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598A - 전류센서 - Google Patents

전류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598A
KR20180133598A KR1020170070586A KR20170070586A KR20180133598A KR 20180133598 A KR20180133598 A KR 20180133598A KR 1020170070586 A KR1020170070586 A KR 1020170070586A KR 20170070586 A KR20170070586 A KR 20170070586A KR 20180133598 A KR20180133598 A KR 20180133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s bar
shunt resistor
fasten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317B1 (ko
Inventor
윤재훈
전창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317B1/ko
Priority to CN201711223995.8A priority patent/CN109001518B/zh
Priority to DE102017221551.8A priority patent/DE102017221551A1/de
Priority to US15/829,001 priority patent/US10571492B2/en
Publication of KR2018013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46Measuring arrangements for current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of G01R15/14, e.g. using current dividers, shunts, or measuring a voltage dro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8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air- or spacecraft, railway rolling stock or sea-going vessel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는,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 사이에 개재되는 션트 저항기; 및 제1 및 제2 버스바와 션트 저항기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바는 제1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2버스바는 제2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션트 저항기는 제3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관통공,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제3관통공은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도록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류센서{CURRENT SENSOR}
본 발명은 전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서에 관한 것이다.
전류센서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전류센서는 션트저항 타입 전류센서, CT(Current Transformer), Hall Effect Current Sensor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션트저항 타입 전류센서는 낮은 가격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갖고있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션트저항 타입 전류센서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회로 중간에 저항값이 낮은 저항체인 션트 저항기(shunt resistor)를 삽입하고, 선텨 저항기의 양단에서 발생하는 전압차를 이용하여 전류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션트저항 타입 전류센서는 전원 측에 접속된 입력버스바(input bus bar)와, 부하 측에 접속된 출력버스바(output bus bar)와, 입력버스바 및 출력버스바 사이에 접속된 션트 저항기로 구성된다.
전원에는 인버터가 연결되고, 입력버스바는 인버터의 파워모들에 접속된다. 션트 저항기는 입력버스바 및 출력버스바에 브레이징을 통해 결합되고, 션트 저항기의 양단에 센싱와이어가 용접된다. 센싱와이어는 인버터의 게이트보드(gate board)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가진다. 커넥터가 게이트보드의 전류 센싱회로에 접속됨으로써 션트 저항기는 게이트보드의 전류 센싱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전원으로부터 입력버스바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가 션트 저항기를 흐를 때 션트 저항기의 저항값에 따라 전압값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에 버스바를 흐르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션트저항 타입 전류센서는 션트 저항기가 입력버스바 및 출력버스바 사이에 브레이징을 통해 접속되고, 션트 저항기의 양단에 와이어가 용접됨에 따라 그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이로 인한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션트저항 타입 전류센서는 션트 저항기 및 와이어 등이 브레이징 및 용접 등을 통해 장착됨에 따라 리워크(rework)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션트저항 타입 전류센서는 커넥터를 통해 인터버의 게이트보드에 연결됨에 따라 커넥터의 이격 내지 움직임 등으로 인해 측정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조립이 간편하고,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션트 저항기의 오조립 시에도 리워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기적 접속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전류센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는,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 사이에 개재되는 션트 저항기; 및 제1 및 제2 버스바와 션트 저항기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바는 제1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2버스바는 제2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션트 저항기는 제3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관통공,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제3관통공은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도록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션트 저항기는 상기 제1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접속면과 상기 제2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접속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에 인접한 