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537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537A
KR20120014537A KR1020110020702A KR20110020702A KR20120014537A KR 20120014537 A KR20120014537 A KR 20120014537A KR 1020110020702 A KR1020110020702 A KR 1020110020702A KR 20110020702 A KR20110020702 A KR 20110020702A KR 20120014537 A KR20120014537 A KR 20120014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ght source
subframe
source module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슬우
조진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173,42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032963A1/en
Publication of KR2012001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서브프레임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모듈을 포함하고,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서브프레임 중에서 광원 모듈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팽창률은,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서브프레임 중에서 광원 모듈이 지지되지 않는 나머지의 열팽창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여, 방송신호 또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특성에 따라서 액정이나 플라즈마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되어 각종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패널 자체적으로 광을 생성할 수 없는 액정 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로 적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광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하는 광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과거 일반적으로 채택되던 냉음극 형광램프에 비해 환경오염, 응답속도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진 발광 다이오드 소자(light-emitting diode, LED)를 광원으로 채택하고 있다.
한편, 기술의 발전 및 사용자의 요구 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는 점차 슬림화가 진행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장치 전체의 강도가 저하되며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한 열변형 문제가 심화된다. 즉, 사용 중 열변형에 의해 장치 전체가 뒤틀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슬림화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조에서 광원으로부터의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평면을 유지하기 위한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서브프레임 중에서 상기 광원 모듈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팽창률(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은, 상기 제1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서브프레임 중에서 상기 광원 모듈이 지지되지 않는 나머지의 열팽창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 모듈의 구동에 따라서 발생하는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의 열에 의한, 상기 제1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서브프레임 각각의 변형량은 상호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수용 및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바 타입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프레임에 접하는 제1판면과, 상기 제1판면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2프레임에 접하는 제2판면과,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광원 모듈에 접하는 제3판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파스너(fastener), 양면 테이프 및 접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좌우 네 방향 에지를 따라서 연장된 사각형의 환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 모듈이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에 모두 지지되는 경우에, 상기 광원 모듈이 지지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열팽창률은 상기 광원 모듈이 지지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열팽창률보다 작으며, 상기 광원 모듈이 지지되지 않는 상기 다른 하나의 열팽창률은 상기 제1프레임의 열팽창률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 모듈이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각각 지지되는 경우에,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열팽창률은 상기 제1프레임의 열팽창률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 모듈은, 광원과; 일측 판면 상에 상기 광원이 장착되고, 타측 판면이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광원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설치면 상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에 대해 지지시키는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신호 수신부와;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광원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구동부,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 및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I-I선을 따라서 절단한 경우에 A영역을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요부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1)를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데스크탑(desk-top) 방식 또는 벽걸이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TV 또는 컴퓨터 모니터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본체(10)와, 지면과 같은 소정의 설치면 상에 지지되는 베이스(20)와, 베이스(20)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본체(10)를 베이스(20)에 지지시키는 스탠드(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베이스(20) 및 스탠드(30)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하나,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20) 및 스탠드(30) 없이 디스플레이본체(10)가 지면에 대해 수직한 벽면 등의 설치면에 지지될 수도 있다.
우선, 도면에 나타난 각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X, Y, Z 방향은 기본적으로 각각 가로, 세로 및 높이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본체(10)가 베이스(20)에 대해 기립되어 있을 때, 베이스(20)는 X-Y 평면 상에 배치되고, 스탠드(30)는 Z방향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며, 디스플레이본체(10)는 X-Z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하, 각 도면 및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방향 정의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X, Y, Z 방향의 반대방향은 각각 -X, -Y, -Z 방향으로 나타내고, X-Y 평면은 X 방향의 축 및 Y 방향의 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본체(1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영역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수용하는 메인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이하, 디스플레이본체(1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X 방향 축선에 평행한 I-I선을 따라서 절단한 경우에 A영역을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분리시킨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본체(10)는 전방에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된 백라이트유닛(2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유닛(200)을 수용하는 메인프레임(3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 패널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두 개의 기판(미도시)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충진되며, 구동신호가 인가에 의해 이 액정층(미도시)의 배열이 조정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독자적으로 발광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백라이트유닛(200)으로부터 광을 제공받는다.
