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223A -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223A
KR20180132223A KR1020170068798A KR20170068798A KR20180132223A KR 20180132223 A KR20180132223 A KR 20180132223A KR 1020170068798 A KR1020170068798 A KR 1020170068798A KR 20170068798 A KR20170068798 A KR 20170068798A KR 20180132223 A KR20180132223 A KR 20180132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tag
article
warehouse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099B1 (ko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에스텍
Priority to KR102017006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09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는 지게차와 연관 배치되어 상기 지게차의 운송과정에서 물품에 있는 물품 태그를 식별하는 물품 태그 RFID 리더, 상기 지게차와 연관 배치되어 상기 지게차의 이동과정에서 인접 객체 태그를 식별하는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 물품창고와 연관 배치되고 상기 지게차에 있는 지게차 태그를 식별하는 지게차 태그 RFID 리더 및 상기 물품 태그 RFID 리더, 상기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 및 상기 지게차 태그 RFID 리더로부터 태그 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지게차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물품창고의 해당 보관구역으로의 이동 안내 또는 해당 인접 객체의 식별에 따른 경고 안내를 제공하는 RFID 미들웨어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SMART FORKLIFT-TRUCK LINKAGING DISTRIBUTION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물품에 관한 입출고를 관리하고 지게차에 관한 물류창고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창고에 입고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들은 관리자에 의해 물품별로 분류되고, 물품 정보, 물품 입고일자, 보관 위치 등의 필요한 정보를 작성하여 보관하게 된다. 종래의 물품관리기술은 많은 물품들이 입고되는 경우 물품이 잘못 분류되거나 또는 물품과 연관된 물품창고에 입고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물류관리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2463호에 개시된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5515호에 개시된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장치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3533호에 개시된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기술들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2463호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실시간적으로 물류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5515호는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RFID 전자태그를 창고 천장에 부착하고 지게차에 리더를 설치하여 지게차가 이동 시 천장 특정 부분의 태그와 화물의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화물의 적재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3533호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작업장의 중장비(예를 들어, 지게차) 주변의 위험영역을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물품에 관한 입출고를 관리하고 지게차에 관한 물류창고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고, 지게차의 위험영역 내에서 검출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지게차와 작업자 간의 근접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지게차 작업자(즉, 지게차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알려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2463호 (2009.10.28)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5515호 (2010.10.28)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3533호 (2014.04.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게차 태그 RFID 리더를 통해 지게차를 검출하여 지게차에 관한 물류창고의 출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품 태그 RFID 리더를 통해 물품을 검출하여 물품에 관한 입출고를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류창고에 입출고되는 복수의 물품들에 관한 입출고 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를 통해 인접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인접 객체와 지게차 간의 거리에 따라 경고 안내를 제공하여 인접 객체와 지게차 간의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는 지게차와 연관 배치되어 상기 지게차의 운송과정에서 물품에 있는 물품 태그를 식별하는 물품 태그 RFID 리더, 상기 지게차와 연관 배치되어 상기 지게차의 이동과정에서 인접 객체 태그를 식별하는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 물품창고와 연관 배치되고 상기 지게차에 있는 지게차 태그를 식별하는 지게차 태그 RFID 리더 및 상기 물품 태그 RFID 리더, 상기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 및 상기 지게차 태그 RFID 리더로부터 태그 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지게차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물품창고의 해당 보관구역으로의 이동 안내 또는 해당 인접 객체의 식별에 따른 경고 안내를 제공하는 RFID 미들웨어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FID 미들웨어 서버는 상기 물류창고의 출입영역 내에서 상기 지게차 태그가 검출되면 상기 지게차 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게차에 관한 물류창고 출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FID 미들웨어 서버는 상기 물품 태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유효한 물품 태그와 연관된 물품을 해당 보관구역에 입고하도록 하고, 상기 물품 태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지게차 태그와 연관된 해당 보관구역에서 물품을 