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527A -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 Google Patents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527A
KR20190003527A KR1020187031175A KR20187031175A KR20190003527A KR 20190003527 A KR20190003527 A KR 20190003527A KR 1020187031175 A KR1020187031175 A KR 1020187031175A KR 20187031175 A KR20187031175 A KR 20187031175A KR 20190003527 A KR20190003527 A KR 2019000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compound
tellurium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에치고
토모아키 타키가와
타쿠미 토이다
타카시 사토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5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95/00Compounds containing tellu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with or without the latter element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G8/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G8/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 C08G8/0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of formaldehyde, e.g. of formaldehyde formed in situ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2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inorganic or organometallic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organic resis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9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olyether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를 함유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Description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본 발명은,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학부품형성 조성물로서, 다양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한 것을 들 수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4 참조).
한편, 텔루륨함유의 폴리머가 제안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3 참조).
일본특허공개 2016-1206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5-17487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4-7398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0-138393호 공보
Chem. Lett., 40, 762-764(2011) Angew. Chem. Int. Ed. 49, 10140-10144(2010). Org. Lett., 11, 1487-1490(2009).
그러나, 종래 수많은 광학부재용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존안정성, 구조체 형성능(막형성능), 내열성, 투명성 및 굴절률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시킨 것은 없어, 새로운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비특허문헌 1~3에는 텔루륨함유의 폴리머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것을 광학부품형성 조성물로서의 적용을 시사하는 것은 일절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재료에 유용하게 이용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를 함유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2>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A-1)로 표시되는 상기 <1>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A-1) 중, X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무가교이며,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3>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A-2)로 표시되는 상기 <2>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A-2) 중, X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단결합 또는 무가교이며, R0A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2~30의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40의 아릴기, 수산기 또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로 치환된 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킬기, 이 알케닐기 및 이 아릴기는, 에테르결합, 케톤결합 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4>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A-3)으로 표시되는 상기 <2>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A-3) 중, X0은,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3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무가교이며, R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5>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1A)로 표시되는 상기 <2>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1A) 중, X, Z, m, p는 상기 식(A-1)과 동의이며,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2~30의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4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이 알킬기, 이 알케닐기 및 이 아릴기는, 에테르결합, 케톤결합 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이며, n1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며,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단, 적어도 하나의 n2는 1~(5+2×p)의 정수이다.)
<6>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1B)로 표시되는 상기 <4>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1B) 중, X0, Z, m, p는 상기 식(A-3)과 동의이며, R1A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이며, n1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며,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단, 적어도 하나의 n2는 1~(5+2×p)의 정수이다.)
<7>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2A)로 표시되는 상기 <6>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2A) 중, Z, R1A, R2, p, n1, n2는 상기 식(1B)와 동의이며, X1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다.)
<8>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2A')로 표시되는 상기 <7>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2A') 중, R1B 및 R1B'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할로겐원자, 수산기 또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로 치환된 기이며, X1은 상기 식(2A)의 X1과, n1 및 n1'은 상기 식(2A)의 n1과, p 및 p'는 상기 식(2A)의 p와 동의이며, R1B와 R1B', n1과 n1', p와 p', R1B의 치환위치와 R1B'의 치환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9>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3A)로 표시되는 상기 <7>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3A) 중, R1A, R2, X1, n1, n2는 상기 식(2A)와 동의이다.)
<10>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4A)로 표시되는 상기 <9>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식(4A) 중, R1A, R2, X1은 상기 식(3A)와 동의이다.)
<11>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2B)로 표시되는 상기 <6>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식(2B) 중, Z, R1A, R2, p, n1, n2는 상기 식(1B)와 동의이다.)
<12>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2B')로 표시되는 상기 <11>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식(2B') 중, R1B 및 R1B'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할로겐원자, 수산기 또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로 치환된 기이며, n1 및 n1'은 상기 식(2B)의 n1과, p 및 p'는 상기 식(2B)의 p와 동의이며, R1B와 R1B', n1과 n1', p와 p', R1B의 치환위치와 R1B'의 치환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13>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3B)로 표시되는 상기 <11>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식(3B) 중, R1A, R2, n1, n2는 상기 식(2B)와 동의이다.)
<14>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4B)로 표시되는 상기 <13>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식(4B) 중, R1, R2, X1은 상기 식(3B)와 동의이다.)
<15>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상기 R2로서, 적어도 하나의 산해리성 반응기를 갖는 상기 <5>~<7>, <9>~<11>, <13>~<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16>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상기 R2가 전부 수소원자인 상기 <5>~<7>, <9>~<11>, <13>~<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17>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상기 <1>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식(A-1) 중, X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무가교이며,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18>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A-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상기 <1>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식(A-2) 중, X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단결합 또는 무가교이며, R0A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2~30의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40의 아릴기, 수산기 또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로 치환된 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킬기, 이 알케닐기 및 이 아릴기는, 에테르결합, 케톤결합 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19>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A-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상기 <1>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식(A-3) 중, X0은,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3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무가교이며, R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20>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B1-M)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상기 <1>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식(B1-M) 중,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q는 0~2의 정수이며, n3은 0~(4+2×q)이다. R4는, 단결합 또는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일반식(5) 중에 있어서,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5') 중 어느 하나이다. 식(5') 중에 있어서, *는 R5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21>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는, 상기 R4가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인 상기 <20>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22>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B2-M')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상기 <20>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식(B2-M') 중, X2, R3, q, n3은 식(B1-M)과 동의이며, R6은,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20]
Figure pct00020
(일반식(6) 중에 있어서, R7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7'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6') 중 어느 하나이다. 식(6') 중에 있어서, *는 R7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23>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C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상기 <1>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21]
Figure pct00021
(식(C1) 중,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은 0~2의 정수이며, n6은 2~(4+2×r)이다.)
<24>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B3-M)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상기 <1>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22]
Figure pct00022
(식(B3-M) 중,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q는 0~2의 정수이며, n3은 0~(4+2×q)이다. R4는, 단결합 또는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23]
Figure pct00023
(일반식(5) 중에 있어서,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5') 중 어느 하나이다. 식(5') 중에 있어서, *는 R5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식(5') 중에 있어서, *는 R5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25>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는, 상기 R4가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인 상기 <24>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26>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B4-M')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상기 <24>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24]
Figure pct00024
(식(B4-M') 중, R3, q, n3은 식(B3-M)과 동의이며, R6은,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25]
Figure pct00025
(일반식(6) 중에 있어서, R7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6') 중 어느 하나이다. 식(6') 중에 있어서, *는 R7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27>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C2)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상기 <1>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26]
Figure pct00026
(식(C2) 중,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은 0~2의 정수이며, n6은 2~(4+2×r)이다.)
<28> 상기 <1>~<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할로겐화텔루륨과,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놀유도체를, 염기촉매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합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9>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30> 산발생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상기 <29>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31> 산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상기 <29> 또는 <30>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32> 상기 <1>~<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경화물.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재료에 유용하게 이용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이하, 「본 실시형태」라고 칭하기도 함). 한편,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수지를 함유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이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고굴절률 및 고투명성을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 보존안정성, 구조체형성능(막형성능), 내열성이 기대된다. 상기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것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즉,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함)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한다.
또한 해당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경화물은, 저온에서부터 고온까지의 광범위한 열처리에 의해 착색이 억제되고, 고굴절률 및 고투명성을 기대할 수 있다.
(식(A-1)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제1 실시형태는, 하기 식(A-1)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27]
Figure pct00027
(식(A-1) 중, X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무가교이며,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상기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1H-NMR분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상기 화합물은, 상기 식(A-1)과 같이 텔루륨을 포함하기 때문에, 굴절률이 높고, 또한 투명성이 높으며, 벤젠골격 또는 나프탈렌골격 등을 가지므로,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저온에서부터 고온까지의 광범위한 열처리에 의해 안정되고 또한 착색이 억제되는 점에서, 각종 광학부품형성 조성물로서도 유용하다. 나아가, 상기 식(A-1)의 구조를 가지므로, 보존안정성, 구조체형성능(막형성능)이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경화물을 적용할 수 있는 광학부품은, 필름상, 시트상으로 사용되는 것 외에, 플라스틱렌즈(프리즘렌즈, 렌티큘러렌즈, 마이크로렌즈, 플란넬렌즈, 시야각제어렌즈, 콘트라스트향상렌즈 등), 위상차필름, 전자파쉴드용 필름, 프리즘, 광화이버, 플렉서블프린트배선용 솔더레지스트, 도금레지스트, 다층프린트배선판용 층간절연막, 감광성 광도파로로서 유용하다.
상기 식(A-1) 중, m은 1~4의 정수이다. m이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m개의 반복단위의 구조식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 내열성이나 해상도, 러프니스 등의 레지스트특성의 점에서, 상기 식(A-1) 중, m은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화합물은 폴리머가 아니나, 편의상, 상기 식(A-1) 중의 X에 결합하는 [ ](괄호)부내의 구조를, "반복단위의 구조식"이라 칭한다(이하, 식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기 식(A-1) 중,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부속하는 환구조(식(A-1)에 있어서 나프탈렌으로 나타내는 환구조(이하, 해당 환구조를 간단히 "환구조A"라 칭하기도 함))의 구조를 결정하는 값이다. 즉,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A-1)에 있어서, p=0의 경우에는 환구조A는 벤젠구조를 나타내고, p=1의 경우에는 환구조A는 나프탈렌구조를 나타내고, p=2의 경우에는 환구조A는 안트라센 또는 페난트렌 등의 삼환구조를 나타낸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환구조A로는, 용해성의 관점에서 벤젠구조 또는 나프탈렌구조가 바람직하다. 식(A-1)에 있어서, X, Z 및 R0은 환구조A 상의 임의의 결합가능부위에 결합된다.
[화학식 28]
Figure pct00028
상기 식(A-1) 중, X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이다. X로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단결합, 또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상기 2m가의 기란, 예를 들어, m=1일 때는, 탄소수 1~60의 알킬렌기, m=2일 때는, 탄소수 1~60의 알칸테트라일기, m=3일 때는, 탄소수 2~60의 알칸헥사일기, m=4일 때는, 탄소수 3~60의 알칸옥타일기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 2m가의 기로는, 예를 들어,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구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2m가의 탄화수소기는, 지환식 탄화수소기, 이중결합, 헤테로원자 혹은 탄소수 6~60의 방향족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에 대해서는, 유교지환식 탄화수소기도 포함된다.
X는, 내열성의 점에서, 축합다환방향기(특히 2~4환의 축합환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이나 내열성의 점에서, 비페닐기 등의 폴리페닐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X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하기의 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29]
Figure pct00029
[화학식 30]
Figure pct00030
상기 식(A-1) 중,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무가교인 것을 나타낸다. m이 2 이상인 경우, 각각의 Z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m이 2 이상인 경우, 상이한 반복단위의 구조식 사이가 Z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이 2 이상인 경우에, 상이한 반복단위의 구조식 사이가 Z를 개재하여 결합되고, 복수의 반복단위의 구조식이 캡형 등의 구조를 구성하고 있을 수도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Z로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A-1) 중, R0은,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할로겐원자 및 이들의 조합이다.
여기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탄소수 1~20의 아실기, 탄소수 2~20의 알콕시카르보닐기, 탄소수 1~6의 직쇄상 알킬옥시기, 탄소수 3~20의 분지상 알킬옥시기, 탄소수 3~20의 환상 알킬옥시기, 탄소수 2~6의 직쇄상 알케닐옥시기, 탄소수 3~6의 분지상 알케닐옥시기, 탄소수 3~10의 환상 알케닐옥시기, 탄소수 6~1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1~20의 아실옥시기, 탄소수 2~20의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탄소수 2~20의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 탄소수 2~20의 1-치환알콕시메틸기, 탄소수 2~20의 환상 에테르옥시기, 탄소수 2~20의 알콕시알킬옥시기, 글리시딜옥시기, 알릴옥시기, (메트)아크릴기,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기 및 수산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20의 아실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타노일기(포밀기), 에타노일기(아세틸기), 프로파노일기, 부타노일기, 펜타노일기, 헥사노일기, 옥타노일기, 데카노일기, 벤조일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20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프로폭시카르보닐기, 부톡시카르보닐기, 펜틸옥시카르보닐기, 헥실옥시카르보닐기, 옥틸옥시카르보닐기, 데실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6의 직쇄상 알킬옥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n-펜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20의 분지상 알킬옥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이소프로폭시기, 이소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20의 환상 알킬옥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폭시기, 시클로부톡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시클로옥틸옥시기, 시클로데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6의 직쇄상 알케닐옥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비닐옥시기, 1-프로페닐옥시기, 2-프로페닐옥시기, 1-부테닐옥시기, 2-부테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6의 분지상 알케닐옥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이소프로페닐옥시기, 이소부테닐옥시기, 이소펜테닐옥시기, 이소헥세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10의 환상 알케닐옥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페닐옥시기, 시클로부테닐옥시기, 시클로펜테닐옥시기, 시클로헥세닐옥시기, 시클로옥테닐옥시기, 시클로데시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6~10의 아릴옥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페닐옥시기(페녹시기), 1-나프틸옥시기, 2-나프틸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20의 아실옥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포밀옥시기, 아세틸옥시기, 프로피오닐옥시기, 부티릴옥시기, 이소부티릴옥시기, 벤조일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20의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톡시카르보닐옥시기, 에톡시카르보닐옥시기, 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기, 부톡시카르보닐옥시기, 옥틸옥시카르보닐옥시기, 데실옥시카르보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20의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톡시카르보닐메틸기, 에톡시카르보닐메틸기, n-프로폭시카르보닐메틸기,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메틸기, n-부톡시카르보닐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20의 1-치환알콕시메틸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시클로펜틸메톡시메틸기, 1-시클로펜틸에톡시메틸기, 1-시클로헥실메톡시메틸기, 1-시클로헥실에톡시메틸기, 1-시클로옥틸메톡시메틸기 및 1-아다만틸메톡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20의 환상 에테르옥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옥시기,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옥시기,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옥시기, 테트라하이드로티오푸라닐옥시기, 4-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옥시기 및 4-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20의 알콕시알킬옥시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톡시메톡시기, 에톡시에톡시기, 시클로헥실옥시메톡시기, 시클로헥실옥시에톡시기, 페녹시메톡시기, 페녹시에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기는, 글리시딜옥시기에 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기로는, 글리시딜옥시기에 메타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티올기 등을 들 수 있다.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로는, 식(A-1)에 있어서의 환구조(A-1)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에 황원자가 직접 결합한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니트로기, 아미노기, 디아조기 등을 들 수 있다.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로는, 식(A-1)에 있어서의 환구조(A-1)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에 질소원자가 직접 결합한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탄소수 1~6의 직쇄상 알킬기, 탄소수 3~6의 분지상 알킬기, 탄소수 3~10의 환상 알킬기, 탄소수 2~6의 직쇄상 알케닐기, 탄소수 3~6의 분지상 알케닐기, 탄소수 3~10의 환상 알케닐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6의 직쇄상 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6의 분지상 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네오펜틸기, 2-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10의 환상 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6의 직쇄상 알케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비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알릴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2-펜테닐기, 2-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6의 분지상 알케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이소프로페닐기, 이소부테닐기, 이소펜테닐기, 이소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10의 환상 알케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페닐기, 시클로부테닐기, 시클로펜테닐기, 시클로헥세닐기, 시클로헥세닐기, 시클로옥테닐기, 시클로데시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6~10의 아릴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원자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식(1)에 있어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상기 식(A-1) 중의 n의 적어도 1개가, 1~4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매에 대한 용해성과 가교성의 도입의 관점에서, 상기 식(A-1) 중의 R0의 적어도 1개가,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경화성의 관점에서 하기 식(A-2)로 표시되는 텔루륨함유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1]
