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992A -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992A
KR20180134992A KR1020187033015A KR20187033015A KR20180134992A KR 20180134992 A KR20180134992 A KR 20180134992A KR 1020187033015 A KR1020187033015 A KR 1020187033015A KR 20187033015 A KR20187033015 A KR 20187033015A KR 20180134992 A KR20180134992 A KR 20180134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vator
abnormality
unit
countermea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669B1 (ko
Inventor
도모히로 하토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4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 예측시에, 대책 정보가 불필요한 관계자에 대해 정보의 신속하고 용이한 파악을 지원 가능하고, 또한 대책 정보가 필요한 관계자에 대해 이상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지원 가능한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은 이상 예측용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발생을 예측하는 예측부와, 엘리베이터의 관계자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와,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에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와, 발생이 예측된 이상의 내용에 대응하는 대책 정보를 취득하는 대책 정보 취득부와, 정보 통신부가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할 때에 관계자 정보를 참조하여 당해 관계자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다. 통신부는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하는 관계자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당해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와 함께 대책 정보를 송신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진단부와 영업소 사이를 진단 센터에 의해서 접속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진단부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시에 진단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진단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을 검지하는 것과 아울러, 이상 기기의 특정과 고장 발생일을 예측하는 전조 판정부와, 이 전조 판정부에서 전조 데이터를 진단 센터로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진단 센터는 송신되어 온 전조 데이터의 내용 별 전조 작업 지시 정보를 영업소로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영업소는 진단 센터에서 송신되어 온 전조 작업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조 작업 지시서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개평 07-037186호 공보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진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전조 작업 지시 정보(전조 즉 예측된 이상에의 대책 정보)를 영업소로 송신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전조(이상의 예측)는 당해 엘리베이터의 보수를 담당하고 있는 영업소만이 아니라, 당해 엘리베이터의 소유자(오너) 등에도 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엘리베이터의 소유자 중에는 전조 작업 지시 정보는 필요하지 않고, 전조의 사실만을 알고 싶은 사람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람에게 전조 작업 지시 정보가 송신됨으로써, 송신된 정보량이 많아져서 전조(이상 예측) 정보의 내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진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이 점이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에, 대책 정보까지는 필요로 하지 않는 당해 엘리베이터의 관계자(예를 들면 당해 엘리베이터의 소유자 등)에게 이상 예측 정보의 신속하고 용이한 파악을 지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에, 발생이 예측된 이상에 대한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관계자에 대해서는 정보의 신속하고 용이한 파악을 지원할 수 있고, 또한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 관계자에게는 확실히 대책 정보를 전하여, 당해 관계자에 의한 이상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지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정보 및 보전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상 예측용 정보를 기억하는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와, 상기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이상 예측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발생을 예측하는 이상 발생 예측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내용에 대응하는 대책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대책 정보 기억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관계자마다 당해 관계자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를 포함하는 관계자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관계자 정보 기억부와, 상기 이상 발생 예측부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에 상기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통신부와, 상기 이상 발생 예측부에 의해 발생이 예측된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내용에 대응하는 대책 정보를 상기 대책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득하는 대책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통신부가 상기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할 때에 상기 관계자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관계자 정보를 참조해 당해 관계자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필요 정보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통신부는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관계자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한다고 상기 필요 정보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었을 경우에, 당해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와 함께 상기 대책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대책 정보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에, 발생이 예측된 이상에 대한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관계자에 대해서는 정보의 신속하고 용이한 파악을 지원할 수 있고, 또한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 관계자에게는 확실히 대책 정보를 전하여, 당해 관계자에 의한 이상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지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의 건물측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의 정보 센터측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의 정보 센터가 구비하는 제2 기억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의 정보 센터가 구비하는 정보 수집 서버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 한다. 덧붙여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1.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의 건물측의 구성도, 도 2는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의 정보 센터측의 구성도, 도 3은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의 정보 센터가 구비하는 제2 기억부의 구성도, 도 4는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의 정보 센터가 구비하는 정보 수집 서버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이 예방 보전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건물(10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110)이다. 엘리베이터(110)는 엘리베이터 칸 기기(111), 승강장 기기(112) 및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3)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기기(111)는 엘리베이터(110)의 탑승 엘리베이터 칸, 탑승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기 위한 각종의 기기 및 탑승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각종의 기기의 총칭이다. 탑승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기 위한 각종의 기기에는, 예를 들면, 권상기, 제동 장치 및 조속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탑승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각종의 기기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조작반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 개폐 기구 등이 포함된다.
