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646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646A
KR20180137646A KR1020170076905A KR20170076905A KR20180137646A KR 20180137646 A KR20180137646 A KR 20180137646A KR 1020170076905 A KR1020170076905 A KR 1020170076905A KR 20170076905 A KR20170076905 A KR 20170076905A KR 20180137646 A KR20180137646 A KR 20180137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guide plate
plate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100B1 (ko
Inventor
이혜석
양병춘
유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100B1/ko
Priority to US15/920,841 priority patent/US10613266B2/en
Priority to CN201810606996.9A priority patent/CN109143679A/zh
Publication of KR2018013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7Illumination with ultraviolet light; Luminescent elements or materials associated to the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6Micro- or nano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9Function characteristic trans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및 가간섭성(Coherence)을 갖는 광을 상기 표시 모듈에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가간섭성을 갖는 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광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복수개의 반투과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광분할 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투과 플레이트들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 모듈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광변환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가 감소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모니터, TV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표시 패널의 측면에서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엣지형 및 표시 패널의 하부에서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직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엣지형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 및 광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광원은 도광판의 일 측에 배치되고,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표시 패널로 가이드 한다. 광원은 광원으로부터 생성되는 광의 형상에 따라, 점광원, 선광원 및 면광원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감소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및 가간섭성(Coherence)을 갖는 광을 상기 표시 모듈에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가간섭성을 갖는 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광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광분할 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들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 모듈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광변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광변환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변환 부재로부터 입사된 광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광학 필름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광학 필름은 복수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 각각은 평면 상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의 방향으로부터 45도 틸드된다.
상기 플레이트들은 상기 광원과의 거리가 멀수록, 투과도가 감소하고, 반사도가 증가한다.
상기 광분할 부재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광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전달부의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들이 배치된다.
상기 광변환 부재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분할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광분할 부재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프리즘바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리즘바는 경사면을 갖는 직각 삼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프리즘바는 상기 도광판과 결합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광분할 부재를 향하여 기울어진다.
상기 프리즘바의 굴절률은 상기 도광판의 굴절률과 동일하다.
상기 프리즘바는 상기 광분할 부재와 결합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을 향하여 기울어진다.
상기 광전달부의 굴절률은 상기 프리즘바의 굴절률과 동일하다.
상기 프리즘바는 상기 도광판과 결합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고, 상기 프리즘바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을 향하여 기울어지고,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과 상기 프리즘바의 상기 경사면은 전면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프리즘바의 굴절률은 상기 도광판의 굴절률과 상이하다.
상기 광변환 부재는, 상기 도광판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가간섭성을 갖는 광을 생성하는 광원 유닛 및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광을 확장시키는 광확장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광분할 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광이 입사되는 제1 면, 상기 광변환 부재와 대향하고, 상기 플레이트들에 의하여 반사된 광이 출광되는 제2 면,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4 면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광분할 부재는 상기 제3 면에 배치되는 제1 흡수 부재, 및 상기 제4 면에 배치되는 제2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변환 부재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광학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 및 상기 광학 필름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반사판 및 상기 광학 필름 사이에 도광 공간이 정의된다.
상기 도광 공간 및 상기 광분할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분할 부재와 평행하고, 상기 광분할 부재와 결합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고, 상기 광분할 부재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방향을 상기 반사판을 향하도록 변경시키는 프리즘바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반사판 및 상기 광학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 필름과 합지되어 상기 광학 필름을 지지하는 베이스 필름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들은 금속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광분할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변환 부재를 향하여 기울어진 지지면을 갖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은 상기 광분할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다.
상기 광원들은, 상기 광분할 부재의 일측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광원; 및 상기 광분할 부재의 타측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들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의 방향으로부터 45도 틸드된 복수의 제1 플레이트들, 및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의 방향으로부터 45도 틸드된 복수의 제2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2 플레이트들과 직각을 이룬다.
상기 제1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들은, 상기 광분할 부재의 중앙부와 가깝게 배치될수록 투과도가 감소하고, 반사도가 증가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2 플레이트들보다 상기 제1 광원과 인접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들은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들 각각은, 배면의 투과도가 전면의 투과도 보다 높다.
상기 표시 모듈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하여 홀로그램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표시 모듈은, 투과축을 갖는 제1 편광판, 상기 제1 편광판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고, 컬러필터층이 배치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 및 상기 액정층 및 상기 컬러필터층 사이에 배치되고, 흡수축을 갖는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필터층은 복수의 양자점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및 가간섭성(Coherence)을 갖는 광을 상기 표시 모듈에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가간섭성(Coherence)을 갖는 점광원 형태의 제1 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1 광을 선광원 형태의 제2 광으로 변환하는 광분할 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분할 부재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2 광을 면광원 형태의 제3 광으로 변환하는 광변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분할 부재는 상기 제1 광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광변환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사하는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가간섭성(Coherence)을 갖는 광을 생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입사된 광의 방향을 상부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상기 광원 및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광분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 각각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으로 제공하고, 상기 광의 또 다른 일부를 투과시켜 다른 인접한 플레이트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백라이트 유닛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8는 도 17의 백라이트 유닛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백라이트 유닛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 제 2 구성요소 또는 제 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윈도우 부재(100), 표시 모듈(200), 백라이트 유닛(BLU) 및 수납 부재(60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장치(1000)에서 영상이 제공되는 방향을 상부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부 방향의 반대 방향을 하부 방향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방향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3 방향(DR3)과 평행하다. 제3 방향(DR3)은 후술할 구성 요소들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하는 기준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상부 방향이나 하부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는 표시 모듈(200)이 제공하는 영상을 투과시킨다. 윈도우 부재(100)는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의 하부에 표시 모듈(200)이 배치된다. 표시 모듈(200)은 백라이트 유닛(BLU)으로부터 제공받을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평면 상에서, 표시 모듈(200)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과 평행한 변들로 이루어진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모듈(200)은 제1 방향(DR1)으로 장변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면 상에서, 표시 모듈(200)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상기 평면 상에서, 표시 모듈(200)의 중앙에 정의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200)은 홀로그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200)은 회절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 모듈(200)에 제공된 광은 표시 모듈(200)에 형성된 회절 패턴에 의해 회절됨으로써, 홀로그램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5에서 표시 모듈(2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백라이트 유닛(BLU)은 표시 모듈(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200)로 광을 제공한다. 백라이트 유닛(BLU)은 광원(LS), 광분할 부재(BSA), 광변환 부재(300) 및 광학 필름(400)을 포함한다.
