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596B1 -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 Google Patents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596B1
KR102461596B1 KR1020220100117A KR20220100117A KR102461596B1 KR 102461596 B1 KR102461596 B1 KR 102461596B1 KR 1020220100117 A KR1020220100117 A KR 1020220100117A KR 20220100117 A KR20220100117 A KR 20220100117A KR 102461596 B1 KR102461596 B1 KR 102461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estaurant
support
coupling groove
lar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밸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밸류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밸류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100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100) 광고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서버에 광고 의뢰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A advertisements business model by installing displays}
본 발명은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것이다.
눈부신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은 산업, 문화, 생활, 소비, 소통 등 모든 영역에서 인류를 발전시키고 있다. 네트 워크에 속한 모든 인적 물적 자원들은 인터넷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종 유무선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자연스럽게도, 방대한 정보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되고 소비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이 정보를 어떻게 생산하고 제공할지에 대한 노력과, 다른 한편으로는 방대한 정보 통신환경을 어떻게 이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것인지에 대한 노력이 있어왔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들은 새로운 비즈니스들을 속속 선보여 왔다. 이러한 기술 발전에 기초하여, 국가와 기업은 정보 통신의 공간적 제한을 없애거나 최소화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향한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기술은 다양한 표준을 선보이면서, 고속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보 통신의 시간적인 제한도 극복해 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광고 방법도 다양하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광고는 광고를 수행하는 매체에 의존하는 속성이 있기 때문에, 광고 방법의 발전도 매체의 발전에 의존하여 발전하게 된다. 근래의 새로운 매체는 인터넷과 모바일 단말이 대표적이며, 전자는 온라인 광고를 후자는 다양한 방식의 모바일 광고를 선보였다. 그렇 다고 해서 전통적인 방법의 오프라인 광고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오히려, 디지털 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새 로운 기법의 오프라인 광고도 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고찰해 본다.
모든 기업은 자신의 제품과 서비스를 더욱 많은 사람에게 알리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기업은 시장에서 광고주로 등장한다. 광고주는 효과적인 광고를 위하여 다양한 매체의 이용을 고민하고, 다양한 광고대행자들이 등장하였다. 대중들이 많이 보이는 위치에 입간판을 세우거나 광고지를 벽이나 교통수단에 붙임으로써 지나가는 근거리의 행인들의 시선에 호소하거나, 시선이 잘 확보되는 위치에 광고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광고함으로써 원거 리의 행인들의 시선을 끄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 LCD 패널 기술의 발전과 보급에 따라서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패널을 통해 뉴스정보와 다양하게 세팅된 광고 정보를 공공장소에서 실시간으로 방송하기도 한다. 이는 마치 TV 광고와 같은 효과를 내는 것이다. 위와 같은 광고 방법들은 대중들을 대 상으로 하는 오프라인 광고 방법의 전형적인 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기술의 발전을 통해서 온라인을 이용한 광고 방법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포털 페이지의 화면 중 어느 부분을 점유하여 광고를 하는 방법과, 키워드 검색 광고가 대표적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광고 방법은 대중 공간에서의 불특정 대중을 대상으로 한다. 반면에, 온라인 광고 기법은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자신의 PC나 노트북의 화면에서 일련의 행위를 할 때, 그 사용자의 단말 화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보다 직접적이며, 밀접하며, 계기가 있다. 즉 어느 정도 광고대상이 특정되는 장점이 있다. 온라인을 이용한 광고 방법의 이와 같은 장점은,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는 인터랙티브한 인터넷 자체의 특성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대중 공간을 이용한 오프라인 광고 방법은 단지 지나가는 행인을 광고의 "대상"으로만 설정함으로써, 행 인의 시선을 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광고 제작자는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선정적이거나 자극적인 방법으로, 행인의 시선을 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했다. 행인들은 그 광고물을 인식하지 못하 고 쉽게 지나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많은 곳에 광고물을 부착(설치)해야 하거나, 또는 보다 효과적인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 때문에, 광고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대중 공간을 이용한 오프 라인 광고 방법은, 행인들을 직접 유인할 수 있는 계기가 없기 때문에, 행인들의 "우연한 관심"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광고 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추산할 수도 없었다.
