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096A -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 Google Patents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096A
KR20190002096A KR1020170082513A KR20170082513A KR20190002096A KR 20190002096 A KR20190002096 A KR 20190002096A KR 1020170082513 A KR1020170082513 A KR 1020170082513A KR 20170082513 A KR20170082513 A KR 20170082513A KR 20190002096 A KR20190002096 A KR 20190002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ar
mat member
present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9478B1 (ko
Inventor
김승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엔씨
Priority to KR102017008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4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배치되는 카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차량 개조 없이 빛을 조사하여 차량의 실내 환경 및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PVC 수지 재질의 합성수지사가 적층 및 가압되어 형성되고 일체화되며 조직이 성긴 상측의 탄성부와 조직이 치밀한 하측의 평탄부로 이루어진 매트부재와, 내측에 상기 매트부재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매트부재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매트부재의 외형을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로 이루어진 상부체와; 상기 매트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체의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와 일체화되는 하부체;와 상기 테두리 부재를 따라 상부체에 둘러져서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체는 와이어형 광원과 상기 광원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Car mat whit luminous elemen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배치되는 카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차량 개조 없이 빛을 조사하여 차량의 실내 환경 및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바닥에는 직물로 직조된 바닥매트가 장착되어 실내바닥을 보호하고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 자동차의 실내바닥에는 실내를 아늑하게 유지시켜 탑승자가 보다 안락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탑승자의 신발에 묻어있는 이물질이 자동차매트로 떨어져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동차매트가 장착된다.
그리고 종래의 자동차매트는 주로 직물로 직조된 직물매트를 사용하였으며, 직물매트는 부드러우나 유입되는 흙이나 먼지 등이 직물매트의 내부로 쉽게 침투하게 되고, 직물매트의 내부로 침투한 흙이나 먼지 등은 쉽게 털어내거나 세척할 수 없으며, 털어내거나 세척하더라도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27098호(자동차 매트 제조방법)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12100호(자동차용 매트)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12101호(자동차용 매트)가 제시되었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27098호(자동차매트 제조방법)는 자동차용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질의 기지체에 항균제를 배합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된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된 원료를 소정폭과 두께로 길게 판상으로 성형하는 카렌더링 단계, 상기 카렌더링된 판을 롤러 성형기로 성형하여 다수개의 돌출요소가 몸체에 구비되는 원판을 성형하는 원판 성형단계, 상기 원판을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절단된 원판을 열처리기에 의해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열처리단계는 절단된 원판을 열 가마에 다단으로 적재하고 120˚내지 160˚의 온도로 150초 내지 500초 동안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다수개의 돌출요소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받침판을 성형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12100호(자동차용 매트)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12101호(자동차용 매트)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복수의 넓은 구멍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상부매트와, 상기 상부매트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복수의 좁은 오목홈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하부매트로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매트는 상부매트와 하부매트의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매트와 하부매트를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하부매트에 모여진 이물질이 자동차의 주행중 발생하는 충격이나 사용자의 탑승시 상부로 다시 재배출되어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자동차용 매트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매트(1)의 관통공(1a)을 통해 유입되는 흙, 먼지 등의 이물질(x)이 상기 상부매트(1)의 관통공(1a)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하부매트(3)의 수용홈(3a)에 수용된 후 자동차의 주행이나 사용자의 충격에 따라 상기 하부매트(3)의 수용홈(3a)에 형성된 이물질이 관통공(1a)을 따라 상부로 배출되어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3a)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매트를 사람이 밟으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흐르면서 이물질(x)은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그대로 배출되어서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본 발명의 우선권주장의 기초가 되는 출원(특허출원 10-2015-0140890)에서 새로운 형태의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를 제시하였으나, 상기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는 제조과정에서 매트부재의 강성이 약해서 처지거나 흐트러질 수 있고, 벨크로재와의 봉제과정에서 매트부재가 쭈글쭈글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매트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상유지부재(상기 특허출원의 도 6 참조)를 설치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088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908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때 하부에서 빛을 비추게 하여 운전자의 안전한 승차를 보조하면서도 차량의 운행중에는 차량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차량 실내의 분위기를 미려하고 은은하게 구현할 수 있는 카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차량 개조 혹은 실내 트림의 손상 없이 카 매트를 자체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비용절감 및 활용도가 큰 카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매트의 내부에 남아 있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매트를 밟을 때 발생하는 