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208A - 체인 가이드 - Google Patents

체인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208A
KR20180133208A KR1020180059695A KR20180059695A KR20180133208A KR 20180133208 A KR20180133208 A KR 20180133208A KR 1020180059695 A KR1020180059695 A KR 1020180059695A KR 20180059695 A KR20180059695 A KR 20180059695A KR 20180133208 A KR20180133208 A KR 20180133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base
flexible
extend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315B1 (ko
Inventor
마사히코 콘노
무네히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8013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185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the guid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elt, rope or chain having particular shapes, structur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과제]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조립을 용이하게 달성함과 동시에, 체인 주행 시의 진동 등에 기인하는,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계합의 이탈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체인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베이스 부재(70)가, 베이스 본체부(80)로부터 지지면(81)보다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취부용 연출부(取付用延出部)(90)와, 취부용 연출부(90)에 형성된 베이스측 피계합부(91)를 갖고, 안내 슈(20)가, 슈 본체부(30)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연출부(40)와, 가요성 연출부(40)에 형성된 슈측 계합부(41)를 갖고, 슈측 계합부(41)는, 베이스측 피계합부(91)에 대해서, 하방측, 기울기 하방측, 또는, 전후 방향에서 걸리고, 계합 시에, 베이스측 피계합부(91)의 오측(奧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체인 가이드(10)이다.

Description

체인 가이드{CHAIN GUIDE}
본 발명은, 전후 방향을 따라서 체인을 접동 안내하는 주행 안내면을 갖는 안내 슈와, 안내 슈를 지지하는 지지면, 및, 체인 가이드를 취부 대상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용 연출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안내 슈를 앞쪽(手前側, front)으로부터 오측(奧側, back)을 향하여 슬라이드시켜 장착하는 체인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엔진 룸 내의 타이밍 시스템에 짜넣어져서, 스프로켓(sprocket) 간을 주행하는 체인을 접동 안내하고, 체인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는 체인 가이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러한 체인 가이드의 일종으로서, 도 14나 도 15에 나타내는 참고예와 같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체인을 접동 안내하는 주행 안내면(131)을 갖는 안내 슈(guide shoe)(120)와, 안내 슈(120)를 지지하는 지지면(181) 및 체인 가이드(110)를 취부 대상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용 연출부(attachment extension)(190)를 갖는 베이스 부재(170)를 구비하고, 베이스 부재(170)에 대해서 안내 슈(120)를 폭 방향의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슬라이드시켜 장착하는 체인 가이드(110)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체인 가이드(110)에서는, 베이스 부재(170)에 대한 안내 슈(120)의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오측으로의 이동에서는, 전방측 계합부(150)나 후방측 계합부(160)를 베이스 본체부(180)에 계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규제할 수 있지만, 베이스 부재(170)에 대한 안내 슈(120)의 앞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에 대하여는 궁리가 필요하고, 도 14나 도 15에 나타내는 체인 가이드(110)에서는, 슈 본체부(130)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상의 슈측 계합부(141)를 베이스 본체부(180)의 표면에 형성된 계합공(196)에 계합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170)에 대한 안내 슈(120)의 앞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1-108031호 공보
여기서, 도 14나 도 15에 나타내는 체인 가이드(110)에서는, 슈 본체부(130)의 하면에 슈측 계합부(141)가 형성되고 있으므로, 베이스 부재(170)에 대한 안내 슈(120)의 설치 시에, 슈 본체부(130)를 뒤로 젖히듯이 휘게 함으로써, 베이스 부재(170)에 대해서 안내 슈(120)를 오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슈측 계합부(141)가 계합공(196)에 계합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슈 본체부(130)는, 체인을 접동 안내하는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강도나 내마모성이 요구되어, 일정 이상의 두께로 형성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슈 본체부(130)를 적절히 휘게 함으로써, 안내 슈(120)를 오측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은 어렵다. 그 결과, 슈측 계합부(141)를 계합공(196)에 완전하게 계합시키지 못하고, 조립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고, 또, 강한 힘으로 계합공(196)에 슈측 계합부(141)를 계합시키려고 하면, 슈측 계합부(141)가 빠져 버릴 우려도 있다.