따라서, 대중음식점과 같은 고객이 일정 시간 이상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에서 효과적으로 광고를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광고주인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용률이 높은 업장에서 효과적으로 광고할 수 있고, 대중음식점 점주 입장에서는 대형 디스플레이 설치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월 일정금액의 광고비를 지급받을 수 있고, 업장의 메뉴까지 함께 소개할 수 있으므로 매출액을 더 높일 수 있는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S100) 광고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서버에 광고 의뢰를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S200) 광고가 송출되는 대중음식점이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서버에 대형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도록 장소를 제공하는 단계; (S300)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광고가 송출되는 대중음식점 리스트를 사용자측에 제공하는 단계; (S40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중음식점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실시간으로 광고 및 콘텐츠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쇼핑몰 연동되는 콘텐츠, 대중음식점 홍보 콘텐츠, 대중음식점 메뉴 소개 콘텐츠, 대중음식점 SNS 소개 콘텐츠, 고객 참여 콘텐츠, 함께 하는 게임을 통한 할인 제공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대중음식점의 점주에게 브랜드 인지도, 평균 고객 이용량, 평균 매출액, 평균 광고 송출 시간을 고려하여 월 단위로 광고비를 지급하고,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대중음식점에 무상으로 임대하고, 업소 대표메뉴, 세트메뉴를 소개하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상기 대중음식점에 무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는, 스탠딩형으로 설치되어 하부에서 지지기둥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기둥과 끼움결합하여 바닥과 상기 지지기둥을 동시에 지지하는 바닥지지체에 의해 한번 더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기둥은, 상단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지지체는,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사각기둥 형상의 바닥기둥; 및 상기 바닥기둥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기둥과 결합하는 결합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기둥은,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의 측벽에 접촉되는 횡단면은 상기 바닥지지체에 대한 상기 지지기둥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지지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홈; 상기 제1 결합홈의 상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홈; 및 상기 제2 결합홈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지지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최상단부와 맞닿아 있는 일출입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기둥 혹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기둥에 고정되어 있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상면에서 완충부와 인출입부의 설치를 위해 배치되는 설치부;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부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완충부; 및 상기 설치부와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설치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광고주인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용률이 높은 업장에서 효과적으로 광고할 수 있고, 대중음식점 점주 입장에서는 대형 디스플레이 설치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월 일정금액의 광고비를 지급받을 수 있고, 업장의 메뉴까지 함께 소개할 수 있으므로 매출액을 더 높일 수 있는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비즈니스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와 지지기둥 및 바닥지지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디스를레이의 뒷판과 뒷판클리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비즈니스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와 지지기둥 및 바닥지지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디스를레이의 뒷판과 뒷판클리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600)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10)은, 광고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100)가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광고 의뢰를 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중음식점(300)에 대형 디스플레이(600)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10)은, 광고가 송출되는 대중음식점(300)이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서버에 대형 디스플레이(600)가 설치되도록 장소를 제공하는 단계(S200);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상기 광고가 송출되는 대중음식점 리스트를 사용자측에 제공하는 단계(S300); 사용자(100)에 의해 선택된 대중음식점(300)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600)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실시간으로 광고 및 콘텐츠를 송출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100 단계에서는, 광고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100), 즉 광고주가 서비스 제공자에게 마케팅을 의뢰할 수 있고, 이는 일반적인 광고 의뢰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200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대형 디스플레이(600)가 설치될 장소인 대중음식점(300)을 마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사정을 고려하여 물색하고 선정하게 되고, 선정된 대중음식점(300)은 업장 내 광고를 위한 대형 디스플레이(600) 설치 동의를 하고 설치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S300 단계에서는,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제공서버(200)를 통해 광고주인 사용자(100)에게 S200 단계에서 선정된 대중음식점(300)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광고를 송출할 업장을 선택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S400 단계에서는, S3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최종 선택한 대중음식점(300)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600)로 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실시간으로 광고 및 콘텐츠를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는,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쇼핑몰 연동되는 콘텐츠, 대중음식점 홍보 콘텐츠, 대중음식점 메뉴 소개 콘텐츠, 대중음식점 SNS 소개 콘텐츠, 고객 참여 콘텐츠, 함께 하는 게임을 통한 할인 제공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쇼핑몰 연동되는 콘텐츠의 경우, 대형 디스플레이(600)의 화면에 QR코드를 송출하고 상기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쇼핑몰을 접속하는 경우 일정 할인율의 쿠폰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거나, 즉시 할인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대중음식점 메뉴 소개 콘텐츠의 경우, 배스트 메뉴, 시그니처 메뉴, 세트메뉴에 포함되는 음식과 가격을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사진이나 영상으로 송출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주문율을 높일 수 있다.
