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691A -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691A
KR20180129691A KR1020180059856A KR20180059856A KR20180129691A KR 20180129691 A KR20180129691 A KR 20180129691A KR 1020180059856 A KR1020180059856 A KR 1020180059856A KR 20180059856 A KR20180059856 A KR 20180059856A KR 20180129691 A KR20180129691 A KR 20180129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kin
inflammatory
maple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채정우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주)아로마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로마뉴텍 filed Critical (주)아로마뉴텍
Publication of KR20180129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L.)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은 생체 내 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도, NO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 유발인자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등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므로, 약학, 화장품,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comprising Ambrosia trifida L extract}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L.)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여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며 그에 따른 사람들의 미용에 대한 관심과 연령이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웰빙(well-being) 열풍과 함께 식물 유래의 천연 성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각종 식물의 뿌리, 열매, 꽃 나무껍질, 줄기, 잎, 종자 등 약용 식물의 모든 부위로부터 유래된 한약재의 경우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처방으로 증명된 안전성과 효능을 인정받고 있어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 바이오 식품, 한방화장품 등 한약재를 원료로 한 다양한 제품들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인체에 친화적으로 부작용이 낮은 천연물을 이용한 의약품 및 화장품 등 기능성 소재에 관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면역 반응의 일종인 염증반응은 미생물이나 화합물 등에 의해 유해한 자극이 가해진 후의 인체의 방어기전으로, 자극의 제거 및 손상된 조직의 수복과정까지의 모든 과정을 가리킨다. 염증반응이 만성적으로 일어날 때에는 염증매개 물질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거나,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동맥경화를 악화시키는 등 다양한 병리학적 기전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면역체계에서 대식세포(macrophage)는 염증반응과 면역기능을 조절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LPS(Lipopolysaccharide)의 자극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며, 이 LPS는 외부의 항원과 공유결합으로 결합된 지질과 다당류의 복합체로서 주로 그람음성균(Gram-negative bacteria)의 외막 성분으로 존재하는 내독소(endotoxin)이다.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interleukin)-1β 및 IL-6와 같은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이러한 염증 매개 물질들이 형성되면 아라키돈산이 COX(cyclooxygenase)의 작용을 거쳐 류코트리엔, 트롬복산, 프로스타글란딘 등으로 바뀌는 과정 및 NO(nitric oxide)의 대량 생성에 관여함으로써 염증매개에 큰 역할을 하며, 숙주의 치명적 손상을 입힌다고 알려져 있다. 그 중 자유라디칼인 NO는 반응성이 높은 물질로 NOS(NO synthase)에 의해 L-아르기닌으로부터 생성되며, NOS 는 cNOS(constitutive NOS)와 iNOS(inducible NOS)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iNOS는 외부자극이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자극을 받게 되면, 다양한 세포에서 발현되어 NO를 다량으로 생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TNF-α, IL-1β 및 IL-6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에는 ERK1/2(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1/2), p38(p38 kinases), JNK(c-Jun NH2-terminal kinase)와 같은 MARK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NF-κB(nuclear factor kappa B)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식세포에서 LPS의 자극이 오면 MAPKs와 NF-κB가 활성화되어 각종 염증인자들의 생성을 유도시킨다. NF-κB는 면역과 염증 반응에 관계된 유전자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LPS에 의하여 NF-κB가 활성화되면 결합해 있던 Iκ-Bα(inhibitory kappa Bα)가 분해되고, 그 후 NF-κB가 세포 원형질에서 핵으로 들어가게 되어 TNF-α, IL-6 등의 사이토카인 발현의 전사인자로서 생성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다양한 염증성 질환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인자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MAPKs와 NF-κB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귀화식물이란 비자생종으로 외국으로부터 의도적이나 비의도적으로 유입되어 인간의 도움 없이 야생에서 자라는 식물을 말한다. 이러한 귀화식물의 생태적 특징은 대부분 다년생보다는 일년생과 같이 생활사가 짧은 식물이 많으며,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많은 종자를 생산하고 우리 생태계에서 점차 서식지를 확대하여 토종식물을 위협하며 산림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부에서 도깨비가지(Solarum carolinense L.),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L.),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var elatior Descoutils), 물참새피(Paspalum distichum L.), 서양등골나무(Ageratina altissima (L.) king et H. E. Robins) 털물참새피(Paspalum distichum L. var. indutum Shinnerrs)의 6종을 생태계교란 식물로 지정하였다. 생태계 위해 외래잡초의 하나인 단풍잎돼지풀은 국화과에 속하며 원산지가 북아메리카인 종자로 번식하는 일년생 식물로서 유럽, 일본 등을 포함하여 전세계적으로 분포한다. 높이는 1m 이상으로 자라며, 줄기는 곧추서고 많은 가지를 치고 거친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면서 3~5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을 가지며, 꽃은 7~9월에 피며 길이 6~12mm, 폭 4~5mm, 5~7능선이 있는 종자를 생산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직까지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 되지 않은 생태계교란식물인 단풍잎돼지풀을 새로운 식물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단풍잎돼지풀이 생체 내 독성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은 생체 내 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도, NO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 유발인자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등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므로, 약학, 화장품,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AT)의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AT)의 처리 농도에 따른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iNOS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iNOS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COX-2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p-ERK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p-P38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p-JNK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Iκ-Bα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IL-1β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IL-6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TNF-α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염증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Linne)”는 북아메리카 원산지인 국화과 일년생잡초로 1970년 이후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악성 외래잡초이다. 