광원(LS)은 광원 유닛(LSS) 및 광확장 부재(BE)를 포함한다.
광원 유닛(LSS)은 광을 생성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원 유닛(LSS)에서 생성되는 광은 가간섭성(Coherence)을 갖는 점광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광은 레이저(Laser)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광원 유닛(LSS)에서 생성되는 광은 단일한 진동수를 갖는 단색광이나 모든 성분이 동일한 위상으로 진행하는 다색광일 수 있다. 즉, 광원 유닛(LSS)은 점광원 LED 또는 LD(Laser Diode)일 수 있다.
광확장 부재(BE)는 광원 유닛(LSS)로부터 제공받은 광의 직경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광확장 부재(BE)는 오목 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확장 부재(BE)는 광의 횡단면 형상을 변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광확장 부재(BE)는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광원(LS)이 하나의 광원 유닛(LSS) 및 하나의 광확장 부재(BE)만을 포함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원(LS)은 복수의 광원 유닛(LSS) 및 복수의 광확장 부재(B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LS)이 포함하는 광학 소자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원(LS)은 광원 유닛(LSS) 및 광확장 부재(BE) 외의 다른 광학소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광학 소자들은 광 방향을 변경하는 거울 또는 빔 스플리터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광분할 부재(BSA)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다. 광원(LS)은 제2 방향(DR2)에서 광분할 부재(BSA)의 적어도 일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광분할 부재(BSA)는 제2 방향(DR2)에서 광확장 부재(BE)를 사이에 두고 광원 유닛(LSS)과 대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광분할 부재(BSA)는 제1 방향(DR1)에서 표시 모듈(200)의 일측 하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광분할 부재(BSA)는 표시 모듈(200)의 단변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분할 부재(BSA)는 제2 방향(DR2)에서 표시 모듈(200)의 일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광분할 부재(BSA)는 표시 모듈(200)의 장변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분할 부재(BSA)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며, 광원(LS)은 제1 방향(DR1)에서 광분할 부재(BSA)의 적어도 일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분할 부재(BSA)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광분할 부재(BSA)가 복수로 제공되어 표시 모듈(200)의 적어도 어느 두 변의 하측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면 상에서, 표시 모듈(200)의 표시 영역(DA)은 광분할 부재(BSA)와 중첩하지 않는다.
광원(LS)에서 생성된 광(제1 광)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진행하여 광분할 부재(BSA)로 입사된다.
광분할 부재(BSA)는 광전달부(BD) 및 복수의 플레이트들(MS_1~MS_n)을 포함한다. 광전달부(BD)는 가시 광선 영역에서 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광판(30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등의 투명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전달부(BD)는 글라스(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들(MS_1~MS_n)은 광전달부(BD) 내부에 배치된다. 플레이트들(MS_1~MS_n)은 광원(LS)으로부터 제공받은 점광원 형태의 광(제1 광)을 복수개의 광으로 분할하여 광변환 부재(300)를 향하여 출사한다. 점광원 형태의 광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제1 방향(DR1)을 따라 진행한다. 제1 방향(DR1)을 따라 진행하는 광들은 선광원 형태(제2 광)일 수 있다. 상기 선광원 형태의 광(제2 광)은 광변환 부재(300)로 입사된다. 광분할 부재(BSA)에 관하여, 이하 도 5 및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된다.
광변환 부재(300)는 표시 모듈(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평면 상에서, 광변환 부재(300)는 표시 모듈(200)의 표시 영역(DA)과 중첩한다. 광변환 부재(300)는 광원(LS)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을 상부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광변환 부재(300)는 도광판일 수 있다. 도광판(300)은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광판(300)은 가시 광선 영역에서 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광판(300)은 광분할 부재(BSA)의 광전달부(BD)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분할 부재(BSA)로부터 도광판(300)으로 입사된 광(제2 광)은 도광판(300) 내부에서 반사된다. 도광판(300) 내부에서 반사를 반복하던 광의 방향이 소정의 방향(임계각)에 도달할 경우, 상기 광은 상부로 출사될 수 있다. 이 때, 상부로 출사하는 광(제3 광)은 도광판(300)의 상면 전체에서 출사되므로, 면광원 형태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광판(300)은 도광판(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패턴은 도광판(30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사 패턴은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을 산란 또는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분할 부재(BSA)로부터 도광판(300)으로 입사된 광은 반사 패턴에 의하여 산란 또는 반사되어 도광판(300)의 상부로 출사될 수 있다.
광학 필름(400)은 표시 모듈(200) 및 광변환 부재(30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 필름(400)은 광변환 부재(300)와 합지되어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학 필름(400)은 광변환 부재(300)로부터 제공받은 광을 표시 모듈(20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광학 필름(400)은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절 패턴은 두 개 이상의 광의 간섭 현상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학 필름(400)은 HOE(Holographic Optical Eelements)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회절 패턴에 의하여, 광변환 부재(300)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방향을 표시 모듈(200)을 향하도록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BLU)은 프리즘바(P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바(PB)는 광분할 부재(BSA) 및 광변환 부재(300) 사이에 배치된다. 광분할 부재(BSA), 프리즘바(PB) 및 광변환 부재(30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된다.