대중음식점 SNS 소개 콘텐츠는, 해당 업장의 인스타그램 아이디나, 페이스북 아이디, 네이버 지도 후기란, 카카오톡 플러스 채널, 네이버 블로그 등을 소개할 수 있는 것이다.
함께 하는 게임을 통한 할인 제공 콘텐츠의 경우, 업장을 이용하는 고객들과 퀴즈, 간단한 게임 등을 함께 진행하여 성적이 우수한 고객에게 음료, 주류, 음식 혹은 할인쿠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부가적인 메뉴의 주문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대중음식점(300)의 점주에게 브랜드 인지도, 평균 고객 이용량, 평균 매출액, 평균 광고 송출 시간을 고려하여 월 단위로 광고비를 지급하고,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600)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대중음식점(300)에 무상으로 임대하고, 업소 대표메뉴, 세트메뉴를 소개하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상기 대중음식점(300)에 무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대중음식점(300) 점주는 사용이 애매한 공간에 무상으로 임대받은 대형 디스플레이(600)를 설치하여 매출액을 높일 수 있고, 서비스 제공자는 일정액의 광고료를 대중음식점(300) 점주에게 지급하므로 대형 디스플레이(600)의 설치 장소를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100)는 업장을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광고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개발 환경은 다수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다수의 개발 시스템을 사용하며, 각 개발 시스템은 개발 자의 제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직접 관리할 수 있다. 각 개발 시스템은 신뢰 플랫폼 모듈(TPM: Trusted Platform Module) 표준기술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사용 허가된 개발 시스템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신뢰 플랫폼 모듈(TPM)은 일종의 보안 장치로서, 데이터 암호화를 위한 보안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사용에 대한 개발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개발자가 사용하는 개발 시스템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개발 시스템으로부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소스코드,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순수 바이너리, 코드에 대한 상세설명을 위한 문서, 코드의 이해를 위한 공정 수식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권한 정보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읽을 수 있는 읽기 권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 및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권한,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를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생성 또는 수정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여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도 공유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빌드한 모듈을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 또는 수정 이력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이력 정보를 통해 특정 변수의 값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단계별로 추적할 수 있고, 그 특정 변수 가 임의의 다른 변수의 값 변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여부,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빈도, 해당 소프트 웨어 컴포넌트를 생성/수정한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인덱스를 부여하여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중요도에 따라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종류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특정 일자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 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에 해당하는 개발 시스템에 의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 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인덱스에 도달하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인덱스를 오름차순으로 하여 3 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오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낮으므로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 류에 따라 중요도를 분류할 수 있으며,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만을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 성/수정 빈도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생성/수정 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보다 높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유지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권한 정보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인 이력 정보는 그대로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높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비교적 최근의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높으므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서버 등의 장치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관리자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관리자 