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515A -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515A
KR20100115515A KR1020090034133A KR20090034133A KR20100115515A KR 20100115515 A KR20100115515 A KR 20100115515A KR 1020090034133 A KR1020090034133 A KR 1020090034133A KR 20090034133 A KR20090034133 A KR 20090034133A KR 20100115515 A KR20100115515 A KR 20100115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electronic tag
information
rfid electronic
ware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우
김기홍
엄지인
홍봉희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515A/ko
Priority to PCT/KR2010/000558 priority patent/WO2010123193A1/ko
Publication of KR2010011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고 천장에 RFID 전자태그를 부착한 방식으로 창고 화물의 위치를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고 천장에 부착되어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RFID 전자태그와, 화물과 인접한 위치에 부착되어 화물정보를 송신하는 제 2 RFID 전자태그와, 화물을 쌓거나 싣고 나르는 지게차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RFID 전자태그에서 송신되는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에서 송신되는 화물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RFID 리더와, 화물 입출고 시에 지게차로 화물을 이동하고 적재할 때 RFID 리더가 인식하는 천장 특정부분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보 및 제 2 RFID 전자태그의 화물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화물 입출고 작업을 관리하는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를 포함하는데 있다.
RFID, RTLS, 화물위치인식, 천장태그

Description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gnition a cargo location with RFID electronic-tag attached to ceiling}
본 발명은 천장에 부착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RFID 전자태그를 창고 천장에 부착하고 지게차에 리더를 설치하여 지게차가 이동 시 천장 특정 부분의 태그와 화물의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화물의 적재위치를 알아내는 천장에 부착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항공, 차량 등을 이용한 대소화물의 물류산업은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소화물 등의 택배 등을 이용한 서비스업이 물류의 새로운 업종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물류의 양은 끊임없이 증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물류산업은 단순한 양적 증대뿐만 아니라, 고객 서비스 차원의 질적 증대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반으로는 부족한 면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다량의 적재화물이 혼적되어 운송되는 경우 물품이 잘못 분류되거나, 적재될 컨테이너가 혼동되는 경우 또는 컨테이너 내 에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오판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문서의 기록에 있어 활자매체에 의한 기록방법에만 의존하는 경우 화물에 대한 중량이나 부피 등의 정보가 부정확하고 실제 화물의 적재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흔히 일어나며 이런 경우 하역시 화물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화물주문업체에서 분실, 화물의 수량부족과 잘못 인도되는 등을 이유로 인수거부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처럼 적재나 유통과정에서의 적재위치가 불명확하고 또한 이에 대한 책임주체가 불명확하여 잘못 전달되거나 분실되는 경우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져 양질의 물류서비스뿐만 아니라 소비자 보호에 만전을 기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물류산업에서의 적재에 관한 제반의 문제는 적재적소의 인도가 되지 않음에 따른 신용도의 하락 및 시간, 인력 낭비를 가져와 경제적으로 피해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물류, 유통 등의 분야에서 물품을 식별하는데 사용하고 있고, 또한 RTLS(Real Time Locating System)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참고로, 상기 RTLS 기술은 실내 또는 실외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RFID 기술 및 무선 랜 기술을 활용하여 이동객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RTLS 시스템은 시설 구축시 고비용 투자가 필요하며, 물품의 움직임에 의하여 생기는 위치 오차가 민감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RFID를 사용하여 위치를 식별하는 기술은 창고 바닥에 전자태그를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창고 바닥에 전자태그를 시공하기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바닥에 사용하는 전자태그의 경우 천장에 사용하는 전자태그에 비해 개당 3만원의 고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전자태그의 고장과 같은 문제가 발생시 바닥에 고정시킨 전자태그를 꺼내고 다시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바닥 시공에 따른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창고 천장에 RFID 전자태그를 부착한 방식으로 창고 화물의 위치를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가의 RTLS 기술을 대신할 수 있고, 기존의 창고바닥에 전자태그를 설치하는 방식에 비해 바닥 시공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저비용으로 화물의 위치를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의 특징은 창고 천장에 부착되어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RFID 전자태그와, 화물과 인접한 위치에 부착되어 화물정보를 송신하는 제 2 RFID 전자태그와, 화물을 쌓거나 싣고 나르는 지게차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RFID 전자태그에서 송신되는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에서 송신되는 화물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RFID 리더와, 화물 입출고 시에 지게차로 화물을 이동하고 적재할 때 RFID 리더가 인식하는 천장 특정부분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보 