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320A - 복합센서 하우징 - Google Patents

복합센서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320A
KR20190003320A KR1020180038496A KR20180038496A KR20190003320A KR 20190003320 A KR20190003320 A KR 20190003320A KR 1020180038496 A KR1020180038496 A KR 1020180038496A KR 20180038496 A KR20180038496 A KR 20180038496A KR 20190003320 A KR20190003320 A KR 20190003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ase
housing
sensor case
c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133B1 (ko
Inventor
양승환
장인훈
최동운
이덕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8/00718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04682A1/ko
Publication of KR2019000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센서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의 작동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태양광, 물방울, 먼지 등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통풍성을 확보함으로써 센서 측정값의 정밀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복수의 센서나 관련 부품이나 소자를 효과적으로 배치,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 및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센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센서 하우징{HOUSING FOR COMPOSITE SENSOR UNIT}
본 발명은 복합센서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의 작동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태양광, 물방울, 먼지 등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통풍성을 확보함으로써 센서의 측정값의 정밀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복수의 센서나 관련 부품이나 소자를 효과적으로 배치,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 및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센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센서는 온도, 습도, CO2 농도, 일사량 등과 같은 복합적인 환경 요소들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복합센서는 대기 환경 측정 뿐 아니라 농업 환경 측정에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복합센서의 측정 정밀도를 높이거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물질 등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초래되는 악영향으로부터 센서를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하우징이 필요하고,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센서용 하우징이 개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특허번호 제4485976호에는 이산화질소(nitrogen dioxide) 가스를 측정하기 위한 다공질 글래스 센서용 케이스가 제안되어 있는데, 도 1a ~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1) 측면에는 통풍을 위한 슬릿(202)이 형성되고, 슬릿(202)은 멤브레인 필터(204, membrane filter)로 덮여 있으며, 케이스(201)의 내부에는 조습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센서 하우징(케이스, 201)은 이물질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센서를 어느 정도 보호할 수는 있지만 냉각용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서 안정된 냉각 성능을 기대할 수 없고 센서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태양광, 물방울, 먼지 등의 외부 요인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으므로 센서에서 측정된 값의 정밀도가 낮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센서 하우징들은 2개 이상의 센서를 배치하여 복합센서로 구성하고자 할 경우 장착이 불가능하거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조립이 어렵고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센서 하우징들은 센서용 컨트롤박스, 팬 등 관련 부품이나 소자의 장착이 어렵고 호환성이 결여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낮은 한계점이 있었다.
일본등록특허 제4485976호 '이산화질소(nitrogen dioxide) 가스를 측정하기 위한 다공질 글래스 센서용 케이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센서의 작동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태양광, 물방울, 먼지 등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통풍성을 확보함으로써 센서 측정값의 정밀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센서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복수의 센서나 관련 부품 및 소자 등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과 호환성이 우수하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센서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 하우징(1000)(2000)은 소정 간격(h)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를 포함한다. 센서 케이스(1)는 그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바깥쪽으로 경사진 측면(11)을 갖고 그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고 있다.
위,아래의 센서 케이스(1)는 그 측면(11)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적층되며, 외부 공기는 상기 중첩되도록 적층된 측면(11)의 사이로 상승하면서 이동하여 내부 공간(13)으로 유입되고 내부 공간(13)의 공기는 상기 중첩되도록 적층된 측면(11)의 사이로 하강하면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측면(11)은, 센서 케이스(1)의 상단에서부터 아래를 향해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경사부 보다 수직에 가깝게 경사진 종방향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종방향 연장부(112)는 상기 공기의 이동 경로를 일부 커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케이스(1)의 측면(11)에는 제1 차단편(121)이 내부 공간(13)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차단편(121)은 상기 공기의 이동 경로를 일부 커버한다. 아울러, 센서 케이스(1)는 그 상단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차단편(122)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복합센서 하우징(1000)(2000)은 센서의 작동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태양광, 물방울, 먼지 등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통풍성을 확보함으로써 센서의 측정값의 정밀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칸막이 부재(4a)(4b)(4c)는 최상단 센서 케이스(1)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상단을 밀폐하거나 최하단 센서 케이스(1)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하단을 밀폐하거나 센서 케이스(1) 사이에 설치되어 각종 센서, 컨트롤 박스, 팬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와 칸막이 부재(4a)(4b)(4c)는 케이스 결속수단(2)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칸막이 부재(4a)(4b)(4c)는 센서 케이스(1)의 상단 및 제1 차단편(121)의 하단과 형합하는 홈(411)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 케이스(1) 사이에는 칸막이 부재(4c)와 간격 유지구(3) 중에서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 케이스(1) 사이에 칸막이 부재(4c)가 설치된 경우와 간격 유지구(3)가 구비된 경우에 동일한 간격(h)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다.