버스바 사이에는 절연재질의 절연와셔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헤드 및 헤드부에서 연장된 나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구의 나사부는 상기 제1관통공의 내경, 상기 제2관통공의 내경, 상기 제3관통공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션트 저항기는 제1 및 제2 센싱와이어에 의해 전류 센싱회로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션트 저항기의 제1접속면에는 제1센싱와이어가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션트 저항기의 제2접속면에는 제2센싱와이어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싱와이어의 일단에는 제1션트 저항와셔가 동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션트 저항와셔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션트 저항와셔는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션트 저항기의 제1접속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싱와이어의 타단은 전류 센싱회로에 솔더링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싱와이어의 일단에는 제2션트 저항와셔가 동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션트 저항와셔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2션트 저항와셔는 상기 제2버스바와 상기 션트 저항기의 제2접속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싱와이어의 타단은 전류 센싱회로에 솔더링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는 인버터를 통해 전원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제2버스바는 부하 측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는 상기 인버터의 파워모듈의 절연기판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파워모듈의 절연기판은 상기 체결구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이 간편하고,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션트 저항기의 오조립 시에도 리워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기적 접속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가 적용되는 인버터-모터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1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모터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인버터-모터시스템은 전원(1, power source)와, 전원(1)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구동하는 부하(2)와, 전원(1)과 부하(2) 사이에 배치된 인버터(3)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3)는 전원(1)에서 공급되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부하(2) 측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버터(3)는 전하를 축척하여 저장하기 위한 커패시터(4)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와 같은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목표로 하는 전류의 크기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파워모듈(5)과, 파워모듈(5)의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가 실장되는 게이트보드(미도시)와, 게이트보드 및 파워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보드(미도시) 등을 가질 수 있다.
인버터(3)의 파워모듈(5)에는 복수의 제1버스바(21)가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제1버스바(21)는 인버터(3)를 통해 전원(1) 측에 접속된다.
부하(2)에는 복수의 제2버스바(22)가 케이블(2a)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버스바(21) 및 복수의 제2버스바(22) 사이에는 복수의 전류센서(10)가 개별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각 전류센서(10)는 전원(1)에서 부하(2) 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다.
전원(1)의 직류가 인버터(3)를 통해 교류로 변환되고, 변환된 교류는 제1버스바(21)를 통해 각 전류센서(10)로 입력되고, 각 전류센서(10)를 흐르는 교류는 제2버스바(22)를 통해 출력되며, 출력된 교류는 부하(2) 측에 입력될 수 있다.
제1버스바(21)는 인버터(3)의 파워모듈(5)의 절연기판 측에 부착될 수 있고, 파워모듈(5)에서 전류가 출력되는 부분으로 '파워모듈(5)의 출력버스바'로 정의될 수도 있다. 제2버스바(22)는 전류센서(3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부하(2) 측으로 입력되는 부분으로 '부하(2)의 입력버스바'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하(2)는 3상 교류(three- phase alternating current motor) 모터일 수 있고, 전원(1)은 고전압 DC(Direct Current) 배터리일 수 있다. 이에, 인버터(3)는 전원(1)에서 공급되는 고전압 DC를 AC(Alternating Current)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하(2)가 3상 교류 모터일 경우에는 제1버스바(21)의 갯수는 3상 직류를 출력하도록 3개일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2버스바(22) 및 전류센서(30)의 각 갯수가 3개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류센서(10)는 제1버스바(21) 및 제2버스바(22) 사이에 개별적으로 개재되는 션트 저항기(30, shunt resistor)와, 제1 및 제2 버스바(21, 22)와 션트 저항기(3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구(fastener, 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버스바(21)는 전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입력받도록 구성되고, 제1버스바(21)는 체결구(40)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21a)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버스바(21)는 인버터(3)의 파워모듈(5)의 절연기판(6)에 부착될 수 있다. 파워모듈(5)의 절연기판(6)은 제1관통공(21a)에 대응하는 체결공(7)을 가질 수 있고, 체결공(7)의 내면에는 체결구(40)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가질 수 있다.
제2버스바(21)는 체결구(40)가 관통하는 제2관통공(22a)을 가질 수 있고, 제2버스바(22)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가 부하(2) 측으로 입력될 수 있다.
