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647A - 차량용 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647A
KR20160030647A KR1020140120038A KR20140120038A KR20160030647A KR 20160030647 A KR20160030647 A KR 20160030647A KR 1020140120038 A KR1020140120038 A KR 1020140120038A KR 20140120038 A KR20140120038 A KR 20140120038A KR 20160030647 A KR20160030647 A KR 20160030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ortion
ball
photocatalytic
mat
photo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신상철
이성민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0647A/ko
Publication of KR20160030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매트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는 하부패드부, 상기 하부패드부의 상부에 적층되고,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중간패드부, 상기 관통홀부에 장착되고, 자외선에 의해 산화제를 생성시키는 광촉매볼, 및 상기 중간패드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패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매트{MAT FOR VEHICLES}
본 개시(disclosure)는 차량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공기 오염을 완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승차자의 신발에 붙어 유입되는 흙이나 먼지, 기타 이물질 등이 주변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바닥 시트 등이 오염되거나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차량용 매트는 대부분 연질의 고무, PVC 등으로 성형되는 패드부의 상면에 일정길이의 섬모가 식재된 카페트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매트는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섬모에 붙어있게 되므로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면서 매트 자체가 오염될 뿐 아니라, 이물질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차량 내부 공기의 오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한편, 본 개시된 기술과 관련되는 구체적인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3665호(2013.06.17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청정매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개시는 차량 내부의 공기 오염을 완화시키고, 매트에 남아있는 이물질에 대해 항균작용을 할 수 있는 차량용 매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관점에 따르는 차량용 매트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는 하부패드부; 상기 하부패드부의 상부에 적층되고,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중간패드부; 상기 관통홀부에 장착되고, 자외선에 의해 산화제를 생성시키는 광촉매볼; 및 상기 중간패드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패드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차자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상부패드부를 통해 중간패드부에 형성된 관통홀부로 유입, 수집되므로, 이물질이 외부로 노출, 분산되지 않아 승차자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패드부에 자외선에 의해 산화제를 생성시키는 광촉매볼을 장착하고, 하부패드부에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함으로써 광촉매 작용에 의해 공기의 살균, 탈취작용을 구현할 수 있고, 차량 내부의 공기 오염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된 도로상의 각종 먼지와 공해물질, 세균, 담배 연기나 음식물 등의 냄새가 차량의 내부에 잔류되어 승차자에게 불쾌감을 끼침과 더불어 승차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것을 해결하여 차량의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결합부를 이용해 하부패드부로부터 중간패드부를 상호 분리시키고, 하부패드부를 털어내는 것에 의해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 제거할 수 있으며, 청소 후에는 하부패드부와 중간패드부를 다시 상호 결합시킨 상태로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술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공기 오염을 완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매트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매트는 하부패드부(1), 중간패드부(2), 광촉매볼(3), 상부패드부(4), 착탈결합부(5)를 포함한다.
하부패드부(1)는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매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상부패드부(4)를 통해 중간패드부(2)로 유입된 이물질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한다. 하부패드부(1)상에는 광촉매볼(3)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가 구비된다. 중간패드부(2)는 상부패드부(4)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수용, 수집될 수 있는 수집공간부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홀부(21)를 구비하여 하부패드부(1)의 상부에 적층된다.
광촉매볼(3)은 광촉매 소재를 포함하여 관통홀부(21)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광촉매볼(3)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관통홀부(21)의 내부에 빼곡하게 채워진다. 광촉매볼(3)이 하부패드부(1)측에서 조사된 자외선에 노출되면, 수산화라디칼과 같은 산화제를 발생시키는 광촉매 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 중의 유기물질을 살균, 탈취하게 된다. 상부패드부(4)는 중간패드부(2)를 상부에서 커버하는 부분으로, 중간패드부(2)의 상부에 적층된다. 상부패드부(4)는 이물질은 통과할 수 있으면서 광촉매볼(3)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메쉬(mesh)를 가진다. 착탈결합부(5)는 하부패드부(1), 중간패드부(2), 상부패드부(4)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하부패드부(1)는 안착패드부(11)와 자외선조사부(12)를 포함한다.
