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101B1 -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101B1
KR102434101B1 KR1020200139188A KR20200139188A KR102434101B1 KR 102434101 B1 KR102434101 B1 KR 102434101B1 KR 1020200139188 A KR1020200139188 A KR 1020200139188A KR 20200139188 A KR20200139188 A KR 20200139188A KR 102434101 B1 KR102434101 B1 KR 102434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ward
promotional event
miss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080A (ko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주)라온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온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라온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00139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1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04L63/123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received data contents, e.g. message integ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AP 장치; 오프라인 매장의 관리자에 의하여 관리되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홍보 이벤트에서의 미션 수행 조건을 설정하는 매장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매장측 단말;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의 이상의 사용자 단말;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보상 블록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이 오프라인 매장에 위치함에 따라 미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측에 제공하고, 미션 수행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고,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미션 수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션 참여 블록을 각 사용자의 홍보 이벤트 참여 행위 별로 생성하여 블록 체인을 형성하고, 미션 수행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고,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시 미리 설정된 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 체인에 추가한다.

Description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ING OFFLINE STORE PROMOTION EVENT}
본 발명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행되는 홍보 이벤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다양한 홍보 마케팅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스마트폰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모집단에서 참여자를 모집하고, 참여자에게 특정 액션을 유도해 달성하면 보상을 지급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앱을 통한 무작위 추첨이나, 미션 수행에 따른 보상 지급 또는 선착순 응모 등의 방법으로 홍보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보상으로 지급되는 경품의 가치에 따라 참여자의 수가 달라지는 한계가 있고, 이벤트 참여자는 단순히 경품 획득만을 목표로 할 뿐 실제 확보하고자 하는 서비스 대상 고객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배달 서비스 제공 플랫폼의 경우, 참여업체인 소상공인은 상품 또는 상점 홍보를 위해 배너, 키워드를 정액제, 기간제로 구매하여 홍보 플랫폼에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 역시 플랫폼이라는 제한된 공간에 이벤트가 노출되므로, 누구에게 홍보 이벤트가 노출이 되었는지, 주문 카운트 연계의 진위 판별이 어려워 홍보 가치에 대한 불만이 표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보상 유형/형태, 홍보 진위 파악 어려움 등의 단점을 보완하여, 투명하고 적정한 홍보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수립과 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33539호(발명의 명칭: 등록광고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홍보 이벤트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시간과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이벤트 참여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근거하여 보상에 차이를 두며, 홍보 이벤트 참여 사실과 보상 지급 사실등의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마케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AP 장치;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관리자에 의하여 관리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홍보 이벤트에서의 미션 수행 조건을 설정하는 매장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매장측 단말;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의 이상의 사용자 단말;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보상 블록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AP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미션 수행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미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측에 제공하고, 상기 AP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식별 정보가 수집된 시간 정보 및 상기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를 포함하는 미션 수행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미션 수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션 참여 블록을 각 사용자의 홍보 이벤트 참여 행위 별로 생성하여 블록 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미션 수행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고,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시 미리 설정된 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 체인에 추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에 기반한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홍보 이벤트가 설정된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이 상기 오프라인 매장측 단말이 설정한 미션 수행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미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측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AP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AP 장치의 식별 정보가 수집된 시간 정보 및 상기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를 포함하는 미션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설치된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미션 수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션 참여 블록을 각 사용자의 홍보 이벤트 참여 행위 별로 생성하여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미션 수행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고,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시 미리 설정된 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 체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오프라인 홍보 이벤트를 수행하는 매장측 관리자는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는 고객들을 중심으로 홍보 이벤트를 개최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므로, 실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홍보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각 고객들의 미션 참여 여부와 보상 발생 여부를 신뢰성있게 확인할 수 있어, 홍보 이벤트 마케팅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홍보 이벤트 참여에 대한 객관적인 미션 수행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모든 