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451B1 -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6451B1 KR102386451B1 KR1020200149766A KR20200149766A KR102386451B1 KR 102386451 B1 KR102386451 B1 KR 102386451B1 KR 1020200149766 A KR1020200149766 A KR 1020200149766A KR 20200149766 A KR20200149766 A KR 20200149766A KR 102386451 B1 KR102386451 B1 KR 1023864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quality
- fine dust
- quality measurement
- housing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의 영상을 통한 시각정보와 연동이 가능한 형태의 공기질 측정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미세먼지로 인해 해당 지역의 실외에서 환경오염(예: 유독가스에 의한 대기오염, 공사에 의한 먼지)이 발생한 경우 그 해당 지역의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과 연동하는 옥외형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해당 지역의 영상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 환경오염이 발생한 지역의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그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이 측정한 미세먼지 수치의 신뢰도를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내통부재의 하부에 미세먼지 센서부재를 장착한 상태로 그 하우징 내통부재의 하단부를 통해서만 미세먼지 센서부재가 외부 공기에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하우징 외통부재를 다단으로 구성함에 따라 외부 공기가 그 하우징 외통부재를 다굴절 패턴으로 흘러야만 하우징 내통부재에 근접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 센서부재의 센싱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의 영상을 통한 시각정보와 연동이 가능한 형태의 공기질 측정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히 미세먼지로 인해 해당 지역의 실외에서 환경오염(예: 유독가스에 의한 대기오염, 공사에 의한 먼지)이 발생한 경우 그 해당 지역의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과 연동하는 옥외형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해당 지역의 영상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 환경오염이 발생한 지역의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그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이 측정한 미세먼지 수치의 신뢰도를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실내/외 미세먼지 상태를 한꺼번에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종합 환경케어 서비스가 주목을 받고 있다.
여기서, 실외 미세먼지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 관리자 입장에서는 그 오염원이 무엇인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필요성이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도 대기 상태의 오염도(예: 유독가스에 의한 대기오염, 공사에 의한 먼지)가 어느 정도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해당 지역의 영상을 통한 시각정보와 연동이 가능한 형태의 공기질 측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사용자의 니즈에 따른 환경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특히 실외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측정한 미세먼지 측정 수치가 불안정한 외부 환경(예: 강풍, 비바람)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신뢰도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내구성을 갖추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 실외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비해 외부의 불안정한 환경(예: 강풍, 비바람)에 노출되기 때문에 해당 미세먼지의 측정 수치를 신뢰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소정의 공간에 일정한 미세먼지 농도를 유지하더라도 그 공간에 대해 강한 바람을 일으키면 해당 공간에 위치하는 더스트 센서는 일정치 않은 미세먼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이 현실이다.
그에 따라, 해당 지역의 환경 오염이 발생한 경우 그 지역의 영상도 함께 제공함과 아울러 불안정한 외부의 환경(예: 강풍, 비바람)에서도 정확한 미세먼지 수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옥외 설치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지역의 환경오염 측정과 해당 지역의 시각정보(예: 영상)를 상호 연동하여 동작시킬 수 있는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외의 불안정한 환경(예: 강풍, 비바람)에도 불구하고 방수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고 배출시킬 수 있는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외의 불안정한 환경에서 감지한 미세먼지 수치도 신뢰할 수 있는 구조의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는 옥외에 설치된 상태로 해당 위치의 공기질을 미리 정한 시간마다 측정하여 외부에 전송하는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과 함께 배치되고 외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며 자신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외부에 전송하는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과 옥외형 카메라 유닛을 일체로 연결한 상태에서 외부 고정체에 장착 가능한 지지브라켓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브라켓 유닛(300)은, 외부 고정체에 연결된 상태로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을 해당 위치에 거치시키는 거치브라켓 부재(310); 옥외형 카메라 유닛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브라켓 부재(320); 거치브라켓 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회동브라켓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릿지 부재(330); 거치브라켓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조인트 