아울러,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는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므로 서로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고, 칸막이 부재(4a)(4b)(4c)는 동일한 직경과 측면 높이(p)를 가지므로 서로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1 차단편(121)은 센서 케이스(1)의 상단에서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차단편(122)은 측면(11)을 중심으로 제1 차단편(121)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의 이동 경로를 일부 커버할 수 있다. 제1,2 차단편(121)(122)은 예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차단편(122)은 측면(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측면(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최상단 센서 케이스(1)에는 제2 차단편(122)이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0)(2000)의 하부에는 팬(55)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팬(55)의 아래에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 케이스(1)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서 케이스(1) 사이로 공기가 이동되고, 최하단 센서 케이스(1)의 하부에는 칸막이 부재(4b)가 설치되어 하우징의 하단을 밀폐한다.
최상단 센서 케이스(1)의 상부에는 칸막이 부재(4a)가 설치되고, 최상단 센서 케이스(1)의 하부에는 칸막이 부재(4c)가 설치될 수 있다. 칸막이 부재(4a)의 상면에는 일사 센서(51)가 설치되고, 최상단 센서 케이스(1)와 칸막이 부재(4a)(4c)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는 제어 패널, CO2 센서, 온습도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칸막이 부재(4c)는 센서 케이스(1) 사이에 설치되되, 그 바닥면(42)에는 센서, 팬, 제어 패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닥면(42)이 센서, 팬, 제어 패널 등과 형합되도록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타공될 수 있고 상기 타공된 부분에 센서, 팬, 제어 패널 등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 하우징은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가 소정 간격(h)으로 적층되되, 상기 간격(h) 사이로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 이동통로를 통해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고, 이에 따라 태양광, 물방울, 먼지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진 공기 이동통로를 따라 유입되던 이물질은 제1,2 차단편(121)(122)에 걸리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그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 하우징은 직달광과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면서도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므로 통풍성의 확보에 따른 냉각작용을 통해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센서 측정값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열화와 같은 악영향으로부터 센서 등을 보호할 수 있어서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 하우징은 구조가 단순한 센서케이스(1)를 간단하게 조립하여 다양한 크기나 형태로 하우징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센서, 관련 부품이나 소자 등을 효과적으로 배치, 구성할 수 있어서 호환성이 우수하고, 조립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효과를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복합센서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센서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각종 센서와 제어 패널은 생략됨).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a는 도 2의 복합센서 하우징에 구비된 센서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2의 복합센서 하우징에 구비된 칸막이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는 칸막이 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칸막이 부재에서 CO2 센서 장착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c는 도 7a의 칸막이 부재에서 온습도센서 장착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d는 도 7a의 칸막이 부재에서 팬 장착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센서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X-X'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복합센서 하우징에 구비된 센서 케이스와 제2 차단편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2a는 도 9의 복합센서 하우징에서 최상단의 센서 케이스와 칸막이 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의 