프리즘바(PB)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을 갖는다. 프리즘 바(PB)는 도광판(300)의 입광면과 대향한다.
프리즘바(PB)는 광분할 부재(BSA)로부터 출사되어 도광판(300)으로 입사되는 광(제2 광)의 방향을 변경시킨다. 구체적으로, 프리즘바(PB)는 도광판(300)으로 입사되는 광(제2 광)이 도광판(300) 내에서 반사가 용이하도록 상기 광(제2 광)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리즘 바(PB)는 도광판(3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리즘바(PB)는 경사면을 갖는 직각 삼각 기둥 형상을 갖는다. 프리즘바(PB)의 경사면은 광분할 부재(BSA)를 향하여 기울어 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즘바(PB)는 도광판(300)으로부터 광분할 부재(BSA)를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리즘바(PB)는 도광판(300)과 결합되어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광분할 부재(BSA)에서 출사된 광(제2 광)은 프리즘바(PB)의 경사면에 입사되어 도광판(3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광판(300)의 굴절률은 프리즘바(PB)의 굴절률과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광판(300) 및 프리즘바(PB)의 굴절률은 1.4 내지 1.6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도광판(300), 광분할 부재(BSA)의 광전달부(BD) 및 프리즘바(PB) 각각의 굴절률이 서로 동일해도 무방하다. 즉, 도광판(300)이 제1 굴절률(n1)을 갖고, 광전달부(BD)가 제2 굴절률(n2)을 갖고, 프리즘바(PB)가 제3 굴절률(n3)을 갖는 경우, 제1 내지 제3 굴절률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수납 부재(600)는 표시 장치(1000)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BLU)을 수납한다. 수납 부재(600)는 바닥부(610) 및 바닥부(610)와 연결된 복수의 측벽부들(62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수납 부재(600)의 측벽부들(6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 상에 광분할 부재(BSA) 및 광원(LS)이 배치될 수 있다. 수납 부재(600)는 강성을 갖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몰드 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500)은 광학 필름(4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몰드 프레임(500)은 틀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몰드 프레임(500)은 광학 필름(400)의 상면 상에서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500)은 표시 모듈(200) 및 백라이트 유닛(BLU)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소의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200)은 제1 기판(210), 제2 기판(220) 및 액정층(LCL)을 포함한다. 재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은 서로 대향되고, 액정층(LCL)은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기판(210)은 복수의 화소 영역들(PXA)을 포함한다. 화소 영역들(PXA)에는 복수의 화소들(미도시)이 각각 배치된다. 화소 영역들(PXA)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제1 기판(21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및 복수의 화소 전극들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i)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은 게이트 라인들(GLi)과 각각 절연되도록 교차한다.
도 3에는 복수의 화소 영역들(PXA) 중 일 화소(PX)가 배치된 일 화소 영역을 도시하였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200)에 포함된 나머지 화소들도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화소(PX)는 게이트 라인들 중 대응되는 게이트 라인(GLi)과 연결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중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DLj)과 연결된다. 화소(PX)는 게이트 라인(GLi)으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화소(PX)는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박막 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CLC)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라인(GLi)에 인가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j)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각 화소(PX)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는 회절 패턴 신호일 수 있다.
액정층(LCL)은 방향성을 가진 액정 분자를 포함한다. 액정 분자는 공통 전극및 상기 화소 전극사이의 전압 차이에 따라 형성된 전계에 따라 다양한 배열을 가진다. 상기 액정 분자의 배열에 따라 상기 액정층(LCL)을 투과하는 광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액정 분자의 배열에 따라 회절 패턴이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표시 모듈(200)은 홀로그램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액정층이 회절 패턴을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200)은 계조를 표시하여 홀로그램이 아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모듈(200)과 백라이트 유닛(BLU) 사이에 확산 시트(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백라이트 유닛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광원 유닛(LSS)에서 생성된 광(LI, 제1 광)은 광확장 부재(BE)에 의하여 확장되어 광분할 부재(BSA)의 일측면으로 입사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광분할 부재(BSA)의 측면들은 제1 면 내지 제4 면들을 포함한다. 광원(LS)으로부터 생성된 광(LI, 제1 광)이 입사되는 면은 제1 면으로 정의된다. 광변환 부재(300)와 대향하는 면들은 제2 면 및 제3 면으로 정의된다. 제2 면은 제3 면보다 광변환 부재(30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1 면과 대향하는 면은 제4 면으로 정의된다.
광분할 부재(BSA)는 광전달부(BD, 도 2) 및 복수의 플레이트들(MS_1~MS_n)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들(MS_1~MS_n)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다.
플레이트들(MS_1~MS_n)은 광원(LS)으로부터 제공받은 광(LI, 제1 광)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45도 틸트되도록 배치된다. 즉,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 각각이 제2 방향(DR2)과 이루는 각으로 정의되는 반투과 플레이트 경사각(θms)은 45도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 각각은 광분할 부재(BSA)의 제1 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45도 틸드되고, 제3 면 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틸드된다.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은 입사되는 광을 투과 및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 각각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 각각은 금, 은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분할 부재(BSA)는 제3 면에 배치되는 제1 흡수 부재(AM1) 및 제4 면에 배치되는 제2 흡수 부재(AM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수 부재(AM1) 및 제2 흡수 부재(AM2)는 블랙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흡수 부재(AM1) 및 제2 흡수 부재(AM2)는 광분할 부재(BSA) 내부에서 제3 면 및 제4 면으로 광이 출사되지 않도록, 제3 면 및 제4 면에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흡수 부재(AM1) 및 제2 흡수 부재(AM2)에 의하여 빛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광분할 부재(BSA)의 제1 면으로 입사된 광(LI, 제1 광)은 제1 플레이트(MS_1)로 입사된다. 제1 플레이트(MS_1)로 입사된 광(LI, 제1 광)은 제1 플레이트(MS_1)에 의하여 일부(LR1)가 반사되어 제3 면을 통하여 출사되고, 나머지 일부(LT1)는 투과하여 제2 플레이트(MS_2)에 입사된다.