승강장 기기(112)는 엘리베이터(110)의 승강장에 설치된 각종의 기기의 총칭이다. 승강장에 설치된 각종의 기기에는 승강장 조작반, 홀 랜턴 및 정보 표시 장치 등이 포함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3)는 엘리베이터 칸 기기(111) 및 승강장 기기(112)의 동작을 제어하고, 당해 엘리베이터(110)의 운전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3)는 엘리베이터(110)의 운전을 제어할 때에 당해 엘리베이터(11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한다. 엘리베이터(110)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당해 엘리베이터(110)가 주행 중인지 정지 중인지, 당해 엘리베이터(110)의 위치, 운전 방향 및 호출 등록의 상황, 및 당해 엘리베이터(110)에 대한 이상 유무 및 (이상이 있는 경우의) 이상 내용 등이 포함된다.
엘리베이터(110)가 설치된 건물(100)에는 자기 진단 장치(121) 및 제1 기억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자기 진단 장치(121)는 당해 건물(10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110)의 고장의 가능성에 대해 자기 진단을 실시한다. 자기 진단 장치(121)는 이 자기 진단을 제1 기억부(12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제1 기억부(122)에는 당해 건물(10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110)의 주행 정보 및 보전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엘리베이터(110)의 주행 정보는 당해 엘리베이터(110)의 주행 횟수, 주행거리, 주행 빈도 등의 정보이다. 엘리베이터(110)의 보전 정보는 당해 엘리베이터(110)의 고장 등의 이상 발생 이력, 고장의 수리 이력, 정기 점검 결과, 정기 보수 이력 등의 정보이다.
엘리베이터(110)의 주행 정보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3)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110)의 보전 정보 가운데 예를 들면, 고장의 수리 이력, 정기 점검 결과 및 정기 보수 이력 등에 대해서는, 이들 각각의 작업 실시시에 시스템에 입력하여 제1 기억부(122)에 기억시켜둘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110)의 보전 정보 가운데, 당해 엘리베이터(110)의 고장 등의 이상 발생 이력에 대해서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3)가 이상 발생을 자동적으로 검출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3)로부터 당해 이상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110)가 설치된 건물(100)은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정보 센터(200)와 상호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통신 네트워크(300)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날로그 공중 전화망 및 IP네트워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자기 진단 장치(121)는 제1 기억부(122)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건물(10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110)의 주행 정보 및 보전 정보를 건물(100)에서 정보 센터(200)로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송신한다. 또한, 자기 진단 장치(121)는, 당해 건물(10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110)의 자기 진단 결과를 자기 진단 정보로서 건물(100)에서 정보 센터(200)로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송신해도 괜찮다.
정보 센터(200)는 엘리베이터(110)가 설치된 건물(100)과는 다른 장소에 마련된다. 정보 센터(200)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10)가 설치된 건물(100)이 소재하는 지역마다 설치된다. 정보 센터(200)는 당해 정보 센터(200)가 관할하는 지역 안의 건물(100)에 대해 감시를 실시한다. 정보 센터(200)에는 엘리베이터(110)의 감시원 및 보수원 등이 상주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정보 센터(200)가 관할하는 지역 안의 건물(100)의 엘리베이터(110)에 이상이 발생하는 등의 긴급시에는, 이상이 발생한 건물(100)에 당해 정보 센터(200)에서 보수원 등의 필요한 인원을 파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서 정보 센터(200)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정보 센터(200)에는, 정보 수집 서버(210), 제2 기억부(220) 및 감시대(230)가 설치되어 있다. 정보 수집 서버(210)는 건물(100)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110)의 정보의 수집, 수집한 정보에 기초한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의 예측, 및 이상 발생 예측 정보 등의 관계자에게로의 송신 등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기억부(220)는 정보 수집 서버(210)가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의 예측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 및 정보 수집 서버(210)가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 등을 기억하고 있다. 