백라이트유닛(200)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에지 영역에 배치되는 광원 모듈(2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광원 모듈(210)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도광판(220)과, 도광판(220)의 하판면에 배치된 제1반사판(230)과, 도광판(220) 상판면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 하판면 사이에 적층된 광학시트류(250)를 포함한다.
이 때, 제1반사판(230)은 별도의 시트로 구현될 수도 있고, 특정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광판(220) 상판면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제2 반사판(240)을 더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백라이트유닛(200)의 광원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제공하기 위한 광을 생성한다. 광원 모듈(210)은 도광판(220)의 측면을 마주하게 에지 영역에 배치된다. 광원 모듈(210)은 디스플레이본체(10)의 상하좌우 4방향 에지 영역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에지 영역에 배치되는 바,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에지 영역, 또는 장변 또는 단변 중에서 어느 한 쪽의 에지 영역에 각기 배치될 수 있다.
광원 모듈(210)은 도광판(220) 측면을 따라서 순차 배치된 복수의 광원(211)과, 이 복수의 광원(211)이 장착되는 광원기판(213)을 포함한다.
광원(211)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 소자(light-emitting diode, LED)로 구현되며, 광원기판(213)을 통하여 구동 전원 및 점멸 제어 신호를 공급받는다. 복수의 광원(211)은 청색 LED, 녹색 LED 및 적색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컬러의 LED로부터 방출되는 청색광, 녹색광 및 적색광이 상호 혼색됨으로써 우수한 컬러재현성을 가지는 백색광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광원(211)은 백색광을 직접 생성하는 백색 LED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원기판(213)은 디스플레이본체(10)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연장되며, 별도의 전원(미도시)에 접속됨으로써 상판면 상에 장착된 복수의 광원(211)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기판(213)은 광원(211)으로부터의 광이 도광판(220)의 측면에 입사되도록 직립하여 배치된다.
또한, 광원기판(213)은 전선 패턴층이 코팅되고, 열 전도율이 좋은 금속기판으로 형성하거나,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로 형성할 수 있다.
도광판(220)은 아크릴 사출물 등으로 구현된 플라스틱 성형 렌즈로서, 광원 모듈(2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균일하게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광판(2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광판(220)은 제1반사판(230)과 마주하는 하판면 상에 광을 산란시키는 도광판 패턴, 또는 광학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도광판(2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출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광학 패턴을 어떻게 형성하는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휘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1반사판(230)은 도광판(220)의 하판면에 배치되며, 광원 모듈(210)로부터 도광판(220)에 조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제2반사판(240)은 도광판(220)의 상판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광학시트류(250)가 적층되지 않은 에지 영역에 배치된다. 제2반사판(240)은 광원 모듈(210)로부터의 광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안내되도록, 도광판(220)에서 메인프레임(300)으로 출사되는 일부 광을 다시 도광판(220)으로 반사시킨다.
광학시트류(2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평행하게,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도광판(220) 사이에 적어도 1매 이상이 적층된다. 광학시트류(250)는 프리즘(prism) 시트, 확산시트, 보호필름 등을 포함하며, 도광판(2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특성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한다.
메인프레임(300)은 그 내부에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유닛(200)을 수용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유닛(200)의 상하좌우 4방향 에지 및 후방을 지지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본체(10)는 메인프레임(300)에서 소정의 제1영역에 결합되고 광원 모듈(210)을 지지하는 서브프레임(4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400)은 메인프레임(300)의 상기한 제1영역의 열팽창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열팽창률의 재질을 가진다.