참여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에서 각 참여자별로 보상에 차이를 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션 참여 블록과 보상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체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션 참여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가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닛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또는 매장측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각종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10)은 서버(100)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210)과 복수의 매장측 단말(300, 310)을 연계하고, 홍보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들의 참여 정보와 홍보 이벤트 수행에 따라 지급되는 보상 정보가 블록 체인 네트워크(400)를 통해 관리 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오프라인 매장에는 매장측 단말(300, 310)과 AP(Access Point) 장치(302, 312)가 설치되는데, 이 AP 장치(302, 312)는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 단말(200, 21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데 활용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 210)은 AP 장치(302, 312)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AP 장치(302, 312)의 식별 정보를 확인함과 함께, 현재 사용자 단말(200, 21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210)은 AP 장치(302, 312)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기존에 알려진 위치 측위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 21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0, 210)은 AP 장치(302, 312)의 식별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하고, 서버(100)는 해당 식별 정보와 사전에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210)에 제공하는 형태로 매장측 단말(300, 31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 210)은 현재 홍보 이벤트가 설정된 오프라인 매장에 사용자가 위치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매장측 단말(300, 310)에는 홍보 이벤트 설정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매장의 관리자는 홍보 이벤트 설정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행할 홍보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
매장 관리자는 매장측 단말(300, 310)에서 실행되는 홍보 이벤트 설정 프로그램을 통해, 이벤트 참여자가 수행할 미션 수행 조건과 가중치 점수를 추가로 부여할 수 있는 여러 외부 환경 조건, 미션 수행 조건 달성에 따라 지급할 보상 혜택 등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션 수행 조건으로는 해당 매장을 이벤트 기간 내에 2회 이상 방문할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의 날씨, 온도, 미세먼지 상태 등의 기상 정보나 특정 영업 시간에 방문하는 경우 등에 가중치를 추가로 부여하는 등의 조건을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만약, 특별한 가중치를 설정하지 않는다면, 미션 수행 조건의 완수만으로도 보상 혜택의 지급이 가능하다.
또한, 매장측 단말(300, 310)에서 실행되는 홍보 이벤트 설정 프로그램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미션 참여 블록과 보상 블록을 기초로, 매장 관리자가 설정한 홍보 이벤트에 대한 통계 현황이나 보상 지급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신뢰성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장측 단말(300, 310)은 홍보 이벤트 설정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이 제공하는 보상 블록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용 스마트 단말로서, 사용자는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각 오프라인 매장에 설정된 홍보 이벤트를 확인하고, 홍보 이벤트 참여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기반하여 각 오프라인 매장에 위치한 AP 장치(302, 312)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오프라인 매장에 위치함에 따라 미션 수행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미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측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상시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은 AP 장치(302, 312)의 식별 정보, AP 장치(302, 312)의 식별 정보가 수집된 시간 정보 및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를 포함하는 미션 수행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 210)에서 수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한다.
이때,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는 앞서 미션 컨텐츠를 수행하였음을 증빙하는 정보로서,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다. 먼저, 미션 컨텐츠는 매장측 단말(300)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2회 이상 방문"이라는 미션 컨텐츠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AP 장치(302)를 통해 식별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2회 이상 방문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션이 완성된 경우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대한 사진 촬영"이라는 미션 컨텐츠가 설정된 경우, 사진 촬영시에 수집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미션의 완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물건 구매" 라는 미션 컨텐츠가 설정된 경우, 물건 구매시 수령한 영수증의 사진 촬영 또는 코드 정보 인식 등을 통해 해당 미션의 완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관리자 계정과 SNS 친구 맺기 또는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SNS 에서의 홍보 등이 미션 컨텐츠로 설정된 경우, 해당 활동등의 수행 이력 등을 기초로 미션 콘텐츠의 완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인증 서버(120)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으로서, 이를 통해 미션 수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션 참여 블록을 각 사용자의 홍보 이벤트 참여 행위 별로 생성하여 블록 체인을 형성하고, 미션 수행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시 미리 설정된 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 체인에 추가한다.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이 미션 참여 블록과 보상 블록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미션 참여 블록과 보상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각 오프라인 매장에서 생성하는 홍보 이벤트별로 서로 구분되어 생성 및 관리된다. 이에 따라, 매장측 관리자는 각 이벤트별로 구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미션 참여 블록과 보상 블록에 기록된 각 고객들의 홍보 이벤트 참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 서버(120)는 생성된 보상 블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상 인증 요청을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하면, 블록 체인 네크워크에 기초하여 보상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검증 결과에 따라 진정한 보상 블록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미리 설정된 보상 쿠폰을 제공하고, 보상 지급 완료에 따라 블록 체인 네트워크(400)에서의 해당 보상 블록에 대하여 보상 완료 처리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200)이 홍보 이벤트가 설정된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이 오프라인 매장측 단말(300)이 설정한 미션 수행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미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측에 제공한다(S210).
