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780A -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780A
KR20180129780A KR1020187026686A KR20187026686A KR20180129780A KR 20180129780 A KR20180129780 A KR 20180129780A KR 1020187026686 A KR1020187026686 A KR 1020187026686A KR 20187026686 A KR20187026686 A KR 20187026686A KR 20180129780 A KR20180129780 A KR 20180129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acetal
ionomer resin
resin
group
acetal i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루 신도
야스하루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9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28Condensation with aldehydes or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3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cetal or keta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12Hyd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4Introducing sulfur atoms or sulfur-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0Introducing phosphorus atoms or phosphorus-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4Preparation of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8Isomerisation; Cyc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는 이온성 관능기를 갖고, 또한 중화도가 10% 이상, 90% 이하가 되는 양의 금속을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탈 환구조의 메조 비율이 80% 이상이다.

Description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본 발명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수지 필름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접합 유리에 사용되는 수지 필름으로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알려져 있다. 접합 유리는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어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의 비산량이 적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는,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과,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차음층이 개시되어 있다. 이 차음층은 단층이고 중간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상기 차음층과 다른 층이 적층된 다층의 중간막도 기재되어 있다. 차음층에 적층되는 다른 층은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 중량부 이하인 가소제를 포함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33℃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중합체층인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상기 중합체층이, 두께가 4.0㎜ 이하인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화학적으로 결합한 아이오노머기를 갖는 폴리비닐부티랄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비닐부티랄폴리블렌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70200호 공보 US2013/0236711A1 US4969744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중간막(수지 필름)에서는, 내충격성이 낮고, 충격이 부여되면 흠집이나 균열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40℃ 정도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낮아지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를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이온성 관능기를 갖고, 또한 중화도가 10% 이상, 90% 이하가 되는 양의 금속을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탈 환구조의 메조 비율이 80%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이하, 수지재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이온성 관능기의 함유율이 10몰%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이온성 관능기가, 카르복실기, 카르복실기의 염기, 술폰산기, 술폰산기의 염기, 술핀산기, 술핀산기의 염기, 술펜산기, 술펜산기의 염기, 인산기, 인산기의 염기, 포스폰산기, 포스폰산기의 염기, 아미노기, 또는 아미노기의 염기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금속이 Na, Li, K, Mg, Zn, Cu, Co, Al, Fe, Ni, Cr 또는 Mn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수산기 함유율이 10몰% 이상, 35몰%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탈기가, 포르말기, 아세토아세탈기, 부티랄기, 시클로헥실아세탈기, 2-에틸헥실아세탈기, 또는 벤즈아세탈기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 500000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수지재는, 이온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합계 100중량% 중,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수지재는, 가소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와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를 10중량부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가소제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상술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의 성형체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는, 이온성 관능기를 갖고, 또한 중화도가 10% 이상, 90% 이하가 되는 양의 금속을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탈 환구조의 메조 비율이 80% 이상이므로,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수지재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는, 이온성 관능기를 갖고, 또한 중화도가 10% 이상, 90% 이하가 되는 양의 금속을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에서는, 이온성 관능기와 금속이 이온 결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금속 함유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물질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단체여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나 가소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재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하, 중간막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이하, 수지 필름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를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수지 필름은 상기 수지재의 성형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의 용도는 중간막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예를 들어 중간막 이외에, 태양 전지의 밀봉제, 코팅제, 또는 쿠션재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저온에 있어서도 이온 결합의 절단에 의한 에너지 흡수에 의해, 수지 필름 및 중간막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수지 필름 및 중간막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온 결합이 절단되었다고 해도, 근방의 이온기와 이온 결합이 재생함으로써 자기 수복성을 높일 수 있다. 