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682A -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682A
KR20190003682A KR1020187034633A KR20187034633A KR20190003682A KR 20190003682 A KR20190003682 A KR 20190003682A KR 1020187034633 A KR1020187034633 A KR 1020187034633A KR 20187034633 A KR20187034633 A KR 20187034633A KR 20190003682 A KR20190003682 A KR 20190003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adsorption
conveying
tablets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19000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26Devices, non-fluid media or methods for cancelling, correcting errors, underscoring or ru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이 정제 인쇄 장치(1)는, 복수의 흡착부에 음압을 작용시켜 정제(9)를 흡착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반송 기구, 정제(9)의 표면에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헤드(42), 헤드(42)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카메라(55), 카메라(55)가 촬상한 화상에 의거하여 회수해야 할 대상 정제를 결정하는 불량품 판정부, 대상 정제가 유지되는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정제(9)의 흡착을 해제하는 제1 블로우 기구(611, 621), 흡착부에 정제(9)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배출 센서(63), 배출 센서(63)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거하여 잔류 정제를 판별하는 잔류 판정부, 및, 잔류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제2 블로우 기구(641)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만일, 제1 블로우 기구(611, 621)에 의한 불량품의 회수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도, 불량품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불량품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본 발명은, 정제의 표면에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인 정제의 표면에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나 코드가 인자된다. 이와 같은 문자나 코드는, 각인에 의해 인자되는 경우도 있지만, 각인으로는 시인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후발 의약품의 보급에 의해 정제의 종류가 다양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제를 확실히 식별하기 위해, 정제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선명한 인자를 행하는 기술이 주목되고 있다.
종래의 잉크젯 방식의 정제 인쇄 장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공정에서는, 인쇄 불량 외에, 깨어짐이나 이지러짐 등의 형상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정제 인쇄 장치에서는, 정제로의 인쇄를 행함과 함께, 인쇄 후의 정제 중에서 불량품을 회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품으로의 불량품의 혼입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6-1043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정제 인쇄 장치와 같이, 불량품을 회수하는 기구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드물게, 다 회수할 수 없는 불량품이 제품 중에 혼입되는 경우가 있다. 의약품의 정제의 제품에 불량품이 혼입되면, 포장 단위, 블리스터 팩 단위, 혹은 1다스마다 폐기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제품 중으로의 불량품의 혼입률을 더 저하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의약품인 정제의 표면에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불량품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원의 제1 발명은, 정제의 표면에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이며, 복수의 흡착부에 음압을 작용시켜 상기 정제를 흡착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표면을 향해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정제 중 회수해야 할 대상 정제를 결정하는 불량품 판정부와, 상기 카메라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흡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대상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제1 블로우 기구와, 상기 제1 블로우 기구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착부에 상기 정제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배출 센서와, 상기 배출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대상 정제이며 상기 흡착부에 잔류하는 잔류 정제를 판별하는 잔류 판정부와, 상기 배출 센서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잔류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흡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잔류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제2 블로우 기구를 가진다.
본 원의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정제 인쇄 장치이며, 상기 흡착부는,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인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정렬하여 행을 이루며, 상기 제1 블로우 기구는, 반송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대상 정제가 흡착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대상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블로우 기구는, 상기 제1 블로우 기구의 하류측에서, 상기 잔류 정제가 흡착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잔류 정제의 흡착을 해제한다.
본 원의 제3 발명은, 제2 발명의 정제 인쇄 장치이며, 상기 제2 블로우 기구는, 상기 잔류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를 포함하는 상기 행의 전체에 대해,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행에 유지되는 모든 상기 정제의 흡착을 해제한다.
본 원의 제4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정제 인쇄 장치이며,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제2 블로우 기구의 구동 시에 있어서, 반송 속도를 저하시킨다.
본 원의 제5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정제 인쇄 장치이며,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제2 블로우 기구의 구동 시에 있어서, 반송을 정지한다.
본 원의 제6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정제 인쇄 장치이며, 상기 제2 블로우 기구가 상기 흡착부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값은, 상기 제1 블로우 기구가 상기 흡착부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값보다 높다.
본 원의 제7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정제 인쇄 장치이며,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정제의 제1 면을 노출시키면서 반송하는 제1 반송부와, 상기 정제의 제2 면을 노출시키면서 반송하는 제2 반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제1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상기 제1 면을 향해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제1 헤드와, 상기 제2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상기 제2 면을 향해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제2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헤드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상기 제1 면을 촬상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헤드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상기 제2 면을 촬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불량품 판정부는, 상기 제1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과, 상기 제2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의 쌍방에 의거하여, 상기 대상 정제를 결정한다.
본 원의 제8 발명은, 반송 기구에 의해 복수의 흡착부에 음압을 작용시켜 흡착 유지하여 반송되는 정제의 표면에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방법이며, a)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의 표면을 향해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인쇄를 행하는 공정과, b) 상기 공정 a) 후에, 상기 정제를 촬상한 화상에 의거하여 검사를 행하여, 상기 정제 중 회수해야 할 대상 정제를 결정하는 공정과, c) 상기 공정 b)에서 결정된 상기 대상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흡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대상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공정과, d) 상기 공정 c) 후에, 상기 대상 정제가 상기 흡착부에 잔류한 잔류 정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공정과, e) 상기 공정 d)의 판정에 있어서 상기 잔류 정제가 존재한 경우에, 상기 잔류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흡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잔류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공정을 가진다.
본 원의 제9 발명은, 제8 발명의 정제 인쇄 방법이며, 상기 흡착부는,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인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정렬하여 행을 이루며, 상기 공정 c)에 있어서, 반송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대상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고, 상기 공정 e)에 있어서, 상기 공정 c)의 상기 대상 정제의 해제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상기 잔류 정제의 흡착을 해제한다.
본 원의 제10 발명은, 제9 발명의 정제 인쇄 방법이며, 상기 공정 e)에 있어서, 상기 잔류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를 포함하는 상기 행의 전체에 대해,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행에 유지되는 모든 상기 정제의 흡착을 해제한다.
본 원의 제11 발명은, 제8 발명 내지 제10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정제 인쇄 방법이며, 상기 공정 e)의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의 반송 속도를 저하시킨다.
본 원의 제12 발명은, 제8 발명 내지 제10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정제 인쇄 방법이며, 상기 공정 e)의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한 반송을 정지한다.
본 원의 제13 발명은, 제8 발명 내지 제12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정제 인쇄 방법이며, 상기 공정 e)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값은, 상기 공정 c)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값보다 높다.
본 원의 제1 발명~제13 발명에 의하면, 만일, 제1 블로우 기구에 의한 불량품의 회수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도, 제2 블로우 기구에 의해 불량품의 회수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불량품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원의 제3 발명~제6 발명 및 제10 발명~제13 발명에 의하면, 제2 블로우 기구에 있어서의 불량품의 회수를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의 반송 드럼 부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의 제2 반송 컨베이어 부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의 헤드의 하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 내의 각 부와 제어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쇄 공정에 관련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인쇄 공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인쇄 공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의 제2 반송 컨베이어 부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쇄 공정에 관련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인쇄 공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정제가 반송되는 방향을 「반송 방향」이라고 칭하고,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이며 또한 수평인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칭한다.