부재(340);를 구비할 수 있고,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은 자신 몸체가 제 1 조인트 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신 몸체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제 1 조인트 부재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 2 조인트 부재(10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은, 공기질의 센싱을 위한 복수의 센서유닛을 내측에 탑재하고 외부의 공기를 자신의 내외부로 순환시키며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물체나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낙하하는 물체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진출입로가 형성된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 센서유닛에 대한 전원 공급과 통신을 위한 복수의 보드유닛을 내측에 탑재하고 공기소통 하우징블록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내외부 간 수밀을 유지하는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 공기소통 하우징블록의 내측에 탑재되며 공기소통 하우징블록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센싱하는 미세먼지 센서부재(130); 공기소통 하우징블록의 내측에 탑재되며 미세먼지 센서부재의 동작 제어를 담당하는 콘트롤 부재(140); 방수방진 하우징블록의 내측에 탑재되며 미세먼지 센서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부재(150); 방수방진 하우징블록의 내측에 탑재되며 미세먼지 센서부재와 통신을 수행하여 미세먼지 센서부재가 센싱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데이터통신 부재(16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은, 미세먼지 센서부재와 콘트롤 부재가 내외부 차단되도록 미세먼지 센서부재와 콘트롤 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미세먼지 센서부재와 콘트롤 부재를 고정시키고 미세먼지 센서부재의 센싱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그 센싱부분에 대응하여 소통절개 부재가 형성된 하우징 내통부재(111); 하우징 내통부재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자신의 내벽이 하우징 내통부재의 외벽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의 공기를 자신의 내외부로 순환시켜 소통절개 부재와 연통시키고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물체나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낙하하는 물체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진출입로가 형성된 하우징 외통부재(112);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하우징 내통부재와 하우징 외통부재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하우징 내통부재와 하우징 외통부재를 구획하며 자신의 몸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외통부재와 하우징 내통부재를 소통하는 과정에서 직경이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포집망 부재(1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외통부재(112)는, 포집망 부재의 상단부를 돔 형태로 덮고 자신 몸체의 테두리 부분이 포집망 부재의 측벽보다 외향하여 확장 형성됨에 따라 자신 몸체의 테두리 부분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 형성되는 덮개 부재(112_1); 돔 형태로 이루어지고 포집망 부재의 외경보다 동일하거나 큰 내경을 갖는 중공형의 공기소통홀(112_2a)을 구비하고 공기소통홀이 포집망 부재에 끼워진 상태로 덮개 부재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되 포집망 부재의 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그 이격 배치된 부분으로 내외부 공기를 소통시키는 복수 개의 날개 부재(112_2); 방수방진 하우징블록의 상부 소정 부분이 하방향으로부터 체결되도록 인터페이스하고 포집망 부재의 하단부 테두리와 맞닿아 연결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중공형의 체결공(112_3a)이 형성된 하부연결 부재(112_3); 체결공에 인접하는 하부연결 부재를 관통한 후 공기소통홀에 인접하는 복수 개의 날개 부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덮개 부재의 하면에 연결됨에 따라 덮개 부재, 복수 개의 날개 부재, 하부연결 부재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이격지지 포스트 부재(112_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112_1)는, 공기소통홀의 테두리보다 외향하는 위치에 자신의 둘레 방향을 따라 자신의 하면으로부터 연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자신의 하부에 인접하는 날개 부재의 상면에 근접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커버리브 부재(112_1a);를 구비할 수 있고, 날개 부재(112_2)는, 공기소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자신의 상부에 인접 배치되는 덮개 부재에 형성된 커버리브 부재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돌출리브 부재(112_2b); 커버리브 부재의 연직 상하방향 라인에 대응하는 자신의 하면으로부터 연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자신의 하부에 인접하는 날개 부재의 상면에 근접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부 돌출리브 부재(112_2c);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은, 하우징 내통부재의 절개 형성된 부분에 장착되어 하우징 내통부재의 내측으로 공기를 출입시킴에 따라 하우징 내통부재의 내부 온습도를 조절하는 팬 부재(170); 하우징 내통부재의 내측에 탑재되어 하우징 내통부재 내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한 후 데이터통신 부재에 전송하는 온습도센서 부재(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 및 이와 함께 배치된 상태로 연동하여 동작하는 옥외형 카메라 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특정 지역에서 환경오염 수치가 불량한 경우 해당 지역의 오염원을 시각적으로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과 옥외형 카메라 유닛을 함께 배치하여 연동시킴에 따라 특정 지역의 환경오염 수치와 해당 지역의 영상을 통한 시각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측정한 에어맵을 구성할 수도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 및 