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703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703A
KR20200122703A KR1020190045729A KR20190045729A KR20200122703A KR 20200122703 A KR20200122703 A KR 20200122703A KR 1020190045729 A KR1020190045729 A KR 1020190045729A KR 20190045729 A KR20190045729 A KR 20190045729A KR 20200122703 A KR20200122703 A KR 20200122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protrusion
display device
inner plat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다빈
김미경
소원영
임성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703A/ko
Priority to PCT/KR2019/009387 priority patent/WO2020213790A1/ko
Priority to US17/420,662 priority patent/US11849547B2/en
Publication of KR2020012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02F2001/133322
    • G02F2001/13332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제1 영역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의 중심축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견고한 결합 구조를 갖는 케이스 부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를 슬림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의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단가를 줄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제1 영역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의 중심축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마주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과 마주하는 베이스부를 갖는 미들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제2 영역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1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1 관통홀 및 상기 제2-2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돌출부의 중심축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는 제 3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3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3 돌출부의 중심축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는 소스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소스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미들 프레임의 베이스부는 각각 상기 멤버층이 관통하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회피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제 1 장변 영역, 상기 제 1 장변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장변 영역, 상기 제 1 장변 영역 및 상기 제 2 장변 영역의 일단에 접하는 제 1 단변 영역, 상기 제 1 단변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단변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 장변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단변 영역 사이의 중앙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장변 영역, 상기 제1 단변 영역, 및 상기 제2 단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장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이너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들은 상기 제1 및 제2 장변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착 부재들, 상기 제1 및 제2 단변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착 부재들, 상기 중심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접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접착 부재들과 중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접착 부재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견고하게 결합된 케이스 부재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수율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 및 접착 부재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OLED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10)(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를 바라 볼 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 또는 수평방향(DR1)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 또는 수직방향(DR2)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후면에서 전면으로 향하는 방향은 전후방향(DR3) 또는 두께방향(FB)이라 할 수 있다. 전후방향(DR3)은 좌우방향(DR1) 및/또는 상하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및 미들 프레임(37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전면에 제공되며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과 마주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메인 프레임(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마주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메인 프레임(330)에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이너 플레이트(350)는 별도의 결합 부재를 더 구비함이 없이, 메인 프레임(330)에 형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의 형내 결합 구조는, 제1 결합 구조(ST1)라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부재들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구조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수율을 개선할 수 있고, 재료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할당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박형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에는 제1 접착 부재(AM1)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M1)는, 이너 플레이트(35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M1)는 양면 테이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들 프레임(370)은 베이스부(373)와 측벽(371)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71)은 베이스부(37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373)와 분리 형성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 소정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측벽(371)과 베이스부(37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측벽(371)은 길게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측벽(37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에 대향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움직임을 구속하거나 및/또는 기 설정된 범위에서 제한할 수 있다.
베이스부(373)는 측벽(37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부(373)는 메인 프레임(330)의 후방에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330)의 배면에 마주할 수 있다. 베이스부(373)는 메인 프레임(330)의 후방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 프레임(330)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를 커버할 수 있다.
