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636A -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636A
KR20180132636A KR1020187026688A KR20187026688A KR20180132636A KR 20180132636 A KR20180132636 A KR 20180132636A KR 1020187026688 A KR1020187026688 A KR 1020187026688A KR 20187026688 A KR20187026688 A KR 20187026688A KR 20180132636 A KR20180132636 A KR 20180132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acetal
resin film
layer
resin
ionom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루 신도
야스하루 나가이
유지 다니카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73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at least two glass sheets, neither of which being an out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7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UV absorbers or stabilizers, e.g. antioxi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06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28Condensation with aldehydes or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1/00Polyvinylesters
    • B32B2331/04Polymers of vinyl acetate, e.g. PV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높은 영률과, 높은 파단 신도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은, 산기가 도입된 폴리비닐아세탈을 함유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산기의 함유율이 1.5몰% 이상, 10몰% 이하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화도가 10% 이상, 90% 이하이다.

Description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본 발명은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수지 필름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접합 유리에 사용되는 수지 필름으로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알려져 있다. 접합 유리는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어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의 비산량이 적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는,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과,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차음층이 개시되어 있다. 이 차음층은 단층이고 중간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상기 차음층과 다른 층이 적층된 다층의 중간막도 기재되어 있다. 차음층에 적층되는 다른 층은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 중량부 이하인 가소제를 포함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33℃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중합체층인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상기 중합체층이, 두께가 4.0㎜ 이하인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화학적으로 결합한 아이오노머기를 갖는 폴리비닐부티랄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비닐부티랄블렌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70200호 공보 US2013/0236711A1 US4969744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중간막(수지 필름)에서는, 영률이 낮거나, 파단 신도가 낮거나 한다. 종래의 중간막에서는, 높은 영률과, 높은 파단 신도의 양쪽을 양립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폴리비닐부티랄블렌드를 사용한 수지 필름에서는, 영률은 어느 정도 높아지지만, 파단 신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영률과, 높은 파단 신도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넓은 국면에 의하면, 산기가 도입된 폴리비닐아세탈을 함유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산기의 함유율이 1.5몰% 이상, 10몰% 이하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화도가 10% 이상, 90%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80℃에서의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이 0.5㎫ 이상, 3㎫ 이하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50몰% 이상, 80몰% 이하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5몰% 이상, 40몰% 이하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0.1몰% 이상, 3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10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두께가 3㎜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은, 두께가 1.8㎜ 이하인 제1 유리판을 사용하고, 상기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어,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은, 산기가 도입된 폴리비닐아세탈을 함유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산기의 함유율이 1.5몰% 이상, 10몰% 이하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화도가 10% 이상, 90% 이하이므로, 영률을 높게 하고, 또한 파단 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굽힘 강성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수지 필름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하, 중간막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의 용도는 중간막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예를 들어 중간막 이외에, 태양 전지용의 밀봉제, 코팅제, 또는 접착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산기가 도입된 폴리비닐아세탈을 함유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예를 들어 -CH2-CH-기를 주쇄에 갖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골격을 갖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골격이, 예를 들어 -CH2-CH-기를 주쇄에 갖는다. -CH2-CH-기에 있어서의 「-CH-」 부분의 탄소 원자에는 하나의 다른 기가 결합하고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에서는, 주쇄에 있어서, -CH2-CH-기가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산기를 갖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산기의 함유율은 1.5몰% 이상, 10몰% 이하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화도는 10% 이상, 90%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수지 필름 및 중간막의 영률을 높게 하고, 또한 수지 필름 및 중간막의 파단 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높은 영률과 높은 파단 신도를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수지 필름 및 중간막의 파단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접합 유리가 창 유리로서, 예를 들어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접합 유리를 고정하는 프레임이 없고, 접합 유리의 강성이 낮은 것에 기인하는 휨이 원인으로, 창 유리의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근년, 접합 유리를 경량화하기 위해, 유리판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진 접합 유리에 있어서, 유리판의 두께를 얇게 하면, 굽힘 강성을 충분히 높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과제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수지 필름 및 중간막의 굽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판의 두께가 얇아도, 중간막에 기인하여 접합 유리의 굽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면, 접합 유리를 경량화할 수 있다. 접합 유리가 경량이면, 접합 유리에 사용하는 재료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환경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경량인 접합 유리를 자동차에 사용하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환경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수지 필름 및 중간막의 성형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필름 또는 중간막이 적당한 유연성과 적당한 경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오토클레이브를 할 때에 변형되지 않고, 깔끔하게 접합 유리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수지 필름,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과, 산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비누화하고,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한 후, 아이오노머화하는 방법,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산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한 후, 아이오노머화하는 방법, 그리고 폴리비닐아세탈을, 산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한 후, 아이오노머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이다.