감시대(230)는 정보 센터(200) 내의 감시원이 당해 정보 센터(200)가 관할하는 건물(100)의 엘리베이터(110)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보 센터(200)는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건물(100)의 엘리베이터(110)의 관계자와도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건물(100)의 엘리베이터(110)의 관계자란 건물(100)의 엘리베이터(110)의 소유자(오너), 관리자, 및 소유자 또는 관리자 등과 엘리베이터(110)의 보수 계약을 맺고 있는 보수 회사 등이다. 관계자는 제1종 관계자(401)와 제2종 관계자(402)의 2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제1종 관계자(401) 및 제2종 관계자(40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서, 제2 기억부(22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기억부(220)는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221), 관계자 정보 기억부(222) 및 대책 정보 기억부(223)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221)는 이상 예측용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이상 예측용 정보는 엘리베이터(110)의 주행 정보 및 보전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221)가 기억하는 이상 예측용 정보에 포함되는 엘리베이터(110)의 주행 정보 및 보전 정보는, 예를 들면 건물(100)의 자기 진단 장치(121)에서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송신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건물(100)의 자기 진단 장치(121)에서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송신된 정보는, 후술하는 정보 수집 서버(210)의 정보 통신부(214)에 의해 수신한다. 그리고, 정보 통신부(214)에 의해 수신한 정보를 제2 기억부(220)에 기억한다.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221)가 기억하는 이상 예측용 정보에는, 자기 진단 장치(121)에서 송신된 엘리베이터(110)의 자기 진단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해도 괜찮다.
관계자 정보 기억부(222)는 관계자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관계자 정보는 엘리베이터(110)의 관계자마다, 당해 관계자가 후술하는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 관계자를 제1종 관계자(401)로 정의한다. 또한,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관계자를 제2종 관계자(402)로 정의한다. 즉, 관계자 정보는 각 관계자가 제1종 관계자(401)인지, 제2종 관계자(402)인지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덧붙여 정보 센터(200)가 관리하는 건물(100) 및 엘리베이터(110)가 다수 있는 경우에는, 관계자 정보에는 각각의 건물(100) 및 엘리베이터(110)마다, 관계자가 등록된다. 또한, 관계자 정보에는 추가로 각 관계자의 명칭, 정보의 송신처(메일 주소) 등이 포함되어 있다.
대책 정보 기억부(223)는 대책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대책 정보란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내용에 대응하는 대책 정보이다. 이상의 내용에 대응하는 대책이란 당해 이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필요한 작업(예를 들면, 부품 교환, 주유 등)을 말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서, 정보 수집 서버(210)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수집 서버(210)는 이상 발생 예측부(211), 대책 정보 취득부(212), 필요 정보 판정부(213) 및 정보 통신부(214)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 발생 예측부(211)는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221)에 기억된 이상 예측용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을 예측한다. 전술한 것처럼, 이상 예측용 정보에는 엘리베이터(110)의 주행 정보 및 보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 발생 예측부(211)는 엘리베이터(110)의 주행 정보 및 보전 정보를 이용해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중에 당해 엘리베이터(110)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또는 현재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 판정하고, 당해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을 예측한다. 이상 발생 예측부(211)는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을 예측할 때, 당해 엘리베이터(110)에 발생한다고 예측한 이상의 내용에 대해서도 특정한다.
이 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이상 발생을 예측하려고 하는 엘리베이터(110)와는 다른 엘리베이터(110)의 주행 정보 및 보전 정보를 이용해도 괜찮다. 즉, 이상 발생 예측부(211)는 다른 엘리베이터(110)에서 실제로 발생한 이상과 그 때의 주행 정보를 참조하여, 다른 엘리베이터(110)에서 이상 발생했을 때의 주행 정보와 이상 발생을 예측하려고 하는 엘리베이터(110)의 주행 정보를 비교 함으로써, 이상 발생을 예측해도 괜찮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이상 예측용 정보에 자기 진단 장치(121)에 의한 엘리베이터(110)의 자기 진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상 발생 예측부(211)는 자기 진단 정보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을 예측하도록 해도 괜찮다.