이와 함께 배치함에 따라 촘촘하게 지역별 환경정보를 획득하고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의 환경오염 수치와 해당 지역의 영상을 통한 시각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획득된 환경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오염원의 추적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 네비게이션에 대해 미리 추적한 오염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 네비게이션에 대해 우회경로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가 장치의 연직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진입하는 경우에만 그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소통 하우징블록을 구성함으로써 옥외의 불안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방수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공기를 원활하게 흡/배출시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통부재의 하부에 미세먼지 센서부재를 장착한 상태로 그 하우징 내통부재의 하단부를 통해서만 미세먼지 센서부재가 외부 공기에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하우징 외통부재를 다단으로 구성함에 따라 외부 공기가 그 하우징 외통부재를 다굴절 패턴으로 흘러야만 하우징 내통부재에 근접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 센서부재의 센싱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인 옥외형 미세먼지 측정 유닛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2]를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를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도 2]를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구성을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7]에서 하우징 외통부재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을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와 다른 각도에서 [도 8]을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도 8]에서 하우징 외통부재를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인 옥외형 미세먼지 측정 유닛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2]를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를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도 2]를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구성을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7]에서 하우징 외통부재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을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와 다른 각도에서 [도 8]을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도 8]에서 하우징 외통부재를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는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 지지브라켓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은 [도 1]에서와 같이 옥외에 설치된 상태로 해당 위치의 공기질을 미리 정한 시간마다 측정하여 외부(예: 관제 서버,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의 공기질 측정 대상은 초미세먼지(PM 2.5), 미세먼지(PM 10), 이산화탄소(CO2), 총유기화합물(TVOC), 온도, 습도를 기본으로 한다.
한편,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은 실외에서 문제없이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실내에서도 물론 문제 없이 동작할 수 있다.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은 [도 1]에서와 같이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과 함께 배치되고 외부(예: 관제 서버)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며 자신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외부(예: 관제 서버,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제 서버(미도시)는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 및 실내형 미세먼지 측정유닛(미도시)으로부터도 각각의 미세먼지 측정데이터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서버는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으로부터도 그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이 획득하여 전송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관제 서버는 그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관제 서버는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으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지역의 환경오염 정도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 미리 정한 수치 이상으로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지역에 위치한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지지브라켓 유닛(300)은 [도 1]에서와 같이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과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을 일체로 연결한 상태에서 외부 고정체(예: 기둥, 벽체, 펜스)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브라켓 유닛(300)은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와 같이 거치브라켓 부재(310), 회동브라켓 부재(320), 브릿지 부재(330), 제 1 조인트 부재(340)를 구비할 수 있고,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도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와 같이 제 2 조인트 부재(101)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브라켓 부재(310)는 예컨대, 벽체나 펜스 등과 같은 외부 고정체(미도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을 해당 위치에 거치시킬 수 있다.