센서 케이스와 칸막이 부재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도시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센서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복합센서 하우징(1000)은 복수 개의 센서케이스(1)가 소정 간격(h)으로 적층되되, 팬(55)의 흡입 작용이나 바람의 유입시 센서의 감지 작용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태양광, 이물질 등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복합센서 하우징(1000)은 소정 간격(h)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센서케이스(1)와, 칸막이 부재(4a)(4b)(4c)와, 간격 유지구(3) 및, 케이스 결속 수단(2)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케이스(1)는 경사진 측면(11)과, 내부 공간(13) 및, 유입 차단부(12)를 포함한다. 도 5a ~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 케이스(1)는 대략 그 종단면이 사다리꼴이고 그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이지만, 경사진 측면(11)을 갖고 경사진 공기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측면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13)을 형성할 수 있다면 육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는 서로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케이스(1)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고, 측면(11)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내부 공간(13)을 이룬다. 상,하층의 센서 케이스(1)는 본딩 등으로 서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케이스 결속 수단(2)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결속 수단(2)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측면(11)은 센서 케이스(1)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측면(11)은 경사부와 종방향 연장부(112)를 갖는다. 상기 경사부는 센서 케이스(1)의 상단에서부터 아래를 향해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종방향 연장부(112)는 경사부의 하단에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되거나 경사부 보다 수직에 더 가깝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종방향 연장부(112)는 상기 공기 이동 경로의 일부를 커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는 소정 간격(h)으로 적층된다. 위,아래의 센서 케이스(1)는 그 측면(11)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적층되되 종방향 연장부(112)의 하단이 해당 층의 간격(h)의 하단 보다 더 아래에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상기 중첩되도록 적층된 측면(11)의 사이로 상승하면서 이동하여 내부 공간(13)으로 유입되고 내부 공간(13)의 공기는 상기 중첩되도록 적층된 측면(11)의 사이로 하강하면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외부의 직달광은 내부 공간(13)으로 유입될 수 없고, 외부의 이물질도 경사진 이동 경로를 통과하는 동안에 제거될 수 있고 제1,2 차단편(121)(122)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센서 케이스(1)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적층된다.'는 것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방향에서 하우징(1000)을 바라보았을 때 각 층을 이루는 센서 케이스(1)의 측면(11)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복되도록 적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하우징(1000)의 하부에 팬(55)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팬(55)의 아래에 적어도 두 개의 센서 케이스(1)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서 케이스(1) 사이로 공기가 이동(배출)되고, 최하단 센서 케이스(1)의 하단에는 칸막이 부재(4b)가 설치되어 하우징(1000)의 하단을 밀폐한다.
유입 차단부(12)는 공기 유동에 따른 관성에 의해 유입될 수 있는 물방울, 이물질 등이 걸리도록 하여 2차적으로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화살표 형상이 되도록 측면(11)의 상단 내측에 돌출되는 제1 차단편(121)과, 상단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2 차단편(122)을 포함한다.
제1 차단편(121)은 내부공간(13)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측면(11)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차단편(11)의 하단은 간격 유지구(3) 또는 칸막이 부재(4c)와 결합된다.
제2 차단편(122)은 제1 차단편(121)과 예각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로 제1,2 차단편(121)(122)이 형성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물방울, 먼지 등)이 유입될 경우 제1 차단편(121)에 걸리게 되어 1차 차단되고, 이후 제2 차단편(122)에 의해 다시 한 번 더 걸러내는 기능이 수행되므로 이물질의 유입을 거의 모두 차단할 수 있다.