정보 통신부(214)는 이상 발생 예측부(211)에 의해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에, 이상의 발생이 예측된 엘리베이터(110)의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한다. 정보 통신부(214)는 이상의 발생이 예측된 엘리베이터(110)의 관계자에 대한 정보를 관계자 정보 기억부(222)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정보 통신부(214)가 송신하는 이상 발생 예측 정보에는 이상 발생 예측부(211)에 의해 당해 엘리베이터(110)에서의 발생이 예측된 이상의 내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정보 통신부(214)가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할 때에는, 필요 정보 판정부(213)는 당해 관계자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전술한 것처럼, 엘리베이터(110)의 관계자에게는,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 제1종 관계자(401)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제2종 관계자(402)의 2 종류가 있다. 필요 정보 판정부(213)는 정보 통신부(214)가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할 때, 이상 발생 예측 정보의 송신처인 관계자가, 제1종 관계자(401) 또는 제2 기억부(220) 중 어느 것인지를 확인한다.
덧붙여, 정보 통신부(214)가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란, 이상 발생 예측부(211)에 의해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이다. 또한, 이상 발생 예측 정보의 송신처인 관계자란 이상 발생 예측부(211)에 의해 이상의 발생이 예측된 엘리베이터(110)의 관계자이다.
필요 정보 판정부(213)는 관계자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관계자 정보 기억부(222)에 기억된 관계자 정보를 참조해 실시한다. 그리고, 필요 정보 판정부(213)는 이상 발생 예측 정보의 송신처인 관계자가 제1종 관계자(401)인 경우에는, 당해 관계자는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이상 발생 예측 정보의 송신처인 관계자가 제2종 관계자(402)인 경우에는, 당해 관계자는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대책 정보 취득부(212)는, 이상 발생 예측부(211)에 의해 발생이 예측된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내용에 대응하는 대책 정보를 대책 정보 기억부(223)로부터 취득한다. 덧붙여 대책 정보 취득부(212)에 의한 대책 정보의 취득은 정보 통신부(214)가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하는 관계자 중 제1종 관계자(401)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만으로 좋다.
정보 통신부(214)는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하는 관계자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면 필요 정보 판정부(213)에 의해 판정되었을 경우에, 당해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와 함께 대책 정보 취득부(212)에 의해 취득된 대책 정보를 송신한다. 즉, 정보 통신부(214)는 제1종 관계자(401)에 대해서는 이상 발생 예측부(211)에 의해 예측된 이상 발생 예측 정보와 대책 정보 취득부(212)에 의해 취득된 대책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송신한다.
한편, 정보 통신부(214)는 제2종 관계자(402)에 대해서는 이상 발생 예측부(211)에 의해 예측된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송신한다. 제2종 관계자(402)에 대해서는, 대책 정보는 송신하지 않는다. 덧붙여 제1종 관계자(401)에 대해 정보 통신부(214)가 송신하는 대책 정보는 전술한 것처럼 이상 발생 예측 정보에 포함되는 발생이 예측된 이상에 대응하고 있다.
덧붙여, 전술한 것처럼 정보 수집 서버(210)와 제2 기억부(220)는 정보 센터(200)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221), 이상 발생 예측부(211), 대책 정보 기억부(223), 관계자 정보 기억부(222), 정보 통신부(214), 대책 정보 취득부(212) 및 필요 정보 판정부(213)는 엘리베이터(110)가 설치된 건물(100)과는 다른 장소에 설치된 정보 센터(200) 내에 마련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을 예측하고,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에는, 당해 엘리베이터(110)의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엘리베이터(110)의 관계자에게는 발생이 예측된 이상에 관한 대책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과 발생이 예측된 이상에 관한 대책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에, 제1종 관계자(401)에게는 이상 발생 예측 정보와 같이 대책 정보를 송신하고, 제2종 관계자(402)에게는 이상 발생 예측 정보만을 송신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110)의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에, 발생이 예측된 이상에 대한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당해 엘리베이터(110)의 관계자(제1종 관계자(401))에게는 이상 발생 예측 정보와 같이 대책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발생이 예측된 이상에 대한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당해 엘리베이터(110)의 관계자(제2종 관계자(402))에게는 이상 발생 예측 정보만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이 예측된 이상에 대한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 관계자에게만 대책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정말로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 관계자에게는 확실히 대책 정보를 전하고, 당해 관계자에 의한 이상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관계자에게는 이상 발생 예측 정보만을 전해 당해 관계자에 의한 정보의 신속하고 용이한 파악을 지원할 수 있다.