회동브라켓 부재(320)는 자신의 일부분이 [도 1]에서와 같이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자신의 다른 일부분은 브릿지 부재(330)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 부재(330)는 [도 1]에서와 같이 거치브라켓 부재(31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회동브라켓 부재(3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조인트 부재(340)는 [도 1]에서와 같이 거치브라켓 부재(310)에 연결된 상태로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조인트 부재(340)는 자신의 일단부가 거치브라켓 부재(310)의 일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직 상방향으로 절곡됨에 따라 자신의 타단부가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의 하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제 2 조인트 부재(101)가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의 제 2 조인트 부재(101)는 [도 1]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가 제 1 조인트 부재(3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신 몸체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제 1 조인트 부재(34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인 옥외형 미세먼지 측정 유닛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를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도 2]를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구성을 분리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은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 미세먼지 센서부재(130), 콘트롤 부재(140), 전원공급 부재(150), 데이터통신 부재(160), 팬 부재(170), 온습도센서 부재(180), 발광 부재(19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공기질의 센싱을 위한 복수의 센서유닛으로서 예컨대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와 온습도센서 부재(180)를 내측에 탑재할 수 있다.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자신의 내외부로 순환시키며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물체(예: 비바람)나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낙하하는 물체(예: 비바람)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진출입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을 외부의 공기가 연직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진입하는 경우에만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옥외의 불안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방수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고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은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와 온습도센서 부재(180)에 대한 전원 공급과 통신을 위한 복수의 보드유닛으로서 예컨대 전원공급 부재(150)와 데이터통신 부재(160)를 내측에 탑재하고 수밀유지가 가능한 정도로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부재(130)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 중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내측에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센서부재(130)는 전원공급 부재(15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미세먼지 센서부재(130)는 바람직하게는 [도 4]과 [도 7]에서와 같이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하부 내통(111b)에 안착되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는 그 하부 내통(111b)의 하단면에 소정 사이즈로 형성된 소통절개 부재로서의 슬롯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로부터 하우징 외통부재(112)를 경유하여 하우징 내통부재(111) 내에 위치한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에 도달하기까지는 복수회 굴절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의 센싱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콘트롤 부재(140)는 바람직하게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상부 내통(111a)에 탑재될 수 있고, 전원공급 부재(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의 동작 제어를 담당한다.
전원공급 부재(150)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내측에 탑재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 콘트롤 부재(140), 데이터통신 부재(160), 팬 부재(170), 온습도센서 부재(180), 발광 부재(19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통신 부재(160)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내측에 탑재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와 통신을 수행하여 미세먼지 센서부재(130)가 센싱한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구성되고 그 제공받은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팬 부재(170)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상부 내통(111a)에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내통(111a)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팬 부재(170)의 테두리가 맞물려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팬 부재(170)는 콘트롤 부재(140)의 제어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온습도센서 부재(180)의 센싱 결과에 따른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내부 온습도가 미리 정한 수치를 초과한 것으로 콘트롤 부재(140)에 의해 판단되면 콘트롤 부재(140)의 제어에 의해 팬 부재(170)가 구동될 수 있다.
즉, 팬 부재(170)가 구동되면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내측으로 공기를 출입시켜 그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내외부를 순환시킴에 따라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내부 온습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온습도센서 부재(180)는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내측에 탑재될 수 있으며 하우징 내통부재(111) 내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한 후 그 센싱한 온도와 습도 데이터를 데이터통신 부재(16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광 부재(191)는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 수치에 따라 미리 정한 복수의 색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하단부에는 외부전원 연결부재(192)와 유선통신 연결부재(193)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전원 연결부재(193)는 외부의 전원공급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고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내부에서는 전원공급 부재(15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공급 부재(150)에 제공하도록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유선통신 연결부재(193)는 외부의 유선케이블에 연결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하며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내부에서는 데이터통신 부재(16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 형태의 거치 부재(미도시)가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하방향으로 외부전원 연결부재(192), 유선통신 연결부재(193)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고정물(예: 난간대) 등에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해당 장치를 현장에 거치시킬 수도 있다.
다른 한편,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은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하우징 내통부재(111), 하우징 외통부재(112), 포집망 부재(113)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 내통부재(111)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와 콘트롤 부재(140)가 내외부 차단되도록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와 콘트롤 부재(140)를 감싸는 형태로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와 콘트롤 부재(140)를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하우징 내통부재(111)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부 내통(111a)과 하부 내통(11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의 하단부가 [도 4]에서와 같이 하부 내통(111b)의 하면에 노출되도록 하부 내통(111b)은 그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의 센싱부분에 대응하여 소정 사이즈로 절개된 소통절개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외통부재(112)는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자신의 내벽이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외벽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하우징 외통부재(112)는 외부의 공기를 자신의 내외부로 순환시켜 소통절개 부재에 노출된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와 연통시키고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물체나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낙하하는 물체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하우징 외통부재(112)는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진출입로가 형성될 수 있다.
포집망 부재(113)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하우징 내통부재(111)와 하우징 외통부재(112)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하우징 내통부재(111)와 하우징 외통부재(112)를 구획한다.