출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FID 미들웨어 서버는 상기 물류창고에서 입출고된 물품에 관한 태그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태그 정보를 기초로 해당 물류창고의 물품 입출고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FID 미들웨어 서버는 상기 지게차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지게차의 위험영역 내에서 검출된 상기 인접 객체 태그에 관한 처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는 지게차 태그 RFID 리더를 통해 지게차를 검출하여 지게차에 관한 물류창고의 출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는 물품 태그 RFID 리더를 통해 물품을 검출하여 물품에 관한 입출고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는 물류창고에 입출고되는 복수의 물품들에 관한 입출고 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는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를 통해 인접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인접 객체와 지게차 간의 거리에 따라 경고 안내를 제공하여 인접 객체와 지게차 간의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RFID 미들웨어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프로세서의 기능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RFID 미들웨어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 프로시저를 요약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객체와 스마트 지게차 간의 안전관리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게차의 물품 처리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100) 및 RFID 미들웨어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100)는 물품, 인접 객체 및 지게차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들을 식별하여 물품관리, 인접 객체의 안전관리 및 지게차의 물류창고 출입관리를 위한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100)는 물품 태그 RFID 리더(110),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 및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를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기술로서 크게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RFID 태그와 식별정보를 읽는 RFID 리더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RFID 태그와 RFID 리더는 각각에 장착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기파를 매개체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물품 태그 RFID 리더(110)는 지게차와 연관 배치될 수 있고, 지게차의 운송과정에서 물품 태그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 태그는 물품 각각에 부착될 수 있고, 해당 물품과 연관된 태그 정보(즉, 물품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는 지게차와 연관 배치될 수 있고, 지게차의 이동과정에서 인접 객체 태그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접 객체 태그는 인접 객체(예를 들어, 물류창고 내부 및 외부에서 작업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즉,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작업모 또는/밀 작업복 등에 부착될 수 있고, 작업자와 연관된 태그 정보(즉, 작업자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는 물품창고(또는 물류창고)와 연관 배치될 수 있고, 지게차의 물류창고 출입과정에서 지게차 태그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게차 태그는 지게차에 부착되어 지게차와 연관된 태그 정보(즉, 지게차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물품 태그 RFID 리더(110) 및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는 각각 태그를 식별하여 태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 정보들을 기초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보관구역(또는 물품 적재장소) 정보요청 등을 포함하는 물품처리 요청정보 및 지게차의 물품창고 출입요청을 포함하는 지게차 출입 요청정보 등을 RFID 미들웨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는 지게차의 특정 위험영역 내에서 작업자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실시간 경고 알람을 제공하기 위해 RFID 미들웨어 서버(200)의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는 지게차 주변의 인접 객체 태그가 검출되는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접 객체와 연관된 태그 정보를 RFID 미들웨어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고, 경고 장치(예를 들어, 지게차 또는 물품창고 등에 부착된 경광등)를 통해 경고 알람이 제공된 후에 일괄적으로 인접 객체와 연관된 태그 정보를 RFID 미들웨어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100)는 식별된 태그 정보들에 대응되는 처리요청 정보들을 RFID 미들웨어 서버(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는 물류창고의 자동 셔터문과 1:1 대응될 수 있고, 해당 물류창고 출입영역의 특정영역 내에서 태그 정보를 RF 신호로 방출하는 지게차 태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영역은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가 지게차에 부착된 지게차 태그에서 방출되는 RF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영역으로, RFID 태그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를 방출하는 범위가 변동되므로 특정영역의 범위 또한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는 물류창고A에 대응되어 물류창고A의 자동 셔터문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고, 지게차에 관한 물류창고A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해 지게차 태그를 검출할 수 있다.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는 물류창고의 출입영역 내에 있는 지게차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는 물류창고에 출입하고자 하는 지게차 일측에 부착되어 지게차 식별에 사용되는 지게차 태그를 검출할 수 있고, 지게차 태그는 지게차명, 지게차와 연관된 물류창고에 관한 정보, 지게차와 연관된 물품의 보관구역(적재위치) 및 지게차와 연관된 물품의 보관구역까지의 거리 정보 등과 같은 지게차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 태그 RFID 리더(110)는 물품 운송을 위해 지게차에 적재되거나 또는 특정 보관구역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 태그를 검출할 수 있다. 