Figure pct00031
(식(A-2) 중, X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단결합 또는 무가교이며, R0A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2~30의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40의 아릴기, 수산기 또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로 치환된 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킬기, 이 알케닐기 및 이 아릴기는, 에테르결합, 케톤결합 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R0A에 있어서의 「산가교성기」 및 「산해리성 반응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하기 식(A-3)으로 표시되는 텔루륨함유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2]
Figure pct00032
(식(A-3) 중, X0은,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3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무가교이며, R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얻어지는 레지스트의 패턴형상의 관점에서,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후술하는 BMPT, BHPT, TDP 이외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1A)로 표시되는 텔루륨함유 화합물-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하기 식(1A)로 표시되는 텔루륨함유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3]
Figure pct00033
(식(1A) 중, X, Z, m, p는 상기 식(A-1)과 동의이며,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2~30의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4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이 알킬기, 이 알케닐기 및 이 아릴기는, 에테르결합, 케톤결합 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이며, n1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며, n2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단, 적어도 하나의 n2 1~(5+2×p)의 정수이다.)
식(1A)에 있어서, n1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며,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n2는 1~(5+2×p)의 정수이다. 즉, 일반식(1)의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하나의 환구조A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OR2」를 갖는다. 식(1)에 있어서, X, Z, R1 및 -OR2는 환구조A 상의 임의의 결합가능부위에 결합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환구조A에 있어서의 n1+n2의 상한은, X 및 Z와 결합부위를 고려한 후의 환구조A의 결합가능부위수의 상한과 일치한다.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2~30의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4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이 알킬기, 이 알케닐기 및 이 아릴기는, 에테르결합, 케톤결합 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R1로 표시되는 탄화수소기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상,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분지상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환상의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탄화수소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탄소수 1~30의 직쇄상 알킬기, 탄소수 3~30의 분지상 알킬기, 탄소수 3~30의 환상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30의 직쇄상 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30의 분지상 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네오펜틸기, 2-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30의 환상 알킬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R1로 표시되는 아릴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6~40의 아릴기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R1로 표시되는 알케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소수 2~30의 직쇄상 알케닐기, 탄소수 3~30의 분지상 알케닐기, 탄소수 3~30의 환상 알케닐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2~30의 직쇄상 알케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비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알릴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2-펜테닐기, 2-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30의 분지상 알케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이소프로페닐기, 이소부테닐기, 이소펜테닐기, 이소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30의 환상 알케닐기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페닐기, 시클로부테닐기, 시클로펜테닐기, 시클로헥세닐기, 시클로헥세닐기, 시클로옥테닐기, 시클로데시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원자로는, 예를 들어,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치환」이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관능기 중의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 수산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복소환기, 탄소수 1~20의 직쇄상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3~20의 분지상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3~20의 환상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30의 아랄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0~20의 아미노기, 탄소수 2~20의 알케닐기, 탄소수 1~20의 아실기, 탄소수 2~20의 알콕시카르보닐기, 탄소수 1~20의 알킬로일옥시기, 탄소수 7~30의 아릴로일옥시기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실릴기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지방족 탄화수소기란,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옥틸기, 데실기, 도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지방족 탄화수소기란, 예를 들어, 플루오로메틸기, 2-하이드록시에틸기, 3-시아노프로필기 및 20-니트로옥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비치환된 탄소수 3~20의 분지지방족 탄화수소기란,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터셔리부틸기, 네오펜틸기, 2-헥실기, 2-옥틸기, 2-데실기, 2-도데실기, 2-헥사데실기, 2-옥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된 탄소수 3~20의 분지지방족 탄화수소기란, 예를 들어, 1-플루오로이소프로필기 및 1-하이드록시-2-옥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비치환된 탄소수 3~20의 환상 지방족 탄화수소기란,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데실기, 시클로도데실기, 시클로헥사데실기, 시클로옥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된 탄소수 3~20의 환상 지방족 탄화수소기란, 예를 들어, 2-플루오로시클로프로필기 및 4-시아노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란,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란, 예를 들어, 4-이소프로필페닐기, 4-시클로헥실페닐기, 4-메틸페닐기, 6-플루오로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비치환된 탄소수 2~20의 알케닐기란, 예를 들어, 비닐기, 프로피닐기, 부티닐기, 펜티닐기, 헥시닐기, 옥티닐기, 데시닐기, 도데시닐기, 헥사데시닐기, 옥타데시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된 탄소수 2~20의 알케닐기란, 예를 들어, 클로로프로피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원자란, 예를 들어,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를 들 수 있다.
식(1A)에 있어서,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산가교성기」란, 라디칼 또는 산/알칼리의 존재하에서 반응하고, 도포용매나 현상액에 사용되는 산, 알칼리 또는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변화하는 특성기를 말한다. 산가교성기로는, 예를 들어, 알릴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에폭시기, 알콕시메틸기, 시아나토기를 들 수 있는데, 라디칼 또는 산/알칼리의 존재하에서 반응한다면,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산가교성기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산의 존재하에서 연쇄적으로 개열반응을 일으키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산해리성 반응기」란, 산의 존재하에서 개열하여, 알칼리가용성기 등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특성기를 말한다. 알칼리가용성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페놀성 수산기, 카르복실기, 설폰산기,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기 등을 들 수 있고, 페놀성 수산기 및 카르복실기가 바람직하고, 페놀성 수산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산해리성 반응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KrF나 ArF용의 화학증폭형 레지스트 조성물에 이용되는 하이드록시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등에 있어서 제안되어 있는 것 중에서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산해리성 반응기의 바람직한 예로는, 산에 의해 해리하는 성질을 갖는, 치환메틸기, 1-치환에틸기, 1-치환-n-프로필기, 1-분지알킬기, 실릴기, 아실기, 1-치환알콕시메틸기, 환상 에테르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및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산해리성 반응기는, 가교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환메틸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탄소수 2~20의 치환메틸기로 할 수 있고, 탄소수 4~18의 치환메틸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6~16의 치환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치환메틸기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메톡시메틸기, 메틸티오메틸기, 에톡시메틸기, n-프로폭시메틸기, 이소프로폭시메틸기, n-부톡시메틸기, t-부톡시메틸기, 2-메틸프로폭시메틸기, 에틸티오메틸기, 메톡시에톡시메틸기, 페닐옥시메틸기, 1-시클로펜틸옥시메틸기, 1-시클로헥실옥시메틸기, 벤질티오메틸기, 페나실기, 4-브로모페나실기, 4-메톡시페나실기, 피페로닐기, 및 하기 식(13-1)로 표시되는 치환기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하기 식(13-1) 중의 R2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n-프로필기, t-부틸기, n-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4]
Figure pct00034
상기 식(13-1) 중, R2A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1-치환에틸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탄소수 3~20의 1-치환에틸기로 할 수 있고, 탄소수 5~18의 1-치환에틸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7~16의 치환에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1-치환에틸기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1-메톡시에틸기, 1-메틸티오에틸기, 1,1-디메톡시에틸기, 1-에톡시에틸기, 1-에틸티오에틸기, 1,1-디에톡시에틸기, n-프로폭시에틸기, 이소프로폭시에틸기, n-부톡시에틸기, t-부톡시에틸기, 2-메틸프로폭시에틸기, 1-페녹시에틸기, 1-페닐티오에틸기, 1,1-디페녹시에틸기, 1-시클로펜틸옥시에틸기, 1-시클로헥실옥시에틸기, 1-페닐에틸기, 1,1-디페닐에틸기, 및 하기 식(13-2)로 표시되는 치환기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5]
Figure pct00035
상기 식(13-2) 중, R2A는, 상기 (13-1)과 동의이다.
1-치환-n-프로필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탄소수 4~20의 1-치환-n-프로필기로 할 수 있고, 탄소수 6~18의 1-치환-n-프로필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8~16의 1-치환-n-프로필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1-치환-n-프로필기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1-메톡시-n-프로필기 및 1-에톡시-n-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1-분지알킬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탄소수 3~20의 1-분지알킬기로 할 수 있고, 탄소수 5~18의 1-분지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7~16의 분지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1-분지알킬기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1,1-디메틸프로필기, 1-메틸부틸기, 1,1-디메틸부틸기, 2-메틸아다만틸기, 및 2-에틸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실릴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탄소수 1~20의 실릴기로 할 수 있고, 탄소수 3~18의 실릴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5~16의 실릴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실릴기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트리메틸실릴기, 에틸디메틸실릴기, 메틸디에틸실릴기, 트리에틸실릴기, tert-부틸디메틸실릴기, tert-부틸디에틸실릴기, tert-부틸디페닐실릴기, 트리-tert-부틸실릴기 및 트리페닐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아실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탄소수 2~20의 아실기로 할 수 있고, 탄소수 4~18의 아실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6~16의 아실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실기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아세틸기, 페녹시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헵타노일기, 헥사노일기, 발레릴기, 피발로일기, 이소발레릴기, 라우릴로일기, 아다만틸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및 나프토일기 등을 들 수 있다.
1-치환알콕시메틸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탄소수 2~20의 1-치환알콕시메틸기로 할 수 있고, 탄소수 4~18의 1-치환알콕시메틸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6~16의 1-치환알콕시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1-치환알콕시메틸기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1-시클로펜틸메톡시메틸기, 1-시클로펜틸에톡시메틸기, 1-시클로헥실메톡시메틸기, 1-시클로헥실에톡시메틸기, 1-시클로옥틸메톡시메틸기 및 1-아다만틸메톡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에테르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탄소수 2~20의 환상 에테르기로 할 수 있고, 탄소수 4~18의 환상 에테르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6~16의 환상 에테르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환상 에테르기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기,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기,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기, 테트라하이드로티오푸라닐기, 4-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기 및 4-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카르보닐기로는, 통상, 탄소수 2~20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 할 수 있고, 탄소수 4~18의 알콕시카르보닐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6~16의 알콕시카르보닐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알콕시카르보닐기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n-프로폭시카르보닐기,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기, n-부톡시카르보닐기,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또는 하기 식(13-3)의 n=0으로 표시되는 산해리성 반응기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탄소수 2~20의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로 할 수 있고, 탄소수 4~18의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6~16의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메톡시카르보닐메틸기, 에톡시카르보닐메틸기, n-프로폭시카르보닐메틸기,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메틸기, n-부톡시카르보닐메틸기 또는 하기 식(13-3)의 n=1~4로 표시되는 산해리성 반응기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6]
Figure pct00036
상기 식(13-3) 중, R3A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 알킬기이며, n은 0~4의 정수이다.
이들 산해리성 반응기 중, 치환메틸기, 1-치환에틸기, 1-치환알콕시메틸기, 환상 에테르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및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보다 높은 감도를 발현하는 관점에서, 치환메틸기, 1-치환에틸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및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나아가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칸, 락톤 및 6~12의 방향족환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갖는 산해리성 반응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칸으로는, 단환이어도 다환이어도 되는데, 다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칸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모노시클로알칸, 비시클로알칸, 트리시클로알칸, 테트라시클로알칸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시클로프로판,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등의 모노시클로알칸이나, 아다만탄, 노보난, 이소보난, 트리시클로데칸, 테트라시클로데칸 등의 폴리시클로알칸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다만탄, 트리시클로데칸, 테트라시클로데칸이 바람직하고, 아다만탄, 트리시클로데칸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칸은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다. 락톤으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부티로락톤 또는 락톤기를 갖는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칸기를 들 수 있다. 6~12의 방향족환으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벤젠환, 나프탈렌환, 안트라센환, 페난트렌환, 피렌환 등을 들 수 있고, 벤젠환, 나프탈렌환이 바람직하고, 나프탈렌환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하기 식(13-4)로 표시되는 각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해리성 반응기군이, 해상성이 높아 바람직하다.
[화학식 37]
Figure pct00037
상기 식(13-4) 중, R5A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 알킬기이며, R6A는,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 알킬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복소환기, 할로겐원자 또는 카르복실기이며, n1A는 0~4의 정수이며, n2A는 1~5의 정수이며, n0A는 0~4의 정수이다.
상술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기 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저분자량이면서도, 그 강직함에 의해 높은 내열성을 갖고, 고온베이크조건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이러한 저분자량이며, 고온베이크가 가능하면서 추가로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에서 고감도이며, 나아가, 양호한 레지스트패턴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점에서, 하기 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8]
Figure pct00038
(식(1B) 중, X0, Z, m, p는 상기 식(A-3)과 동의이며, R1A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이며, n1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며,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단, 적어도 하나의 n2는 1~(5+2×p)의 정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이나 레지스트패턴의 특성의 점에서, 하기 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9]
Figure pct00039
(식(2A) 중, Z, R1, R2, p, n1, n2는 상기 식(1B)와 동의이며, X1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물성제어의 용이성의 점에서, 하기 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비대칭의 화합물이며, R1B와 R1B', n1과 n1', p와 p'의 조합, R1B의 치환위치와 R1B'의 치환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다.
[화학식 40]
Figure pct00040
(식(2A') 중, R1B 및 R1B'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할로겐원자, 수산기 또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로 치환된 기이며, X1은 상기 식(2A)의 X1과, n1 및 n1'은 상기 식(2A)의 n1과, p 및 p'는 상기 식(2A)의 p와 동일(즉, X1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하며, R1B와 R1B', n1과 n1', p와 p', R1B의 치환위치와 R1B'의 치환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내열성의 점에서, 하기 식(3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1]
Figure pct00041
(식(3A) 중, R1A, R2, X1, n1, n2는 상기 식(2A)와 동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3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제조용이성의 점에서, 하기 일반식(4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2]
Figure pct00042
(식(4A) 중, R1, R2, X1은 상기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식(2A), 식(2A'), 식(3A), 식(4A) 중의 X1은, 제조용이성의 점에서, 할로겐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이나 레지스트패턴의 특성의 점에서, 하기 식(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3]
Figure pct00043
(식(2B) 중, Z, R1A, R2, p, n1, n2는 상기 식(1B)와 동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물성제어의 용이성의 점에서, 하기 식(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식(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비대칭의 화합물이며, R1B와 R1B', n1과 n1', p와 p', R1B의 치환위치와 R1B'의 치환위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다.
[화학식 44]
Figure pct00044
(식(2B') 중, R1B, 및 R1B'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할로겐원자, 수산기 또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로 치환된 기이며, n1 및 n1'은 상기 식(2B)의 n1과, p 및 p'는 상기 식(2B)의 p와 동의이며(즉, p, 및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1 및 n1'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 또는 0~(5+2×p')의 정수이다), R1B와 R1B', n1과 n1', p와 p', R1B의 치환위치와 R1B'의 치환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내열성의 점에서, 하기 식(3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5]
Figure pct00045
(식(3B) 중, R1A, R2, n1, n2는 상기 식(2B)와 동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3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제조용이성의 점에서, 하기 일반식(4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6]
Figure pct00046
(식(4B) 중, R1, R2, X1은 상기 식(3B)와 동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칼리현상에 의해 포지티브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또는 유기현상에 의해 네거티브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2'로서, 적어도 하나의 산해리성 반응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산해리성 반응기를 갖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로는, 하기 식(1A')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47]
Figure pct00047
(식(1A') 중, X, Z, m, p, R1, n1, n2는 상기 식(1A)와 동의이며,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이며, 적어도 하나의 R2'는, 산해리성 반응기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칼리현상에 의해 네거티브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2가 전부 수소원자인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하기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48]
Figure pct00048
(상기 식(1A'')에 있어서, X, Z, R1, m, p, n1, n2는, 식(1A)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칼리현상에 의해 포지티브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또는 유기현상에 의해 네거티브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2'로서, 적어도 하나의 산해리성 반응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산해리성 반응기를 갖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로는, 하기 식(1B')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49]
Figure pct00049
(식(1B') 중, X0, Z, m, p, R1A, n1, n2는, 상기 식(1B)와 동의이며,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이며, 적어도 하나의 R2'는, 산해리성 반응기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칼리현상에 의해 네거티브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2가 전부 수소원자인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하기 일반식(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50]
Figure pct00050