상기 산기가 될 수 있는 기로서는, 카르복실기에 유래하는 기, 술폰산기에 유래하는 기 및 인산기에 유래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산기를 도입한 폴리비닐아세탈을 생산할 때의 생산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산기가 될 수 있는 기는, 카르복실기에 유래하는 기 또는 술폰산기에 유래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카르복실기에 유래하는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기를 도입하기 위한 산으로서는, 카르복실산, 술폰산 및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산기가 도입된 폴리비닐아세탈을 생산할 때의 생산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산은 카르복실산 또는 술폰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카르복실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에서는, 상기 산에 의해, 산기가 도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및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알데히드로서는, 테레프탈알데히드산, 글리옥실산 및 레불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이오노머화의 방법으로서는, 용액 중에, 금속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 그리고 혼련 중에, 금속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은 용액의 상태로 첨가되어도 된다.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은 금속염 또는 금속 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에 있어서의 금속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전이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영률 및 성형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Na, Li, K, Mg, Zn, Cu, Co, Al, Fe, Ni, Cr 또는 Mn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Na, Zn, Mg 또는 K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화에 상기 금속이 사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N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산기의 함유율은 1.5몰% 이상, 10몰% 이하이다. 상기 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인 점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고, 특히 영률, 인장 신도, 굽힘 강성 및 성형성이 높아진다. 상기 산기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이다. 상기 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영률 및 인장 신도가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성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산기의 함유율은 NMR 또는 FT-IR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산기의 함유율은 장치 「NICOLET 6700」(Thermo Scientific사제)을 사용하여, 측정 파장 4000 내지 400㎝-1, 스캔 횟수 32회로 측정을 행하고, 각 산기 유래의 피크와, 각 산의 염의 피크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이라면, 카르복실산의 카르보닐(C=O:1697㎝-1) 및 카르복실산염(약 1500 내지 1600㎝-1)으로부터 카르복실기의 함유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화도는 10% 이상, 90% 이하이다. 상기 중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인 점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고, 특히 영률, 인장 신도 및 성형성이 높아진다. 상기 중화도는,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상기 중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영률, 굽힘 강성 및 인장 신도가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중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음성 및 성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중화도는 FT-IR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FT-IR에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1715㎝-1)와, 카르복실기의 금속염기(금속에 따라 상이함, Zn의 경우: 1568㎝-1, Na의 경우 1550㎝-1)의 시그널 높이로부터, 중화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영률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수지 필름의 80℃에서의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이상이다.
성형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80℃에서의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은 다층체를 단층이라고 간주했을 때의 전단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 또한, 단층의 경우는, 단층의 전단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에 대해서는, 층 사이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층 구성의 상태로, 일반적인 동적 점탄성 측정 방법으로 전단 저장 탄성률을 측정함으로써,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수지 필름을, 실온 23±2℃, 습도 25±5%의 환경 하에 12시간 보관한 직후에, Metravib사제의 점탄성 측정 장치 「DMA+1000」을 사용하여, 점탄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을 길이 50㎜, 폭 20㎜로 잘라내고, 전단 모드에서 2℃/분의 승온 속도로 -50℃부터 100℃까지 온도를 상승시키는 조건 및 주파수 1㎐ 및 변형 0.05%의 조건에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 G'*는 이하의 식 (X)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X) 중의 G'i는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i층째의 전단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고, ai는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i층째의 두께를 나타낸다. Σi는 i층의 수치의 합을 계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1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2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단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되고, 다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1 층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제1 층에 더하여 제2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2 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이 상기 제2 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2 층이 배치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1 층 및 제2 층에 더하여 제3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3 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이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상기 제3 층이 배치된다.