물품 태그 RFID 리더(110)는 물품 일부분에 부착되어 물품 식별에 사용되는 물품 태그를 검출할 수 있고, 물품 태그는 물품명, 물품 입출고일자, 물류창고 및 해당 물류창고에서의 보관구역 등과 같은 물품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물품 태그, 인접 객체 태그 및 지게차 태그 각각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 정보들을 RFID 미들웨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RFID 미들웨어 서버(200)는 물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고,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100)와 연결되어 물류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RFID 미들웨어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100)를 통해 검출된 물품 태그, 인접 객체 태그 및/또는 지게차 태그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들을 기초로 복수의 물품들에 관한 입출고 현황, 작업자에 관한 안전관리 및 지게차에 관한 물류창고의 출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 RFID 미들웨어 서버(200)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RFID 미들웨어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RFID 미들웨어(Middleware) 서버(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물류관리 실행기(212), 경광등 관리 실행기(214), 메모리 관리자(216) 및 메모리 동기 스케줄러(2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류관리 실행기(212)는 물류관리 프로시저(즉, 태그정보 관리, 자동 셔터문의 관리, 물품 입출고 관리 및 물품 현황 관리)를 실행할 수 있고, 경광등 관리 실행기(214)는 인접 객체의 안전관리 프로시저(즉, 지게차로부터 수신된 경광처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 관리자(216)는 물류관리 프로시저의 실행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20)를 관리할 수 있고, 메모리 동기 스케줄러(218)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물품 태그 RFID 리더(100),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 및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 각각에 의해 식별된 태그 정보 및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RFID 미들웨어 서버(20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메모리(220)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만일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면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물품 식별정보와 연관된 물품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인접 객체 식별정보와 연관된 인접 객체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게차 식별정보와 연관된 지게차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인접 객체뿐만 아니라 사용자(예를 들어, 지게차를 운전하는 운전자) 식별정보와 연관된 사용자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접 객체 및/또는 사용자와 연관된 정보는 이름, 태그번호, 아이디, 패스워드 등과 같은 인접 객체 및/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모리(220)는 RFID 미들웨어 서버(200)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 입출력부(230)는 원격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3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즉, 물품, 인접 객체 및 지게차 각각에 관한 정보들)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30)는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은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프로세서의 기능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10)는 태그정보 수신부(310),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 물품 현황 관리부(340), 위험경고 알람 관리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태그정보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100)로부터 태그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그정보 수신부(310)는 물품 태그 RFID 리더(110),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 및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 각각에 의해 검출된 태그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태그정보 수신부(310)는 물품 태그, 인접 객체 태그 및 지게차 태그 각각에 관한 태그 정보 및 물품처리 요청정보, 지게차 출입 요청정보 등과 같은 처리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그정보 수신부(310)는 물품 태그 RFID 리더(110),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 및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를 통해 각각 검출된 물품 태그 정보 및 지게차 태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고, 각각 태그 정보와 연관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태그정보 수신부(310)는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를 통해 검출되는 인접 객체 태그 정보를 일괄적으로 수신하여 인접 객체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게차의 위험영역 내에서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를 통해 인접 객체 태그가 검출된 경우 RFID 미들웨어 서버(200)의 처리과정을 수행하면 인접 객체와 지게차 간의 발생가능한 사고에 대한 대처가 늦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태그정보 수신부(310)는 지게차에서 경광처리를 수행한 후에 일괄적으로 인접 객체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는 지게차에 관한 특정 물류창고 출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물류창고는 지게차가 물품을 입출고 하기 위해 출입하고자 하는 