자기 수복성이란, 예를 들어 수지 필름 및 중간막에 흠집이나 변형이 발생했을 때에, 흠집이나 변형이 작아지거나 또는 없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가 아이오노머화되어 있음으로써, 수지 필름 및 중간막의 탄성률과, 파단 신도 및 굽힘 강성도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아이오노머화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산기가 도입된 폴리비닐아세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예를 들어 -CH2-CH-기를 주쇄에 갖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골격을 갖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골격이, 예를 들어 -CH2-CH-기를 주쇄에 갖는다. -CH2-CH-기에 있어서의 「-CH-」 부분의 탄소 원자에는 하나의 다른 기가 결합하고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에서는, 주쇄에 있어서, -CH2-CH-기가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화도는 10% 이상, 90% 이하이다. 상기 중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인 점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중화도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다. 상기 중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자기 수복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상기 중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유연성이 발현되어, 인장 변형 시의 파단 신도 및 성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중화도는 FT-IR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FT-IR에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1715㎝-1)와, 카르복실기의 금속염(금속에 따라 상이함, Zn의 경우: 1568㎝-1, Na의 경우 1550㎝- 1)의 시그널 높이로부터, 중화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중화에는 금속이 사용된다.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자기 수복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금속은 Na, Li, K, Mg, Zn, Cu, Co, Al, Fe, Ni, Cr 또는 M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은, 특히 Na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탈 환구조의 메조 비율은 80% 이상이다.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자기 수복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메조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8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1%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아세탈 환구조의 「메조 비율」이란, 아세탈 환의 입체 구조에 있어서,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수산기로 형성되는 아세탈 환구조(라세모아세탈 환)를 갖는 아세탈기의 양의 비율과, 아이소택틱 구조를 갖는 수산기로 형성되는 아세탈 환구조(메조 아세탈 환)를 갖는 아세탈기의 양의 비율의 합을 100%라고 했을 때의, 아이소택틱 구조를 갖는 수산기로 형성되는 아세탈 환구조(메조 아세탈 환)를 갖는 아세탈기의 양의 비율이다. 메조 비율은, 예를 들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디메틸술폭시드-d6 등의 용제에 용해시켜, 측정 온도 150℃에 있어서 프로톤 NMR을 측정하여, 4.5ppm 부근에 나타나는 메조 아세탈 환구조에 유래하는 피크와, 4.2ppm 부근에 나타나는 라세모아세탈 환구조에 유래하는 피크의 적분값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나, 카본 NMR을 측정하여, 100ppm 부근에 나타나는 메조 아세탈 환구조에 유래하는 피크와, 94ppm 부근에 나타나는 라세모아세탈 환구조에 유래하는 피크의 적분값으로부터 산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유닛에 있어서의 아세탈 환구조의 메조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아세탈화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아세탈화도는 지나치게 낮아도 지나치게 높아도 좋지 않고, 또한 마찬가지로 수산기량도 지나치게 낮아도 지나치게 높아도 좋지 않다. 적정한 범위의 메조 비율로 하기 위해서는, 아세탈화도는 50 내지 80몰%라고 하고, 수산기량은 10 내지 40몰%라고 한다. 또한, 메조 비율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아세탈화 공정의 숙성 온도와 숙성 시간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유효하고, 이들을 조정함으로써 목적의 메조 비율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숙성 온도가 낮고 숙성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메조 비율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과,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비누화하고,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한 후, 아이오노머화하는 방법,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한 후, 아이오노머화하는 방법, 그리고 폴리비닐아세탈을,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한 후, 아이오노머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이오노머화의 방법으로서는, 용액 중에, 금속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 그리고 혼련 중에, 금속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은 용액의 상태로 첨가되어도 된다.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은 금속염 또는 금속 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에 있어서의 금속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전이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영률 및 성형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Na, Li, K, Mg, Zn, Cu, Co, Al, Fe, Ni, Cr 또는 Mn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Na, Zn, Mg 또는 K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화에 상기 금속이 사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N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이다.
아이오노머화의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현되고, 본 발명의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현되는 점에서, 상기 이온성 관능기는 카르복실기, 카르복실기의 염기, 술폰산기, 술폰산기의 염기, 술핀산기, 술핀산기의 염기, 술펜산기, 술펜산기의 염기, 인산기, 인산기의 염기, 포스폰산기, 포스폰산기의 염기, 아미노기, 또는 아미노기의 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자기 수복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이온성 관능기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이다.
상기 이온성 관능기의 함유율은 수지 중의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 및 이온성 관능기의 금속염을 구성하고 있는 이온성 관능기의 비율의 합을 의미한다. 상기 이온성 관능기의 함유율은 NMR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본 NMR로 이온성 관능기에 유래하는 피크(카르복실기에서는 45ppm 부근에 나타남)와, 30ppm 부근에 나타나는 주쇄에 유래하는 피크의 적분값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자기 수복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10몰% 이상, 35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자기 수복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탈기가, 포르말기, 아세토아세탈기, 부티랄기, 시클로헥실아세탈기, 2-에틸헥실아세탈기, 또는 벤즈아세탈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1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2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은 단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되고, 다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1 층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제1 층에 더하여 제2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2 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이 상기 제2 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2 층이 배치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1 층 및 제2 층에 더하여 제3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3 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이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상기 제3 층이 배치된다.