또, 계합공(196)에 대한 슈측 계합부(141)의 계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슈측 계합부(141)의 높이를 낮게 설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계합공(196)으로부터 슈측 계합부(141)가 빗나가 쉬워지기 때문에, 체인 주행 시에서의 진동 등에 기인하여 베이스 부재(170)로부터 안내 슈(120)가 떠올랐을 때에, 안내 슈(120)가 베이스 부재(170)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캠축 사이의 위치에 체인 가이드(110)를 설치했을 경우, 캠축 간의 거리가 짧으므로, 체인의 코달 액션(chordal action)에 따른 움직임에 의해서 안내 슈(120)의 부유가 생기기 쉽고, 안내 슈(120)의 탈락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또, 상술한 것처럼, 슈 본체부(130)를 뒤로 젖히듯이 휘게 함으로써, 베이스 부재(170)에 대해서 안내 슈(120)를 오측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슈측 계합부(141)를 계합공(196)에 계합시키는 작업은, 미묘한 힘 가감의 조정을 필요로 함으로써, 기계에 의한 자동 조립이 어렵고, 제조 코스트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 일단, 계합공(196)에 대해서 슈측 계합부(141)를 계합시키면, 슈측 계합부(141)는 계합공(196)에 대해서 강고하게 계합하기 때문에, 체인 가이드(110)를 분별 폐기하는 때 등에, 안내 슈(120)와 베이스 부재(170)를 분리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거기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간소한 구성으로,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조립을 용이하게 달성함과 동시에, 체인 주행 시의 진동 등에 기인하는,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계합이 빗나감을 확실히 억제하는 체인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 방향을 따라서 체인을 접동 안내하는 주행 안내면을 갖는 안내 슈와, 상기 안내 슈를 지지하는 지지면, 및, 체인 가이드를 취부 대상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용 연출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상기 안내 슈를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슬라이드시켜 장착하는 체인 가이드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지지면을 갖는 베이스 본체부와, 상기 베이스 본체부로부터 상기 지지면보다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취부용 연출부와, 상기 취부용 연출부에 형성된 베이스측 피계합부를 갖고, 상기 안내 슈는, 상기 주행 안내면을 갖는 슈 본체부와, 상기 슈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연출부와, 상기 가요성 연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계합 가능한 슈측 계합부를 갖고, 상기 슈측 계합부는,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해서, 하방측, 기울기 하방측, 또는, 전후 방향에서 걸리고, 계합 시에,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의 오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의하면, 슈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연출부에,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계합 가능한 슈측 계합부를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안내 슈를 오측을 향하여 슬라이드시켜 장착할 때에, 슈 본체부를 휘게 하지 않고, 가요성 연출부를 휘게 하고,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슈측 계합부를 계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 불량이나 슈측 계합부의 감퇴의 발생을 회피하면서,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조립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슈측 계합부가,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해서, 하방측, 기울기 하방측, 또는, 전후 방향에서 걸리고, 계합 시에, 베이스측 피계합부의 오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체인 주행 시에서의 진동 등에 기인하여 안내 슈의 부유가 생겼을 경우에도,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한 슈측 계합부의 계합이 얕아지거나 빗나가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 슈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슈 본체부를 휘게 하지 않고,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슈측 계합부를 계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 시에 고정밀의 힘 가감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기계에 의한 자동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가요성 연출부가, 슈 본체부의 오측 단연(奧側端緣, far-side edge)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음과 동시에, 취부용 연출부가, 베이스 본체부의 오측 단연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기 때문에, 안내 슈 및 베이스 부재가 폭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가요성 연출부가, 가요성을 갖고 앞쪽 및 오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안내 슈가 앞쪽 또는 오측으로 이동하려고 했을 경우에도, 가요성 연출부가 앞쪽 또는 오측으로 휘고, 가요성 연출부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요성 연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베이스 앞쪽 연출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계합공이 형성되어, 슈측 계합부가, 계합공 내에 삽입되고, 계합공의 앞쪽 연부가 베이스측 피계합부로서 기능함으로써,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한 슈측 계합부의 계합을 해제할 때에는, 계합공의 상방측으로부터 슈측 계합부를 조작하거나, 또는, 가요성 연출부를 접음으로써,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한 슈측 계합부의 계합을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내 슈와 베이스 부재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계합공 내에 슈측 계합부가 삽입되고 있으므로,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전후 방향에 대해서도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취부용 연출부가, 베이스 본체부의 오측 