물류창고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는 물류(물품)창고의 출입영역(예를 들어, 출입영역은 자동 셔터문을 기준으로 물류창고 안쪽과 바깥쪽에 형성된다) 내에서 지게차 태그가 검출되면 해당 지게차에 관한 물류창고 출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는 지게차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태그 정보를 기초로 지게차가 출입하고자 하는 물류창고의 출입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게차 태그 정보는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를 통해 수신되는 태그 정보에 해당할 수 있고, 지게차명, 지게차와 연관된 물류창고에 관한 정보, 지게차와 연관된 물품의 보관구역, 지게차와 연관된 물품의 보관구역까지의 거리 정보(예를 들어, 물품 보관구역까지의 남은 거리는 200M) 등과 같은 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는 지게차가 출입하고자 하는 물류창고의 자동 셔터문에 설치된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를 통해 검출된 지게차 태그가 유효한 경우에는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는 물류창고의 출입영역 내에서 지게차 태그가 검출되면 해당 지게차가 물류창고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는 물품 태그 또는 인접 객체 태그가 물류창고의 출입영역 내에서 검출되면 물류창고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는 해당 물류창고의 자동 셔터문이 열리지 않도록 제어 신호를 자동 셔터문의 제어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는 지게차 태그가 검출되지 않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자동 셔터문을 조작하면 자동 셔터문이 열리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지게차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물품창고 내 해당 보관구역으로의 이동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태그정보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태그 정보를 기초로 물품이 입고되는 보관구역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보관구역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를 통해 지게차의 물류창고 출입이 허용되면 물품에 관한 입출고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검출된 물품 태그가 유효한지 또는 유효하지 않은 지를 결정하여 물품에 관한 입출고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물류창고 출입이 허용된 지게차에 물품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있는 경우 해당 물품과 연관된 물품 태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물류창고에 출입이 허용된 지게차에 물품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없는 경우에는 물품 태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물품 태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되면 유효한 물품 태그와 연관되는 물품을 물류창고 내에서 해당 보관구역에 입고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본 발명의 도 1에서 물류창고에 출입이 허용된 지게차에 물품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해당 물품을 보관구역A에 입고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물품 태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해당 물류창고에서 해당 물품을 출고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도 1에서 물류창고에 출입이 허용된 지게차에 물품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없는 것으로 결정되면 해당 지게차 태그와 연관된 해당 보관구역에서 물품을 출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물품 태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되면 메모리(200)에 등록된 물품 입출고 현황에 따라 해당 물품에 관한 입출고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검출된 물품 태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물품을 출고하도록 한정하지 않는다.
물품 현황 관리부(340)는 물류창고에 입출고되는 복수개의 물품들에 관한 물품 입출고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품 현황 관리부(340)는 물류창고에 입출고되는 물품에 관한 태그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태그 정보를 기초로 해당 물류창고의 물품에 관한 입출고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즉, 물품 현황 관리부(340)는 복수개의 물품들이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경우 해당 물품과 연관된 물품의 고유식별정보(예를 들어, 물품의 일련번호), 물품 제조일자, 물품 입고일자, 물품 보관구역 등 물품 입출고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 보관구역에 관한 정보는 물류창고 정보, 물품 보관구역, 물품 세부 보관구역, 출입영역부터 보관구역까지의 거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물류창고A, 보관구역B, B-2, 200M}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위험경고 알람 관리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지게차에 부착된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또는 지게차 운전자)는 지게차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험경고 알람부(미도시)을 통해 RFDI 미들웨어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위험경고 알람 관리부(35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험경고 알람부에 의해 처리된 경광처리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험경고 알람부를 설명한다.
위험경고 알람부는 적어도 하나의 지게차에 부착된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는 지게차의 윗 부분에 부착될 수 있고, 제1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 제2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 제3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 및 제4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내지 제4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들은 특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각각 배치된 방향에 따라 해당 방향에 있는 인접 객체 태그를 검출할 수 있다.