<1. 제1 실시 형태>
<1-1. 정제 인쇄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정제 인쇄 장치(1)는, 의약품인 복수의 정제(9)를 반송하면서, 각 정제(9)의 표면에, 제품명, 제품 코드, 회사명, 로고 마크 등의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인쇄 장치(1)는, 공급 기구(20), 반송 기구(30), 인쇄부(40), 검사 기구(50), 회수부(60) 및 제어부(10)를 가진다.
공급 기구(20)는, 호퍼(21), 직진 피더(22), 회전 피더(23) 및 경사 피더(24)를 가진다. 공급 기구(20)는, 장치 내에 투입된 정제(9)를, 반송 기구(30)로 수도(受渡)하기 위한 기구이다.
호퍼(21)는, 다수의 정제(9)를 일괄하여 장치 내에 받아들이기 위한 투입부이다. 호퍼(21)는, 정제 인쇄 장치(1)의 하우징(100)의 최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호퍼(21)는, 하우징(100)의 상면에 위치하는 개구부(211)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집속하는 깔때기형의 경사면(212)을 가진다. 개구부(211)로 투입된 복수의 정제(9)는, 경사면(212)을 따라 직진 피더(22)로 흘러든다.
직진 피더(22), 회전 피더(23) 및 경사 피더(24)는, 호퍼(21)로 투입된 복수의 정제(9)를, 반송 기구(30)까지 반송한다. 직진 피더(22)는, 평판형의 진동 트로프(221)를 가진다. 호퍼(21)로부터 진동 트로프(221)에 공급된 복수의 정제(9)는, 진동 트로프(221)의 진동에 의해, 회전 피더(23)측으로 반송된다.
회전 피더(23)는, 원판형의 회전대(231)를 가진다. 진동 트로프(221)로부터 회전대(231)의 상면에 낙하한 복수의 정제(9)는, 회전대(231)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회전대(231)의 외주부 부근으로 모인다.
경사 피더(24)는, 회전대(231)의 외주부로부터 반송 기구(30)의 후술하는 반송 드럼(31)까지, 비스듬한 하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슬로프(241)를 가진다. 도 2는, 경사 피더(24)의 일부, 반송 드럼(31) 및 제1 반송 컨베이어(32)의 일부를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로프(241)의 상면에는, 복수의 반송 홈(242)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슬로프(241)의 상면에는, 8개의 반송 홈(242)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대(231)의 외주부로 반송된 복수의 정제(9)는, 각각, 복수의 반송 홈(242) 중 어느 1개에 공급되고, 반송 홈(242)을 따라 비스듬한 하향으로 흘러 떨어진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정제(9)는, 복수의 반송 홈(242)에 분산 공급됨으로써, 복수의 반송열로 정렬된다. 그리고, 각 반송열의 복수의 정제(9)가, 선두인 것부터 순서대로 반송 드럼(31)으로 공급된다.
반송 기구(30)는, 반송 드럼(31), 제1 반송 컨베이어(32), 제2 반송 컨베이어(33) 및 반출 컨베이어(34)를 가진다.
반송 드럼(31)은, 경사 피더(24)로부터 제1 반송 컨베이어(32)로, 복수의 정제(9)를 수도하는 기구이다. 반송 드럼(31)은, 대략 원통형상의 외주면을 가진다. 반송 드럼(31)은, 도시를 생략한 모터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에 의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 1 및 도 2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드럼(3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흡착부(310)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흡착부(310)는, 반송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 복수의 흡착부(310)는, 폭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흡착부(310)는, 경사 피더(24)의 반송 홈(242)의 각각에 대응하는 폭 방향 위치에서, 반송 드럼(31)의 외주면에 배열되어 있다.
흡착부(310)는 각각, 반송 드럼(31)의 표면에 설치된 관통 구멍이다. 도 3은, 반송 드럼(31), 제1 반송 컨베이어(32)의 일부 및 제2 반송 컨베이어(33)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드럼(31)의 내부에는, 흡인 기구(311)가 설치되어 있다. 흡인 기구(311)를 동작시키면, 복수의 흡착부(310) 각각에,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이 발생한다. 흡착부(310)는, 당해 음압에 의해, 경사 피더(24)로부터 공급되는 정제(9)를, 1개씩 흡착 유지한다.
또, 반송 드럼(31)의 내부에는, 해제용 블로우 기구(312)가 설치되어 있다. 해제용 블로우 기구(312)는, 반송 드럼(31)의 내측으로부터 제1 반송 컨베이어(32)측을 향해, 국소적으로 가압된 기체를 뿜어낸다. 해제용 블로우 기구(312)는,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대향하는 영역 중, 소정의 반송 방향 위치에 배치된 흡착부(310) 모두에,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을 작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해제용 블로우 기구(312)는, 당해 흡착부(310)에 있어서의 정제(9)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흡착부(310)에 있어서는, 정제(9)의 흡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대향하는 흡착부(310)에서만, 정제(9)의 흡착이 해제된다. 반송 드럼(31)은, 이와 같이, 경사 피더(24)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정제(9)를 흡착 유지하면서 회전하고, 그들 정제(9)를, 제1 반송 컨베이어(32)로 수도한다.
여기서, 정제(9)에 있어서, 반송 드럼(31)에 흡착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흡착부(310)에 의해 흡착되는 면을, 제1 면이라고 칭한다. 한편, 제1 면과 반대측의 면을 제2 면이라고 칭한다. 즉, 제2 면은, 정제(9)가 반송 드럼(31)에 흡착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외부에 노출되는 면이다. 반송 드럼(31)으로부터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정제(9)가 건네질 때, 정제(9)의 제2 면이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대향한다. 이 때문에, 정제(9)의 제2 면이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흡착된다. 따라서,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흡착 유지되어 있는 동안, 정제(9)의 제1 면이 외부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반송 드럼(31)에 흡착 유지되어 있는 동안과,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흡착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정제(9)의 표리가 반전되고 있다.
제1 반송 컨베이어(32)는, 한 쌍의 풀리(321)와, 반송 벨트(322)와, 흡인 기구(323)를 가지는 제1 반송부이다. 반송 벨트(322)는, 한 쌍의 풀리(321)의 사이에, 환형으로 걸쳐져 있다. 반송 벨트(322)의 일부분이, 반송 드럼(31)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풀리(321)의 한쪽은, 도시를 생략한 모터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반송 벨트(322)가, 도 1 및 도 2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한 쌍의 풀리(321)의 다른쪽은, 반송 벨트(322)의 회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벨트(322)에는, 복수의 흡착부(320)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흡착부(320)는, 반송 드럼(31)의 흡착부(310)와 마찬가지로, 반송 벨트(322)의 표면에 설치된 관통 구멍이다. 복수의 흡착부(320)는, 복수의 반송열의 각각에 대응하는 폭 방향 위치에서,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반송 벨트(322)에 있어서의 복수의 흡착부(320)의 반송 방향의 간격은, 반송 드럼(31)에 있어서의 복수의 흡착부(310)의 반송 방향의 간격과 같다. 또, 반송 벨트(322)에 있어서의 복수의 흡착부(320)의 폭 방향의 간격은, 반송 드럼(31)에 있어서의 복수의 흡착부(310)의 폭 방향의 간격과 같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반송 컨베이어(32)는, 흡인 기구(323)를 가진다. 흡인 기구(323)는, 풀리(321) 및 반송 벨트(322)의 내측의 공간에 음압을 발생시킨다. 흡인 기구(323)를 동작시키면, 복수의 흡착부(320) 각각에,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이 발생한다. 흡착부(320)는, 당해 음압에 의해, 반송 드럼(31)으로부터 건네진 정제(9)를, 1개씩 흡착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반송 컨베이어(32)는, 복수의 흡착부(320)에 음압을 작용시켜, 복수의 정제(9)를,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흡착 유지하면서 반송한다.