베이스부(373)는 메인 프레임(330)의 후방에서, 메인 프레임(3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373)와 메인 프레임(330) 사이에는 제2 접착 부재(AM2)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M2)는, 베이스부(373)와 메인 프레임(330)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M2)는 양면 테이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373)는 메인 프레임(330)의 후방에서, 메인 프레임(330) 및 이너 플레이트(350)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부재가 동시에 결합됨에 따라, 더욱 안정적인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후술하겠으나, 베이스부(373)는 별도의 결합 부재를 더 구비함이 없이, 메인 프레임(330), 및 이너 플레이트(350)에 형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373), 메인 프레임(330), 및 이너 플레이트(350)의 형내 결합 구조는, 제2 결합 구조(ST2)라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부재들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구조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수율을 개선할 수 있고, 재료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할당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박형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베이스부(373)와 측벽(371)에 의해 마련된 내부 공간에는, 이너 플레이트(350) 일측 가장자리 및 메인 프레임(330)의 일측 가장자리가 안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 메인 프레임(330) 및 미들 프레임(370)은, 상기 내부 공간에서, 기 설정된 배치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너 플레이트(350)의 적어도 일단은 후면 방향으로 굽어져 후면 방향을 지향하는 제1 단턱부(350a)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의 적어도 일단은 후면 방향으로 굽어져 후면 방향을 지향하는 제2 단턱부(33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단턱부(350a) 및 제2 단턱부(330a)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은, 상호 간 움직임을 구속 및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베이스부(373)는 소정의 안착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벤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373)는 제1 부분(373a), 제2 부분(373b), 제3 부분(37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73a)은 측벽(371)으로부터 연장되며, 내측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제2 부분(373b)은 제1 부분(373a)으로부터 연장되며, 적어도 1회 벤딩되어 전면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제3 부분(373c)은 제2 부분(373b)으로부터 연장되며, 적어도 1회 벤딩되어 내측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부분(373c)에 의해 마련된 내부 공간은 삽입부(373d)로 지칭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의 제1 단턱부(350a)는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삽입부(373d)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 플레이트(350)의 움직임이 구속되거나,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제한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의 제2 단턱부(330a)는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330)의 움직임이 구속되거나,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제한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결합 구조는 전술한 제1 결합 구조(ST1)일 수 있고, 제2 결합 구조(ST2)일 수 있다. 결합 구조는 형내 결합되는 제1 모재 및 제2 모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모재 및 제2 모재가 메인 프레임(330) 및 이너 플레이트(35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모재는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모재는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또는, 결합 구조는, 하나 이상의 모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재는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모재는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 중 다른 하나일 수 있으며, 제3 모재는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 중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들은 위치에 따라 다른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 부재는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을 지칭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330)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메인 프레임(330)의 관통홀(331)을 향하여 돌출되는 중공 돌출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돌출부(351)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일부가 전면에서 함몰되고, 후면에서 돌출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중공 돌출부(351)가 관통홀(331)에 삽입됨에 따라,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중공 돌출부(351)의 외주는 관통홀(331)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즉, 중공 돌출부(351)의 외주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중공 돌출부(351)는 내측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352)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공 돌출부(351)는 버링(burring) 공정을 통해 성형 가공될 수 있다. 중공 돌출부(351)는 관통홀(331)에 삽입될 수 있다. 중공 돌출부(351)의 단부는, 관통홀(331)에 삽입된 후, 관통홀(331)의 주변부에서 메인 프레임(330)의 배면에 강제적으로 걸리도록 코킹(caulking) 처리 될 수 있다. 코킹 처리 됨에 따라, 중공 돌출부(35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메인 프레임(330)의 배면에 접촉되는 부분은, 연장부(351a)로 지칭될 수 있다. 연장부(351a)는 중공 돌출부(351)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공 돌출부(351)의 단면은, 연장부(351a)가 마련된 부분에서 "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관통홀(331)에 삽입된 중공 돌출부(351)의 단부를 가압하여 국부적으로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 간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홀(331)에 삽입된 중공 돌출부(35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결합 부재를 이용함이 없이도,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 간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의 상호 움직임이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330)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메인 프레임(330)의 관통홀(331)을 향하여 돌출되는 엠보(embo)형 돌출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엠보형 돌출부(351)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일부가 전면에서 함몰되고, 후면에서 돌출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엠보형 돌출부(351)가 관통홀(331)에 삽입됨에 따라,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엠보형 돌출부(351)의 외주는 관통홀(331)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즉, 중공 돌출부(351)의 외주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엠보형 돌출부(351)는 도 5의 중공 돌출부(351)와 달리 내측에 중공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중공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빛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중공 돌출부(351)는 관통홀(331)에 삽입될 수 있다. 엠보형 돌출부(351)의 단부는, 관통홀(331)에 삽입된 후, 관통홀(331)의 주변부에서 메인 프레임(330)의 배면에 강제적으로 걸리도록 코킹(caulking) 처리 될 수 있다. 코킹 처리 됨에 따라, 엠보형 돌출부(351)의 단부 (또는, 바닥면)로부터 연장되어 메인 프레임(330)의 배면에 접촉되는 부분은, 연장부(351a)로 지칭될 수 있다. 연장부(351a)는 엠보형 돌출부(351)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엠보형 돌출부(351)의 단면은, 연장부(351a)가 마련된 부분에서 "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관통홀(331)에 삽입된 엠보형 돌출부(351)의 단부를 가압하여 국부적으로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 간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홀(331)에 삽입된 엠보형 돌출부(35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결합 부재를 이용함이 없이도,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 간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의 상호 움직임이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너 플레이트(350)는 메인 프레임(330)을 향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엠보형 돌출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제1 엠보형 돌출부(351)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엠보형 돌출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엠보형 돌출부(351)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일부가 전면에서 함몰되고, 후면에서 돌출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엠보형 돌출부(333)는 메인 프레임(330)의 일부가 전면에서 함몰되고, 후면에서 돌출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엠보형 돌출부(351)는 제2 엠보형 돌출부(333)의 함몰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엠보형 돌출부(351)의 단면적은 제2 엠보형 돌출부(333)의 단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엠보형 돌출부(351)는 제1 엠보형 돌출부(351)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연장부(35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엠보형 돌출부(333)는 제1 엠보형 돌출부(35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엠보형 돌출부(351)의 외주 