위험경고 알람부는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를 통해 지게차 위험영역 내에서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인접 객체 태그(즉,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 및/또는 안전복 등에 부착된 인접 객체 태그)가 검출되면 1) 경광등 알람 및 2) 지게차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해당 인접 객체에 관한 정보와 충돌 발생가능성에 관한 경고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경광등은 지게차의 일부분에 부착될 수도 있고, 물류창고의 일부분에 부착되어 위험경고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위험경고 알람부는 지게차의 위험영역 내에서 인접 객체 태그가 검출되면 RF 신호 세기를 기초로 해당 인접 객체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인접 객체의 현재 위치 값과 지게차의 위치 값을 비교하여 인접 객체와 지게차 간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험경고 알람부는 판단된 근접 여부에 따라 경광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경고 안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경고 알람부는 지게차의 제1 위험영역 내에서 인접 객체 태그 검출 여부에 따라 인접 객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제1 위험영역 내에 인접 객체가 있으면 지게차에 배치된 특정 센서를 통해 해당 인접 객체가 제2 위험영역에 접근하였는지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센서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지게차의 제2 위험영역은 제1 위험영역보다 지게차와 가까운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10)는 지게차에 부착된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를 통해 지게차의 제1 및 제2 위험영역 내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작업자를 검출함으로써 지게차와 인접 객체(즉, 작업자)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위험경고 알람 관리부(350)는 물류창고에 설치된 자동 셔터문이 열리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지게차 또는 작업자의 이동이 위험경고 알람부를 통해 검출되는 경우에는 해당 자동 셔터문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경고 알람 관리부(350)는 해당 물류창고의 자동 셔터문이 열릴 때 지게차가 특정 속도 이상으로 진입하면 자동 셔터문이 빠르게 열리도록 자동 셔터문의 제어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지게차가 자동 셔터문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험경고 알람 관리부(350)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물류창고의 자동 셔터문이 열리는 속도를 빠르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수학식]
A = (Ts * S) / R
여기에서, A는 지게차의 충돌위험성에 대한 경고 알람 여부(예를 들어, A가 1이상이면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함), Ts는 지게차 태그 RFID 리더를 통해 지게차 태그를 검출하는 주기, S는 지게차 태그 RFID 리더를 통해 연속적으로 지게차 태그가 검출된 횟수에 해당함 및 R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 시간구간(예를 들어, R은 지게차가 물류창고의 출입영역 내에서 계속 머무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시간구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위험경고 알람 관리부(350)는 R이 30초이고 Ts가 1초일 때, S가 20번 검출되면 지게차의 충돌위험성에 대한 경고 알람을 발생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험경고 알람 관리부(350)는 R이 60초이고 Ts가 3초일 때, S가 20번 검출되면 지게차의 충돌위험성에 대한 경고 알람이 발생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RFID 미들웨어 서버(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태그정보 수신부(310),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 물품 현황 관리부(340) 및 위험경고 알람 관리부(350) 간의 제어흐름 및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RFID 미들웨어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 프로시저를 요약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태그정보 수신부(310)는 물품 태그 RFID 리더(110),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 및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10).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는 물류창고의 출입영역 내에서 지게차 태그가 검출되면 해당 지게차에 관한 물류창고 출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20). 보다 구체적으로,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320)는 물류창고 자동 셔터문에 부착된 지게차 태그 RFID 리더(130)를 통해 지게차 태그가 검출되면 자동 셔터문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지게차에 관한 물류창고 출입이 허용되면 물품에 관한 입출고를 관리할 수 있다(단계 S430). 일 실시예에서,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물품 태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되면 유효한 물품 태그와 연관된 물품을 해당 물류창고의 보관구역에 입고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물품 입출고 관리부(330)는 물품 태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해당 지게차 태그와 연관된 보관구역에서 물품을 출고하도록 할 수 있다.