션트 저항기(30)는 체결구(40)가 관통하는 제3관통공(33)을 가진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버스바(21)의 제1관통공(21a), 제2버스바(22)의 제2관통공(22a), 션트 저항기(30)의 제3관통공(33)은 체결구(40)의 체결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션트 저항기(30)는 제1버스바(21)에 접속되는 제1접속면(31)과 제2버스바(22)에 접속되는 제2접속면(32)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구(40)는 헤드(41) 및 나사부(42)를 가진 볼트일 수 있고, 체결구(40)의 나사부(42)는 제1버스바(21)의 제1관통공(21a), 션트 저항기(30)의 제3관통공(33), 제2버스바(22)의 제2관통공(22a)을 관통할 수 있다. 체결구(40)의 나사부(42)가 파워모듈(5)의 절연기판(6)의 체결공(7)에 체결됨으로써 제1버스바(21), 션트 저항기(30) 및 제2버스바(22)는 체결구(40)의 체결방향을 따라 압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구(40)의 체결에 의해 제1버스바(21), 션트 저항기(30) 및 제2버스바(22)가 압착되면서 고정됨으로써 제1버스바(21)와 션트 저항기(30)의 전기적 접속 및 제2버스바(22)와 션트 저항기(30)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고, 션트 저항기(30)의 조립이 매우 간편하며, 전류센서(10)의 레이아웃 및 사이즈 등이 컴팩트해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체결구(40)의 체결에 의해 션트 저항기(30)를 제1버스바(21) 및 제2버스바(22) 사이에 고정함에 따라 션트 저항기(30)의 오조립 시에도 리워크(rework)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체결구(40)는 인접한 어느 한 버스바(21, 22)와 절연되도록 체결구(40)와 이에 인접한 버스바 사이에 절연재질의 절연와셔(70)가 개재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40)의 헤드(41)의 저면과 제2버스바(22)의 상면 사이에는 절연재질의 절연와셔(70)가 개재될 수 있고, 이러한 절연와셔(70)에 의해 전류가 제1버스바(21), 제2버스바(22), 션트 저항기(30)으로부터 체결구(40) 측으로 흐름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류 센싱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체결구(40)의 나사부(42)의 외경(d4)은 제1관통공(21a)의 내경(d1), 제2관통공(22a)의 내경(d2), 제3관통공(33)의 내경(d3)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체결구(40)의 나사부(42)가 제1 및 제2 버스바(21), 션트 저항기(3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전류가 제1버스바(21), 제2버스바(22), 션트 저항기(30)로부터 체결구(40) 측으로 흐름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류 센싱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관통공(21a)의 내경(d1)과 제2관통공(22a)의 내경(d2)은 동일할 수 있고, 션트 저항기(30)의 제3관통공(33)은 제1관통공(21a)의 내경(d1) 및 제2관통공(22a)의 내경(d2)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션트 저항기(30)의 양면은 제1 및 제2 센싱와이어(51, 52)에 의해 인버터(3)의 게이트보드(8)의 전류 센싱회로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션트 저항기(30)의 제1접속면(31)에는 제1센싱와이어(51)가 접속될 수 있고, 션트 저항기(30)의 제2접속면(32)에는 제2센싱와이어(52)가 접속될 수 있다.