관리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관리 모듈은, 입력되는 순서에 따른 순위에 따라 나열된 관리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관리자 관리 모듈은, 관리자의 관리 능력에는 상관없이 모듈로 등록되는 순서에 따라, 즉 최초 입력되는 관리자를 일 순위 관리자로 선정하고, 최선순위 관리자의 다음에 입력되는 관리자를 차순위 관리자로 선정하고, 차순위 관리자의 다음에 입력되는 관리자를 삼순위 관리자로 인정되는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관리 모듈은, 일 장치의 유지/보수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를 해결할 관리자를 기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 중에 선택하여 해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 관리 모듈은, 등록된 관리자의 관리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집 주소 등)를 관리자 별로 등록하여 두어야 할 것이다.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선택된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한 경우에는 해당 관리자에게 이벤트 해결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받게 되나,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를 해결할 다른 관리자를 기 생 성된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 중에 선택하여 해결을 요청하게 된다.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따른 관리자의 선택은, 별도의 순위 없이 무작위로 선택하여도 무방하나, 이하에서와 같이 관리자 선택에 순위를 두어 이벤트 해결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관리자 관리 모듈에 따른 관리자 선택의 우선순위 선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들 중에서 최선순위(이때, 최초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의 최선순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의 관리 능력의 우열에 따라 선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관리자 리스트에 추가되는 순위에 따른 것임)로부터 관리자를 선택하여 해당 이벤트의 해결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최초 선택받은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기 못하거나, 이벤트 해결에 불응하는 경우에는 차순위로 리스트에 올라 있는 관리자에게 동일한 해결 요청을 전송하며, 이러한 과정은 해당 이벤트가 해결될 때까지 진행하게 된다.
특정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면 관리자 선택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해당 관리자에게 이벤트 해결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하게 된다.
포인트 부여가 완료되면, 관리자 관리 모듈은, 최소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데, 이때 관리자들 간의 순위 판단에 상기 이벤트 해결에 따라 주어진 포인트를 고려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소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에는 후순위에 위치하였던 관리자라도 특정 이벤트 해결에 따라 수여된 포인트로 인하여 선순위로 순위가 상승할 수 있고, 선순위에 있던 관리자라도 이벤트 해결에 대응하지 못한 경 우에는 다른 관리자의 이벤트 해결로 인하여 해당 관리자의 후순위로 밀려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들에게 부여되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관리자의 역량은 평가하여 이벤트가 발생된 장치의 이벤트 해결에 보다 적합한 관리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 평가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평가 모듈은, 우선 이벤트 해결에 참가한 회수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해결한 관리자에게 기 설정된 점수의 포인트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관리자가 특정 장치에 발생된 수리 이벤트에 참가하여 해당 이벤트를 수행한 경우 이에 따라 10점의 포인트를 부여받게 되고, 차후 다른 장치에 발생된 보수 이벤트에 참가하여 해당 이벤트를 수행한 경우 이에 따라 역시 10점의 포인트를 부여받았다고 할 경우, 총 20점의 포인트를 통해 A의 순위가 결정되는 것이다.
다만, 이때, 이벤트 해결에 따라 부여받는 포인트는 모든 이벤트에 동일하게 산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벤트 해결에 필요로 하는 전문성 또는 이벤트 해결에 따라 동원해는 노동 정도에 따라 각 이벤트마다 다르게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장치의 순찰하는 등과 같이 특별한 노동력이나 전문성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이벤트의 경 우에는 해당 이벤트 해결에 비교적 낮은 점수인 1점을 산정하는 반면, 서버교체작업 등과 같이 일반 저숙련 관 리자의 해결을 기대할 수 없어 고숙련자의 투입이 필요로는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점수인 10점을 부여하는 등과 같이 정비의 난이에 따라 부여되는 포인트의 고저를 산정하는 것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종류의 다른 장비에 대하여 기존 장비와 동일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기존 장비의 이벤트를 해결한 관리자에게 우선적으로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되며, 해당 이벤트를 요청받은 관리자가 해결할 경우 관리자 평가 모듈은 이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은, 각각의 장치 별로 해당 장치에 보다 전문성을 갖출 관리자를 선발할 수 있도록 각 장치 별로 관리자 리스트를 따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시스템에 새로운 장비가 도입되는 경우, 해당 새로운 장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기존에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은, 새롭게 도입된 장치의 유무를 판독하며, 새롭게 도입된 장비가 없는 경우에는 기 생성된 리스트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새롭게 도입된 장비가 존재하는 경우 기 생성된 리스트를 업 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이하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은,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 지식이 있는 관리자 유무를 판독한다. 