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533A -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533A
KR20140043533A KR1020120105578A KR20120105578A KR20140043533A KR 20140043533 A KR20140043533 A KR 20140043533A KR 1020120105578 A KR1020120105578 A KR 1020120105578A KR 20120105578 A KR20120105578 A KR 20120105578A KR 20140043533 A KR20140043533 A KR 20140043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distance
worker
alarm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3533A/ko
Publication of KR2014004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Abstrac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작업장의 중장비(예를 들어, 지게차) 주변의 위험영역을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한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장치는 작업자를 검출하기 위한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를 통해 작업자가 검출되면 위험에 대한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작업자가 위험 영역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중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장비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safety supervision using RFI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RFID기술을 이용하여 작업장의 중장비(예를 들어, 지게차) 주변의 위험영역을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한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 이동 및 작업시 운전자의 목측과 위험 영역 주변에 배치된 안전 요원에 의하여 주위의 인원 현황을 파악하게 된다. 이 경우 운전자의 시야 제한으로 인한 사각지대 또는 안전 요원의 미배치로 인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74576호(2010.07.02. 공개)(발명의 명칭: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 경보 장치)(이하, "종래기술 1"이라 약칭함) 및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89142호(2009.08.21. 공개)(발명의 명칭: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이하, "종래기술 2"라 약칭함)에 개시된다.
개시된 종래기술 1은 건설 현장에서 위험 영역에 작업자가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를 통하여 음성이나 진동 등으로 위험 영역에 대한 경보를 알려주게 된다.
이를 위해 위험 영역 내에서 작업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예를 들어, RFID, 지그비)가 구비되고, 작업자는 별도의 단말기를 소지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작업자가 위험 영역에 접근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시된 종래기술 2는 건설현장의 작업자가 설정된 위험지역에 접근했을 때 관리자에게 통보함과 동시에 다양한 알람 수단으로 작업자에게도 이를 알려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진동센서, 수동비상 호출버튼 등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관리자에게 알려 안전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74576호(2010.07.02. 공개)(발명의 명칭: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 경보 장치)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89142호(2009.08.21. 공개)(발명의 명칭: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작업자가 위험 영역에 진입할 경우 작업자가 휴대한 단말기를 통해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줌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작업자가 단말기를 휴대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들은 위험 영역이 중장비 이동 또는 작업하는 영역일 경우, 중장비 운전자에게는 위험 영역에 작업자가 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들은 중장비가 작업 또는 이동하는 위험 영역에 작업자가 진입할 경우 자동으로 중장비를 제어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RFID기술을 이용하여 작업장의 중장비(예를 들어, 지게차) 주변의 위험영역을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한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중장비 주변의 위험 영역에 작업자가 존재할 경우 알람을 발생하여 작업자 및 중장비 운전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한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중장비 주변의 아주 위험 영역으로 작업자가 진입할 경우 자동으로 중장비의 동작을 정지시켜 안전 사고를 미리 방지하기 위한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는,
작업자를 검출하기 위한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를 통해 작업자가 검출되면 위험에 대한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작업자가 위험 영역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중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장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RFID 태그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모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RFID 태그는 상기 작업자가 휴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장비 제어 장치는,
상기 RFID 태그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ID 수신기와;
상기 RFID 수신기에서 RFID 신호를 수신하면 위험 영역에 대한 경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로부터 발생하는 경보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송출하여 위험을 알려주는 알람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장비 제어 장치는,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거리 감지기로부터 검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 이내일 경우 장비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장비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기에서 발생하는 장비 제어 신호에 따라 연료 주입 차단부를 제어하여 연료 주입 차단을 통해 엔진 구동을 정지시키는 엔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은,
(a) 작업자가 소지한 RFID 태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RFID 태그가 감지되면 위험에 대한 알람을 발생을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알람을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와;
(d) 감지한 작업자의 거리가 장비 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거리 이내일 경우, 엔진 구동부를 통해 엔진 구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상기 엔진 구동부에서 연료 주입 차단 밸브를 동작시켜 엔진에 주입되는 연료를 차단하여 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ID기술을 이용하여 작업장의 중장비(예를 들어, 지게차) 주변의 위험영역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장비 주변의 위험 영역에 작업자가 존재할 경우 알람을 발생하여 작업자 및 중장비 운전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장비 주변의 아주 위험 영역으로 작업자가 진입할 경우 자동으로 중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안전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RFID를 이용하여 안전관리를 구현하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예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의 구성도로서, 안전모(10), RFID 태그(11), 장비 제어 장치(100), RFID 수신기(110), 거리 감지기(120), 제어기(130), 알람 발생기(140), 스피커(150), 엔진 구동부(160), 연료주입 차단부(170)로 구성된다.