제2 차단편(122)은 센서 케이스(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센서 케이스(1)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는데 착탈 가능한 구성은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칸막이 부재(4a)(4b)(4c)는 최상단 센서 케이스(1)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000)의 상단을 밀폐하거나 최하단 센서 케이스(1)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000)의 하단을 밀폐하거나 센서 케이스(1) 사이에 설치되어 센서(52)(53), 컨트롤 박스(54) 및, 팬(55)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칸막이 부재(4a)는 최상단 센서 케이스(1)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000)의 상단을 밀폐하고, 칸막이 부재(4b)는 최하단 센서 케이스(1)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000)의 하단을 밀폐하며, 칸막이 부재(4c)는 센서 케이스(1) 사이에 설치되어 센서(52)(53), 컨트롤 박스(54) 및, 팬(55)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칸막이 부재(4a)(4b)(4c)는 동일한 직경과 측면 높이(p)를 갖고, 이에 따라 서로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 및 제조 비용 절감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센서 케이스(1) 사이에는 칸막이 부재(4c)와 간격 유지구(3)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설치된다. 칸막이 부재(4c)는 간격 유지구(3)와 동일한 측면 높이(p)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칸막이 부재(4a)(4b)(4c)의 일 예를 보여준다. 칸막이 부재(4a)(4b)(4c)는 바닥면(42)과 측면(41)을 포함한다.
측면(41)의 상단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411)과 경사면(412)이 형성된다. 홈(411)은 제1 차단편(121)의 하단 및 센서 케이스(1)의 상단과 형합한다. 그리고, 경사면(412)은 제2 차단편(122)과 형합하도록 경사진다. 홈(411)과 경사면(412)은 센서 케이스(1)와 칸막이 부재(4a)(4b)(4c)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바닥면(42)은 필요에 따라 타공(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팬(55)이 칸막이 부재(4c)에 설치될 경우에는 팬(55)에 해당하는 부분이 타공될 수 있고, CO2 센서(52)와 온습도 센서(53)가 설치될 경우에는 해당 부분이 타공될 수도 있다. 상기 타공은 타공할 부분과 동일한 형상이 형성된 가이드 판(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공은 설치될 부품과 형합되도록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a는 칸막이 부재(4a)(4b)(4c)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칸막이 부재(4a)(4b)(4c)는 CO2 센서 장착부(432)와 온습도센서 장착부(433) 및 팬 장착부(431)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431)(432)(433)들은 바닥면(42)에 홈 라인을 미리 형성하여 쉽게 제거되도록 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도 7b는 CO2 센서 장착부(432)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7c는 온습도센서 장착부(433)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7d는 팬 장착부(431)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준다. 그리고, 하우징 상,하단의 밀폐를 위해서는 장착부(431)(432)(433)들을 제거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a ~ 7d에 도시된 장착부(431)(432)(433)들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설치될 부품에 맞도록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간격 유지구(3)는 센서 케이스(1) 사이의 간격(h)을 유지한다. 간격 유지구(3)는 센서 케이스(1)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격 유지구(3)는 한 층에 4곳에 설치될 수 있는데, 간격 유지구(3)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된다.
간격 유지구(3)는 간격(h)을 형성하고 공기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격 유지구(3)는 체결보스(14)에 설치되고 장볼트(21)가 삽입되는 관통공(15)이 형성된 원통형 부재이다. 그리고, 간격 유지구(3)의 상,하단에는 용이한 안착을 위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결속 수단(2)은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와 칸막이 부재(4a)(4b)(4c) 및 간격유지구(3)를 결합시킨다. 케이스 결속 수단(2)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장볼트(21)와 너트(22)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케이스(1)와 칸막이 부재(4a)(4b)(4c) 및 간격유지구(3)에는 서로 대응되는 곳에 관통공(15)이 형성되고, 장볼트(21)는 관통공(15)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너트(22)와 체결된다.
장볼트(21)와 너트(22)로 이루어진 케이스 결속 수단(2)은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와 칸막이 부재(4a)(4b)(4c) 및 간격유지구(3)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필요에 따라 센서 케이스(1)를 더 적층하거나 센서 케이스(1)의 일부를 제거할 경우에도 그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장볼트(21)로 교체하면 되므로 효과적이다.