및 제 2 RFID 전자태그의 화물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화물 입출고 작업을 관리하는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를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는 지게차에 설치된 RFID 리더를 통해 수신되는 창고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와,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필터링하는 RFID 미들웨어와, 상기 RFID 미들웨어에서 수집되는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물 및 지게차의 위치를 확인하고,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물정보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창고관리, 물품관리, 거래처 관리, 리더 관리를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하는 창고 관리부와, 상기 화물 및 지게차 위치정보, 그리고 화물정보들(이하 ‘창고정보’라 칭함)을 저장하는 창고정보 DB와, 상기 창고 관리부에서 제공되는 API를 이용하여 상기 창고정보 DB에 저장된 화물의 적재위치 및 지게차의 위치정보를 지게차의 운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소형 단말기로 전송하여 화물 적재 작업 처리를 위한 화물 적재위치 및 지게차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지게차 단말기 응용과, 창고 관리부에서 제공되는 API를 이용하여 상기 창고정보 DB에 저장된 모든 창고의 창고정보를 기반으로 외부에서 창고의 조회 및 관리 가능하도록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시키는 창고 중앙관제 응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는 화물과 인접한 위치에 부착되며, 상 기 부착되는 부위와 제 2 RFID 전자태그 사이에 에어캡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의 특징은 화물정보를 갖는 제 2 RFID 전자태그가 부착되어 창고 외부에 적재된 화물을 RFID 리더가 설치된 지게차에 싣고 창고 내부로 입고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RFID 리더에서 인식된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지게차를 통한 창고 내부 입고 시에 창고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송신하여 화물의 정보 및 입고를 확인하고, 이를 창고정보 DB의 물품재고 리스트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지게차를 통해 창고의 특정위치에 화물이 적재되면, 지게차에 설치된 RFID 리더를 통해 화물이 적재된 곳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수신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재위치 정보를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로 저장하여 화물의 입고 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의 다른 특징은 출고작업이 요청된 화물의 창고 내 적재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된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에서 검색하여 지게차 운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소형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소형 단말기를 통해 화물의 적재위치, 최선 이동 길 중 적어도 하나가 확인되면, 지게차에 해당 화물을 탑재하고, 지게차에 설치된 RFID 리더를 통해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 및 화물이 탑재된 곳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하여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전송하여 화물정보 및 해당 화물의 이동을 확인하고,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에 저장된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의 인식여부를 통해 해당 화물의 출고를 확인하고, 출고가 확인되면 창고정보 DB의 물품재고 리스트에서 상기 출고가 확인된 해당 화물정보를 삭제하여 화물의 출고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당 화물의 출고의 확인 결과, 화물이 창고 밖으로 출고되지 않고 창고 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화물의 이동 된 적재위치를 확인하여 이동 적재된 화물의 위치정보를 다시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화물정보를 갖는 제 2 RFID 전자태그가 부착되어 창고 외부에 적재된 화물을 RFID 리더가 설치된 지게차에 싣고 창고 내부로 입고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RFID 리더에서 인식된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지게차를 통한 창고 내부 입고 시에 창고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송신하여 화물의 정보 및 입고를 확인하고, 이를 창고정보 DB의 물품재고 리스트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지게차를 통해 창고의 특정위치에 화물이 적재되면, 지게차에 설치된 RFID 리더를 통해 화물이 적재된 곳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수신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재위치 정보를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로 저장하는 단계와, 출고작업이 요청된 화물의 창고 내 적재위치 정보를 상기 저장된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에서 검색하여 지게차 운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소형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소형 단말기를 통해 화물의 적재위치, 최선 이동 길 중 적어도 하나가 확인되면, 지게차에 해당 화물을 탑재하고, 지게차에 설치된 RFID 리더를 통해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 및 화물이 탑재된 곳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하여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전송하여 화물정보 및 해당 화물의 이동을 확인하고,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에 저장된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의 인식여부를 통해 해당 화물의 출고를 확인하고, 출고가 확인되면 창고정보 DB의 물품재고 리스트에서 상기 출고가 확인된 해당 화물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물의 적재위치를 확인은 제 1 RFID 전자태그 간격정보, 지게차의 위치 및 이동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수로 적용하여 화물의 적재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의 비자동화 되어 있는 창고에서의 불필요한 인력 및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둘째, 기존 RFID를 이용한 창고에서 리더 인식 반경 내의 화물 식별만 가능하던 것을 보다 정밀한 위치까지 식별이 가능하게 한다.
