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302A -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302A
KR20180137302A KR1020170076801A KR20170076801A KR20180137302A KR 20180137302 A KR20180137302 A KR 20180137302A KR 1020170076801 A KR1020170076801 A KR 1020170076801A KR 20170076801 A KR20170076801 A KR 20170076801A KR 20180137302 A KR20180137302 A KR 20180137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space
unit
par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432B1 (ko
Inventor
이한일
김종욱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국케이비에프
(주)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국케이비에프, (주)재미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국케이비에프
Priority to KR102017007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43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8Driving aids for parking, e.g. acoustic or visual feedback on parking space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전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차량정보 생성부; 주차공간 중 빈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빈공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빈공간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공간을 할당하고, 차량에 해당하는 고유의 가이드 색상을 매핑하는 주차공간 발급부; 및 주차공간 발급부에서 발급한 차량에 할당된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안내하는 주차경로 안내부;를 포함하고, 주차경로 안내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차량이 동일한 주차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의 안내를 형성하도록 주차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병렬로 도로에 매립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LED 모듈; 및 복수의 LED 모듈의 색상에 해당하는 차량번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경로에 일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차량이 배치할 때에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안내 가이드를 제공하여 차량들이 헷갈리지 않고 각 차량에 할당된 주차공간에 주차할 수 있어 주차장내의 혼잡도를 개선시키고, 주차시간을 최소화하고, 추가적인 비용 및 차량의 운행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Intelligent system for guiding parking area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차량이 동일한 주차경로에 일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위치할 때에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안내 가이드를 제공하여 복수의 차량들이 헷갈리지 않고 자신의 차량에 할당된 주차공간에 주차할 수 있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가건물, 백화점, 및 관공서는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이 설치되며, 통상적으로 주차공간보다 차량이 많기 때문에 운전자는 이와 같은 대형건물에서 주차위치를 찾는 것이 하나의 큰 숙제일 때도 있다. 즉, 운전자는 주차장 내부로 진입한 이후에 주차를 위해서 비어 있는 곳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전방을 주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여 접속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찾는데에 따른 시간이 증가하여 주차비용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주차장 입구 및 내부에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관리 요원을 배치하여 주차장 내부에 진입한 차량에 빈공간이 있는 주차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형 주차장에 많은 주차관리 요원을 배치하더라도 주차위치를 확인하는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주차관리 요원은 무전기와 같은 무선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빈공간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정보를 공유해야 효과적인 안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요원이 잠시라도 자리를 비우게 되면 주차 안내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7277호(주차 차량 감지 장치 및 주차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개시한 바 있다. 개시되어 있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7277호는 주차공간의 상부에 차량의 존재 유무에 따라 램프의 색상을 통해서 주차공간 내에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여 운전자에게 주차가능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개시된 특허도 운전자가 주차위치를 찾기 위해서 램프의 색상을 주차장 주변을 지속적으로 살펴봐야 하기 때문에 전방주시에 어려움으로 인해서 다른 차량과의 접촉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주차공간에 대해서 서로 다른 차량이 그 주차공간을 향하여 주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장 내부는 더욱 혼잡해지고 정상적으로 주차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7277호, 2006년 09월 22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차량이 동일한 주차경로에 일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위치할 때에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안내 가이드를 제공하여 복수의 차량들이 헷갈리지 않고 자신의 차량에 할당된 주차공간에 주차할 수 있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에 복수의 주차공간이 구획되고, 각각의 주차공간에 고유 식별번호를 구비하여 차량의 주차를 안내하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전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차량정보 생성부; 주차공간 중 빈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빈공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빈공간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공간을 할당하고, 차량에 해당하는 고유의 가이드 색상을 매핑하는 주차공간 발급부; 및 주차공간 발급부에서 발급한 차량에 할당된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안내하는 