제2 플레이트(MS_2)로 입사된 광(LT1)은 제2 플레이트(MS_2)에 의하여 일부(LR2)가 반사되어 제3 면을 통하여 출사되고, 나머지 일부(LT2)는 투과하여 제2 플레이트(MS_3, 미도시)에 입사된다.
제 n-1 플레이트로부터 투과되어 제n 플레이트(MS_n)로 입사된 광(LRn - 1)의 일부(LRn)는 반사되어 제3 면을 통하여 출사되고, 나머지 일부(LTn)는 투과하여 제2 흡수 부재(AM2)에 의하여 흡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n 플레이트(MS_n) 투과하는 광량은 0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흡수 부재(AM2)는 생략될 수 있다.
이처럼, 광원(LS)에서 생성된 광(LI, 제1 광)은 제1 내지 제n 플레이트들(MS_1~MS_n)을 순차적으로 투과 및 반사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각 반투과 플레이트(MS_1~MS_n)에서 반사되는 광(LR1~LRn)의 광량은 일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은 광원(LS)과의 거리가 멀수록, 투과도가 감소하고, 반사도가 증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광변환 부재(300)에 입사되는 광(LR)은 휘도가 균일한 선광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의 제2 방향(DR2)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 각각의 길이가 d일 때, 서로 인접한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의 제2 방향(DR2) 간격은 d*sin45일 수 있다.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 각각의 간격이 d*sin45보다 큰 경우, 각 반투과 플레이트(MS_1~MS_n)을 통하여 반사되는 광들(LR1~LRn) 사이에 암부가 발생할 수 있다.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 각각의 간격이 d*sin45보다 작은 경우, 각 반투과 플레이트(MS_1~MS_n)을 통하여 반사되는 광이(LR1~LRn)이 인접한 다른 반투과 플레이트(MS_1~MS_n)에 의하여 재반사되어 광방향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광변환 부재(300)에 입사되는 광(LR)의 휘도가 불균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투과 플레이트들(MS_1~MS_n) 각각의 간격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광분할 부재(BSA)로부터 출사된 광(LR, 제2 광)은 제1 방향(DR1)으로 진행하여 프리즘바(PB)의 경사면으로 입사된다. 입사된 상기 광(LR)은 경사면에 의하여 진행 방향이 하부를 향하도록 변경되어 도광판(300)의 하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리즘바(PB)의 경사면이 프리즘바(PB)의 밑면과 갖는 각으로 정의되는 프리즘각(θp, 도 6)의 크기에 따라, 경사면으로부터 입사된 광(LR)이 도광판(300)의 하면과 이루는 각으로 정의되는 입사각(θi)이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리즘각(θp)이 증가할수록, 입사각(θi)이 증가할 수 있다.
도광판(300)으로 제공된 광은 도광판(300)의 하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도광판(300)의 상면에 제공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반사각(θr)은 도광판(300)의 하면에서 반사되어 상면으로 제공되는 광의 방향이 도광판 상면의 법선과 이루는 각으로 정의된다. 반사각(θr)이 임계각보다 클 경우, 도광판(300) 상면에 제공된 광은 반사된다. 반사각(θr)이 임계각보다 작을 경우, 도광판(300) 상면에 제공된 광은 도광판(300)의 상면을 투과하여, 광학 필름(400)에 제공될 수 있다. 광학 필름(400)에 제공되는 광(제3 광)은 면광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학 필름(400)에 제공되는 광은 소정의 각으로 방향이 변경되어 표시 모듈(200, 도 1)에 제공된다.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광분할 부재(BSA)가 복수의 반투과 플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즉, 광원(LS)으로부터 입사되는 광(LI)의 형태를 선광원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HOE 필름과 같은 광학 시트가 광변환 부재(300) 및 광원(L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LI)이 광학 시트의 전면에 입사되어야 하며, 방향이 변경된 광이 모두 표시 모듈에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표시 모듈의 크기에 따라, 광학 시트의 크기(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BLU)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변환 부재(300)가 투과 및 반사 기능을 하는 복수의 반투과 플레이트를 포함하므로, 광변환 부재(300)의 크기(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대면적 표시 모듈에 광(LE)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0)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BLU)의 광변환 부재(300-1)는 도광판(310) 및 도광판(3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판(320)을 포함한다.
반사판(320)은 도광판(310) 하부로 방출되는 광을 상부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반사판(320)은 광을 반사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반사판(320)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판 형상을 갖는 반사판(320)이 개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광판(310) 하면에 반사 물질을 포함하는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반사판(320)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는, 평면 상에서 반사판(320)이 도광판(310)과 전면적으로 중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반사판(320)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프리즘바(PB)의 밑면을 커버할 수 있다. 즉, 평면 상에서, 반사판(320)은 도광판(310)의 하면 및 프리즘바(PB)의 밑면과 전면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BLU-2)은 지지 부재(SPT)를 더 포함한다.
지지 부재(SPT)는 광분할 부재(BSA)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분할 부재(BSA)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SPT)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직각 삼각 기둥 형상을 갖는다.