이에 의하여, 광원 모듈(210)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본체(10)의 에지 영역이 벤딩(bending)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바, 이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메인프레임(300) 및 서브프레임(4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메인프레임(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유닛(200)의 전방 및 측방 에지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3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유닛(200)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전방프레임(310) 및 후방프레임(32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전방프레임(310) 및 후방프레임(320)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의 방열 개선 및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전방프레임(3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하좌우 4방향 에지를 따라서 연장된 사각형의 환상의 형상을 가진다. 전방프레임(310)은 X-Z 평면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유닛(200)의 X 방향, -X 방향, Z 방향, -Z 방향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본체(10)의 외형을 형성한다.
전방프레임(310)은 상기한 4방향 에지에 배치된 전방프레임측벽(311)을 가진다. 또한, 전방프레임(310)은 내측에 서브프레임(400)이 지지되는 서브프레임지지부(313)와, 제2반사판(240)이 지지되는 제2반사판지지부(3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지지되는 패널지지부(317)을 가진다.
서브프레임지지부(313), 제2반사판지지부(315) 및 패널지지부(317)는 전방프레임측벽(311)에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 방향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호간에 단차를 가짐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다만, 서브프레임지지부(313), 제2반사판지지부(315) 및 패널지지부(317)는 전방프레임(310)의 각 영역을 편의상 지칭하는 명칭에 불과한 것이며, 이러한 명칭 또는 형상이나 수치 등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서브프레임지지부(313)는 전방프레임(310)에서 서브프레임(400)이 결합 지지되는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프레임(400)은 열전도성 양면테이프(510)에 의해 서브프레임지지부(313)에 결합되나, 접착제에 의해 서브프레임지지부(313)에 접착될 수도 있다.
후방프레임(320)은 전방프레임(310)에 수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유닛(200)의 후방을 커버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후방프레임(320)은 판상의 커버로 구현되나, 이것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 바, 후방프레임(32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방프레임(320)은 전방프레임(310)과 마주하는 상판면(321)과, 상판면(321)의 반대방향의 하판면(323)과, 후방프레임(320)에 관통 형성된 제1체결홀(325)을 가진다. 제1체결홀(325)이 형성된 상판면(321)의 에지 영역에는 서브프레임(400)이 결합되며, 상판면(321)의 중앙 영역에 제1반사판(230)이 지지된다.
제1체결홀(325)은 서브프레임(400)에 형성된 제2체결홀(440)과 함께 파스너(fastener)(52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서브프레임(400)을 후방프레임(320)에 결합시킨다.
파스너(520)는 다양한 체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스크루(screw), 리벳(rivet), 클립(clip) 등의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400)은 전방프레임(310)을 따라서 연장되며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바(bar) 타입의 형상을 가진다. 서브프레임(400)은 전방프레임(310) 및 후방프레임(320) 사이에 개재되며, 서브프레임(400)의 상판면(410)은 서브프레임지지부(313)에, 서브프레임(400)의 하판면(420)은 후방프레임(320)의 상판면(321)에 각각 접촉 및 결합된다. 그리고, 서브프레임(400)은 도광판을 향하는 방향의 측면(430)에 광원 모듈(210)이, 보다 자세하게는 광원기판(213)이 지지된다.
서브프레임(400)의 측면(430)에 광원 모듈(210)이 지지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430)에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파스너(미도시)에 의해 광원기판(213)과 함께 체결되거나, 측면(430)에 접착제 또는 열전도성 양면테이프에 의해 광원기판(213)이 접착되는 등의 구성이 가능하다.