단연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를 갖고, 베이스측 피계합부가,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에 형성되고 있으므로,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보다 선단측에 베이스측 피계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보다 선단측에서 취부용 연출부의 형상 등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가요성 연출부가 계합공 내에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체인 주행시에서의 진동 등에 기인하여 안내 슈의 부상이 생겼을 경우에도,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상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내 슈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가요성 연출부가, 가요성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상술한 안내 슈의 부유가 생겼을 경우에도, 가요성 연출부가 상하 방향으로 휘고, 가요성 연출부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요성 연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한 슈측 계합부의 계합을 해제할 때에는, 계합공의 오측으로부터 가요성 연출부를 조작하거나, 또는, 가요성 연출부를 접음으로써,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한 슈측 계합부의 계합을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내 슈와 베이스 부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계합공의 전방 연부 또는 후방 연부에 대해서, 각 가요성 연출부가 계합하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 가요성 연출부가, 가요성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안내 슈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했을 경우에도, 가요성 연출부가 전후 방향으로 휘고, 가요성 연출부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요성 연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가요성 연출부가 계합공 내에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체인 주행시에서의 진동 등에 기인해하여안내 슈의 부유가 생겼을 경우에도,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상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도 있다. 또,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한 슈측 계합부의 계합을 해제할 때에는, 계합공의 오측으로부터 가요성 연출부를 조작하거나, 또는, 가요성 연출부를 접음으로써,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한 슈측 계합부의 계합을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내 슈와 베이스 부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가요성 연출부를 계합시키기 위한 계합공을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에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취부용 연출부를 고강도이고 컴팩트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각 가요성 연출부는,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 가요성 연출부가, 가요성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안내 슈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했을 경우에도, 가요성 연출부가 전후 방향으로 휘고, 가요성 연출부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요성 연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한 슈측 계합부의 계합을 해제할 때에는,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가요성 연출부를 조작하거나, 또는, 가요성 연출부를 접음으로써,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한 슈측 계합부의 계합을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내 슈와 베이스 부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안내 슈가, 가요성 연출부보다 전방측에 형성되어 베이스 부재에 계합하는 전방측 계합부와, 가요성 연출부보다 후방측에 형성되어 베이스 부재에 계합하는 후방측 계합부를 갖고, 전방측 계합부 및 후방측 계합부가,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안내 슈를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에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조립성을 확보하면서도,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전후 방향, 앞쪽 및 오측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도 1] 제1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제1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제1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제1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제2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제2 실시 형태의 안내 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제2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제3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제3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제4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 제4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 제5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 제5 실시 형태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 참고 예의 체인 가이드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 참고 예의 안내 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체인 가이드(10)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체인 가이드(10)는, 엔진 룸 내에 설치되는 타이밍 시스템에 짜넣어져서 이용되고,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설치한 복수의 스프로켓(sprocket) 간을 주행하는 체인을 접동 안내하여, 체인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는 것이다.
