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403A -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403A
KR20190020403A KR1020170105311A KR20170105311A KR20190020403A KR 20190020403 A KR20190020403 A KR 20190020403A KR 1020170105311 A KR1020170105311 A KR 1020170105311A KR 20170105311 A KR20170105311 A KR 20170105311A KR 20190020403 A KR20190020403 A KR 20190020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camera
unit
concentr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욱
왕상현
Original Assignee
장형욱
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욱, 왕상현 filed Critical 장형욱
Priority to KR102017010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0403A/ko
Publication of KR2019002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 농도를 카메라의 영상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외출을 자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먼지 및 황사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이 급격하게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Cameras with fine dust detec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카메라의 영상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미세먼지 농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로 대기중에 오랫동안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직경 10㎛ 이하의 입자상 물질로,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또는 제조업, 자동차 매연 등의 배출가스에서 나오는 대기오염물질이다.
입자의 크기에 따라 직경 10㎛ 이하인 미세먼지(PM 10), 직경 2.5㎛ 이하인 초미세먼지로 나뉘며, 미세먼지는 질산염, 암모늄, 황산염 등의 이온 성분과 탄소화합물, 금속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 중 디젤에서 배출되는 BC(Black Carbon)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또한,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될 경우 면연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은 물론 심혈관 질환, 피부질환, 안구질환 등 각종 질병에 노출될 수 있고, 특히 직경 2.5㎛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인체 내 기관지 및 폐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기 쉬워 기관기, 폐 등에 붙어 각종 질환을 유발한다.
상기 미세먼지(PM 10) 예보 등급은 좋음(0~30㎍/㎥), 보통(31~80㎍/㎥), 나쁨(81~150㎍/㎥), 매우나쁨(151㎍/㎥~) 등으로 나뉘고, 초미세먼지(PM 2.5)는 좋음(0~15), 보통(16~50), 나쁨(51~100), 매우나쁨(101~) 등으로 나뉘며, 미세먼지 등급에 따라 실외 활동 자제 및 제한하는 행동 요령이 발표되고 있다.
상기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방사선 또는 빛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베타선 흡수법, 광산란법)과 미세먼지의 질량을 저울로 직접 측정하는 방법(중량농도법)이 있다.
상기 베타선 흡수법은 방사선인 베타선이 어떤 물질을 통과할 때 그 물질의 질량이 클수록 더 많이 흡수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채취한 여과지(필터)에 흡수된 베타선의 양을 측정하고 그 값으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를 구하는 방식이며, 상기 광산란법은 물질에 빛을 쪼이면 빛이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흩어진 빛의 양을 측정하고 그 값으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를 구하는 방식이며, 중량농도법은 24시간 동안 시료를 채취하여 여과지(필터)에 모인 물질 중 그 크기가 직경 2.5㎛ 보다 작은 미세먼지의 질량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상기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0692호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폰과 결합된 미세먼지 센서 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 방법이 공개된 바 있다.
선 공개된 특허는 스마트폰에 연결된 미세먼지 센서를 통해 미세먼지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치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계산하고 데이터화하여 스마트폰에 표출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 공개된 특허는 미세먼지 센서에서 측정된 수치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계산하여야 함으로써, 측정 장치와 스마트폰의 상호 접속에 의하여만 가능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표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27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카메라의 영상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 감시센서를 카메라에 장착하는 구조를 간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센서와;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를 출력부로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전송부로부터 전송되는 미세먼지 농도를 카메라의 영상촬영부로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영상촬영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의 하단부에 미세먼지 감지센서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를 수용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카메라 저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를 비교하도록 기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음성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 농도를 카메라의 영상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외출을 자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먼지 및 황사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이 급격하게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사용자들에게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의 하단부에 장착부를 형성하여 미세먼지 감지센서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증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 본 발명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100)는, 카메라(110), 미세먼지 감지센서(120), 전송부(130),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110)는 영상을 촬영하는 장비로, 본체(111), 영상촬영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1)는 제어부 및 영상촬영부(112)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감싸도록 함체상으로 형성되며, 건물의 측벽 및 지주에 설치된다.
상기 영상촬영부(112)는 상기 본체(1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기기이며, 힌지(미도시)를 통해 본체(111)에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12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통상의 센서이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초 단위 및 분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미세먼지를 측정한다.
상기 전송부(130)는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120)에서 감지한 미세먼지의 농도를 출력부(14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송신부(131), 수신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131)는 상기 카메라(110)의 본체(111)에 설치되고, 상기 수신부(132)는 상기 카메라(110)의 영상촬영부(112)에 설치된다.
상기 출력부(140)는 상기 전송부(130)로부터 전송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카메라(110)의 영상촬영부(112)에서 출력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120)를 카메라(110)에 장착하는 장착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150)는 상기 미세먼지 감시센서(120)를 수용하는 브라켓(151)과, 상기 브라켓(151)을 카메라(1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5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120)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를 비교하도록 기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기준값보다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음성발생부(170)을 더 포함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미세먼지 감지센서(120)를 장착부(150)의 브라켓(15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51)을 전송부(130)와, 출력부(140)가 구비된 카메라(110) 본체(111)에 고정부재(152)로 고정한다.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120)와 본체(111)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의 제어부는 전선으로 연결하는데, 상기 전선이 이동하도록 본체(111)에 통공(미도시)이 관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120)가 장착부(150)에 의해 카메라(110)에 장착되어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100)가 형성되면, 상기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100)를 건물의 벽체 및 지주의 상단부에 설치한다.
상기 벽체 및 지주의 상단부에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100)가 설치되면, 카메라(110)의 본체(111)의 일측에 설치된 영상촬영부(112)는 힌지(미도시)를 통해 본체(111)에서 일정각도 회전되면서 영상촬영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영상촬영부(112)에서 촬영한 영상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메모리와 연결된 컴퓨터에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촬영부(112)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상태에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미세먼지 감지센서(120)에서 감지하는데,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120)는 초단위 및 분단위 또는 시간단위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120)에서 감지한 미세먼지 농도는 전송부(130)의 송신부(131)를 통해 영상촬영부(112) 내의 수신부(132)로 전송된 후, 수신부(132)에서 수신한 미세먼지 농도의 데이터를 영상촬영부(112) 내의 출력부(140)에서 출력하는데, 상기 출력부(140)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데이터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과 같이, 상기 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미세먼지 기준값과 비교하여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값 이하일 경우, 음성발생부(170)에서 경고음을 발생하지 않고,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발생부(170)에서 경고음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음성발생부(170)에서 발생하는 경고음에 의해 사용자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음을 확인하여 외출을 자제할 수 있으며, 상기 경고음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경고음을 반복하여 송출하므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음을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미세먼지 농도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일정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스마트폰으로도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110: 카메라 120: 미세먼지 감지센서
130: 전송부 140: 출력부
150: 장착부 160: 메모리부
170: 음성발생부