광분할 부재(BSA)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SPT)의 지지면은 광변환 부재(300-2)를 향하여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SPT)는 광분할 부재(BSA)의 제3면으로부터 제2 면을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SPT)에 의하여, 광분할 부재(BSA)로부터 출사되는 광(LR)의 방향이 하부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프리즘 바(PB)가 삭제되더라도, 도광판(310)으로 입사되는 광(LR, 제2 광)이 도광판(310) 내에서 반사가 용이하도록 상기 광(LR, 제2 광)의 방향을 하부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지 부재(SPT)의 지지면이 밑면과 이루는 각으로 정의되는 지지 경사각(θs)의 크기에 따라, 광변환 부재(300-2)로 입사된 광(LR)이 도광판(310)의 하면과 이루는 각으로 정의되는 입사각(θi)이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 경사각(θs)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입사각(θi)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BLU-3)의 프리즘바(PB-3)는 경사면을 갖는 직각 삼각 기둥 형상을 갖는다. 프리즘바(PB-3)의 경사면은 광변환 부재(300-3)를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즘바(PB-3)는 광분할 부재(BSA)으로부터 광변환 부재(300-3)를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리즘바(PB)는 광분할 부재(BSA)와 결합되어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프리즘바(PB)의 경사면에서 출사된 광(제2 광)은 도광판(300)으로 입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분할 부재(BSA)의 광전달부(BD)의 굴절률은 프리즘바(PB)의 굴절률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1에는 광분할 부재(BSA)의 제4면에 한하여 제2 흡수 부재(AM2)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흡수 부재(AM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DR2)에서 프리즘바(PB) 일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변환 부재(300-4)는 프리즘바(PB-4)와 일체의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리즘바(PB-4)의 경사면은 도광판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즉, 프리즘바(PB-4)는 광분할 부재(BSA)으로부터 광변환 부재(300-4)를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방향(DR1)에서 도광판(310)의 일측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도광판(310)은 상면에서 밑면을 향할수록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프리즘바(PB-4)는 도광판(310)과 결합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결합된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광판(310)의 테이퍼진 각도는 프리즘바(PB-4)의 프리즘 프리즘각(θp)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310)의 입광면(테이퍼면)과 프리즘바(PB-4)의 경사면은 전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광판(300)의 굴절률은 프리즘바(PB)의 굴절률과 상이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도광판(310)의 하면에 한하여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반사판(320)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반사판(320)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프리즘바(PB)의 밑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변환 부재(300-5)는 반사판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광판이 삭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BLU)은 베이스 기판(800)을 더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800)은 광학 필름(4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학 필름(400)과 합지된다. 베이스 기판(800)은 광학 필름(400)의 하면을 지지한다.
베이스 기판(800)은 반사판(300-5)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기판(800) 및 반사판(300-5) 사이에 도광 공간(LGS)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프리즘바(PB-5)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프리즘바(PB-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광분할 부재(BSA)로부터 출사된 광은 프리즘바(PB-5)에 의하여 하부 방향으로 진행 방향이 변경된다. 하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LR)은 반사판(300-5)에 의하여 반사되고, 도광 공간(LGS) 내에서 반사를 반복한 뒤, 광학 필름(4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8는 도 17의 백라이트 유닛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원(LS)은 제1 광원(LS1) 및 제2 광원(LS2)을 포함한다.
제1 광원(LS1) 및 제2 광원(LS2)은 제2 방향(DR2)에서 광분할 부재(BSA-6)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구체적으로, 제1 광원(LS1)은 제2 방향(DR2)에서 광분할 부재(BSA-6)의 일측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광원(LS2)은 제2 방향(DR2)에서 광분할 부재(BSA-6)의 타측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광원(LS1)은 제1 광원 유닛(LSS1) 및 제1 광확장 부재(BE)를 포함하고, 제2 광원(LS2)은 제2 광원 유닛(LSS2) 및 제2 광확장 부재(BE)를 포함한다.
제1 광확장 부재(BE1)는 제1 광원 유닛(LSS1) 및 광분할 부재(BSA-6)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광원 유닛(LSS1)으로부터 생성된 광(LI1)은 제1 광확장 부재(BE1)에 의하여 확장되어 광분할 부재(BSA-6)의 제1 면으로 입사된다.
제2 광확장 부재(BE2)는 제2 광원 유닛(LSS2) 및 광분할 부재(BSA-6)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광원 유닛(LSS2)으로부터 생성된 광(LI2)은 제2 광확장 부재(BE2)에 의하여 확장되어 광분할 부재(BSA-6)의 제4 면으로로 입사된다.