셋째, 기존 물품의 위치식별을 위하여 고가의 RTLS 기술을 사용하던 것을 저비용인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위치식별이 가능하며, RTLS의 경우 물품의 움직임에 의해서 생기는 위치오차가 민감하게 발생하였으나 RFID의 경우 물품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오차가 매우 적다.
넷째, 창고 천장에 RFID를 설치함으로써 별도로 창고 바닥 시공비용이 들지 않고, 창고 바닥에 사용하는 태그보다 훨씬 저렴한 태그를 천장에 사용할 수 있으며, 태그 고장과 같은 문제 발생 시 바닥 시공 등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다.
다섯째, 금속 화물에서 인식되기 위해 고가의 메탈 태그를 사용하지 않고 저가 태그에 에어캡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메탈태그와 유사한 인식률 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 위치 인식을 위한 설치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창고 천장에 부착되어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RFID 전자태그(110)와, 화물(10)과 인접한 위치에 부착되어 물품의 종류, 특성, 날짜(제조날짜, 입고날짜, 유통기한 등), 주의사항 등을 포함하는 화물정보를 송신하는 제 2 RFID 전자태그(120)와, 화물(10)을 쌓거나 싣고 나르는 지게차(2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RFID 전자태그(110)에서 송신되는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 보 및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120)에서 송신되는 화물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RFID 리더(200)와, 화물 입출고 시에 지게차(20)로 화물(10)을 이동하고 적재할 때 RFID 리더(200)가 인식하는 천장 특정부분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보 및 제 2 RFID 전자태그(120)의 화물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화물(10)의 적재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화물 입출고 작업을 관리하는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창고 천장에 부착되는 제 1 RFID 전자태그(110)는 부착된 위치에 따라 정확한 위치정보를 검출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 1 RFID 전자태그(110)는 물리적 위치정보만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RFID 전자태그(110)는 물리적 위치정보를 가지게 되면 이는 천장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할 수도 있고, 또는 창고 천장 환경에 따라 다른 간격으로 부착이 가능함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110)는 화물에 부착되어 화물정보를 송신하고 있는데, 이때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110)를 저가의 일반태그로 사용하는 경우는 그 화물이 금속케이스(ex, 금속드럼통, 컨테이너 등)에 들어있는 경우나, 또는 케이스가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 등의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화물, 즉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에 인식률이 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일반태그는 금속케이스 또는 액체 화물에 부착되는 경우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케이스 또는 액체 화물에 부착되는 경우에도 높은 인식률을 갖는 고가의 메탈 태그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저가의 일반태그에 에어캡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매 탈 태그와 유사한 인식률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110)에 에어캡을 장착한 일반태그를 사용하게 되면, 저비용으로 높은 인식률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캡은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가 화물과 인접한 위치에 부착될 때, 상기 부착되는 부위와 제 2 RFID 전자태그 사이를 일정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air)가 주입된 것을 말하며,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제품의 파손을 막기 위해 제품 포장 시에 제품을 감싸는 일명 뽁뽁이가 있다. 그러나 상기 에어캡은 이 뽁뽁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부착되는 부위와 제 2 RFID 전자태그 사이를 일정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가스가 주입된 구조를 갖는 수단은 모두 사용 가능함에 주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지게차(20)에 설치된 RFID 리더(200)는 천장에 부착한 제 1 RFID 전자태그(110) 인식과 화물에 부착한 제 2 RFID 전자태그(120) 인식을 위해 한 개에서 여러 개의 안테나를 구성한다.