서브프레임(400)은 광원 모듈(210)에서 발생하는 열이 1차적으로 전달되며, 서브프레임(400)에 전달되는 열은 다시 전방프레임(310) 및 후방프레임(320)으로 전달되어 방출된다. 광원 모듈(210)이 구동할 때, 동일한 시점에 서브프레임(400)과, 전방프레임(310)의 서브프레임지지부(313)와, 후방프레임(320)의 에지 영역의 온도를 각각 검출하면, 서브프레임(400)에서의 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
본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서브프레임(400)이 없이 광원 모듈(210)이 전방프레임(310)에 지지되고, 후방프레임(320)이 전방프레임(310)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경우를 고려한다. 광원 모듈(210)이 지지된 전방프레임(310)의 일영역은 후방프레임(320)보다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 바, 전방프레임(310) 및 후방프레임(320)이 동일한 열팽창률을 가진다면 전방프레임(310)의 상기한 일영역의 열변형량이 후방프레임(320)의 열변형량보다 커진다. 이 때문에, 전방프레임(310) 및 후방프레임(320)이 상호 결합된 영역을 중심으로 벤딩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프레임(310) 및 후방프레임(320)이 서브프레임(400)에 각각 결합되며, 서브프레임(400)은 광원 모듈(210)을 지지하되, 전방프레임(310) 및 후방프레임(3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팽창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열팽창률을 가진다. 여기서, 서브프레임(400)의 열팽창률은, 광원 모듈(210)의 구동 시, 광원 모듈(210)의 구동에 따라서 발생하는 광원 모듈(210)로부터의 열에 의한 전방프레임(310), 후방프레임(320) 및 서브프레임(400) 각각의 변형량이 상호 대응하도록, 즉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결정된다.
이에 의하여, 광원 모듈(210)로부터의 열에 의해 서브프레임(400)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더라도, 서브프레임(400)의 열변형량과 전방프레임(310) 또는 후방프레임(320)의 열변형량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는 바, 앞서 비교 대상에서의 벤딩 현상을 억제 내지는 최소화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40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전방프레임(310) 및 후방프레임(320)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경우, 서브프레임(400)은 스틸, 스테인레스 스틸, 구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400)의 이러한 재질은 대체적으로 전방프레임(310) 및 후방프레임(320)의 재질보다 강도가 높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서브프레임(400) 및 메인프레임(300) 사이의 결합 구성에 있어서, 전방프레임(310) 및 서브프레임(400) 사이는 양면테이프(510)로, 후방프레임(320) 및 서브프레임(400) 사이는 스크루 등의 파스너(520)로 결합시키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제1실시예와 상이한 결합 구성을 적용한 경우에 관해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광원 모듈(210), 도광판(220), 제1반사판(230), 제2반사판(240), 광학시트류(250)를 가지며, 이들 구성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인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2)는 전방프레임(311)과, 후방프레임(321)과, 광원 모듈(210)을 지지하도록 전방프레임(311) 및 후방프레임(321) 사이에 개재된 서브프레임(401)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프레임(401)은 일측이 스크루(521)에 의해 전방프레임(311)에 체결되며, 타측이 양면테이프(511)에 의해 후방프레임(321)에 접착된다. 서브프레임(401) 및 전방프레임(311)에는 스크루(521) 체결을 위한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광원 모듈(210), 도광판(220), 제1반사판(230), 제2반사판(240), 광학시트류(250)를 가지며, 이들 구성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인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3)는 전방프레임(312)과, 후방프레임(322)과, 광원 모듈(210)을 지지하도록 전방프레임(312) 및 후방프레임(322) 사이에 개재된 서브프레임(4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프레임(402)은 일측이 스크루(522)에 의해 전방프레임(312)에 체결되며, 타측이 스크루(523)에 의해 후방프레임(322)에 체결된다. 서브프레임(402), 전방프레임(312) 및 후방프레임(322)에는 스크루(522, 523) 체결을 위한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광원 모듈(210), 도광판(220), 제1반사판(230), 제2반사판(240), 광학시트류(250)를 가지며, 이들 구성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인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4)는 전방프레임(313)과, 후방프레임(323)과, 광원 모듈(210)을 지지하도록 전방프레임(313) 및 후방프레임(323) 사이에 개재된 서브프레임(403)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프레임(403)은 일측이 양면테이프(512)에 의해 전방프레임(313)에 접착되며, 타측이 양면테이프(513)에 의해 후방프레임(323)에 접착된다. 또는 양면테이프(512, 513) 대신 접착제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과는 상이한 구성의 백라이트유닛(600)이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5)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에 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5)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5)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라이트유닛(600)과, 전방프레임(314)과, 후방프레임(324)과, 서브프레임(404)을 포함한다.