이때, 사전 지식의 유무 판단은,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저장된 관리자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기 생성된 리스트에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있는 경우, 해당 관리자에게 해당 장비에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최우선하여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된 리 스트에서 해당 장치에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관리자를 최선순위로 순위를 상승시킴으로써 기 생성될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기 생성된 리스트에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없는 경우, 해당 장치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비를 판독하고, 판독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있는 경우, 해당 관리자에게 해당 새롭게 도입된 장비에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최우선하여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된 리스트에서 해당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에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관리자를 최선순위로 순위를 상승시킴으로써 기 생성될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따라서, 새롭게 도입되는 모든 장치 각각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는 못하였지만, 새롭게 도입되는 장치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에 전문성을 갖춘 관리자로 하여금 정비를 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장비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새로운 관리자를 선별하여 스카우트하여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600)는, 대중음식점(300) 내부 장소 한켠에 스탠딩형으로 설치되어 하부에서 지지기둥(6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기둥과 끼움결합하여 바닥과 상기 지지기둥을 동시에 지지하는 바닥지지체(620)에 의해 한번 더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기둥(610)은, 상단에 디스플레이(D)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D)를 지지할 수 있으며,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결합홈(611)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지지체(620)는, 상기 지지기둥(610)과 끼움결합하여 바닥과 지지기둥(610)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바닥지지체(620)는, 바닥기둥(621) 및 결합기둥(62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기둥(622)은,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기둥(610)의 하단부의 측벽에 접촉된든 횡단면은 상기 바닥지지체(620)에 대한 상기 지지기둥(61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611)에 끼워지는 결합돌기(62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결합홈(611)은, 제1 결합홈(611a)과 제2 결합홈(611b)과 제3 결합홈(61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결합홈(611a)은 지지기둥(610)의 하단으로부터 지지기둥(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2 결합홈(611b)은 제1 결합홈(611a)의 상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3 결합홈(611c)은 제2 결합홈의 일단으로부터 지지기둥(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6221)는 결합기둥(622)의 내주면에 결합돌기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 결합돌기(6221)는, 예컨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기둥(622)에 지지기둥(610)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기둥(610)을 결합기둥(622)의 상방으로부터 하강시켜, 결합기둥(622)에 마련된 결합돌기(6221)가 제1 결합홈(611a)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접근시킨다.
지지기둥(610)을 서서히 하강시켜, 결합돌기(6221)를 제1 결합홈(611a)의 상단까지 삽입한 후, 제1 결합홈(611a)의 상단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결합홈(611b)을 따라 그 제2 결합홈(611b)의 일단까지 결합돌기(6221)가 이동되도록, 지지기둥(610)을 결합기둥(622)에 대하여 회전시키며, 그 후 제2 결합홈(611b)의 일단으로부터 지지기둥(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제3 결합홈(611c)에 결합돌기(6221)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지지기둥(610)을 결합기둥(622)의 상방으로부터 하강시킨다.
결과적으로 결합돌기(6221)는 제1 결합홈(611a)과 제2 결합홈(611b)을 거쳐 제3 결합홈(611c)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기둥(610)의 하단부 측벽이 결합기둥(622)에 접촉지지 되므로, 지지기둥(610)의 기립상태가 유지되고, 결합홈에 결합돌기(6221)가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지지기둥(610)의 결합기둥(622)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기(6221)는 결합홈(611)의 최상단부를 지지하고 결합홈(611)의 최상단부와의 마찰을 완화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6221)는 중심부(62211), 완충부(62215) 및 인출입부(62219)를 포함할 수있다.
