具有限公司 一种智能家具用底座
CN115116323A (zh) * 2021-03-17 2022-09-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5615A (en) * 1946-04-30 1950-04-25 Glass Gerard Hand mirror
US4955873A (en) * 1988-05-06 1990-09-11 Pfizer Hospital Products Group, Inc. Stabilizing support stand
JPH0272084U (ko) * 1988-11-22 1990-06-01
CA1293954C (en) * 1989-07-26 1992-01-07 Bonnie Helmer Earring organizer
JPH08204348A (ja) * 1995-01-20 1996-08-09 Fujitsu General Ltd 機器の脚体装置
US5852545A (en) * 1995-05-24 1998-12-22 Dell Usa, L.P. Detachable electrical and mechanical mounting mechanism for snap mounting computer speakers
KR19990044066A (ko) * 1995-09-02 1999-06-25 에이지마. 헨리 패널형 음향방사 소자를 구비한 라우드스피커
FR2738468B3 (fr) * 1995-09-13 1997-11-14 Aske Sitzmobelfabrik Gmbh Embase de pietement repliable pour table ou support analogue
US6324052B1 (en) * 1996-09-03 2001-11-27 New Transducers Limited Personal computing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panel loudspeaker
KR19980072823A (ko) * 1997-03-08 1998-11-05 김광호 스피커 장착장치와 스피커 장착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JPH10333594A (ja) * 1997-05-29 1998-12-18 Nec Corp 薄型表示装置用台座
US5880928A (en) * 1997-06-13 1999-03-09 Ma; His-Kuang Notebook computer with audio and video effects
JPH11102234A (ja) * 1997-09-29 1999-04-13 Sony Corp 電子機器
US6040978A (en) * 1997-11-26 2000-03-21 Gateway 2000, Inc. Portable computer having folding speakers
US6151401A (en) * 1998-04-09 2000-11-2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lanar speaker for multimedia laptop PCs
JP2000221922A (ja) * 1999-01-28 2000-08-11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034179A (ja) * 1999-07-19 2001-02-09 Canon Inc 表示装置のスタンド
JP2001117671A (ja) * 1999-10-15 2001-04-27 Nec Yonezawa Ltd 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TW484716U (en) * 2000-01-28 2002-04-21 Hon Hai Prec Ind Co Ltd Rotating shaft structure
JP2002044568A (ja) * 2000-07-26 2002-02-08 Sharp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158944A (ja) * 2000-09-07 2002-05-31 Canon Inc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周辺機器
US6794798B2 (en) * 2001-03-30 2004-09-21 Taiyo Yuden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mploying piezoelectric speaker
JP2003015773A (ja) * 2001-06-06 2003-01-17 First Internatl Computer Inc 折りたたみ式スピーカ装置を有するノート型コンピュータ
TW543017B (en) 2002-09-20 2003-07-21 Benq Corp Monitor with changeable stand
JP4491199B2 (ja) * 2003-04-09 2010-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7493177B2 (en) * 2003-05-05 2009-02-17 Microsoft Corpor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improved lighting and notifications in a computing system
JP2005100042A (ja) * 2003-09-24 2005-04-14 Toshiba Corp 電子機器
TWI223221B (en) * 2003-11-07 2004-11-01 Benq Corp Display set
US7251125B2 (en) * 2004-03-17 2007-07-31 Heckerman Donald A Flat screen display stand
US20060028791A1 (en) * 2004-08-03 2006-02-09 Tatung Co., Ltd. Mobile computer and peripheral device arrangement
US7140584B2 (en) * 2004-09-01 2006-11-28 Raymond Bourque Speaker support bracket for a monitor
TWM267764U (en) * 2004-10-07 2005-06-11 Hannspree Inc Display having electronic device attached
TWM262776U (en) * 2004-10-08 2005-04-21 Hannspree Inc Display and electric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60039A3 (fr) 2007-07-05
US7760494B2 (en) 2010-07-20
JP5144517B2 (ja) 2013-02-13
FR2890150A1 (fr) 2007-03-02
EP1920184A2 (fr) 2008-05-14
CN101253360B (zh) 2011-05-11
JP2009507408A (ja) 2009-02-19
WO2007060039A2 (fr) 2007-05-31
EP1920184B1 (fr) 2017-10-04
CN101253360A (zh) 2008-08-27
KR101320968B1 (ko) 2013-10-22
US20090308997A1 (en)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968B1 (ko) 플랫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A2497543C (en) Support for one or more flat panel displays
US6807050B1 (en) Configurable image display with integral docking station
US7738245B1 (en) Display mount
US7213792B2 (en) Height adjustable and pivotable monitor assembly
JP2022518795A (ja) 形態変化可能な対話型情報端末
EP1728951A1 (en) Support for multiple displays
US8120897B2 (en) Television with folding stand
US6918562B2 (en) Device for combin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displaying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US8390996B2 (en) Display device
US20180356027A1 (en) Display apparatus
JP5385293B2 (ja) 可変式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152109A1 (en) Monitor
JP2014132343A (ja) 支持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TW201332355A (zh) 平板式顯示裝置之支撐架結構
JP2007013241A (ja) 壁面可動テレビ装置
KR100860030B1 (ko)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US20090296332A1 (en) Flat-Screen Display System With Corresponding Sleeves
EP3407597B1 (en) Display stand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090123543A (ko) 책상겸용 텔레비전
JP3568802B2 (ja) カメラ装置
EP3945234B1 (en) Display device
CN217519568U (zh) 显示装置
GB2453364A (en) Mounting of loudspeakers with television displays
EP2184528B1 (en) Supporting stand for multimedia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