이하, 복합센서 하우징(10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복합센서 하우징은 센서의 종류와 형태 및 수량, 팬 등과 같은 각종 기구의 형태 등에 맞게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 케이스 결속 수단(2), 간격 유지구(3) 및 칸막이 부재(4a)(4b)(4c)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 목적에 맞도록 구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3 ~ 4에 도시된 복합센서 하우징(1000)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장볼트(21)가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와 간격 유지구(3) 및 칸막이 부재(4a)(4b)(4c)의 관통공(15)을 관통하도록 설치하되, 센서 케이스(1) 사이에 간격 유지구(3) 또는 칸막이 부재(4c)가 게재되도록 한다. 그리고, 최상단 센서 케이스(1)의 상,하부에는 칸막이 부재(4a)(4c)를 각각 설치한다.
이 때, 칸막이 부재(4a)(4c)의 바닥면(42)을 적절히 미리 타공하여 일사 센서(51), CO2 센서(52), 온습도센서(53)가 설치되도록 하고, 최상단 센서 케이스(1)의 내부 공간(13)에 제어패널(54)이 내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하우징(1000)의 최하단에는 타공하지 않은 칸막이 부재(4b)를 설치하고, 그 상측에는 팬(55)을 설치하기 위해서 타공된 칸막이 부재(4c)를 설치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 하우징(1000)에서는 경사진 측면(11) 사이로 공기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공기 이동은 원활히 이루어지면서도 태양광, 물방울, 먼지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11) 상단에 제1 차단편(121)과 제2 차단편(122)이 예각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물방울, 먼지 등)이 유입될 경우 제1 차단편(121)에 걸려 1차 차단되고, 이후 제2 차단편(122)에 다시 한 번 더 걸리게 되므로 이물질(물방울, 먼지 등)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용 팬(55)을 작동시키면. 하우징의 하단이 칸막이 부재(4b)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도 4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유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각종 센서가 구비된 복합센서 하우징(1000)을 온실에 설치하면 일사 센서(51)에 의해 태양방사 에너지가 검출되고, CO2 센서(52)에 의해 이산화탄소 농도가 검출되며, 온습도센서(53)에 의해 온도 및 습도를 검출되는데, 검출된 정보를 토대로 작물의 재배에 최상의 조건이 되도록 태양광, 이산화탄소, 온도 및 습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센서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X-X'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센서 하우징(2000)은 소정 간격(h)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센서케이스(1)와, 칸막이 부재(4a)(4b)(4c)와, 간격 유지구(3) 및, 케이스 결속 수단(2, 도 9~10에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복합센서 하우징(1000)과 비교하여, 복합센서 하우징(2000)은 제2 차단편(122)이 센서 케이스(1)와 별도로 형성되어 센서 케이스(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는 점과, 간격 유지구(3)가 센서 케이스(1)에 일체로 형성되되 간격 유지구(3)를 대신하여 칸막이 부재(4c)가 설치되는 등과 같이 간격 유지구(3)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간격 유지구(3)가 없는 센서 케이스(1)로 형성된다는 점과, 칸막이 부재(4a)(4b)(4c)에 장착부(431)(432)(433)가 형성되지 않고 타공으로 필요한 구멍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제2 차단편(122)은, 도 10 ~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볼트(21, 도 9~11에는 미도시)에 의해서 센서 케이스(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차단편(122)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은 최상단 센서 케이스(1)에 제2 차단편(122)이 없도록 하여 하우징 외형이 깔끔해지도록 하고 결합이 단순하고 용이하도록 한다.
센서 케이스(1)는 간격 유지구(3)가 일체로 형성된 것과 간격 유지구(3)가 없는 것으로 각각 제조된다. 간격 유지구(3)가 센서 케이스(1)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은 하우징(2000) 조립 공정을 단순하게 한다.
센서 케이스(1) 사이에 간격 유지구(3)를 대신하여 칸막이 부재(4c)가 설치되는 경우 등과 같이 간격 유지구(3)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간격 유지구(3)가 없는 센서 케이스(1)가 이용된다.