상기 제2 층의 상기 제1 층측과는 반대인 표면은 접합 유리 부재 또는 유리판이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에 적층되는 유리판의 두께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상기 제2 층측의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은 접합 유리 부재 또는 유리판이 적층되는 표면이어도 된다. 상기 제1 층에 적층되는 유리판의 두께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의 상기 제1 층측과는 반대인 표면은 접합 유리 부재 또는 유리판이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에 적층되는 유리판의 두께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고,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 기인하여 굽힘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유리판의 두께와 상기 제2 유리판의 두께의 합계가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은,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고,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 기인하여 굽힘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지 필름은 두께가 1.8㎜ 이하인 제1 유리판을 사용하여, 해당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고,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 기인하여 굽힘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지 필름은 두께가 1.8㎜ 이하인 제1 유리판과 두께가 1.8㎜ 이하인 제2 유리판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고,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수지 필름(11)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수지 필름이다. 수지 필름(11)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11)은 제1 층(1)과, 제2 층(2)과, 제3 층(3)을 구비한다. 제1 층(1)의 제1 표면(1a)에, 제2 층(2)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의 제1 표면(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b)에, 제3 층(3)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은 중간층이다. 제2 층(2) 및 제3 층(3)은 각각, 보호층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층이다. 제1 층(1)은 제2 층(2)과 제3 층(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수지 필름(11)은 제2 층(2)과 제1 층(1)과 제3 층(3)이 이 순서로 적층된 다층 구조(제2 층(2)/제1 층(1)/제3 층(3))를 갖는다.
또한, 제2 층(2)과 제1 층(1) 사이 및 제1 층(1)과 제3 층(3) 사이에는 각각,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층(2)과 제1 층(1) 및 제1 층(1)과 제3 층(3)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층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층을 들 수 있다.
도 2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수지 필름(11A)은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수지 필름이다. 수지 필름(11A)은 제1 층이다. 수지 필름(11A)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다른 상세, 그리고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다른 상세를 설명한다.
(수지)
상기 수지재 및 상기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폴리비닐부티랄 아이오노머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로서는,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재 및 상기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상기 수지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상기 수지는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및 상기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0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압출 성형에 의해 수지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더욱 양호한 내충격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의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아크릴 중합체 등의 (메트)아크릴 수지, 우레탄 중합체, 실리콘 중합체, 고무, 또는 아세트산비닐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또는 (메트)아크릴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사용에 의해, 강인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지고, 내충격성 및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수지는 극성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산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의 존재에 의해, 수소 결합 절단, 재생에 의한 자기 수복성이 발현될뿐만 아니라,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접합 유리의 굽힘 강성 및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의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폴리(메트)아크릴산에틸, 폴리(메트)아크릴산n-프로필, 폴리(메트)아크릴산i-프로필, 폴리(메트)아크릴산n-부틸, 폴리(메트)아크릴산i-부틸, 폴리(메트)아크릴산t-부틸, 폴리(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폴리(메트)아크릴산옥틸, 폴리(메트)아크릴산프로필, 폴리(메트)아크릴산2-에틸옥틸, 폴리(메트)아크릴산노닐, 폴리(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폴리(메트)아크릴산데실, 폴리(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폴리(메트)아크릴산라우릴, 폴리(메트)아크릴산이소테트라데실, 폴리(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폴리(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폴리(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및 폴리(메트)아크릴산벤질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로의 혼합의 용이함의 점에서,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폴리(메트)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n-부틸, 폴리(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폴리(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폴리아크릴산2-에틸헥실 또는 폴리아크릴산옥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이들의 바람직한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바람직한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사용에 의해, 수지 필름의 생산성과 수지 필름의 특성의 밸런스가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제1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2)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2)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3)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3)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70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저온의 내충격성 및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2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로서,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2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4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 필름의 기계 강도가 보다 한층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5몰% 이상이면, 반응 효율이 높고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35몰% 이하이면, 아이오노머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내충격성뿐만 아니라, 양호한 자기 수복성을 발현한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져,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7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6.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굽힘 강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고, 수지 필름의 유리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이 10몰% 이상이면, 반응 효율이 높아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37몰% 이하이면, 아이오노머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내충격성뿐만 아니라, 양호한 자기 수복성을 발현한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져,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차음성을 양호하게 발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아세틸화도가 0.1몰% 이상, 25몰% 이하이면, 내충격성 및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각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의 각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비닐부티랄 아이오노머 수지 또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수지재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와 함께,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재가,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의 합계 100중량% 중,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이다.