상기 제2 층의 상기 제1 층측과는 반대인 표면은 접합 유리 부재 또는 유리판이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에 적층되는 유리판의 두께는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상기 제2 층측의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은 접합 유리 부재 또는 유리판이 적층되는 표면이어도 된다. 상기 제1 층에 적층되는 유리판의 두께는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의 상기 제1 층측과는 반대인 표면은 접합 유리 부재 또는 유리판이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에 적층되는 유리판의 두께는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고,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 기인하여 굽힘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유리판의 두께와 상기 제2 유리판의 두께의 합계가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고,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 기인하여 굽힘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지 필름은 두께가 1.8㎜ 이하인 제1 유리판을 사용하여, 해당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고,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 기인하여 굽힘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지 필름은 두께가 1.8㎜ 이하인 제1 유리판과 두께가 1.8㎜ 이하인 제2 유리판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고,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수지 필름(11)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수지 필름이다. 수지 필름(11)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11)은 제1 층(1)과, 제2 층(2)과, 제3 층(3)을 구비한다. 제1 층(1)의 제1 표면(1a)에, 제2 층(2)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의 제1 표면(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b)에, 제3 층(3)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은 중간층이다. 제2 층(2) 및 제3 층(3)은 각각, 보호층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층이다. 제1 층(1)은 제2 층(2)과 제3 층(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수지 필름(11)은 제2 층(2)과 제1 층(1)과 제3 층(3)이 이 순서로 적층된 다층 구조(제2 층(2)/제1 층(1)/제3 층(3))를 갖는다.
또한, 제2 층(2)과 제1 층(1) 사이 및 제1 층(1)과 제3 층(3) 사이에는 각각,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층(2)과 제1 층(1) 및 제1 층(1)과 제3 층(3)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층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층을 들 수 있다.
도 2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수지 필름(11A)은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수지 필름이다. 수지 필름(11A)은 제1 층이다. 수지 필름(11A)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다른 상세, 그리고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다른 상세를 설명한다.
(수지)
상기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로서는,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폴리비닐부티랄 아이오노머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및 상기 수지는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및 상기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000 이하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압출 성형에 의해 수지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더욱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이 적당해져, 파단 신도 및 파단 강도가 향상되고, 굽힘 강성 및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의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아크릴 중합체 등의 (메트)아크릴 수지, 우레탄 중합체, 실리콘 중합체, 고무, 또는 아세트산비닐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또는 (메트)아크릴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사용에 의해, 강인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지고,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수지는 극성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산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의 존재에 의해, 수지 필름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고, 굽힘 강성 및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의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폴리(메트)아크릴산에틸, 폴리(메트)아크릴산n-프로필, 폴리(메트)아크릴산i-프로필, 폴리(메트)아크릴산n-부틸, 폴리(메트)아크릴산i-부틸, 폴리(메트)아크릴산t-부틸, 폴리(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폴리(메트)아크릴산옥틸, 폴리(메트)아크릴산프로필, 폴리(메트)아크릴산2-에틸옥틸, 폴리(메트)아크릴산노닐, 폴리(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폴리(메트)아크릴산데실, 폴리(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폴리(메트)아크릴산라우릴, 폴리(메트)아크릴산이소테트라데실, 폴리(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폴리(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폴리(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및 폴리(메트)아크릴산벤질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로의 혼합의 용이함의 점에서,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n-부틸, 폴리(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폴리(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폴리아크릴산2-에틸헥실 또는 폴리아크릴산옥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이들의 바람직한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바람직한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사용에 의해, 수지 필름의 생산성과 수지 필름의 특성의 밸런스가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제1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2)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2)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3)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3)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70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2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로서,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3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 필름의 기계 강도가 보다 한층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5몰% 이상이면, 반응 효율이 높고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35몰% 이하이면, 아이오노머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파단 신도가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져,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7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6.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굽힘 강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고, 수지 필름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이 10몰% 이상이면, 반응 효율이 높아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37몰% 이하이면, 아이오노머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파단 신도나 굽힘 강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져,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아세틸화도가 0.1몰% 이상, 25몰% 이하이면, 파단 신도가 보다 한층 높아져, 내관통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각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각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비닐부티랄 아이오노머 수지 또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가소제)
상기 수지 필름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사용에 의해, 또한 수지와 가소제의 병용에 의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층의 접합 유리 부재 또는 다른 층에 대한 접착력이 적절하게 높아진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그리고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노닐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오일 변성 세바스산알키드 및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아디프산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아이오노머의 형성을 저해하기 어렵고, 접합 유리의 굽힘 강성이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2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또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2)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그리고 상기 제3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3),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또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3 함유량(이하, 함유량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2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져,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아이오노머의 형성을 저해하기 어렵고, 접합 유리의 굽힘 강성이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1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또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1)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져,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아이오노머의 형성을 저해하기 어렵고, 접합 유리의 굽힘 강성이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2)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3)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하이다.