이때, 도 5a와 같이, 상기 안테나(200)에서 수신을 위한 전파는 방사 패턴을 나타내므로, 다수의 제 1 RFID 전자태그(110a 내지 110g)가 인식되게 되므로 가장 가까운 거리의 제 1 RFID 전자태그를 검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어, 적재되는 화물의 보다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큰 문제를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5b와 같이, 안테나(200)에서 송신되는 전파의 방사 패턴을 조절하여 지향 각도를 줄일 수 있는 전파 방사 패턴 차단부(210)를 설치하게 되면, 해당 안테나(200)를 통해 인식되는 제 1 RFID 태그(110a)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적재되는 화물의 보다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 방사 패턴 차단부(210)를 통해 줄어든 전파의 방사 패턴의 지향 각도는 20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물리적 위치정보(좌표정보)를 가지고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를 통해 인식된 정보를 이용하여 화물(10)의 적재위치를 계산한다. 즉, 지게차(20)의 RFID 리더(200)를 통해 인식된 천장의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 정보를 수집하여 좌표에 따른 위치값을 계산하여 해당 화물(10)의 적재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화물의 적재위치 계산은 위치계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화물의 적재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위치계산 알고리즘에서 적재위치 산출을 위해 사용되는 변수로는 천장의 제 1 RFID 전자태그(110) 간격과, 지게차(20)의 위치 및 이동 방향이 이용된다. 참고로 상기 위치계산 알고리즘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용되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지게차(20)에 부착되거나, 또는 지게차(20)를 운전 중인 운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소형 단말기(30)로 유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확인된 화물의 적재위치를 제공함으로써, 화물 출고 시에 운전자는 상기 소형 단말기(30)를 통해 출고하고자 하는 화물의 적재위치를 바로 조회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당 화물을 찾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소형 단말기(30)는 PDA, 휴대폰, 노트북 등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뿐만 아니라 지게차(20)에 부착되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가 가능한 송수신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모든 단말기가 이에 포함된다.
도 2 는 도 1의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와 같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지게차(20)에 설치된 RFID 리더(200)를 통해 수신되는 창고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와,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를 수집하고 필터링하는 RFID 미들웨어(310)와, 상기 RFID 미들웨어(310)에서 수집되는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물 및 지게차의 위치를 확인하고,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물정보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창고관리, 물품관리, 거래처 관리, 리더 관리를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하는 창고 관리부(330)와, 상기 화물 및 지게차 위치정보, 그리고 화물정보들(이하 ‘창고정보’라 칭함)을 저장하는 창고정보 DB(320)와, 상기 창고 관리부(330)에서 제공되는 API를 이용하여 상기 창고정보 DB(320)에 저장된 화물(10)의 적재위치 및 지게차(20)의 위치정보를 지게차의 운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소형 단말기(30)로 전송하여 화물 적재 작업 처리를 위한 정보(화물 적재위치 및 지게차의 이동 방향 등)를 제공하는 지게차 단말기 응용(340)과, 창고 관리부(320)에서 제공되는 API를 이용하여 상기 창고정보 DB(320)에 저장된 모든 창고의 화물 재고 정보,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에서 창고의 조회 및 관리 가능하도록 중앙관제 단말기(40)와 통신망으로 연결시키는 창고 중앙관제 응용(35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의 입고 작업시에 화물 위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화물의 입고 작업을 설명하면, 먼저 도 3a와 같이, 화물을 올려놓는 팔렛 또는 해당 화물(10)에 물품의 종류, 특성, 날짜(제조날짜, 입고날짜, 유통기한 등), 주의사항 등의 화물정보를 갖는 제 2 RFID 전자태그(120)를 부착하여 창고 외부에 적재한 뒤, 이후 창고 외부에 적재된 화물(10)을 RFID 리더(200)가 설치된 지게차(20)에 싣고 창고 출입구를 통해서 창고 내부로 입고 작업을 실시한다.
이어 도 3b와 같이, 지게차(20)는 창고로 화물을 입고 시에 지게차(20)에 설치되어 있는 RFID 리더(200)를 통해 제 2 RFID 전자태그(120)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RFID 리더(200)는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120)의 인식과 함께 창고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가 최초로 인식되면, 역시 인식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로 송신한다. 이는 상기 지게차(20)가 창고 안으로 화물을 싣고 들어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수신된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 및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를 통해 화물(10)의 정보 및 입 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입고가 확인된 해당 화물의 화물정보를 창고정보 DB(320)의 물품재고 리스트로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수신되는 화물정보에 따라 어떠한 화물이 현재 창고로 입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c와 같이, 상기 지게차(20)는 창고의 특정위치에 화물(10)을 적재하고, 상기 지게차(20)에 설치되어 있는 RFID 리더(200)를 통해 화물을 적재한 곳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의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창고 천장에 부착되는 제 1 RFID 전자태그(110)는 부착된 위치에 따라 정확한 위치정보를 검출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 1 RFID 전자태그(110)는 물리적 위치정보를 가지고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게차(20)에 설치된 RFID 리더(200)에서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로 송신되는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화물정보) 및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적재위치 정보)는 도 3b와 같이, 창고로 화물(10)을 입고 시에 화물정보를 먼저 송신하고, 이후 도 3c와 같이, 특정위치에 화물(10)을 적재한 후에 적재위치 정보를 송신하므로, 이 정보들을 서로 다른 시간에 각각 송신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서로 다른 시간대에 수신되는 화물정보와 적재위치 정보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RFID 리더(200)에서 화물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이에 따른 고유번호를 