상기 수지재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와 함께, 이온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재가, 이온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합계 100중량% 중,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이다.
(가소제)
상기 수지재 및 상기 수지 필름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사용에 의해, 또한 수지와 가소제의 병용에 의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층의 접합 유리 부재 또는 다른 층에 대한 접착력이 적절하게 높아진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그리고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노닐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오일 변성 세바스산알키드 및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아디프산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재 및 상기 수지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와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아이오노머의 형성을 저해하기 어렵고, 양호한 저온 내충격성과 자기 수복성을 발현한다. 상기 수지재 및 상기 수지 필름이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와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의 합계 100중량부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00중량부를 나타낸다.
상기 제2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100중량부, 또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2)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2)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그리고 상기 제3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3) 100중량부, 또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3)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3 함유량(이하, 함유량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2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져,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아이오노머의 형성을 저해하기 어렵고, 양호한 저온 내충격성과 자기 수복성을 발현할 뿐만 아니라,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1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100중량부, 또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1)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1)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져,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아이오노머의 형성을 저해하기 어렵고, 양호한 저온 내충격성과 자기 수복성을 발현할 뿐만 아니라,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2)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3)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하이다.
(차열성 화합물)
상기 수지재 및 상기 수지 필름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성 화합물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차열성 화합물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성분 X와 상기 차열 입자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성분 X:
상기 수지재 및 상기 수지 필름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차열성 화합물이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재,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탈로시아닌 및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다 한층 높은 레벨에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재,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한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재 100중량% 중,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열 입자:
상기 수지재 및 상기 수지 필름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차열성 화합물이다.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수지재, 상기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의 산화물에 의해 형성된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보다도 긴 파장 780㎚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양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크고, 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로 인해,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고 불리고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 가능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프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프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프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프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프 산화티타늄 입자,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프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프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나, 6붕화란탄(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고, ATO 입자, GZO 입자, IZO 입자,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고, 또한 입수가 용이하므로,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가 바람직하고, 산화텅스텐 입자도 바람직하다.
수지재,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산화텅스텐 입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포함된다. 상기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및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재,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해당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는 식: Cs0.33WO3으로 표현되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열선의 차폐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 입자의 분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은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을 나타낸다. 평균 입자 직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니키소사제 「UPA-EX150」)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지재 100중량% 중,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이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금속염)
상기 수지재 및 상기 수지 필름은 마그네슘염,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이하, 금속염 M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이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 M의 사용에 의해, 수지 필름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 또는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금속염 M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금속염 M은 Li, Na, K, Rb, Cs, Mg, Ca, Sr 및 Ba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염은 K 및 Mg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염 M은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토금속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재 100중량% 중,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에 있어서의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5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이다.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 또는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
상기 수지재 및 상기 수지 필름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폐제의 사용에 의해,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가 장기간 사용되어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보다 한층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트리아진 화합물),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말론산에스테르 화합물),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옥살산아닐리드 화합물) 및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에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입자, 백금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팔라듐 입자 및 팔라듐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는 차열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에 관하여, 표면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의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절연성 금속 산화물, 가수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P」),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0」),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6」) 및 2-(2'-히드록시-3',5'-디-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8」)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능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벤존(BASF사제 「Chimassorb8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ADEKA사제 「LA-F70」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BASF사제 「Tinuvin1577F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2-(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디메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2-(p-메톡시벤질리덴)-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의 시판품으로서는, Hostavin B-CAP, Hostavin PR-25, Hostavin PR-31(모두 클라리안트사제)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옥살산디아미드, 2-에틸-2'-에톡시-옥시아닐리드(클라리안트사제 「SanduvorVSU」) 등의 질소 원자 위로 치환된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디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BASF사제 「Tinuvin120」) 등을 들 수 있다.