또,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는, 도 3 중에 나타내는 해제용 블로우 기구(324)가 설치되어 있다. 해제용 블로우 기구(324)는, 반송 벨트(322)의 내측으로부터 제2 반송 컨베이어(33)측을 향해, 국소적으로 가압된 기체를 뿜어낸다. 해제용 블로우 기구(324)는, 제2 반송 컨베이어(33)에 대향하는 영역 중, 소정의 반송 방향 위치에 배치된 흡착부(320) 모두에,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을 작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해제용 블로우 기구(324)는, 당해 흡착부(320)에 있어서의 정제(9)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당해 흡착부(320)에 있어서의 정제(9)의 흡착이 해제되고, 제1 반송 컨베이어(32)로부터 제2 반송 컨베이어(33)로 정제(9)가 수도된다.
여기서, 정제(9)가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흡착 유지되어 있는 동안, 정제(9)의 제2 면이 흡착부(320)에 흡착되고, 정제(9)의 제1 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제1 반송 컨베이어(32)로부터 제2 반송 컨베이어(33)에 정제(9)가 건네질 때, 정제(9)의 제1 면이 제2 반송 컨베이어(33)에 대향한다. 이 때문에, 정제(9)의 제1 면이 제2 반송 컨베이어(33)에 흡착된다. 따라서, 제2 반송 컨베이어(33)에 흡착 유지되어 있는 동안, 정제(9)의 제2 면이 외부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흡착 유지되어 있는 동안과, 제2 반송 컨베이어(33)에 흡착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정제(9)의 표리가 반전되고 있다.
제2 반송 컨베이어(33)는, 한 쌍의 풀리(331)와, 복수의 흡착부(330)를 가지는 반송 벨트(332)와, 흡인 기구(333)를 가지는 제2 반송부이다. 제2 반송 컨베이어(33)의 한 쌍의 풀리(331), 반송 벨트(332) 및 흡인 기구(333)는, 제1 반송 컨베이어(32)의 한 쌍의 풀리(321), 반송 벨트(322) 및 흡인 기구(323)와 동등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반송 컨베이어(33)에는, 배출용 블로우 기구(334)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용 블로우 기구(334)의 하방에는, 제2 반송 컨베이어(33)와 반출 컨베이어(34)를 접속하는 슈트(341)가 배치되어 있다. 배출용 블로우 기구(334)는, 반송 벨트(332)의 내측으로부터 슈트(341)측을 향해, 국소적으로 가압된 기체를 뿜어낸다. 배출용 블로우 기구(334)는, 슈트(341)에 대향하는 영역 중, 소정의 반송 방향 위치에 배치된 흡착부(330) 모두에,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을 작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배출용 블로우 기구(334)는, 당해 흡착부(330)에 있어서의 정제(9)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당해 흡착부(330)에 있어서의 정제(9)의 흡착이 해제되고, 제2 반송 컨베이어(33)로부터 반출 컨베이어(34)로 정제(9)가 수도된다.
반출 컨베이어(34)는, 인쇄 후의 복수의 정제(9)를, 정제 인쇄 장치(1)의 하우징(100)의 외부로 반출하는 기구이다. 반출 컨베이어(34)의 상류측의 단부는, 슈트(341)의 하방에 위치한다. 반출 컨베이어(34)의 하류측의 단부는, 하우징(100)의 외부에 위치한다. 반출 컨베이어(34)에는, 예를 들면, 벨트 반송 기구가 이용된다. 제2 반송 컨베이어(33)로부터 반출 컨베이어(34)로 수도된 복수의 정제(9)는, 반출 컨베이어(34)에 의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반출된다. 반출 컨베이어(34)의 하류측의 단부는, 예를 들면, 인쇄 처리 후의 정제(9)를 포장하는 포장 장치와 접속된다.
인쇄부(40)는, 제1 인쇄부(41)와, 제2 인쇄부(42)를 가진다.
제1 인쇄부(41)는, 정제(9)의 제1 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인쇄부(41)는, 4개의 헤드(411)를 가지는, 잉크젯 방식의 헤드 유닛이다. 4개의 헤드(411)는 각각,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9)의 제1 면을 향해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또한, 4개의 헤드(411)는, 서로 상이한 색(예를 들면, 시안, 마젠타, 옐로우 및 블랙의 각 색)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이들 각 색에 의해 형성되는 단색 화상의 겹침에 의해, 정제(9)의 표면에, 다색 화상이 기록된다. 또한, 각 헤드(411)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는, 식품위생법에서 인가된 원료에 의해 제조된 가식성(可食性) 잉크가 사용된다.
도 4는, 1개의 헤드(411)의 하면도이다. 도 4에는, 반송 벨트(322)와, 반송 벨트(322)에 유지된 복수의 정제(9)가,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4 중에 확대해서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411)의 하면에는, 잉크 방울을 토출 가능한 복수의 노즐(41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411)의 하면에, 복수의 노즐(410)이,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노즐(410)은,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열되어 있다. 즉, 복수의 노즐(410)은 각각, 서로 폭 방향이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노즐(410)을 이차원적으로 배치하면, 각 노즐(410)의 폭 방향의 위치를, 서로 접근시킬 수 있다. 단, 복수의 노즐(410)은,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노즐(410)로부터의 잉크 방울의 토출 방식에는, 예를 들면, 압전 소자인 피에조 소자에 전압을 가하여 변형시킴으로써, 노즐(410) 내의 잉크를 가압하여 토출시키는, 이른바 피에조 방식이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헤드(411)는, 피에조 소자에 가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노즐(410)로부터 토출되는 잉크 방울의 사이즈를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장 작고 미세한 잉크 방울인 「사이즈 1」부터 가장 큰 잉크 방울인 「사이즈 4」까지의 4종류의 잉크 방울 중, 임의의 잉크 방울을 토출할 수 있다. 단, 토출 가능한 잉크 방울의 사이즈는, 1~3종류여도 되고, 5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또, 잉크 방울의 토출 방식은, 히터에 통전하여 노즐(410) 내의 잉크를 가열 팽창시킴으로써 토출하는, 이른바 서멀 방식이어도 된다.
제2 인쇄부(42)는, 정제(9)의 제2 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제2 인쇄부(42)는, 4개의 헤드(421)를 가지는, 잉크젯 방식의 헤드 유닛이다. 제2 인쇄부(42)의 구성은, 제1 인쇄부(41)와 동등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검사 기구(5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외관 검사 카메라(51)와, 제2 외관 검사 카메라(52)와, 제1 인쇄 검사 카메라(53)와, 제3 외관 검사 카메라(54)와, 제2 인쇄 검사 카메라(55)를 가진다.
제1 외관 검사 카메라(51)는, 반송 드럼(31)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9)의 제2 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이다.