RFID 태그(11)는 무선으로 작업자를 검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작업모(10)에 장착되거나 작업자가 휴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비 제어 장치(100)는 상기 RFID 태그(11)를 통해 작업자가 검출되면 위험에 대한 경고를 발생하고, 상기 작업자가 위험 영역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중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중장비에 장착된다. 여기서 중장비는 지게차, 건설 장비 등을 포함한다.
RFID 수신기(110)는 상기 RFID 태그(11)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제어기(130)는 상기 RFID 수신기(110)에서 RFID 신호를 수신하면 위험 영역에 대한 경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알람 발생기(140)는 상기 제어기(130)로부터 발생하는 경보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송출하여 위험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거리 감지기(120)는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거리 감지기(120)는 초음파 센서, 인체감지센서 등 거리 감지가 가능한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다.
엔진 구동부(160)는 상기 제어기(130)에서 발생하는 장비 제어 신호에 따라 연료 주입 차단부(170)를 제어하여 연료 주입 차단을 통해 엔진 구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RFID 기술을 이용한다.
여기서 RFID 기술은 IC칩과 무선을 통해 식품, 동물, 사물 등 다양한 개체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인식기술이다. RFID는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의 정보를 초소형칩(IC칩)에 내장시켜 이를 무선주파수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전자태그' 혹은 '스마트 태그','전자 라벨','무선식별' 등으로 불린다. RFID는 지금까지 유통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물품관리를 위해 사용된 바코드를 대체할 차세대 인식기술로 꼽힌다. RFID는 판독 및 해독 기능을 하는 판독기(reader)와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tag)로 구성되는 데, 제품에 붙이는 태그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판독기로 하여금 안테나를 통해서 이 정보를 읽도록 한다. 또 인공위성이나 이동통신망과 연계하여 정보시스템과 통합하여 사용된다. 기존의 바코드는 저장용량이 작고, 실시간 정보 파악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근접한 상태(수 cm이내)에서만 정보를 읽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지만, RFID는 완제품 상태로 공장 문 밖을 나가 슈퍼마켓 진열장에 전시되는 전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소비자가 이 태그를 부착한 물건을 고르면 대금이 자동 결제되는 것은 물론 재고 및 소비자 취향 관리까지 포괄적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RFID 기술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RFID 태그를 작업자에게 부착시키고, 판독기는 중장비에 설치하여, 중장비 이동 및 작업시 위험 영역에 작업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작업자가 위험 영역에 존재하면 경보를 발생하여 주위를 환기시키고, 경보를 발생하는 도중에도 작업자가 중장비에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자동으로 중장비의 동작을 정지시켜, 안전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를 검출하기 위한 RFID 태그(11)를 작업자가 안전모(10)에 부착하거나 휴대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장비가 작업을 하거나 이동을 할 때 중장비의 위험 영역(무선 신호가 상호 송수신 가능한 영역) 내로 작업자가 진입하게 되면 리더기인 RFID 수신기(110)에서 이를 수신하여 제어기(130)에 전달한다.
여기서 RFID 수신기(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장비를 중심으로 전방향(360°)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RFID 태그를 장착한 작업자가 중장비의 어느 방향으로 접근하여도 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RFID 수신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하나의 RFID 수신기만을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실시 예에 불과하고 필요에 따라 복수의 RFID 수신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기(130)는 RFID수신기(110)로부터 수신 신호가 전달되면 위험 영역 내에 작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을 하고, 거리 감지기(120)를 통해 작업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동시에 알람 발생기(140)에 경보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알람 발생기(140)는 경보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경보 알람을 발생하여, 스피커(150)를 통해 송출하게 된다.