물품 현황 관리부(340)는 물류창고에 입출고되는 물품에 관한 입출고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단계 S440). 보다 구체적으로, 물품 현황 관리부(340)는 물류창고에 입출고되는 복수개의 물품들에 관한 태그 정보들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태그 정보들을 기초로 해당 물류창고의 물품에 관한 입출고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위험경고 알람 관리부(350)는 지게차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험경고 알람부에 의해 처리된 경광처리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객체와 스마트 지게차 간의 안전관리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 사용자(즉, 스마트 지게차를 운전하는 작업자)는 해당 스마트 지게차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을 통해 RFID 미들웨어 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용자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와 연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정보는 태그번호, 사용자 이름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즉, 스마트 지게차를 운전하는 작업자)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고, 로그인을 거쳐 해당 스마트 지게차 작업자로 등록을 RFID 미들웨어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즉, 스마트 지게차를 운전하는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를 연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는 해당 지게차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객체 태그를 검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험경고 알람부는 인접 객체 태그가 검출되면 자동으로 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서 해당 인접 객체 태그와 연관된 정보를 검색하여 검출된 인접 객체 태그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험경고 알람부는 연결된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인접 객체 태그가 검출되면 검출된 인접 객체 태그와 연관된 태그 정보를 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험경고 알람부는 지게차의 위험영역 내에서 인접 객체 태그가 검출되고, 검출된 인접 객체 태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되면 경광등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위험경고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험경고 알람부는 지게차 주변의 위험영역 내에서 인접 객체의 식별에 따른 위험경고 안내를 제공한 후에 경광처리 정보, 인접 객체와 연관된 정보(예를 들어, 검출된 인접 객체의 태그정보) 및 사용자와 연관된 정보(즉, 스마트 지게차를 운전하는 작업자의 정보)를 RFID 미들웨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10)는 인접 객체와 스마트 지게차 간의 충돌위험에 따른 위험경고 안내를 RFID 미들웨어 서버(200)를 통해 처리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10)는 지게차 주변의 사용자에 대한 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게차의 물품 처리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사용자(즉, 스마트 지게차를 운전하는 작업자)는 해당 스마트 지게차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을 통해 RFID 미들웨어 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용자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와 연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정보는 태그번호, 사용자 이름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즉, 스마트 지게차를 운전하는 작업자)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고, 로그인을 거쳐 해당 스마트 지게차 작업자로 등록을 RFID 미들웨어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즉, 스마트 지게차를 운전하는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물품 태그 RFID 리더(110)를 연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물품 태그 RFID 리더(110)는 물품 운송과정에서 지게차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태그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물품작업 관리부는 RFID 미들웨어 서버(200)로부터 물품 입출고 현황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물품 입출고 현황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물품작업을 조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작업 관리부(미도시)는 사용자(즉, 스마트 지게차를 운전하는 작업자)에 의해 물품 입출고 현황에서 특정 물품작업이 선택되면 물품 태그 RFID 리더(110)를 통해 물품 태그를 검출할 수 있다.
물품작업 관리부는 물품 태그가 검출되면 기 수신된 물품 입출고 현황에 관한 정보에서 해당 물품 태그를 검색하여 검출된 물품 태그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품작업 관리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물품작업에 검출된 물품 태그가 유효한지 여부를 파악하여 물품작업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즉, 스마트 지게차를 운전하는 작업자)는 검출된 물품 태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되면 해당 물품 태그와 연관된 물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게차를 운전하여 해당 물품을 물류창고의 보관영역에 입고하거나 출고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출된 물품 태그에 관한 물품작업을 처리한 후에 물품 태그와 연관된 태그 정보, 해당 물품작업 정보(예를 들어, 물품작업 정보는 물품작업 완료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을 RFID 미들웨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RFID 미들웨어 서버(200)는 지게차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물품작업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물품작업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물품 입출고와 물품 입출고 현황을 업데이트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110: 물품 태그 RFID 리더 120: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
130: 지게차 태그 RFID 리더
200: RFID 미들웨어 서버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사용자 입출력부 24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태그정보 수신부 320: 물류창고 출입 결정부
330: 물품 입출고 관리부 340: 물품 현황 관리부
350: 위험경고 알람 관리부 360: 제어부

Claims (5)

  1. 지게차와 연관 배치되어 상기 지게차의 운송과정에서 물품에 있는 물품 태그를 식별하는 물품 태그 RFID 리더;
    상기 지게차와 연관 배치되어 상기 지게차의 이동과정에서 인접 객체 태그를 식별하는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
    물품창고와 연관 배치되고 상기 지게차에 있는 지게차 태그를 식별하는 지게차 태그 RFID 리더; 및
    상기 물품 태그 RFID 리더, 상기 인접 객체 태그 RFID 리더 및 상기 지게차 태그 RFID 리더로부터 태그 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지게차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물품창고의 해당 보관구역으로의 이동 안내 또는 해당 인접 객체의 식별에 따른 경고 안내를 제공하는 RFID 미들웨어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미들웨어 서버는