지정하여 송신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적재위치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에 적재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지정된 고유번호를 적재위치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RFID 리더(200)에서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로 화물정보 및 적재위치 정보가 송신되는 위의 방법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 일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3c와 같이 상기 RFID 리더(200)는 화물이 적재된 후에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화물정보) 및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적재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3d와 같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RFID 리더(200)로부터 수신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를 통해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를 계산하여 확인한다. 이때, 화물의 적재위치 계산은 위치계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화물의 적재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위치계산 알고리즘에서 적재위치 산출을 위해 사용되는 변수로는 천장의 제 1 RFID 전자태그(110) 간격과, 지게차(20)의 위치 및 이동 방향이 이용된다. 즉, 상기 제 1 RFID 전자태그(110)는 천장에 부착되어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확인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와 지게차(20)의 위치 및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좌표값과의 매칭을 통해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확인된 적재위치 정보는 창고정보 DB(320)의 적재위치 리스트로 저장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의 출고 작업시에 화물 위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화물의 출고작업을 설명하면, 먼저 도 4a와 같이,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창고 중앙관제 응용(350)으로부터 창고에 적재된 화물(10)을 창고 밖으로의 출고작업이 요청되면, 창고관리부(330)는 창고정보 DB(320)에 저장된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화물(10)의 적재위치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지게차 운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소형 단말기(30)로 출고작업이 요청된 화물의 출고를 지시와 함께, 출고하려는 화물의 창고 내 적재위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에서 상기 소형 단말기(30)로 창고 밖으로의 화물(10)을 출고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지게차(20) 운전자가 상기 소형 단말기(30)에 출고시키고자 하는 화물(10)의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지게차 단말기 응용(340)을 통해 무선망으로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로 출고작업을 요청하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지게차 단말기 응용(340)을 통해 상기 소형 단말기(30)에서 수신된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창고정보 DB(320)에 저장된 창고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매칭된 화물이 검색되면, 상기 출고작업을 요청한 소형 단말기(30)로 검색된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에서 소형 단말기(30)로 제공되는 정보는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 외에 화물정보, 지게차의 현 위치에서 화물이 적재된 위치까지 가는 최선 이동 길(거리가 가장 짧은 길, 시간이 가장 빠른 길 등)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처럼, 창고에 적재된 화물(10)의 출고작업은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의 지시에 의해 소형 단말기(30)로 출고될 화물정보 및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가 송신 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지게차(20) 운전자가 소형 단말기(30)를 통해 직접 출고될 화물의 적재위치를 요청하면,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상기 요청된 화물의 적재위치를 창고정보 DB(320)에서 검색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인해, 화물의 출고작업은 창고 외부에서 지시될 수도, 창고 내부에서 요청될 수 있다.
이어 도 4b와 같이, 지게차(20)는 소형 단말기(30)를 통해 출고하려는 화물(10)에 대하여 창고 내의 적재위치, 최선 이동 길 중 적어도 하나가 확인되면, 해당위치로 이동하여 지게차(20)에 해당 화물(10)을 탑재하고, 지게차에 설치된 RFID 리더(200)를 통해 탑재된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120)를 인식한다. 그리고 화물이 탑재된 곳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위치한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를 상기 지게차의 RFID 리더(200)를 통해 인식한다.
이어 도 4c와 같이, 상기 지게차의 RFID 리더(200)는 인식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하여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RFID 리더(200)로부터 수신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를 통해 화물정보 및 해당 화물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창고정보 DB(320)의 적재위치 리스트에 저장된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를 삭제한다.
다음으로, 도 4d와 같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수신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의 인식여부를 통해 해당 화물(10)의 출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해당 화물(20)을 탑재한 지게차(20)가 창고 밖으로 나오게 되면, 지게차(20)에 설치되어 있는 RFID 리더(200)는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120)는 계속 인식되지만 창고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110)는 인식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게차(20)가 창고 밖으로 나오게 되면, RFID 리더(200)는 인식되지 않은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는 송신하지 않고, 인식되는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만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로 송신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상기 RFID 리더(200)로부터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가 모두 수신되다가 상기 제 1 RFID 전자태그(110) 데이터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고 제 2 RFID 전자태그(120) 데이터만이 수신되게 되면, 해당 화물이 출고된 것으로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창고정보 DB(320)의 물품재고 리스트에서 상기 출고가 확인된 해당 화물정보를 삭제한다.
