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463A -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463A
KR20090112463A KR1020080038376A KR20080038376A KR20090112463A KR 20090112463 A KR20090112463 A KR 20090112463A KR 1020080038376 A KR1020080038376 A KR 1020080038376A KR 20080038376 A KR20080038376 A KR 20080038376A KR 20090112463 A KR20090112463 A KR 20090112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ntenna
pallet
axis position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춘
Original Assignee
(주)넥스트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트아이디 filed Critical (주)넥스트아이디
Priority to KR102008003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463A/ko
Publication of KR2009011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7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 G06K7/100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 G06K7/1009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the directional field being used for pinpointing the location of the record carrier, e.g. for finding or locating an RFID tag amongst a plurality of RFID tags, each RFID tag being associated with an object, e.g. for physically locating the RFID tagged object in a ware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e.g. configurations including means to resolv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nten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Abstract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은 물품 정보 태그, 위치 정보 태그, 알에프아이디 인식부, 거리 측정기 및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물품 정보 태그는 팔레트에 설치되며, 팔레트에 적재되는 물품에 대한 물품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위치 정보 태그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보관 셀들을 구비한 물품 보관대의 앞쪽에 설치되며, 보관 셀들의 가로축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알에프아이디 인식부는 지게차에 설치되며, 물품 정보 태그 및 위치 정보 태그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물품 정보 및 가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 거리 측정기는 팔레트가 적치되는 보관 셀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지게차에 설치된다. 중앙 제어부는 알에프아이디 인식부 및 거리 측정기로부터 전송되는 물품 정보, 가로축 위치 정보 및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물류관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물품이 보관되는 위치와 보관되는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물류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80038376
물류관리, 알에프아이디, 거리측정기

Description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WEREHOU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RFID}
본 발명은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실시간적인 물류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창고 등에 입고되는 물품들은 관리자에 의해 물류별, 물품별로 분류되고, 물품 정보, 입고 일자, 보관 위치 등의 필요한 정보를 작성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물류관리는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각 물류의 물품 정보를 작성 및 보관함으로써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물품의 현 위치 등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체크되지 못하여 물품의 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물품 정보에 대한 오기 및 누락 등이 발생하여 물류에 대한 정확한 관리 데이터를 획득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물류 창고에 입고된 물류에 직접 바코드를 부착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는 바코드에 기록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읽어 호스트 컴퓨터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각 물품의 제조일자, 물품의 이력사항 등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에 얻을 수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바코드는 물품에 대한 상세 이력을 저장하지 못하고, 바코드와 바코드 리더기가 일대일로 대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물류 관리에 있어 그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바코드 리더기를 사람이 들고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는 문제점때문에 필요 인력에 대한 관리 및 인건비가 부담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바코드가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사람이 일일이 메뉴얼로 바코드 번호를 쳐넣어야 하므로 작업상의 비효율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하여 물류에 대한 정확하고도 실시간적인 관리가 가능한 물류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류에 대한 정확하고도 실시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은 물품 정보 태그, 위치 정보 태그, 알에프아이디 인식부, 거리 측정기 및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품 정보 태그는 팔레트에 설치되며,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물품에 대한 물품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위치 정보 태그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보관 셀들을 구비한 물품 보관대의 앞쪽에 설치되며, 상기 보관 셀들의 가로축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부는 상기 팔레트를 이동시켜 상기 팔레트에 적재된 물품을 상기 물품 보관대에 적치시키는 지게차에 설치되며, 상기 물품 정보 태그 및 상기 위치 정보 태그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물품 정보 및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거리 측정기는 상기 팔레트가 적치되는 상기 보관 셀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지게차에 설치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부 및 상기 거리 측정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물품 