(식(1B'') 중, X0, Z, m, p, R1A, n1, n2는, 상기 식(1B)와 동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알콕시벤젠류와 대응하는 할로겐화텔루륨을,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알콕시벤젠 화합물을 얻고, 계속해서 삼브롬화붕소 등의 환원제로 환원반응을 행하고, 폴리페놀 화합물을 얻고, 얻어진 폴리페놀 화합물의 적어도 1개의 페놀성 수산기에 공지의 방법에 의해 산해리성 반응기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페놀류 혹은 티오페놀류와 대응하는 할로겐화텔루륨을, 반응시킴으로써 폴리페놀 화합물을 얻고, 얻어진 폴리페놀 화합물의 적어도 1개의 페놀성 수산기에 공지의 방법에 의해 산해리성 반응기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페놀류 혹은 티오페놀류와 대응하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알데히드류 혹은 텔루륨을 포함하는 케톤류를, 산 또는 염기촉매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폴리페놀 화합물을 얻고, 얻어진 폴리페놀 화합물의 적어도 1개의 페놀성 수산기에 공지의 방법에 의해 산해리성 반응기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염화텔루륨(텔루륨(IV)테트라클로라이드) 등의 할로겐화텔루륨과,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놀유도체를, 염기촉매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할로겐화텔루륨과,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놀유도체를, 염기촉매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합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할로겐화텔루륨과 페놀류를 반응시켜 식(A-1) 등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할 때, 예를 들어, 할로겐화텔루륨과 페놀류를 반응시키고, 반응종료 후에, 페놀류를 추가반응시키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해당 방법에 따르면, 폴리알콕시벤젠 화합물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고순도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해당 방법에 있어서는, 고수율로 목적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얻기 위한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할로겐화텔루륨과 페놀류를, 할로겐화텔루륨 1몰당 페놀류 0.4~1.2몰로 반응시키고, 반응종료 후에, 페놀류를 추가반응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상이한 페놀류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종류를 증가시키기 위한 관점에서, 할로겐화텔루륨과 페놀류[I]를 반응시키고, 반응종료 후에, 페놀류[II]를 추가반응시켜, 페놀류[I] 및 페놀류[II]로서 상이한 페놀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폴리페놀 화합물을 고순도로 얻기 위한 관점에서, 할로겐화텔루륨과 페놀류의 반응종료 후에, 반응중간체를 분리하고, 반응중간체만을 이용하여 페놀류와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중간체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반응중간체의 분리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여과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나아가, 수율향상의 관점에서, 할로겐화텔루륨과 페놀류로부터 텔루륨함유 수지를 얻는 반응으로, 할로겐화텔루륨 1몰당 페놀류 3몰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한정되지 않으나, 할로겐화텔루륨과 페놀류로부터 텔루륨함유 수지를 얻는 반응으로, 할로겐화텔루륨 1몰당 페놀류 3몰 이상을 이용하는 제조방법은, 식(C1), 및 식(C2)의 제조방법으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할로겐화텔루륨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텔루륨(IV)테트라플루오라이드, 텔루륨(IV)테트라클로라이드, 텔루륨(IV)테트라브로마이드, 텔루륨(IV)테트라요오다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콕시벤젠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메톡시벤젠, 디메톡시벤젠, 메틸메톡시벤젠, 메틸디메톡시벤젠, 페닐메톡시벤젠, 페닐디메톡시벤젠, 메톡시나프탈렌, 디메톡시나프탈렌, 에톡시벤젠, 디에톡시벤젠, 메틸에톡시벤젠, 메틸디에톡시벤젠, 페닐에톡시벤젠, 페닐디에톡시벤젠, 에톡시나프탈렌, 디에톡시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알콕시벤젠 화합물을 제조할 때, 반응용매를 이용해도 된다. 반응용매로는, 이용하는 알콕시벤젠류와 대응하는 할로겐화텔루륨의 반응이 진행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염화메틸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반응원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0~2000질량부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텔루륨을 포함하는 폴리페놀 화합물을 제조할 때, 반응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반응원료의 반응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는데, 10~2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알콕시벤젠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알콕시벤젠류와 대응하는 할로겐화텔루륨을 일괄로 투입하는 방법이나, 알콕시벤젠류와 대응하는 할로겐화텔루륨을 적하해가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반응종료 후, 계내에 존재하는 미반응원료 등을 제거하기 위해, 반응솥의 온도를 130~230℃까지 상승시키고, 1~50mmHg 정도로 휘발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알콕시벤젠 화합물을 제조할 때의 원료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할로겐화텔루륨 1몰에 대하여, 알콕시벤젠류를 1몰~과잉량 사용하고, 상압에서, 20~150℃에서 20분간~100시간 정도 반응시킴으로써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알콕시벤젠 화합물을 제조할 때, 상기 반응종료 후, 공지의 방법에 의해 목적물을 단리할 수 있다. 목적물의 단리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반응액을 농축하고, 순수를 첨가하여 반응생성물을 석출시키고, 실온까지 냉각한 후, 여과를 행하여 분리, 얻어진 고형물을 여과하고, 건조시킨 후, 칼럼크로마토에 의해, 부생성물과 분리정제하고, 용매유거, 여과, 건조를 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은, 폴리알콕시벤젠 화합물을 환원하여 얻을 수 있다. 환원반응은, 삼브롬화붕소 등의 환원제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을 제조할 때, 반응용매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반응시간, 반응온도, 원료의 양 및 단리의 방법은,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이 얻어지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페놀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놀, 디하이드록시벤젠류, 트리하이드록시벤젠류, 나프톨류,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류, 트리하이드록시안트라센류, 하이드록시비페놀류, 디하이드록시비페놀류, 측쇄에 탄소수 1~4의 알킬기 및/또는 페닐기를 갖는 페놀류, 측쇄에 탄소수 1~4의 알킬기 및/또는 페닐기를 갖는 나프톨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의 적어도 1개의 페놀성 수산기에 산해리성 반응기를 도입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의 적어도 1개의 페놀성 수산기에 산해리성 반응기를 도입할 수 있다. 산해리성 반응기를 도입하기 위한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 혹은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산클로라이드, 산무수물, 디카보네이트 등의 활성 카르본산유도체 화합물, 알킬할라이드, 비닐알킬에테르, 디하이드로피란, 할로카르본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비프로톤성 용매에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을 용해 또는 현탁시킨다. 계속해서,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알킬에테르 또는 디하이드로피란을 첨가하고, 피리디늄p-톨루엔설포네이트 등의 산촉매의 존재하, 상압에서, 20~60℃, 6~72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알칼리 화합물로 중화하고, 증류수에 첨가하여 백색고체를 석출시킨 후, 분리한 백색고체를 증류수로 세정하고, 건조함으로써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산촉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산촉매로는, 무기산이나 유기산이 널리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불산 등의 무기산이나,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구연산, 푸말산, 말레산, 포름산, p-톨루엔설폰산, 메탄설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디클로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나프탈렌디설폰산 등의 유기산이나, 염화아연, 염화알루미늄, 염화철, 삼불화붕소 등의 루이스산, 혹은 규텅스텐산, 인텅스텐산, 규몰리브덴산 또는 인몰리브덴산 등의 고체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제조상의 관점에서, 유기산 및 고체산이 바람직하고, 입수의 용이함이나 취급의 용이함 등의 제조상의 관점에서, 염산 또는 황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산촉매에 대해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아세톤, THF,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비프로톤성 용매에 폴리페놀 화합물을 용해 또는 현탁시킨다. 계속해서, 에틸클로로메틸에테르 등의 알킬할라이드 또는 브로모아세트산메틸아다만틸 등의 할로카르본산알킬에스테르를 첨가하고,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촉매의 존재하, 상압에서, 20~110℃, 6시간~72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염산 등의 산으로 중화하고, 증류수에 첨가하여 백색고체를 석출시킨 후, 분리한 백색고체를 증류수로 세정하고, 건조함으로써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염기촉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염기촉매로부터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수소화물(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수소화물 등), 금속알코올염(나트륨메톡사이드나 칼륨에톡사이드 등의 알칼리금속의 알코올염), 금속수산화물(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수산화물 등), 금속탄산염(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탄산염 등),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탄산수소염 등의 무기염기, 아민류(예를 들어, 제3급아민류(트리에틸아민 등의 트리알킬아민, N,N-디메틸아닐린 등의 방향족 제3급아민, 1-메틸이미다졸 등의 복소환식 제3급아민) 등, 카르본산금속염(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슘 등의 아세트산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 등) 등의 유기염기를 들 수 있다. 입수의 용이함이나 취급의 용이함 등의 제조상의 관점에서, 탄산나트륨, 탄산칼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기촉매로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산해리성 반응기는, 고감도·고해상도의 패턴형성을 더욱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산의 존재하에서 연쇄적으로 개열반응을 일으키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A-1)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이하를 들 수 있다.
[화학식 51]
Figure pct00051
[화학식 52]
Figure pct00052
[화학식 53]
Figure pct00053
[화학식 54]
Figure pct00054
[화학식 55]
Figure pct00055
[화학식 56]
Figure pct00056
[화학식 57]
Figure pct00057
[화학식 58]
Figure pct00058
[화학식 59]
Figure pct00059
[화학식 60]
Figure pct00060
[화학식 61]
Figure pct00061
[화학식 62]
Figure pct00062
[화학식 63]
Figure pct00063
[화학식 64]
Figure pct00064
[화학식 65]
Figure pct00065
[화학식 66]
Figure pct00066
[화학식 67]
Figure pct00067
[화학식 68]
Figure pct00068
[화학식 69]
Figure pct00069
[화학식 70]
Figure pct00070
[화학식 71]
Figure pct00071
[화학식 72]
Figure pct00072
[화학식 73]
Figure pct00073
[화학식 74]
Figure pct00074
(식(A-1)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식(A-1)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대신하거나 또는 이와 함께, 식(A-1)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함유할 수도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는, 예를 들어,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가교반응성을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가교반응성을 갖는 화합물로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올리고머화 또는 폴리머화할 수 있는 것인 한, 공지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알데히드, 케톤, 카르본산, 카르본산할라이드, 할로겐함유 화합물, 아미노 화합물, 이미노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불포화탄화수소기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상술의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예를 들어, 상술의 식(A-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상술의 식(A-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함) 외에, 이하의 식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이용해도 된다.
하기 식(B1-M)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화학식 75]
Figure pct00075
(식(B1-M) 중,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q는 0~2의 정수이며, n3은 0~(4+2×q)이다. R4는, 단결합 또는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76]
Figure pct00076
(일반식(5) 중에 있어서,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5') 중 어느 하나이다. 식(5') 중에 있어서, *는 R5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하기 식(B1-M')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식(B1-M)에 있어서 상기 R4가 단결합인 수지)
[화학식 77]
Figure pct00077
(식(B1-M') 중,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q는 0~2의 정수이며, n3은 0~(4+2×q)이다.)
하기 식(B2-M)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식(B1-M)에 있어서 상기 R4가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인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화학식 78]
Figure pct00078
(식(B2-M) 중, X2, R3, q, n3은 식(B1-M)과 동의이며, R4는,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하기 식(B2-M')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화학식 79]
Figure pct00079
(식(B2-M') 중, X2, R3, q, n3은 식(B1-M)과 동의이며, R6은,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80]
Figure pct00080
(일반식(6) 중에 있어서, R7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6') 중 어느 하나이다. 식(6') 중에 있어서, *는 R7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하기 식(C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화학식 81]
Figure pct00081
(식(C1) 중,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은 0~2의 정수이며, n6은 2~(4+2×r)이다.)
하기 식(B3-M)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화학식 82]
Figure pct00082
(식(B3-M) 중,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q는 0~2의 정수이며, n3은 0~(4+2×q)이다. R4는, 단결합 또는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83]
Figure pct00083
(일반식(5) 중에 있어서,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5') 중 어느 하나이다. 식(5') 중에 있어서, *는 R5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하기 식(B3-M')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식(B3-M)에 있어서 상기 R4가 단결합인 수지)
[화학식 84]
Figure pct00084
(식(B3-M') 중,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q는 0~2의 정수이며, n3은 0~(4+2×q)이다.)
하기 식(B4-M)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식(B3-M)에 있어서 상기 R4가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인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화학식 85]
Figure pct00085
(식(B4-M) 중, R3, q, n3은 식(B3-M)과 동의이며, R4는, 상술의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하기 식(B4-M')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화학식 86]
Figure pct00086
(식(B4-M') 중, R3, q, n3은 식(B3-M)과 동의이며, R6은,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87]
Figure pct00087
(일반식(6) 중에 있어서, R7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6') 중 어느 하나이다. 식(6') 중에 있어서, *는 R7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하기 식(C2)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화학식 88]
Figure pct00088
(식(C2) 중,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은 0~2의 정수이며, n6은 2~(4+2×r)이다.)
한편, 상술의 각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는, 구성단위간에 각 치환기가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식(B1-M) 또는 (B3-M)에 있어서의 R4가 일반식(5)인 경우에 있어서의 R5나, 식(B2-M') 또는 (B4-M')에 있어서의 일반식(6) 중의 R6은, 각각의 구성단위간에 있어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식(A-1)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로는,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이하를 들 수 있다.
[화학식 89]
Figure pct00089
[화학식 90]
Figure pct00090
[화학식 91]
Figure pct00091
[화학식 92]
Figure pct00092
[화학식 93]
Figure pct00093
[화학식 94]
Figure pct00094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지는,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단독중합체일 수도 있으나, 다른 페놀류와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공중합가능한 페놀류로는, 예를 들어, 페놀, 크레졸, 디메틸페놀, 트리메틸페놀, 부틸페놀, 페닐페놀, 디페닐페놀, 나프틸페놀, 레조르시놀, 메틸레조르시놀, 카테콜, 부틸카테콜, 메톡시페놀, 메톡시페놀, 프로필페놀, 피로갈롤, 티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지는, 상술한 다른 페놀류 이외에, 중합가능한 모노머와 공중합시킨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공중합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나프톨, 메틸나프톨, 메톡시나프톨,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인덴, 하이드록시인덴, 벤조푸란, 하이드록시안트라센, 아세나프틸렌, 비페닐, 비스페놀, 트리스페놀, 디시클로펜타디엔, 테트라하이드로인덴, 4-비닐시클로헥센, 노보나디엔, 비닐노보나엔, 피넨, 리모넨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지는,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술한 페놀류와의 2원 이상의(예를 들어, 2~4원계) 공중합체여도,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술한 공중합모노머와의 2원 이상의(예를 들어, 2~4원계) 공중합체여도,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술한 페놀류와 상술한 공중합모노머와의 3원 이상의(예를 들어, 3~4원계) 공중합체여도 상관없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지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3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20,000이다. 또한, 가교효율을 높임과 함께 베이크 중의 휘발성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지는, 분산도(중량평균 분자량Mw/수평균 분자량Mn)가 1.2~7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Mn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술한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이 화합물을 구성단위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는, 습식 프로세스의 적용이 보다 용이해지는 등의 관점에서,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화합물 및/또는 수지는, 1-메톡시-2-프로판올(PGME)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를 용매로 하는 경우, 해당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PGME 및/또는 PGMEA에 대한 용해도는, 「수지의 질량÷(수지의 질량+용매의 질량)×100(질량%)」이라고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 10g이 PGMEA 90g에 대하여 용해된다고 평가되는 것은,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이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여 얻어지는 수지의 PGMEA에 대한 용해도가 「3질량% 이상」이 되는 경우이며, 용해되지 않는다고 평가되는 것은, 해당 용해도가 「3질량% 미만」이 되는 경우이다.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정제방법]
본 실시형태의 화합물 또는 수지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정제방법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정제방법은,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A)을 얻는 공정과, 얻어진 용액(A)과 산성의 수용액을 접촉시켜,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상기 수지 중의 불순물을 추출하는 제1 추출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수지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가교반응성을 갖는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 따르면, 상술한 특정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수지에 불순물로서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금속의 함유량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A)에 포함되는 금속분을 수상으로 이행시킨 후, 유기상과 수상을 분리하여 금속함유량이 저감된,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서 사용하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는 단독이어도 되나, 2종 이상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는, 각종 계면활성제, 각종 가교제, 각종 산발생제, 각종 안정제와 함께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적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서 사용되는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란, 물에 대하여 임의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는 유기용매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기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유기용매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실온하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30% 미만인 유기용매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인 유기용매가 바람직하다. 해당 유기용매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아밀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에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CHN), 시클로펜타논, 2-헵타논, 2-펜타논 등의 케톤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톨루엔, 2-헵타논,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메틸이소부틸케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아세트산에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용매가 바람직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에틸, 시클로헥사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에틸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에틸 등은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포화용해도가 비교적 높고, 비점이 비교적 낮은 점에서, 공업적으로 용매를 유거하는 경우나 건조에 의해 제거하는 공정에서의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유기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서 사용되는 "산성의 수용액"으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기계 화합물 혹은 무기계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킨 수용액 중에서 적당히 선택된다. 산성의 수용액은,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을 물에 용해시킨 무기산수용액, 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푸말산, 말레산, 주석산, 구연산, 메탄설폰산, 페놀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을 물에 용해시킨 유기산수용액을 들 수 있다. 이들 산성의 수용액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산성의 수용액 중에서도, 염산, 황산, 질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산수용액, 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푸말산, 말레산, 주석산, 구연산, 메탄설폰산, 페놀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산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고, 황산, 질산, 및 아세트산, 옥살산, 주석산, 구연산 등의 카르본산의 수용액이 보다 바람직하고, 황산, 옥살산, 주석산, 구연산의 수용액이 더욱 바람직하고, 옥살산의 수용액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옥살산, 주석산, 구연산 등의 다가카르본산은 금속이온에 배위하고, 킬레이트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여기서 이용하는 물은,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의 목적에 따라, 금속함유량이 적은 물, 예를 들어 이온교환수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서 사용하는 산성의 수용액의 pH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수용액의 산성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산성의 수용액의 pH범위는 0~5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pH 0~3 정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서 사용하는 산성의 수용액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금속제거를 위한 추출횟수를 저감하는 관점 및 전체의 액량을 고려하여 조작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해당 사용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점에서, 산성의 수용액의 사용량은, 상기 용액(A) 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20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질량%이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산성의 수용액과,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물과 임의로 혼화하지 않는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A)을 접촉시킴으로써, 용액(A) 중의 상기 화합물 또는 상기 수지로부터 금속분을 추출할 수 있다.
물과 임의로 혼화하는 유기용매를 포함하면,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투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분액성이 향상되고, 높은 솥효율로 정제를 행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물과 임의로 혼화하는 유기용매를 첨가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리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는 방법, 미리 물 또는 산성의 수용액에 첨가하는 방법,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과 물 또는 산성의 수용액을 접촉시킨 후에 첨가하는 방법 중 하나여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미리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는 방법이 조작의 작업성이나 투입량의 관리의 용이함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서 사용되는 물과 임의로 혼화하는 유기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유기용매가 바람직하다. 물과 임의로 혼화하는 유기용매의 사용량은, 용액상과 수상이 분리되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20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물과 임의로 혼화하는 유기용매의 구체예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으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3-디옥솔란 등의 에테르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N-메틸피롤리돈 등의 케톤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E),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N-메틸피롤리돈,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이 바람직하고, N-메틸피롤리돈,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 있어서, 용액(A)과 산성의 수용액의 접촉시, 즉, 추출처리를 행할 때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9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80℃의 범위이다. 추출조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용액(A)과 산성의 수용액을, 교반 등에 의해, 잘 혼합시킨 후, 얻어진 혼합용액을 정치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에 따라,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A)에 포함되어 있던 금속분이 수상으로 이행된다. 또한, 본 조작에 의해, 용액(A)의 산성도가 저하되고,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의 정치에 의해,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상과, 수상으로 분리되므로, 디캔테이션 등에 의해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상을 회수할 수 있다. 혼합용액을 정치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상과 수상의 분리를 보다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해당 정치하는 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정치하는 시간은 1분간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분간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간 이상이다. 또한, 추출처리는 1회만이어도 상관없으나, 혼합, 정치, 분리라는 조작을 복수회 반복하여 행하는 것도 유효하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공정 후, 상기 화합물 또는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상을, 다시 물에 접촉시켜, 상기 화합물 또는 상기 수지 중의 불순물을 추출하는 공정(제2 추출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산성의 수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처리를 행한 후에, 이 수용액으로부터 추출되고, 회수된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상을, 다시 물에 의한 추출처리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물에 의한 추출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용액상과 물을, 교반 등에 의해, 잘 혼합시킨 후, 얻어진 혼합용액을, 정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해당 정치 후의 혼합용액은,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상과, 수상으로 분리되므로 디캔테이션 등에 의해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상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이용되는 물은, 본 실시형태의 목적에 따라, 금속함유량이 적은 물, 예를 들어 이온교환수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처리는 1회만이어도 상관없으나, 혼합, 정치, 분리라는 조작을 복수회 반복하여 행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추출처리에 있어서의 양자의 사용비율이나, 온도, 시간 등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앞선 산성의 수용액과의 접촉처리의 경우와 동일해도 상관없다.