안착패드부(11)는 중간패드부(2)와 광촉매볼(3), 중간패드부(2)로 유입된 이물질이 안착되는 안착면과, 자외선조사부(12)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면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안착패드부(11)는 합성수지, 고무, 섬유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연성과, 자외선조사부(12)와의 절연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패드부(11)를 연성 소재로 구성하면 차량의 바닥 형상에 맞추어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차량의 바닥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볼(3)이 사용자의 체중 등에 의해 압박되는 경우 안착패드부(11)가 쿠션의 기능을 하게 되어, 광촉매볼(3)이 압박됨에 따른 광촉매코팅층(3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안착패드부(11)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고, 자외선조사부(12)는 연성 기판상에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를 설치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패드부(11)로부터 중간패드부(2)를 이격시키면, 광촉매볼(3)과 이물질이 안착패드부(1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된다. 안착패드부(11)의 가장자리부를 상측으로 구부리면 안착패드부(11)의 중간부측으로 광촉매볼(3)과 이물질의 이동을 유도함으로써, 안착패드부(11)의 상부에 분산되게 위치된 광촉매볼(3)과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또한, 안착패드부(11)의 양측부를 상측으로 구부리고 안착패드부(11) 전체를, 수거용기가 위치된 일측으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광촉매볼(3)과 이물질을 수거용기상에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안착패드부(11)로부터 중간패드부(2)를 이격시키면, 안착패드부(11)의 상부에는 광촉매볼(3)과 이물질이 공존된 상태로 남게되는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광촉매볼(3)과 이물질을 함께 수거한 경우, 광촉매볼(3)을 세척하는 과정 중에 그 세척액에 의해 이물질이 자연히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패드부(1)와 같이 이물질은 통과할 수 있으면서 광촉매볼(3)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메쉬를 가지는 메쉬부재를 이용하여 광촉매볼(3)과 이물질을 1차적으로 상호 분리시킨 후, 광촉매볼(3)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광촉매볼(3)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안착패드부(11)는 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경질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안착패드부(11)를 경질 소재로 구성하면 안착패드부(11)를 일정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고, 자외선조사부(12)를 중간패드부(2)로부터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할 수 있어, 중간패드부(2)의 전반에 걸쳐 분산되게 장착된 광촉매볼(3)에 자외선을 보다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
안착패드부(11)의 상부에 광촉매볼(3)의 이동을 구속하는 복수개의 홈부를 형성하면, 안착패드부(11)로부터 중간패드부(2)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광촉매볼(3)이 의도치 않게 굴러서 이동되면서 안착패드부(1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패드부(11)는 중간패드부(2)와 광촉매볼(3)을 안착시킬 수 있고, 자외선조사부(12)를 설치할 수 있다면, 단순한 매트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자외선조사부(12)는 광촉매볼(3)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부분으로, 광촉매볼(3)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를 구비하여 안착패드부(11)상에 설치된다. 자외선조사부(12)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광촉매볼(3)에 포함된 광촉매 소재에 작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산화, 분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자외선조사부(12)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이 탑재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는 중간패드부(2)의 전반에 걸쳐 분산되게 장착된 광촉매볼(3)에 자외선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안착패드부(11)상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는 광촉매볼(3)에 작용하여 수산화 라디칼과 같은 산화제를 생성시킬 수 있는 300 내지 40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광촉매용 다이오드는 광촉매를 이용해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살균, 탈취하게 된다.
기판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를 설정 위치에 탑재할 수 있는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전원공급장치에서 전달받은 전원을 복수개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로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회로 등이 구비된다. 기판은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중간패드부(2)는 복수개의 관통홀부(21)가 그 전반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중간패드부(2)는 합성수지, 고무, 섬유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연성과, 자외선조사부(12)와의 절연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승차자의 신발 등에 붙어있는 흙, 먼지 등과 같은 외부의 이물질은 상부패드부(4)를 통과하여 관통홀부(21)의 내부로 인입되어 쌓이게 된다. 관통홀부(2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통홀부(21)는 육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복수개가 벌집(honeycomb) 형태로 배열된다.
수학적으로는 둘레가 일정할 때 넓이가 최대인 도형은 원이다. 그러나 원을 이어붙이는 경우 그 사이에 틈새가 생기기 때문에 평면을 덮을 수가 없다. 정다각형 중에서도 오직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만이 평면을 덮을 수 있는데,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은 같은 크기의 공간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정육각형에 비해 재료가 많이 소모되면서도 강성이 낮다. 따라서 관통홀부(21)는 최소량의 재료로 이물질과 광촉매볼(3)을 수용, 지지하기 위한 공간부와 강성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정육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적합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광촉매볼(3)은 볼(31)과 광촉매코팅층(32)을 포함하여, 자외선조사부(12)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볼(31)은 금속, 폴리머 및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관통홀부(2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입체 도형의 형상을 가진다. 볼(3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31)은 구(球)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는 복수개가 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육면체 등의 다른 입체 도형과 비교해, 그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므로 하측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볼(31)의 표면적에 대해 보다 확장된 면적에 걸쳐 도달될 수 있다.