백라이트유닛(600)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 모듈(610)과, 광원 모듈(6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00)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1반사판(620)과, 전방프레임(314)으로 조사되는 광을 제1반사판(620) 쪽으로 반사하는 제2반사판(630)과, 제1반사판(620)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특성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출사하는 광학시트류(6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600)은 앞선 실시예에서의 도광판(220)이 없는 구성이다.
전방프레임(314) 및 후방프레임(324) 사이에는 서브프레임(404)이 개재되며, 서브프레임(404)은 일측이 양면테이프(514)에 의해 전방프레임(314)에 접착되며, 타측이 스크루(524)에 의해 후방프레임(324)에 결합된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광원 모듈(610)은 서브프레임(404)에 지지되어 제1반사판(620)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광원 모듈(610)로부터의 광의 특성을 조절하는 렌즈(미도시)가 광원 모듈(610) 및 제1반사판(620) 사이의 광경로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반사판(620)은 후방프레임(324) 상에 지지되며, 광원 모듈(610)로부터의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반사시킨다. 여기서, 제1반사판(620)은 광원 모듈(610)로부터 이격될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광원 모듈(610)로부터 이격될수록 광의 강도가 저하되는 바, 이러한 구조의 제1반사판(6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적인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반사판(630)은 광원 모듈(610)로부터의 제2반사판(630) 쪽으로 조사되는 광을 제1반사판(620)으로 반사시킨다. 제2반사판(630)은 스크루(525) 등에 의해 전방프레임(314)에 결합되며, 전방프레임(314)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광학시트류(64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1, 2, 3, 4, 5)는 외부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바, 이에 관한 제어 구성에 관해 도 8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6)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6)는 디스플레이 패널(710)과, 백라이트유닛(720)과,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신호 수신부(730)와, 영상신호 수신부(73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710)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740)와, 백라이트유닛(720)의 광원 모듈(미도시)을 구동시키는 광원구동부(7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710) 및 백라이트유닛(720)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영상신호 수신부(73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신호 처리부(740)에 전달하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6)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6)가 TV로 구현되는 경우, 영상신호 수신부(73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신호 수신부(73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영상신호 처리부(740)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신호 처리부(74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710)에 출력하는 한편 광원구동부(75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710)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신호 처리부(74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및 인코딩(en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일체형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광원구동부(750)는 영상신호 처리부(740)의 처리에 대응하여 백라이트유닛(720)의 광원 모듈(미도시)의 점멸을 제어한다.
이들 영상신호 수신부(730), 영상신호 처리부(740) 및 광원구동부(75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구현되어 전방프레임(310) 또는 후방프레임(320)에 결합되거나, 베이스(20)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앞선 실시예와 같이 메인프레임(300) 및 서브프레임(400)의 구조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6)에 적용된다. 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광원 모듈(210)이 디스플레이장치(1)의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에지형 배치구조를 가지도록 서브프레임(40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1)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원 모듈(26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마주하는 후방프레임(325)의 판면 상에 지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하형 배치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7)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구조의 실시예를 제7실시예로 하고, 도 9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9는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7)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7)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광원 모듈(260)과, 도광판(220)과, 광학시트류(2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7)는 상기한 구성들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지지 및 수용하는 전방프레임(315) 및 후방프레임(325)과, 전방프레임(315) 및 후방프레임(325) 사이에 개재되며 전방프레임(315) 및 후방프레임(325)에 각각 결합된 서브프레임(405)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앞선 실시예들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서브프레임(405)은 스크루(525)에 의해 후방프레임(325)에 결합되며, 양면테이프(515)에 의해 전방프레임(315)에 결합된다. 그러나, 앞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405)이 전방프레임(315) 및 후방프레임(325)에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결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260)은 복수 개가 마련된다. 이 복수의 광원 모듈(26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도광판(220)의 배면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 광원 모듈(260)의 광원기판(263)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도광판(220)을 마주하는 후방프레임(325)의 판면 상에 결합 또는 지지된다. 그리고, 광원기판(263) 상의 광원(261)으로부터 생성되는 광은 앞선 실시예와 달리, 도광판(220)의 하측면, 즉 도광판(220)의 Y방향 판면으로 입사되고 도광판(220)의 -Y 방향으로 출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광원 모듈(260)에서 광이 생성되면, 광원 모듈(260)이 후방프레임(325)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광원 모듈(260)에서 발생하는 열이 후방프레임(325)에 1차적으로 전달된다. 후방프레임(325)에 전달되는 열은 다시 전방프레임(315) 및 서브프레임(405)으로 전달된다.