형상과 제2 엠보형 돌출부(333)의 내주 형상은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엠보형 돌출부(333)는 연장부(351a)가 삽입되는 요홈(333a)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51a)의 형상과 요홈(333a)의 형상은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351a)와 요홈(333a)은 맞닿아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을 하부 방향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국부적으로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연장부(351a)를 갖는 제1 엠보형 돌출부(351)와 요홈(333a)을 갖는 제2 엠보형 돌출부(333)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 간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351a)와 요홈(333a)의 형상은 가압 장치(401)와 다이(403)의 형상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엠보형 돌출부(333)에 삽입된 제1 엠보형 돌출부(35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결합 부재를 이용함이 없이도,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 간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의 상호 움직임이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의 구체적인 적용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8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A-A'로 절취한 도면이다. 도 10는 도 8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B-B'로 절취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C-C'로 절취한 도면이다. 이하, 케이스 부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결합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결합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케이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부재는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케이스 부재들에 의해 함께 조립되어 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멤버층(member layer, ML)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OLED일 수 있고, 멤버층(ML) 은COF(chip-on-film),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CP(tape carrier package)등일 수 있다. 멤버층(ML)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단(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2 장변(LS2)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 및 미들 프레임(370)은 각각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단(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2 장변(LS2)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메인 프레임(330)을 완전히 관통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미들 프레임(370)을 완전히 관통할 수 있다. 멤버층(ML)은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를 관통하여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의 수는 멤버층(ML)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를 관통하여 연장된 멤버층(ML)은, 메인 프레임(330)의 후방에 배치된 소스 PCB(printed circuit board)(SP)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소스 PCB(SP)는 복수의 멤버층(ML)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 부재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조는 M열과 N행(M, N은 자연수)에 복수 개로 적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은 하나의 결합 구조를 통해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해당 결합 구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측단면, 좌측단면, 우측단면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해당 결합 구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 장변(LS1), 제1 단변(SS1), 제2 단변(SS2)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 포함한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측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35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이너 플레이트(350)의 후방에서 이너 플레이트(350)의 배면에 접하며, 돌출부(1351)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1331)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370)의 베이스부(373)는, 메인 프레임(330)의 후방에서 메인 프레임(330)의 배면에 접하며, 돌출부(1351)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1374)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51), 제1 관통홀(1331), 제2 관통홀(1374)의 수는 대응될 수 있다.
돌출부(1351)의 단부는 연장부(1351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351a)는 돌출부(1351)의 일단으로부터 벤딩되어, 제2 관통홀(1374)의 주변부에서 미들 프레임(370)의 베이스부(373)의 배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330) 및 미들 프레임(370)의 두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 및 미들 프레임(370)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350)의 움직임이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의 두께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물론,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 또한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케이스 부재들의 고정을 위해 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환경 및/또는 제조 환경에서 온도/습도 변화에 따라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부재를 하나의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보다 강건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는 하나의 결합 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해당 결합 구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중심부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중심부는 미들 프레임(37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중심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35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이너 플레이트(350)의 후방에서 이너 플레이트(350)의 배면에 접하며, 돌출부(2351)가 삽입되는 관통홀(2331)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351)와 관통홀(2331)의 수는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프레임(330)의 중심부가 이너 플레이트(350)의 배면에 접할 수 있도록, 포밍부(FM)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2351)의 단부는 연장부(2351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351a)는 돌출부(2351)의 일단으로부터 벤딩되어, 관통홀(2331)의 주변부에서 메인 프레임(330)의 배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330)의 두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350)의 움직임이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의 두께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물론,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 또한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케이스 부재들의 고정을 위해 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환경 및/또는 제조 환경에서 온도/습도 변화에 따라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330), 미들 프레임(370)은 하나의 결합 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해당 결합 구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측단면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해당 결합 구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2 장변(LS2)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해당 결합 구조는 멤버층(ML) 및 개구부(OA1, OA2)가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측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측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3331)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370)의 베이스부(373)는, 메인 프레임(330)의 후방에서 메인 프레임(330)의 배면에 접하며, 돌출부(3331)가 삽입되는 관통홀(3374)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331), 관통홀(3374)의 수는 대응될 수 있다.
