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52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527A
KR20110103527A KR1020100022629A KR20100022629A KR20110103527A KR 20110103527 A KR20110103527 A KR 20110103527A KR 1020100022629 A KR1020100022629 A KR 1020100022629A KR 20100022629 A KR20100022629 A KR 20100022629A KR 20110103527 A KR20110103527 A KR 2011010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ule
display unit
display
power l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3527A/ko
Publication of KR2011010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Display apparatus and cable for dispal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감소되며, 바닥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은, 상기 제어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전원 라인; 및 상기 제어 모듈의 메인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부로 전달하는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은 일체로 형성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공급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이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의 전후 폭 및 무게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어 모듈이 상기 공급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과 더불어, 디스플레이부를 바닥면에 지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서, 별도의 지지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케이블로 제어 모듈에서 생성되는 상기 공급 전원 및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이 단순해지며, 디자인이 미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일의 케이블을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 모듈에 단순히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공급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어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방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의 플러그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방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외부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0)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며, 디스플레이부(10)의 동작을 위한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20)과, 제어 모듈(20)에서 생성되는 상기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0)로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30)(이하에서는 케이블(30)이라 칭한다.)을 포함한다.
이때, 제어 모듈(20)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부(10)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공급부(223)(도3참조)와, 디스플레이부(10)의 구동을 위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제어부(224)(도3참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20)은 디스플레이부(10)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0)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부 또는 영상 신호 처리를 위한 메인 제어부가 구비되지 아니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만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어, 디스플레이부(10)의 전후 폭이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부(10)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패널(12)과, 영상 패널(12)의 전면 테두리를 감싸는 전면 프레임(11)과, 영상 패널(13)의 후방에 구비되어 영상 패널(13)에 대하여 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15)과, 백라이트 유닛(15)과 영상 패널(13) 사이에 구비되어, 백라이트 유닛(15)에서 영상 패널(13)을 향하여 발산되는 광을 확산 또는 가공하기 위한 복수의 광학 시트(13)와, 백라이트 유닛(15)의 후방을 감싸며,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 외형을 형성하는 제1백커버(16)와, 제1백커버(16)의 배면 하측에 고정되며, 제어 모듈(20)로부터 상기 공급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0)를 구동하는 서브 제어부(191,192,193)와, 서브 제어부(191,192,193)의 고정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 프레임(18)과, 제1백커버(16)의 배면에 고정되며, 서브 제어부(191,192,193)에 덮여지는 제2백커버(17)를 포함한다.
이때, 영상 패널(13), 광학 시트(13), 백라이트 유닛(15) 및 서브 제어부(191,192,193)를 디스플레이부(10)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패널(13)은 일례로,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과, 상기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5)은 빛을 발산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영상 패널(13)에 대하여 배경광을 제공하며, 상기 광원으로서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이하 CCFL) 또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15)의 상기 광원으로서 상기 복수의 LED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LED에서 광이 발산되는 광 지향 방향이 영상 패널(10)을 향하는 방식 또는 상기 LED에서 광이 발산되는 광 지향 방향이 영상 패널(10)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발산되는 광의 광로를 영상 패널(10)을 향하도록 상기 광을 굴절시키는 방식으로 백라이트 유닛(15)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상기 LED에서 광이 발산되는 광 지향 방향이 영상 패널(10)을 향하는 방식으로 광을 발산시키며, 이때, 백라이트 유닛(15)은 복수의 LED가 일정 패턴의 어레이로 배치되며, 일정 크기의 탄력을 갖는 필름 타입의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서브 제어부(191,192,193)은 영상 패널(12)에 표시되는 영상 및 백라이트 유닛(15)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어 모듈(30)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영상 신호의 데이터 양을 조절하고, 영상 패널(12)을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191)와, 백라이트 유닛(15)을 구동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구동부(192,19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서브 제어부(191,192,193)의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패널(12) 및 백라이트 유닛(15)을 구동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서브 제어부(191,192,193)에는 케이블(30)이 접속되기 위한 입력 단자(미도시)가 형성되며, 서브 제어부(191,192,193)을 후방에 대하여 차폐하는 제2백커버(17)에는 상기 입력 단자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에 대하여 공급되는 상기 공급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2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제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20)은 제어 모듈 본체(21)와, 일측은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 고정되며 타측은 제어 모듈 본체(21)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부(10)의 하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 모듈(20)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1)는 제어 모듈(20)과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될 수 있다.