덧붙여 이상에 있어서는, 정보 수집 서버(210) 및 제2 기억부(220)를 정보 센터(200)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여기서, 정보 센터(200)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10)가 설치된 건물(100)이 소재하는 지역마다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보 센터(200)는 당해 정보 센터(200)가 관할하는 지역 안의 건물(100)에 대해 감시를 실시한다. 이 때, 정보 수집 서버(210) 및 제2 기억부(220)의 설치 장소에 대해서는 정보 센터(200) 내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정보 센터(200)에 설치되어 있던 정보 수집 서버(210) 및 제2 기억부(220)를 예를 들면 클라우드 기술 등을 이용하여 한곳에 집약하여 설치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 경우, 각 정보 센터(200)에는 감시대(230)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정보 센터(200)의 감시대(230)로부터 한곳에 집약된 정보 수집 서버(210) 및 제2 기억부(220)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건물(100)이 소재하는 나라와 정보 수집 서버(210) 및 제2 기억부(220)가 소재하는 나라가 다른 나라가 되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정보 수집 서버(210) 및 제2 기억부(220)를 한 곳에 집약했을 경우도,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221), 이상 발생 예측부(211), 대책 정보 기억부(223), 관계자 정보 기억부(222), 정보 통신부(214), 대책 정보 취득부(212) 및 필요 정보 판정부(213)는 엘리베이터(110)가 설치된 건물(100)과는 다른 장소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300)의 중계국, 회선 설비 및 노드 등 (이하, 「중계국 등」이라고 한다)의 설치국은 정보 수집 서버(210), 감시대(230) 및 건물(100)이 소재하는 나라와 같은 나라인 경우도 있고 다른 나라인 경우도 있다. 추가로, 1회의 통신에서 경유하는 통신 네트워크(300)의 중계국 등의 설치국은 1국뿐이라고 할 수는 없고, 복수의 나라의 중계국 등을 경유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같은 나라 내에 소재하는 감시대(230)와 건물(100) 사이의 통신이, 감시대(230) 및 건물(100)의 소재국과는 다른 나라에 설치된 통신 네트워크(300)의 중계국 등을 경유하여 행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것처럼, 경유하는 중계국 등 또는 노드 등의 설치국이 복수의 나라가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다른 나라에 소재하는 건물(100)과 정보 수집 서버(210) 사이의 통신이, 건물(100)의 소재국(제1국)과도 정보 수집 서버(210)의 소재국(제2국)과도 다른 제3국에 설치된 통신 네트워크(300)의 중계국 등을 경유해 행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것처럼, 경유하는 중계국 등의 설치국(제3국)이 복수의 나라가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건물(100), 정보 수집 서버(210) 및 감시대(230)의 사이에서의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한 통신이 복수의 나라에 걸쳐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발생을 예측하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의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00 건물 110 엘리베이터
111 엘리베이터 칸 기기 112 승강장 기기
113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121 자기 진단 장치
122 제1 기억부 200 정보 센터
210 정보 수집 서버 211 이상 발생 예측부
212 대책 정보 취득부 213 필요 정보 판정부
214 정보 통신부 220 제2 기억부
221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 222 관계자 정보 기억부
223 대책 정보 기억부 230 감시대
300 통신 네트워크 401 제1종 관계자
402 제2종 관계자

Claims (3)

  1. 엘리베이터의 주행 정보 및 보전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상 예측용 정보를 기억하는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와,
    상기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이상 예측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발생을 예측하는 이상 발생 예측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내용에 대응하는 대책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대책 정보 기억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관계자마다 당해 관계자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를 포함하는 관계자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관계자 정보 기억부와,
    상기 이상 발생 예측부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에, 상기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통신부와,
    상기 이상 발생 예측부에 의해 발생이 예측된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내용에 대응하는 대책 정보를 상기 대책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득하는 대책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통신부가 상기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할 때에, 상기 관계자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관계자 정보를 참조하여 당해 관계자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필요 정보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통신부는 이상 발생 예측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관계자가 대책 정보를 필요로 한다고 상기 필요 정보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었을 경우에, 당해 관계자에게 이상 발생 예측 정보와 함께 상기 대책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대책 정보를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 상기 이상 발생 예측부, 상기 대책 정보 기억부, 상기 관계자 정보 기억부, 상기 정보 통신부, 상기 대책 정보 취득부 및 상기 필요 정보 판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과 다른 장소에 마련되는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건물에 설치되어 당해 건물에 설치된 상기 엘리베이터의 주행 정보 및 보전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고장의 가능성에 대해 진단을 실시하고, 진단 결과를 자기 진단 정보로서 상기 정보 센터로 송신하는 자기 진단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 예측용 정보 기억부가 기억하는 이상 예측용 정보에는, 상기 자기 진단 장치로부터 송신된 자기 진단 정보가 추가로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KR1020187033015A 2016-05-24 2016-05-24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KR102118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5309 WO2017203602A1 (ja) 2016-05-24 2016-05-24 エレベーター予防保全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992A true KR20180134992A (ko) 2018-12-19