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수지재 100중량% 중,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하이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0.2중량% 이상인 것에 의해,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상기 수지재 및 상기 수지 필름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 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틸릭애시드글리콜에스테르 및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젠프로판산)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 아인산 및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1-페닐옥시)(2-에틸헥실옥시)포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제 「IRGANOX 245」, BASF사제 「IRGAFOS 168」, BASF사제 「IRGAFOS 38」, 스미토모 가가쿠 고교사제 「스밀라이저BHT」, 사카이 가가쿠 고교사제 「H-BHT」, 그리고 BASF사제 「IRGANOX 1010」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재,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지재 100중량% 중,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첨가 효과가 포화되므로, 상기 수지 필름 100중량% 중 및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상기 수지재, 상기 수지 필름,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 규소,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커플링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의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의 다른 상세)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용면의 관점, 그리고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및 굽힘 강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및 굽힘 강성이 높아진다.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수지 필름의 두께를 T라고 한다.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2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T 이상, 바람직하게는 0.4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T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T 이하이다. 상기 제1 층의 두께가 0.4T 이하이면, 굽힘 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2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75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7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두께는 0.46875T 이하여도 되고, 0.45T 이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상기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강성과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합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62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7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합계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상기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강성과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중간막은 두께가 균일한 중간막이어도 되고, 두께가 변화되어 있는 중간막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웨지형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단층의 수지 필름인 경우에, 수지재를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다층의 수지 필름인 경우에,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재를 사용하여 각 층을 각각 형성한 후에, 예를 들어 얻어진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그리고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재를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적인 생산에 적합하기 때문에, 압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이 동일한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은 양측의 표면 중 적어도 한 쪽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은 양측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립 엠보싱법, 엠보싱 롤법, 캘린더 롤법 및 이형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정량적으로 일정한 요철 모양인 다수의 요철 형상의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엠보싱 롤법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3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수지 필름(11)을 구비한다. 수지 필름(1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수지 필름(11)의 제1 표면(1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수지 필름(11)의 제1 표면(1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제2 층(2)의 외측 표면(2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제3 층(3)의 외측 표면(3a)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31A)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수지 필름(11A)을 구비한다. 수지 필름(11A)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수지 필름(11A)의 제1 표면(1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수지 필름(11A)의 제1 표면(1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수지 필름이, 본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수지 필름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는 제1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제2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수지 필름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의 사이에 수지 필름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상기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고,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각각, 유리판 또는 PET 필름이고, 또한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으로서, 유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 판유리 및 선입 판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에 대용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인 경우에, 해당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PET 필름인 경우에, 해당 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필름의 사용에 의해, 접합 유리의 두께가 얇아도, 접합 유리의 굽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접합 유리를 경량화하거나, 접합 유리의 재료를 적게 하여 환경 부하를 저감시키거나, 접합 유리의 경량화에 의해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켜 환경 부하를 저감시키거나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이하이다. 접합 유리를 경량화하거나, 접합 유리의 재료를 적게 하여 환경 부하를 저감하거나, 접합 유리의 경량화에 의해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켜 환경 부하를 저감시키거나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유리판의 두께와 상기 제2 유리판의 두께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3.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8㎜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수지 필름을 끼우고, 압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 백에 넣고 감압 흡인하거나 하여,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수지 필름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하고, 적층체를 얻는다. 그 후, 적층체를 약 70 내지 110℃에서 예비 접착하고, 예비 접착체를 얻는다. 이어서, 예비 접착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하여, 약 120 내지 150℃ 및 1 내지 1.5㎫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시에, 제1 층과 제2 층과 제3 층을 적층해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이들의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용 또는 건축용의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의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의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또는 루프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자동차의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게재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재료를 준비했다.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하기의 표 1 내지 3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적절히 사용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는 이하와 같이 하여 얻어지고 있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온도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 내에, 폴리비닐알코올(평균 중합도 800, 비누화도 98.9몰%) 200중량부와, 증류수 1600중량부를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중량% 염산 50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n-부틸알데히드 30중량부를 첨가한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그 후, 50℃에서 2시간 유지하여,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후속 아세탈화에 의한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의 도입과 아이오노머화
온도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 내에, 폴리비닐부티랄(평균 중합도 800, 부티랄화도 68.0몰%, 수산기의 함유율 30.8몰%, 아세틸화도 1.2몰%) 20중량부와, 메탄올 100중량부를 더하고, 교반하면서 폴리비닐부티랄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테레프탈알데히드산을 첨가하고, 용해시킨 후, 35중량%의 염산을 0.1중량부 첨가한 후, 반응 용기 내를 교반하면서 60℃로 가열했다. 승온 종료 후, 6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반응액을 냉각함으로써,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함유하는 고형분 20중량%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용액에 나트륨메톡시드를 중화도가 54%가 되도록 첨가했다. 중화도는, FTIR 장치 「NICOLET 6700」(Thermo Scientific사제)을 사용하여, 측정 파장 4000 내지 400㎝-1, 스캔 횟수 32회로 측정을 행하고, 카르복실기(1715㎝-1)와, 카르복실기의 금속염기(Na의 경우 1550㎝-1)의 시그널 높이로부터 산출했다.