중심부(62211)는 결합홈(611)의 최상단부과 맞닿아 있는 인출입부(62219)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기둥(622)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대략 원기둥 혹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사각 단면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중심부(62211)는 결합홈(611)의 최상단부의 지지를 위해 충분한 강도와 면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완충부(62215) 및 인출입부(62219)의 설치를 위해, 중심부(62211)의 상면에는 설치부(62212)가 형성된다. 완충부(62215)는 설치부(62212) 내에 설치되어 인출입부(62219)를 완충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완충부(62215)는 설치부(62212)의 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완충부(62215)는 탄성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탄성스프링 외의 탄성체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인출입부(62219)는 설치부(62212)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출입부(62219)는 설치부(62212)와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인출입부(62219)와 설치부(62212)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나, 다각형 등의 다른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인출입부(62219)의 하면이 완충부(62215)의 상단에 고정되어 완충부(62215)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
인출입부(62219)는 결합홈(611)의 최상단부가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면이 설치부(62212) 밖으로 인출되고, 결합홈(611)의 최상단부의 하강 시에 결합홈(611)의 최상단부의 하면과 접촉되어 결합홈(611)의 최상단부의 자중에 의하여 설치부(62212) 내로 인입될 수 있다.
결합홈(611)의 최상단부가 중심부(62211) 상단으로부터 들어올려지면, 완충부(62215)의 복원력에 의해 인출입 부(62219)의 상단은 설치부(62212) 밖으로 인출되게 된다.
결합홈(611)의 최상단부가 중심부(62211) 상단에 지지되면, 결합홈(611)의 최상단부가 중심부(62211) 상단에 설치된 인출입부(62219)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중심부(62211)와 결합홈(611)의 최상단부를 별도의 브라켓으로 용접하지 않고도 결합홈(611)의 최상 단부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결합홈(611)의 최상단부가 중심부(62211) 상에서 들어 올려지면, 완충부(62215)의 복원력에 의해 인출입부 (62219)가 들어 올려져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후 다른 결합홈(611)의 최상단부의 작업시에 상기한 과정이 반복되어 순차적으로 여러 결합홈(611)의 최상 단부를 순차적으로 지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600)는 뒷판에서 뒷판을 자동으로 클리닝하는 뒷판클리너(800)를 포함하여 항상 업장 내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일정한 주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장치가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뒷판클리너(800)는, 보관부(810), 상부레일(820), 하부레일(830) 및 클린부(840)을 포함한다.
보관부(810)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 일측에 형성되어 클린부(840)가 청소를 수행하지 않을 시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부레일(820)은, 하부레일(830)과 대향하면서 보관부(810)의 일측 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클린부(840)의 전단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한다.
하부레일(830)은, 상부레일(820)과 대향하면서 보관부(810)의 일측 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클린부(840)의 후단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한다.
클린부(840)는, 전단이 상부레일(8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하부레일(830)에 연결 설치되며, 보관부(810)에 수납되며, 구동 시 상부레일(820)과 하부레일(830)을 따라 보관부(810)로부터 이동하면서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뒷판클리너(800)는, 일정한 주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클린부(840)가 구동되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장치가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클린부(840)는, 제1 롤러(841), 제2 롤러(842), 제1 고정판(843), 제2 고정판(844), 클리닝벨트(84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롤러(846), 제1 모터(847) 및 제2 모터(848)를 포함한다.
제1 롤러(841)는, 제2 롤러(842)와 대향하면서 전단이 상부레일(8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하부레일(830)에 연결 설치되어 상부레일(820)과 하부레일(830)을 따라 이동하며, 클리닝벨트(845)의 일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클리닝벨트(8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롤러(841)는, 몸체(8411), 제1 마감캡(8412) 및 제2 마감캡(8413)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8411)는, 제1 고정판(843)과 제2 고정판(84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클리닝벨트(845)의 일측 내향면을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모터(847)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클리닝벨트(845)를 회전시켜 준다.
제1 마감캡(8412)은, 몸체(84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레일(82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부레일(820)을 따라 이동한다.
제2 마감캡(8413)은, 몸체(8411)의 타측에 설치되어 하부레일(8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하부레일(830)을 따라 이동한다.