포집망 부재(113)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자신의 몸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외통부재(112)와 하우징 내통부재(111)를 소통하는 과정에서 직경이 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이를 위해, 포집망 부재(113)는 직조된 망사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에서 하우징 외통부재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을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는 [도 9]와 다른 각도에서 [도 8]을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에서 하우징 외통부재를 분리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 외통부재(112)는 덮개 부재(112_1), 복수 개의 날개 부재(112_2), 하부연결 부재(112_3), 이격지지 포스트 부재(112_4)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 부재(112_1)는 [도 8]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포집망 부재(113)의 상단부를 돔 형태로 덮고 자신 몸체의 테두리 부분이 포집망 부재의 측벽보다 외향하여 확장 형성되고 자신 몸체의 테두리 부분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 부재(112_1)는 [도 8]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커버리브 부재(112_1a)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리브 부재(112_1a)는 [도 9]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공기소통홀(112_2a)의 테두리보다 외향하는 위치에 자신의 둘레 방향을 따라 자신의 하면으로부터 연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자신의 하부에 인접하는 날개 부재(112_2)의 상면에 근접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날개 부재(112_2)는 [도 8]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복수 개 구성될 수 있으며 돔 형태로 이루어지고 포집망 부재(113)의 외경보다 동일하거나 큰 내경을 갖는 중공형의 공기소통홀(112_2a)을 구비할 수 있다.
날개 부재(112_2)는 [도 8]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공기소통홀(112_2a)이 포집망 부재(113)에 끼워진 상태로 덮개 부재(112_1)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되 포집망 부재(113)의 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그 이격 배치된 부분으로 내외부 공기를 소통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날개 부재(112_2)는 [도 8]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부 돌출리브 부재(112_2b)와 하부 돌출리브 부재(112_2c)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돌출리브 부재(112_2b)는 [도 9]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공기소통홀(112_2a)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자신의 상부에 인접 배치되는 덮개 부재(112_1)에 형성된 커버리브 부재(112_1a)와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돌출리브 부재(112_2c)는 [도 9]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커버리브 부재(112_1a)의 연직 상하방향 라인에 대응하는 자신의 하면으로부터 연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자신의 하부에 인접하는 날개 부재(112_2)의 상면에 근접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부연결 부재(112_3)는 [도 8]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상부 소정 부분이 하방향으로부터 체결되도록 인터페이스하고 포집망 부재(113)의 하단부 테두리와 맞닿아 연결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중공형의 체결공(112_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지지 포스트 부재(112_4)는 [도 8]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체결공(112_3a)에 인접하는 하부연결 부재(112_3)를 관통한 후 공기소통홀(112_2a)에 인접하는 복수 개의 날개 부재(112_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덮개 부재(112_1)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이격지지 포스트 부재(112_4)는 덮개 부재(112_1), 복수 개의 날개 부재(112_2), 하부연결 부재(112_3)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의 외부에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이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되지만,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은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의 내측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질 측정을 기본으로 하여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에 환경감시 서비스 및 정보제공 서비스를 연계한 사용자 안전관리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 마이크를 융합함에 따라 소음발생 추적 후 영상확보 및 공기질 측정 상태를 중앙관제(경비실 등)에 정보 제공하고 그 결과를 단지 세대에 오염지도로 표시함으로써 월패드나 앱 등으로 오염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 마이크를 융합함에 따라 지하철이나 다중복합시설에서 청소, 리모델링, 조리 등으로 발생하는 오염환경에 대한 영상, 소리, 공기질 측정정보를 전광판이나 앱을 통해 실시간 방문객에게 건물 내 층별이나 통로별로 해당 오염정보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과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은 상호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중앙관제서버를 통해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에 대한 기기제어(회전, 줌 등)로서 pan tilt zoom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의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는 아파트 관리사무실 또는 산업단지 관제실에서 특정 지역 모니터링을 통해 오염원에 대한 안내 시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과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이 연동함에 따라 해당 지역의 오염상태 및 오염수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은 실외에서 문제없이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실내에서도 물론 문제 없이 동작할 수 있고, [도 13]에서와 같이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과 실내형 공기질 측정유닛이 연동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공기질을 측정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을 통해 그 오염원에 대한 영상정보를 통한 시각적 확인을 통해 그 오염원에 대해 예컨대, 소방서, 경찰서와의 연계 관리를 통해 사후 대응이 가능하다.