미션 콘텐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오프라인 매장 방문,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사진 촬영, 물품 구매 등 다양한 활동의 형태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미션 콘텐츠를 수행함으로써, 미션 참여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이 AP 장치(302, 312)의 식별 정보, AP 장치(302, 312)의 식별 정보가 수집된 시간 정보 및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를 포함하는 미션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전송한다(S220).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는 앞서 미션 컨텐츠를 수행하였음을 증빙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은 미션 콘텐츠에 설정된 미션의 완성 여부를 판단하고, 미션이 완성된 경우, 사용자가 미션 컨텐츠를 수행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전송한다. 한편, AP 장치(302, 312)의 식별 정보와 시간 정보도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전송되는데, 서비스 제공 서버(110)은 이들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시간의 외부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외부 환경 정보의 수집을 위해 미션 수행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의 기상 정보(날씨, 온도, 미세먼지 여부 등)를 외부의 기상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각 사용자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집된 기상 정보는 가중치 점수를 산출하는데 활용되며, 이후 미션 참여 블록에도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설치된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미션 수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션 참여 블록을 각 사용자의 홍보 이벤트 참여 행위 별로 생성하여 블록 체인을 형성한다(S230).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미션 수행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고,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시 미리 설정된 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 체인에 추가한다(S24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션 참여 블록과 보상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체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션 참여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용자가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미션에 참여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미션 수행 데이터가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전송되면, 이를 기반으로 각 미션 참여 행위에 대한 미션 참여 블록이 생성된다. 통상의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각의 노드가 블록 생성, 채굴, 작업 증명 등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수행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각 사용자 단말이 이러한 동작을 모두 수행할 경우 컴퓨팅 리소스가 다수 소모되는 점을 고려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10) 측에서 미션 참여 블록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때, 미션 참여 블록의 상세한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각각의 미션 참여 블록(410, 420)에는 각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전송된 미션 수행 데이터에 의해 특정할 수 있는 이벤트 참여시간, 사용자 환경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환경 정보는 날씨, 기온, 미세먼지 상태와 같은 외부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하드웨어 정보와 같은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상 블록(510, 520)의 상세한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미션 완료에 따른 보상 지급 여부에 대한 정보가 각 블록에 추가적으로 기록된다.
이러한,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는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의하여 판단된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와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되는 가중치 점수를 기초로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200)이 전송한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된 미션 콘텐츠가 적절하게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션 콘텐츠에 대한 수행 여부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에 의하여 판단되므로,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그 결과 값만을 기초로 미션 콘텐츠 수행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앞서 외부 서버 등을 통해 확인한 날씨, 온도, 미세먼지 상태 등과 같은 기상 정보 등을 이용하여 가중치 점수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가중치 점수를 임계값 이상으로 획득한 사용자에 한해 미션 수행 조건을 달성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비가 오는 날이나 미세먼지 수치가 높은 날과 같이 악천후시 방문 고객에게는 가중치 점수를 추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장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활동하기 좋은 온도에 방문한 고객에 대해 가중치 점수를 추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장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방문 시간대 별로 상이한 가중치 점수를 추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임계값 이상으로 가중치 점수가 획득된 경우에도 가중치 점수가 더 높은 사용자에게는 보상을 추가로 지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가중치 점수를 부여하므로, 보상을 차등화하여 지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투명하게 관리되므로, 홍보 이벤트 참여자들도 이를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미션 수행 조건이 달성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보상 A 세트와 보상 B 세트를 지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상 블록(녹색 표시)이 각각 생성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미션 수행 조건 달성에 따른 보상 블록의 생성시,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이를 통해 보상이 지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2가지 방법으로 보상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보상 혜택을 지급받을 수 있다.