단풍잎돼지풀은 환경부에서 생태계 교란 외래잡초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단풍잎 돼지풀의 꽃가루는 알레르겐(allergen)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꽃가루가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거나 피부에 접촉할 경우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가 있으며, 비염이나 심하면 천식까지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풍잎돼지풀은 줄기, 잎, 꽃, 종자 등 모든 부위를 제한 없이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단풍잎돼지풀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먼저, 단풍잎돼지풀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단풍잎돼지풀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단풍잎돼지풀을 건조한 후 분쇄하고, 상기 단풍잎돼지풀 분말에 5~30배 부피의 용매를 가하여 완전히 침지되도록 한다. 추출 방법은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온도는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으며, 10℃ 내지 100 ℃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최종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은 생체 내 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도, NO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 유발인자인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하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IL-6 및 TNF-α의 발현을 억제하는 등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므로, 약학, 화장품,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풍잎돼지풀은 주변 식물에 빛을 차단하여 생육을 억제시키는 등 생태계 교란 식물에 해당하며, 별도의 공급 없이도 수득이 가능하고 재배 또한 용이한 바, 이를 활용할 경우 경제성이 우수하다.
일 양태로써,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염증용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화 질소의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 유발인자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을 주병변으로 하는 질병을 총칭하는 의미로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알러지성 천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점막염, 두드러기 및 아나필락스(anaphylax)를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경피증(systemic sclerosis), 피부근염(dermatomyositis) 및 포함체 근육염(inclusion body myositis)을 포함하는 근병증,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천식, 다발성 경화증, 패혈증, 다발성연골염, 경피증, 습진, 통풍, 치주질환, 베체트 증후군, 부종, 맥관염, 가와사키병, 당뇨병성 망막염, 자가 면역 췌장염, 혈관염, 사구체 신염,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 인플루엔자 감염증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은 피부 세포에서 염증 반응을 현저하게 억제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염증성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염증성 피부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1일 1 mg/kg 내지 1,000 mg/kg일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이 포함되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방법 또한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양태로써,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염증용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염증용 조성물은 염증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연고제, 크림제, 겔제, 로션제, 액제, 드레싱제, 패취제, 수포제, 테이프제, 연무제, 외용산제 및 스프레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어떠한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고제, 크림제, 겔제 및 로션제의 경우, 백색와셀린(와셀린), 황색와셀린, 라놀린, 정제 밀랍, 세타놀,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르산, 수소첨가유, 탄화수소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액체 파라핀 및 스쿠알란과 같은 기제;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롤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헥실라울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식물성유, 지방산 알콜 및 알콜과 같은 용매 또는 안정화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부틸히드록시아니졸과 같은 항산화제; p-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 같은 연석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크산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히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증점제; 안정화제; 보존제; 흡착 촉진제; 및 기타 적당한 충진제들이 첨가될 수 있다.
수포제의 경우,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은 점착제; 알루미늄설페이트,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알루미노메타실리케이트 및 디히드록시알루미늄 아미노아세테이트와 같은 가교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소듐알기네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르복 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증점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마크로골), 폴리에틸렌글리콜과 1,3-부탄디올과 같은 다가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와 같은 계면활성제; l-멘톨과 같은 향료; p-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정제수; 및 기타 적당한 충진제가 첨가될 수 있다.
테이프제의 경우,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블럭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점착제; 아크릴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수소 첨가된 로신 수지 및 테르펜 수지와 같은 점착 수지; 액체 검과 액체 파라핀과 같은 유연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과 같은 항산화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다가알콜; 올레산과 같은 흡착 촉진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와 같은 계면활성제; 및 기타 적당한 충진제가 첨가될 수 있다. 그밖에,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비닐알콜과 같은 물흡수성 폴리머와 소량의 정제수가 물을 함유하는 테이프제의 제조에 첨가될 수 있다.
연무제의 경우, 백색와셀린(와셀린), 황색와셀린, 라놀린, 정제 밀랍, 세타놀, 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르산, 수소첨가유, 탄화수소겔, 폴리 에틸렌글리콜, 액체 파라핀 및 스쿠알란과 같은 기제;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롤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 디에틸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식물성유, 지방족 알콜 및 알콜과 같은 용매 또는 안정화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부틸히드록시아니졸과 같은 항산화제; p-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 같은 연석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과 같은 계면 활성제 연고, 크림, 겔 또는 로션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크산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증점제; 안정화제; 완충제; 감미제 현탁제; 유화제; 조미료; 방부제; 흡착 촉진제 및 기타 적당한 충진제들이 첨가될 수 있다.