공기 유동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매트 외부로 빠져나와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벨크로 구조를 이용하여 매트부를 바닥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매트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청소가 용이한 카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이물질이 수용 및 적층되는 여유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매트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 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부체를 구성하는 테두리 부재의 일부를 벨크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재료 사용량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 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부재의 하측 부분을 강화하여 매트부재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매트부재가 처지지 않도록 한 카 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PVC 수지 재질의 합성수지사가 적층 및 가압되어 형성되고 일체화되며 조직이 성긴 상측의 탄성부와 조직이 치밀한 하측의 평탄부로 이루어진 매트부재와, 내측에 상기 매트부재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매트부재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매트부재의 외형을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로 이루어진 상부체와; 상기 매트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체의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와 일체화되는 하부체;와 상기 테두리 부재를 따라 상부체에 둘러져서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체는 와이어형 광원과 상기 광원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외피의 일측이 테두리 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체는 테두리 부재의 하면과 매트부재의 상면에 개재된 상태에서 박음질 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외피와 일체를 이루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 부재의 저면에 벨크로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하부체의 가장자리 상면에도 벨크로 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가 벨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 부재는 상면부와 측면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재질의 테두리와 상기 하부체의 가장자리 상면에 부착된 벨크로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 부재로 이루어진 저면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매트부재의 평탄부는 가열 롤러에 의해 적층된 합성수지사의 일부가 녹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매트부재의 평탄부는 적층된 합성수지사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매트부재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범위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범위로 형성되는 수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재가 적어도 3층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바닥체는 상기 매트부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상면에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 또는 다수의 지지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 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요홈부가 상기 매트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재와 테두리 부재가 요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 매트는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때 하부에서 빛을 비추게 하여 주변이 어둡더라도 운전자의 안전한 승차를 보조할 수 있고 차량의 운행중에는 차량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차량 실내의 분위기를 미려하고 은은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차량 개조 혹은 실내 트림의 손상 없이 카 매트를 자체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비용절감 및 활용도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 연장부를 일정면적 형성함으로써 발광체를 고정할 때 박음질을 통해 테두리 부재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되면서도 박음질이 형성되는 위치를 충분히 선점할 수 있어 박음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외피에 내설된 부재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트부재를 구비한 상부체가 하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부체와 하부체를 분리하여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음은 물론 매트부재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매트부재 저부의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매트부재의 상측으로 빠져나와 발생하는 실내 오염이 방지되고, 매트부재에 조직이 치밀한 평탄부가 구비되어 매트부재의 강도가 향상되어 처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상부체와 하부체가 벨크로 구조에 의해 벨크로 결합되므로, 상부체와 하부체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청소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상부체를 구성하는 테두리 부재의 일부가 벨크로 구조로 형성될 경우 별도의 벨크로 부재를 부착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테두리 부재의 일부가 생략되어 재료가 절감되고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매트부재가 다수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이루어져 쉽게 분리되지 않음은 물론 수평부재가 3회 이상 적층됨에 따라 매트 하부의 이물질이 매트의 상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되고 일정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하부체의 바닥체 상면에 지지리브 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매트부재를 지지함에 따라 매트부재의 처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상부체의 매트부재와 테두리부재가 요철 결합되어 상부체가 견고한 구조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 매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카 매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부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매트부재의 탄성부 형상을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매트부재의 평탄부 형상을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체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카 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카 매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압롤과 가열롤이 도시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의 카 매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제 분사기가 도시된 참고도.