주차경로 안내부;를 포함하고, 주차경로 안내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차량이 동일한 주차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의 안내를 형성하도록 주차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병렬로 도로에 매립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LED 모듈; 및 복수의 LED 모듈의 색상에 해당하는 차량번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는 주차경로를 따라 상부에 설치되고, 화살표 방향표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차공간 발급부는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차량의 주차경로를 안내할 때에, 차량의 가이드 색상을 음성으로 제공하는 가이드 색상 음성 안내부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에 복수의 주차공간이 구획되고, 각각의 주차공간에 고유 식별번호를 구비하여 차량의 주차를 안내하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방법은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촬영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주차공간 발급부를 통하여 주차공간 중 빈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빈공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빈공간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공간을 할당하고, 차량에 해당하는 고유의 가이드 색상을 매핑하는 주차공간 발급단계; 및 주차경로 안내부를 이용하여 차량에 할당된 주차공간으로 안내하는 차량을 안내하는 주차경로 안내단계;를 포함하며, 주차경로 안내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차량이 동일한 주차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의 안내를 형성하도록 주차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병렬로 도로에 매립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LED 모듈; 및 복수의 LED 모듈의 색상에 해당하는 차량번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실시예에 있어서, 주차공간에 구비된 센서모듈을 통해서 빈공간에 차량이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면, 빈공간을 주차불가 공간으로 무선통신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은 복수의 차량이 동일한 주차경로에 일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위치할 때에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안내 가이드를 제공하여 복수의 차량들이 헷갈리지 않고 자신의 차량에 할당된 주차공간에 주차할 수 있어 주차장내의 혼잡도를 개선시키고, 주차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추가적인 비용 및 차량의 운행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의 주차경로 안내부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의 주차경로 안내부의 상세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P)에 복수의 주차공간이 구획되고, 각각의 주차공간에 고유 식별번호를 구비하여 차량의 주차를 안내하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정보 생성부(110), 주차공간 발급부(120) 및 주차경로 안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정보 생성부(110)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전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차량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으로서, 카메라(111), 이미지저장부(112), 이미지 추출부(113) 및 추출이미지 저장부(114)를 구비한다.
카메라(111)는 주차장 입구에 배치되어 차량의 전면을 촬영한다. 이때, 카메라(111)는 차량번호와 장애인 정보가 포함되도록 차량의 전면을 촬영할 수 있으며, 전면이 포함될 수 있도록 어안렌즈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된 이미지는 이미지저장부(112)에 저장된다. 이미지 추출부(113)는 이미지저장부(112)에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 및 장애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이미지 정보는 추출이미지 저장부(114)에 저장된다. 이미지저장부(112) 및 추출이미지 저장부(114)는 휘발성 저장부로서, 저장된 각각의 촬영 이미지 및 추출이미지는 설정된 용량의 이미지가 초과하는 경우 저장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삭제된다.
주차공간 발급부(120)는 주차공간(P) 중 빈공간(Pa)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빈공간(Pa)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빈공간(Pa)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입차하는 차량의 순서에 따라 주차공간을 할당하고, 차량에 해당하는 고유의 가이드 색상을 매핑하는 것으로서 제1 통신부(121), 주차공간 정보부(122), 주차공간 할당부(123) 및 주차공간 발급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21)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에 마련된 통신모듈과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주차공간이 빈공간인지 또는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각 주차공간에 마련된 제2 통신부(141)와 통신하여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통신부(141)는 각각의 주차공간에 마련된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21)는 주차비 결제시 결제장비(150)에 마련된 제3 통신부(151)와도 통신을 통해서 차량의 출차여부에 따라 주차되어 있는 차량이 빈공간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주차공간 정보부(122)는 주차장에 마련된 각각의 주차공간에 대한 고유식별 번호와 각각의 주차공간에 대한 위치정보를 구비하고, 제1 통신부(121)를 통하여 주차공간에 대해서 업데이트되는 현황을 바탕으로 주차공간의 각각의 위치에 대해서 주차가능여부를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주차공간 할당부(123)는 주차공간 정보부(122)로부터 획득된 빈공간의 주차공간 중 출입구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주차공간을 우선적으로 입차하는 차량에 순차적으로 준차공간을 할당한다. 이때, 주차공간 할당부(123)는 각 차량에 가이드 색상을 함께 매핑한다. 가이드 색상은 빨강, 파랑 및 녹색으로 3가지 색상이 입고되는 차량에 순차적으로 매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을 매핑함으로써 각각의 차량들의 매핑된 색상을 따라 안내함으로써 차량들이 헷갈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색상 음성 안내부(124)는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여, 차량에 해당하는 가이드 색상을 음성으로 우선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이 따라 가야할 색상에 대해서 주의를 환기시키게 할 수 있다.
