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588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588B1
KR102489588B1 KR1020150169776A KR20150169776A KR102489588B1 KR 102489588 B1 KR102489588 B1 KR 102489588B1 KR 1020150169776 A KR1020150169776 A KR 1020150169776A KR 20150169776 A KR20150169776 A KR 20150169776A KR 102489588 B1 KR102489588 B1 KR 10248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liquid crystal
printed circuit
bottom cov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249A (ko
Inventor
고범준
전정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5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연성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연성회로기판이 중간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액정표시장치는 회로필름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의 단부에서 인쇄회로기판이 바텀커버 상에서 3축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결합시킴과 동시에, 회로기판의 정전기를 바텀커버로 접지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에 대한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의 성능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들은 서로 대향하여 합착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개재된 고유의 발광물질 또는 편광물질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 성질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을 포함한다. 액정패널은 한 쌍의 기판과 그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액정의 배열 방향을 조절하여 각 화소영역의 광 투과율을 조절한다. 즉, 액정패널은 스스로 광을 발생시키지 않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광이 각 화소영역에서 방출되는 양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다른 전자기기의 부품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거나, 또는 네비게이션, 노트북 또는 가전제품 등의 여러 전자기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비되는 장치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에서 빛샘 방지를 구현하고자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이를 지지하는 본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이때 액정패널에 연결된 회로필름(COF)은 바텀커버 저면에서 인쇄회로기판(PCB)과 고정되기 위하여 메탈 재질의 커버쉴드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과 커버쉴드를 접지하여 액정패널이나 연성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마련된다.
그러나 커버쉴드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구조는 인쇄회로기판과 회로필름 사이에서 액정표시장치 특성상 필수적으로 유동성이 수반되어야 하는 이유 때문에 연성회로기판이 파손되거나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구조와 별도로 커버쉴드를 통해 접지구조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액정패널에 연결된 회로필름과 이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연성회로기판이 움직이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3축(x, y,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텀커버 저면에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고정부를 통하여 고정함으로써 3축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가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함과 동시에 회로필름 또는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바텀커버로 접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따르면,
첫째, 고정부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PCB)이 바텀커버 저면에서 3축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고정할 수 있고,
둘째, 동시에 고정부가 액정패널 또는 연성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바텀커버로 접지시킬 수 있으며,
셋째, 고정부가 인쇄회로기판의 고정과 접지 기능을 수반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쉴드에 별도로 설치했던 접지 기능의 구조를 생략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고, 액정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넷째, 액정패널과 함께 유동하는 회로필름(COF)과 바텀커버 저면에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 사이에서 일 측은 유동하고 타 측은 고정된 연성회로기판(FPCB)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탄성부재의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10)과, 액정패널(10)의 하측에 결합되는 백라이트 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10)은 상부기판(미도시)과 하부기판(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액정층의 상면과 하면 중 일 측에 배치되고 액정층 내부의 액정을 초기 배향하는 배향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및 액정패널(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편광된 광을 투과하는 편광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액정패널(10)은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선택적으로 턴온-턴오프하여 화소영역별로 액정의 배열 방향을 변경시키는 전계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각 화소영역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모듈(10)의 전면에 배치되는 탑커버(30)와, 탑커버(30)에 결합되어 액정모듈(10)의 배면을 커버하는 바텀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은 상호 체결된 바텀커버(40)와 탑커버(30) 사이에 수납되며, 내부에 서포트 메인이 액정패널(1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0)은 바텀커버(40) 내부에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액정패널(10)이 능동매트릭스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액정패널(10)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중 어느 하나(예시적으로, 하부기판에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액정패널(10)이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액정패널(10)은 각 화소영역에 대응하는 색상을 여과하는 컬러 필터층(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액정패널(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액정패널(10) 측으로 광을 조사한다.
예컨대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21)과, 상기 복수의 광원(21)이 실장되는 연성회로기판(FPCB)과, 복수의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LGP, 22))과, 상기 도광판(22)과 액정패널(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시트(Optical sheet, 23) 및 상기 도광판(22)의 아래에 배치되는 반사시트(Reflector, 2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광원(21) 각각은 백색광을 방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시트(12)들은 프리즘 시트와 확산시트를 포함할 수 있고, 도광판(22)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하고 액정패널(10)의 광 입사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도로 빛의 진행경로를 굴절시킨다. 물론 광학시트(23)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광원(21)과 도광판(22)의 하측에는 바텀커버(40)가 마련된다. 상기 바텀커버(40)는 광원(21)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높은 열 전도율과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열 전도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고전도율 소재가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 액정패널(10)의 주변에는 가이드 패널(110)이 배치되고, 그 주변에 탑커버(30)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패널(11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몰드 프레임으로 마련되고, 액정패널(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백라이트 유닛(20)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패널(110)은 탑커버(30) 또는 바텀커버(4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다.