이렇게 스피커(150)를 통해 알람이 발생하면, 작업자는 알람을 듣고 주위를 살피게 되며, 또한 중장비 운전자 역시 알람이 발생하면 주위를 살펴,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거리 감지기(120)는 작업자가 검출되는 순간부터 작업자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기(130)에 전달한다. 여기서 거리 감지기(120)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작업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리 감지기 또한 중장비의 전 방향에 대해서 작업자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기(130)는 RFID 수신기에서 RFID 태그가 검출되면 해당 방향에 설치된 거리 감지기만을 구동시켜 작업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검출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초음파 비행시간(TOF)을 기반으로 작업자와의 거리를 환산하게 된다. 초음파 비행시간에 따른 거리 환산은 일반적으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거리를 감지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기(130)는 거리 감지기(120)에 의해 작업자와의 거리가 검출되면, 검출되는 거리와 위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를 비교하여, 검출 거리가 설정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을 경우(검출 거리 ≤ 설정 거리)에는 위험 상황으로 판단을 하고, 중장비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해 엔진 구동부(160)에 장비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엔진 구동부(160)는 장비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즉시 연료 주입 차단부(170)의 엔진 연료 주입 차단 밸브를 동작시켜 연료가 엔진으로 주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이로써 장비의 엔진이 정지되어 장비가 자동으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중장비에서 RFID 태그가 검출되면 경보 알람을 발생하고, 경보 알람을 발생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자동으로 중장비를 정지시켜, 안전 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 예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은, (a) 작업자가 소지한 RFID 태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1)와; (b) 상기 RFID 태그가 감지되면 위험에 대한 알람을 발생을 제어하는 단계(S102)와; (c) 상기 알람을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S103)와; (d) 감지한 작업자의 거리가 장비 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거리 이내일 경우, 엔진 구동부를 통해 엔진 구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S104 ~ S10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은, 작업자를 검출하기 위한 RFID 태그(11)를 작업자가 안전모(10)에 부착하거나 휴대한 상태에서, 단계 S101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장비가 작업을 하거나 이동을 할 때 중장비의 위험 영역(무선 신호가 상호 송수신 가능한 영역) 내로 작업자가 진입하게 되면 리더기인 RFID 수신기(110)에서 이를 수신하여 제어기(130)에 전달한다.
여기서 RFID 수신기(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장비를 중심으로 전방향(360°)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RFID 태그를 장착한 작업자가 중장비의 어느 방향으로 접근하여도 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RFID 수신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02에서 제어기(130)는 RFID수신기(110)로부터 수신 신호가 전달되면 위험 영역 내에 작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을 하고, 거리 감지기(120)를 통해 작업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동시에 알람 발생기(140)에 경보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알람 발생기(140)는 경보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경보 알람을 발생하여, 스피커(150)를 통해 송출하게 된다.
이렇게 스피커(150)를 통해 알람이 발생하면, 작업자는 알람을 듣고 주위를 살피게 되며, 또한 중장비 운전자 역시 알람이 발생하면 주위를 살펴,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단계 S103에서 거리 감지기(120)는 작업자가 검출되는 순간부터 작업자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기(130)에 전달한다. 여기서 거리 감지기(120)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작업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리 감지기 또한 중장비의 전 방향에 대해서 작업자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기(130)는 RFID 수신기에서 RFID 태그가 검출되면 해당 방향에 설치된 거리 감지기만을 구동시켜 작업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04에서 제어기(130)는 거리 감지기(120)에 의해 작업자와의 거리가 검출되면, 검출되는 거리와 위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를 비교하여, 검출 거리가 설정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을 경우(검출 거리 ≤ 설정 거리)에는 위험 상황으로 판단을 하고, 중장비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해 엔진 구동부(160)에 장비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단계 S105 및 단계 S106에서 엔진 구동부(160)는 장비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즉시 연료 주입 차단부(170)의 엔진 연료 주입 차단 밸브를 동작시켜 연료가 엔진으로 주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이로써 장비의 엔진이 정지되어 장비가 자동으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중장비에서 RFID 태그가 검출되면 경보 알람을 발생하고, 경보 알람을 발생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자동으로 중장비를 정지시켜, 안전 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안전모
11… RFID 태그
100… 장비 제어 장치
110… RFID 수신기
120… 거리 감지기
130… 제어기
140… 알람 발생기
150… 스피커
160… 엔진 구동부
170… 연료 주입 차단부

Claims (8)

  1. 작업자를 검출하기 위한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를 통해 작업자가 검출되면 위험에 대한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작업자가 위험 영역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중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장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모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작업자가 휴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비 제어 장치는,
    상기 RFID 태그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ID 수신기와;
    상기 RFID 수신기에서 RFID 신호를 수신하면 위험 영역에 대한 경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로부터 발생하는 경보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송출하여 위험을 알려주는 알람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비 제어 장치는,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거리 감지기로부터 검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 이내일 경우 장비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비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기에서 발생하는 장비 제어 신호에 따라 연료 주입 차단부를 제어하여 연료 주입 차단을 통해 엔진 구동을 정지시키는 엔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7. (a) 작업자가 소지한 RFID 태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RFID 태그가 감지되면 위험에 대한 알람을 발생을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알람을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와;
    (d) 감지한 작업자의 거리가 장비 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거리 이내일 경우, 엔진 구동부를 통해 엔진 구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엔진 구동부에서 연료 주입 차단 밸브를 동작시켜 엔진에 주입되는 연료를 차단하여 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방법.