제2 외관 검사 카메라(52)는, 제1 인쇄부(41)의 상류측에서,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9)의 제1 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이다. 제1 인쇄 검사 카메라(53)는, 제1 인쇄부(41)의 하류측에서, 제1 반송 컨베이어(32)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9)의 제1 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이다.
제3 외관 검사 카메라(54)는, 제2 인쇄부(42)의 상류측에서, 제2 반송 컨베이어(33)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9)의 제2 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이다. 제2 인쇄 검사 카메라(55)는, 제2 인쇄부(42)의 하류측에서, 제2 반송 컨베이어(33)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9)의 제2 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이다.
회수부(60)는, 인쇄 불량품 회수부(61)와, 외관 불량품 회수부(62)와, 배출 센서(63)와, 후(後)회수부(64)를 가진다.
인쇄 불량품 회수부(61)는,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와, 인쇄 불량품 회수 상자(612)를 가진다.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는, 제2 인쇄 검사 카메라(55)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의 하방에는, 인쇄 불량품 회수 상자(612)가 배치되어 있다.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는, 반송 벨트(332)의 내측으로부터 인쇄 불량품 회수 상자(612)측을 향해, 국소적으로 가압된 기체를 뿜어낸다.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는, 제어부(10)로부터 지정된 인쇄 불량품의 대상 정제를 유지하는 일부의 흡착부(330)에 대해서만,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을 작용시켜, 당해 흡착부(330)에 유지된 대상 정제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인쇄 불량품의 대상 정제가, 인쇄 불량품 회수 상자(612)로 회수된다.
외관 불량품 회수부(62)는,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과, 외관 불량품 회수 상자(622)를 가진다.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는, 인쇄 불량품 회수부(61)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의 하방에는, 외관 불량품 회수 상자(622)가 배치되어 있다.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는, 반송 벨트(332)의 내측으로부터 외관 불량품 회수 상자(622)를 향해, 국소적으로 가압된 기체를 뿜어낸다.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는, 제어부(10)로부터 지정된 외관 불량품의 대상 정제를 유지하는 일부의 흡착부(330)에 대해서만,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을 작용시켜, 당해 흡착부(330)에 유지된 대상 정제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외관 불량품의 대상 정제가, 외관 불량품 회수 상자(622)로 회수된다.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와,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는, 반송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 대상 정제가 유지되는 흡착부(330)에 양압을 작용시켜, 흡착부(330)에 있어서의 대상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제1 블로우 기구를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불량품 회수부(61)가 외관 불량품 회수부(62)의 상류측에 배치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관 불량품 회수부(62)가 인쇄 불량품 회수부(61)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제 인쇄 장치(1)가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와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라는 2개의 제1 블로우 기구를 가지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제 인쇄 장치는, 일괄하여 불량품을 회수하기 위한 단일한 제1 블로우 기구를 가져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정제 인쇄 장치는, 그 외의 종류의 불량품을 회수하는 다른 블로우 기구를 포함하는 3개 이상의 제1 블로우 기구를 가져도 된다.
배출 센서(63)는, 인쇄 불량품 회수부(61) 및 외관 불량품 회수부(62)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배출 센서(63)는, 소정의 반송 방향 위치에서, 각 흡착부(330)에 정제(9)가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배출 센서(63)는, 레이저를 흡착부(330)에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검출하여 물체와의 거리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배출 센서(63)는, 반사 거리를 검출함으로써, 각 흡착부(330)에 정제(9)가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후회수부(64)는,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와, 후회수 상자(642)를 가진다.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는, 배출 센서(63)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의 하방에는, 후회수 상자(642)가 배치되어 있다.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는, 반송 벨트(332)의 내측으로부터 후회수 상자(642)를 향해, 국소적으로 가압된 기체를 뿜어낸다.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는, 제어부(10)로부터 지정된 잔류 정제를 유지하는 소정의 흡착부(330)에 대해서만,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을 작용시켜, 당해 흡착부(330)에 유지된 당해 정제(9)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당해 정제(9)가 후회수 상자(642)로 회수된다.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는, 제1 블로우 기구인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 및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의 하류측에서, 잔류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제2 블로우 기구를 구성한다.
제어부(10)는, 정제 인쇄 장치(1) 내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한다. 도 5는, 제어부(10)와, 정제 인쇄 장치(1) 내의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 중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CPU 등의 연산 처리부(101), RAM 등의 메모리(102),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부(103)를 가지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03) 내에는, 인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P)이 인스톨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직진 피더(22), 회전 피더(23), 반송 드럼(31)(모터, 흡인 기구(311), 해제용 블로우 기구(312)를 포함한다), 제1 반송 컨베이어(32)(모터, 흡인 기구(323), 해제용 블로우 기구(324)를 포함한다), 제2 반송 컨베이어(33)(모터, 흡인 기구(333), 배출용 블로우 기구(334)를 포함한다), 반출 컨베이어(34), 제1 인쇄부(41)의 4개의 헤드(411), 제2 인쇄부(42)의 4개의 헤드(421), 제1 외관 검사 카메라(51), 제2 외관 검사 카메라(52), 제1 인쇄 검사 카메라(53), 제3 외관 검사 카메라(54), 제2 인쇄 검사 카메라(55),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 배출 센서(63), 및,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0)는, 기억부(103)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P)이나 데이터를 메모리(102)에 일시적으로 읽어내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P)에 의거하여, 연산 처리부(101)가 연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정제(9)에 대한 인쇄 처리가 진행된다.
<1-2. 인쇄 공정의 흐름>
다음에, 이 정제 인쇄 장치(1)를 이용한 인쇄 공정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6은, 인쇄 공정에 관련된 제어부(1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정제 인쇄 장치(1)에 있어서의 인쇄 공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정제 인쇄 장치(1)의 인쇄 공정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어부(10)는, 외관 판정부(11)와, 인쇄 처리부(12)와, 인쇄 품질 판정부(13)와, 제1 배출 처리부(14)와, 잔류 판정부(15)와, 제2 배출 처리부(16)를 가진다. 제어부(10) 내의 상기의 각 기능은,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P)에 따라서, 제어부(10)로서의 컴퓨터가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공정에서는 우선, 제1 외관 검사 카메라(51)가, 반송 드럼(31)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9)의 제2 면을 촬영한다. 그리고, 제1 외관 검사 카메라(51)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D51이, 외관 판정부(11)로 입력된다.
외관 판정부(11)는, 제1 외관 검사 카메라(51), 제2 외관 검사 카메라(52) 및 제3 외관 검사 카메라(54)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D51, D52 및 D54에 의거하여, 각 흡착부(330)에 정제(9)가 존재하는지 여부, 각 정제(9)에 깨어짐이나 이지러짐 등의 형상 불량이나 오염과 같은 외관 불량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정제 인쇄 장치(1)에서 처리 대상이 되는 정제(9)가 그 표면에 할선을 가지는 것인 경우, 외관 판정부(11)는, 동시에, 각 정제(9)에 형성된 할선의 각도를 판정한다.
여기서, 정제(9)에 형성된 할선에 대해서 설명한다. 할선이란, 정제의 한쪽 면에 새겨진 홈이며, 정제를 절반으로 나누기 위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정제(9)는, 예를 들면, 한쪽 면에 할선을 가지는 원반형상 또는 타원반형상의 정제이다.