그리고 액정패널(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복수의 회로필름(COF, 11)은 연성회로기판(FPCB, 12)과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PCB, 120)과 연결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은 바텀커버(40)의 저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은 상기 바텀커버(40)로부터 이송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액정패널(10)이 3축(x, y, z)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액정패널(10)과 연결된 회로필름(11)과 연성회로기판(12)이 연동하여 움직이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20)도 이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된다.
이는 액정패널(10)이 움직이는 상황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이 바텀커버(40)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경우 상기 연성회로기판(12)이 회로필름(11)과 인쇄회로기판(120)의 중간에서 모든 충격을 흡수하고 있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액정패널(10), 회로필름(11), 연성회로기판(12) 및 인쇄회로기판(120)이 모두 서로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3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는 상면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영역에 부착된 복수개의 회로필름(11)이 구비되는 액정패널(10)과, 상기 액정패널(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액정패널(1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20)과, 상기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액정패널(10)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110)과, 상기 액정패널(10) 또는 백라이트 유닛(20)을 내부에 안착시켜 보호하고, 메탈 재질로 형성된 바텀커버(40)와, 상기 회로필름(11)과 연결된 연성인쇄회로기판(12)에 연결되어 상기 바텀커버(40)의 저면에서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120) 및 바텀커버(40) 상에서 인쇄회로기판(120)을 이송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되, 인쇄회로기판(120)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바텀커버(40)로 접지시키는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인쇄회로기판(120)과 바텀커버(40)와 고정부(130)가 결합되는 구조를 실시예 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일 단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형성된 통공(121)을 관통하여 상기 바텀커버(40) 상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재(131)와, 상기 나사부재(131)의 타 단부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120)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재(132)와, 일 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0) 상의 단자부(122)에 접합되고, 타 측이 상기 헤드부재(132)에 지지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20)과 바텀커버(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133)를 포함하는 고정부(130)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인쇄회로기판(120) 상에는 상기 고정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21) 주변에는 상기 탄성부재(133)가 접합되는 단자부(122)가 마련된다.
상기 단자부(122)에는 상기 탄성부재(133)의 일 단부가 솔더링 접합되며, 서로 메탈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재(132)와 나사부재(131)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통공(121)을 관통하고 바텀커버(40) 상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133)의 타 단부는 헤드부재(132)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33)는 상기 헤드부재(132)와 단자부(122)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이 흔들리는 경우, 3축(x, y, z)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재(132)는 나사부재(131) 또는 통공(121)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나사부재(131)는 상기 통공(12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된 나사부재(131) 상에서 상기 통공(121)을 중심으로 인쇄회로기판(120)이 수평방향(x축, y축)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33)는 탄성을 가지는 메탈 재질로 인쇄회로기판(120)이 수직방향(z축)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은 상기 액정패널(10)이 움직이는 방향에 대응하여 연성회로기판(12)과 함께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연성회로기판(12)에 비틀림 응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성회로기판(12)에 누적된 스트레스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형성된 통공(121)을 관통하고, 상기 바텀커버(40)에 형성된 체결공(41)에 삽입되는 접촉부재(231)와, 상기 접촉부재(231)의 일 단부에서 인쇄회로기판(120)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재(232)와, 상기 접촉부재(231)의 타 단부에서 상기 바텀커버(40)의 체결공(41)으로부터 접촉부재(231)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재(233)와, 일 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0) 상의 단자부(122)에 접합되고, 타 측이 상기 헤드부재(232)에 지지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20)과 바텀커버(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234)를 포함하는 고정부(230)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인쇄회로기판(120) 상에는 상기 고정부(230)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21) 주변에는 상기 탄성부재(234)가 접합되는 단자부(12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커버(40)는 상기 통공(121)과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접촉부재(2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공(41)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122)에는 상기 탄성부재(234)의 일 단부가 솔더링 접합되며, 서로 메탈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재(232)와 접촉부재(231) 및 후크부재(23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공(122)과 체결공(41) 상에서 수직방향(z축)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통공(122)과 체결공 (41)내부에서 상기 접촉부재(231)는 수평방향(x축, y축)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231) 또는 후크부재(233)는 상기 체결공(41) 주변에서 바텀커버(40)와 적어도 일 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원활한 접지를 위해서 상기 후크부재(233)와 바텀커버(40)가 상시 접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부재(234)의 타 단부는 헤드부재(232)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34)는 상기 헤드부재(232)와 단자부(122)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이 흔들리는 경우, 3축(x, y, z)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재(232)는 접촉부재(231) 또는 통공(121)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접촉부재(231)는 상기 통공(121) 또는 체결공(4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된 접촉부재(231) 상에서 상기 통공(121)과 체결공(41)을 중심으로 인쇄회로기판(120)이 수평방향(x축, y축)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34)는 탄성을 가지는 메탈 재질로 인쇄회로기판(120)이 수직방향(z축)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 또는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은 상기 액정패널(10)이 움직이는 방향에 대응하여 연성회로기판(12)과 함께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연성회로기판(12)에 비틀림 응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성회로기판(12)에 누적된 스트레스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형성된 통공(121)을 관통하고, 상기 바텀커버(4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공(4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접촉부재(331)와, 