정보, 가로축 위치 정보 및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이용 하여 물류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부는 상기 물품 정보 태그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 상기 위치 정보 태그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물품 정보 및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팔레트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지게차의 포크부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태그는 상기 물품 보관대의 앞쪽 바닥면에 각 보관 셀에 대응되도록 다수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지게차의 바닥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기는 특정 기준점에 대한 팔레트의 거리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팔레트가 적치되는 상기 보관 셀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기는 예를 들어,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방법에 따르면, 우선, 지게차의 포크부를 팔레트에 삽입시키고, 상기 지게차에 설치된 알에프아이디 인식부와 상기 팔레트에 설치된 물품 정보 태그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팔레트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물품 정보를 인식한다. 이후, 상기 지게차를 이동시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보관 셀들을 구비한 물품 보관대의 앞쪽에 위치시키고,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부와 상기 물품 보관대의 앞쪽에 설치된 위치 정보 태 그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보관 셀의 가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 이후, 상기 지게차의 포크부를 이동시켜 상기 팔레트를 적치시키고자 하는 보관 셀에 적치시키고, 상기 지게차에 설치된 거리 측정기를 통해 상기 보관 셀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 이후,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부 및 상기 거리 측정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물품 정보,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 및 상기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 제어부에서 물류관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인 알에프아이디 기술을 이용하여 물품 정보 및 보관 셀의 가로축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거리 측정기를 통해 보관 셀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물품이 보관되는 위치와 보관되는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물품에 대한 보관 현황 및 입출고 현황 등에 대한 종합적인 물류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류관리 시스템 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게차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은, 물품 정보 태그(100), 위치 정보 태그(200),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 거리 측정기(400) 및 중앙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물품 정보 태그(100)는 물품(110)이 적재되는 팔레트(120)에 설치된다. 물품 정보 태그(100)에는 팔레트(120)에 적재된 물품(110)에 대한 제조일자, 물품종류, 물품수량 등의 물품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물품 정보 태그(100)에는 태그에 대한 일련번호 등의 태그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위치 정보 태그(200)는 물품(110)을 보관하기 위한 물품 보관대(210)의 앞쪽에 설치된다. 물품 보관대(210)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보관 셀(212)들을 구비하며, 보관 셀(212)들은 가로축 방향 및 세로축 방향으로 다수가 연이어 위치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위치 정보 태그(200)는 예를 들어, 물품 보관대(210)의 앞쪽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 태그(200)는 물품 보관셀(210)의 가로축 방향을 따라 각 보관 셀(212)에 대응되도록 다수가 설치된다. 한편, 위치 정보 태그(200)는 바닥면 대신 물품 보관대(210)의 앞쪽에서 물품 보관대(21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 정보 태그(200)에는 물품 보관대(210)의 가로축 방향을 따라 보관 셀(212)들이 몇 번째 위치인지를 나타내는 가로축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위치 정보 태그(200)에는 태그에 대한 일련번호 등의 태그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물품 정보 태그(100) 및 위치 정보 태그(200)는 직접적인 전원의 공급 없이 리더기의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형(passive) 태그 또는 전원을 필요로하는 능동형(active) 태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는 팔레트(120)를 이동시켜 팔레트(120)에 적재된 물품(110)을 물품 보관대(210)에 적치시키기 위한 지게차(310)에 설치된다.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는 팔레트(120)에 설치된 물품 정보 태그(10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물품 정보 태그(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물품 정보 및 태그 정보 등을 인식한다. 또한,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는 물품 보관대(210) 앞쪽에 설치된 위치 정보 태그(20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위치 정보 태그(2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 및 태그 정보 등을 인식한다.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는 물품 정보 태그(100) 및 위치 정보 태그(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물품 정보 태그(1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320), 위치 정보 태그(2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330), 및 제1 안테나(320) 및 제2 안테나(330)와 병렬적으로 연결된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320)는 물품 정보 태그(1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팔레트(120) 내부로 삽입되는 지게차(310)의 포크부(312)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320)는 팔레트(120) 내부로 끼워지는 포크부(312)의 아래 부분 또는 측면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팔레트(120) 내부에 설치되는 물품 정보 태그(100)는 포크부(312)가 팔레트(120) 내부로 끼워졌을 때, 제1 안테나(320)와 마주볼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안테나(320)는 팔레 트(120) 내부에 설치되는 물품 정보 태그(10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포크부(312)의 여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팔레트(120)에 적재된 물품(110)을 물품 보관대(210)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지게차(310)의 포크부(312)를 팔레트(120)에 삽입하면, 팔레트(120)에 설치된 물품 정보 태그(100)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로부터 제1 안테나(320)를 통해 송신되는 리더기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물품 정보 태그(100)는 상기 리더기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되어 있는 물품 정보 및 태그 정보에 대한 신호를 제1 안테나(320)로 송신한다. 