이리하여 얻어진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혼입할 수 있는 수분에 대해서는, 감압증류 등의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용액에 유기용매를 첨가하고,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농도를 임의의 농도로 조정할 수 있다.
얻어진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감압제거, 재침전에 의한 분리, 및 이들의 조합 등,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농축조작, 여과조작, 원심분리조작, 건조조작 등의 공지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물성 등)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스핀코트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아몰퍼스막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다른 성분)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 바람직하게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형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와의 양방을 함유해도 된다.
(용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이외에, 추가로 용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n-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프로필렌글리콜모노-n-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E),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유산메틸, 유산에틸, 유산n-프로필, 유산n-부틸, 유산n-아밀 등의 유산에스테르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n-아밀, 아세트산n-헥실, 프로피온산메틸, 프로피온산에틸 등의 지방족 카르본산에스테르류;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톡시-3-메틸프로피온산부틸, 3-메톡시-3-메틸부티르산부틸, 아세토아세트산메틸, 피루브산메틸, 피루브산에틸 등의 다른 에스테르류;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2-헵타논, 3-헵타논, 4-헵타논, 시클로펜타논(CPN), 시클로헥사논(CHN)등의 케톤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γ-락톤 등의 락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안전용매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GMEA, PGME, CHN, CPN, 2-헵타논, 아니솔, 아세트산부틸, 프로피온산에틸 및 유산에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PGMEA, PGME 및 CHN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 있어서, 고형성분의 양과 용매의 양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고형성분 및 용매의 합계에 대하여, 고형성분 1~80질량% 및 용매 20~9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형성분 1~50질량% 및 용매 50~99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형성분 2~40질량% 및 용매 60~98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형성분 2~10질량% 및 용매 90~98질량%이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다른 고형성분으로서, 산발생제(C), 산가교제(G), 산확산제어제(E) 및 기타 성분(F)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 있어서,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즉,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고형성분의 전체질량(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산발생제(C), 산가교제(G), 산확산제어제(E) 및 기타 성분(F) 등의 임의로 사용되는 고형성분의 총합, 이하 동일)의 50~99.4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9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0~70질량%이다.
한편,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양방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함유량은,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와의 합계량이다.
(산발생제(C))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열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산을 발생하는 산발생제(C)를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 있어서, 산발생제(C)의 함유량은, 고형성분의 전체질량의 0.001~49질량%가 바람직하고, 1~4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3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10~25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의 범위내에서 산발생제(C)를 사용함으로써, 한층 고굴절률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서는, 계내에 산이 발생하면, 산의 발생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g선, i선 등의 자외선 대신에 엑시머레이저를 사용하면, 보다 미세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고에너지선으로서 전자선, 극단자외선, X선, 이온빔을 사용하면 더욱 미세가공이 가능하다.
상기 산발생제(C)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기 식(8-1)~(8-8)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95]
Figure pct00095
(식(8-1) 중, R13은, 각각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 알킬기,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 알콕시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X-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치환알킬기 혹은 할로겐치환아릴기를 갖는 설폰산이온 또는 할로겐화물이온이다.)
상기 식(8-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트리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노나플루오로-n-부탄설포네이트, 디페닐톨릴설포늄노나플루오로-n-부탄설포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퍼플루오로-n-옥탄설포네이트, 디페닐-4-메틸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디-2,4,6-트리메틸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디페닐-4-t-부톡시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디페닐-4-t-부톡시페닐설포늄노나플루오로-n-부탄설포네이트, 디페닐-4-하이드록시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비스(4-플루오로페닐)-4-하이드록시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디페닐-4-하이드록시페닐설포늄노나플루오로-n-부탄설포네이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트리(4-메톡시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트리(4-플루오로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p-톨루엔설포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벤젠설포네이트, 디페닐-2,4,6-트리메틸페닐-p-톨루엔설포네이트, 디페닐-2,4,6-트리메틸페닐설포늄-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네이트, 디페닐-2,4,6-트리메틸페닐설포늄-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네이트, 디페닐-2,4,6-트리메틸페닐설포늄-2,4-디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디페닐-2,4,6-트리메틸페닐설포늄헥사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디페닐나프틸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디페닐-4-하이드록시페닐설포늄-p-톨루엔설포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10-캠퍼설포네이트, 디페닐-4-하이드록시페닐설포늄10-캠퍼설포네이트 및 시클로(1,3-퍼플루오로프로판디설폰)이미데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96]
Figure pct00096
(식(8-2) 중, R14는, 각각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 알킬기,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 알콕시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X-는 상기와 동일하다.)
상기 식(8-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노나플루오로-n-부탄설포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퍼플루오로-n-옥탄설포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p-톨루엔설포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벤젠설포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2,4-디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10-캠퍼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노나플루오로-n-부탄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퍼플루오로-n-옥탄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벤젠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10-캠퍼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2,4-디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벤젠설포네이트, 디(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디(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요오드늄노나플루오로-n-부탄설포네이트, 디(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요오드늄퍼플루오로-n-옥탄설포네이트, 디(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요오드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디(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요오드늄벤젠설포네이트 및 디(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요오드늄10-캠퍼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97]
Figure pct00097
(식(8-3) 중, Q는 알킬렌기, 아릴렌기 또는 알콕실렌기이며, R15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치환알킬기 또는 할로겐치환아릴기이다.)
상기 식(8-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N-(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석신이미드, N-(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프탈이미드, N-(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디페닐말레이미드, N-(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나프틸이미드, N-(10-캠퍼설포닐옥시)석신이미드, N-(10-캠퍼설포닐옥시)프탈이미드, N-(10-캠퍼설포닐옥시)디페닐말레이미드, N-(10-캠퍼설포닐옥시)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10-캠퍼설포닐옥시)나프틸이미드, N-(n-옥탄설포닐옥시)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옥탄설포닐옥시)나프틸이미드, N-(p-톨루엔설포닐옥시)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p-톨루엔설포닐옥시)나프틸이미드, N-(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닐옥시)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닐옥시)나프틸이미드, 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닐옥시)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닐옥시)나프틸이미드, N-(퍼플루오로벤젠설포닐옥시)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퍼플루오로벤젠설포닐옥시)나프틸이미드, N-(1-나프탈렌설포닐옥시)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1-나프탈렌설포닐옥시)나프틸이미드, N-(노나플루오로-n-부탄설포닐옥시)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노나플루오로-n-부탄설포닐옥시)나프틸이미드, N-(퍼플루오로-n-옥탄설포닐옥시)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및 N-(퍼플루오로-n-옥탄설포닐옥시)나프틸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98]
Figure pct00098
(식(8-4) 중, R16은, 각각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직쇄, 분지 혹은 환상 알킬기, 임의로 치환된 아릴기,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랄킬기이다.)
상기 식(8-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디페닐디설폰, 디(4-메틸페닐)디설폰, 디나프틸디설폰, 디(4-tert-부틸페닐)디설폰, 디(4-하이드록시페닐)디설폰, 디(3-하이드록시나프틸)디설폰, 디(4-플루오로페닐)디설폰, 디(2-플루오로페닐)디설폰 및 디(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디설폰(ジ(4 -卜ルフルオ口メチルフェニル)ジスルフォン)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99]
Figure pct00099
(식(8-5) 중, R17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직쇄, 분지 혹은 환상 알킬기, 임의로 치환된 아릴기,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랄킬기이다.)
상기 식(8-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α-(메틸설포닐옥시이미노)-페닐아세토니트릴, α-(메틸설포닐옥시이미노)-4-메톡시페닐아세토니트릴, α-(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이미노)-페닐아세토니트릴, α-(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이미노)-4-메톡시페닐아세토니트릴, α-(에틸설포닐옥시이미노)-4-메톡시페닐아세토니트릴, α-(프로필설포닐옥시이미노)-4-메틸페닐아세토니트릴 및 α-(메틸설포닐옥시이미노)-4-브로모페닐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00]
Figure pct00100
식(8-6) 중, R18은, 각각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염소원자 및 1 이상의 브롬원자를 갖는 할로겐화알킬기이다. 할로겐화알킬기의 탄소수는 1~5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01]
Figure pct00101
[화학식 102]
Figure pct00102
식(8-7) 및 (8-8) 중, R19 및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등의 탄소수 1~3의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등의 탄소수 1~3의 알콕실기; 또는 페닐기, 톨루일기, 나프틸기 등 아릴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의 아릴기이다. L19 및 L20은 각각 독립적으로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기를 갖는 유기기이다.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기를 갖는 유기기로는, 구체적으로는,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4-설포닐기,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5-설포닐기,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6-설포닐기 등의 1,2-퀴논디아지드설포닐기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특히,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4-설포닐기 및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5-설포닐기가 바람직하다. s1은 각각 독립적으로, 1~3의 정수, s2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 또한 1≤s1+s2≤5이다. J19는 단결합, 탄소수 1~4의 폴리메틸렌기, 시클로알킬렌기, 페닐렌기, 하기 식(8-7-1)로 표시되는 기, 카르보닐기, 에스테르기, 아미드기 또는 에테르기이며, Y19는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X20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식(8-8-1)로 표시되는 기이다.
[화학식 103]
Figure pct00103
[화학식 104]
Figure pct00104
(식(8-8-1) 중, Z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R22는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알콕실기이며, r은 0~3의 정수이다.)
기타 산발생제로서, 비스(p-톨루엔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2,4-디메틸페닐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tert-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n-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부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프로필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n-프로필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헥실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프로필설포닐)디아조메탄, 1,3-비스(시클로헥실설포닐아조메틸설포닐)프로판, 1,4-비스(페닐설포닐아조메틸설포닐)부탄, 1,6-비스(페닐설포닐아조메틸설포닐)헥산, 1,10-비스(시클로헥실설포닐아조메틸설포닐)데칸 등의 비스설포닐디아조메탄류; 2-(4-메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4-메톡시나프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1,3,5-트리아진,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할로겐함유 트리아진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발생제 중,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 이용되는 산발생제(C)로는, 방향환을 갖는 산발생제가 바람직하고, 식(8-1) 또는 (8-2)로 표시되는 산발생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8-1) 또는 (8-2)의 X-가, 아릴기 혹은 할로겐치환아릴기를 갖는 설폰산이온을 갖는 산발생제가 더욱 바람직하고, 아릴기를 갖는 설폰산이온을 갖는 산발생제가 특히 바람직하고, 디페닐트리메틸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 노나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산발생제를 이용함으로써, 라인엣지러프니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산발생제(C)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산가교제(G))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구조체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한 경우에, 산가교제(G)를 1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가교제(G)란, 산발생제(C)로부터 발생한 산의 존재하에서,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분자내 또는 분자간 가교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산가교제(G)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교할 수 있는 1종 이상의 기(이하, 「가교성기」라고 함)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교성기의 구체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i)하이드록시(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1~6의 알콕시(탄소수 1~6의 알킬기), 아세톡시(탄소수 1~6의 알킬기) 등의 하이드록시알킬기 또는 이들로부터 유도되는 기; (ii)포밀기, 카르복시(탄소수 1~6의 알킬기) 등의 카르보닐기 또는 이들로부터 유도되는 기; (iii)디메틸아미노메틸기, 디에틸아미노메틸기, 디메틸올아미노메틸기, 디에틸올아미노메틸기, 모르폴리노메틸기 등의 함질소기함유기; (iv)글리시딜에테르기, 글리시딜에스테르기, 글리시딜아미노기 등의 글리시딜기함유기; (v)벤질옥시메틸기, 벤조일옥시메틸기 등의, 탄소수 1~6의 알릴옥시(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1~6의 아랄킬옥시(탄소수 1~6의 알킬기) 등의 방향족기로부터 유도되는 기; (vi)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등의 중합성 다중결합함유기 등을 들 수 있다. 산가교제(G)의 가교성기로는, 하이드록시알킬기, 및 알콕시알킬기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알콕시메틸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성기를 갖는 산가교제(G)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i)메틸올기함유 멜라민 화합물, 메틸올기함유 벤조구아나민 화합물, 메틸올기함유 우레아 화합물, 메틸올기함유 글리콜우릴 화합물, 메틸올기함유 페놀 화합물 등의 메틸올기함유 화합물; (ii)알콕시알킬기함유 멜라민 화합물, 알콕시알킬기함유 벤조구아나민 화합물, 알콕시알킬기함유 우레아 화합물, 알콕시알킬기함유 글리콜우릴 화합물, 알콕시알킬기함유 페놀 화합물 등의 알콕시알킬기함유 화합물; (iii)카르복시메틸기함유 멜라민 화합물, 카르복시메틸기함유 벤조구아나민 화합물, 카르복시메틸기함유 우레아 화합물, 카르복시메틸기함유 글리콜우릴 화합물, 카르복시메틸기함유 페놀 화합물 등의 카르복시메틸기함유 화합물; (iv)비스페놀A계 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F계 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S계 에폭시 화합물, 노볼락수지계 에폭시 화합물, 레졸수지계 에폭시 화합물,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계 에폭시 화합물 등의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산가교제(G)로는, 추가로,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그리고 알칼리가용성 수지 중의 산성 관능기에 상기 가교성기를 도입하고, 가교성을 부여한 화합물 및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의 가교성기의 도입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및 알칼리가용성 수지 중의 전체 산성 관능기에 대하여, 예를 들어, 5~100몰%, 바람직하게는 10~6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0몰%로 조절된다. 상기 범위이면, 가교반응이 충분히 일어나고, 잔막율의 저하, 패턴의 팽윤현상이나 사행(蛇行) 등을 피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 있어서 산가교제(G)는, 알콕시알킬화우레아 화합물 혹은 그 수지, 또는 알콕시알킬화글리콜우릴 화합물 혹은 그 수지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산가교제(G)로는, 하기 식(11-1)~(1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알콕시메틸화멜라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산가교제(G1)).
[화학식 105]
Figure pct00105
(상기 식(11-1)~(11-3) 중,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실기를 나타내고; R8~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수산기, 알킬기 또는 알콕실기를 나타내고; X2는,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낸다.)
R7가 나타내는 알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탄소수 1~6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3이 보다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R7이 나타내는 아실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탄소수 2~6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4가 보다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를 들 수 있다. R8~R11이 나타내는 알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탄소수 1~6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3이 보다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R8~R11이 나타내는 알콕실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탄소수 1~6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3이 보다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를 들 수 있다. X2는 단결합 또는 메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7~R11, X2는, 메틸기, 에틸기 등의 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수산기, 할로겐원자 등으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복수개의 R7, R8~R11은, 각각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
식(11-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에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06]
Figure pct00106
식(11-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메톡시메틸)글리콜우릴, N,N,N,N-테트라(에톡시메틸)글리콜우릴, N,N,N,N-테트라(n-프로폭시메틸)글리콜우릴, N,N,N,N-테트라(이소프로폭시메틸)글리콜우릴, N,N,N,N-테트라(n-부톡시메틸)글리콜우릴, N,N,N,N-테트라(t-부톡시메틸)글리콜우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특히, N,N,N,N-테트라(메톡시메틸)글리콜우릴이 바람직하다.
식(1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에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07]
Figure pct00107
알콕시메틸화멜라민 화합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N,N,N,N,N,N-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N,N,N,N,N,N-헥사(에톡시메틸)멜라민, N,N,N,N,N,N-헥사(n-프로폭시메틸)멜라민, N,N,N,N,N,N-헥사(이소프로폭시메틸)멜라민, N,N,N,N,N,N-헥사(n-부톡시메틸)멜라민, N,N,N,N,N,N-헥사(t-부톡시메틸)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특히, N,N,N,N,N,N-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가교제(G1)는, 예를 들어 요소 화합물 또는 글리콜우릴 화합물, 및 포르말린을 축합반응시켜 메틸올기를 도입한 후, 그리고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저급알코올류로 에테르화하고, 이어서 반응액을 냉각하여 석출하는 화합물 또는 그 수지를 회수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상기 산가교제(G1)는, CYMEL(상품명, 미쯔이사이아나미드제), 니카락(산와케미칼(주)제)과 같은 시판품으로서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특히 바람직한 산가교제(G)로서, 분자내에 벤젠환을 1~6 갖고, 하이드록시알킬기 및/또는 알콕시알킬기를 분자내 전체에 2 이상 갖고, 이 하이드록시알킬기 및/또는 알콕시알킬기가 상기 어느 하나의 벤젠환에 결합되어 있는 페놀유도체를 들 수 있다(산가교제(G2)).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1500 이하, 분자내에 벤젠환을 1~6 갖고, 하이드록시알킬기 및/또는 알콕시알킬기를 합하여 2 이상 갖고, 이 하이드록시알킬기 및/또는 알콕시알킬기가 상기 벤젠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벤젠환에 결합하여 이루어진 페놀유도체를 들 수 있다.
벤젠환에 결합하는 하이드록시알킬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이드록시메틸기, 2-하이드록시에틸기, 및 2-하이드록시-1-프로필기 등의 탄소수 1~6인 것이 바람직하다. 벤젠환에 결합하는 알콕시알킬기로는, 탄소수 2~6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 n-프로폭시메틸기, 이소프로폭시메틸기, n-부톡시메틸기, 이소부톡시메틸기, sec-부톡시메틸기, t-부톡시메틸기, 2-메톡시에틸기 또는 2-메톡시-1-프로필기가 바람직하다.
이들 페놀유도체 중, 특히 바람직한 것을 이하에 든다.
[화학식 108]
Figure pct00108
[화학식 109]
Figure pct00109
[화학식 110]
Figure pct00110
[화학식 111]
Figure pct00111
[화학식 112]
Figure pct00112
[화학식 113]
Figure pct00113