또한, 얻어진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디메틸술폭시드로 용해하고, 프로톤 NMR을 측정함으로써, 반응 후의 조성을 산출했다. 반응 후의 조성은 수산기의 함유율 29.4몰%, 아세틸화도 1.1몰%, 부티랄화도 62.3몰%,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가 3.6몰%이고, 메조 비율이 91.8%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칼럼으로서 Waters사제 「2690 Separations Model」을 사용하여,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바, 16만이었다.
또한, 실시예 1 이외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의 중합도, 아세탈화에 사용한 알데히드의 종류(아세탈화의 종류, Bu: 부티랄화, Ac: 아세토아세탈화, Bz: 벤즈아세탈화, EH: 2-에틸헥실아세탈화), 수산기의 함유율, 아세틸화도, 아세탈화도, 이온성 관능기의 종류, 이온성 관능기의 함유율, 중화에 사용한 금속종, 중화도, 메조 비율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을 표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 및 23에서는, 상기 후속 아세탈화에 의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도입하고, 그 밖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아세트산비닐 단량체와 아크릴산을 공중합하고, 그 후, 비누화, 아세탈화하는 방법으로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도입했다. 또한, 비교예 5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작 시에 숙성을 30℃에서 10분 행하였다.
(가소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자외선 차폐제)
Tinuvin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326」)
(산화 방지제)
BHT(2,6-디-t-부틸-p-크레졸)
(실시예 1 내지 37 및 비교예 1 내지 5)
하기의 표 1 내지 3에 나타내는 종류 및 양의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하기의 표 1 내지 3에 나타내는 종류 및 양의 가소제와, 자외선 차폐제(Tinuvin326)를 얻을 수 있는 수지 필름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과, 산화 방지제(BHT)를 얻을 수 있는 수지 필름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을 배합하고,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함으로써, 수지 필름(두께 760㎛)을 제작했다.
(평가)
(1)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얻어진 수지 필름을 열 성형하여, 한 변이 5㎜인 정육면체상의 수지 필름을 준비했다. 액체 질소 중에 수지 필름을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했다. 침지 후의 수지 필름을 해머로 10회 친 후의 상태로부터,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의 판정 기준]
○: 균열이 없다
△: 다소 균열이 있다
×: 분쇄
(2) 자기 수복성
얻어진 수지 필름의 표면에, 면도날로 흠집을 내고, 원자간력 현미경으로 깊이 2㎛±500㎚의 흠집의 위치를 확인하고, 23℃ 및 습도 50%로 1주간 보관했다. 보관 후에, 동일 위치에서의 흠집의 깊이를 원자간력 현미경으로 측정했다. 자기 수복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자기 수복성의 판정 기준]
○: 보관 후에 깊이가 20㎚ 이상 감소
△: 보관 후에 깊이가 10㎚ 이상, 20㎚ 미만 감소
×: 보관 후에 깊이가 감소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깊이가 10㎚ 미만 감소
상세 및 결과를 하기의 표 1 내지 3에 나타낸다. 또한, 하기의 표 1 내지 3에서는,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의 기재는 생략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1 : 제1 층
1a : 제1 표면
1b : 제2 표면
2 : 제2 층
2a : 외측의 표면
3 : 제3 층
3a : 외측의 표면
11 : 수지 필름(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11A : 수지 필름(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제1 층)
11a : 제1 표면
11b : 제2 표면
21 : 제1 접합 유리 부재
22 : 제2 접합 유리 부재
31 : 접합 유리
31A : 접합 유리

Claims (15)

  1. 이온성 관능기를 갖고, 또한 중화도가 10% 이상, 90% 이하가 되는 양의 금속을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탈 환구조의 메조 비율이 80%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이온성 관능기의 함유율이 10몰%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관능기가, 카르복실기, 카르복실기의 염기, 술폰산기, 술폰산기의 염기, 술핀산기, 술핀산기의 염기, 술펜산기, 술펜산기의 염기, 인산기, 인산기의 염기, 포스폰산기, 포스폰산기의 염기, 아미노기, 또는 아미노기의 염기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Na, Li, K, Mg, Zn, Cu, Co, Al, Fe, Ni, Cr 또는 Mn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수산기 함유율이 10몰% 이상, 35몰%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아세탈기가, 포르말기, 아세토아세탈기, 부티랄기, 시클로헥실아세탈기, 2-에틸헥실아세탈기, 또는 벤즈아세탈기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 500000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온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합계 100중량% 중,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와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를 10중량부 이상 포함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재의 성형체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15.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제13항 또는 제14항에 기재된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KR1020187026686A 2016-03-31 2017-03-31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KR201801297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0660 2016-03-31
JPJP-P-2016-070660 2016-03-31