상기 접촉부재(331)의 일 단부에서 인쇄회로기판(120)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재(332)와, 상기 접촉부재(331)의 타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바텀커버(40)의 체결공(42)으로부터 접촉부재(331)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재(333)와, 일 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0) 상의 단자부(122)에 접합되고, 타 측이 상기 헤드부재(332)에 지지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20)과 바텀커버(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334)를 포함하는 고정부(330)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인쇄회로기판(120) 상에는 상기 고정부(330)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21) 주변에는 상기 탄성부재(334)가 접합되는 단자부(12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커버(40)는 상기 통공(121)과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접촉부재(3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체결공(42)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122)에는 상기 탄성부재(334)의 일 단부가 솔더링 접합되며, 서로 메탈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재(332)와 접촉부재(331) 및 후크부재(33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공(121)과 체결공(42) 상에서 수직방향(z축)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통공(121)과 체결공(42) 내부에서 상기 접촉부재(331)는 수평방향(x축, y축)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331) 또는 후크부재(333)는 상기 체결공(42) 주변에서 바텀커버(40)와 적어도 일 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333)는 상기 탄성부재(334)의 탄성 복원력에 대향하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바텀커버(40)의 저면과 상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접촉부재(331)는 상기 체결공(42)과 체결공(42')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커버(40')의 적어도 일 면과 상시 접촉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재(331)는 한 쌍의 체결공(42)에 각각 삽입되어 체결공(42)과 인접한 다른 체결공(42')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커버(40') 상에서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후크부재(333)가 바텀커버(40)의 내부에 유입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334)의 타 단부는 헤드부재(332)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34)는 상기 헤드부재(332)와 단자부(122)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이 흔들리는 경우, 3축(x, y, z)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재(332)는 접촉부재(331) 또는 통공(121)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접촉부재(331)는 상기 통공(121) 또는 체결공(42)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된 접촉부재(331) 상에서 상기 통공(121)과 체결공(42)을 중심으로 인쇄회로기판(120)이 수평방향(x축, y축)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34)는 탄성을 가지는 메탈 재질로 인쇄회로기판(120)이 수직방향(z축)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 또는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은 상기 액정패널(10)이 움직이는 방향에 대응하여 연성회로기판(12)과 함께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연성회로기판(12)에 비틀림 응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성회로기판(12)에 누적된 스트레스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에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형성된 통공(121)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결합부재(431)와, 상기 결합부재(431)의 일 단부에서 인쇄회로기판(120)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재(432)와, 상기 결합부재(431)의 타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커버(4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공(42)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공(42)과 인접한 다른 체결공(42') 사이에 배치된 바텀커버(40')에 걸려 상기 결합부재(431)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재(43)와, 일 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0) 상의 단자부(122)에 접합되고, 타 측이 상기 헤드부재(432)에 지지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20)과 바텀커버(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434)를 포함하는 고정부(430)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인쇄회로기판(120) 상에는 상기 고정부(430)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21) 주변에는 상기 탄성부재(434)가 접합되는 단자부(12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커버(40)는 상기 통공(121)과 인접한 부분에 상기 결합부재(4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체결공(42)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122)에는 상기 탄성부재(434)의 일 단부가 솔더링 접합되며, 서로 메탈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재(432)와 결합부재(431) 및 후크부재(43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공(121)과 체결공(42) 상에서 수직방향(z축)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통공(121)과 체결공(42)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재(431)는 수평방향(x축, y축)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431) 또는 후크부재(433)는 상기 체결공(42) 주변에서 바텀커버(40)와 적어도 일 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433)는 상기 탄성부재(434)의 탄성 복원력에 대향하여 상기 바텀커버(40)의 내측면에 걸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434)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 상기 바텀커버(40)와 상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재(431)는 접지를 위해서 상기 체결공(42)과 인접한 다른 체결공(42')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커버(40)의 적어도 일 면과 상시 접촉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431)는 하나의 체결공(42)에 삽입되고 인접한 다른 체결공(42')에 상기 후크부재(433)가 걸리면서 결합된다. 따라서 체결구조가 간단하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탄성부재(434)의 타 단부는 헤드부재(432)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434)는 상기 헤드부재(432)와 단자부(122)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이 흔들리는 경우, 3축(x, y, z)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재(432)는 결합부재(431) 또는 통공(121)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결합부재(431)는 상기 통공(121) 또는 체결공(42)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된 결합부재(431) 상에서 상기 통공(121)과 체결공(42)을 중심으로 인쇄회로기판(120)이 수평방향(x축, y축)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34)는 탄성을 가지는 메탈 재질로 인쇄회로기판(120)이 수직방향(z축)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 또는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은 상기 액정패널(10)이 움직이는 방향에 대응하여 연성회로기판(12)과 함께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연성회로기판(12)에 비틀림 응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성회로기판(12)에 누적된 스트레스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탄성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며, 수평방향으로도 외형이 변형되면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중공의 원통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얇은 두께의 메탈 소재로 구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도성 부재로써 접지기능을 수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대략 일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측이 상기 단자부와 접합되기 용이하고, 타 측이 헤드부재로부터 지지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탄력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접지기능을 수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액정표시장치