제2 롤러(842)는, 제1 롤러(841)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전단이 상부레일(8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하부레일(830)에 연결 설치되어 상부레일(820)과 하부레일(830)을 따라 이동하며, 클리닝벨트(845)의 타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클리닝벨트(8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여기서, 제2 롤러(842)는, 상술한 제1 롤러(84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롤러(841)의 몸체(8411), 제1 마감캡(8412) 및 제2 마감캡(841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고정판(843)은, 제2 고정판(844)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제1 롤러(8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2 롤러(8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롤러(841)와 제2 롤러(842) 사이를 지지한다.
제2 고정판(844)은, 제1 고정판(843)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제1 롤러(8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2 롤러(8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롤러(841)와 제2 롤러(842) 사이를 지지한다.
클리닝벨트(845)는, 일측 내향면이 제1 롤러(8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내향면이 제2 롤러(8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이 뒷판에 밀착 안착되며, 제1 롤러 (841)와 제2 롤러(842)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제3 롤러(846)는, 제1 고정판(843)과 제2 고정판(844)에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클리닝벨트(845)의 상측 내향면을 지지한다.
이때, 제1 롤러(841), 제2 롤러(842), 및 제3 롤러(846)는, 클리닝벨트(845)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름이 제1 고정판(843)과 제2 고정판(844)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모터(847)는, 제1 롤러(8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제1 롤러(84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제2 모터(848)는, 제2 롤러(8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제2 롤러(84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이때, 제1 모터(847)와 제2 모터(848)는, 제1 롤러(841)와 제2 롤러(842)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100. 사용자
200. 서비스 제공서버
300. 대중음식점

Claims (3)

  1. (S100)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광고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광고 의뢰를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S200)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서버에 대형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도록 광고가 송출되는 대중음식점 장소를 제공받는 단계;
    (S300)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광고가 송출되는 대중음식점 리스트를 사용자측에 제공하는 단계;
    (S40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중음식점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실시간으로 광고 및 콘텐츠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쇼핑몰 연동되는 콘텐츠, 대중음식점 홍보 콘텐츠, 대중음식점 메뉴 소개 콘텐츠, 대중음식점 SNS 소개 콘텐츠, 고객 참여 콘텐츠, 함께 하는 게임을 통한 할인 제공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대중음식점의 점주에게 브랜드 인지도, 평균 고객 이용량, 평균 매출액, 평균 광고 송출 시간을 고려하여 월 단위로 광고비를 지급하고,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대중음식점에 무상으로 임대하고, 업소 대표메뉴, 세트메뉴를 소개하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상기 대중음식점에 무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는,
    스탠딩형으로 설치되어 하부에서 지지기둥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기둥과 끼움결합하여 바닥과 상기 지지기둥을 동시에 지지하는 바닥지지체에 의해 한번 더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기둥은,
    상단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지지체는,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사각기둥 형상의 바닥기둥; 및
    상기 바닥기둥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기둥과 결합하는 결합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기둥은,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의 측벽에 접촉되는 횡단면은 상기 바닥지지체에 대한 상기 지지기둥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지지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홈;
    상기 제1 결합홈의 상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홈; 및
    상기 제2 결합홈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지지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최상단부와 맞닿아 있는 일출입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기둥 혹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기둥에 고정되어 있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상면에서 완충부와 인출입부의 설치를 위해 배치되는 설치부;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부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완충부; 및
    상기 설치부와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설치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는,
    뒷판에서 뒷판을 자동으로 클리닝하는 뒷판클리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뒷판클리너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 뒷판 일측에 형성되고 클린부가 청소를 수행하지 않을 시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부;
    하부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보관부의 일측 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클린부의 전단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하는 상부레일;
    상부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보관부의 일측 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클린부의 후단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하는 하부레일; 및
    전단이 상기 상부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하부레일에 연결 설치되며 구동 시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따라 상기 보관부로부터 이동하면서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린부는,