상기 식 중, L1~L8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시메틸기, 메톡시메틸기 또는 에톡시메틸기를 나타낸다. 하이드록시메틸기를 갖는 페놀유도체는, 대응하는 하이드록시메틸기를 갖지 않는 페놀 화합물(상기 식에 있어서 L1~L8이 수소원자인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를 염기촉매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때, 수지화나 겔화를 방지하기 위해, 반응온도를 60℃ 이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일본특허공개 H6-28206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H7-6428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알콕시메틸기를 갖는 페놀유도체는, 대응하는 하이드록시메틸기를 갖는 페놀유도체와 알코올을 산촉매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때, 수지화나 겔화를 방지하기 위해, 반응온도를 100℃ 이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EP632003A1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합성된 하이드록시메틸기 및/또는 알콕시메틸기를 갖는 페놀유도체는, 보존시의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나, 알콕시메틸기를 갖는 페놀유도체는 보존시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산가교제(G2)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특히 바람직한 산가교제(G)로서, 적어도 하나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산가교제(G3)).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를 갖는 한, 그 구조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또한, 상기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 중의 하이드록실기의 수소원자를 1종 이상의 산해리성 반응기(R-COO-기, R-SO2-기 등, R은, 탄소수 1~12의 직쇄상 탄화수소기, 탄소수 3~12의 환상 탄화수소기,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 탄소수 3~12의 1-분지알킬기 및 탄소수 6~12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나타냄)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적어도 1개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를 함유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계 화합물, 디페닐 화합물, 나프탈렌 화합물, 푸란 화합물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식(1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벤젠계 화합물(1)」이라고 함), 하기 식(1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디페닐계 화합물(2)」이라고 함), 하기 식(1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나프탈렌계 화합물(3)」이라고 함), 및 하기 식(1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푸란계 화합물(4)」이라고 함)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14]
Figure pct00114
상기 식(12-1)~(12-4) 중, 각 A2는 독립적으로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또한 적어도 1의 A2가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이다.
또한, 식(12-1) 중, R51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2~6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의 알킬카르보닐기 또는 탄소수 2~6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의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나아가, 식(10-2) 중, R52는 단결합, 탄소수 1~5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의 알킬렌기, -O-, -CO- 또는 -COO-를 나타낸다. 또한, 식(12-4) 중, R53 및 R54는, 상호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벤젠계 화합물(1)로서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벤젠, 1,3-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벤젠, 1,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벤젠, 1,2,4-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벤젠, 1,3,5-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벤젠 등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벤젠류;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놀,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놀,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놀,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놀 등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놀류;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메틸케톤,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메틸케톤,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에틸케톤,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n-프로필케톤,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이소프로필케톤,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n-부틸케톤,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t-부틸케톤,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n-펜틸케톤,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메틸케톤,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에틸케톤,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메틸케톤 등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알킬케톤류;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메틸,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메틸,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에틸,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n-프로필,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이소프로필,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n-부틸,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t-부틸,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n-펜틸,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메틸,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에틸,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메틸 등의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알킬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페닐계 화합물(2)로서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3,3'-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3,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4,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3,3',5-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3,4',5-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2,3',4,6,-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2,4,4',6,-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3,3',5,5'-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2,3',4,5',6-펜타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2,2',4,4',6,6'-헥사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 등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류;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1-(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2-페닐에탄, 1-(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2-페닐프로판, 2-(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2-페닐프로판, 1-(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3-페닐프로판, 1-(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4-페닐부탄, 1-(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5-페닐펜탄,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3,3'-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3,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4,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1,2-비스(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에탄, 1,2-비스(4-α-하이드록시프로필페닐)프로판, 2,2-비스(4-α-하이드록시프로필페닐)프로판, 1,3-비스(4-α-하이드록시프로필페닐)프로판,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3,3',5-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3,4',5-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2,3',4,6-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2,4,4',6-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3,3',5,5'-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2,3',4,5',6-펜타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2,2',4,4',6,6'-헥사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 등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알칸류;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3,3'-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3,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4,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3,3',5-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3,4',5-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2,3',4,6-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2,4,4',6-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3,3',5,5'-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2,3',4,5',6-펜타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2,2',4,4',6,6'-헥사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 등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에테르류;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3,3'-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3,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4,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3,3',5-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3,4',5-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2,3',4,6-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2,4,4',6-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3,3',5,5'-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2,3',4,5',6-펜타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2,2',4,4',6,6'-헥사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 등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디페닐케톤류;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페닐,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페닐, 안식향산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안식향산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페닐,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안식향산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페닐,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안식향산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3,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2,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페닐 등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안식향산페닐류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나프탈렌계 화합물(3)로서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2-(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1,3-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1,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1,5-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1,6-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1,7-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2,6-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2,7-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1,3,5-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1,3,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1,3,7-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1,4,6-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1,4,7-트리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1,3,5,7-테트라키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푸란계 화합물(4)로서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메틸-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메틸-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에틸-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n-프로필-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이소프로필-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n-부틸-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t-부틸-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n-펜틸-4-(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5-디메틸-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5-디에틸-3-(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3,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5-디메틸-3,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2,5-디에틸-3,4-비스(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푸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가교제(G3)로는, 유리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를 2 이상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를 2 이상 갖는 상기 벤젠계 화합물(1),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를 2 이상 갖는 상기 디페닐계 화합물(2),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를 2개 이상 갖는 상기 나프탈렌계 화합물(3)이 더욱 바람직하고,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를 2개 이상 갖는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비페닐류, α-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기를 2개 이상 갖는 나프탈렌계 화합물(3)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산가교제(G3)는, 통상, 1,3-디아세틸벤젠 등의 아세틸기함유 화합물에, CH3MgBr 등의 그리냐르시약을 반응시켜 메틸화한 후, 가수분해하는 방법이나, 1,3-디이소프로필벤젠 등의 이소프로필기함유 화합물을 산소 등으로 산화하여 과산화물을 생성시킨 후, 환원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 있어서, 산가교제(G)의 함유량은, 고형성분의 전체질량의 0.5~49질량%가 바람직하고, 0.5~4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3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2~2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산가교제(G)의 함유비율을 0.5질량% 이상으로 하면,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억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고, 한편, 49질량% 이하로 하면, 광학부품형성 조성물로서의 내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가교제(G) 중의 상기 산가교제(G1), 산가교제(G2), 산가교제(G3)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의 함유량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기판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범위로 할 수 있다.
전체 산가교제성분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메틸화멜라민 화합물 및/또는 (12-1)~(1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50~99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99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98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0~97질량%이다. 알콕시메틸화멜라민 화합물 및/또는 (12-1)~(1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전체 산가교제성분의 50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해상도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고, 99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구조체의 형상을 양호하게 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산확산제어제(E))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산발생제로부터 발생한 산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확산을 제어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반응을 저지하는 작용 등을 갖는 산확산제어제(E)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산확산제어제(E)를 사용함으로써,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해상도가 한층 향상함과 함께, 가열후의 거치시간의 변동에 따른 구조체의 선폭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프로세스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 된다.
이러한 산확산제어제(E)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질소원자함유 염기성 화합물, 염기성 설포늄 화합물, 염기성 요오드늄 화합물 등의 방사선분해성 염기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산확산제어제(E)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확산제어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함질소 유기 화합물이나, 노광에 의해 분해하는 염기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함질소 유기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기 식(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15]
Figure pct00115
상기 식(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함질소 화합물(I)」이라고 함), 동일분자내에 질소원자를 2개 갖는 디아미노 화합물(이하, 「함질소 화합물(II)」이라고 함), 질소원자를 3개 이상 갖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이나 중합체(이하, 「함질소 화합물(III)」이라고 함), 아미드기함유 화합물, 우레아 화합물, 및 함질소복소환식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산확산제어제(E)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14) 중, R61, R62 및 R63은 상호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랄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랄킬기는, 비치환일 수도 있고, 하이드록실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직쇄상, 분지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탄소수 1~15, 바람직하게는 1~10의 것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텍실(テキシル)기, n-헵틸기, n-옥틸기, n-에틸헥실기, n-노닐기, n-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릴기로는, 탄소수 6~12의 것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페닐기, 톨릴기, 자일릴기, 쿠메닐(クメニル)기, 1-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아랄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탄소수 7~19, 바람직하게는 7~13의 것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벤질기, α-메틸벤질기, 페네틸기, 나프틸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함질소 화합물(I)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n-헥실아민, n-헵틸아민, n-옥틸아민, n-노닐아민, n-데실아민, n-도데실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등의 모노(시클로)알킬아민류; 디-n-부틸아민, 디-n-펜틸아민, 디-n-헥실아민, 디-n-헵틸아민, 디-n-옥틸아민, 디-n-노닐아민, 디-n-데실아민, 메틸-n-도데실아민, 디-n-도데실메틸, 시클로헥실메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등의 디(시클로)알킬아민류; 트리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n-펜틸아민, 트리-n-헥실아민, 트리-n-헵틸아민, 트리-n-옥틸아민, 트리-n-노닐아민, 트리-n-데실아민, 디메틸-n-도데실아민, 디-n-도데실메틸아민, 디시클로헥실메틸아민, 트리시클로헥실아민 등의 트리(시클로)알킬아민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류; 아닐린, N-메틸아닐린, N,N-디메틸아닐린, 2-메틸아닐린, 3-메틸아닐린, 4-메틸아닐린, 4-니트로아닐린, 디페닐아민, 트리페닐아민, 1-나프틸아민 등의 방향족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함질소 화합물(II)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디아미노벤조페논, 4,4'-디아미노디페닐아민, 2,2-비스(4-아미노페닐)프로판, 2-(3-아미노페닐)-2-(4-아미노페닐)프로판, 2-(4-아미노페닐)-2-(3-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4-아미노페닐)-2-(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1,4-비스[1-(4-아미노페닐)-1-메틸에틸]벤젠, 1,3-비스[1-(4-아미노페닐)-1-메틸에틸]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함질소 화합물(III)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알릴아민, N-(2-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의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드기함유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아미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프로피온아미드, 벤즈아미드, 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우레아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요소, 메틸우레아, 1,1-디메틸우레아, 1,3-디메틸우레아, 1,1,3,3-테트라메틸우레아, 1,3-디페닐우레아, 트리-n-부틸티오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함질소복소환식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4-메틸이미다졸, 4-메틸-2-페닐이미다졸, 2-페닐벤즈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류; 피리딘, 2-메틸피리딘, 4-메틸피리딘, 2-에틸피리딘, 4-에틸피리딘, 2-페닐피리딘, 4-페닐피리딘, 2-메틸-4-페닐피리딘, 니코틴,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퀴놀린, 8-옥시퀴놀린, 아크리딘 등의 피리딘류; 및, 피라진, 피라졸, 피리다진, 퀴녹살린(キノザリン), 푸린, 피롤리딘, 피페리딘, 모르폴린, 4-메틸모르폴린, 피페라진, 1,4-디메틸피페라진,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선분해성 염기성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기 식(15-1)로 표시되는 설포늄 화합물, 또는 하기 식(15-2)로 표시되는 요오드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16]
Figure pct00116
[화학식 117]
Figure pct00117
상기 식(15-1) 및 (15-2) 중, R71, R72, R73, R74 및 R75는 상호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1~6의 알콕실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Z-는 HO-, R-COO-(여기서, R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6~11의 아릴기 혹은 탄소수 7~12의 알카릴기를 나타낸다.) 또는 하기 식(15-3)으로 표시되는 음이온을 나타낸다.
[화학식 118]
Figure pct00118
상기 방사선분해성 염기성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트리페닐설포늄하이드로옥사이드, 트리페닐설포늄아세테이트, 트리페닐설포늄살리실레이트, 디페닐-4-하이드록시페닐설포늄하이드로옥사이드, 디페닐-4-하이드록시페닐설포늄아세테이트, 디페닐-4-하이드록시페닐설포늄살리실레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하이드로옥사이드,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아세테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하이드로옥사이드,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아세테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살리실레이트, 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페닐요오드늄하이드로옥사이드, 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페닐요오드늄아세테이트, 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페닐요오드늄살리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산확산제어제(E)의 함유량은, 고형성분의 전체질량의 0.001~49질량%가 바람직하고, 0.01~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0.01~3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산확산제어제(E)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내이면, 해상도의 저하, 패턴형상, 치수충실도 등의 열화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선조사로부터 방사선조사후 가열까지의 거치시간이 길어져도, 패턴상층부의 형상이 열화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산확산제어제(E)의 함유량이 10질량% 이하이면, 감도, 미노광부의 현상성 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산확산제어제를 사용함으로써,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이 향상되고, 또한 해상도가 향상됨과 함께, 방사선조사전의 거치시간, 방사선조사후의 거치시간의 변동에 따른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선폭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프로세스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 된다.
(기타 임의성분(F))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는, 본 실시형태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기타 임의성분(F)으로서, 용해촉진제, 용해제어제, 증감제, 계면활성제 및 유기카르본산 또는 인의 옥소산 혹은 그 유도체 등의 각종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할 수 있다.
-용해촉진제-
저분자량 용해촉진제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 그 용해성을 높여, 현상시의 상기 화합물의 용해속도를 적당히 증대시키는 작용을 갖는 성분이며,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해촉진제로는, 예를 들어, 저분자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스페놀류, 트리스(하이드록시페닐)메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해촉진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해촉진제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식(A-1)로 표시되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조절되는데, 고형성분의 전체질량의 0~49질량%가 바람직하고, 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용해제어제-
용해제어제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가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 그 용해성을 제어하여 현상시의 용해속도를 적당히 감소시키는 작용을 갖는 성분이다. 이러한 용해제어제로는, 광학부품의 소성, 가열, 현상 등의 공정에 있어서 화학변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제어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난트렌, 안트라센 , 아세나프텐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페닐나프틸케톤 등의 케톤류; 메틸페닐설폰, 디페닐설폰, 디나프틸설폰 등의 설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해제어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용해제어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조절되는데, 고형성분의 전체질량의 0~49질량%가 바람직하고, 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증감제-