연결부(21)는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측 고정부(211)와, 디스플레이부측 고정부(211)에 대하여 절곡 형성되며, 제어 모듈 본체(21)에 고정되는 제어모듈측 고정부(212)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 모듈 본체(21)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어 모듈 본체(21)는 제어 모듈 본체(21)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221) 및 상부 케이스(226)와, 상기 공급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223)와, 상기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224)와, 디스플레이부(10), 외부 전원 및 외부 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외부 단자부(227)와, 하부 케이스(221) 및 상부 케이스(226)의 내측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부(223)와 메인 제어부(224)를 감싸는 제1이너 케이스(222) 및 제2이너 케이스(225)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모듈 본체(21)는 음성 신호에 따라서 음향을 생성하여, 발산시키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케이스는(221)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안착되는 바닥면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수행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이너 케이스(222) 및 제2이너 케이스(225)는 전원 공급부(223)와 메인 제어부(224)의 안정적인 보호를 수행하며, 전원 공급부(223)와 메인 제어부(224)의 전자파를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게 중심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례로 메탈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21)의 제어모듈측 고정부(212)는 "ㄷ"자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어 모듈 본체(21)의 후방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어 모듈 본체(2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결부(21)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0)가 제어 모듈(20)에 대하여 지지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방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 모듈(20)이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어 모듈(20)에는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연결부(2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이 전달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바닥면에 대한 지지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 보다 상세히, 디스플레이부(10)의 서브 제어부(191,192,193)의 상기 입력 단자에는 케이블(30)의 일측이 접속되며, 제어 모듈(20)의 외부 단자부(227)에는 케이블(30)의 타측이 접속되어, 제어 모듈(20)의 공급 전원 및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0)로 전달된다.
이때, 케이블(30)에는 상기 공급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라인은 연결부(21)와 디스플레이부(10) 및 제어 모듈(2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다. 특히, 상기 복수의 라인은 연결부(21)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케이블(30)의 라인들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보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이 전체적으로 깔끔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 모듈(20)로부터 상기 공급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0)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의 플러그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케이블(30)은 상기 공급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복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라인부(32)와, 라인부(32)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며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부(31)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라인부(32)는 복수의 라인이 일체로 형성되며, 일례로 플랫 플렉서블 케이블(Flat flexible cabe, 이하 FFC) 또는 플랫 프린티드 서킷(Flexible printed circuit, 이하 FPC)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라인부(32)는 상기 공급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라인(321)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라인(322)과, 전원 라인(321)과 신호 라인(322)에 인가되는 상기 공급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원 라인(321)과 신호 라인(322) 사이에 구비되는 쉴드 부재(323)를 포함한다. 이때, 전원 라인(321) 및 신호 라인(322)는 쉴드 부재(323)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된다.
한편, 플러그부(31)는 케이블(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어 각각 디스플레이부(10) 및 제어 모듈(20)에 접속되는 디스플레이부측 플러그부 및 제어모듈측 플러그부로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플러그부(31)에는 플러그부 몸체(311)와, 전원 라인(321)과 연결되는 전원라인 단자(312) 및 신호 라인(322)과 연결되는 신호라인 단자(313)를 포함한다.