제1 안테나(320)에 수신된 상기 물품 정보 및 태그 정보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제2 안테나(330)는 위치 정보 태그(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지게차(310)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태그(200)가 물품 보관대(210)의 앞쪽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2 안테나(330)는 지게차(310)가 물품 보관대(210)의 앞쪽에 도달했을 때 위치 정보 태그(200)와 마주볼 수 있도록 지게차(310)의 바닥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 태그(200)가 물품 보관대(210)의 윗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2 안테나(330)는 지게차의 상단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물품(110)이 적재된 팔레트(120)를 물품 보관대(210)에 보관시키기 위하여 지게차(310)가 물품 보관대(210) 앞쪽에 도착하면, 물품 보관대(210) 앞쪽에 설치된 위치 정보 태그(200)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로부터 제2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되는 리더기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위치 정보 태그(200)는 상기 리더기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되어 있는 가로축 위치 정보 및 태그 정보에 대한 신호를 제2 안테나(330)로 송신한다. 제2 안테나(330)에 수신된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 및 태그 정보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는 제1 안테나(320) 및 제2 안테나(33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안테나(320) 및 제2 안테나(330)로부터 각각 수신된 물품 정보 및 가로축 위치 정보 등의 정보들을 저장하고, 적절한 시기에 상기 정보들을 중앙 제어부(500)에 무선 송신한다.
거리 측정기(400)는 물품(110)이 적재된 팔레트(120)가 적치되는 보관 셀(212)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지게차(310)에 설치된다. 거리 측정기(400)는 바닥면 또는 지게차(310)의 어느 특정 부분에서의 특정 기준점에 대하여 팔레트(120)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 변화를 측정하여 팔레트(120)가 적치되는 보관 셀(212)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리 측정기(400)는 지게차(310) 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포크부(312) 또는 포크부(312)를 잡고 있는 포크 지지부(314)에 설치될 수 있다. 거리 측정기(400)는 예를 들어, 정밀한 거리 측정을 위하여 ㎜ 단위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리 측정기(400)는 거리 측정을 통해 파악한 보관 셀(212)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적절한 시기에 상기 세로축 위치 정보를 중앙 제어부(500)에 무선 송신한다.
한편,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와 거리 측정기(400)는 하나의 송신모듈(미 도시)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신모듈을 통해 중앙 제어부(50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500)는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 및 거리 측정기(400)로부터 전송되는 물품 정보, 가로축 위치 정보 및 세로축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물류관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부(500)는 수신된 가로축 위치 정보 및 세로축 위치 정보를 통해 물품(110)이 보관되는 보관 셀(212)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수신된 물품 정보를 통해 보관 셀(212)에 보관되는 물품(110)의 제조일자, 물품종류, 물품수량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500)는 현재 물품 보관대(210)에 보관 중에 물품에 대한 보관 현황이나 물품의 입출고 현황을 보여주는 등의 종합적인 물류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에프아이디 기술과 거리 측정기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물품이 보관되는 위치와 보관되는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물류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보관 셀의 가로축 위치 정보 및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게차(310)의 포크부(312)를 팔레트(120)에 삽입시키고, 지게차(310)에 설치된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와 팔레트(120)에 설치된 물품 정보 태그(100)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팔레트(120)에 적재된 물 품(110)에 대한 물품 정보를 인식한다(S100).
이때, 지게차(310)에 설치되는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는 물품 정보 태그(1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320), 위치 정보 태그(2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330), 및 제1 안테나(320) 및 제2 안테나(330)와 병렬적으로 연결된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를 포함한다. 또한, 팔레트(120)에 설치되는 물품 정보 태그(100)에는 팔레트(120)에 적재된 물품(110)에 대한 제조일자, 물품종류, 물품수량 등의 물품 정보와, 태그에 대한 일련번호 등의 태그 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 중 제1 안테나(320)를 팔레트(120) 내부로 삽입되는 지게차(310)의 포크부(312)에 설치하여 팔레트(120) 내부에 설치된 물품 정보 태그(100)로부터 물품 정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팔레트(120)에 적재된 물품(110)을 물품 보관대(210)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지게차(310)의 포크부(312)를 팔레트(120)에 삽입하면, 팔레트(120)에 설치된 물품 정보 태그(100)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로부터 제1 안테나(320)를 통해 송신되는 리더기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물품 정보 태그(100)는 상기 리더기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되어 있는 물품 정보 및 태그 정보에 대한 신호를 제1 안테나(320)로 송신하며, 제1 안테나(320)에 수신된 신호는 유선을 통해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에 전달된다.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는 제1 안테나(320)로부터 수신된 물품 정보를 저장하고, 적절한 시기에 상기 물품 정보를 중앙 제어부(500)에 무선 송신한다.