도 12는 종래의 자동차용 매트에서 이물질이 배출되는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 매트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카 매트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C 수지 재질의 합성수지사가 불규칙적으로 적층 및 가압되어 형성되고 일체화되며 조직이 성긴 상측의 탄성부(11a)와 조직이 치밀한 하측의 평탄부(11b)로 이루어진 매트부재(11)와, 내측에 상기 매트부재(1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매트부재(1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매트부재(11)의 외형을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12)로 이루어진 상부체(10)와; 상기 매트부재(1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체(21)의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 부재(1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10)와 일체화되는 하부체(20);와 상기 테두리 부재(12)를 따라 상부체(10)에 둘러져서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3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부체(10)의 둘레를 따라 둘러지는 발광체(300)가 빛을 발광할 수 있게 되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카 매트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고 카 매트가 위치한 바닥면으로부터 빛이 조사되기 때문에 차량 실내의 분위기를 미려하고 은은하게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후술되는 연장부(33)를 통해 발광체(30)가 상부체(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발광체(30)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광체(3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1), 외피(32) 및 연장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광원(31)은 바람직하게 공지된 와이어형의 유기 EL(Electro Luminenescence)이 채용되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투명튜브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일렬로 배열된 다이오드 발광튜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외피(31)는 내부로 내설되는 부재들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카 매트의 형상에 따라 경로를 유연하게 절곡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는 투명한 실리콘이나 고무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합성수지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외피(32)는 상기 광원(31)을 감싸 보호하는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피(32)의 내측으로는 발광체(30)의 형태를 유지하는 보강와이어가 내설될 수도 있고 광원(3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이 부가적으로 내설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체(30)는 테두리 부재(12)를 따라 부착되는데 발광체(30)와 테두리 부재(12)를 부착하는 부착수단으로는 일반적인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발광체(30)가 테두리 부재(12)의 하면과 매트부재의 상면에 연장부(33)가 개재된 상태에서 박음질되는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다음으로, 연장부(32)는 외피(32)의 접선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고 외피(32)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때, 연장부(32)는 발광체(30)가 테두리 부재(12)를 따라 박음질 될 수 있도록 일정면적을 형성한 것으로써 발광체(30)를 고정할 때 박음질을 통해 테두리 부재(12)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되면서도 박음질이 형성되는 위치를 충분히 선점할 수 있어 박음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외피(32)에 내설된 부재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광원(31)의 광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통해 광원(31)의 광량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차량의 퓨즈박스와 직접 연결하거나, 차량의 시거잭에 연걸할 수 있도록 소켓 등이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발광체(30)를 통해 차량의 개조 없이 차량의 실내를 미려하게 구현할 수 으므로 비용절감 및 활용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때 하부에서 빛을 비추게 하여 주변이 어둡더라도 운전자의 안전한 승차가 가능하도록 작용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매트부재(11)의 하측이 조직이 치밀한 평탄부(11b)로 형성되어 강성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상기 테두리 부재(12)가 결합되면 그 형상이 오랫동안 유지된다. 이러한 평탄부(11b)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층된 합성수지사의 일부를 가열롤러로 녹이면서 가압하며, 접층된 합성수지사가 가열롤러에 의해 작용하는 열과 압력에 의해 녹은 후 서로 부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는 도 5와 같이 조직이 성긴 탄성부(11a)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도 6과 같이 조직이 치밀한 평탄부(11b)로 이루어진 매트부재(11)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조직이 '성기다'와 '치밀하다'는 탄성부와 평탄부를 서로 비교하여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즉, 탄성부는 평탄부보다 조직이 성기다는 의미이고, 평탄부는 탄성부보다 조직이 치밀하다는 의미이다.
또, 적층된 합성수지사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롤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적층된 합성수지사의 일부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평탄부(11b)를 더욱 치밀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가열과 접착제 도포를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접착제로는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예로서 PVC와 이멀전 PVC(EPVC; Emulsion PVC)을 들 수 있다.
상기 상부체(10)와 하부체(2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는 매우 다양하지만, 벨크로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와 같이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저면에 벨크로 부재(13)가 부착되고 상기 하부체(20)의 가장자리 상면에도 벨크로 부재(25)가 부착되어 상기 상부체(10)와 하부체(20)가 벨크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저면에 벨크로 부재(13)를 부착하는 대신,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저면부를 벨크로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3과 같이, 상면부와 측면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재질의 테두리(12a)와 상기 하부체(20)의 가장자리 상면에 부착된 벨크로 부재(2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 부재로 이루어진 저면부(12b)가 일체화되어 상기 테두리 부재(12)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테두리 부재(12)에 벨크로 부재(13)를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테두리 부재(12)의 일부를 생략할 수 