체인 가이드(10)는, 엔진 룸 내에서 고정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 가이드로서 구성되고, 도 1~도 3에 나타내듯이, 전후 방향(체인 주행 방향, 가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체인을 접동 안내하는 주행 안내면(표면)(31)을 갖는 안내 슈(20)와, 안내 슈(20)를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70)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 슈(20)는, 도 1~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베이스 부재(70)에 대해서 안내 슈(20)를 폭 방향의 앞쪽(手前側)으로부터 오측(奧側)을 향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7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안내 슈(20)는, 도 1~도 3에 나타내듯이, 주행 안내면(31)을 갖는 슈 본체부(30)와, 전후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부근에서, 슈 본체부(30)의 폭 방향의 오측 연부(奧側緣部)로부터 주행 안내면(31)보다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가요성 연출부(flexible extension)(40)와, 가요성 연출부(40)에 형성된 슈측 계합부(shoe-side engaging part)(41)와, 슈 본체부(30)의 전방측 단부에 형성된 전방측 계합부(50)와, 슈 본체부(30)의 후방측 단부에 형성된 후방측 계합부(60)를 가지고 있다.
가요성 연출부(40)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고,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슈 본체부(30)의 오측 단연(奧側端緣, far-side edge)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슈 상방측 연출부(42)와, 슈 상방측 연출부(42) 상연으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슈 앞쪽 연출부(43)를 가지고 있다.
가요성 연출부(40)의 두께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전후 방향에서의 가요성 연출부(40)의 치수보다 얇게 설정되고, 또, 상하 방향에서의 슈 본체부(30)의 두께보다 얇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요성 연출부(40)는 가요성을 갖고, 슈 상방측 연출부(42)가 앞쪽 및 오측으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슈 앞쪽 연출부(4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다.
전방측 계합부(50)는, 도 1~도 3에 나타내듯이, 훅상(hook 狀)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본체부(80)의 전방측 단부에 계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부(80)에 대한 전방측 계합부(50)의 계합에 의해서,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상하 방향, 후방측, 및, 오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후방측 계합부(60)는, 도 1~도 3에 나타내듯이, 훅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본체부(80)의 후방측 단부에 계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부(80)에 대한 후방측 계합부(60)의 계합에 의해서,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상하 방향, 전방측, 및, 오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베이스 부재(70)는, 도 1~도 3에 나타내듯이, 안내 슈(20)를 지지하는 지지면(표면)(81)을 갖는 베이스 본체부(80)와, 베이스 본체부(80)의 폭 방향의 오측 연부로부터 지지면(81)보다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취부용 연출부(取付用延出部)(90)와, 취부용 연출부(90)에 형성된 베이스측 피계합부(91)를 가지고 있다.
취부용 연출부(90)는, 체인 가이드(10)를 엔진 블록 등의 취부 대상에 취부하기 위한 것이며,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본체부(80)의 오측 단연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92)와, 제1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92)의 상단에서 앞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베이스 앞쪽 연출부(93)와, 베이스 앞쪽 연출부(93)의 앞쪽 단부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94)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 앞쪽 연출부(93)(및 제1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92))에는, 도 2~도 4에 나타내듯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계합공(96)이 형성되고 있다. 또, 계합공(96)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키지 않고, 베이스 앞쪽 연출부(93)의 하면에 요혈상(凹穴狀)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제2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94)에는, 체인 가이드(10)(베이스 부재(70))를 취부 대상에 취부하기 위한 볼트를 삽입시키는 복수의 취부공(90a)이 형성되고 있다.
다음으로, 취부용 연출부(90)에 형성된 베이스측 피계합부(91)에 대한, 가요성 연출부(40)에 형성된 슈측 계합부(41)의 계합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슈측 계합부(41)는, 베이스 부재(70)에 대해서 안내 슈(20)를 폭 방향의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베이스측 피계합부(91)에 계합한다.
또한, 전방측 계합부(50) 및 후방측 계합부(60)에서도, 동일하게, 베이스 부재(70)에 대해서 안내 슈(20)를 폭 방향의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70)에 계합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안내 슈(20)를 오측을 향하여 슬라이드시키면, 우선, 슈 앞쪽 연출부(43)의 표면이, 취부용 연출부(90)(베이스 앞쪽 연출부(93)의 하면)에 당접하고, 가요성 연출부(40)가 하방으로 밀리고, 그 결과, 가요성 연출부(40)(슈 상방측 연출부(42))가 앞쪽을 향하여 휜다.