증감제는, 조사된 방사선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그 에너지를 산발생제(C)에 전달하고, 이로 인해 산의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갖고, 레지스트의 외관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이러한 증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벤조페논류, 비아세틸류, 피렌류, 페노티아진류, 플루오렌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증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증감제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조절되는데, 고형성분의 전체질량의 0~49질량%가 바람직하고, 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는,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도포성이나 스트리에이션 등을 개량하는 작용을 갖는 성분이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혹은 양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이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하는 용매와의 친화성이 좋아, 보다 효과가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고급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고급알킬페닐에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고급지방산디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시판품으로는, 이하 상품명으로, 에프톱(젬코사제), 메가팍(대일본잉크화학공업사제), 플루오라드(스미토모쓰리엠사제), 아사히가드, 사프론(이상, 아사히글라스사제), 페폴(도호화학공업사제), KP(신에쯔화학공업사제), 폴리플로우(교에이샤유지화학공업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조절되는데, 고형성분의 전체질량의 0~49질량%가 바람직하고, 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카르본산 또는 인의 옥소산 혹은 그 유도체-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감도열화방지 또는 구조체, 거치안정성 등의 향상의 목적으로, 추가로 임의의 성분으로서, 유기카르본산 또는 인의 옥소산 혹은 그 유도체를 함유해도 된다. 한편, 산확산제어제와 병용할 수도 있고, 단독으로 이용해도 된다. 유기카르본산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말론산, 구연산, 사과산, 석신산, 안식향산, 살리실산 등이 호적하다. 인의 옥소산 혹은 그 유도체로는, 인산, 인산디-n-부틸에스테르, 인산디페닐에스테르 등의 인산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 포스폰산, 포스폰산디메틸에스테르, 포스폰산디-n-부틸에스테르, 페닐포스폰산, 포스폰산디페닐에스테르, 포스폰산디벤질에스테르 등의 포스폰산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 포스핀산, 페닐포스핀산 등의 포스핀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특히 포스폰산이 바람직하다.
유기카르본산 또는 인의 옥소산 혹은 그 유도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카르본산 또는 인의 옥소산 혹은 그 유도체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조절되는데, 고형성분의 전체질량의 0~49질량%가 바람직하고, 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기타 첨가제-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용해제어제, 증감제, 및 계면활성제 이외의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염료, 안료, 및 접착조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염료 또는 안료를 함유하면, 노광부의 잠상을 가시화시켜, 노광시의 할레이션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조제를 함유하면, 기판과의 접착성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첨가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할레이션방지제, 보존안정제, 소포제, 형상개량제 등, 구체적으로는 4-하이드록시-4'-메틸칼콘 등을 들 수 있다.
임의성분(F)의 합계함유량은, 고형성분의 전체질량의 0~49질량%가 바람직하고, 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 있어서,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산발생제(C), 산확산제어제(E), 임의성분(F)의 함유량(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산발생제(C)/산확산제어제(E)/임의성분(F))은, 고형물기준의 질량%로, 바람직하게는 50~99.4/0.001~49/0.001~49/0~49, 보다 바람직하게는 55~90/1~40/0.01~10/0~5,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3~30/0.01~5/0~1, 특히 바람직하게는 60~70/10~25/0.01~3/0이다.
각 성분의 함유비율은, 그 총합이 100질량%가 되도록 각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함유비율로 하면, 감도, 해상도, 현상성 등의 성능이 한층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조제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용시에 각 성분을 용매에 용해하여 균일용액으로 하고, 그 후,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구멍직경 0.2μm 정도의 필터 등으로 여과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노볼락수지, 폴리비닐페놀류,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스티렌-무수말레산수지, 및 아크릴산, 비닐알코올, 또는 비닐페놀을 단량체단위로 하여 포함하는 중합체 혹은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조절되는데, 이 화합물 100질량부당, 3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질량부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화물은, 상기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고, 각종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경화물은, 고융점, 고굴절률 및 고투명성과 같은 다양한 특성을 부여하는 고범용성의 재료로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해당 경화물은, 상기의 조성물을 광조사, 가열 등의 각 조성에 대응한 공지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들 경화물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아크릴수지 등의 각종 합성수지로서, 더 나아가서는, 기능성을 살려 렌즈, 광학시트 등의 광학부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측정방법 및 광학부품성능 등의 평가방법을 나타낸다.
[측정법]
(1) 화합물의 구조
화합물의 구조는, Bruker사제 「Advance600II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1H-NMR측정을 행하여, 확인하였다.
주파수: 400MHz
용매: d6-DMSO(후술의 합성예 4 이외)
내부표준: TMS
측정온도: 23℃
(2) 화합물의 분자량
화합물의 분자량은, GC-MS분석에 의해, Agilent사제 「Agilent5975/6890N」, 또는, LC-MS분석에 의해, Water사제 「Acquity UPLC/MALDI-Synapt HD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방법]
(1) 화합물의 유기용매 용해도 시험
화합물의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에 대하여, 화합물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에 대한 용해성을 측정하였다. 해당 용해성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에의 용해량을 이용하여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한편, 용해량의 측정은 23℃에서, 화합물을 시험관에 정칭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초음파세정기로 30분간 초음파를 가하고, 그 후의 액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완전히 용해된 용해량의 농도를 기준으로서 평가하였다.
A: 5.0질량%≤용해량
B: 3.0질량%≤용해량<5.0질량%
C: 용해량<3.0질량%
(2)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보존안정성 및 박막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보존안정성은,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을 조제 후, 23℃에서 3일간 정치하고, 석출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3일간 정치 후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 있어서, 균일용액이며 석출이 없는 경우에는 「A」, 석출이 보인 경우는 「C」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균일상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을 청정한 실리콘웨이퍼 상에 회전도포한 후, 110℃의 오븐 중에서 프리베이크(prebake: PB)하여, 두께 1μm의 광학부품형성막을 형성하였다. 조제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에 대하여, 막형성이 양호한 경우에는 「A」, 형성한 막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C」로 평가하였다.
(3) 굴절률 및 투명성 평가
균일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을 청정한 실리콘웨이퍼 상에 회전도포한 후, 110℃의 오븐 중에서 PB하여, 두께 1μm의 막을 형성하였다. 그 막에 대하여, 제이·에이·울람제 다입사각분광 엘립소미터VASE로, 25℃에 있어서의 굴절률(λ=589.3nm)을 측정하였다. 조제한 막에 대하여, 굴절률이 1.8 이상인 경우에는 「A」, 1.6 이상 1.8 미만인 경우에는 「B」, 1.6 미만인 경우에는 「C」로 평가하였다. 또한 투명성(λ=632.8nm)이 90% 이상인 경우에는 「A」, 90% 미만인 경우에는 「C」라고 평가하였다.
[합성예]
(합성예 1) 화합물(BHPT)의 합성
글로브박스 중에서, 50mL 용기에 사염화텔루륨(5.39g, 20mmol)을 투입하고, 아니솔 10.8g(100mmol)을 첨가하여 환류조건하에서 160℃, 6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감압건조하고,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여 재결정을 2회 행하고, 여과후 등색결정을 얻었다. 얻어진 결정을 24시간 감압건조하여, BMPT(비스(4-메톡시페닐)텔루륨디클로라이드)를 5.95g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BMPT)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414였다.
얻어진 화합물(BMPT)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BMPT)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7.0~7.9(8H,Ph-H), 3.8(6H,-CH3)
[화학식 119]
Figure pct00119
계속해서,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100mL의 용기에 비스(4-메톡시페닐)텔루륨디클로라이드 1.1g(2.8mmol), 메틸렌디클로라이드를 18ml 첨가하고, 삼브롬화붕소 3.9g(15.75mmol)을 적하하여, -20℃에서 48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후의 용액을 빙욕 중에서 0.5N 염산용액에 적하하여, 여과 후, 황색고체를 회수하였다. 아세트산에틸로 용해시키고,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탈수처리 후, 농축을 행하고,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정제를 행함으로써, BHPT(비스(4-하이드록시페닐)텔루륨디클로라이드)를 0.1g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BHPT)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386이었다.
얻어진 화합물(BHPT)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BMPT)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10.2(2H,-OH), 6.8~7.8(8H,Ph-H)
[화학식 120]
Figure pct00120
또한, 얻어진 화합물(BHPT)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 화합물(BHPT-ADBAC)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200mL의 용기에 있어서, 상술로부터 얻어진 화합물(BHPT) 3.9g(10mmol), 탄산칼륨 0.30g(22mmol),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0.64g(2mmol)을, N-메틸피롤리돈 50ml에 용해시키고, 2시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다시 브로모아세트산-2-메틸아다만탄-2-일 6.3g(22mmol)에 첨가하고, 100℃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1N 염산수용액에 적하하여, 생긴 흑색고체를 여별하고,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정제를 행함으로써, 하기 화합물(BHPT-ADBAC: 비스(4-(2-메틸-2-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메톡시)페닐)텔루륨디클로라이드)을 1.9g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BHPT-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798이었다.
얻어진 화합물(BHPT-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BHPT-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6.8~8.1(8H,Ph-H), 4.7~5.0(4H,O-CH2-C(=O)-), 1.2~2.7(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화학식 121]
Figure pct00121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 화합물(BHPT-BOC)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200mL의 용기에 있어서, 상술로부터 얻어진 화합물(BHPT) 3.9g(10mmol)과 디-t-부틸디카보네이트(알드리치사제) 5.5g(25mmol)을, N-메틸피롤리돈 50ml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 0.30g(22mmol)을 첨가하여, 100℃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1N 염산수용액에 적하하여, 생긴 흑색고체를 여별하고,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정제를 행함으로써, 하기 화합물(BHPT-BOC: 비스(tert-부톡시카르복시페닐)텔루륨디클로라이드)을 1.0g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BHPT-BO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585였다.
얻어진 화합물(BHPT-BO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BHPT-BO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7.1~7.3(8H,Ph-H), 1.4(18H,C-CH 3)
[화학식 122]
Figure pct00122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4) 화합물(BHPT-EE)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200mL의 용기에 있어서, 상술로부터 얻어진 화합물(BHPT) 3.9g(10mmol)과 에틸비닐에테르(도쿄화성공업사제) 1.8g(25mmol)을, N-메틸피롤리돈 50ml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 0.30g(22mmol)을 첨가하여, 100℃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1N염산수용액에 적하하여, 생긴 흑색고체를 여별하고,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정제를 행함으로써, 하기 화합물(BHPT-EE: 비스(에톡시에틸페닐)텔루륨디클로라이드)을 1.0g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BHPT-EE)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529였다.
얻어진 화합물(BHPT-EE)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BHPT-EE)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6.9~7.4(8H,Ph-H), 5.6(2H,CH), 1.6(6H,-CH 3), 3.9(4H,O-CH 2-), 1.2(6H,-CH 3)
[화학식 123]
Figure pct00123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5) 화합물(Ph-BHPT)의 합성
글로브박스 중에서, 50mL 용기에 사염화텔루륨(5.39g, 20mmol)을 투입하고, 2-페닐아니솔 7.37g(40mmol)을 첨가하여 환류조건하에서 160℃, 6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감압건조하고,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여 재결정을 2회 행하고, 여과후 등색결정을 얻었다. 얻어진 결정을 24시간 감압건조하여, Ph-BMPT(비스(3-페닐4-메톡시페닐)텔루륨디클로라이드)를 3.91g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Ph-BMPT)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465였다.
얻어진 화합물(Ph-BMPT)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Ph-BMPT)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7.0~8.1(16H,Ph-H), 3.8(6H,-CH3)
[화학식 124]
Figure pct00124
계속해서,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100mL의 용기에 Ph-BMPT 1.6g(2.8mmol), 메틸렌디클로라이드를 25ml 첨가하고, 삼브롬화붕소 3.9g(15.75mmol)을 적하하여, -20℃에서 48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후의 용액을 빙욕 중에서 0.5N염산용액에 적하하여, 여과 후, 황색고체를 회수하였다. 아세트산에틸로 용해시키고,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탈수처리 후, 농축을 행하고,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정제를 행함으로써, Ph-BHPT(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텔루륨디클로라이드)를 0.2g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Ph-BHPT)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537이었다.
얻어진 화합물(Ph-BHPT)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Ph-BHPT)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9.0(2H,-OH), 7.0~7.5(16H,Ph-H)
[화학식 125]
Figure pct00125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6) 화합물(TDP)의 합성
글로브박스 중에서, 50mL 용기에 사염화텔루륨(6.74g, 25mmol)을 투입하고, 페놀 3.29g(35mmol)을 첨가하여 환류조건하에서 160℃, 6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감압건조하고,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여 재결정을 2회 행하고, 여과 후 갈색결정을 얻었다. 얻어진 결정을 24시간 감압건조하여, TDP(4,4'-텔루륨디페놀)를 3.60g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TDP)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314였다.
얻어진 화합물(TDP)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TDP)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8~7.7(8H,Ph-H), 9.8(2H,-OH)
[화학식 126]
Figure pct00126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7) 화합물(Ph-TDP)의 합성
글로브박스 중에서, 50mL 용기에 사염화텔루륨(6.74g, 25mmol)을 투입하고, 2-페놀 6.96g(35mmol)을 첨가하여 환류조건하에서 160℃, 6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감압건조하고,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여 재결정을 2회 행하고, 여과 후 갈색결정을 얻었다. 얻어진 결정을 24시간 감압건조하여, Ph-TDP(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텔루륨)를 2.46g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Ph-TDP)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466이었다.
얻어진 화합물(Ph-TDP)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Ph-TDP)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8~7.7(16H,Ph-H), 9.8(2H,-OH)
[화학식 127]
Figure pct00127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8) 화합물(Ph-BHPT-ADBAC)의 합성
화합물(BHPT) 3.9g(10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Ph-BHPT) 5.4g(10mmol)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2와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Ph-BHPT-ADBAC)이 1.28g 얻어졌다.
얻어진 화합물(Ph-BHPT-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537이었다.
얻어진 화합물(Ph-BHPT-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BHPT-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1~7.7(16H,Ph-H), 5.0(4H,O-CH2-C(=O)-), 1.0~2.6(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화학식 128]
Figure pct00128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9) 화합물(TDP-ADBAC)의 합성
화합물(BHPT) 3.9g(10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TDP) 3.2g(10mmol)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2와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TDP-ADBAC)이 1.46g 얻어졌다.
얻어진 화합물(TDP-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726이었다.
얻어진 화합물(TDP-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TDP-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0~7.4(8H,Ph-H), 5.0(4H,O-CH2-C(=O)-), 1.0~2.6(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화학식 129]
Figure pct00129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10) 화합물(Ph-TDP-ADBAC)의 합성
화합물(BHPT) 3.9g(10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Ph-TDP) 4.7g(10mmol)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2와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Ph-TDP-ADBAC)이 1.70g 얻어졌다.
얻어진 화합물(Ph-TDP-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879였다.
얻어진 화합물(Ph-TDP-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Ph-TDP-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1~7.7(16H,Ph-H), 5.0(4H,O-CH2-C(=O)-), 1.0~2.6(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화학식 130]
Figure pct00130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11) 화합물(Ph-TDP-BOC)의 합성
화합물(BHPT) 3.9g(10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Ph-TDP) 4.7g(10mmol)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Ph-TDP-BOC)이 1.14g 얻어졌다.
얻어진 화합물(Ph-TDP-BO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666이었다.
얻어진 화합물(Ph-TDP-BO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Ph-TDP-BO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3~7.7(8H,Ph-H), 1.4(18H,C-CH 3)
[화학식 131]
Figure pct00131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12) 화합물(Ph-TDP-EE)의 합성
화합물(BHPT) 3.9g(10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Ph-TDP) 4.7g(10mmol)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4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Ph-TDP-EE)이 1.16g 얻어졌다.
얻어진 화합물(Ph-TDP-EE)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610이었다.
얻어진 화합물(Ph-TDP-EE)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Ph-TDP-EE)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1~7.7(16H,Ph-H), 5.6(2H,CH), 1.6(6H,-CH 3), 3.9(4H,O-CH 2-), 1.2(6H,-CH 3)
[화학식 132]
Figure pct00132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13) R1-BHPT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100ml의 용기에, 화합물(BHPT) 8.1g(21mmol)과, 파라포름알데히드 0.7g(42mmol), 빙초산 50ml와 PGME 50ml를 투입하고, 95%의 황산 8ml을 첨가하고, 반응액을 100℃에서 6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행하였다. 다음에, 반응액을 농축하고, 메탄올 1000ml를 첨가하여 반응생성물을 석출시키고, 실온까지 냉각한 후, 여과를 행하여 분리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여과하고, 건조시킨 후, 칼럼크로마토에 의한 분리정제를 행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R1-BHPT) 5.6g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R1-BHPT)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587, Mw: 1216, Mw/Mn: 2.07이었다.
얻어진 수지(R1-BHPT)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1-BHPT)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10.2(2H,-OH), 6.8~7.8(8H,Ph-H), 4.1(2H,-CH2)
[화학식 133]
Figure pct00133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14) R2-BHPT의 합성
파라포름알데히드 0.7g(42mmol)을 대신하여 4-비페닐카르복시알데히드(미쯔비시가스화학사제) 7.6g(42mmol)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R2-BHPT)를 5.7g 얻었다.
얻어진 수지(R2-BHPT)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405, Mw: 880, Mw/Mn: 2.17이었다.
얻어진 수지(R2-BHPT)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2-BHPT)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10.2(2H,-OH), 6.8~7.8(17H,Ph-H), 4.5(1H,-CH)
[화학식 134]
Figure pct00134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15) R1-BHPT-ADBAC의 합성
화합물(BHPT) 8.1g(21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수지(BHPT-ADBAC) 16.8g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화합물수지(R1-BHPT-ADBAC)를 5.0g 얻었다.
얻어진 수지(R1-BHPT-ADBAC)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1045, Mw: 2330, Mw/Mn: 2.23이었다.
얻어진 화합물수지(R1-BHPT-ADBAC)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1-BHPT-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8~8.1(8H,Ph-H), 4.7~5.0(4H,O-CH2-C(=O)-), 1.2~2.7(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4.1(2H,-CH2)
[화학식 135]
Figure pct00135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16) R2-BHPT-ADBAC의 합성
파라포름알데히드 0.7g(42mmol)을 대신하여 4-비페닐카르복시알데히드(미쯔비시가스화학사제) 7.6g(42mmol)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5와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R2-BHPT-ADBAC)를 10.4g 얻었다.
얻어진 수지(R2-BHPT-ADBAC)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840, Mw: 1819, Mw/Mn: 2.16이었다.
얻어진 수지(R2-BHPT-ADBAC)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2-BHPT-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8~8.1(17H,Ph-H), 4.7~5.0(4H,O-CH2-C(=O)-), 1.2~2.7(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4.5(1H,-CH)
[화학식 136]
Figure pct00136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17) R1-BHPT-BOC의 합성
화합물(BHPT) 8.1g(21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수지(BHPT-BOC) 12.3g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화합물수지(R1-BHPT-BOC)를 7.6g 얻었다.
얻어진 수지(R1-BHPT-BOC)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768, Mw: 1846, Mw/Mn: 2.40이었다.
얻어진 화합물수지(R1-BHPT-BOC)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1-BHPT-BO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1~7.3(8H,Ph-H), 1.4(18H,C-CH 3), 4.1(2H,-CH2)
[화학식 137]
Figure pct00137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18) R2-BHPT-BOC의 합성
파라포름알데히드 0.7g(42mmol)을 대신하여 4-비페닐카르복시알데히드(미쯔비시가스화학사제) 7.6g(42mmol)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7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R2-BHPT-BOC)를 3.7g 얻었다.
얻어진 수지(R2-BHPT-BOC)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620, Mw: 1336, Mw/Mn: 2.15이었다.
얻어진 수지(R2-BHPT-BOC)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2-BHPT-BO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1~7.3(17H,Ph-H), 1.4(18H,C-CH 3), 4.5(1H,-CH)
[화학식 138]
Figure pct00138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19) R1-BHPT-EE의 합성
화합물(BHPT) 8.1g(21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수지(BHPT-EE) 11.1g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화합물수지(R1-BHPT-EE)를 7.8g 얻었다.
얻어진 수지(R1-BHPT-EE)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694, Mw: 1548, Mw/Mn: 2.23이었다.
얻어진 화합물수지(R1-BHPT-EE)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1-BHPT-EE)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9~7.4(8H,Ph-H), 5.6(2H,CH), 1.6(6H,-CH 3), 3.9(4H,O-CH 2-), 1.2(6H,-CH 3), 4.1(2H,-CH2)
[화학식 139]
Figure pct00139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0) R2-BHPT-EE의 합성
파라포름알데히드 0.7g(42mmol)을 대신하여 4-비페닐카르복시알데히드(미쯔비시가스화학사제) 7.6g(42mmol)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9와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R2-BHPT-EE)를 3.6g 얻었다.
얻어진 수지(R2-BHPT-EE)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610, Mw: 1208, Mw/Mn: 1.98이었다.
얻어진 수지(R2-BHPT-EE)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2-BHPT-EE)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9~7.4(17H,Ph-H), 5.6(2H,CH), 1.6(6H,-CH 3), 3.9(4H,O-CH 2-), 1.2(6H,-CH 3), 4.5(1H,-CH)
[화학식 140]