KR102118669B1 KR102118669B1 (ko) 2020-06-03

Family

ID=6041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015A KR102118669B1 (ko) 2016-05-24 2016-05-24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84615B2 (ko)
JP (1) JP6614343B2 (ko)
KR (1) KR102118669B1 (ko)
CN (1) CN109195896B (ko)
DE (1) DE112016006896T5 (ko)
WO (1) WO2017203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87B1 (ko) * 2017-12-14 2021-09-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검색 시스템 및 감시 시스템
KR102317212B1 (ko) * 2018-03-02 2021-10-26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US20200065691A1 (en) * 2018-08-21 2020-02-27 Otis Elevator Company Model development framework for remote monitoring condition-based maintenance
CN111824883B (zh) * 2019-04-15 2022-01-11 杭州沪宁电梯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电梯轿厢的诊断维保系统
JP7362573B2 (ja) 2020-09-04 2023-10-1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昇降機故障復旧方法及び昇降機故障復旧支援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186A (ja) 1993-07-16 1995-02-07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故障予兆システム
JP2003020174A (ja) * 2001-07-10 2003-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昇降機の運行保証システム
JP2009040585A (ja) * 2007-08-10 2009-02-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診断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6369B2 (ja) 2008-03-05 2013-05-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US10920565B2 (en) * 2012-12-20 2021-02-16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Well construction management and decision support system
US9556002B2 (en) * 2013-06-10 2017-01-3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noise monito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186A (ja) 1993-07-16 1995-02-07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故障予兆システム
JP2003020174A (ja) * 2001-07-10 2003-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昇降機の運行保証システム
JP2009040585A (ja) * 2007-08-10 2009-02-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診断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14343B2 (ja) 2019-12-04
WO2017203602A1 (ja) 2017-11-30
JPWO2017203602A1 (ja) 2018-12-06
DE112016006896T5 (de) 2019-02-21
KR102118669B1 (ko) 2020-06-03
CN109195896A (zh) 2019-01-11
CN109195896B (zh) 2020-08-07
US11584615B2 (en) 2023-02-21
US20190112151A1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4992A (ko)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RU2534830C2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лифтовой установки и лиф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2035557B1 (ko) 엘리베이터 사물 인터넷 기반 부지중 자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9580276B2 (en) Elevator system with messaging for automated maintenance
KR102330676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장치
EP3599205B1 (en) Method for understanding and planning elevator use
JP2008230745A (ja) エレベータの保守管理システム
WO2014006766A1 (ja) 遠隔監視支援装置および遠隔監視システム
WO2018100609A1 (ja) エレベーター故障の遠隔復旧システム
KR20070048010A (ko)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5877A (ko)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CN109132760B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电梯远程监控系统
KR20190102033A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KR101812926B1 (ko)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WO2019116500A1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診断システム
KR101224732B1 (ko)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24562B1 (ko) 엘리베이터의 정보수집 시스템 장치
JP2017138908A (ja) ビル設備管理システム
KR102584711B1 (ko) 스마트 예방정비 시스템 및 그 방법
JP7408850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22259712A1 (ja) エレベーターの管理システム
KR20190062592A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6042285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装置
WO2022259713A1 (ja) エレベーターの管理システム
JP2022167245A (ja) 遠隔監視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