또한, 이 때, 슈 앞쪽 연출부(43)의 표면은, 도 4에 나타내듯이,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되고, 이것에 의해, 취부용 연출부(90)에 대해서 가요성 연출부(40)가 과도하게 걸리는 것을 회피하면서, 가요성 연출부(40)를 휘게 하고, 안내 슈(20)를 오측을 향하여 원활히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안내 슈(20)를 오측까지 슬라이드시키면, 앞쪽 및 하방으로 밀려 휘어져 있던 가요성 연출부(40)가 탄성 복귀하고, 가요성 연출부(40)(슈 앞쪽 연출부(43))의 일부가, 취부용 연출부(90)의 계합공(96) 내에 삽입된다(비집고 들어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슈측 계합부(41)로서 기능하는 슈 앞쪽 연출부(43)의 앞쪽 단부가, 베이스측 피계합부(91)로서 기능하는 베이스 앞쪽 연출부(93)에 형성된 계합공(96)의 앞쪽 연부에 대해서, 하방측에서 걸리고, 계합 시에, 베이스측 피계합부(91)의 오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장착 시에, 취부용 연출부(90)의 계합공(96) 내에, 가요성 연출부(40)의 일부가 비집고 들어가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규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체인 가이드(10)에 대해서, 도 5~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일부 구성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차이점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이나 도 7에 나타내듯이, 슈 앞쪽 연출부(43)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상(突起狀)의 부분이, 슈측 계합부(41)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장착 시에는, 도 7에 나타내듯이, 돌기상의 슈측 계합부(41)가, 취부용 연출부(90)의 계합공(96) 내에 삽입되어(비집고 들어가),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앞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듯이, 돌기상의 슈측 계합부(41)의 표면이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하고, 이것에 의해, 취부용 연출부(90)에 대한 가요성 연출부(40)의 과도한 걸림을 회피하면서, 가요성 연출부(40)를 휘게 할 수 있다.
또,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장착 시에, (슈측 계합부(41) 이외의) 슈 앞쪽 연출부(43)의 표면이, 베이스 앞쪽 연출부(93)의 하면에 접촉(또는 대향)하기 때문에, 취부용 연출부(90)에 대한 가요성 연출부(40)의 상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장착 시에, 취부용 연출부(90)의 계합공(96) 내에, 돌기상의 슈측 계합부(41)가 비집고 들어가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규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체인 가이드(10)에 대해서, 도 8 및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일부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차이점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가요성 연출부(40)가, 슈 본체부(30)의 오측 단연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 가요성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다.
또, 가요성 연출부(40)의 표면에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슈측 계합부(41)가 상방측으로 돌출된 돌기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70)의 취부용 연출부(90)는, 도 8이나 도 9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본체부(80)의 오측 단연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92)와, 제1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92)와 제1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92)의 상단에서 오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베이스 오측 연출부(95)를 가지고 있다.
제1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92)(및 베이스 본체부(80))에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앞쪽으로부터 오측으로 관통하는 계합공(96)이 형성되고 있다.
또, 베이스 오측 연출부(95)에는, 복수의 취부공(90a)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슈측 계합부(41)가, 베이스측 피계합부(91)로서 기능하는 계합공(96)의 상방 연부에 대해서, 하방측에서 걸리고, 계합 시에, 베이스측 피계합부(91)의 오측에 위치한다.
또,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돌기상의 슈측 계합부(41)의 표면이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하고, 이것에 의해, 취부용 연출부(90)에 대한 가요성 연출부(40)의 과도한 걸림을 회피하면서, 가요성 연출부(40)를 휘게 할 수 있다.