    상기 물류창고의 출입영역 내에서 상기 지게차 태그가 검출되면 상기 지게차 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게차에 관한 물류창고 출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미들웨어 서버는
    상기 물품 태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유효한 물품 태그와 연관된 물품을 해당 보관구역에 입고하도록 하고, 상기 물품 태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지게차 태그와 연관된 해당 보관구역에서 물품을 출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미들웨어 서버는
    상기 물류창고에서 입출고된 물품에 관한 태그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태그 정보를 기초로 해당 물류창고의 물품 입출고 현황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미들웨어 서버는
    상기 지게차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지게차의 위험영역 내에서 검출된 상기 인접 객체 태그에 관한 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KR1020170068798A 2017-06-02 2017-06-02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KR10193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798A KR101939099B1 (ko) 2017-06-02 2017-06-02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798A KR101939099B1 (ko) 2017-06-02 2017-06-02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223A true KR20180132223A (ko) 2018-12-12
KR101939099B1 KR101939099B1 (ko) 2019-04-11

Family

ID=6467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798A KR101939099B1 (ko) 2017-06-02 2017-06-02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0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9537A1 (en) * 2019-04-22 2020-10-29 A-1 Packaging Solutions, Inc. Rfid-based inventory tracking system
US11023851B2 (en) 2018-03-30 2021-06-01 A-1 Packaging Solutions, Inc. RFID-based inventory tracking system
US11348067B2 (en) 2018-03-30 2022-05-31 A-1 Packaging Solutions, Inc. RFID-based inventory track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581A (ko) * 2004-11-17 2006-05-23 정현철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 로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90112463A (ko) 2008-04-24 2009-10-28 (주)넥스트아이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5515A (ko) 2009-04-20 2010-10-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
KR101255776B1 (ko) * 2011-10-31 2013-04-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KR20140043533A (ko) 2012-09-24 2014-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581A (ko) * 2004-11-17 2006-05-23 정현철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 로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90112463A (ko) 2008-04-24 2009-10-28 (주)넥스트아이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5515A (ko) 2009-04-20 2010-10-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
KR101255776B1 (ko) * 2011-10-31 2013-04-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KR20140043533A (ko) 2012-09-24 2014-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3851B2 (en) 2018-03-30 2021-06-01 A-1 Packaging Solutions, Inc. RFID-based inventory tracking system
US11348067B2 (en) 2018-03-30 2022-05-31 A-1 Packaging Solutions, Inc. RFID-based inventory tracking system
US11823127B2 (en) 2018-03-30 2023-11-21 A-1 Packaging Solutions, Inc. RFID-based inventory tracking system
WO2020219537A1 (en) * 2019-04-22 2020-10-29 A-1 Packaging Solutions, Inc. Rfid-based inventory tracking system
US11443158B2 (en) 2019-04-22 2022-09-13 A-1 Packaging Solutions, Inc. Easily attachable RFID t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099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2409B2 (ja) 高周波識別システム
EP1991850B1 (en) Rfid/biometric area protection
US99146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guidance and collision avoidance
KR101939099B1 (ko)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US9576265B2 (en) Automatic inventory variance identification
US8451121B2 (en) Calibration and operational assur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RFID object monitoring system
KR20190049657A (ko) Cps 기반의 스마트 지게차 관리장치
US20160116587A1 (en) Vehicle and environmental detection system
JPWO2007010795A1 (ja) 作業者安全管理システム
KR101255776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US10157337B1 (en) Pre-notification with RFID dock door portals
CN108140164B (zh) 出入库管理系统、出入库管理方法以及程序
KR101059054B1 (ko) Rfid 기반의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795844A (zh) 利用射频识别的免手持拣货系统和方法
US20230071269A1 (e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op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ach movement position of logistics robot
JP2023544989A (ja) 倉庫システム制御方法、倉庫システム制御装置、安全扉および倉庫システム
CN114586039B (zh) 信息处理设备、读取系统、信息处理方法和存储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JP2004196553A (ja) 物体移動管理方法、庫内物流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ためのプログラム
US20120101714A1 (en) Management of an object
US11052909B1 (en) Object zone identification
KR102359137B1 (ko) 위치 기반의 적재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156937A (ja) 電子タグを利用した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10045665A (ko) Rfid를 이용한 위치 및 이동 경로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9404B1 (ko)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20026A (ko) 물류창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