첫번째 방법으로는, 사용자 단말(200)은 보상 블록 생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인증 서버(120)에 전송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보상 블록에 대한 검증을 요청한다. 이러한 검증 요청을 수신한 인증 서버(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해당 보상 블록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의하여 생성된 보상 블록과 동일한 것인지 확인한다. 이와 같은 비교 작업을 통해 인증 서버(120)는 보상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검증 결과에 따라 진정한 보상 블록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미리 설정된 보상 쿠폰을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보상 지급 완료에 따라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의 해당 보상 블록에 대하여 보상 완료 처리를 수행한다.
두번째 방법으로는, 사용자 단말(200)이 보상 블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보상 블록 생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상 지급 요청을 매장측 단말(300)에 전송한다. 매장측 단말(300)은 블록 체인 네크워크에 기초하여 보상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진정한 보상 블록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된 보상 쿠폰을 제공한다. 그리고, 보상 지급 완료에 따라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의 해당 보상 블록에 대하여 보상 완료 처리를 수행하는데, 매장측 단말(300)은 보상 지급 사실을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알려,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보상 완료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100 :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매장측 단말
400: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13)

  1.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AP 장치;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관리자에 의하여 관리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홍보 이벤트에서의 미션 수행 조건을 설정하는 매장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매장측 단말;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의 이상의 사용자 단말;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보상 블록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AP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미션 수행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미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측에 제공하고, 상기 AP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식별 정보가 수집된 시간 정보 및 상기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를 포함하는 미션 수행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미션 수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션 참여 블록을 각 사용자의 홍보 이벤트 참여 행위 별로 생성하여 블록 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미션 수행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고,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시 미리 설정된 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 체인에 추가하고, 상기 미션 수행 조건 달성에 따른 보상 블록의 생성시,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미션 수행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의 기상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각 사용자 별로 저장하고, 상기 기상 정보를 더 포함하는 블록을 성하여 블록 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와 상기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되는 가중치 점수를 기초로 상기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악천후시 방문 고객에 대하여 가중치 점수를 추가하고, 각 방문시간대별로 가중치 점수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보상 블록 생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보상 블록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보상 블록 생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상 지급 요청을 상기 매장측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매장측 단말은 블록 체인 네크워크에 기초하여 보상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진정한 보상 블록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된 보상 쿠폰을 제공하고, 보상 지급 완료에 따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의 해당 보상 블록에 대하여 보상 완료 처리를 수행하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보상 블록 생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상 인증 요청을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인증 서버는 블록 체인 네크워크에 기초하여 보상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진정한 보상 블록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된 보상 쿠폰을 제공하고, 보상 지급 완료에 따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의 해당 보상 블록에 대하여 보상 완료 처리를 수행하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7.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에 기반한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홍보 이벤트가 설정된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홍보 이벤트 제공 프로그램이 상기 오프라인 매장측 단말이 설정한 미션 수행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미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측에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AP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AP 장치의 식별 정보가 수집된 시간 정보 및 상기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를 포함하는 미션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설치된 홍보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미션 수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션 참여 블록을 각 사용자의 홍보 이벤트 참여 행위 별로 생성하여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미션 수행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고,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시 미리 설정된 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 체인에 추가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미션 수행 조건 달성에 따른 보상 블록의 생성시,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미션 수행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의 기상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각 사용자 별로 저장하고, 상기 기상 정보를 더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미션 콘텐츠의 수행 정보와 상기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되는 가중치 점수를 기초로 상기 미션 수행 조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악천후시 방문 고객에 대하여 가중치 점수를 추가하고, 각 방문시간대별로 가중치 점수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f)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상 블록 생성에 대한 정보를 인증 서버에 전송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보상 블록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f)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상 블록 생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상 지급 요청을 상기 매장측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매장측 단말이 블록 체인 네크워크에 기초하여 보상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진정한 보상 블록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된 보상 쿠폰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f)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상 블록 생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상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인증 서버가 블록 체인 네크워크에 기초하여 보상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진정한 보상 블록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된 보상 쿠폰을 제공하고, 보상 지급 완료에 따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의 해당 보상 블록에 대하여 보상 완료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홍보 이벤트 관리 방법.