또,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장착 시에, 가요성 연출부(40)가 계합공(96) 내에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취부용 연출부(90)에 대한 가요성 연출부(40)의 상방측 및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규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체인 가이드(10)에 대해서, 도 10 및 도 1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일부 구성에서는,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차이점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가요성 연출부(40)가, 도 10에 나타내듯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여 2개 형성되고 있다. 각 가요성 연출부(40)는, 각각, 가요성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듯이, 전방측의 가요성 연출부(40)의 전면에는, 슈측 계합부(41)가, 전방측으로 돌출된 돌기상으로 형성되고, 또, 후방측의 가요성 연출부(40)의 후면에는, 슈측 계합부(41)가,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기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각 슈측 계합부(41)가, 본 실시 형태에 대해 베이스측 피계합부(91)로서 기능하는 계합공(96)의 전방 연부 또는 후방 연부에 대해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서 걸리고, 계합 시에, 베이스측 피계합부(91)의 오측에 위치한다.
또,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장착 시에, 가요성 연출부(40)가 계합공(96) 내에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취부용 연출부(90)에 대한 가요성 연출부(40)의 상방측 및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규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체인 가이드(10)에 대해서, 도 12 및 도 13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일부 구성에서는,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차이점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가요성 연출부(40)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여 2개 형성되고 있다. 각 가요성 연출부(40)는, 각각, 가요성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다.
또,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전방측의 가요성 연출부(40)의 후면에, 슈측 계합부(41)가,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기상으로 형성되고, 또, 후방측의 가요성 연출부(40)의 전면에, 슈측 계합부(41)가, 전방측으로 돌출된 돌기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각 슈측 계합부(41)가, 본 실시 형태에 대해 베이스측 피계합부(91)로서 기능하는 제1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92)의 전방 연부 또는 후방 연부에 대해서, 전방 또는 후방에서 걸리고, 계합 시에, 베이스측 피계합부(91)의 오측에 위치한다.
또, 베이스 부재(70)에 대한 안내 슈(20)의 장착 시에, 가요성 연출부(40)가, 제1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92)의 전방 연부 및 후방 연부에 형성된 요부(97)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취부용 연출부(90)에 대한 가요성 연출부(40)의 상방측 및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규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복수의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체인 가이드를 구성해도 아무 상관이 없다.
또, 안내 슈의 재질은, 탄성, 마찰 저항, 강성, 내구성, 성형성, 코스트 등에 제조건에 따라 공지의 적당한 것을 선택하면 좋고, 특히, 합성 수지 재료가 매우 적합하다.
또, 베이스 부재는, 강성, 내구성, 성형성, 코스트 등의 제조건에 따라 적당한 금속 재료나 합성 수지 재료를 선택하면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안내 슈를 폭 방향의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안내 슈를 취부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안내 슈의 설치 시에서의 안내 슈의 슬라이드 방향은, 폭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안내 슈를 슬라이드시켜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슈측 계합부는,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해서 하방측 또는 전후 방향에서 걸리고, 계합 시에, 베이스측 피계합부의 오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슈측 계합부를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해서 기울기 하방측에서 걸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 계합부가 슈 본체부의 전방측 단부에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전방측 계합부의 형성 위치는, 가요성 연출부보다 전방측이면 좋고, 또, 동일하게, 후방측 계합부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도, 가요성 연출부보다 후방측이면 좋다.