물품 정보에 대한 인식이 완료되면, 지게차(310)를 이동시켜 물품(110)을 보 관하기 위한 다수의 보관 셀(212)들을 구비한 물품 보관대(210)의 앞쪽에 위치시키고,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와 물품 보관대(210)의 앞쪽에 설치된 위치 정보 태그(200)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물품(110)이 보관될 보관 셀(212)의 가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S110).
위치 정보 태그(200)는 예를 들어, 물품 보관대(210)의 앞쪽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물품 보관셀(210)의 가로축 방향을 따라 각 보관 셀(212)에 대응되도록 다수가 설치된다. 위치 정보 태그(200)에는 물품 보관대(210)의 가로축 방향을 따라 보관 셀(212)들이 몇 번째 위치인지를 나타내는 가로축 위치 정보와, 태그에 대한 일련번호 등의 태그 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또한,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 중 제2 안테나(330)는 위치 정보 태그(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지게차(310)의 바닥부 등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안테나(330)를 지게차(310)의 바닥부에 설치하여 물품 보관대(210)의 앞쪽 바닥면에 각 보관 셀(212)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위치 정보 태그(200)로부터 보관 셀(212)의 가로축 위치 정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품(110)이 적재된 팔레트(120)를 물품 보관대(210)에 보관시키기 위하여 지게차(310)가 물품 보관대(210) 앞쪽에 도착하면, 물품 보관대(210) 앞쪽에 설치된 위치 정보 태그(200)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로부터 제2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되는 리더기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위치 정보 태그(200)는 상기 리더기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되어 있는 가로축 위치 정보 및 태그 정보에 대한 신호를 제2 안테나(330)로 송신하며, 제2 안테나(330)에 수신된 신호는 유선을 통해 알에프 아이디 리더기(340)에 전달된다.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는 제2 안테나(330)로부터 수신된 가로축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적절한 시기에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를 중앙 제어부(500)에 무선 송신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이 비어 있는 [2.3]의 보관 셀(212)에 물품(110)을 보관하기 위하여, 지게차(310)가 물품 보관대(210)의 가로축 방향으로 두 번째 위치에 도착하면,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는 제2 안테나(330)를 통한 위치 정보 태그(200a)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현재 위치가 가로축 방향으로 두 번째라는 가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중앙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가로축 위치 정보에 대한 인식이 완료되면, 지게차(310)의 포크부(312)를 이동시켜 팔레트(120)를 적치시키고자 하는 보관 셀(212)에 적치시키고, 지게차(310)에 설치된 거리 측정기(400)를 통해 보관 셀(212)의 가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S120).