즉, 광원 모듈(260)이 구동할 때, 동일한 시점에서 전방프레임(315), 후방프레임(325) 및 서브프레임(405)의 온도를 각각 검출하면, 전방프레임(315) 및 서브프레임(405)에 비해 후방프레임(325)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 모듈(260)이 지지되는 후방프레임(325)의 열팽창률은, 광원 모듈(260)이 지지되지 않는 서브프레임(405) 및 전방프레임(315)의 열팽창률보다 작게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광원 모듈(260)이 구동할 때, 광원 모듈(260)로부터의 열에 의해 전방프레임(315), 후방프레임(325) 및 서브프레임(405) 각각의 변형량이 상호 대응하게 나타난다.
보다 자세하게는, 광원 모듈(260)이 구동하는 경우의 동일 시점에서, 전방프레임(315), 후방프레임(325) 및 서브프레임(405) 각각이 포함하는 열량은, 광원 모듈(260)이 지지되는 후방프레임(325)이 광원 모듈(260)이 지지되지 않은 전방프레임(315) 및 서브프레임(405)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후방프레임(325)의 열팽창률을 상대적으로 낮도록 하면, 광원 모듈(260)에 의한 열변형량이 전방프레임(315), 후방프레임(325) 및 서브프레임(405) 각각에서 상호 대응하게, 즉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7)의 에지 영역이 디스플레이장치(7)의 중앙 영역에 대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벤딩하여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과 달리, 광원 모듈(270, 280)이 서브프레임(406) 및 후방프레임(326)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지지되는 것이 아닌, 복수의 광원 모듈(270, 280) 중에서 일부의 광원 모듈(270)이 서브프레임(406)에 지지되고, 복수의 광원 모듈(270, 280) 중에서 나머지의 광원 모듈(280)이 후방프레임(326)에 지지되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8)의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8)에도 적용 가능한 바, 이러한 구성에 관해 제8실시예로 하고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0은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8)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8)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전방프레임(316), 후방프레임(326), 서브프레임(406), 광원 모듈(270, 280), 도광판(220), 광학시트류(25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서브프레임(406)은 스크루(526)에 의해 후방프레임(326)에 결합되며, 양면테이프(516)에 의해 전방프레임(316)에 결합된다. 그러나, 앞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406)이 전방프레임(316) 및 후방프레임(326)에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결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 모듈(270, 280)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광원 모듈(270)은 서브프레임(406)에 지지되며, 나머지 일부의 광원 모듈(280)은 후방프레임(326)에 지지된다. 서브프레임(406)에 지지되는 광원 모듈(27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도광판(220)의 X 방향 측면으로 입사되며, 후방프레임(326)에 지지되는 광원 모듈(28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도광판(220)의 Y 방향 측면으로 입사된다. 즉, 서브프레임(406)에 지지되는 광원 모듈(270)로부터의 광 방향과 후방프레임(326)에 지지되는 광원 모듈(280)로부터의 광 방향은 상호 직교한다.