또, 전방측 계합부 및 후방측 계합부의 구체적 태양에서는, 베이스 부재에 대한, 전방측 계합부, 후방측 계합부, 및, 가요성 연출부의 계합에 의해서, 베이스 부재에 대한 안내 슈의, 상방측, 하방측, 전방측, 후방측, 앞쪽, 오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10···체인 가이드
20···안내 슈
30···슈 본체부
31···주행 안내면
40···가요성 연출부
41···슈측 계합부
42···슈 상방측 연출부
43···슈 앞쪽 연출부
50···전방측 계합부
60···후방측 계합부
70···베이스 부재
80···베이스 본체부
81···지지면
90···취부용 연출부
90a···취부공
91···베이스측 피계합부
92···제1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
93···베이스 앞쪽 연출부
94···제2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
95···베이스 오측 연출부
96···계합공
97···요부

Claims (10)

  1. 전후 방향을 따라서 체인을 접동 안내하는 주행 안내면을 갖는 안내 슈와, 상기 안내 슈를 지지하는 지지면, 및, 체인 가이드를 취부 대상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용 연출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상기 안내 슈를 앞쪽(手前側)으로부터 오측(奧側)을 향하여 슬라이드시켜 장착하는 체인 가이드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지지면을 갖는 베이스 본체부와, 상기 베이스 본체부로부터 상기 지지면보다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취부용 연출부와, 상기 취부용 연출부에 형성된 베이스측 피계합부를 갖고,
    상기 안내 슈는, 상기 주행 안내면을 갖는 슈 본체부와, 상기 슈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연출부와, 상기 가요성 연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계합 가능한 슈측 계합부를 갖고,
    상기 슈측 계합부는,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에 대해서, 하방측, 기울기 하방측, 또는, 전후 방향에서 걸리고, 계합 시에,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의 오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슈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폭 방향의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슬라이드시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출부는, 상기 슈 본체부의 오측 단연으로부터, 상기 주행 안내면보다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가요성 연출부는, 가요성을 갖고 앞쪽 및 오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취부용 연출부는, 상기 베이스 본체부의 오측 단연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와, 상기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의 상단에서 앞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베이스 앞쪽 연출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는, 상기 베이스 앞쪽 연출부에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출부는, 상기 슈 본체부의 오측 단연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슈 상방측 연출부와, 상기 슈 상방측 연출부 상연으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슈 앞쪽 연출부를 갖고,
    상기 슈 앞쪽 연출부에, 상기 슈측 계합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앞쪽 연출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계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슈측 계합부는, 상기 계합공 내에 삽입되고,
    상기 계합공의 앞쪽 연부가,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체인 가이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출부는, 상기 슈 본체부의 오측 단연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가요성 연출부는, 가요성을 갖고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취부용 연출부는, 상기 베이스 본체부의 오측 단연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는, 상기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에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출부의 표면에는, 상기 슈측 계합부가 상방측으로 돌출된 돌기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연출부는, 가요성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에는,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관통하는 계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연출부는, 상기 계합공 내에 삽입되고,
    상기 계합공의 상방 연부가,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출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여 2개 형성되고,
    전방측의 상기 가요성 연출부의 전면에는, 상기 슈측 계합부가, 전방측으로 돌출된 돌기상으로 형성되고,
    후방측의 상기 가요성 연출부의 후면에는, 상기 슈측 계합부가,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기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가요성 연출부는, 가요성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에는,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관통하는 계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가요성 연출부는, 상기 계합공 내에 삽입되고,
    상기 계합공의 전방 연부 및 후방 연부가,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로서 각각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출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여 2개 형성되고,
    전방측의 상기 가요성 연출부의 후면에는, 상기 슈측 계합부가,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기상으로 형성되고,
    후방측의 상기 가요성 연출부의 전면에는, 상기 슈측 계합부가, 전방측으로 돌출된 돌기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가요성 연출부는, 가요성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각 가요성 연출부는, 상기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상방측 연출부의 전방 연부 및 후방 연부가, 상기 베이스측 피계합부로서 각각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슈는, 상기 가요성 연출부보다 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계합하는 전방측 계합부와, 상기 가요성 연출부보다 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계합하는 후방측 계합부를 갖고,
    상기 전방측 계합부 및 상기 후방측 계합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상기 안내 슈를 앞쪽으로부터 오측을 향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가이드.