PCT/JP2017/013710 WO2017171041A1 (ja) 2016-03-31 2017-03-31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アイオノマー樹脂材、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アイオノマー樹脂フィルム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780A true KR20180129780A (ko) 2018-12-05

Family

ID=5996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686A KR20180129780A (ko) 2016-03-31 2017-03-31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99436A1 (ko)
EP (1) EP3438141A4 (ko)
JP (1) JP6889105B2 (ko)
KR (1) KR20180129780A (ko)
CN (1) CN108779210A (ko)
WO (1) WO2017171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5407B (zh) * 2020-12-31 2022-11-22 安徽皖维先进功能膜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聚乙烯醇缩醛树脂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2812209B (zh) * 2020-12-31 2023-02-24 安徽皖维先进功能膜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聚乙烯醇缩醛树脂及其制备方法、以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875B2 (ko) * 1973-06-12 1978-07-17
JPS55108443A (en) * 1979-02-14 1980-08-20 Sekisui Chem Co Ltd Theromsetting resin composition
US4452935A (en) * 1981-06-01 1984-06-05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JPS57200250A (en) * 1981-06-01 1982-12-08 Sekisui Chem Co Ltd Interlay film for sandwich galss
DE3316948A1 (de) * 1983-05-09 1984-11-15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n waessrigen alkalien loeslichem polyvinylalkohol und seine verwendung
US4999253A (en) * 1988-11-07 1991-03-12 Monsanto Company Polyvinyl butyral sheet
US4968745A (en) * 1988-11-07 1990-11-06 Monsanto Company Method of producing ionomeric polyvinyl butyral
US5030688A (en) * 1988-11-07 1991-07-09 Monsanto Company Ionomeric polyvinyl butyral
FR2648139A1 (fr) * 1989-06-08 1990-12-14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de fabrication de polyvinylbutyral et produits obtenus
US4968754A (en) * 1989-07-28 1990-11-06 Shell Oil Company Functionalized block copolymers
US7060358B2 (en) * 2003-06-09 2006-06-13 Solutia, Incorporated Polyvinyl butyral sheet with bifunctional surface modifying agent
JP5471183B2 (ja) * 2009-09-01 2014-04-16 Jsr株式会社 接着剤用組成物
EP2336198A1 (de) * 2009-12-18 2011-06-22 Kuraray Europe GmbH Polyvinylacetal mit hoher Fließfähigkeit und hiermit hergestellte weichmacherhaltige Folie
EP2623524B1 (en) * 2010-09-27 2017-01-11 Sekisui Chemical Co., Ltd. Method for producing modified polyvinyl acetal
CN104736580B (zh) * 2012-09-28 2017-08-0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水系分散液用聚乙烯醇缩醛微粒
DE102013208942A1 (de) * 2013-05-15 2014-11-20 Evonik Industries Ag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schnellen Absorptionseigenschaft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6262975B2 (ja) * 2013-09-27 2018-01-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
JP6316054B2 (ja) * 2014-03-27 2018-04-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
WO2017047655A1 (ja) * 2015-09-17 2017-03-2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電極用バイン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1041A1 (ja) 2017-10-05
EP3438141A1 (en) 2019-02-06
CN108779210A (zh) 2018-11-09
US20200299436A1 (en) 2020-09-24
JP6889105B2 (ja) 2021-06-18
EP3438141A4 (en) 2019-12-25
JPWO2017171041A1 (ja)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383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6163259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70063431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80061190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70113563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80061175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360382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6613229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80132636A (ko)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KR20180129780A (ko)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재, 폴리비닐아세탈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
KR20170132762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WO2018198677A1 (ja) 合わせガラス
JP2016069278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7057498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80050324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2019147706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