한편,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과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이 상호 연동함에 따라 야간에 시야확보의 제한적 문제점을 갖고 있는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의 단점을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이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오염원의 이동경로에 대한 측정정보를 실시간 제공함에 따라 사람이나 차량의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재설정하여 실시간 안내가 가능할 수 있다.
100 :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
101 : 제 2 조인트 부재
110 : 공기소통 하우징블록
111 : 하우징 내통부재
111a : 상부 내통
111b : 하부 내통
112 : 하우징 외통부재
112_1 : 덮개 부재
112_1a : 커버리브 부재
112_2 : 날개 부재
112_2a : 공기소통홀
112_2b : 상부 돌출리브 부재
112_2c : 하부 돌출리브 부재
112_3 : 하부연결 부재
112_3a : 체결공
112_4 : 이격지지 포스트 부재
113 : 포집망 부재
120 : 방수방진 하우징블록
121 : 상부 블록
122 : 하부 블록
130 : 미세먼지 센서부재
140 : 콘트롤 부재
150 : 전원공급 부재
160 : 데이터통신 부재
170 : 팬 부재
180 : 온습도센서 부재
191 : 발광 부재
192 : 외부전원 연결부재
193 : 유선통신 연결부재
200 : 옥외형 카메라 유닛
300 : 지지브라켓 유닛
310 : 거치브라켓 부재
320 : 회동브라켓 부재
330 : 브릿지 부재
340 : 제 1 조인트 부재
101 : 제 2 조인트 부재
110 : 공기소통 하우징블록
111 : 하우징 내통부재
111a : 상부 내통
111b : 하부 내통
112 : 하우징 외통부재
112_1 : 덮개 부재
112_1a : 커버리브 부재
112_2 : 날개 부재
112_2a : 공기소통홀
112_2b : 상부 돌출리브 부재
112_2c : 하부 돌출리브 부재
112_3 : 하부연결 부재
112_3a : 체결공
112_4 : 이격지지 포스트 부재
113 : 포집망 부재
120 : 방수방진 하우징블록
121 : 상부 블록
122 : 하부 블록
130 : 미세먼지 센서부재
140 : 콘트롤 부재
150 : 전원공급 부재
160 : 데이터통신 부재
170 : 팬 부재
180 : 온습도센서 부재
191 : 발광 부재
192 : 외부전원 연결부재
193 : 유선통신 연결부재
200 : 옥외형 카메라 유닛
300 : 지지브라켓 유닛
310 : 거치브라켓 부재
320 : 회동브라켓 부재
330 : 브릿지 부재
340 : 제 1 조인트 부재
Claims (7)
- 옥외에 설치된 상태로 해당 위치의 공기질을 미리 정한 시간마다 측정하여 외부에 전송하는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
상기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과 함께 배치되고 외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며 자신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외부에 전송하는 옥외형 카메라 유닛(200);
상기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과 상기 옥외형 카메라 유닛을 일체로 연결한 상태에서 외부 고정체에 장착 가능한 지지브라켓 유닛(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로서,
상기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은,
공기질의 센싱을 위한 복수의 센서유닛을 내측에 탑재하고 외부의 공기를 자신의 내외부로 순환시키며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물체나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낙하하는 물체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진출입로가 형성된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
상기 센서유닛에 대한 전원 공급과 통신을 위한 복수의 보드유닛을 내측에 탑재하고 상기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내외부 간 수밀을 유지하는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
상기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의 내측에 탑재되며 상기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센싱하는 미세먼지 센서부재(130);
상기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의 내측에 탑재되며 상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의 동작 제어를 담당하는 콘트롤 부재(140);
상기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내측에 탑재되며 상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부재(150);
상기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내측에 탑재되며 상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가 센싱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데이터통신 부재(160);
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소통 하우징블록(110)은,
상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와 상기 콘트롤 부재(140)가 내외부 차단되도록 상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와 상기 콘트롤 부재(14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와 상기 콘트롤 부재(140)를 고정시키고 상기 미세먼지 센서부재(130)의 센싱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그 센싱부분에 대응하여 소통절개 부재가 형성된 하우징 내통부재(111);