KR1020180059695A 2017-06-05 2018-05-25 체인 가이드 KR102168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10748A JP6335366B1 (ja) 2017-06-05 2017-06-05 チェーンガイド
JPJP-P-2017-110748 2017-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208A true KR20180133208A (ko) 2018-12-13
KR102168315B1 KR102168315B1 (ko) 2020-10-21

Family

ID=6223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95A KR102168315B1 (ko) 2017-06-05 2018-05-25 체인 가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68989B2 (ko)
JP (1) JP6335366B1 (ko)
KR (1) KR102168315B1 (ko)
CN (1) CN108980289B (ko)
DE (1) DE10201820738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7410B2 (ja) * 2017-05-16 2019-04-10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タイミングチェーン装置
US11815180B2 (en) * 2021-08-24 2023-11-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ensioner with stamped pivot pi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679A (ja) * 1999-03-05 2000-09-19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ガイド
JP2001108031A (ja) 1999-10-04 2001-04-20 Ntn Corp テンションレバー
JP5004984B2 (ja) * 2009-03-06 2012-08-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プレ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8892A (en) 1969-09-25 1973-02-27 Itt Lamp socket
US5286234A (en) * 1992-07-27 1994-02-15 Cloyes-Iwis Company L.P. Chain tensioner apparatus
DE20204039U1 (de) 2002-03-13 2003-07-24 Winklhofer & Soehne Gmbh Triebmittelmontageeinheit mit Sicherungselement
JP4060320B2 (ja) * 2005-03-07 2008-03-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可動ガイド
JP2006250208A (ja) * 2005-03-09 2006-09-21 Tsubakimoto Chain Co 伝動装置用ガイド
DE202006008573U1 (de) * 2006-05-30 2007-10-11 JOH. WINKLHOFER & SÖHNE GMBH & Co. KG Spannschiene mit Kanaleinrichtung in Druckkörper
DE202007012761U1 (de) 2007-09-12 2009-02-05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Kettentrieb-Modul mit sichernder Spann- oder Gleitschiene
JP5307081B2 (ja) * 2010-07-02 2013-10-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エンジン用固定チェーンガイド
JP2013164134A (ja) * 2012-02-10 2013-08-22 Tsubakimoto Chain Co 伝動装置用チェーンガイド
JP6161191B2 (ja) * 2013-02-22 2017-07-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
JP2014228139A (ja) * 2013-05-27 2014-12-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可撓伝動体用ガイド
DE102015201618A1 (de) * 2014-02-24 2015-08-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ettenführungselement
DE102015008877A1 (de) * 2015-07-08 2016-08-04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Modulare Gleit- oder Spannschie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679A (ja) * 1999-03-05 2000-09-19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ガイド
JP2001108031A (ja) 1999-10-04 2001-04-20 Ntn Corp テンションレバー
JP5004984B2 (ja) * 2009-03-06 2012-08-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プレ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207389A1 (de) 2018-12-06
JP6335366B1 (ja) 2018-05-30
JP2018204697A (ja) 2018-12-27
KR102168315B1 (ko) 2020-10-21
DE102018207389B4 (de) 2023-02-02
CN108980289B (zh) 2021-03-23
CN108980289A (zh) 2018-12-11
US20180347672A1 (en) 2018-12-06
US10968989B2 (en)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039B1 (ko) 체인 텐셔너
US7117694B2 (en) System component having a braking spring
JP5018012B2 (ja) バンパーの車体取付構造
EP2452849A2 (en) Seat slide apparatus for vehicle
CN103154571B (zh) 具有弹簧保持特性的叶片张紧器
JP5704886B2 (ja) 車載カメラの取付構造
JP2009036275A (ja) エンジン用チェーンガイド
KR20180133208A (ko) 체인 가이드
US9568071B2 (en) Chain guide
US20220050363A1 (en) Bracket for vehicle mount camera
KR20090040832A (ko) 전동장치용 가이드
EP1245864B1 (en) Plastic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JP2007040331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アームおよびチェーンガイド
US10364869B2 (en) Chain guide
EP2489887B1 (en) Attachment structure and attachment tool
JP2001261259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シュー
KR101971321B1 (ko) 체인 가이드
JP5741269B2 (ja) 車両用ルーフ装置
JP2020133644A (ja) チェーンガイド
KR101870019B1 (ko) 체인 가이드
US11548460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exterior members
CN111098764B (zh) 用于车辆的座椅滑动装置
JP6666558B2 (ja) チェーンガイド
IE892989L (en) Traction motor suspension bearing lubricator.
KR20180016256A (ko) 체인 전동 장치 및 체인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