한편, 도 4b에서 지게차에 탑재된 화물이 창고 밖으로 출고되지 않고 창고 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된 도 3c 및 도 3d의 동작을 통해 해당 화물의 이동 된 적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렇게, 이동 적재된 화물의 위치정보는 다시 창고정보 DB(320)의 적재위치 리스트가 갱신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300)는 RFID 리더(20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어떠한 화물이 현재 창고에서 출고되는지 또는 이동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 위치 인식을 위한 설치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도 1의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의 입고 작업시에 화물 위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의 출고 작업시에 화물 위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안테나 전파 방사 패턴의 차단부의 사용 여부에 따라 변화되는 지향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물 20 : 지게차
30 : 소형 단말기 40 : 중앙관제 단말기
110 : 제 1 RFID 전자태그 120 : 제 2 RFID 전자태그
200 : RFID 리더 210 : 전파 방사 패턴 차단부
300 :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 310 : RFID 미들웨어
320 : 창고정보 DB 330 : 창고 관리부
340 : 지게차 단말기 응용 350 : 창고 중앙관제 응용

Claims (19)

  1. 창고 천장에 부착되어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RFID 전자태그와,
    화물과 인접한 위치에 부착되어 물품의 종류, 특성, 날짜(제조날짜, 입고날짜, 유통기한 등) 및 주의사항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화물정보를 송신하는 제 2 RFID 전자태그와,
    화물을 쌓거나 싣고 나르는 지게차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RFID 전자태그에서 송신되는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에서 송신되는 화물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RFID 리더와,
    화물 입출고 시에 지게차로 화물을 이동하고 적재할 때 RFID 리더가 인식하는 천장 특정부분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의 위치정보 및 제 2 RFID 전자태그의 화물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화물 입출고 작업을 관리하는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는 화물과 인접한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부착되는 부위와 제 2 RFID 전자태그 사이에 에어캡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는 천장에 부착한 제 1 RFID 전자태그 인식과 화물에 부착한 제 2 RFID 전자태그 인식을 위해 한 개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는
    상기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전파의 방사 패턴을 조절하여 지향 각도를 줄일 수 있는 전파 방사 패턴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는
    물리적 위치정보를 가지고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에서 RFID 리더를 통해 인식된 천장의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물리적 위치정보에 따른 위치값을 계산하여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에 부착되거나, 또는 지게차를 운전 중인 운전자가 보유하여, 유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에서 확인된 화물의 적재위치 정 보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소형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단말기는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가 가능한 송수신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는
    지게차에 설치된 RFID 리더를 통해 수신되는 창고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와,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필터링하는 RFID 미들웨어와,
    상기 RFID 미들웨어에서 수집되는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물 및 지게차의 위치를 확인하고,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물정보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창고관리, 물품관리, 거래처 관리, 리더 관리를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하는 창고 관리부와,
    상기 화물 및 지게차 위치정보, 그리고 화물정보들(이하 ‘창고정보’라 칭함)을 저장하는 창고정보 DB와,
    상기 창고 관리부에서 제공되는 API를 이용하여 상기 창고정보 DB에 저장된 화물의 적재위치 및 지게차의 위치정보를 지게차의 운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소형 단말기로 전송하여 화물 적재 작업 처리를 위한 화물 적재위치 및 지게차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지게차 단말기 응용과,