돌출부(3331)의 단부는 연장부(3331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331a)는 돌출부(3331)의 일단으로부터 벤딩되어, 관통홀(3374)의 주변부에서 미들 프레임(370)의 베이스부(373)의 배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들 프레임(370)의 두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370)에 의해, 메인 프레임(330)의 움직임이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의 두께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물론,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 또한 구속 및/또는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케이스 부재들의 고정을 위해 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환경 및/또는 제조 환경에서 온도/습도 변화에 따라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 및 접착 부재의 구체적인 적용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케이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부재는 메인 프레임(330), 이너 플레이트(350), 미들 프레임(37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케이스 부재들에 의해 함께 조립되어 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350) 사이에는 접착 부재(AM1)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접착 부재(AM1)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350)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 부재(AM1)는 복수 개일 수 있고, 필요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들(AM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장변 영역(LS1, LS2)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착 부재들, 제1 및 제2 단변 영역(SS1, SS2)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착 부재들, 중심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접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 (a)를 참조하면, 접착 부재(AM1)는 케이스 부재의 결합 구조(ST)가 배치된 영역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착 부재(AM1)는 돌출부(도 5, 6, 7의 351)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부(도 5, 6, 7의 351)들이 수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경우, 접착 부재(AM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배열된 돌출부(도 5, 6, 7의 351)들을 동시에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도 5, 6, 7의 351)들이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경우, 접착 부재(AM1)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 방향을 따라 배열된 돌출부(도 5, 6, 7의 351)들을 동시에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접착 부재(AM1)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판형으로 마련되어,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에 배열된 돌출부(도 5, 6, 7의 351)들을 동시에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접착 부재(AM1)가 돌출부(도 5, 6, 7의 351)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제공된 빛이 돌출부(도 5, 6, 7의 351)들 및/또는 관통홀(도 5, 6의 331)들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빛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3 (b)를 참조하면, 접착 부재(AM1)는 케이스 부재의 결합 구조(ST)가 배치된 영역에 미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착 부재(AM1)는 돌출부(도 5, 6, 7의 351)와 중첩되지 않도록 돌출부(도 5, 6, 7의 351)로부터 일정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부(도 5, 6, 7의 351)들이 복수 행들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경우, 접착 부재(AM1)는 복수 행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도 5, 6, 7의 351)들이 복수 열들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경우, 접착 부재(AM1)는 복수 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구조(ST)에 의해 단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결합 구조(ST)와 이웃한 영역에 접착 부재(AM1)를 배치함으로써,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소정의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제1 영역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의 중심축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에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마주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과 마주하는 베이스부를 갖는 미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제2 영역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1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1 관통홀 및 상기 제2-2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돌출부의 중심축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후면에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제 3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3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3 돌출부의 중심축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후면에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는 소스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소스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미들 프레임의 베이스부는,
    각각 상기 멤버층이 관통하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회피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 영역, 상기 제 1 장변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장변 영역, 상기 제 1 장변 영역 및 상기 제 2 장변 영역의 일단에 접하는 제 1 단변 영역, 상기 제 1 단변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단변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 장변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단변 영역 사이의 중앙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장변 영역, 상기 제1 단변 영역, 및 상기 제2 단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장변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이너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들은,
    상기 제1 및 제2 장변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착 부재들, 상기 제1 및 제2 단변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착 부재들, 상기 중심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접착 부재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접착 부재들과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접착 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의 중심축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 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요홈을 갖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90045729A 2019-04-18 2019-04-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22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729A KR20200122703A (ko) 2019-04-18 2019-04-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19/009387 WO2020213790A1 (ko) 2019-04-18 2019-0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7/420,662 US11849547B2 (en) 2019-04-18 2019-07-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729A KR20200122703A (ko) 2019-04-18 2019-04-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703A true KR20200122703A (ko) 2020-10-28

Family

ID=7283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729A KR20200122703A (ko) 2019-04-18 2019-04-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49547B2 (ko)
KR (1) KR20200122703A (ko)
WO (1) WO20202137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41894A1 (en) * 2011-12-01 2013-06-0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Slim Bezel Backlight Module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30265519A1 (en) * 2012-04-06 2013-10-10 Gang Yu Liquid crystal display unit for narrow framed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CN102819131B (zh) * 2012-08-31 2015-04-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103336380B (zh) * 2013-06-24 2016-03-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外框组件
JP6281962B2 (ja) * 2016-05-24 2018-02-21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ディスプレイ及びpos端末
EP3343047B1 (en) * 2016-12-27 2023-11-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190004954A (ko) * 2017-07-05 2019-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54503B1 (ko) * 2017-07-20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35536B1 (ko) * 2017-11-30 202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187746B1 (ko) * 2019-08-16 202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49547B2 (en) 2023-12-19
US20220104362A1 (en) 2022-03-31
WO2020213790A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80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84981B1 (ko) 스피커모듈,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595426B2 (en) Display device
CN102456292A (zh) 显示装置
US11703703B2 (en) Display device
KR2019000451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6611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8763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1048568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90107213A (ko) 분해 및 재조립이 용이한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26374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69966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8000446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10682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227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816719B2 (en) Display device
KR201401311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3902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56434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844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073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8000446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4225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943056B1 (ko) 커버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13393759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