(차열성 화합물)
상기 수지 필름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성 화합물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차열성 화합물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성분 X와 상기 차열 입자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성분 X:
상기 수지 필름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차열성 화합물이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탈로시아닌 및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다 한층 높은 레벨에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한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열 입자:
상기 수지 필름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차열성 화합물이다.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의 산화물에 의해 형성된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보다도 긴 파장 780㎚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양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크고, 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로 인해,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고 불리고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 가능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프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프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프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프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프 산화티타늄 입자,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프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프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나, 6붕화란탄(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고, ATO 입자, GZO 입자, IZO 입자,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고, 또한 입수가 용이하므로,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가 바람직하고, 산화텅스텐 입자도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산화텅스텐 입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포함된다. 상기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및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해당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는 식: Cs0.33WO3으로 표현되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열선의 차폐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 입자의 분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은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을 나타낸다. 평균 입자 직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니키소사제 「UPA-EX150」)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이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금속염)
상기 수지 필름은 마그네슘염,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이하, 금속염 M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이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 M의 사용에 의해, 수지 필름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 또는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금속염 M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금속염 M은 Li, Na, K, Rb, Cs, Mg, Ca, Sr 및 Ba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염은 K 및 Mg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염 M은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토금속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에 있어서의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5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이다.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 또는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
상기 수지 필름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폐제의 사용에 의해,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가 장기간 사용되어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보다 한층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트리아진 화합물),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말론산에스테르 화합물),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옥살산아닐리드 화합물) 및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에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입자, 백금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팔라듐 입자 및 팔라듐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는 차열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에 관하여, 표면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의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절연성 금속 산화물, 가수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P」),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0」),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6」) 및 2-(2'-히드록시-3',5'-디-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8」)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능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벤존(BASF사제 「Chimassorb8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ADEKA사제 「LA-F70」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BASF사제 「Tinuvin1577F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2-(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디메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2-(p-메톡시벤질리덴)-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의 시판품으로서는, Hostavin B-CAP, Hostavin PR-25, Hostavin PR-31(모두 클라리안트사제)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옥살산디아미드, 2-에틸-2'-에톡시-옥시아닐리드(클라리안트사제 「SanduvorVSU」) 등의 질소 원자 위로 치환된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디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BASF사제 「Tinuvin120」) 등을 들 수 있다.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하이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0.2중량% 이상인 것에 의해,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상기 수지 필름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 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틸릭애시드글리콜에스테르 및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젠프로판산)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 아인산 및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1-페닐옥시)(2-에틸헥실옥시)포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제 「IRGANOX 245」, BASF사제 「IRGAFOS 168」, BASF사제 「IRGAFOS 38」, 스미토모 가가쿠 고교사제 「스밀라이저BHT」, 사카이 가가쿠 고교사제 「H-BHT」, 그리고 BASF사제 「IRGANOX 1010」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첨가 효과가 포화되므로,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상기 수지 필름,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 규소,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커플링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의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의 다른 상세)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용면의 관점, 그리고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및 굽힘 강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및 굽힘 강성이 높아진다.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수지 필름의 두께를 T라고 한다.