    창고 관리부에서 제공되는 API를 이용하여 상기 창고정보 DB에 저장된 모든 창고의 창고정보를 기반으로 외부에서 창고의 조회 및 관리 가능하도록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시키는 창고 중앙관제 응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9. 화물정보를 갖는 제 2 RFID 전자태그가 부착되어 창고 외부에 적재된 화물을 RFID 리더가 설치된 지게차에 싣고 창고 내부로 입고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RFID 리더에서 인식된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지게차를 통한 창고 내부 입고 시에 창고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송신하여 화물의 정보 및 입고를 확인하고, 이를 창고정보 DB의 물품재고 리스트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지게차를 통해 창고의 특정위치에 화물이 적재되면, 지게차에 설치된 RFID 리더를 통해 화물이 적재된 곳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수신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재위치 정보를 창고정보 DB의 적재위 치 리스트로 저장하여 화물의 입고 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로부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송신되는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에 화물의 지정된 고유번호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의 적재위치의 확인은 천장에 부착되어 위치정보를 갖는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RFID 리더에서 수신되는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좌표값별 위치정보의 매칭을 통해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정보는 물품의 종류, 특성, 날짜(제조날짜, 입고날짜, 유통기한 등), 주의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
  13. 출고작업이 요청된 화물의 창고 내 적재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된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에서 검색하여 지게차 운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소형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소형 단말기를 통해 화물의 적재위치, 최선 이동 길 중 적어도 하나가 확인되면, 지게차에 해당 화물을 탑재하고, 지게차에 설치된 RFID 리더를 통해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 및 화물이 탑재된 곳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하여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전송하여 화물정보 및 해당 화물의 이동을 확인하고,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에 저장된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의 인식여부를 통해 해당 화물의 출고를 확인하고, 출고가 확인되면 창고정보 DB의 물품재고 리스트에서 상기 출고가 확인된 해당 화물정보를 삭제하여 화물의 출고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작업의 요청은 외부에 위치하는 관리자가 통신망을 통해 창고 중앙관제 응용으로 창고에 적재된 화물을 창고 밖으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작업의 요청은 창고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지게차 운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소형 단말기로 출고하려는 화물의 적재위치를 무선망을 통해 지게차 단말기 응용으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단말기로 제공되는 적재위치 정보는 화물의 적재위치, 화물정보, 지게차의 현 위치에서 화물이 적재된 위치까지 가는 최선 이동 길(거리가 가장 짧은 길 또는 시간이 가장 빠른 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화물의 출고의 확인 결과, 화물이 창고 밖으로 출고되지 않고 창고 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화물의 이동 된 적재위치를 확인하여 이동 적재된 화물의 위치정보를 다시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
  18. 화물정보를 갖는 제 2 RFID 전자태그가 부착되어 창고 외부에 적재된 화물을 RFID 리더가 설치된 지게차에 싣고 창고 내부로 입고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RFID 리더에서 인식된 상기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지게차를 통한 창고 내부 입고 시에 창고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송신하여 화물의 정보 및 입고를 확인하고, 이를 창고정보 DB의 물품재고 리스트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지게차를 통해 창고의 특정위치에 화물이 적재되면, 지게차에 설치된 RFID 리더를 통해 화물이 적재된 곳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상기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수신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재위치 정보를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로 저장하는 단계와,
    출고작업이 요청된 화물의 창고 내 적재위치 정보를 상기 저장된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에서 검색하여 지게차 운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소형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소형 단말기를 통해 화물의 적재위치, 최선 이동 길 중 적어도 하나가 확인되면, 지게차에 해당 화물을 탑재하고, 지게차에 설치된 RFID 리더를 통해 화물에 부착된 제 2 RFID 전자태그 및 화물이 탑재된 곳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천장에 부착된 제 1 RFID 전자태그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하여 화물 적재위치 관리부로 전송하여 화물정보 및 해당 화물의 이동을 확인하고, 창고정보 DB의 적재위치 리스트에 저장된 해당 화물의 적재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 1 RFID 전자태그 데이터 및 제 2 RFID 전자태그 데이터의 인식여부를 통해 해당 화물의 출고를 확인하고, 출고가 확인되면 창고정보 DB의 물품재고 리스트에서 상기 출고가 확인된 해당 화물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
  19. 제 9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의 적재위치 확인은 제 1 RFID 전자태그 간격정보, 지게차의 위치 및 이동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수로 적용하여 화물의 적재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방법.