제1센싱와이어(51)의 일단에는 제1션트 저항와셔(53)가 동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제1션트 저항와셔(53)는 체결구(40)의 나사부(42)가 관통하는 관통공(53a)을 가진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션트 저항와셔(53)는 제1버스바(21)와 션트 저항기(30)의 제1접속면(31)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이에 체결구(40)의 나사부(42)가 절연기판(6)의 체결공(7)에 체결됨으로써 션트 저항기(30)의 제1접속면(31)과 제1버스바(21) 사이에 제1션트 저항와셔(53)가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고, 이러한 제1션트 저항와셔(53)에 의해 션트 저항기(30)의 제1접속면(31)과 제1버스바(21)의 전기적인 접속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제2센싱와이어(52)의 일단에는 제2션트 저항와셔(54)가 동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제2션트 저항와셔(54)는 체결구(40)의 나사부(42)가 관통하는 관통공(54a)을 가진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션트 저항와셔(54)는 제2버스바(22)와 션트 저항기(30)의 제2접속면(32)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이에 체결구(40)의 나사부(42)가 절연기판(6)의 체결공(7)에 체결됨으로써 션트 저항기(30)의 제2접속면(32)과 제2버스바(22) 사이에 제2션트 저항와셔(54)가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고, 이러한 제2션트 저항와셔(54)에 의해 션트 저항기(30)의 제2접속면(32)과 제2버스바(22)의 전기적인 접속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체결구(40)의 나사부(42)의 외경(d4)은 제1션트 저항와셔(53)의 관통공(53a)의 내경(d5), 제2션트 저항와셔(54)의 관통공(54a)의 내경(d6)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체결구(40)의 나사부(42)가 제1 및 제2 션트 저항와셔(53, 54)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전류가 제1 및 제2 션트 저항와셔(53, 54)로부터 체결구(40) 측으로 흐름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류 센싱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센싱와이어(51)의 타단은 인버터(3)의 게이트보드(8)의 전류 센싱회로에 솔더링(9)을 통해 접속될 수 있고, 제2센싱와이어(52)의 타단은 인버터(3)의 게이트보드(8)의 전류 센싱회로에 솔더링(9)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게이트보드(8)의 전류 센싱회로가 션트 저항기(30)를 흐르는 전류를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센싱와이어(51)의 타단 및 제2센싱와이어(52)의 타단이 게이트보드(8)의 전류 센싱회로에 솔더링됨으로써 제1 및 제2 센싱와이어(51, 52)의 전기적 접촉품질을 개선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센싱와이어(51, 52)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센싱와이어(51, 52)의 타단이 게이트보드(8)의 전류 센싱회로에 솔더링됨으로써 게이트보드(8)가 제1 및 제2 센싱와이어(51, 52)의 파워모듈(4)에 간편하게 장착될 뿐만 아니라 제1버스바(21) 및 제2버스바(22) 사이에 션트 저항기(30)가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센싱와이어(51)의 타단 및 제2센싱와이어(52)의 타단에는 제1커넥터(61)가 장착되고, 인버터(3)의 게이트보드(8)의 전류 센싱회로에는 제2커넥터(62)가 장착된다. 제1 및 제2 센싱와이어(51, 52)의 제1커넥터(61)가 게이트보드(8)의 제2커넥터(62)에 분리가능하게 스냅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게이트보드(8)의 전류 센싱회로가 션트 저항기(30)를 흐르는 전류를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센싱와이어(51) 및 제2센싱와이어(52) 각각에 제1션트 저항와셔(53) 및 제2션트 저항와셔(54)가 동일체로 연결되고, 체결구(40)의 체결에 의해 션트 저항기(30)의 양면에 제1션트 저항와셔(53) 및 제2션트 저항와셔(54)가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션트 저항기(30)와 게이트보드(8)의 전류 센싱회로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류센서(10)가 전기차, 하이브리드 차량 등의 인버터-모터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모터 측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센싱함으로써 모터의 전류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전원 2: 부하
3: 인버터 5: 파워모듈
10: 전류센서 21: 제1버스바
21a: 제1관통공 22: 제2버스바
22a: 제2관통공 30: 션트 저항기
31: 제1접속면 32: 제2접속면
33: 제3관통공 40: 체결구
41: 헤드 42: 나사부
51: 제1센싱와이어 52: 제2센싱와이어
53: 제1션트 저항와셔 54: 제2션트 저항와셔

Claims (13)

  1.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 사이에 개재되는 션트 저항기; 및
    제1 및 제2 버스바와 션트 저항기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바는 제1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2버스바는 제2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션트 저항기는 제3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관통공,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제3관통공은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도록 일렬로 배열되는 전류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션트 저항기는 상기 제1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접속면과 상기 제2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접속면을 가지는 