화상 데이터 D51이 외관 판정부(11)로 입력되면, 외관 판정부(11)는, 화상 데이터 D51에 의거하여, 제2 면측으로부터 보아, 정제(9)에 외관 불량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 동시에, 외관 판정부(11)는, 각 정제(9)가 제2 면측에 할선을 가지는지 여부와, 제2 면에 형성된 할선의 각도를 판정한다. 이와 같이, 외관 판정부(11)는, 정제(9)마다, 제2 면의 외관 검사를 행한다(단계 S101).
다음에, 제2 외관 검사 카메라(52)가, 반송 드럼(31)으로부터 제1 반송 컨베이어(32)로 건네진 정제(9)의 제1 면을 촬영한다. 그리고, 제2 외관 검사 카메라(52)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D52가, 외관 판정부(11)로 입력된다.
화상 데이터 D52가 외관 판정부(11)로 입력되면, 외관 판정부(11)는, 화상 데이터 D52에 의거하여, 제1 면측으로부터 보아, 정제(9)에 외관 불량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 동시에, 외관 판정부(11)는, 각 정제(9)가 제1 면측에 할선을 가지는지 여부와, 제1 면에 형성된 할선의 각도를 판정한다. 이와 같이, 외관 판정부(11)는, 정제(9)마다, 제1 면의 외관 검사를 행한다(단계 S102).
외관 판정부(11)는, 화상 데이터 D51, D52에 의거하여 각 정제(9)의 외관 불량의 유무의 판정 결과와,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면 및 할선 각도의 판정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외관 데이터 D111을 생성한다. 그리고, 외관 판정부(11)는, 제1 외관 데이터 D111을 인쇄 처리부(12)와, 제1 배출 처리부(14)로 수도한다.
인쇄 처리부(12)는, 외관 판정부(11)에 있어서 생성된 제1 외관 데이터 D111에 의거하여, 제1 인쇄부(41)의 헤드(411) 및 제2 인쇄부(42)의 헤드(421)에 인쇄 처리를 행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인쇄 처리부(12)는, 단계 S102에 이어서, 외관 판정부(11)로부터 입력된 제1 외관 데이터 D111에 의거하여, 제1 인쇄부(41)에, 정제(9)의 제1 면에 대한 인쇄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103).
구체적으로는, 단계 S103에 있어서, 인쇄 처리부(12)는, 우선, 제1 외관 데이터 D111에 의거하여, 제1 인쇄부(41)에 있어서의 인쇄 처리를 행해야 할 정제(9)의 특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인쇄부(41)는, 정제(9)가 흡착되어 있지 않은 흡착부(330) 및 외관 불량을 가지는 정제(9)에 대해서는, 인쇄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또, 인쇄 처리부(12)는, 제1 외관 데이터 D111에 의거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는 각 정제(9) 중 어느 면이 할선을 가지는지와, 각 정제(9)의 할선의 각도를 판정한다. 그리고, 당해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제1 인쇄부(41)의 헤드(411)에 대해, 각 정제(9)의 제1 면으로의 인쇄 처리를 행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인쇄부(41)는, 제1 면에 할선을 가지는 정제(9)에 대해서는, 화상 데이터 D52에 의거하여 판정된 할선 각도에 맞추어 인쇄 처리를 행한다. 또, 제1 인쇄부(41)는, 제2 면에 할선을 가지는 정제(9)에 대해서는, 화상 데이터 D51에 의거하여 판정된 할선 각도에 맞추어 인쇄 처리를 행한다.
제1 면으로의 인쇄 종료 후, 제1 인쇄 검사 카메라(53)가, 제1 인쇄부(41)에 의한 인쇄 처리가 종료된 정제(9)의 제1 면을 촬영한다. 그리고, 제1 인쇄 검사 카메라(53)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D53이, 인쇄 품질 판정부(13)로 입력된다.
인쇄 품질 판정부(13)는, 제1 인쇄 검사 카메라(53) 및 제2 인쇄 검사 카메라(55)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D53, D55에 의거하여, 정제(9)의 표면으로의 인쇄 처리의 우량/불량을 판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인쇄 품질 판정부(13)로 화상 데이터 D53이 입력되면, 인쇄 품질 판정부(13)는, 화상 데이터 D53에 의거하여, 제1 면에 인쇄된 화상에 불량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인쇄 품질 판정부(13)는, 정제(9)마다, 제1 면의 인쇄 검사를 행한다(단계 S104). 그리고, 인쇄 품질 판정부(13)는, 당해 판정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인쇄 품질 데이터 D131을, 제1 배출 처리부(14)로 건네준다.
그 후, 제3 외관 검사 카메라(54)가, 제1 반송 컨베이어(32)로부터 제2 반송 컨베이어(33)로 건네진 정제(9)의 제2 면을 촬영한다. 그리고, 제3 외관 검사 카메라(54)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D54가, 외관 판정부(11)로 입력된다.
화상 데이터 D54가 외관 판정부(11)로 입력되면, 외관 판정부(11)는, 화상 데이터 D54에 의거하여, 제2 면측으로부터 보아, 정제(9)에 외관 불량이 있는지 여부를 재차 판정한다. 또, 동시에, 외관 판정부(11)는, 각 정제(9)의 제2 면에 형성된 할선의 각도를 재차 판정한다. 이와 같이, 외관 판정부(11)는, 정제(9)마다, 제2 면의 외관 검사를 행한다(단계 S105).
외관 판정부(11)는, 화상 데이터 D54에 의거하여, 정제(9)의 외관 불량의 유무의 판정 결과와,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면 및 할선 각도의 판정 결과를 포함하는 제2 외관 데이터 D112를 생성한다. 그리고, 외관 판정부(11)는, 제2 외관 데이터 D112를 인쇄 처리부(12)와, 제1 배출 처리부(14)로 수도한다.
인쇄 처리부(12)는, 단계 S105에 이어서, 제1 외관 데이터 D111 및 제2 외관 데이터 D112에 의거하여, 제2 인쇄부(42)에, 정제(9)의 제2 면에 대한 인쇄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106).
구체적으로는, 단계 S106에 있어서, 인쇄 처리부(12)는, 우선, 제1 외관 데이터 D111 및 제2 외관 데이터 D12에 의거하여, 제2 인쇄부(42)에 있어서의 인쇄 처리를 행해야 할 정제(9)의 특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인쇄부(42)는, 정제(9)가 흡착되어 있지 않은 흡착부(330) 및 외관 불량을 가지는 정제(9)에 대해서는, 인쇄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또, 인쇄 처리부(12)는, 제1 외관 데이터 D111 및 제2 외관 데이터 D112에 의거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는 각 정제(9) 중 어느 면이 할선을 가지는지와, 각 정제(9)의 할선의 각도를 판정한다. 그리고, 당해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제2 인쇄부(42)의 헤드(421)에 대해, 각 정제(9)의 제2 면으로의 인쇄 처리를 행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인쇄부(42)는, 제2 면에 할선을 가지는 정제(9)에 대해서는, 화상 데이터 D54에 의거하여 판정된 할선 각도에 맞추어 인쇄 처리를 행한다. 또, 제2 인쇄부(42)는, 제1 면에 할선을 가지는 정제(9)에 대해서는, 화상 데이터 D52에 의거하여 판정된 할선 각도에 맞추어 인쇄 처리를 행한다.