있어 재료비와 중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매트부재(11)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범위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범위로 형성되는 수직부재가 서로 얽혀져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가 적어도 3층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매트부재(11)의 틈새로 유입된 흙이나 먼지가 반동에 의해 상측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매트부재(11)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하부체(20)와 상부체(10)의 결합으로 인해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 공간은 매트부재(11)를 통해 유입된 흙이나 먼지가 적층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매트부재(11)를 밟았을 때 매트부재(11)로부터 흙이나 먼지가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여유 공간으로 인해 상기 매트부재(11)와 바닥체(21)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매트부재(11)가 처질 수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체(21)는 상기 매트부재(11)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상면에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22) 또는 다수의 지지돌기(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리브(22)는 도 7의 (a)와 같이 경사진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돌기(23)는 도 7의 (b)와 같이 규칙적으로 형성하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카 매트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10)를 구성할 때,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내측으로 복수의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에 각각 대응하는 요홈부(11')가 상기 매트부재(11)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부재(11)와 테두리 부재(12)가 요철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테두리 부재(12)를 매트부재(11)가 삽입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하지 않고도, 상기 매트부재(11)와 테두리 부재(12)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카 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부재(11)의 가장자리에 테두리 부재(12)를 결합시켜 상부체(1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테두리 부재(1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체(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체(20)에 상부체(1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카 매트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체(10)를 형성하는 단계는 PVC 원재료를 용융시키는 단계와, 용융된 원재료를 이동형 노즐에 통과시켜 합성수지사를 형성하고 이 합성수지사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불규칙적으로 적층한 후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합성수지사를 가압롤(51)과 가열롤(52) 사이로 통과시켜 성긴 조직의 탄성부(11a)와 치밀한 조직의 평탄부(11b)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의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매트를 원하는 형태로 재단하여 매트부재(11)를 완성하는 단계와, 매트부재(11)의 가장자리에 테두리 부재(12)를 결합시켜 상부체(10)를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냉각된 합성수지사를 가압 및 가열하기 전에 상기 가열롤(52)이 접하는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접착제로는 PVC와 이멀전 PVC(EPVC; Emulsion PVC)를 사용한다. 이는 상기 가압롤(51)과 가열롤(52)을 이용하여 합성수지사를 가압하면서 가열할 때 합성수지사가 녹아서 서로 부착됨과 아울러 접착제에 의해서도 합성수지사의 일부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평탄부(11b)의 강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열롤(52)의 온도는 대략 150~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열롤(52)의 온도가 150℃ 미만이면 합성수지사가 녹지 않아 평탄부(11b)를 형성할 수 없고, 상기 가열롤(52)의 온도가 250℃를 초과하면 합성수지사가 녹아 액체 상태로 변한 후 상기 가열롤(52)에 눌러 붙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접착제 도포시에는 냉각된 합성수지사를 뒤집어 아래쪽이 상면을 향하도록 한 사태에서 접착제 분사기(53)가 상측에서 접착제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도포하거나 롤러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이 합성수지사를 뒤집은 상태로 접착제를 분사할 경우에는 상기 가열롤(52)을 합성수지사의 상부에 배치하고 가압롤(51)을 합성수지사의 하부에 배치하여야 한다. 이는 상기 접착제 분사기(53)에서 분사되는 접착제가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합성수지사에 접착제가 자연스럽게 도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제 분사기(53)를 사용하지 않고 도포롤러(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합성수지사의 상측에 도포할 수도 있다.
또한, 합성수지사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가압롤(51)과 가열롤(52) 사이로 합성수지사를 통과시키기 전에, 냉각된 합성수지사를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로 통과시켜 평탄화시키는 단계를 먼저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냉각된 합성수지사를 평탄화시킨 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가열롤(52)을 이용하여 평탄부(11b)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매트부재(11)의 평탄도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카 매트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에 설치되어 운전자나 탑승객이 탑승하는 과정에서 신발 등으로부터 떨어지는 흙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신발 등으로부터 떨어지는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은 매트부재(11)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매트부재(11)의 하부로 유입되고, 다층 구조의 매트부재(11)로 인해 이물질이 매트부재(11)의 상측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상기 매트부재(11)의 하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하부체(20)의 바닥체(21)와 매트부재(11)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 공간(23)에 수용 및 적층되었다가 청소시 제거된다.
카 매트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하부체(20)로부터 상부체(10)를 분리하여 따로따로 세척하면 된다. 상기 상부체(10)의 경우에는 매트부재(11)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면 되고, 상기 하부체(20)의 경우에는 여유 공간(23)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바닥체(21)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면 된다. 이후, 건조가 완료된 상부체(10)를 하부체(20)에 벨크로 결합 방식으로 부착함으로써 카 매트의 청소를 완료한다.