광촉매코팅층(32)은 자외선에 의해 산화제를 생성시키는 티타늄산화물(TiO2), 아연산화물(ZnO), 텅스텐산화물(WO3) 및 지르코늄산화물(ZrO2) 등의 광촉매 소재를 포함하여, 볼(31)의 표면에 코팅된다. 광촉매코팅층(32)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와의 광촉매 작용에 의해 차량 내부의 공기를 살균, 탈취한다. 광촉매코팅층(32)은 공지의 증착법, 도포법, 딥핑(dipping)에 의해 볼(31)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광촉매는 빛을 활용하여 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이다. 본 개시에 따르는 광촉매 소재로는 탄소를 포함하는 유기물질을 산화시키는 티타늄산화물을 적용할 수 있다. 광촉매코팅층(32)에 포함된 티타늄산화물 입자는 자외선에 의해 일명 라디칼(radical)로 칭하는 산화제를 생성하게 되며, 이 라디칼이 유기물질을 산화시켜 탄산가스(CO2)와 수증기(H20) 등으로 분해시키게 된다. 화학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티타늄산화물을 적용하면 상기와 같은 거동을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부수적으로 발생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외선조사부(12)와 광촉매볼(3)은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살균, 탈취의 공기 정화의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광촉매볼(3)에는 피독(poisoning) 현상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피독이란 촉매 작용이 방해되어 촉매의 활성과 선택성이 현저하게 손상당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피독은 광촉매 반응의 부산물이 광촉매볼(3)의 표면에 축적되거나 흡착되어 광촉매 반응의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광촉매볼(3)의 표면에 축적되거나 흡착된 상태로 존재하는 광촉매 반응의 부산물은 산성 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광촉매볼(3)을 세척함에 있어서는, 알칼리 성질을 가지는 세척액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알칼리 용액은 산-염기 반응에 의해 광촉매볼(3)을 세정하게 된다.
이러한 광촉매볼(3)의 세정은, 소정의 알칼리 물질을 선택하는 과정, 알칼리 물질을 물에 용해하여 알칼리 수용액을 제조하는 과정, 알칼리 수용액에 광촉매볼(3)을 침지시키는 과정, 광촉매볼(3)을 수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진행될 수 있다.
알칼리 물질은 일 예로서,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차아염소산 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차아질산나트륨(sodium hyponitrite)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용매(240)는 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알칼리 물질을 용해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용매를 적용할 수 있다. 광촉매 소재로서 티타늄산화물을 적용하는 경우, 알칼리 용액은 PH 농도 11 초과 12 미만의 탄산나트륨 수용액일 수 있다. 알칼리 용액(260)에 침지하는 과정은, 일 예로서 약 30 분 내지 60 분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촉매 반응의 부산물이 산성 물질을 포함할 때, 알칼리 수용액은 산-염기 반응에 의해 산성 물질을 중화시켜 염을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염은 중성을 띠므로 광촉매볼(3)을 수세하는 것에 의해 광촉매볼(3)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광촉매볼(3)의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 소재를 재생시킬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부패드부(4)는 이물질은 통과할 수 있으면서도 광촉매볼(3)은 통과할 수 없도록 광촉매볼(3)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를 가진다. 상부패드부(4)는 합성수지, 고무, 섬유, 금속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패드부(4)를 합성수지, 금속과 같이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하면, 상부패드부(4)가 합성수지망, 금속망과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부패드부(4)는 중간패드부(2)의 상부에 이물질을 긁어서 분리시킬 수 있는 일정한 높이의 돌출부를 형성하게 된다. 승차자의 신발을 상부패드부(4)와 접촉시킨 상태로 쓸거나 문지르면, 신발에 붙어있는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부패드부(4)에 걸리면서 신발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되어, 상부패드(10)의 메쉬를 통해 중간패드부(2)의 관통홀부(21)로 낙하된다.