제2 면으로의 인쇄 종료 후, 제2 인쇄 검사 카메라(55)가, 제2 인쇄부(42)에 의한 인쇄 처리가 종료된 정제(9)의 제2 면을 촬영한다. 그리고, 제2 인쇄 검사 카메라(55)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D55가, 인쇄 품질 판정부(13)로 입력된다.
인쇄 품질 판정부(13)로 화상 데이터 D55가 입력되면, 인쇄 품질 판정부(13)는, 화상 데이터 D55에 의거하여, 제2 면에 인쇄된 화상에 불량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인쇄 품질 판정부(13)는, 정제(9)마다, 제2 면의 인쇄 검사를 행한다(단계 S107). 그리고, 인쇄 품질 판정부(13)는, 당해 판정 결과를 포함하는 제2 인쇄 품질 데이터 D132를, 제1 배출 처리부(14)로 건네준다.
이와 같이, 외관 판정부(11)와, 인쇄 품질 판정부(13)는, 카메라(51~55)가 촬상한 화상에 의거하여, 정제(9) 중 회수해야 할 대상 정제를 결정하는 불량품 판정부를 구성한다.
제1 배출 처리부(14)는, 제1 인쇄 품질 데이터 D131 및 제2 인쇄 품질 데이터 D132에 의거하여,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에 외관 불량을 가지는 정제(9)의 흡착을 해제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 제1 배출 처리부(14)는, 제1 외관 데이터 D111 및 제2 외관 데이터 D112에 의거하여,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에 인쇄 불량을 가지는 정제(9)의 흡착을 해제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단계 S107에 이어서, 제1 배출 처리부(14)는, 인쇄 품질 판정부(13)로부터 입력된 제1 인쇄 품질 데이터 D131 및 제2 인쇄 품질 데이터 D132에 의거하여, 회수해야 할 인쇄 불량품을 유지하는 흡착부(330)를 특정한다. 그리고, 이것에 의거하여, 제1 배출 처리부(14)는,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에, 인쇄 불량품인 정제(9)의 흡착을 해제시킨다. 이것에 의해, 인쇄 불량품 회수 상자(612) 내로 인쇄 불량품의 회수가 행해진다(단계 S108).
그 후, 제1 배출 처리부(14)는, 외관 판정부(11)로부터 입력된 제1 외관 데이터 D111 및 제2 외관 데이터 D112에 의거하여, 회수해야 할 외관 불량품을 유지하는 흡착부(330)를 특정한다. 그리고, 이것에 의거하여, 제1 배출 처리부(14)는,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에, 외관 불량품인 정제(9)의 흡착을 해제시킨다. 이것에 의해, 외관 불량품 회수 상자(622) 내로 외관 불량품의 회수가 행해진다(단계 S109).
단계 S109에 계속해서, 배출 센서(63)는, 인쇄 불량품 회수부(61) 및 외관 불량품 회수부(62)의 하류측에서, 각 흡착부(330)에 정제(9)가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잔류 판정부(15)는, 배출 센서(63)가 검출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잔류 정제를 판정한다. 잔류 정제란, 인쇄 불량품 회수부(61) 및 외관 불량품 회수부(62)에 있어서 회수되어야 할 대상 정제(인쇄 불량품 및 외관 불량품) 중, 흡착부(330)에 잔존하는 정제(9)이다. 이것에 의해, 인쇄 불량품 회수부(61) 및 외관 불량품 회수부(62)에 있어서의 배출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10).
제2 배출 처리부(16)는, 잔류 판정부(15)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에, 잔류 정제를 유지하는 흡착부(330)를 포함하는 일부의 흡착부(330)에 있어서의 정제(9)의 흡착을 해제시킨다. 이것에 의해, 후회수 상자(642) 내로 잔류 정제가 회수된다(단계 S111).
이와 같이, 정제 인쇄 장치(1)가 배출 센서(63) 및 후회수부(64)를 가짐으로써, 불량품의 회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의약품인 정제(9)의 품질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는, 잔류 정제를 유지하는 흡착부(330)와 반송 방향의 위치가 동일한 흡착부(330) 모두에 대해 양압을 작용시켜, 정제(9)의 흡착을 해제시킨다. 즉, 후회수부(64)는, 복수의 흡착부(330) 중, 잔류 정제를 유지하는 흡착부(330)를 포함하는 행의 전체에 대해, 정제(9)의 흡착을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인쇄 불량품 회수부(61) 및 외관 불량품 회수부(62)에 있어서 배출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던 경우에, 잔류 정제뿐만이 아니라, 잔류 정제를 포함하는 행의 전체를 회수함으로써, 불량품의 회수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제(9)의 품질의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블로우 기구인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가 흡착부(330)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이, 제1 블로우 기구인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 및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가 흡착부(330)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보다 높다.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 및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에 있어서 배출 불량이 발생하는 원인으로서, 잔류 정제의 형상이나, 잔류 정제가 유지되는 흡착부(330)의 상태가 통상과 상이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에 있어서 당해 잔류 정제를 보다 확실히 배출·회수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제2 블로우 기구에 의해 흡착부에 발생하는 양압의 압력값이, 제1 블로우 기구에 의해 흡착부에 발생하는 양압의 압력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블로우 기구인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가 흡착부(330)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은, 제1 블로우 기구인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 및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가 흡착부(330)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과 동일해도 된다.
<2.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를 이용한 인쇄 공정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의 장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와 동일하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의 인쇄 공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인쇄 공정에서는, 정제(9)의 제2 면의 외관 검사(단계 S201), 제1 면의 외관 검사(단계 S202), 제1 면으로의 인쇄 공정(단계 S203), 제1 면의 인쇄 검사(단계 S204), 제2 면의 외관 검사(단계 S205), 제2 면으로의 인쇄 공정(단계 S206), 제2 면의 인쇄 검사(단계 S207), 인쇄 불량품의 회수(단계 S208) 및 외관 불량품의 회수(단계 S209)가 순서대로 행해진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공정의 단계 S201~단계 S209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공정의 단계 S101~단계 S109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08, 209에 있어서의 불량품의 회수가 행해진 후, 배출 센서(63)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잔류 판정부(15)가, 잔류 정제를 판정한다. 잔류 정제란, 인쇄 불량품 회수부(61) 및 외관 불량품 회수부(62)에 있어서 회수되어야 할 대상 정제(인쇄 불량품 및 외관 불량품) 중, 흡착부(330)에 잔존하는 정제이다. 즉, 인쇄 불량품 회수부(61) 및 외관 불량품 회수부(62)에 있어서의 배출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0).
단계 S210에 있어서, 잔류 판정부(15)가, 인쇄 불량품 회수부(61) 및 외관 불량품 회수부(62)에 있어서의 배출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다고 판단한 경우, 제2 배출 처리부(16)는, 잔류 판정부(15)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에, 샘플 정제의 회수를 행하게 한다(단계 S211). 구체적으로는, 제2 배출 처리부(16)는, 소정의 간격으로(예를 들면, 흡착부(330)의 10행에 1정의 간격으로), 우량품인 정제(9)를 유지하는 흡착부(330)에 양압을 작용시켜, 당해 흡착부(330)에 있어서의 정제(9)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우량품인 정제(9)가, 샘플 정제로서 후회수 상자(642)에 회수된다.