KR1020090034133A 2009-04-20 2009-04-20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 KR20100115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33A KR20100115515A (ko) 2009-04-20 2009-04-20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
PCT/KR2010/000558 WO2010123193A1 (ko) 2009-04-20 2010-01-29 천장에 부착된 알에프아이디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33A KR20100115515A (ko) 2009-04-20 2009-04-20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515A true KR20100115515A (ko) 2010-10-28

Family

ID=4301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133A KR20100115515A (ko) 2009-04-20 2009-04-20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115515A (ko)
WO (1) WO2010123193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8228A (zh) * 2016-08-26 2017-02-15 无锡卓信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射频技术的仓库货物查找和定位控制系统
CN106651246A (zh) * 2016-11-11 2017-05-10 上海物联网有限公司 一种基于高精度定位技术的智能仓库管理系统
KR20180132223A (ko)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KR20190049657A (ko) 2019-04-18 2019-05-09 주식회사 포에스텍 Cps 기반의 스마트 지게차 관리장치
KR20190068670A (ko) * 2017-12-08 2019-06-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농장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44733B1 (ko) 2019-07-29 2019-11-14 최준호 Wms erp를 적용한 스마트 물류관리시스템
CN112926713A (zh) * 2021-04-14 2021-06-08 苏州奥联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gv和wms系统的货物盘点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K1216218A2 (zh) * 2015-08-26 2016-10-21 Oscl Pacific Ltd 用於物品查找及定位的系統及方法
CN105809084A (zh) * 2016-04-20 2016-07-27 浙江立芯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盘点设备
CN107871217A (zh) * 2016-09-23 2018-04-03 镇江易蝶软件科技有限公司 智能仓储
DE112018000705T5 (de) 2017-03-06 2019-11-14 Cummins Filtration Ip, Inc. Erkennung von echten filtern mit einem filterüberwachungssystem
CN111428829A (zh) * 2020-03-13 2020-07-17 浙江衣拿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载具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CN112613586A (zh) * 2020-12-15 2021-04-06 深圳市国芯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叉车数据采集系统和方法
CN113238575A (zh) * 2021-05-08 2021-08-10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仓储盘点巡检方法和系统、控制设备、无人机和存储设备
CN114387337A (zh) * 2021-12-31 2022-04-22 东莞盟大集团有限公司 货物出入库的物联网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408A (ko) * 1998-05-06 1999-12-06 윤종용 공기층이 포함된 다층 유전체를 이용한 평면 안테나
KR20060055581A (ko) * 2004-11-17 2006-05-23 정현철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 로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8309555A (ja) * 2007-06-13 2008-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位置計測システムおよび位置計測表示装置
KR100935199B1 (ko) * 2007-10-09 2010-01-06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물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8228A (zh) * 2016-08-26 2017-02-15 无锡卓信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射频技术的仓库货物查找和定位控制系统
CN106651246A (zh) * 2016-11-11 2017-05-10 上海物联网有限公司 一种基于高精度定位技术的智能仓库管理系统
KR20180132223A (ko)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KR20190068670A (ko) * 2017-12-08 2019-06-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농장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9657A (ko) 2019-04-18 2019-05-09 주식회사 포에스텍 Cps 기반의 스마트 지게차 관리장치
US11623825B2 (en) 2019-04-18 2023-04-11 4Stec Inc. CPS-based smart forklift truck management device
KR102044733B1 (ko) 2019-07-29 2019-11-14 최준호 Wms erp를 적용한 스마트 물류관리시스템
CN112926713A (zh) * 2021-04-14 2021-06-08 苏州奥联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gv和wms系统的货物盘点系统和方法
CN112926713B (zh) * 2021-04-14 2024-03-12 苏州奥联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gv和wms系统的货物盘点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3193A1 (ko)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5515A (ko) 천장에 부착된 rfid 전자태그를 사용한 화물 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
CN114026582B (zh) 用于资产跟踪的站点匹配
TW565802B (en) Object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JP4705107B2 (ja) 旅行バッグの追跡および位置確認を行うためのrfタグ
US7423534B2 (en) Electroni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ainers and products
US20180293535A1 (en) Rfid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ssets
US2022041458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portation dock management
Kadir et al. Application of RFID technology and e-seal in container terminal process
US82375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of loading goods
CN113795844A (zh) 利用射频识别的免手持拣货系统和方法
KR20090000108A (ko) 능동 및 수동 무선식별 태그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US20220358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processing transportation and shipping documentation
KR101156617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화물적재위치인식방법 및 시스템
US20240104319A1 (en) Dynamic rfid portal modulation
Wagner et al. Using the right digital technologies for supply chain visibility
KR101762770B1 (ko) 독성가스 용기 추적 안전관리 시스템
CN116976792A (zh) 基于叉车定位实现货物自动出入库的方法、装置及系统
CN115983760A (zh) 一种自动化立体式仓库货物管理方法
KR20160002487A (ko) 관제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물류 수단
KR102589706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사물 추적 관리 시스템
US11699046B2 (en) Sortable tracking object
US20210073747A1 (en) Reuse material management apparatus, reuse material management system, and reuse material management method
TWI767083B (zh) 倉儲管理系統與倉儲管理方法
Nummela et al. Automatic reel identification by RFID technology in paper reel supply chains: examples from paper mill and sea port environments
CN114501335A (zh) 料箱、物品定位系统、方法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