상기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자신의 내벽이 상기 하우징 내통부재(111)의 외벽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의 공기를 자신의 내외부로 순환시켜 상기 소통절개 부재와 연통시키고 연직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물체나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낙하하는 물체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진출입로가 형성된 하우징 외통부재(112);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 내통부재(111)와 상기 하우징 외통부재(112)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통부재(111)와 상기 하우징 외통부재(112)를 구획하며 자신의 몸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 외통부재(112)와 상기 하우징 내통부재(111)를 소통하는 과정에서 직경이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포집망 부재(113);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외통부재(112)는,
상기 포집망 부재(113)의 상단부를 돔 형태로 덮고 자신 몸체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포집망 부재(113)의 측벽보다 외향하여 확장 형성됨에 따라 자신 몸체의 테두리 부분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 형성되는 덮개 부재(112_1);
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집망 부재(113)의 외경보다 동일하거나 큰 내경을 갖는 중공형의 공기소통홀(112_2a)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소통홀(112_2a)이 상기 포집망 부재(113)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덮개 부재(112_1)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포집망 부재(113)의 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그 이격 배치된 부분으로 내외부 공기를 소통시키는 복수 개의 날개 부재(112_2);
상기 방수방진 하우징블록(120)의 상부 소정 부분이 하방향으로부터 체결되도록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포집망 부재(113)의 하단부 테두리와 맞닿아 연결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중공형의 체결공(112_3a)이 형성된 하부연결 부재(112_3);
상기 체결공(112_3a)에 인접하는 상기 하부연결 부재(112_3)를 관통한 후 상기 공기소통홀(112_2a)에 인접하는 상기 복수 개의 날개 부재(112_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상기 덮개 부재(112_1)의 하면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덮개 부재(112_1), 상기 복수 개의 날개 부재(112_2), 상기 하부연결 부재(112_3)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이격지지 포스트 부재(112_4);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 유닛(300)은,
외부 고정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을 해당 위치에 거치시키는 거치브라켓 부재(310);
상기 옥외형 카메라 유닛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브라켓 부재(320);
상기 거치브라켓 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브라켓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릿지 부재(330);
상기 거치브라켓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조인트 부재(340);
를 구비하고,
상기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은 자신 몸체가 상기 제 1 조인트 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신 몸체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조인트 부재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 2 조인트 부재(101);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112_1)는,
상기 공기소통홀(112_2a)의 테두리보다 외향하는 위치에 자신의 둘레 방향을 따라 자신의 하면으로부터 연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자신의 하부에 인접하는 상기 날개 부재(112_2)의 상면에 근접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커버리브 부재(112_1a);
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 부재(112_2)는,
상기 공기소통홀(112_2a)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자신의 상부에 인접 배치되는 상기 덮개 부재(112_1)에 형성된 상기 커버리브 부재(112_1a)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돌출리브 부재(112_2b);
상기 커버리브 부재(112_1a)의 연직 상하방향 라인에 대응하는 자신의 하면으로부터 연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자신의 하부에 인접하는 날개 부재(112_2)의 상면에 근접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부 돌출리브 부재(112_2c);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옥외형 공기질 측정유닛(100)은,
상기 하우징 내통부재의 절개 형성된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통부재의 내측으로 공기를 출입시킴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통부재의 내부 온습도를 조절하는 팬 부재(170);
상기 하우징 내통부재의 내측에 탑재되어 상기 하우징 내통부재 내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한 후 상기 데이터통신 부재에 전송하는 온습도센서 부재(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9766A KR102386451B1 (ko) | 2020-11-10 | 2020-11-10 |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9766A KR102386451B1 (ko) | 2020-11-10 | 2020-11-10 |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6451B1 true KR102386451B1 (ko) | 2022-04-14 |