이와 같이, 정기적으로 샘플 정제를 회수함으로써, 의약품인 정제(9)의 품질 관리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10에 있어서, 잔류 판정부(15)가, 인쇄 불량품 회수부(61) 및 외관 불량품 회수부(62)에 있어서의 배출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고, 흡착부(330)에 잔류 정제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10)는, 반송 기구(30)에 있어서의 정제(9)의 반송을 정지한다(단계 S212). 그리고, 제어부(10)는, 오퍼레이터에 대해, 음성이나 표시 등에 의해, 불량품의 잔류가 있었던 취지를 통지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제어부(10)에 대해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2 배출 처리부(16)가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에, 잔류 정제를 유지하는 흡착부(330)를 포함하는 일부의 흡착부(330)에 있어서의 정제(9)의 흡착을 해제시킨다. 이것에 의해, 후회수 상자(642) 내로 잔류 정제가 회수된다(단계 S213). 그 후, 오퍼레이터가 제어부(10)에 대해 조작을 행함으로써, 반송 기구(30)에 있어서의 정제(9)의 반송을 재개함과 함께, 인쇄 공정을 재개한다.
단계 S212에 있어서 잔류 정제의 회수 전에 인쇄 공정을 정지시키고, 단계 S213으로 진행하기 위해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을 개재시킨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단계 S213에 있어서의 잔류 정제의 회수 전에, 후회수 상자(642) 내에 회수된 샘플 정제를 후회수 상자(642)로부터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샘플 정제와, 잔류 정제의 회수 시에 회수된 정제(9)를 구별하여 회수할 수 있다.
또, 단계 S213에 있어서,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의 구동 시에 있어서, 반송 기구(30)에 의한 반송을 정지함으로써,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가 흡착부(330)로 양압을 작용시키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가 흡착부(330)로 양압을 작용시키는 시간을,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11) 및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621)가 흡착부(330)로 양압을 작용시키는 시간보다 길게 함으로써,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에 있어서 당해 잔류 정제를 보다 확실히 배출·회수할 수 있다.
또, 단계 S213에 있어서의 잔류 정제의 회수 후에,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반송 기구(30)에 의한 반송을 재개한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잔류 정제의 배출을 확인한 후에, 반송의 재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후회수부(64)에 있어서 잔류 정제를 더 확실히 배출·회수할 수 있다.
또한,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의 구동 시에, 반송 기구(30)에 의한 반송 속도를 저하시켜도 된다. 그 경우에도,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가 흡착부(330)로 양압을 작용시키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에 있어서 당해 잔류 정제를 보다 확실히 배출·회수할 수 있다.
<3. 제3 실시 형태>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A)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송 드럼(31), 제1 반송 컨베이어(32)의 일부 및 제2 반송 컨베이어(33)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10A)와, 정제 인쇄 장치(1A) 내의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9~도 11 중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우선,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A)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인쇄 장치(1A)에서는, 회수부(60A)가 배출 센서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에 따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0A)가 잔류 판정부 및 제2 배출 처리부를 가지지 않고, 샘플 배출 처리부(17A)를 가진다. 정제 인쇄 장치(1A)의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와 동일하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의 인쇄 공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이하에,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A)를 이용한 인쇄 공정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인쇄 공정에서는, 정제(9)의 제2 면의 외관 검사(단계 S301), 제1 면의 외관 검사(단계 S302), 제1 면으로의 인쇄 공정(단계 S303), 제1 면의 인쇄 검사(단계 S304), 제2 면의 외관 검사(단계 S305), 제2 면으로의 인쇄 공정(단계 S306), 제2 면의 인쇄 검사(단계 S307), 인쇄 불량품의 회수(단계 S308) 및 외관 불량품의 회수(단계 S309)가 순서대로 행해진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공정의 단계 S301~단계 S309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공정의 단계 S101~단계 S109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308, 309에 있어서의 불량품의 회수가 행해진 후, 샘플 배출 처리부(17A)가,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641)에, 샘플 정제의 회수를 행하게 한다(단계 S310). 구체적으로는, 샘플 배출 처리부(17A)는, 소정의 간격으로(예를 들면, 흡착부(330)의 10행에 1정의 간격으로), 우량품인 정제(9)를 유지하는 흡착부(330)에 양압을 작용시켜, 당해 흡착부(330)에 있어서의 정제(9)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우량품인 정제(9)가, 샘플 정제로서 후회수 상자(642)에 회수된다.
이와 같이, 정기적으로 샘플 정제를 회수함으로써, 의약품인 정제(9)의 품질 관리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제2 반송 컨베이어(33)로부터 정제(9)가 수도되는 반출 컨베이어(34)가, 직접 포장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반출 컨베이어(34)에 수도된 정제(9) 모두에 포장 처리가 실시되어, 샘플 정제를 회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정제(9)가 반출 컨베이어(34)에 수도되기 전에, 샘플 정제를 회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주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정제 인쇄 장치는, 제1 인쇄부 및 제2 인쇄부에 의해, 정제의 양면에 인쇄를 행하는 장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제 인쇄 장치는, 정제의 한쪽 면에만 인쇄를 행하는 장치여도 된다.
또, 상기의 정제 인쇄 장치는, 할선을 가지는 정제에 인쇄를 행할 수 있는 정제 인쇄 장치였다. 그 때문에, 제1 인쇄부의 상류측에 2개의 외관 검사 카메라가 배치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선을 가지지 않는 정제에 인쇄를 행하는 경우, 제1 인쇄부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외관 검사 카메라는 1개여도 된다.
또, 상기의 정제 인쇄 장치에서는, 공급 기구의 구성 상, 반송 기구의 모든 흡착부에 정제가 배치된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인쇄부의 상류측에 배치된 외관 검사 카메라는, 정제가 존재하지 않는 흡착부에 대해 인쇄 처리를 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각 흡착부에 정제가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정제 인쇄 장치는, 인쇄부의 상류측에 외관 검사 카메라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공급 기구가 반송 기구의 모든 흡착부에 정제를 배치 가능한 구성이면 된다. 또, 외관 불량품의 판단은, 인쇄부의 하류측에 구비된 인쇄 검사 카메라에 의해 행하면 된다.
또, 상기의 정제 인쇄 장치에서는, 인쇄 불량품과 외관 불량품을 각각 상이한 회수부로 회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정제 인쇄 장치에 공급된 정제에 불량이 발생했거나, 혹은,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정제에 불량이 발생했는지를 판별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인쇄 불량품과 외관 불량품을 단일한 회수부로 회수해도 된다.
또, 정제 인쇄 장치의 세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원의 각 도면과 상이해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모순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조합해도 된다.