KR1020200139188A 2020-10-26 2020-10-26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3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88A KR102434101B1 (ko) 2020-10-26 2020-10-26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88A KR102434101B1 (ko) 2020-10-26 2020-10-26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080A KR20220055080A (ko) 2022-05-03
KR102434101B1 true KR102434101B1 (ko) 2022-08-22

Family

ID=8159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188A KR102434101B1 (ko) 2020-10-26 2020-10-26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1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734B1 (ko) * 2017-10-31 2018-10-19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Pos 장치에 수집되는 데이터의 분석에 기초한 날씨별 프로모션 제공 시스템 및 pos 장치에 수집되는 데이터의 분석에 기초한 날씨별 프로모션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657B1 (ko) * 2010-07-14 2013-02-08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와 통신 단말
KR101209177B1 (ko) * 2011-10-20 2012-12-06 (주)인터랙티비 저주파통신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160039032A (ko) * 2014-09-30 2016-04-08 (주)익스트리플 쿠폰 제공 시스템
KR102293877B1 (ko) * 2018-11-26 2021-08-26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블록체인 기반 관광 이벤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3539B1 (ko) 2020-04-07 2020-07-13 채중규 광고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734B1 (ko) * 2017-10-31 2018-10-19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Pos 장치에 수집되는 데이터의 분석에 기초한 날씨별 프로모션 제공 시스템 및 pos 장치에 수집되는 데이터의 분석에 기초한 날씨별 프로모션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080A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1055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users across mobile and desktop devices
US10296403B2 (en) Software development kit platform
US10628858B2 (en) Initiating real-time bidding based on expected revenue from bids
US201102385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posing advertisement based on keyword in real time
US20220156812A1 (en) Cookieless ecommerce platform
US20210110437A1 (en)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nd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US11853983B1 (en) Video revenue sharing program
US20150051949A1 (en) Demand-based matching systems and methods
KR101712792B1 (ko) 광고 중개 시스템
CN103620585A (zh) 虚拟身份管理器
DE202010018193U1 (de) System für Präsenzdetektion
JP2014532216A (ja) ソーシャル・メディア・キャンペーン・メトリックス
US201400588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warding an incentivized activity
US202304193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reactive and transactive ecosystem
US201903330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DECENTRALIZED REPOSITORY OF FRAUD IPs AND PUBLISHERS USING BLOCKCHAIN
KR20200061853A (ko) 블록체인 기반 관광 이벤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A28336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romotions
KR20200139960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인플루언서 기반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WO2019059812A1 (ru) Метод и децентрализован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и контроля рекламных кампаний с помощью смарт-контарктов, блокчейн технологии и нейронных сетей
JP3216098U (ja) インタラクティブ環境における広告の提供システム
KR102434101B1 (ko)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866345A (zh) 提高服务增长速度的计算机增强
KR20210010105A (ko) 예측퀴즈 및 배팅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20210079707A (ko) 광고효율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사용자 리워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95122A (ko) 신규 회원등록에 따른 인센티브 증가에 의한 회원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