거리 측정기(400)는 바닥면 또는 지게차(310)의 어느 특정 부분에서의 특정 기준점에 대하여 팔레트(120)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 변화를 측정하여 팔레트(120)가 적치되는 보관 셀(212)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리 측정기(400)는 지게차(310) 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포크부(312) 또는 포크부(312)를 잡고 있는 포크 지지부(314)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거리 측정기(400)는 정밀한 거리 측정을 위하여 ㎜ 단위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 측정기(400)는 거리 측정을 통해 파악한 보관 셀(212)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적절한 시기에 상기 세로축 위치 정보를 중앙 제어부(500)에 무선 송신한다. 한편, 알에프아이디 리더기(340)와 거리 측정기(400)는 하나의 송신모듈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신모듈을 통해 중앙 제어부(50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이 비어 있는 [2.3]의 보관 셀(212)에 물품(110)을 보관하기 위하여, 지게차(310)의 포크부(312)를 이동시켜 물품 보관대(210)의 세로축 방향으로 세 번째 위치에 도착하면, 거리 측정기(400)는 특정 기준점에 대한 포크부(312)의 거리 변화를 측정하여 현재 위치가 세로축 방향으로 세 번째라는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중앙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세로축 위치 정보에 대한 인식이 완료되면, 중앙 제어부(500)는 알에프아이디 인식부(300) 및 거리 측정기(400)로부터 전송되는 물품 정보, 가로축 위치 정보 및 세로축 위치 정보 등의 수신 정보들을 이용하여 전반적이 물류관리를 수행한다(S130). 예를 들어, 중앙 제어부(500)는 수신된 가로축 위치 정보 및 세로축 위치 정보를 통해 물품(110)이 보관되는 보관 셀(212)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수신된 물품 정보를 통해 보관 셀(212)에 보관되는 물품(110)의 제조일자, 물품종류, 물품수량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500)는 현재 물품 보관대(210)에 보관 중에 물품에 대한 보관 현황이나 물품의 입출고 현황을 보여주는 등의 종합적인 물류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인 알에프아이디 기술을 이용하여 물품 정보 및 보관 셀의 가로축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거리 측정기를 통해 보관 셀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물품이 보관되는 위치와 보관되는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물품에 대한 보관 현황 및 입출고 현황 등에 대한 종합적인 물류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류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게차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보관 셀의 가로축 위치 정보 및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물품 정보 태그 120 : 팔레트
200 : 위치 정보 태그 210 : 물품 보관대
212 : 보관 셀 300 : 알에프아이디 인식부
310 : 지게차 320 : 제1 안테나
330 : 제2 안테나 340 : 알에프아이디 리더기
400 : 거리 측정기 500 : 중앙 제어부

Claims (12)

  1. 팔레트에 설치되며,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물품에 대한 물품 정보가 저장된 물품 정보 태그;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보관 셀들을 구비한 물품 보관대의 앞쪽에 설치되며, 상기 보관 셀들의 가로축 위치 정보가 저장된 위치 정보 태그;
    상기 팔레트를 이동시켜 상기 팔레트에 적재된 물품을 상기 물품 보관대에 적치시키는 지게차에 설치되며, 상기 물품 정보 태그 및 상기 위치 정보 태그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물품 정보 및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알에프아이디(RFID) 인식부;
    상기 팔레트가 적치되는 상기 보관 셀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지게차에 설치되는 거리 측정기; 및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부 및 상기 거리 측정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물품 정보, 가로축 위치 정보 및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물류관리를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부는
    상기 물품 정보 태그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
    상기 위치 정보 태그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물품 정보 및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팔레트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지게차의 포크부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태그는 상기 물품 보관대의 앞쪽 바닥면에 각 보관 셀에 대응되도록 다수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지게차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기는 특정 기준점에 대한 팔레트의 거리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팔레트가 적치되는 상기 보관 셀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기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7. 지게차의 포크부를 팔레트에 삽입시키고, 상기 지게차에 설치된 알에프아이디 인식부와 상기 팔레트에 설치된 물품 정보 태그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팔레트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물품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지게차를 이동시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보관 셀들을 구비한 물품 보관대의 앞쪽에 위치시키고,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부와 상기 물품 보관대의 앞쪽에 설치된 위치 정보 태그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보관 셀의 가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지게차의 포크부를 이동시켜 상기 팔레트를 적치시키고자 하는 보관 셀에 적치시키고, 상기 지게차에 설치된 거리 측정기를 통해 상기 보관 셀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부 및 상기 거리 측정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물품 정보,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 및 상기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 제어부에서 물류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부는
    상기 물품 정보 태그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
    상기 위치 정보 태그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물품 정보 및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안테나를 상기 팔레트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지게차의 포크부에 설치하여, 상기 팔레트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물품 정보 태그로부터 상기 물품 정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안테나를 상기 지게차의 바닥부에 설치하여, 상기 물품 보관대의 앞쪽 바닥면에 각 보관 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상기 위치 정보 태그로부터 상기 가로축 위치 정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거리 측정기가 특정 기준점에 대한 상기 팔레트의 거리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팔레트가 적치되는 상기 보관 셀의 세로축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기로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방법.