전류센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에 인접한 버스바 사이에는 절연재질의 절연와셔가 개재되는 전류센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헤드 및 헤드부에서 연장된 나사부를 가지는 전류센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나사부는 상기 제1관통공의 내경, 상기 제2관통공의 내경, 상기 제3관통공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전류센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션트 저항기는 제1 및 제2 센싱와이어에 의해 전류 센싱회로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류센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션트 저항기의 제1접속면에는 제1센싱와이어가 접속되고, 상기 션트 저항기의 제2접속면에는 제2센싱와이어가 접속되는 전류센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와이어의 일단에는 제1션트 저항와셔가 동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션트 저항와셔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션트 저항와셔는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션트 저항기의 제1접속면 사이에 개재되는 전류센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와이어의 타단은 전류 센싱회로에 솔더링을 통해 접속되는 전류센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와이어의 일단에는 제2션트 저항와셔가 동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션트 저항와셔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2션트 저항와셔는 상기 제2버스바와 상기 션트 저항기의 제2접속면 사이에 개재되는 전류센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와이어의 타단은 전류 센싱회로에 솔더링을 통해 접속되는 전류센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바는 인버터를 통해 전원에 접속되고, 상기 제2버스바는 부하 측에 접속되는 전류센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바는 상기 인버터의 파워모듈의 절연기판에 부착되고, 상기 파워모듈의 절연기판은 상기 체결구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지는 전류센서.
KR1020170070586A 2017-06-07 2017-06-07 전류센서 KR102287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86A KR102287317B1 (ko) 2017-06-07 2017-06-07 전류센서
CN201711223995.8A CN109001518B (zh) 2017-06-07 2017-11-29 电流传感器
DE102017221551.8A DE102017221551A1 (de) 2017-06-07 2017-11-30 Stromsensor
US15/829,001 US10571492B2 (en) 2017-06-07 2017-12-01 Current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86A KR102287317B1 (ko) 2017-06-07 2017-06-07 전류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598A true KR20180133598A (ko) 2018-12-17
KR102287317B1 KR102287317B1 (ko) 2021-08-10

Family

ID=6433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586A KR102287317B1 (ko) 2017-06-07 2017-06-07 전류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71492B2 (ko)
KR (1) KR102287317B1 (ko)
CN (1) CN109001518B (ko)
DE (1) DE1020172215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113A (ko) 2021-04-23 2022-11-01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류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8541A1 (de) * 2019-04-02 2020-10-08 Eberspächer Controls Landau Gmbh & Co. Kg Strommessbaugrupp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5273A (en) * 1991-11-26 1994-10-11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Auxiliary power unit for use with a motor vehicle
US20030090241A1 (en) * 2001-08-22 2003-05-15 Hitachi, Ltd. Power converter with shunt resistor
JP2009210496A (ja) * 2008-03-06 2009-09-17 Daihatsu Motor Co Ltd 電流センサ
JP2011117853A (ja) * 2009-12-04 2011-06-16 Denso Corp 電流検出装置
JP2012109474A (ja) * 2010-11-19 2012-06-07 Koa Corp シャント抵抗装置
US20120229247A1 (en) * 2009-12-03 2012-09-13 Koa Corporation Shunt resis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215167A (ja) * 2014-05-07 2015-12-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流検出構造
WO2016042732A1 (ja) * 2014-09-16 2016-03-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ッテリセンサ装置
JP2017017975A (ja) *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コンプレッサ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0939A (en) * 1962-01-02 1966-07-12 Gen Electric Cylindrical instrument shunt for large magnitude currents
US8031043B2 (en) 2008-01-08 2011-10-04 Infineon Technologies Ag Arrangement comprising a shunt resis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rrangement comprising a shunt resistor