1, 1A 정제 인쇄 장치 9 정제
10, 10A 제어부 11 외관 판정부
12 인쇄 처리부 13 인쇄 품질 판정부
14 제1 배출 처리부 15 잔류 판정부
16 제2 배출 처리부 17A 샘플 배출 처리부
30 반송 기구 32 제1 반송 컨베이어
33 제2 반송 컨베이어 40 인쇄부
41 제1 인쇄부 42 제2 인쇄부
50 검사 기구 51 제1 외관 검사 카메라
52 제2 외관 검사 카메라 53 제1 인쇄 검사 카메라
54 제3 외관 검사 카메라 55 제2 인쇄 검사 카메라
60, 60A 회수부 61 인쇄 불량품 회수부
62 외관 불량품 회수부 63 배출 센서
64 후회수부 310, 320, 330 흡착부
411, 421 헤드 611 인쇄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
621 외관 불량품 회수용 블로우 기구 641 후회수용 블로우 기구

Claims (13)

  1. 정제의 표면에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로서,
    복수의 흡착부에 음압을 작용시켜 상기 정제를 흡착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표면을 향해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정제 중 회수해야 할 대상 정제를 결정하는 불량품 판정부와,
    상기 카메라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흡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대상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제1 블로우 기구와,
    상기 제1 블로우 기구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착부에 상기 정제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배출 센서와,
    상기 배출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대상 정제이며 상기 흡착부에 잔류하는 잔류 정제를 판별하는 잔류 판정부와,
    상기 배출 센서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잔류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흡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잔류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제2 블로우 기구를 가지는, 정제 인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인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정렬하여 행을 이루며,
    상기 제1 블로우 기구는, 반송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대상 정제가 흡착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대상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블로우 기구는, 상기 제1 블로우 기구의 하류측에서, 상기 잔류 정제가 흡착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잔류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정제 인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로우 기구는, 상기 잔류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를 포함하는 상기 행의 전체에 대해,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행에 유지되는 모든 상기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정제 인쇄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제2 블로우 기구의 구동 시에 있어서, 반송 속도를 저하시키는, 정제 인쇄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제2 블로우 기구의 구동 시에 있어서, 반송을 정지하는, 정제 인쇄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로우 기구가 상기 흡착부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값은, 상기 제1 블로우 기구가 상기 흡착부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값보다 높은, 정제 인쇄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정제의 제1 면을 노출시키면서 반송하는 제1 반송부와,
    상기 정제의 제2 면을 노출시키면서 반송하는 제2 반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제1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상기 제1면을 향해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제1 헤드와,
    상기 제2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상기 제2면을 향해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제2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헤드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상기 제1 면을 촬상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헤드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상기 제2 면을 촬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불량품 판정부는, 상기 제1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과, 상기 제2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의 쌍방에 의거하여, 상기 대상 정제를 결정하는, 정제 인쇄 장치.
  8. 반송 기구에 의해 복수의 흡착부에 음압을 작용시켜 흡착 유지하여 반송되는 정제의 표면에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방법으로서,
    a)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의 표면을 향해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인쇄를 행하는 공정과,
    b) 상기 공정 a) 후에, 상기 정제를 촬상한 화상에 의거하여 검사를 행하여, 상기 정제 중 회수해야 할 대상 정제를 결정하는 공정과,
    c) 상기 공정 b)에서 결정된 상기 대상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흡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대상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공정과,
    d) 상기 공정 c) 후에, 상기 대상 정제가 상기 흡착부에 잔류한 잔류 정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공정과,
    e) 상기 공정 d)의 판정에 있어서 상기 잔류 정제가 존재한 경우에, 상기 잔류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에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흡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잔류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공정을 가지는, 정제 인쇄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인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정렬하여 행을 이루며,
    상기 공정 c)에 있어서, 반송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대상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고,
    상기 공정 e)에 있어서, 상기 공정 c)의 상기 대상 정제의 해제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상기 잔류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정제 인쇄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정 e)에 있어서, 상기 잔류 정제가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를 포함하는 상기 행의 전체에 대해, 양압을 작용시켜, 상기 행에 유지되는 모든 상기 정제의 흡착을 해제하는, 정제 인쇄 방법.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e)의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의 반송 속도를 저하시키는, 정제 인쇄 방법.
  12.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e)의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한 반송을 정지하는, 정제 인쇄 방법.
  13.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e)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값은, 상기 공정 c)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에 작용시키는 양압의 압력값보다 높은, 정제 인쇄 방법.
KR1020187034633A 2016-06-27 2017-06-0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KR201900036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6175 2016-06-27
JP2016126175A JP6644648B2 (ja) 2016-06-27 2016-06-27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PCT/JP2017/021411 WO2018003458A1 (ja) 2016-06-27 2017-06-09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682A true KR20190003682A (ko) 2019-01-09

Family

ID=6078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633A KR20190003682A (ko) 2016-06-27 2017-06-0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44648B2 (ko)
KR (1) KR20190003682A (ko)
CN (1) CN109310576A (ko)
WO (1) WO20180034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819A (ko) * 2019-09-13 2021-03-2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반송 처리 장치 및 반송 처리 방법
KR20210038327A (ko) * 2019-09-30 2021-04-07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0102B1 (ja) * 2018-03-12 2019-05-08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JP7041608B2 (ja) * 2018-10-31 2022-03-24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粒状物搬送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装置
JP7169232B2 (ja) * 2019-03-08 2022-11-10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装置の放熱方法
JP7166990B2 (ja) * 2019-06-28 2022-11-08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US11203215B2 (en) * 2019-09-30 2021-12-21 Shibaura Mechatronics Corporation Tablet printing apparatus, tablet printing method, table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ablet manufacturing method
KR102271655B1 (ko) 2020-06-12 2021-07-05 (주)엔클로니 정제에 대한 인쇄 및 검사를 수행하는 정제 인쇄 겸 검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8430A (ja) * 1989-10-23 1991-06-25 Fujisawa Pharmaceut Co Ltd 錠剤印刷包装機
JP5752081B2 (ja) * 2011-06-09 2015-07-22 株式会社京都製作所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6367597B2 (ja) * 2014-04-17 2018-08-01 株式会社京都製作所 可食体の搬送装置ならびに当該搬送装置を備えた可食体処理装置
JP6297428B2 (ja) * 2014-06-27 2018-03-2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6723818B2 (ja) * 2016-05-11 2020-07-15 株式会社京都製作所 錠剤印刷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819A (ko) * 2019-09-13 2021-03-2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반송 처리 장치 및 반송 처리 방법
KR20210038327A (ko) * 2019-09-30 2021-04-07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3458A1 (ja) 2018-01-04
JP2018000208A (ja) 2018-01-11
JP6644648B2 (ja) 2020-02-12
CN109310576A (zh)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3682A (ko)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JP6297428B2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KR101943283B1 (ko)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KR20190008363A (ko)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JP6978970B2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23121822A (ja) 搬送処理装置および搬送処理方法
JP2024045130A (ja) 搬送処理装置
JP2019072497A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CN109195803B (zh) 数据处理装置、片剂印刷装置、数据处理方法及片剂印刷方法
JP2020069084A (ja) 粒状物搬送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装置
JP7408403B2 (ja) 搬送処理装置
JP7322252B2 (ja) Ptp包装機
JP6811880B2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7065820B2 (ja) 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製造方法
JP6991920B2 (ja) 振動フィーダおよび印刷装置
JP2019202506A (ja) 印刷方法、印刷装置、および粒状物
JP6397061B2 (ja) 錠剤印刷方法
JP2021001741A (ja) 検査装置
JP6666676B2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CN112125032B (zh) 检查装置
CN116923966A (zh) 粒状物处理装置以及粒状物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