KR1020120105578A 2012-09-24 2012-09-24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43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578A KR20140043533A (ko) 2012-09-24 2012-09-24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578A KR20140043533A (ko) 2012-09-24 2012-09-24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533A true KR20140043533A (ko) 2014-04-10

Family

ID=5065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578A KR20140043533A (ko) 2012-09-24 2012-09-24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353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0070A (zh) * 2015-03-09 2015-07-01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一种安全作业管理系统
CN108881248A (zh) * 2018-06-28 2018-11-23 重庆大学 一种基于IPv6信息交互装置的总装车间装配过程信息感知方法
KR20180132223A (ko)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KR20190029103A (ko) * 2017-09-11 2019-03-20 박현호 안전모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로서, 안전모에 부착하여 인원관리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
JP2019526134A (ja) * 2016-06-13 2019-09-12 インフォトロニック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位置に基づく品質保証システム
CN111882794A (zh) * 2020-06-28 2020-11-03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用于变电站的预警系统及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0070A (zh) * 2015-03-09 2015-07-01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一种安全作业管理系统
JP2019526134A (ja) * 2016-06-13 2019-09-12 インフォトロニック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位置に基づく品質保証システム
KR20180132223A (ko)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KR20190029103A (ko) * 2017-09-11 2019-03-20 박현호 안전모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로서, 안전모에 부착하여 인원관리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
CN108881248A (zh) * 2018-06-28 2018-11-23 重庆大学 一种基于IPv6信息交互装置的总装车间装配过程信息感知方法
CN111882794A (zh) * 2020-06-28 2020-11-03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用于变电站的预警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3533A (ko)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U2017206204B2 (en) Proximity detection system with concurrent RF and magnetic fields
EP3556692B1 (en) Pedestrian-vehicle safety systems and methods for loading docks
CN108572645B (zh) 无人驾驶运输系统
EP3186985B1 (en) A computerised tracking and proximit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personnel, plant and equipment operating both above and below the ground or their movement therebetween
EP2897113B1 (en) Interactive magnetic marker field for safety systems and complex proximity warning system
US10864637B2 (en) Protective-field adjustment of a manipulator system
CN109114411B (zh) 用于预防安全事故的出入感测系统
KR101721546B1 (ko) Rtls를 이용한 산업 안전관리 시스템
EP2854073B1 (en) Restraining system including near field rfid detection
KR102072380B1 (ko) Uwb 초광대역통신기반의 접근경보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중장비 안전 원격관제시스템
US20130057391A1 (en) Integrated modular active safety system based on active dual-frequency rfid devices
KR20170055370A (ko) 이격 거리별 능동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하는 중장비 안전 경보 시스템
CN102099839A (zh) 对监控区域进行监控的安全装置和方法
CA2549870A1 (en) Collision avoidance and rfid system
JP7361441B2 (ja) 作業車両の安全システム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系统
KR20070108645A (ko)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 및방법
KR100989671B1 (ko) Rfid 기반 위치추적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철도사고방지 방법
CN205943002U (zh) 一种作业场所的rfid定位预警系统
US89472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tricted areas below bucket trucks, lineworkers on power distribution poles or other elevated loads
CN101886469B (zh) 一种建筑工地危险点监控系统
KR102010886B1 (ko)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가스용기 출납 모니터링시스템
TWI547910B (zh) 監控警示方法
CN217917861U (zh) 一种无线测距防撞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