Figure pct00140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1) R1-Ph-BHPT의 합성
화합물(BHPT) 8.1g(21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Ph-BHPT) 11.3g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화합물수지(R1-Ph-BHPT)를 7.0g 얻었다.
얻어진 수지(R1-Ph-BHPT)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764, Mw: 1695, Mw/Mn: 2.22이었다.
얻어진 화합물수지(R1-Ph-BHPT)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1-Ph-BHPT)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9.0(2H,-OH), 7.0~7.5(16H,Ph-H), 4.1(2H,-CH2)
[화학식 141]
Figure pct00141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2) R2-Ph-BHPT의 합성
파라포름알데히드 0.7g(42mmol)을 대신하여 4-비페닐카르복시알데히드(미쯔비시가스화학사제) 7.6g(42mmol)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21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R2-Ph-BHPT)를 3.4g 얻었다.
얻어진 수지(R2-Ph-BHPT)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672, Mw: 1345, Mw/Mn: 2.00이었다.
얻어진 수지(R2-Ph-BHPT)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2-Ph-BHPT)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9.0(2H,-OH), 7.0~7.5(25H,Ph-H), 4.5(1H,-CH)
[화학식 142]
Figure pct00142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3) R1-TDP의 합성
화합물(BHPT) 8.1g(21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TDP) 6.6g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화합물수지(R1-TDP)를 4.6g 얻었다.
얻어진 수지(R1-TDP)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449, Mw: 995, Mw/Mn: 2.22이었다.
얻어진 화합물수지(R1-TDP)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1-TDP)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8~7.7(8H,Ph-H), 9.8(2H,-OH), 4.1(2H,-CH2)
[화학식 143]
Figure pct00143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4) R2-TDP의 합성
파라포름알데히드 0.7g(42mmol)을 대신하여 4-비페닐카르복시알데히드(미쯔비시가스화학사제) 7.6g(42mmol)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2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R2-TDP)를 2.0g 얻었다.
얻어진 수지(R2-TDP)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414, Mw: 922, Mw/Mn: 2.23이었다.
얻어진 수지(R2-TDP)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2-TDP)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8~7.7(17H,Ph-H), 9.8(2H,-OH), 4.5(1H,-CH)
[화학식 144]
Figure pct00144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5) R1-Ph-TDP의 합성
화합물(BHPT) 8.1g(21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Ph-TDP) 9.8g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화합물수지(R1-Ph-TDP)를 6.9g 얻었다.
얻어진 수지(R1-Ph-TDP)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665, Mw: 1474, Mw/Mn: 2.22이었다.
얻어진 화합물수지(R1-Ph-TDP)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1-Ph-TDP)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8~7.7(16H,Ph-H), 9.8(2H,-OH), 4.1(2H,-CH2)
[화학식 145]
Figure pct00145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6) R2-Ph-TDP의 합성
파라포름알데히드 0.7g(42mmol)을 대신하여 4-비페닐카르복시알데히드(미쯔비시가스화학사제) 7.6g(42mmol)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25와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R2-Ph-TDP)를 3.2g 얻었다.
얻어진 수지(R2-Ph-TDP)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608, Mw: 1395, Mw/Mn: 2.29였다.
얻어진 수지(R2-Ph-TDP)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2-Ph-TDP)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8~7.7(25H,Ph-H), 9.8(2H,-OH), 4.5(1H,-CH)
[화학식 146]
Figure pct00146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7) R1-Ph-BHPT-ADBAC의 합성
화합물(BHPT) 8.1g(21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수지(Ph-BHPT-ADBAC) 20.0g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화합물수지(R1-Ph-BHPT-ADBAC)를 5.0g 얻었다.
얻어진 수지(R1-Ph-BHPT-ADBAC)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1045, Mw: 2330, Mw/Mn: 2.23이었다.
얻어진 화합물수지(R1-Ph-BHPT-ADBAC)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1-Ph-BHPT-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8~8.1(8H,Ph-H), 4.7~5.0(4H,O-CH2-C(=O)-), 1.2~2.7(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4.1(2H,-CH2)
[화학식 147]
Figure pct00147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8) R2-Ph-BHPT-ADBAC의 합성
파라포름알데히드 0.7g(42mmol)을 대신하여 4-비페닐카르복시알데히드(미쯔비시가스화학사제) 7.6g(42mmol)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27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R2-Ph-BHPT-ADBAC)를 6.0g 얻었다.
얻어진 수지(R2-Ph-BHPT-ADBAC)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1188, Mw: 2394, Mw/Mn: 2.02이었다.
얻어진 수지(R2-Ph-BHPT-ADBAC)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2-Ph-BHPT-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1~7.7(25H,Ph-H), 5.0(4H,O-CH2-C(=O)-), 1.0~2.6(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4.5(1H,-CH)
[화학식 148]
Figure pct00148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29) R1-TDP-ADBAC의 합성
화합물(BHPT) 8.1g(21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수지(TDP-ADBAC) 15.3g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화합물수지(R1-TDP-ADBAC)를 11.4g 얻었다.
얻어진 수지(R1-TDP-ADBAC)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954, Mw: 2148, Mw/Mn: 2.25이었다.
얻어진 화합물수지(R1-TDP-ADBAC)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1-TDP-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0~7.4(8H,Ph-H), 5.0(4H,O-CH2-C(=O)-), 1.0~2.6(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4.1(2H,-CH2)
[화학식 149]
Figure pct00149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0) R2-TDP-ADBAC의 합성
파라포름알데히드 0.7g(42mmol)을 대신하여 4-비페닐카르복시알데히드(미쯔비시가스화학사제) 7.6g(42mmol)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29와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R2-TDP-ADBAC)를 4.6g 얻었다.
얻어진 수지(R2-TDP-ADBAC)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910, Mw: 1805, Mw/Mn: 1.98이었다.
얻어진 수지(R2-TDP-ADBAC)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2-TDP-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0~7.4(17H,Ph-H), 5.0(4H,O-CH2-C(=O)-), 1.0~2.6(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4.5(1H,-CH)
[화학식 150]
Figure pct00150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1) R1-Ph-TDP-ADBAC의 합성
화합물(BHPT) 8.1g(21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수지(Ph-TDP-ADBAC) 18.5g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1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화합물수지(R1-Ph-TDP-ADBAC)를 12.0g 얻었다.
얻어진 수지(R1-Ph-TDP-ADBAC)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1152, Mw: 2570, Mw/Mn: 2.23이었다.
얻어진 화합물수지(R1-Ph-PTDP-ADBAC)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1-Ph-TDP-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1~7.7(16H,Ph-H), 5.0(4H,O-CH2-C(=O)-), 1.0~2.6(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4.1(2H,-CH2)
[화학식 151]
Figure pct00151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2) R2-Ph-TDP-ADBAC의 합성
파라포름알데히드 0.7g(42mmol)을 대신하여 4-비페닐카르복시알데히드(미쯔비시가스화학사제) 7.6g(42mmol)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31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R2-Ph-TDP-ADBAC)를 5.6g 얻었다.
얻어진 수지(R2-Ph-TDP-ADBAC)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1100, Mw: 2205, Mw/Mn: 2.004이었다.
얻어진 수지(R2-Ph-TDP-ADBAC)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R2-Ph-TDP-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7.1~7.7(25H,Ph-H), 5.0(4H,O-CH2-C(=O)-), 1.0~2.6(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4.5(1H,-CH)
[화학식 152]
Figure pct00152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3) 수지(BHPT-co-ADTBA)의 합성
100mL 용기에 화합물(BHPT) 0.58g(1.5mmol)을 넣고,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0.05g(0.15mmol), 탄산칼륨 0.28g(2mmol), N-메틸피롤리돈 2ml를 첨가하여 80℃, 2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ADTBA(1,3,5-아다만탄트리브로모아세테이트) 0.547g(1.0mmol)을 N-메틸피롤리돈 1ml에 용해시켜 첨가해서 80℃, 48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물을 1N-HCl에 적하하여, 차색결정을 얻었다. 결정을 여과 후, 감압건조하여 목적수지(BHPT-co-ADTBA)를 0.40g 얻었다.
얻어진 수지(BHPT-co-ADTBA)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750, Mw: 1350, Mw/Mn: 1.80이었다.
얻어진 수지(BHPT-co-ADTBA)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BHPT-co-ADTBA)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9~7.4(4H,Ph-H), 4.6(4H,-O-CH2-CO-), 4.3(2H,-CH2-Br), 1.2~3.4(13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화학식 153]
Figure pct00153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4) 수지(TDP-co-ADTBA)의 합성
화합물(BHPT) 0.58g(1.5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TDP) 0.47g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합성예 33과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 식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목적수지(TDP-co-ADTBA)를 0.36g 얻었다.
얻어진 수지(TDP-co-ADTBA)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680, Mw: 1238, Mw/Mn: 1.82이었다.
얻어진 수지(TDP-co-ADTBA)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TDP-co-ADTBA)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9~7.4(4H,Ph-H), 4.6(4H,-O-CH2-CO-), 4.3(2H,-CH2-Br), 1.2~3.4(13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화학식 154]
Figure pct00154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5) 수지(DMB-co-TeCl2-OH)의 합성
글로브박스 중에서, 100ml 용기에 사염화텔루륨 5.39g(20mmol)을 투입하고, 1,3-디메톡시벤젠 2.8g(20mmol), 삼염화알루미늄 5.9g(44mmol), 클로로포름 20ml를 첨가하여, 빙랭하에서 24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감압건조하고,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여 재결정을 2회 행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결정을 24시간 감압건조하여, 수지(DMB-co-TeCl2)를 3.0g 얻었다.
얻어진 수지(DBM-co-TeCl2)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39820, Mw: 62910, Mw/Mn: 1.58이었다.
얻어진 수지(DMB-co-TeCl2)에 대하여, 상기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 식(DMB-co-TeCl2)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0~7.2(2H,Ph-H), 3.6(6H,-CH3)
[화학식 155]
Figure pct00155
얻어진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에 의해 PGMEA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한 결과, 5질량% 이상(평가 A)이며, 상기 화합물은 우수한 용해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계속해서,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100mL의 용기에 수지(DMB-co-TeCl2) 0.78g, 클로로포름을 15ml 첨가하고, 삼브롬화붕소 3.9g(15.75mmol)를 적하하여, -20℃에서 48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후의 용액을 빙욕 중에서 1.0N염산용액에 적하하여, 여과 후, 흑색고체를 회수하였다. 아세트산에틸로 용해시키고,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탈수처리 후, 농축을 행하고,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정제를 행함으로써, 수지(DMB-co-TeCl2-OH)를 0.4g 얻었다.
얻어진 수지(DMB-co-TeCl2-OH)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39800, Mw: 62880, Mw/Mn: 1.58이었다.
얻어진 수지(DMB-co-TeCl2-OH)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수지(DMB-co-TeCl2-OH)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9.0(2H,-OH), 6.4~7.0(2H,Ph-H)
[화학식 156]
Figure pct00156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6) 수지(Re-co-Te)의 합성
글로브박스 중에서, 100mL 용기에 사염화텔루륨(7.54g, 28mmol)을 투입하고, 레조르시놀 1.54g(14mmol), 사염화탄소 20ml을 첨가하여 환류조건하에서 80℃, 24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반응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세정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고체를 감압건조하였다.
계속해서, 300ml 용기 중에 아스코르브산나트륨 13.0g(66mmol)을 물 25ml에 용해하고, 아세트산에틸 60ml에 용해한 전술의 고체를 적하하여, 25℃, 24시간 반응하였다. 반응후의 용액을 아세트산에틸로 15회 추출한 후에, 유기용매를 유거하여 차색고체를 얻었다.
나아가,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100mL의 용기에 얻어진 차색고체를 넣고, 아세트산에틸 10ml, 동분(銅粉) 13.0g(60mmol)을 첨가하여 환류조건하에서 80℃, 24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반응액을 2배로 농축하고, 클로로포름에 적하하여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흑차색의 수지(Re-co-Te) 0.2g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Re-co-Te)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21500, Mw: 41500, Mw/Mn: 1.93이었다.
얻어진 수지(Re-co-Te)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수지(Re-co-Te)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9.1(2H,-OH), 6.1~7.0(2H,Ph-H)
[화학식 157]
Figure pct00157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7) 수지(DMB-co-TeCl2-ADBAC)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200mL의 용기에 있어서, 수지(DMB-co-TeCl2-OH) 3.7g, 탄산칼륨 0.30g(22mmol), 브로모아세트산-2-메틸아다만탄-2-일 6.3g(22mmol)을, N-메틸피롤리돈 50ml에 용해시켜, 2시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다시 브로모아세트산아다만탄 5.7g(22mmol)을 첨가하고, 100℃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1N 염산수용액에 적하하여, 생긴 흑색고체를 여별하고, 건조 후, 하기 수지(DMB-co-TeCl2-ADBAC)를 5.3g 얻었다.
얻어진 수지(DMB-co-TeCl2-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수지(DMB-co-TeCl2-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5~7.2(2H,Ph-H), 4.9~5.0(4H,-CH2-), 1.0~2.6(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화학식 158]
Figure pct00158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8) 수지(Re-co-Te-ADBAC)의 합성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200mL의 용기에 있어서, 수지(Re-co-Te) 2.7g, 탄산칼륨 0.30g(22mmol),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0.64g(2mmol)을, N-메틸피롤리돈 50ml에 용해시켜, 2시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다시 브로모아세트산-2-메틸아다만탄-2-일 6.3g(22mmol)을 첨가하고, 100℃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1N염산수용액에 적하하여, 생긴 흑색고체를 여별하고, 건조 후, 하기 수지(Re-co-Te-ADBAC)를 4.6g 얻었다.
얻어진 수지(Re-co-Te-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수지(Re-co-Te-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5~7.2(2H,Ph-H), 4.9~5.0(4H,-CH2-), 1.0~2.6(34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화학식 159]
Figure pct00159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39) 수지(DPE-co-Te)의 합성
글로브박스 중에서, 300ml 용기에 사염화텔루륨(75g, 280mmol)을 투입하고, 사염화탄소 100ml, 디페닐에테르 15g(140mmol)을 첨가하여 환류조건하에서 80℃, 24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반응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세정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고체를 감압건조하였다.
계속해서, 1000ml 용기 중에 아스코르브산나트륨 130g(66mmol)을 물 250ml에 용해하고, 아세트산에틸 120ml에 용해한 전술한 고체를 적하하여, 25℃, 24시간 반응하였다. 반응후의 용액을 아세트산에틸로 5회 추출한 후에, 유기용매를 유거하여 차색고체를 얻었다.
또한,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100mL의 용기에 얻어진 차색고체를 넣고, 아세트산에틸 20ml를 첨가하여 녹이고, 동분 38.0g(600mmol)을 첨가하여 환류조건하에서 80℃, 24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반응액을 2배로 농축하고, 헥산에 적하하여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적색의 수지(DPE-co-Te) 0.11g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DPE-co-Te)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1280, Mw: 2406, Mw/Mn: 1.88이었다.
얻어진 수지(DPE-co-Te)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수지(DPE-co-Te)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9~8.8(8H,Ph-H)
[화학식 160]
Figure pct00160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40) 텔루륨함유 코어쉘형 하이퍼브랜치폴리머의 합성
200mL의 용기에 텔루륨 3.2g(25mmol)과 THF 25ml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현탁시켜, 빙랭하에서 메틸리튬용액(1mol/l, 디에틸에테르용액) 30ml를 적하하고, 0℃, 1시간 교반하였다. 추가로, 클로로메틸스티렌 6.1g(40mmol)을 첨가하고, 다시 25℃, 2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다음에 반응액의 용매를 유거하고, 감압건조하여, 메틸테라닐스티렌(メチルテラニルスチレン) 2.0g을 얻었다.
또한, 200mL의 용기에 텔루륨 3.2g(25mmol)과 THF 25ml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현탁시켜, 빙랭하에서 메틸리튬용액(1mol/l, 디에틸에테르용액) 30ml를 적하하고, 0℃1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0.5mol/l 염화암모늄수용액 20ml를 첨가하여, 25℃, 2시간 교반하고, 반응시켰다. 반응 후, 수층을 분액하고 디에틸에테르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의 용매를 유거하고, 감압건조하여 디메틸디텔루라이드 2.2g을 얻었다.
또한, 교반기, 냉각관 및 뷰렛을 구비한 내용적 500mL의 용기에, 클로로벤젠 80g, 상술의 메틸테라닐스티렌 2.6g(10mmol), 디메틸디텔루라이드 0.7g(2.5mmol),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4g(2.5mmol)을 첨가하고, 질소기류 중에서 110℃, 1시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벤젠 90g, 아크릴산 0.4g, 아크릴산t-부틸 4.35g을 첨가하고, 다시 110℃,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반응액에 물 1500ml를 첨가하여 여과하고 건조하여 텔루륨함유 코어쉘형 하이퍼브랜치폴리머 2.0g을 얻었다(한편, 표 1에서는 "Te함유 하이퍼브랜치폴리머"라고 나타낸다).
얻어진 텔루륨함유 코어쉘형 하이퍼브랜치폴리머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폴리스티렌환산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n: 3260, Mw: 5800, Mw/Mn: 1.78이었다.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41) 화합물(CCHT)의 합성
글로브박스 중에서, 50mL 용기에 사염화텔루륨(0.27g, 1.0mmol)과, 레조르시놀(0.15g, 1.36mmol)을 투입하고, 용매로서 사염화탄소 5mL를 첨가하여, 환류조건하에서 6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하여 2회 세정하고, 감압건조하여 담황색고체를 얻었다. 이 고체를 50mL 용기에 넣고, 레조르시놀(1.10g, 10mmmol)을 첨가한 후, 170℃, 24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n-헥산으로 재침전생성을 함으로써, CCHT((2,4-디하이드록시페닐)(4-하이드록시페닐)텔루륨디클로라이드)를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CCHT)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401이었다.
얻어진 화합물(CCHT)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CCHT)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9.5~9.9(3H,-OH), 6.3~7.2(7H,Ph-H)
[화학식 161]
Figure pct00161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42) 화합물(CCHT-ADBAC)의 합성
화합물(BHPT) 3.9g(10mmol)을 대신하여 화합물(CCHT) 2.7g(6.7mmol)을 이용하는 것 이외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하기에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CCHT-ADBAC)이 1.09g 얻어졌다.
얻어진 화합물(Ph-BHPT-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방법(LC-MS)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537이었다.
얻어진 화합물(CCHT-ADBAC)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조건으로, NMR측정을 행한 결과, 이하의 피크가 발견되고, 하기에서 표시되는 화합물(CCHT-ADBAC)의 화학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δ(ppm) 6.5~7.0(7H,Ph-H), 5.0(6H,O-CH2-C(=O)-), 1.0~2.6(51H,C-H/Adamantane of methylene and methine)
[화학식 162]
Figure pct00162
또한, 얻어진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의 방법에 의해 안전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합성예 1]
딤로스냉각관, 온도계 및 교반날개를 구비한, 바닥 탈부착이 가능한 내용적 10L의 4구 플라스크를 준비하였다. 이 4구 플라스크에, 질소기류 중, 1,5-디메틸나프탈렌 1.09kg(7mol, 미쯔비시가스화학(주)제), 40질량% 포르말린수용액 2.1kg(포름알데히드로서 28mol, 미쯔비시가스화학(주)제) 및 98질량% 황산(칸토화학(주)제) 0.97mL를 투입하고, 상압하, 100℃에서 환류시키면서 7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희석용매로서 에틸벤젠(와코순약공업(주)제, 시약특급) 1.8kg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정치 후, 하상(下相)의 수상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중화 및 수세를 행하고, 에틸벤젠및 미반응의 1,5-디메틸나프탈렌을 감압하에서 유거함으로써, 담갈색고체의 디메틸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수지 1.25kg을 얻었다.
얻어진 디메틸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의 분자량은, Mn: 562, Mw: 1168, Mw/Mn: 2.08이었다.
계속해서, 딤로스냉각관, 온도계 및 교반날개를 구비한 내용적 0.5L의 4구 플라스크를 준비하였다. 이 4구 플라스크에, 질소기류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디메틸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수지 100g(0.51mol)과 파라톨루엔설폰산 0.05g을 투입하고, 190℃까지 승온시켜 2시간 가열한 후, 교반하였다. 그 후 다시, 1-나프톨 52.0g(0.36mol)을 첨가하고, 다시 220℃까지 승온시켜 2시간 반응시켰다. 용제희석 후, 중화 및 수세를 행하고, 용제를 감압하에서 제거함으로써, 흑갈색고체의 변성 수지(CR-1) 126.1g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CR-1)는, Mn: 885, Mw: 2220, Mw/Mn: 4.17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CR-1)의 PGMEA에 대한 용해성을 상술의 측정방법에 의해 평가한 결과, 5질량% 이상(평가A)이라고 평가되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조제)
상기 합성예 및 비교합성예에서 합성한 각 화합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한편, 표 1 중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각 성분 중, 산발생제(C), 산가교제(G), 산확산제어제(E) 및 용매(S-1)에 대해서는, 이하의 것을 이용하였다.
〔산발생제(C)〕
P-1: 트리페닐설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미도리화학(주))
〔산가교제(G)〕
G-1: 산와케미칼사제 MX-270
〔산확산제어제(E)〕
Q-1: 트리옥틸아민(도쿄화성공업(주))
〔용매〕
S-1: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도쿄화성공업(주))
상술의 측정방법에 의해, 얻어진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의 「보존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균일상태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막형성」을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163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8에서 이용한 화합물은 용해성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안정성 평가에 대하여, 실시예 1~48에서 얻어진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석출이 없고 보존안정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평가: A).
상기 측정방법에 따라서, 막형성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 실시예 1~48에서 얻어진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우수한 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화합물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고, 이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보존안정성이 양호하며, 막형성이 가능하고, 고굴절률 및 고투과율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한, 실시예에 기재한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은, 특정한 구조를 갖고,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화합물을 포함하고, 보존안정성이 양호하며, 막형성이 가능하고, 또한, 고굴절률의 구조체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굴절률의 광학부품형성 조성물이 사용되는 광학부품분야 등에 있어서 유용하다.
2016년 4월 28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6-091792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각각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편입되는 것이 구체적이면서 각각에 기재된 경우와 동일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편입된다.