이때, 쉴드 부재(323)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케이블(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는 전원라인 단자(312) 또는 신호라인 단자(313)를 통하여 외부로 그라운드 됨으로써, 전원 라인(321) 및 신호 라인(322) 사이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부(31)에는 쉴드 부재(323)와 연결되는 별도의 접지 단자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있어서, 단일의 케이블(30)의 플러그부(31)를 디스플레이부(10) 및 제어 모듈(20)에 단순히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공급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전송과 쉴드 부재(323)의 접지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있어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 및 상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공급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20)이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의 전후 폭 및 무게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어 모듈(20)이 상기 공급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과 더불어, 디스플레이부(10)를 바닥면에 지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서, 별도의 지지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케이블(30)로 제어 모듈(20)에서 생성되는 상기 공급 전원 및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0)로 전송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이 단순해지며, 디자인이 미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연결부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3)의 제어모듈측 고정부(232)는 디스플레이부측 고정부(231)에 대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제어 모듈 몸체(22)에 고정된다.
그리고, 케이블(30)의 상기 라인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어모듈측 고정부(232)의 내면에 밀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부로 케이블(30)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일측과 타측에 각각 디스플레이부측 플러그부 및 제어모듈측 플러그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플러그부에는 상기 전원 라인과 연결되는 전원라인 단자 및 신호라인 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원 라인과 상기 신호 라인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라인과 상기 신호 라인 사이에 구비되는 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부재의 일측 및 타측은, 상기 케이블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는 전원라인 단자 또는 신호라인 단자를 통하여 그라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라인 및 상기 신호 라인은 상기 쉴드 부재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제어 모듈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부측 고정부; 및
    상기 제어 모듈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측 고정부에 대하여 절곡 형성되는 제어모듈측 고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전달하며, 일체로 형성되는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 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은 상기 연결부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의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 및 메인 제어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1백 커버;
    상기 제1백 커버에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영상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 시키는 서브 제어부; 및
    상기 서브 제어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백 커버에 고정되는 제2백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전원 라인; 및
    상기 제어 모듈의 메인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부로 전달하는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은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디스플레이부측 플러그부 및 제어모듈측 플러그부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플러그부에는 상기 전원 라인과 연결되는 전원라인 단자 및 신호라인 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라인과 상기 신호 라인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라인과 상기 신호 라인 사이에 구비되는 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부재의 일측 및 타측은, 상기 케이블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는 전원라인 단자 또는 신호라인 단자를 통하여 그라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라인 및 상기 신호 라인은 상기 쉴드 부재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케이블.
KR1020100022629A 2010-03-15 2010-03-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 KR20110103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29A KR20110103527A (ko) 2010-03-15 2010-03-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29A KR20110103527A (ko) 2010-03-15 2010-03-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27A true KR20110103527A (ko) 2011-09-21

Family

ID=4495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629A KR20110103527A (ko) 2010-03-15 2010-03-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35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7262A (zh) * 2012-05-25 2013-12-04 易鼎股份有限公司 具有两组以上群组集束的软性电路排线
CN103427262B (zh) * 2012-05-25 2016-11-30 易鼎股份有限公司 具有两组以上群组集束的软性电路排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7262A (zh) * 2012-05-25 2013-12-04 易鼎股份有限公司 具有两组以上群组集束的软性电路排线
EP2667691A3 (en) * 2012-05-25 2016-11-16 Advanced Flexible Circuits Co., Ltd. Flexible circuit cable with at least two bundled wire groups
CN103427262B (zh) * 2012-05-25 2016-11-30 易鼎股份有限公司 具有两组以上群组集束的软性电路排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3304B2 (ja) 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0480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930521B1 (ko)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
US9426890B2 (en) Display apparatus
JP5303188B2 (ja) 収納容器、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9429786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emperature compensation unit, display module applied therei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display module
JP2013134501A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CN102024390A (zh) 图像显示装置
CN108022520B (zh) 显示装置
CN104766547A (zh) 可弯曲的显示装置
US8629964B2 (en) Flat panel display
KR1026554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1875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596791B1 (ko)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4874558B2 (ja) 表示装置用収納容器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20150131453A (ko) 표시장치
JP2014082185A (ja) 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6146121A5 (ko)
EP3157020B1 (en) Display device
KR10248958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1035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
US10631439B2 (en) Display device
KR20100033864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12142A (ko) 평판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6787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