주차경로 안내부(130)는 주차공간 발급부(120)에서 발급한 차량에 할당된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LED 모듈(131) 및 디스플레이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LED 모듈(131)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차량이 동일한 주차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주차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병렬로 도로에 매립된다. 디스플레이부(132)는 주차경로를 따라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LED 모듈(131)의 색상에 해당하는 차량번호를 표시한다. 복수의 LED 모듈(131) 및 디스플레이부(132)는 후술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의 주차경로 안내부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의 주차경로 안내부의 상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관리 시스템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LED 모듈(131)은 주차장에 형성된 각각의 주차경로를 따라 배열된다. 특히, LED 모듈(131)은 복수의 색상이 주차경로, 즉, 바닥면을 따라 병렬로 배열된다. 복수의 LED 모듈(131)의 색상은 적어도 3가지 색상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빨강, 노랑 및 파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이상의 색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2)는 차량에 주차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주차경로를 따라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각각의 차량번호가 주차경로를 따라 배열된 LED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부(132)에 제공되며, 화살표 방향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이동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바닥에 형성된 LED 모듈(131)의 색상과 디스플레이부(132)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면서 자신의 차량에 할당된 주차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주차경로를 따라 차량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센서(133)가 배치될 수 있다. 위치센서(133)는 일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초음파 센서로 형성되어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며, LED 모듈 점멸부(134)는 위치센서(133)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위치에 따라 LED 모듈 점멸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방향을 따라 배열된 3대의 차량 중, 위치센서(133)를 통해 선방에 있는 차량(C1)가 감지되면, LED 모듈 점멸부(134)는 차량(C1)에 해당하는 색상의 LED 모듈(R1)만 차량(C1)의 전방의 경로를 따라 점등시키고, 차량(C1)의 후방에 위치하는 차량의 LED 모듈(R2)이 꺼지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차량(C1)의 후방에 있는 차량(C2) 및 차량(C3)에는 차량(C1)의 경로가 제공되지 않는다.
그 다음으로, 위치센서(133)를 통해 차량(C1)과 차량(C3) 사이에 차량(C2)의 위치가 확인되면, LED 모듈 점멸부(134)는 차량(C1)과 차량(C2) 사이에서 차량(C2)에 해당하는 색상의 LED 모듈(G1)만 점등하고, 차량(C2)의 후방 및 차량(C1)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의 LED 모듈(B2)은 꺼지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차량(C2)의 후방에 있는 차량(C3)에는 차량(C2)의 경로가 제공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위치센서(133)를 통해 차량(C3)의 위치가 확인되면, LED 모듈 점멸부(134)는 차량(C2) 및 차량(C3) 사이에 있는 LED 모듈(B1)을 점등시키고, 차량(C3)의 후방 및 차량(C2)의 전방에 위치하는 LED 모듈(B2)은 꺼지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차량 운전자는 주행경로 바닥에 형성된 자신에 해당하는 색상의 LED 모듈만을 보게 되기 때문에, 다른 색상과 헷갈리는 것을 방지되어 자신의 주차공간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LED 모듈을 계속해서 점등하지 않고 필요한 구간에만 선택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원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 위치센서 및 LED 모듈(131)은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일부만 도시된 것으로서 표현한 것이며, 주차경로를 따라 전체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량정보 생성부(110)의 이미지 추출부(113)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서 운전자가 장애인인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장애인 등록증이 있는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 추출부(113)를 통해 운전자가 장애인인 것으로 확인되면, 주차공간 발급부(120)는 주차공간 중 장애인 주차공간을 우선으로 하여 빈공간의 주차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장애인 주차공간이 만차인 경우, 출입구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한편, 이미지 추출부(113)로부터 장애인으로 등록되지 않은 차량이 장애인 주차장에 주차하는 경우가 생기면, 장애인 주차공간에 구비된 경고발생부(144)를 통하여 해당 운전자에게 경고메세지와 함께 진입시 안내한 곳으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을 위해 지정된 공간에 일반인이 주차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애인을 위한 전용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주차장의 크기는 매우 크기 때문에 자신이 주차한 곳을 찾지 못해서 헤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차량의 출차전에 미리 주차비를 결제할 때 발행되는 영수증에 자신이 주차한 곳의 위치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주차비 결제를 완료하면, 주차영역의 상부에는 해당 차량의 번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는 다른 차량의 위치를 쉽게 구분하여 자신의 차량의 위치를 더욱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어 차량을 찾기 위해서 헤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차장에 복수의 주차공간이 구획되고, 각각의 주차공간에 고유 식별번호를 구비하여 차량의 주차를 안내하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방법은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S100), 주차공간 발급단계(S200), 주차경로 안내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번호 추출 단계(S100)는 차량의 촬영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이때, 해당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할 때에,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장애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장애인 등록증을 추출할 수도 있다.