광분할 부재(BSA-6)는 복수의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 및 복수의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m)을 포함한다.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m) 및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m)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다.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m)은 제1 광원(LS1)으로부터 제공받은 광(LI1)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45도 틸트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 각각이 제2 방향(DR2)과 이루는 각으로 정의되는 제1 반투과 플레이트 경사각(θms1)은 45도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 각각은 광분할 부재(BSA-6)의 제1 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45도 틸드되고, 제3 면 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틸드된다.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m)은 제2 광원(LS2)으로부터 제공받은 광(LI2)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45도 틸트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_m) 각각이 제2 방향(DR2)과 이루는 각으로 정의되는 제2 반투과 플레이트 경사각(θms2)은 -45도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2~MS2_m) 각각은 광분할 부재(BSA-6)의 제1 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틸드되고, 제3 면 에서 시계 방향으로 45도 틸드된다. 즉,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은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_m)과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은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_m)보다 제1 광원(LS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_m)은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보다 제2 광원(LS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광변환 부재(BSA-6)의 중앙부에서 제1 반투과 플레이트(MS1_m)는 제2 반투과 플레이트(MS2_m)와 인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분할 부재(BSA)의 제3 면에 한하여 제1 흡수 부재(AM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의 개수는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_m)의 개수와 동일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의 개수는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_m)의 개수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백라이트 유닛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분할 부재(BSA-7)는 복수의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 및 복수의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m)을 포함한다.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 및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m)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고,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 중 서로 인접한 두 플레이트들(MS1_1~MS1_m) 사이에 제2 반투과 플레이트(MS2_1~MS2-m)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MS2_1~MS2-m)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 및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m)은 전면과 배면의 투과도 및 반사도가 다를 수 있다.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 및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m) 각각의 배면 투과도는 전면 투과도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을 투과한 광이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m)의 배면에 입사되더라도, 광량 감소량이 작을 수 있다.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의 제m 플레이트(MS1_m) 및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m)의 제m 플레이트(MS2_m) 각각의 전면은 투과도가 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m 플레이트들(MS1_m, MS2_m)의 전면 투과도가 0이 아닐 경우,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의 제1 플레이트(MS1_1) 및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m)의 제1 플레이트(MS2_1) 각각의 배면의 투과도가 0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MS1_1~MS1_m)의 제m 플레이트(MS1_m) 및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MS2_1~MS2-m)의 제m 플레이트(MS2_m)들에 의하여 광이 투과되더라도(LTm, LTm'), 상기 제1 플레이트들(MS1_1, MS2_1) 각각의 배면에 의해 흡수되거나, 반사된 후 흡수 부재(AM1)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200-8)은 제1 편광층(POL1), 제1 기판(210), 제2 기판(220), 액정층(LCL), 컬러 필터층(CV) 및 제2 편광층(POL2)을 포함한다.
제1 편광층(POL1)은 표시 모듈(200-8)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BLU)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성분을 편광시킨다. 제1 편광층(POL1)은 소정의 방향을 갖는 투과축(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제1 기판(210)은 제1 편광층(POL1) 상부에 배치된다.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 사이에 액정층(LCL)이 개재된다.
제2 편광층(POL2)은 액정층(LC) 및 제2 기판(22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편광층(POL2)은 소정의 방향을 갖는 흡수축(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0)의 표시 모드가 명 상태일 경우, 제2 편광층(POL2)은 광을 투과시키고, 표시 장치(1000)의 표시 모드가 암 상태일 경우, 제2 편광층(POL2)은 광을 흡수한다.
액정 분자들(LCM)의 배열 모드에 따라, 제1 편광층(POL1)의 투과축과 제2 편광층(POL2)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편광층(POL1)의 투과축은 상기 평면 상에서 제2 편광층(POL2)의 흡수축과 수직할 수 있다.
컬러 필터층(CV)은 제2 기판(220) 및 제2 편광층(POL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층(CV)는 복수의 변환 필터들(CF) 및 블랙 매트릭스(BM)를 포함한다.
변환 필터들(CF)은 컬러 필터층(CV)으로 입사되는 광의 에너지에 따라 색상을 변환시키거나 그대로 투과시킬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BLU)에서 제공되는 광(LE, 도 6)은 컬러 필터층(CV)에 의해 다양한 색의 광들로 변환되어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변환 필터들(CF)은 복수의 양자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양자점들 각각은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특정 색상을 지닌 광을 방출하거나, 그대로 투과시킨다. 변환 필터(CF)로 입사되는 광이 양자점들을 여기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경우, 양자점들 각각은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들뜬 상태가 된 후, 안정화되면서 특정 색상의 광을 방출한다. 이와 달리, 입사되는 광이 양자점을 여기시키기 어려운 에너지를 가진 경우, 입사되는 광은 변환 필터(CF)를 그대로 통과하여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변환 필터들(CF)은 제1 변환 필터(F1), 제2 변환 필터(F2) 및 제3 변환 필터(F3)를 포함한다. 제1 변환 필터(F1), 제2 변환 필터(F2), 및 제3 변환 필터(F3)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BM)가 배치되어 제1 변환 필터(F1), 제2 변환 필터(F2), 및 제3 변환 필터(F3) 사이의 경계를 정의한다.
제1 변환 필터(F1) 내지 제3 변환 필터(F3)는 컬러필터층(CV)에 입사되는 광을 각각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가진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변환 필터(F1) 내지 제3 변환 필터(F3) 각각이 포함하는 양자점들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양자점은 입자 크기에 따라 생성되는 광의 파장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변환 필터(F1), 제2 변환 필터(F2), 및 제3 변환 필터(F3) 중 제2 변환 필터(F2)가 가장 큰 입자 크기를 가진 양자점을 포함하고, 제3 변환 필터(F3)가 가장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진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변환 필터(F3)는 양자점을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블랙 매트릭스(BM)는 변환 필터(CF)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블랙 매트릭스(BM)는 차광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BM)는 주변 영역(미도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BM)는 광이 표시되는 화소 영역(미도시) 이외의 영역으로의 빛샘 현상을 방지하고, 인접하는 화소 영역들 사이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 짓는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100: 윈도우 부재
200: 표시 모듈 210: 제1 기판
220: 제2 기판 BLU: 백라이트 유닛
300: 광변환부재 310: 도광판
320: 반사판 400: 광학 필름
500: 몰드 프레임 600: 수납 부재
610: 바닥부 620: 측벽부
800: 베이스 기판 LS: 광원
LSS: 광원 유닛 BE: 광확장 부재
BSA: 광분할 부재 MS: 반투과 플레이트
BD: 광전달부 PB: 프리즘바
LI: 생성광 LR: 반사광
LT: 투과광 LE: 출사광
SPT: 지지 부재 θi: 입사각
θr: 반사각 θms: 반투과 플레이트 경사각
θp: 프리즘각 θs: 지지 경사각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LCL: 액정층 PXA: 화소 영역
PX: 화소 AM1, AM2: 흡수 부재

Claims (36)

  1. 표시 모듈; 및