Claims (5)

  1.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센서와;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를 출력부로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전송부로부터 전송되는 미세먼지 농도를 카메라의 영상촬영부로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하단부에 미세먼지 감지센서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를 수용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카메라 저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를 비교하도록 기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음성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KR1020170105311A 2017-08-21 2017-08-21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KR20190020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11A KR20190020403A (ko) 2017-08-21 2017-08-21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11A KR20190020403A (ko) 2017-08-21 2017-08-21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03A true KR20190020403A (ko) 2019-03-04

Family

ID=6576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11A KR20190020403A (ko) 2017-08-21 2017-08-21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04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448A (ko) * 2020-06-02 2021-12-09 정재환 외부기기 제어 및 차량번호판 인식기능을 가진 영상감시장치
KR102382836B1 (ko) 2021-08-05 2022-04-08 주식회사 태영정보 광산란방식의 미세먼지 측정장치 일체형 cctv 카메라 시스템
KR102386451B1 (ko) * 2020-11-10 2022-04-14 이노디지털(주)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US11475552B2 (en) * 2019-12-03 2022-10-18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uspended dust concentr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725A (ko) 2005-04-27 2006-11-02 주식회사 팬택 미세먼지 농도 측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725A (ko) 2005-04-27 2006-11-02 주식회사 팬택 미세먼지 농도 측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5552B2 (en) * 2019-12-03 2022-10-18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uspended dust concentration
KR20210149448A (ko) * 2020-06-02 2021-12-09 정재환 외부기기 제어 및 차량번호판 인식기능을 가진 영상감시장치
KR102386451B1 (ko) * 2020-11-10 2022-04-14 이노디지털(주) 시각정보 연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KR102382836B1 (ko) 2021-08-05 2022-04-08 주식회사 태영정보 광산란방식의 미세먼지 측정장치 일체형 cctv 카메라 시스템
KR20230021564A (ko) 2021-08-05 2023-02-14 주식회사 태영정보 광산란방식의 미세먼지 측정장치 일체형 cctv 카메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0403A (ko) 미세먼지 감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KR101317982B1 (ko) 원격먼지측정시스템
Northcross et al. A low-cost particle counter as a realtime fine-particle mass monitor
JP5372924B2 (ja) β線煙塵濃度測定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試料の有効性確認方法
JP2007057360A (ja) 粒子検出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粒子検出方法
US20070192041A1 (en) Digital gas detector and noise reduction techniques
CN101135630B (zh) 颗粒探测器及其方法以及烟雾探测器
CN106153512A (zh) 复合环境传感器
CN104792671B (zh) 颗粒物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7134106A (zh) 一种电子吸气式感烟火灾探测器
WO2016197300A1 (zh) 一种高精度的微型化颗粒物传感器
CN201508310U (zh) 一种电解铜箔生产的在线检测装置
US9645049B2 (en) Soot generating device
CN104792676B (zh) 采用电离法测量空气纳米级颗粒浓度的方法
CN108680476A (zh) 一种颗粒物浓度检测装置
CN209117532U (zh) 一种车载扬尘在线监测仪
CN106290089A (zh) 一种高精度的微型化颗粒物传感器
JP6987309B1 (ja) インサイチュレスピレータフィットテスト
CN213881742U (zh) 基于平行光覆盖的烟丝输送监测装置
CN105203439B (zh) 空气净化控制方法及装置
CN104089930B (zh) 一种激光后散射式烟尘监测系统
CN208206729U (zh) 一种无风扇激光型灰尘传感器
CN112485168A (zh) 一种留样带以及飞沫浓度实时监测装置
CN213183022U (zh) 一种火灾监测装置
CN106153509A (zh) 激光成像空气颗粒物含量检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