    제2 롤러와 대향하면서 전단이 상부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하부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클리닝벨트의 일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클리닝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제1 롤러;
    제1 롤러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전단이 상부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하부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클리닝벨트의 타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클리닝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제2 롤러;
    제2 고정판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를 지지하는 제1 고정판;
    제1 고정판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2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를 지지하는 제2 고정판;
    일측 내향면이 상기 제1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내향면이 상기 제2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이 뒷판에 밀착 안착되고,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대형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벨트;
    상기 제1 고정판과 상기 제2 고정판에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벨트의 상측 내향면을 지지하는 제3 롤러;
    상기 제1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제1 롤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롤러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제2 롤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100117A 2022-08-10 2022-08-10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KR102461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117A KR102461596B1 (ko) 2022-08-10 2022-08-10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117A KR102461596B1 (ko) 2022-08-10 2022-08-10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596B1 true KR102461596B1 (ko) 2022-11-01

Family

ID=8404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117A KR102461596B1 (ko) 2022-08-10 2022-08-10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59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420U (ko) * 1999-06-10 2001-01-05 구자홍 브라운관의 받침 장치
KR200268646Y1 (ko) * 2001-12-06 2002-03-16 주식회사 Korea 신예 평판형 모니터 스텐드
KR20110128112A (ko) * 2010-05-20 2011-11-28 (주)이일일사 사용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8048A (ko) * 2011-10-07 2013-04-17 (주)디지토미 스마트광고 서비스시스템
KR20150136627A (ko) * 2014-05-26 2015-12-08 김성용 지역광고장치 및 방법
KR20160024075A (ko) * 2014-08-22 2016-03-04 위월드 주식회사 광고방송 통계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60123616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4667B1 (ko) * 2022-02-18 2022-07-22 조흥래 파티룸 무인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420U (ko) * 1999-06-10 2001-01-05 구자홍 브라운관의 받침 장치
KR200268646Y1 (ko) * 2001-12-06 2002-03-16 주식회사 Korea 신예 평판형 모니터 스텐드
KR20110128112A (ko) * 2010-05-20 2011-11-28 (주)이일일사 사용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8048A (ko) * 2011-10-07 2013-04-17 (주)디지토미 스마트광고 서비스시스템
KR20150136627A (ko) * 2014-05-26 2015-12-08 김성용 지역광고장치 및 방법
KR20160024075A (ko) * 2014-08-22 2016-03-04 위월드 주식회사 광고방송 통계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60123616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4667B1 (ko) * 2022-02-18 2022-07-22 조흥래 파티룸 무인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9453A1 (en) Capturing and Managing Web Page Content Items
EP273008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geo-based offers on a mobile advertising display device
CN102549610B (zh) 广告化身
JP5954730B2 (ja) チャレンジ−レスポンス型テストを実装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01690105B (zh) 用于在移动环境中使用具有可变置信水平的简档属性提供目标性信息的方法和系统
US20140337120A1 (en) Integrating media analytics to configure an advertising engine
US20040122730A1 (en) Electronic mess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10208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active advertisements
US200501826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ement campaign optimization
KR20100101648A (ko) 인터랙티브 정보 처리 및 전달 시스템과 그 방법
CN101253499A (zh) 审核网站加入广告网络的合适性
CN104156866A (zh) 一种基于二维码、nfc和移动客户端应用平台
US20110055915A1 (en) Methods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tailored to users of private networks within a protected virtual environment
US20120143695A1 (en) Content collaboration among heterogeneous distributed mediums
KR102461596B1 (ko)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KR20130115552A (ko) 위치 기반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lever Behavioural Targeting-An Online Analysis for Efficient Media Planning?
US20140279064A1 (en) Programming an advertising engine
US20190188754A1 (en) Method of advertising to a targeted buyer
KR102067971B1 (ko)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00062441A (ko) 제휴 업체 중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2011005524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 code information retrieval
JP2002304500A (ja) 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および装置
KR102434101B1 (ko)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8141A (ko) 공유경제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광고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