    가간섭성(Coherence)을 갖는 광을 상기 표시 모듈에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가간섭성을 갖는 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광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복수개의 반투과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광분할 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투과 플레이트들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 모듈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광변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변환 부재로부터 입사된 광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광학 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복수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투과 플레이트들 각각은 평면 상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의 방향으로부터 45도 틸드된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플레이트들은 상기 광원과의 거리가 멀수록, 투과도가 감소하고, 반사도가 증가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할 부재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광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전달부의 내부에 상기 반투과 플레이트들이 배치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 부재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분할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광분할 부재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프리즘바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바는 경사면을 갖는 직각 삼각 기둥 형상인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바는 상기 도광판과 결합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광분할 부재를 향하여 기울어진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바의 굴절률은 상기 도광판의 굴절률과 동일한 표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바는 상기 광분할 부재와 결합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을 향하여 기울어진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의 굴절률은 상기 프리즘바의 굴절률과 동일한 표시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바는 상기 도광판과 결합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고,
    상기 프리즘바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을 향하여 기울어지고,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과 상기 프리즘바의 상기 경사면은 전면적으로 접촉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바의 굴절률은 상기 도광판의 굴절률과 상이한 표시 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 부재는,
    상기 도광판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가간섭성을 갖는 광을 생성하는 광원 유닛; 및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광을 확장시키는 광확장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할 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광이 입사되는 제1 면;
    상기 광변환 부재와 대향하고, 상기 반투과 플레이트들에 의하여 반사된 광이 출광되는 제2 면;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4 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할 부재는,
    상기 제3 면에 배치되는 제1 흡수 부재; 및
    상기 제4 면에 배치되는 제2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 부재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광학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 및 상기 광학 필름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반사판 및 상기 광학 필름 사이에 도광 공간이 정의되는 표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공간 및 상기 광분할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분할 부재와 평행하고, 상기 광분할 부재와 결합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고, 상기 광분할 부재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방향을 상기 반사판을 향하도록 변경시키는 프리즘바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및 상기 광학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 필름과 합지되어 상기 광학 필름을 지지하는 베이스 기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플레이트들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할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변환 부재를 향하여 기울어진 지지면을 갖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은 상기 광분할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표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은,
    상기 광분할 부재의 일측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광원; 및
    상기 광분할 부재의 타측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플레이트들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의 방향으로부터 45도 틸드된 복수의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 및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의 방향으로부터 45도 틸드된 복수의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과 직각을 이루는 표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은,
    상기 광분할 부재의 중앙부와 가깝게 배치될수록 투과도가 감소하고, 반사도가 증가하는 표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보다 상기 제1 광원과 인접한 표시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과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2 반투과 플레이트들 각각은,
    배면의 투과도가 전면의 투과도 보다 높은 표시 장치.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하여 홀로그램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투과축을 갖는 제1 편광판;
    상기 제1 편광판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고, 컬러필터층이 배치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 및
    상기 액정층 및 상기 컬러필터층 사이에 배치되고, 흡수축을 갖는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필터층은 복수의 양자점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5. 표시 모듈; 및
    가간섭성(Coherence)을 갖는 광을 상기 표시 모듈에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가간섭성(Coherence)을 갖는 점광원 형태의 제1 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1 광을 선광원 형태의 제2 광으로 변환하는 광분할 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분할 부재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2 광을 면광원 형태의 제3 광으로 변환하는 광변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분할 부재는 상기 제1 광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광변환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투과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6. 가간섭성(Coherence)을 갖는 광을 생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입사된 광의 방향을 상부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상기 광원 및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반투과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광분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투과 플레이트들 각각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으로 제공하고, 상기 광의 또 다른 일부를 투과시켜 다른 인접한 반투과 플레이트에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70076905A 2017-06-16 2017-06-16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99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05A KR102399100B1 (ko) 2017-06-16 2017-06-16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5/920,841 US10613266B2 (en) 2017-06-16 2018-03-14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810606996.9A CN109143679A (zh) 2017-06-16 2018-06-13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05A KR102399100B1 (ko) 2017-06-16 2017-06-16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646A true KR20180137646A (ko) 2018-12-28
KR102399100B1 KR102399100B1 (ko) 2022-05-18

Family

ID=6465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905A KR102399100B1 (ko) 2017-06-16 2017-06-16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13266B2 (ko)
KR (1) KR102399100B1 (ko)
CN (1) CN1091436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100B1 (ko) * 2017-06-16 2022-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E102019108677A1 (de) * 2019-04-03 2020-10-08 Carl Zeiss Jena Gmbh Vorrichtungen zum Erzeugen von Leuchtverteilungen mit Lichtwellenleitern
KR20210035557A (ko) 2019-09-24 2021-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CN112824742A (zh) * 2019-11-20 2021-05-21 深圳市绎立锐光科技开发有限公司 光源以及照明装置
CN110967874A (zh) * 2019-12-20 2020-04-07 深圳疆程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液晶显示器及车载抬头显示系统
US11852858B2 (en) * 2020-10-20 2023-12-26 Lumileds Llc Lateral edge-lit light-guide optics for LED lighting
CN116940885A (zh) * 2021-02-10 2023-10-24 威尔乌集团 显示具有光扩展器结构的显示器背光
US11846798B2 (en) 2022-04-01 2023-12-19 Valve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devices with non-rectangular backligh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16010A1 (en) * 2009-05-29 2011-05-19 Takayuki Nagat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38823B1 (ko) * 2005-12-29 2013-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150168637A1 (en) * 2013-12-13 2015-06-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ight source module using laser as light source
US20170153376A1 (en) * 2015-11-30 2017-06-01 Japan Display Inc. Light-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0078A (en) * 1996-12-23 1997-12-2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Laser illuminated lighting system