US8847577B2 (en) * 2010-08-04 2014-09-30 Sensus Spectrum Llc Method and system of measuring current in an electric meter
US8970246B2 (en) * 2010-12-23 2015-03-03 Caterpillar Inc. Assembly and circuit structure for measuring current through an integrated circuit module device
JP5845057B2 (ja) * 2011-10-31 2016-01-2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流検出装置
JP5873315B2 (ja) * 2011-12-13 2016-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JP6010468B2 (ja) * 2013-01-23 2016-10-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JP2015025694A (ja) * 2013-07-25 2015-02-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JP6177090B2 (ja) * 2013-10-25 2017-08-09 Koa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の製造方法
JP6478459B2 (ja) * 2014-02-03 2019-03-06 Koa株式会社 抵抗器および電流検出装置
KR101664590B1 (ko) * 2014-11-25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의 전류차단구조
JP2016206138A (ja) * 2015-04-28 2016-12-08 Koa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
JP6622491B2 (ja) * 2015-06-22 2019-12-18 Koa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002693A1 (ja) * 2015-06-30 2017-01-05 株式会社 豊田自動織機 電動コンプレッサ
KR20170070586A (ko) 2015-12-14 2017-06-22 류기찬 전기자동차 외기 이용 고전압 배터리 냉각 시스템
JP6782096B2 (ja) * 2016-05-26 2020-11-11 サンコール株式会社 シャント抵抗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5273A (en) * 1991-11-26 1994-10-11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Auxiliary power unit for use with a motor vehicle
US20030090241A1 (en) * 2001-08-22 2003-05-15 Hitachi, Ltd. Power converter with shunt resistor
JP2009210496A (ja) * 2008-03-06 2009-09-17 Daihatsu Motor Co Ltd 電流センサ
US20120229247A1 (en) * 2009-12-03 2012-09-13 Koa Corporation Shunt resis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117853A (ja) * 2009-12-04 2011-06-16 Denso Corp 電流検出装置
JP2012109474A (ja) * 2010-11-19 2012-06-07 Koa Corp シャント抵抗装置
JP2015215167A (ja) * 2014-05-07 2015-12-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流検出構造
WO2016042732A1 (ja) * 2014-09-16 2016-03-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ッテリセンサ装置
JP2017017975A (ja) *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コンプレッ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113A (ko) 2021-04-23 2022-11-01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류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56446A1 (en) 2018-12-13
US10571492B2 (en) 2020-02-25
CN109001518A (zh) 2018-12-14
CN109001518B (zh) 2022-08-05
DE102017221551A1 (de) 2018-12-13
KR102287317B1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2318B2 (en) Capacitor mounting type inverter unit having a recessed cover
US10523091B2 (en) Control uni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employing control unit
US9577388B2 (en) Connector for power-supply unit with a signal line
US9006883B2 (en) Semiconductor module with switching elements
US8482904B2 (en) Power module with current sensing
WO2017002766A1 (ja) 電流検出装置
US9431776B2 (en) Connector
CN109074925A (zh) 分流电阻器及分流电阻器的安装结构
US9742304B2 (en) Driver board and power converter
JP2008047571A (ja) シャント抵抗及びシャント抵抗を用いた電流測定装置
US20140002054A1 (en) Electronic device
JP2008271696A (ja) 電力変換装置
WO2019044258A1 (ja) 電流測定装置
JP6352200B2 (ja) 半導体装置
KR20180133598A (ko) 전류센서
JP2005129379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
KR100436352B1 (ko) 전력용 반도체장치
JP2018148693A (ja) 電動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2020150749A (ja) インバータの組付構造
JP6808989B2 (ja) インバータモジュール
JP6417756B2 (ja) 電流検出装置
JP2005188936A (ja) 電圧降下式電流計測装置
JP2005278296A (ja) コンデン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源システム
JP2018009863A (ja) 電流測定装置
JP6170640B1 (ja) 並列接続コネクタ付ゲート駆動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