착탈결합부(5)는 하부패드부(1), 중간패드부(2), 상부패드부(4)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하부패드부(1), 중간패드부(2), 상부패드부(4) 각각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하부패드부(1), 중간패드부(2), 상부패드부(4)는 착탈결합부(5)에 의해 상호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고, 청소, 세척 등의 필요 시 착탈결합부(5)를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착탈결합부(5)로는 탈부착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부착력을 구현할 수 있는 벨크로(velcro)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패드부(1), 중간패드부(2), 상부패드부(4)가 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나, 하부패드부(1)와 중간패드부(2)의 사이에, 상부패드부(4)와 같이 이물질은 통과할 수 있으면서도 광촉매볼(3)은 통과할 수 없도록 광촉매볼(3)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를 가지는 이탈방지패드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탈방지패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 상호 결합된 상태의 이탈방지패드부, 중간패드부(2), 상부패드부(4)를 하부패드부(1)로부터 이탈시키면, 상부패드부(4)상에 이물질만이 남게 되어, 상부패드부(4)를 목적한 수거 위치로 이동시켜 털어내는 것에 의해 광촉매볼(3)과는 별도로 이물질만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이탈방지패드부나 상부패드부(4)를 중간패드부(2)로부터 이격시켜 광촉매볼(3)을 별도로 수거,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패드부, 중간패드부(2), 상부패드부(4)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즉 이탈방지패드부와 상부패드부(4)로 광촉매볼(3)의 이탈을 구속한 상태로, 이탈방지패드부, 중간패드부(2), 상부패드부(4), 광촉매볼(3)을 한꺼번에 세척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하부패드부 2 : 중간패드부
3 : 광촉매볼 4 : 상부패드부
5 : 착탈결합부 11 : 안착패드부
12 : 자외선조사부 13 :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21 : 관통홀부 31 : 볼
32 : 광촉매코팅층

Claims (7)

  1.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는 하부패드부;
    상기 하부패드부의 상부에 적층되고,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중간패드부;
    상기 관통홀부에 장착되고, 자외선에 의해 산화제를 발생시키는 광촉매볼; 및
    상기 중간패드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패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드부는
    상기 광촉매볼이 안착되는 안착패드부; 및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안착패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촉매볼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부는,
    육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벌집 형태로 배열되는
    차량용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볼은
    금속, 폴리머 및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볼;
    광촉매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의 표면에 코팅되는 광촉매코팅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코팅층은
    티타늄산화물(TiO2), 아연산화물(ZnO), 텅스텐산화물(WO3) 및 지르코늄산화물(Zr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드부는
    상기 광촉매볼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를 가지는
    차량용 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드부, 상기 중간패드부, 상기 상부패드부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
KR1020140120038A 2014-09-11 2014-09-11 차량용 매트 KR20160030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038A KR20160030647A (ko) 2014-09-11 2014-09-11 차량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038A KR20160030647A (ko) 2014-09-11 2014-09-11 차량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647A true KR20160030647A (ko) 2016-03-21

Family

ID=5565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038A KR20160030647A (ko) 2014-09-11 2014-09-11 차량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06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096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위엔씨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KR102593921B1 (ko) * 2022-07-12 2023-10-25 박태운 차량용 복합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096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위엔씨 발광수단을 구비한 카 매트
KR102593921B1 (ko) * 2022-07-12 2023-10-25 박태운 차량용 복합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4300B (zh) 清洗流體的裝置
EP2475404B1 (en) Method for disinfecting and deodorizing toilet system
US9974881B2 (e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JP5413104B2 (ja) 水洗大便器
KR20150142971A (ko) 이동식 공기청정기
KR100899785B1 (ko) 살균 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CN105283608A (zh) 用于小便池的防溅装置
KR20160030651A (ko) 공기 청정기
EP3328775B1 (en) Self cleaning elevator
KR20160030647A (ko) 차량용 매트
KR20150123037A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해충 트랩 장치
KR20160015083A (ko) 공기 청정기
JP2008073152A (ja) 乾燥装置
KR20150019189A (ko) 탈취 및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옷걸이 봉
KR102208024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개인용 살균장치
KR102206281B1 (ko)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2274900B1 (ko) 재생가능한 마스크
JP2010084356A (ja) 衛生洗浄装置
JP2010084353A (ja) 衛生洗浄装置
KR100535940B1 (ko) 공기정화기
US115714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air of an interior space by oxidizing a plurality of pollutant compounds
KR20150014822A (ko)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및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JP2009106464A (ja) 臭い吸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65561A (ja) 消臭およびvoc除去機能を有する繊維布帛。
KR100586652B1 (ko)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