이상에서는 카 매트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카 매트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학교 등에서 출입문 앞쪽에 설치하는 각종 매트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상부체
11...매트부재
11a...탄성부
11b...평탄부
11'...요홈부
12...테두리 부재
12a...테두리
12b...저면부
12'...돌출부
13...벨크로 부재
20...하부체
21...바닥체
22...지지리브
23...지지돌기
25...벨크로 부재
30...발광체

Claims (3)

  1. PVC 수지 재질의 합성수지사가 불규칙적으로 적층 및 가압되어 형성된 매트부재(11)와, 내측에 상기 매트부재(1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매트부재(1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매트부재(11)의 외형을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12)로 이루어진 상부체(10)와;
    상기 매트부재(1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체(21)의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 부재(1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10)와 일체화되는 하부체(20)와;
    상기 테두리 부재(12)를 따라 상부체(10)에 둘러져서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매트부재는 상부에 위치하는 탄성부(11a)와 상기 탄성부(11a)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11a)보다 조직이 치밀한 하부의 평탄부(1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30)는 와이어형 광원(31)과 상기 광원(31)을 감싸는 외피(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30)는 테두리 부재(12)의 하면과 매트부재(11)의 상면에 개재된 상태에서 박음질 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32)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외피(32)와 일체를 이루는 연장부(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KR1020170082513A 2017-06-29 2017-06-29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KR101959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13A KR101959478B1 (ko) 2017-06-29 2017-06-29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13A KR101959478B1 (ko) 2017-06-29 2017-06-29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96A true KR20190002096A (ko) 2019-01-08
KR101959478B1 KR101959478B1 (ko) 2019-07-02

Family

ID=6502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513A KR101959478B1 (ko) 2017-06-29 2017-06-29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4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31B1 (ko) * 2019-11-18 2020-06-23 이태일 대시보드용 발광커버
KR102593921B1 (ko) * 2022-07-12 2023-10-25 박태운 차량용 복합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571A (ja) * 2000-05-31 2001-12-11 Nissan Altia Co Ltd フロアマット
KR101000888B1 (ko) 2010-05-06 2010-12-13 주식회사 비디비 오토라인 차량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088B1 (ko) 2010-09-06 2011-06-08 주식회사 대경화학 이브이에이 발포 수지를 이용한 자동차용 바닥매트 제조방법
KR20160030647A (ko) * 2014-09-11 2016-03-2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571A (ja) * 2000-05-31 2001-12-11 Nissan Altia Co Ltd フロアマット
KR101000888B1 (ko) 2010-05-06 2010-12-13 주식회사 비디비 오토라인 차량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088B1 (ko) 2010-09-06 2011-06-08 주식회사 대경화학 이브이에이 발포 수지를 이용한 자동차용 바닥매트 제조방법
KR20160030647A (ko) * 2014-09-11 2016-03-2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31B1 (ko) * 2019-11-18 2020-06-23 이태일 대시보드용 발광커버
KR102593921B1 (ko) * 2022-07-12 2023-10-25 박태운 차량용 복합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478B1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478B1 (ko)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RU2440895C2 (ru) Самозакрывающаяся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вставка (варианты), применение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вставки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P2215919B1 (en) Waterproof and breathable sole for shoes, and shoe manufactured with such sole
US20160073728A1 (en) Item of footwear with ventilation in the bottom region of the shaft, and air-permeable spacer structure which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KR20100102104A (ko) 조명 특징부를 가진 실내 구성부품
EP2307605B1 (en) Dust mite killing carpet
KR101218187B1 (ko) 코일쿠션매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보조 매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68521A (ja) 蓄光性ゴム板とその蓄光性ゴム板を用いたマット及び蓄光性ゴム板の製造方法
KR101630862B1 (ko) 카펫용 패딩과 카펫-패딩 조합물
KR20170041610A (ko)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
US6277233B1 (en) Customized cushioned floor ma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1661464B1 (ko)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24731B1 (ko) 대시보드용 발광커버
KR200484303Y1 (ko) 합성수지사 카 매트
KR101858235B1 (ko)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제조방법
KR200380481Y1 (ko) 자동차용 발광매트
US20190072247A1 (en) Lighting device for a component of a vehicle wash system
JPH11115629A (ja) 車両の床
KR20210000394A (ko) 바닥매트
KR200488967Y1 (ko) 출입구에 안전수단이 구비된 블로우 성형으로 제조되는 펫 하우스
KR101618060B1 (ko) 이중 매트
JP4601352B2 (ja) 装飾装置
KR101605499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내장재 제조방법
KR20200005117A (ko) 플라스틱 광섬유에 의해 발광되는 차량용 발광매트
US20020172800A1 (en) Sheet member for making shoes, bags, coats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