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2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T 이상, 바람직하게는 0.4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T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T 이하이다. 상기 제1 층의 두께가 0.4T 이하이면, 굽힘 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2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75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7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두께는 0.46875T 이하여도 되고, 0.45T 이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상기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강성과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합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62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7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합계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상기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강성과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중간막은 두께가 균일한 중간막이어도 되고, 두께가 변화되어 있는 중간막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웨지형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단층의 수지 필름인 경우에,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다층의 수지 필름인 경우에,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각 층을 각각 형성한 후에, 예를 들어 얻어진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그리고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적인 생산에 적합하기 때문에, 압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이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은 양측의 표면 중 적어도 한 쪽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은 양측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립 엠보싱법, 엠보싱 롤법, 캘린더 롤법 및 이형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정량적으로 일정한 요철 모양인 다수의 요철 형상의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엠보싱 롤법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3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수지 필름(11)을 구비한다. 수지 필름(1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수지 필름(11)의 제1 표면(1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수지 필름(11)의 제1 표면(1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제2 층(2)의 외측 표면(2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제3 층(3)의 외측 표면(3a)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31A)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수지 필름(11A)을 구비한다. 수지 필름(11A)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수지 필름(11A)의 제1 표면(1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수지 필름(11A)의 제1 표면(1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수지 필름이,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수지 필름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는 제1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제2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수지 필름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의 사이에 수지 필름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상기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고,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각각, 유리판 또는 PET 필름이고, 또한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으로서, 유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 판유리 및 선입 판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에 대용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인 경우에, 해당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PET 필름인 경우에, 해당 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의 사용에 의해, 접합 유리의 두께가 얇아도, 접합 유리의 굽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접합 유리를 경량화하거나, 접합 유리의 재료를 적게 하여 환경 부하를 저감시키거나, 접합 유리의 경량화에 의해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켜 환경 부하를 저감시키거나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이하이다. 접합 유리를 경량화하거나, 접합 유리의 재료를 적게 하여 환경 부하를 저감하거나, 접합 유리의 경량화에 의해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켜 환경 부하를 저감시키거나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유리판의 두께와 상기 제2 유리판의 두께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3.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8㎜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수지 필름을 끼우고, 압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 백에 넣고 감압 흡인하거나 하여,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수지 필름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하고, 적층체를 얻는다. 그 후, 적층체를 약 70 내지 110℃에서 예비 접착하고, 예비 접착체를 얻는다. 이어서, 예비 접착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하여, 약 120 내지 150℃ 및 1 내지 1.5㎫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시에, 제1 층과 제2 층과 제3 층을 적층해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이들의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용 또는 건축용의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의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의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또는 루프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자동차의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게재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재료를 준비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적절히 사용했다.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에서는 모두, 아세탈화에, 탄소수 4의 n-부틸알데히드가 사용되어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이하와 같이 하여 얻어지고 있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후속 아세탈화에 의한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의 도입과 아이오노머화
온도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 내에, 폴리비닐부티랄(평균 중합도 800, 부티랄화도 68.0몰%, 수산기의 함유율 30.8몰%, 아세틸화도 1.2몰%) 20중량부와, 메탄올 100중량부를 더하고, 교반하면서 폴리비닐부티랄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테레프탈알데히드산을 첨가하고, 용해시킨 후, 35중량%의 염산을 0.1중량부 첨가한 후, 반응 용기 내를 교반하면서 60℃로 가열했다. 승온 종료 후, 6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반응액을 냉각함으로써,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함유하는 고형분 20중량%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용액에 나트륨메톡시드를 중화도가 54%가 되도록 첨가했다. 중화도는, FTIR 장치 「NICOLET 6700」(Thermo Scientific사제)을 사용하여, 측정 파장 4000 내지 400㎝-1, 스캔 횟수 32회로 측정을 행하고, 카르복실기(1715㎝-1)와, 카르복실기의 금속염기(Na의 경우 1550㎝-1)의 시그널 높이로부터 산출했다.
또한, 얻어진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디메틸술폭시드-d6으로 용해하고, 프로톤 NMR을 측정함으로써, 반응 후의 조성을 산출했다.
(가소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자외선 차폐제)
Tinuvin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326」)
(산화 방지제)
BHT(2,6-디-t-부틸-p-크레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작: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종류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와, 가소제(3GO)와, 자외선 차폐제(Tinuvin326)와, 산화 방지제(BHT)를 혼합하여,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가소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양으로 사용했다.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했다.