Claims (32)

  1.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를 함유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A-1)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164

    (식(A-1) 중, X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무가교이며,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A-2)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00165

    (식(A-2) 중, X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단결합 또는 무가교이며, R0A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2~30의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40의 아릴기, 수산기 또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로 치환된 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킬기, 이 알케닐기 및 이 아릴기는, 에테르결합, 케톤결합 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A-3)으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ct00166

    (식(A-3) 중, X0은,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3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무가교이며, R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1A)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ct00167

    (식(1A) 중, X, Z, m, p는 상기 식(A-1)과 동의이며,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2~30의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4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이 알킬기, 이 알케닐기 및 이 아릴기는, 에테르결합, 케톤결합 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이며, n1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며,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단, 적어도 하나의 n2는 1~(5+2×p)의 정수이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1B)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pct00168

    (식(1B) 중, X0, Z, m, p는 상기 식(A-3)과 동의이며, R1A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이며, n1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며,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단, 적어도 하나의 n2는 1~(5+2×p)의 정수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2A)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6]
    Figure pct00169

    (식(2A) 중, Z, R1A, R2, p, n1, n2는 상기 식(1B)와 동의이며, X1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2A')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7]
    Figure pct00170

    (식(2A') 중, R1B 및 R1B'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할로겐원자, 수산기 또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로 치환된 기이며, X1은 상기 식(2A)의 X1과, n1 및 n1'은 상기 식(2A)의 n1과, p 및 p'는 상기 식(2A)의 p와 동의이며, R1B와 R1B', n1과 n1', p와 p', R1B의 치환위치와 R1B'의 치환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3A)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8]
    Figure pct00171

    (식(3A) 중, R1A, R2, X1, n1, n2는 상기 식(2A)와 동의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4A)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9]
    Figure pct00172

    (식(4A) 중, R1A, R2, X1은 상기 식(3A)와 동의이다.)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2B)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0]
    Figure pct00173

    (식(2B) 중, Z, R1A, R2, p, n1, n2는 상기 식(1B)와 동의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2B')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1]
    Figure pct00174

    (식(2B') 중, R1B 및 R1B'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할로겐원자, 수산기 또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로 치환된 기이며, n1 및 n1'는 상기 식(2B)의 n1과, p 및 p'는 상기 식(2B)의 p와 동의이며, R1B와 R1B', n1과 n1', p와 p', R1B의 치환위치와 R1B'의 치환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3B)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2]
    Figure pct00175

    (식(3B) 중, R1A, R2, n1, n2는 상기 식(2B)와 동의이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하기 식(4B)로 표시되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3]
    Figure pct00176

    (식(4B) 중, R1, R2, X1은 상기 식(3B)와 동의이다.)
  15. 제5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상기 R2로서, 적어도 하나의 산해리성 반응기를 갖는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16. 제5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상기 R2가 전부 수소원자인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A-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4]
    Figure pct00177

    (식(A-1) 중, X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무가교이며,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A-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5]
    Figure pct00178

    (식(A-2) 중, X는,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6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단결합 또는 무가교이며, R0A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화수소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2~30의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40의 아릴기, 수산기 또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산가교성 반응기 또는 산해리성 반응기로 치환된 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킬기, 이 알케닐기 및 이 아릴기는, 에테르결합, 케톤결합 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A-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6]
    Figure pct00179

    (식(A-3) 중, X0은, 텔루륨을 포함하는 탄소수 0~30의 2m가의 기이며, Z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무가교이며, R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m은, 1~4의 정수이며,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5+2×p)의 정수이다.)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B1-M)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7]
    Figure pct00180

    (식(B1-M) 중,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q는 0~2의 정수이며, n3은 0~(4+2×q)이다. R4는, 단결합 또는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18]
    Figure pct00181

    (일반식(5) 중에 있어서,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5') 중 어느 하나이다. 식(5') 중에 있어서, *는 R5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는, 상기 R4가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인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B2-M')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화학식 19]
    Figure pct00182

    (식(B2-M') 중, X2, R3, q, n3은 식(B1-M)과 동의이며, R6은,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20]
    Figure pct00183

    (일반식(6) 중에 있어서, R7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6') 중 어느 하나이다. 식(6') 중에 있어서, *는 R7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C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21]
    Figure pct00184

    (식(C1) 중,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은 0~2의 정수이며, n6은 2~(4+2×r)이다.)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B3-M)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22]
    Figure pct00185

    (식(B3-M) 중,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q는 0~2의 정수이며, n3은 0~(4+2×q)이다. R4는, 단결합 또는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23]
    Figure pct00186

    (일반식(5) 중에 있어서,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5') 중 어느 하나이다. 식(5') 중에 있어서, *는 R5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식(5') 중에 있어서, *는 R5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는, 상기 R4가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인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B4-M')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24]
    Figure pct00187

    (식(B4-M') 중, R3, q, n3은 식(B3-M)과 동의이며, R6은,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구조이다.)
    [화학식 25]
    Figure pct00188

    (일반식(6) 중에 있어서, R7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20의 직쇄상, 탄소수 3~20의 분지상 혹은 탄소수 3~20의 환상의 알킬렌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이며,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6') 중 어느 하나이다. 식(6') 중에 있어서, *는 R7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수지가, 하기 식(C2)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26]
    Figure pct00189

    (식(C2) 중,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황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기,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은 0~2의 정수이며, n6은 2~(4+2×r)이다.)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할로겐화텔루륨과,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놀유도체를, 염기촉매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상기 텔루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합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산발생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산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부품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경화물.
KR1020187031175A 2016-04-28 2017-04-28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KR201900035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1792 2016-04-28
JPJP-P-2016-091792 2016-04-28
PCT/JP2017/017092 WO2017188452A1 (ja) 2016-04-28 2017-04-28 光学部品形成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527A true KR20190003527A (ko) 2019-01-09

Family

ID=6015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175A KR20190003527A (ko) 2016-04-28 2017-04-28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62787A1 (ko)
JP (1) JP7102338B2 (ko)
KR (1) KR20190003527A (ko)
CN (1) CN109073782A (ko)
TW (1) TW201815903A (ko)
WO (1) WO2017188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3290A4 (en) * 2015-08-24 2019-09-04 A School Corporation Kansai University LITHOGRAPHIC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MPOSITION FOR LITHOGRAPHY, PATTERN FORMATION METHOD, COMPOUND, RESIN, AND PROCESS FOR PURIFYING THE SAME AND RESIN
JP7415281B2 (ja) * 2018-04-27 2024-01-1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部品形成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CN112005168A (zh) * 2018-04-27 2020-11-2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抗蚀剂下层膜形成用组合物、光刻用下层膜和图案形成方法
TW202104241A (zh) * 2019-05-08 2021-02-01 學校法人關西大學 化合物及其製造方法、樹脂、組成物、抗蝕劑膜、圖型形成方法、微影術用下層膜、光學零件、以及化合物或樹脂的純化方法
CN115353630B (zh) * 2022-07-01 2023-07-25 清华大学 聚碲氧烷高分子材料及其制备方法、闭环降解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9516A (en) * 1975-08-05 1977-02-14 Asahi Chem Ind Co Ltd Photosensitive composition
JPH0819248B2 (ja) * 1992-03-13 1996-02-28 新技術事業団 複素芳香族高分子超薄膜
JP4952966B2 (ja) * 2001-07-19 2012-06-1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の製造方法
JP4206815B2 (ja) * 2003-05-14 2009-01-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の製造方法
JP4093938B2 (ja) * 2003-08-26 2008-06-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の原盤製造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レジスト
CN101137760B (zh) 2005-03-18 2011-01-26 香港中文大学 检测染色体非整倍性的方法
JP2008163242A (ja) * 2006-12-28 2008-07-17 Lion Corp コアシェル型ハイパーブランチポリマーの合成方法
JP2014185086A (ja) * 2013-03-21 2014-10-02 Sekisui Chem Co Ltd チオフェンモノマーの製造方法、π電子共役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シート
JP6306403B2 (ja) * 2014-04-08 2018-04-04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透明部材形成用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からなる透明部材
JP6353546B2 (ja) * 2014-09-02 2018-07-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活性光線性又は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感活性光線性又は感放射線性膜、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EP3343290A4 (en) * 2015-08-24 2019-09-04 A School Corporation Kansai University LITHOGRAPHIC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MPOSITION FOR LITHOGRAPHY, PATTERN FORMATION METHOD, COMPOUND, RESIN, AND PROCESS FOR PURIFYING THE SAME AND RES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5903A (zh) 2018-05-01
JPWO2017188452A1 (ja) 2019-03-14
WO2017188452A1 (ja) 2017-11-02
US20200262787A1 (en) 2020-08-20
JP7102338B2 (ja) 2022-07-19
CN109073782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6118B2 (ja) 感放射線性組成物
KR102599929B1 (ko) 리소그래피용 재료 및 그 제조방법, 리소그래피용 조성물, 패턴 형성방법, 그리고, 화합물, 수지, 및 이들의 정제방법
JP6024784B2 (ja) 化合物、感放射線性組成物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KR20190003527A (ko) 광학부품형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JP5786713B2 (ja) 環状化合物、その製造方法、感放射線性組成物およ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KR20120089760A (ko) 환상 화합물, 그 제조 방법, 감방사선성 조성물 및 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CN106462059B (zh) 抗蚀材料、抗蚀组合物和抗蚀图案形成方法
JP6896233B2 (ja) 光学部材形成組成物
JP5692090B2 (ja) 低分子量ポジ型感放射線性組成物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JP5817524B2 (ja) 感放射線性組成物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JP5413070B2 (ja) 感放射線性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JP2012128346A (ja) 包摂化合物および感放射線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