칸막이 부재(4a)(4b)(4c)는 그 바닥면(42)에 장착부(431)(432)(433)가 없는 상태 즉, 홈 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제조되고, 하우징에 설치할 때 미리 타공하여 필요한 구멍(즉, 장착부)을 형성한다. 상기 타공시에는 필요한 구멍과 대응되는 구멍이 천공된 가이드 판(도면에 미도시)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공은 설치될 부품(센서, 제어 패널, 팬 등)에 맞도록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 하우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센서케이스 11 : 측면
112 : 종방향연장부 12 : 유입차단부
121 : 제1 차단편 122 : 제2 차단편
13 : 내부 공간 14 : 체결보스
15 : 관통공 2 : 케이스 결속 수단
21 : 장볼트 22 : 너트
3 : 간격유지구 4a, 4b, 4c : 칸막이부재
41 : 칸막이 부재의 측면 411 : 홈
412 : 경사면 42 : 바닥면
431 : 팬 장착부 432 : CO2 센서 장착부
433 : 온습도센서 장착부 51 : 일사센서
52 : CO2 센서 53 : 온습도센서
54 : 제어패널 55 : 팬
P : 측면(41)의 높이
1000, 2000 : 복합센서 하우징

Claims (10)

  1.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가 소정 간격(h)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h) 사이로 외부 공기가 내부 공간(13)으로 유입되거나 내부 공간(13)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며,
    센서 케이스(1)는 그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바깥쪽으로 경사진 측면(11)을 갖고 그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위,아래의 센서 케이스(1)는 그 측면(11)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적층되며, 외부 공기는 상기 중첩되도록 적층된 측면(11)의 사이로 상승하면서 이동하여 내부 공간(13)으로 유입되고 내부 공간(13)의 공기는 상기 중첩되도록 적층된 측면(11)의 사이로 하강하면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센서 케이스(1)의 측면(11)에는 제1 차단편(121)이 내부 공간(13)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 차단편(121)은 상기 공기의 이동 경로를 일부 커버하며,
    내부 공간(13)에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칸막이 부재(4a)(4b)(4c)를 더 포함하고,
    칸막이 부재(4a)(4b)(4c)는 최상단 센서 케이스(1)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상단을 밀폐하거나 최하단 센서 케이스(1)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하단을 밀폐하거나 센서 케이스(1) 사이에 설치되어 센서, 컨트롤 박스 및, 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와 칸막이 부재(4a)(4b)(4c)는 케이스 결속수단(2)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센서 케이스(1) 사이에는 칸막이 부재(4c)와 간격 유지구(3) 중에서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며, 이에 따라 센서 케이스(1) 사이에 칸막이 부재(4c)가 설치된 경우와 간격 유지구(3)가 구비된 경우에 동일한 간격(h)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센서 케이스(1)는 동일한 사이즈를 갖고,
    칸막이 부재(4a)(4b)(4c)는 동일한 직경과 측면 높이(p)를 가지며 이에 따라 서로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칸막이 부재(4a)(4b)(4c)는 센서 케이스(1)의 상단 및 제1 차단편(121)의 하단과 형합하는 홈(4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 하우징.
  5. 제2항에 있어서,
    제1 차단편(121)은 센서 케이스(1)의 상단에서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센서 케이스(1)는 그 상단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차단편(122)을 포함하며, 제1,2 차단편(121)(122)은 예각을 이루고,
    제2 차단편(122)은 측면(11)을 중심으로 제1 차단편(121)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의 이동 경로를 일부 커버하며,
    제2 차단편(122)은 측면(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측면(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 하우징.
  6.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하부에는 팬(55)이 설치되고,
    팬(55)의 아래에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 케이스(1)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서 케이스(1) 사이로 공기가 이동되고, 최하단 센서 케이스(1)의 하부에는 칸막이 부재(4b)가 설치되어 하우징의 하단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 하우징.
  7. 제2항에 있어서,
    최상단 센서 케이스(1)의 상부에는 칸막이 부재(4a)가 설치되고, 최상단 센서 케이스(1)의 하부에는 칸막이 부재(4c)가 설치되며,
    칸막이 부재(4a)의 상면에는 일사 센서(51)가 설치되고, 최상단 센서 케이스(1)와 칸막이 부재(4a)(4c)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는 제어 패널, CO2 센서, 온습도 센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 하우징.