110 : 가이드 패널 120 : 인쇄회로기판
121 : 통공 122 : 단자부
130, 230, 330, 430 : 고정부 131 : 나사부재
132, 232, 332, 432 : 헤드부재 133, 234, 334, 434 : 탄성부재
133, 234, 334, 434 : 후크부재
10 : 액정패널 11 : 회로필름
12 : 연성회로기판 20 : 백라이트 유닛
21 : 광원 22 : 도광판
23 : 광학시트 24 : 반사시트
30 : 탑커버 40 : 바텀커버
41, 42 : 체결공

Claims (10)

  1. 상면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영역에 부착된 복수개의 회로필름이 구비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하측에 구비되어 액정패널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
    상기 액정패널 또는 백라이트 유닛을 내부에 안착시켜 보호하고, 메탈 재질로 형성된 바텀커버;
    상기 회로필름과 연결된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바텀커버의 저면에서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바텀커버 상에서 3 축(x, y, z)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며,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상기 바텀커버로 접지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바텀커버에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일 단부에서 인쇄회로기판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재와,
    일 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의 단자부에 접합되고, 타 측이 상기 헤드부재에 지지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바텀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바텀커버 상에서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통공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바텀커버 상에서 z축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액정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타 단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바텀커버 상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재인 액정표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는 상기 통공의 지름보다 큰 액정표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부재의 타 단부에서 상기 바텀커버의 체결공으로부터 상기 제1 부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상기 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바텀커버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접촉부재인 액정표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향하는 탄성력 가지며, 상기 바텀커버의 저면에 상시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액정표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부재의 타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바텀커버의 체결공으로부터 상기 제1 부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상기 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바텀커버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접촉부재인 액정표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체결공과 체결공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커버의 적어도 일 면과 상시 접촉하도록 결합되는 액정표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부재의 타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커버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공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공과 체결공 사이에 배치된 바텀커버에 걸려 상기 제1 부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결합부재인 액정표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체결공과 체결공 사이에 배치된 바텀커버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간격이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틸 재질로 마련되며,
    탄성스프링, 중공의 원통관, 일 단면이 적어도 삼각형 이상의 중공의 다각형 관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50169776A 2015-12-01 2015-12-01 액정표시장치 KR10248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776A KR102489588B1 (ko) 2015-12-01 2015-12-01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776A KR102489588B1 (ko) 2015-12-01 2015-12-01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249A KR20170064249A (ko) 2017-06-09
KR102489588B1 true KR102489588B1 (ko) 2023-01-17

Family

ID=5922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776A KR102489588B1 (ko) 2015-12-01 2015-12-01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061B1 (ko) * 2018-12-13 2023-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2766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5605B1 (ko) * 2021-07-08 2024-01-18 (주)코텍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704A (ko) * 2010-11-09 2012-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30109732A (ko) * 2012-03-28 201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 표시 장치
KR102034058B1 (ko) * 2013-06-07 2019-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249A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2931B2 (en) Display unit having a curved display panel
US9933644B2 (en) Display module and multi-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19658B1 (ko) 휴대용 표시장치
US9146583B2 (en) Display device
US77778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40036715A (ko)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
US838484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1025438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958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90392A (ko) Emi 차폐를 위한 평판표시장치
EP3343278B1 (en) Light source module,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50268507A1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629244B2 (en) Connector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343281B1 (en) Light source module,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7322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400219B1 (ko) 표시장치
KR10239646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69145A (ko) 액정표시장치
KR102239593B1 (ko) 표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트 전자 장치
KR20080013479A (ko) 표시 장치
KR10079353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70102894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10070572A (ko)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KR20090040765A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39812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