수지 필름의 제작: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함으로써, 수지 필름(두께 760㎛)(중간막)을 제작했다.
접합 유리의 제작:
(굽힘 강성 측정용)
얻어진 중간막을 세로 20㎝×가로 2.5㎝의 크기로 절단했다.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로서, 2개의 유리판(클리어 플로트 유리, 세로 20㎝×가로 2.5㎝, 두께 1.2㎜)을 준비했다.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얻어진 중간막을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 백 내에 넣고, 2660㎩(20torr)의 진공도로 20분간 탈기했다. 그 후, 탈기한 상태에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다시 90℃에서 30분간 유지하면서, 진공 프레스했다. 이와 같이 하여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압력 1.2㎫(12㎏/㎠)의 조건에서 20분간 압착을 행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내관통성 측정용)
얻어진 중간막을 세로 15㎝×가로 15㎝의 크기로 절단했다.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로서, 2개의 유리판(클리어 플로트 유리, 세로 15㎝×가로 15㎝, 두께 1.2㎜)을 준비했다.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고무 백 내에 넣고, 2.6㎪의 진공도로 20분간 탈기한 후, 탈기한 상태로 오븐 내로 옮기고, 다시 90℃에서 30분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예비 압착했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및 압력 1.2㎫의 조건에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20분간 압착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평가)
(1)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의 측정:
얻어진 수지 필름을 길이 50㎜, 폭 20㎜로 잘라냈다. 수지 필름을, 실온 23±2℃, 습도 25±5%의 환경 하에 12시간 보관했다. 보관 직후에, Metravib사제의 점탄성 측정 장치 「DMA+1000」을 사용하여, 수지 필름에 대하여, 전단 모드에서 2℃/분의 승온 속도로 -50℃부터 100℃까지, 주파수 1㎐ 및 변형 0.05%의 조건에서 측정을 행하였다.
(2) 인장 시험(영률, 파단 강도 및 파단 신도)
얻어진 수지 필름을 덤벨사제의 슈퍼 덤벨 커터: SDK-400으로 펀칭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그 후, 23℃의 항온실에서 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의 오토그래프 AGS-X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100㎜/분으로 인장 시험함으로써, 23℃에서의 영률, 파단 강도 및 파단 신도를 측정했다.
(3) 굽힘 강성
얻어진 접합 유리를 사용하여, 굽힘 강성을 평가했다.
도 5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시험 방법으로, 굽힘 강성을 평가했다. 측정 장치로서는, 3점 굽힘 시험 지그를 구비한 오리엔테크사제의 UTA-500을 사용했다. 측정 조건으로서는, 20℃(20±3℃), 거리 D1은 12㎝, 거리 D2는 20㎝라고 하고, 변위 속도 1㎜/분으로 F의 방향으로 접합 유리에 변형을 가하고, 1.5㎜의 변위를 가했을 때의 응력을 측정하여, 굽힘 강성을 산출했다. 굽힘 강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굽힘 강성의 판정 기준]
○: 굽힘 강성이 50N/㎜ 이상
×: 굽힘 강성이 50N/㎜ 미만
(4) 내관통성
얻어진 접합 유리를,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조정했다. 이어서, 1.5m의 높이로부터, 6매의 접합 유리에 대하여 각각, 질량 2260g 및 직경 82㎜의 강구를, 접합 유리의 중심 부분으로 낙하시켰다. 6매의 접합 유리 모두에 대하여, 강구가 충돌한 후 5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경우를 합격이라고 했다. 강구가 충돌한 후 5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접합 유리가 3매 이하인 경우는 불합격이라고 했다. 4매인 경우에는, 새롭게 6매의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평가했다. 5매인 경우에는, 새롭게 1매의 접합 유리를 추가 시험하여, 강구가 충돌한 후 5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경우를 합격이라고 했다. 동일한 방법으로, 25㎝씩 높게 하여, 6매의 접합 유리에 대하여 각각, 질량 2260g 및 직경 82㎜의 강구를, 접합 유리의 중심 부분으로 낙하시켜,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최대 높이)을 평가했다. 내관통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내관통성의 판정 기준]
○: 2m의 높이에서도 합격
×: 2m 미만에서 불합격
상세 및 결과를 하기의 표 1, 2에 나타낸다. 또한, 하기의 표 1에서는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의 기재는 생략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1 : 제1 층
1a : 제1 표면
1b : 제2 표면
2 : 제2 층
2a : 외측의 표면
3 : 제3 층
3a : 외측의 표면
11 : 수지 필름(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11A : 수지 필름(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제1 층)
11a : 제1 표면
11b : 제2 표면
21 : 제1 접합 유리 부재
22 : 제2 접합 유리 부재
31 : 접합 유리
31A : 접합 유리

Claims (9)

  1. 산기가 도입된 폴리비닐아세탈을 함유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산기의 함유율이 1.5몰% 이상, 10몰% 이하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화도가 10% 이상, 90%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80℃에서의 전단 저장 등가 탄성률이 0.5㎫ 이상, 3㎫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50몰% 이상, 80몰% 이하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5몰% 이상, 40몰% 이하이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0.1몰% 이상, 30몰%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10중량부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3㎜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1.8㎜ 이하인 제1 유리판을 사용하고, 상기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어,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9.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KR1020187026688A 2016-03-31 2017-03-31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KR201801326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0651 2016-03-31