광원 모듈(270, 280)이 구동함에 따라서 각 광원 모듈(270, 280)로부터 열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 서브프레임(406) 및 후방프레임(326)에 각각 광원 모듈(270, 280)이 지지되어 있으므로, 서브프레임(406) 및 후방프레임(326)의 온도는 전방프레임(316)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 모듈(270, 280)이 지지되는 서브프레임(406) 및 후방프레임(326)의 열팽창률은 전방프레임(316)의 열팽창률보다 작게 마련된다. 여기서, 서브프레임(406)의 열팽창률 및 후방프레임(326)의 열팽창률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지정될 수 있고, 또는 지지되는 광원 모듈(270, 280)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 설정 범위 내에서 상이하게 지정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사항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8)의 에지 영역이 디스플레이장치(8)의 중앙 영역에 대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벤딩하여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게 후방프레임 및 서브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후방프레임 및 서브프레임 중에서 광원 모듈이 지지되는 어느 하나의 열팽창률은, 전방 프레임, 후방프레임 및 서브프레임 중에서 광원 모듈이 지지되지 않는 나머지의 열팽창률보다 작게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광원 모듈의 열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원 모듈이 서브프레임 및 제2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에 모두 지지되는 경우에, 광원 모듈이 지지되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열팽창률은, 광원 모듈이 지지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열팽창률보다 작다. 그리고, 이 광원 모듈이 지지되지 않는 상기한 다른 하나의 열팽창률은 제1프레임의 열팽창률보다 작다. 이는, 제1프레임이 외부와의 접촉면적이 넓으므로, 상대적으로 방열에 유리한 것에 따른 것이다.
또는, 광원 모듈이 서브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 각각 지지되는 경우에, 서브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열팽창률은 제1프레임의 열팽창률보다 작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지지된다"는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구현되거나,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장치
10 : 디스플레이본체
100 : 디스플레이 패널
200 : 백라이트유닛
210 : 광원 모듈
211 : 광원
213 : 광원기판
220 : 도광판
230 : 제1반사판
240 : 제2반사판
250 : 광학시트류
300 : 메인프레임
310 : 전방프레임
320 : 후방프레임
400 : 서브프레임
510 : 양면테이프
520 : 파스너

Claims (12)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서브프레임 중에서 상기 광원 모듈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팽창률은, 상기 제1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서브프레임 중에서 상기 광원 모듈이 지지되지 않는 나머지의 열팽창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의 구동에 따라서 발생하는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의 열에 의한, 상기 제1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서브프레임 각각의 변형량은 상호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수용 및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바 타입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프레임에 접하는 제1판면과, 상기 제1판면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2프레임에 접하는 제2판면과,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광원 모듈에 접하는 제3판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파스너(fastener), 양면 테이프 및 접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좌우 네 방향 에지를 따라서 연장된 사각형의 환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을 따라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이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에 모두 지지되는 경우에, 상기 광원 모듈이 지지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열팽창률은 상기 광원 모듈이 지지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열팽창률보다 작으며, 상기 광원 모듈이 지지되지 않는 상기 다른 하나의 열팽창률은 상기 제1프레임의 열팽창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이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각각 지지되는 경우에,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열팽창률은 상기 제1프레임의 열팽창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광원과;
    일측 판면 상에 상기 광원이 장착되고, 타측 판면이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광원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설치면 상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에 대해 지지시키는 스탠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신호 수신부와;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광원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구동부,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 및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10020702A 2010-08-09 2011-03-09 디스플레이장치 KR20120014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73,425 US20120032963A1 (en) 2010-08-09 2011-06-30 Display apparatus and frame to accommodate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6530 2010-08-09
KR1020100076530 2010-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537A true KR20120014537A (ko) 2012-02-17

Family

ID=4583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702A KR20120014537A (ko) 2010-08-09 2011-03-09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45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182B1 (ko) Led 백라이트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led 모듈
US9671630B2 (en) Display device
US7663730B2 (en) Heat radiator and display unit
US8870437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10141670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632342B2 (en) Liquid crystal module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6989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80316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set
US20120250354A1 (en) Illuminator for Display and Display
KR20120019139A (ko) 액정표시장치
US716164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120019140A (ko) 액정표시장치
US826463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top case with first and second frame members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US817463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4029448A (ja) 液晶モジュール及び液晶表示装置
US10185081B2 (en)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JP2014095792A (ja) 液晶表示装置
JPWO201108101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5728066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110048173A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GB2433346A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20120032963A1 (en) Display apparatus and frame to accommodate display panel
KR20120014537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03234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1901410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