주차공간 발급단계(S200)는 주차공간 발급부를 통하여 주차공간 중 빈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빈공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빈공간에 해당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해당 차량에 주차공간을 할당하고, 차량에 해당하는 가이드 색상을 매핑하여 주차공간을 할당한다.
주차경로 안내단계(S300)는 주차경로 안내부를 이용하여 해당차량에 할당된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안내하는 주차경로 안내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주차경로 안내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차량이 동일한 주차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의 안내를 형성하도록 주차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병렬로 도로에 매립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LED 모듈 및 복수의 LED 모듈의 색상에 해당하는 차량번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일방향을 따라 적어도 2 개 이상 배치된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운전자들이 헷갈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운전자가 장애인인지의 여부에 따라 장애인에 경우, 우선적으로 장애인 주차공간에 주차를 안내하고, 장애인이 아닌 운전자가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할 경우에, 장애인 주차구역에 마련된 경고발생부를 가동하여 주차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경고 발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운전자가 출차를 위해서 주차비를 결제할 때, 주차위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형 주차장의 경우, 운전자는 자신이 주차한 위치를 종정 잊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주차비를 미리 결제할 때에 영수증에 주차위치가 표시됨으로써, 운전자는 자신의 주차위치를 기억하기 위해서 메모를 하거나 주차위치를 촬영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주차비를 결제하고, 차량의 출차가 결정되면 주차공간 상부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주위의 주차된 차량과 식별력을 더욱 증대시켜 차량의 위치를 더욱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차량정보 생성부 111 : 카메라
112 : 이미지 저장부 113 : 이미지 추출부
114 : 추출이미지 저장부 120 : 주차공간 발급부
121 : 제1 통신부 122 : 주차공간 정보부
123 : 주차공간 할당부 124 : 주차공간 발급부
130 : 주차경로 안내부 131 : LED 모듈
132 : 디스플레이부 133 : 위치센서
134 : LED 모듈 점멸부

Claims (5)

  1. 주차장에 복수의 주차공간이 구획되고, 각각의 주차공간에 고유 식별번호를 구비하여 차량의 주차를 안내하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전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차량정보 생성부;
    상기 주차공간 중 빈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빈공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빈공간에 상기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공간을 할당하고, 상기 차량에 해당하는 고유의 가이드 색상을 매핑하는 주차공간 발급부; 및
    상기 주차공간 발급부에서 발급한 상기 차량에 할당된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안내하는 주차경로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경로 안내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차량이 동일한 주차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의 안내를 형성하도록 주차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병렬로 도로에 매립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LED 모듈; 및
    상기 복수의 LED 모듈의 색상에 해당하는 차량번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주차경로를 따라 상부에 설치되고, 화살표 방향표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 발급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경로를 안내할 때에, 상기 차량의 가이드 색상을 음성으로 제공하는 가이드 색상 음성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4. 주차장에 복수의 주차공간이 구획되고, 각각의 주차공간에 고유 식별번호를 구비하여 차량의 주차를 안내하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방법에 있어서,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주차공간 발급부를 통하여 상기 주차공간 중 빈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빈공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빈공간에 상기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공간을 할당하고, 상기 차량에 해당하는 가이드 색상을 매핑하는 주차공간 발급단계; 및
    주차경로 안내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할당된 주차공간으로 상기 차량을 안내하는 주차경로 안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경로 안내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차량이 동일한 주차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각각의 차량에 서로 다른 색상의 안내를 형성하도록 주차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병렬로 도로에 매립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LED 모듈; 및
    상기 복수의 LED 모듈의 색상에 해당하는 차량번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에 구비된 센서모듈을 통해서 상기 빈공간에 상기 차량이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빈공간을 주차불가 공간으로 무선통신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방법.