JPJP-P-2016-070651 2016-03-31
PCT/JP2017/013711 WO2017171042A1 (ja) 2016-03-31 2017-03-31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アイオノマー樹脂フィルム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636A true KR20180132636A (ko) 2018-12-12

Family

ID=5996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688A KR20180132636A (ko) 2016-03-31 2017-03-31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99496A1 (ko)
EP (1) EP3438071A1 (ko)
JP (1) JP6971147B2 (ko)
KR (1) KR20180132636A (ko)
CN (1) CN108779027A (ko)
WO (1) WO2017171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4505A4 (en) * 2019-12-11 2023-12-2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2021155725A (ja) * 2020-03-27 2021-10-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
WO2022024981A1 (ja) * 2020-07-31 2022-02-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3064A (en) * 1981-03-18 1982-09-21 Sumitomo Chem Co Ltd Adhesive resin composition
SE458153B (sv) 1987-07-16 1989-02-27 Polymetric Ab Optiskt vinkelmaetdon
US5030688A (en) * 1988-11-07 1991-07-09 Monsanto Company Ionomeric polyvinyl butyral
US4968744A (en) * 1988-11-07 1990-11-06 Monsanto Company Polyvinyl butyral polyblend
US4999253A (en) * 1988-11-07 1991-03-12 Monsanto Company Polyvinyl butyral sheet
JPH072932A (ja) * 1991-01-04 1995-01-06 Advanced Glass Syst Corp イオノマー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ラミネート
DE4323897A1 (de) * 1993-07-16 1995-01-19 Hoechst Ag Plastifizierte Polymerformkörper aus modifizierten Polyvinylbutyralen
JP3797681B2 (ja) * 1995-04-21 2006-07-19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3540453B2 (ja) * 1995-09-04 2004-07-07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アイオノマー組成物
JP2007070200A (ja) 2005-09-09 2007-03-22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CN102341556A (zh) * 2009-03-06 2012-02-01 纳幕尔杜邦公司 轻型玻璃层压板
US9616641B2 (en) * 2011-06-24 2017-04-11 Corning Incorporated Light-weight hybrid glass laminates
US10173396B2 (en) 2012-03-09 2019-01-08 Solutia Inc. High rigidity interlayers and light weight laminated multiple layer panels
NL2010625C2 (nl) * 2013-04-11 2014-10-14 Aviat Glass & Technology B V Spiegel, e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dergelijke spiegel.
JP6660671B2 (ja) * 2014-03-24 2020-03-11 三井・ダウ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太陽電池用封止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71042A1 (ja) 2019-02-07
EP3438071A1 (en) 2019-02-06
CN108779027A (zh) 2018-11-09
US20200299496A1 (en) 2020-09-24
WO2017171042A1 (ja) 2017-10-05
JP6971147B2 (ja)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94529A1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6163259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102470383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70132706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70063431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360382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70113563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80132636A (ko)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KR20160140580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KR20170132762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80129780A (ko)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JP2016069278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6159026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7043625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5196611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