KR1020080038376A 2008-04-24 2008-04-24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2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376A KR20090112463A (ko) 2008-04-24 2008-04-24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376A KR20090112463A (ko) 2008-04-24 2008-04-24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463A true KR20090112463A (ko) 2009-10-28

Family

ID=4155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376A KR20090112463A (ko) 2008-04-24 2008-04-24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463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438B1 (ko) * 2010-03-08 2011-05-30 (주)와이티에스 수평박스의 데이터 매칭장치
KR101064730B1 (ko) * 2009-12-08 2011-09-14 (주)넥스데이타 지게차를 이용한 재고 관리 시스템
CN102609826A (zh) * 2012-01-10 2012-07-25 武汉家事易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物流配送系统及方法
CN106815540A (zh) * 2017-01-19 2017-06-09 厦门芯曙光科技有限公司 基于多模通信的rfid定位系统
KR20180132223A (ko)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KR20190049657A (ko) 2019-04-18 2019-05-09 주식회사 포에스텍 Cps 기반의 스마트 지게차 관리장치
KR102044733B1 (ko) 2019-07-29 2019-11-14 최준호 Wms erp를 적용한 스마트 물류관리시스템
CN110458256A (zh) * 2019-07-10 2019-11-15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rfid的货物管理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12950115A (zh) * 2021-03-02 2021-06-11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物品存储信息确定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KR102427001B1 (ko) * 2021-09-27 2022-07-29 (주)로지비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물류창고에 적치되는 아이템의 출고 시기를 예측하고 아이템의 적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730B1 (ko) * 2009-12-08 2011-09-14 (주)넥스데이타 지게차를 이용한 재고 관리 시스템
KR101037438B1 (ko) * 2010-03-08 2011-05-30 (주)와이티에스 수평박스의 데이터 매칭장치
CN102609826A (zh) * 2012-01-10 2012-07-25 武汉家事易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物流配送系统及方法
CN106815540A (zh) * 2017-01-19 2017-06-09 厦门芯曙光科技有限公司 基于多模通信的rfid定位系统
KR20180132223A (ko)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KR20190049657A (ko) 2019-04-18 2019-05-09 주식회사 포에스텍 Cps 기반의 스마트 지게차 관리장치
US11623825B2 (en) 2019-04-18 2023-04-11 4Stec Inc. CPS-based smart forklift truck management device
CN110458256A (zh) * 2019-07-10 2019-11-15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rfid的货物管理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10458256B (zh) * 2019-07-10 2022-11-11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rfid的货物管理方法、电子设备及系统
KR102044733B1 (ko) 2019-07-29 2019-11-14 최준호 Wms erp를 적용한 스마트 물류관리시스템
CN112950115A (zh) * 2021-03-02 2021-06-11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物品存储信息确定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KR102427001B1 (ko) * 2021-09-27 2022-07-29 (주)로지비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물류창고에 적치되는 아이템의 출고 시기를 예측하고 아이템의 적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2463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05230118U (zh) 一种基于多机器人的智能仓库管理系统
US10358290B2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20060224459A1 (en) Incoming/outgoing goods management system and incoming/outgoing goods management method
CN106971284B (zh) 基于css微基站和rfid的仓储货物管理装置及方法
EP3234882A1 (en) Cross-dock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202838373U (zh) 一种仓储rfid作业装置
JP2007153577A (ja) 仕分システム
CN107967585A (zh) 一种基于智慧托盘的货物出入库流程监控方法
JP5584565B2 (ja) 自動読取装置及びフォークリフトを用いた自動読取システム
CN102314165A (zh) 工业生产线中基于plm的rfid控制系统及方法
KR20110098393A (ko) Rfid를 이용한 창고의 재고물품파악시스템
JP6641245B2 (ja) 荷物管理システム
KR100911343B1 (ko) 지능형 팔레트 시스템용 지능형 무버
CN107967584B (zh) 一种基于智慧托盘的货物运输流程监控方法
KR20060055581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 로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CN210573908U (zh) 用于物流仓储的电子标签
KR101114838B1 (ko) 실시간 스마트 선반 시스템
CN114372654A (zh) 一种基于rfid的智能仓储物资检测系统及方法
JP2008285250A (ja) Idタグを用いた荷物管理システム
CN111652548A (zh) 一种基于rfid和机读码相结合的资产管理及仓储盘点方法
KR101516066B1 (ko)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CN201765492U (zh) 工业生产线中基于plm的rfid控制系统
KR101160002B1 (ko) Rfid를 이용한 후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H1135038A (ja) パレットのバーコードを用いた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