KR1020170076801A 2017-06-16 2017-06-16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2012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801A KR102012432B1 (ko) 2017-06-16 2017-06-16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801A KR102012432B1 (ko) 2017-06-16 2017-06-16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02A true KR20180137302A (ko) 2018-12-27
KR102012432B1 KR102012432B1 (ko) 2019-10-21

Family

ID=6495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801A KR102012432B1 (ko) 2017-06-16 2017-06-16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43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5916A (zh) * 2018-12-28 2019-04-12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引导车流的方法及装置
CN110009929A (zh) * 2019-03-15 2019-07-12 北京筑梦园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泊位管理方法、设备及系统
CN110335493A (zh) * 2019-04-30 2019-10-15 重庆盛捷高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调度系统
KR102269768B1 (ko) * 2021-01-12 2021-06-28 (주)세정이에프씨 공동주택 단지 주차 관리 및 방문차량 안내 제어시스템
CN113192356A (zh) * 2021-04-01 2021-07-30 上海欧菲智能车联科技有限公司 一种多传感器融合的车位检测方法、装置及车辆
CN114582134A (zh) * 2022-03-07 2022-06-03 广州大学 一种基于智能交互的全程指引停车场系统及方法
CN115457762A (zh) * 2022-08-04 2022-12-09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车位管理方法、系统、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612675B1 (ko) * 2023-02-09 2023-12-13 (주)엠에스제이텍 대단지 주차관제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277Y1 (ko) 2006-06-30 2006-09-22 조칠만 주차 차량 감지 장치 및 주차 관리 시스템
KR20120139947A (ko) * 2011-06-20 2012-12-28 윤형관 엘이디를 이용한 주차장 이동 동선 안내시스템
KR20170024962A (ko) * 2015-08-27 2017-03-08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주차 관제 시스템
KR20170033075A (ko) * 2015-09-16 2017-03-24 김용묵 주차유도 영상 카메라, 그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및 주차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277Y1 (ko) 2006-06-30 2006-09-22 조칠만 주차 차량 감지 장치 및 주차 관리 시스템
KR20120139947A (ko) * 2011-06-20 2012-12-28 윤형관 엘이디를 이용한 주차장 이동 동선 안내시스템
KR20170024962A (ko) * 2015-08-27 2017-03-08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주차 관제 시스템
KR20170033075A (ko) * 2015-09-16 2017-03-24 김용묵 주차유도 영상 카메라, 그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및 주차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5916A (zh) * 2018-12-28 2019-04-12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引导车流的方法及装置
CN110009929A (zh) * 2019-03-15 2019-07-12 北京筑梦园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泊位管理方法、设备及系统
CN110335493A (zh) * 2019-04-30 2019-10-15 重庆盛捷高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调度系统
KR102269768B1 (ko) * 2021-01-12 2021-06-28 (주)세정이에프씨 공동주택 단지 주차 관리 및 방문차량 안내 제어시스템
CN113192356A (zh) * 2021-04-01 2021-07-30 上海欧菲智能车联科技有限公司 一种多传感器融合的车位检测方法、装置及车辆
CN114582134A (zh) * 2022-03-07 2022-06-03 广州大学 一种基于智能交互的全程指引停车场系统及方法
CN115457762A (zh) * 2022-08-04 2022-12-09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车位管理方法、系统、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612675B1 (ko) * 2023-02-09 2023-12-13 (주)엠에스제이텍 대단지 주차관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432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7302A (ko)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1682281B1 (ko) 주차위치 자동 안내시스템
KR101777008B1 (ko) 주차유도 영상 카메라, 그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및 주차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 방법
KR20100129453A (ko) 차량별 상세유도안내가 가능한 주차유도시스템
US20180233046A1 (en) Emergency situation handling platform for road using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attached to street light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US20190118838A1 (en) System for managing space available and seats for passengers for use of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CN103337196A (zh) 车位引导和反向寻车方法及其系统
KR101241623B1 (ko) 방범기능 삽입형 횡단보도 교통안전지도시스템
KR101154153B1 (ko) 주차 유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방법
CN110085049B (zh) 一种停车管理装置、系统和方法
KR20140118361A (ko) 종합 주차 관제 시스템
CN108630003A (zh) 自动化车辆安全停车区域使用通知系统
KR101781754B1 (ko) 조명유도 주차 안내 시스템
JP2007048174A (ja) 駐車場システム
KR20150057704A (ko)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KR20200009446A (ko) 스마트 주차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EP4057253B1 (en) System, management method, automated driving vehicle, and program
KR20190092747A (ko) 주차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안내 방법
JP2020086744A (ja) 停止位置制御装置、停止位置制御方法、及び停止位置制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58908B1 (ko)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150074272A (ko)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2313B1 (ko) 주차된 차량 위치 알려주는 장치
KR20170014998A (ko) 교통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162309B1 (ko) 주차장 내 주차 맞춤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