US6429429B1 (en) * 2000-06-22 2002-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Night vision system utilizing a diode laser illumination module and a method related thereto
US6837588B2 (en) * 2001-12-25 2005-01-04 Minebea Co., Ltd.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with means for reflecting light dispersely
EP1869526B1 (en) * 2005-03-30 2019-11-06 Necsel Intellectual Property, Inc. Manufacturable vertical extended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arrays
KR100647327B1 (ko) * 2005-06-18 2006-11-23 삼성전기주식회사 평면표시소자용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평면표시장치
WO2007034827A1 (ja) * 2005-09-22 2007-03-29 Sharp Kabushiki Kaisha 導光体、表示装置用基板および表示装置
CN101360948B (zh) * 2005-11-15 2011-01-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和使用其的液晶显示装置
JP5226528B2 (ja) * 2005-11-21 2013-07-03 マイクロビジョン,インク. 像誘導基板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
KR100823274B1 (ko) * 2006-07-26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4920691B2 (ja) * 2006-10-02 2012-04-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149200B2 (ja) * 2006-12-26 2013-0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133081B2 (ja) * 2007-02-14 2013-0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7798698B2 (en) * 2007-03-23 2010-09-21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5191771B2 (ja) * 2007-04-04 2013-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535923B2 (ja) * 2007-10-09 2014-07-02 ニコール,アンソニー,ジェイ 被照明膜への光結合
WO2009116224A1 (ja) * 2008-03-19 2009-09-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面光源装置
US8905610B2 (en) * 2009-01-26 2014-12-09 Flex Lighting Ii, Ll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lightguide film
CN102292591B (zh) * 2009-01-26 2013-11-13 弗莱克斯照明第二有限责任公司 通过柔性薄膜实现照明
WO2010116702A1 (ja) * 2009-04-08 2010-10-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8786803B2 (en) * 2010-05-13 2014-07-22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042051B2 (ja) * 2010-11-26 2016-12-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面照明装置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
US9817173B2 (en) * 2012-02-17 2017-1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amorphic light guide
US9036964B2 (en) * 2012-02-17 2015-05-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light guide coupler
US9039905B2 (en) * 2012-02-17 2015-05-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forming a lighting system
CN104303098B (zh) * 2012-02-17 2018-06-29 3M创新有限公司 背光源光导
CN202708865U (zh) * 2012-07-27 2013-0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单元、背光源及使用该背光源的显示设备
US20140063853A1 (en) * 2012-08-29 2014-03-06 Flex Lighting Ii, Llc Film-based lightguide including a wrapped stack of input couplers and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40657B1 (ko) * 2012-12-12 2019-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공간 광 변조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피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9690032B1 (en) * 2013-03-12 2017-06-27 Flex Lighting Ii Llc Lightguide including a film with one or more bends
US10222535B2 (en) * 2013-07-02 2019-03-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t light guide
TWI566012B (zh) * 2013-08-27 2017-01-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及液晶顯示裝置
TWI566013B (zh) * 2013-08-30 2017-01-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組及液晶顯示裝置
KR20150029173A (ko) * 2013-09-09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자점 패키지를 이용한 광원 유닛
KR102202454B1 (ko) * 2013-11-29 2021-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형 시야 범위 조절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평판형 시야 범위 조절 표시장치
TWI664447B (zh) 2014-02-18 2019-07-01 德商拜耳材料科學股份有限公司 使用全像光學元件之裸視3d顯示裝置
CN104090423B (zh) * 2014-06-23 2017-08-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装置
RU2592147C2 (ru) 2014-11-20 2016-07-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задней подсветки и его варианты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10191196B2 (en) * 2014-11-20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459145B2 (en) * 2015-03-16 2019-10-29 Digilens Inc. Waveguide device incorporating a light pipe
TW201732373A (zh) * 2016-02-24 2017-09-1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顯示裝置
JP2017168253A (ja) * 2016-03-15 2017-09-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WO2018013307A1 (en) * 2016-06-21 2018-01-18 Ntt Docomo, Inc. An illuminator for a wearable display
KR102659194B1 (ko) * 2016-07-26 2024-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용 박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3113B1 (ko) * 2016-10-05 2024-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3030A (ko) * 2016-11-11 201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및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399100B1 (ko) * 2017-06-16 2022-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77096B1 (ko) * 2017-08-30 2022-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커플러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커플러의 제조 방법
CN108333835B (zh) * 2017-09-29 2021-11-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侧入式背光模组、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823B1 (ko) * 2005-12-29 2013-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110116010A1 (en) * 2009-05-29 2011-05-19 Takayuki Nagat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50168637A1 (en) * 2013-12-13 2015-06-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ight source module using laser as light source
US20170153376A1 (en) * 2015-11-30 2017-06-01 Japan Display Inc. Light-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64409A1 (en) 2018-12-20
US10613266B2 (en) 2020-04-07
KR102399100B1 (ko) 2022-05-18
CN109143679A (zh)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10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327337B2 (en) Mode-switchable backlight, display, and method
CN107219685B (zh)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显示方法
KR100566173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11604306B2 (en) Anti-peep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US10067369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 prism module including a corner prism set disposed on a corner region
US11537004B2 (en) Transparent display substrat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JP2001110218A (ja) 導光装置、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H11110131A (ja) 液晶表示装置
KR2001010472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120113357A1 (en)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Reflective Mode
US20200159071A1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685704B (zh) 光源模組及雙螢幕顯示裝置
US11506830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10436972B2 (en) Lighting unit and display device
JP7376503B2 (ja)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01167625A (ja)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111665664B (zh) 柔性显示装置
KR20090068859A (ko) 선격자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 도광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패널
KR20190033692A (ko) 표시 장치
JP4353279B2 (ja) 表示装置及び携帯電話
KR102504465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JP4225301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308588B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3899711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