  8. 제2항에 있어서,
    최상단 센서 케이스(1)에는 제2 차단편(122)이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 하우징.
  9. 제2항에 있어서,
    칸막이 부재(4c)는 센서 케이스(1) 사이에 설치되되, 그 바닥면(42)에는 센서, 팬, 제어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고, 바닥면(42)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에 형합되도록 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 하우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11)은,
    센서 케이스(1)의 상단에서부터 아래를 향해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경사부 보다 수직에 가깝게 경사진 종방향 연장부(112);를 포함하고,
    종방향 연장부(112)는 상기 공기의 이동 경로를 일부 커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 하우징.
KR1020180038496A 2017-06-30 2018-04-03 복합센서 하우징 KR102015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7183 WO2019004682A1 (ko) 2017-06-30 2018-06-25 복합센서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893 2017-06-30
KR20170083893 2017-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320A true KR20190003320A (ko) 2019-01-09
KR102015133B1 KR102015133B1 (ko) 2019-08-27

Family

ID=6501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496A KR102015133B1 (ko) 2017-06-30 2018-04-03 복합센서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1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537A (ko) * 2019-11-23 2021-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JP2021151217A (ja) * 2020-03-25 2021-09-30 ネポン株式会社 センサ装置、及び、センサユニッ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558B1 (ko) * 2020-06-15 2021-10-21 이노디지털(주) 옥외형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2386451B1 (ko) * 2020-11-10 2022-04-14 이노디지털(주)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3792A (ja) * 2013-02-25 2014-09-08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測定装置
JP2016173261A (ja) * 2015-03-16 2016-09-29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3792A (ja) * 2013-02-25 2014-09-08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測定装置
JP2016173261A (ja) * 2015-03-16 2016-09-29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測定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등록특허 제4485976호 '이산화질소(nitrogen dioxide) 가스를 측정하기 위한 다공질 글래스 센서용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537A (ko) * 2019-11-23 2021-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물이 새지 않는 건습구 온도 센서 장치
JP2021151217A (ja) * 2020-03-25 2021-09-30 ネポン株式会社 センサ装置、及び、センサ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133B1 (ko)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3320A (ko) 복합센서 하우징
JP6584502B2 (ja) 熱交換型換気装置
US20090183475A1 (en) Pleated recirculation filter
US20190025246A1 (en) Method for decreasing baseline under high temperature of gas sensor
US20140076026A1 (en) Relative humidity sensor
US8377182B2 (en) Gas anti diffusion assemblies
JP5523460B2 (ja) フィルタ付蓋組立体
US8210035B2 (en) Collection medium and collection amount measuring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of the same
CN109789366B (zh) 防尘和防溅过滤器
JP6469522B2 (ja) 空気調和機及びフィルタ部材
JP2013172095A (ja) 電子基板ケース
DE102014203209A1 (de) Akkuvorrichtung, insbesondere Werkzeugakkuvorrichtung
JP2014086636A (ja) 電気機器の筺体構造
JP2017004284A (ja) 火災感知器
JP5736234B2 (ja) 除湿器およびこれを再生する再生機
CN207231510U (zh) 传感器安装盒和传感器组件
KR200493661Y1 (ko) 핸드헬드 장치에 적용되는 가스 센서
JP5784956B2 (ja) 警報器
KR102227711B1 (ko) 필터재 카세트 및 필터재 카세트를 탑재하기 위한 필터재 박스
EP3410079B1 (en) Fluid sensor protection assembly
WO2019004682A1 (ko) 복합센서 하우징
JP2017166707A (ja) フィルタ付換気装置
JP6622038B2 (ja) 警報器
JP6563256B2 (ja) フィルタおよびガス検知器
RU41629U1 (ru)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