Family
ID=8121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9766A KR102386451B1 (ko) | 2020-11-10 | 2020-11-10 |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645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548931A (zh) * | 2024-07-25 | 2024-08-27 | 晓雨(北京)科技有限公司 | 主动进气式温湿度传感器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6513B1 (ko) * | 2010-03-30 | 2010-11-25 | 안정상 | 대기오염 및 기상 측정을 위한 차량용 통합마스트 |
KR20150058090A (ko) * | 2013-11-20 | 2015-05-28 | 엑시스 에이비 | 장착 브래킷 |
KR101892999B1 (ko) * | 2017-11-28 | 2018-10-04 | (주) 글로벌텔레콤 | 미세먼지농도 측정기능을 갖춘 cctv 카메라를 이용한 미세먼지 예보데이터 생성방법과 그를 이용한 예보 시스템 |
KR101912624B1 (ko) * | 2018-05-18 | 2018-10-29 | 케이웨더(주) | 실외 공기질 측정장치 |
KR20190020403A (ko) * | 2017-08-21 | 2019-03-04 | 장형욱 |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
KR101956529B1 (ko) * | 2018-11-09 | 2019-03-12 |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 다기능 스마트 가로등 |
KR102015133B1 (ko) * | 2017-06-30 | 2019-08-27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복합센서 하우징 |
-
2020
- 2020-11-10 KR KR1020200149766A patent/KR1023864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6513B1 (ko) * | 2010-03-30 | 2010-11-25 | 안정상 | 대기오염 및 기상 측정을 위한 차량용 통합마스트 |
KR20150058090A (ko) * | 2013-11-20 | 2015-05-28 | 엑시스 에이비 | 장착 브래킷 |
KR102015133B1 (ko) * | 2017-06-30 | 2019-08-27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복합센서 하우징 |
KR20190020403A (ko) * | 2017-08-21 | 2019-03-04 | 장형욱 |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
KR101892999B1 (ko) * | 2017-11-28 | 2018-10-04 | (주) 글로벌텔레콤 | 미세먼지농도 측정기능을 갖춘 cctv 카메라를 이용한 미세먼지 예보데이터 생성방법과 그를 이용한 예보 시스템 |
KR101912624B1 (ko) * | 2018-05-18 | 2018-10-29 | 케이웨더(주) | 실외 공기질 측정장치 |
KR101956529B1 (ko) * | 2018-11-09 | 2019-03-12 |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 다기능 스마트 가로등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548931A (zh) * | 2024-07-25 | 2024-08-27 | 晓雨(北京)科技有限公司 | 主动进气式温湿度传感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3201014B2 (en) | Conductor Rail System with Control Line | |
KR102386451B1 (ko) |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 |
US11776260B2 (en) | Facility occupancy detection with thermal grid sensor | |
US20030229474A1 (en) | Monitoring apparatus | |
CN107660290A (zh) | 用于建筑物系统的销售、安装和维护的集成系统 | |
CN106325245A (zh) | 智慧平台的控制方法和系统 | |
KR101654945B1 (ko) | 방재 단말장치 | |
KR102039291B1 (ko) | 생활 밀착형의 미세먼지 측정 정보 제공 시스템 | |
CN112363406B (zh) | 基于视觉传感器的智能控制方法 | |
WO2006097920A2 (en) | System for deterring intruders | |
JP7430270B2 (ja) | 天井及びダウンライトキャビティと接続した配置のために構成された撮像装置及び筐体 | |
JP2017061830A (ja) | 自動ドアシステム | |
EP0562948A1 (en) | Housing assembly for housing a surveillance television camera | |
KR102561220B1 (ko) |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맨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 |
CN109615815A (zh) | 一种火灾预警及逃生环境监控集成系统 | |
KR101723885B1 (ko) | 창 외면 부착형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IoT 홈케어 시스템 | |
KR102095986B1 (ko) | 화재 조기 감지 및 안전 대피 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 | |
US20210325010A1 (en) | Smart Recessed Light | |
KR20180022316A (ko) | 360도 영상처리 카메라 | |
CN109272701B (zh) | 一种带有监控的火灾探测器 | |
KR100750651B1 (ko) | 층수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수표시방법 | |
CN107360070A (zh) | 一种基于无线传感网的智能家居环境监测系统 | |
KR20060101577A (ko) |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제어 무인 이동감시 카메라 | |
US20100259613A1 (en) | Watching camera | |
CA3180627A1 (en) | Laser device and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