외용산제의 경우, 감자전분, 쌀전분, 옥수수 전분, 탈크 및 산화아연과 같은 충진제, 및 기타 적당한 첨가제들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나 점막에 적용되는 조성물에 배합되는 공지의 각종 성분을 배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필요에 따라 적당한 기제와 함께, 각 성분을 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제제는 필요에 따라 병변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염증 효과를 달성할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제화가 어렵고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써,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항염증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산화 질소의 생성에 의한 염증 질환들을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 또한 식품 조성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또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 (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 (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 (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 (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 (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 (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 (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 (예, 라면 스프 등), 식품첨가제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건강기능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조절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수득
단풍잎돼지풀은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에서 6월에 채취하였으며,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단풍잎돼지풀을 세척 후 건조한 후, 분말화하였다. 분쇄한 시료의 중량의 10배 양의 70%(v/v) 에탄올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지(Whatman No.2)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EYELA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20℃에 보관하면서 이후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세포 독성 분석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는 담황색의 기질로서 생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연쇄 효소에 의해 환원되어 암적색의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한다. 포르마잔의 흡광도는 550nm 근처 파장에서 최대가 되며, 죽은 세포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바, MTT 분석법은 포르마잔을 생성하는 세포를 측정하는 검사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식세포인 Raw 264.7은 한국 세포주 은행(Korea Cell Line Bank)에서 구입하였으며, 상기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5×104cells/well이 되도록 0.18ml씩 분주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조제하여 각 웰에 0.02ml 첨가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여기에 2.5mg/ml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 0.04ml를 첨가하고 다시 4시간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웰당 DMSO 0.15ml를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뒤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세포생존율 (%) = (1 - 시료첨가군의 흡광도/ 무첨가군의 흡광도) ×100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은 500μg/ml 이하의 농도에서 97.6%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NO 생성 억제 분석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정도를 분석하였다. NO는 혈액응고, 혈압 및 신경전달 기능의 조절 등 생리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농도에 따라 세포 기능 유지에 중요한 작용한 작용을 하지만, 고농도의 NO 생성은 염증을 유발시키게 되며, 조직의 손상, 유전자 변이 등을 일으키고, 유해물질을 생성하여 암의 형성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세포 내 유해한 산화물질의 축적, DNA 손상을 일으키며 세포자연사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6 웰 플레이트에 Raw 264.7 세포를 1×105 cells/well로 분주하였다. 상기 세포를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이후 1X PBS로 2번 세척하였다. LPS 10μg/ml을 normal군(LPS 무처리군)을 제외하고 처리한 후 2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고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상등액에 동량의 griess 시약을 첨가하여 96 웰 플레이트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 억제 활성 측정은 시료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NO 억제능 (%) = (1 - 시료첨가군의 흡광도/ 무첨가군의 흡광도) ×100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 처리군(Con)은 LPS 무처리군(Nor)에 비해 높은 NO 생성량을 보였으며,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NO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iNOS 및 COX-2의 단백질 및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유발 인자인 iNOS와 COX-2의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각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Raw 264.7을 100mm 조직 배양 디쉬에 1×106cells/well로 시딩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배지를 제거한 후 LPS를 1μg/ml 농도로 2시간동안 처리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배지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다시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2번 세척한 후, 상기 세포를 100μl Complete mini 1tab을 첨가한 10ml RIPA 완충액에서 용해하고, 4℃, 13,2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BCA 단백질 분석 키트로 정량하였으며, 20μl의 단백질을 10% 아크릴아마이드 겔에서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트랜스퍼 기기를 이용하여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멤브레인에 옮긴 다음 블락킹 버퍼(5% skim milk in TBST)에 담그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멤브레인을 iNOS 또는 COX-2 단백질에 대한 1차 항체가 희석된 완충액에 담그고, 4℃에서 밤새 배양한 다음, 다시 10분 간격으로 TBST(tris-buffered saline and tween 20)로 3회 세척하였다. 상기 멤브레인을 2차 항체를 1:1,000으로 희석한 완충액에 담근 후, 실온에서 2시간 배양하였으며, TBST로 3회 세척한 후 Davinch-Chemi™ Imager CAS-400SM 시스템을 이용하여 밴드를 확인하였다. 이때 세포의 여러 조건에서도 그 발현 정도의 차이가 거의 없는 β-액틴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Vit. C는 공지된 항염증 물질로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1차 항체 및 2차 항체는 Santa Cruz(CA, USA)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sc-651(iNOS antibody in rabbit), cs-7951(COX-2 antibody in rabbit), cs-69879(β-actin antibody in mouse), sc-2357(mouse anti-rabbit IgG), sc-2005(goat anti-mouse IgG)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에 의해 증가된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양이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염증유발 인자인 iNOS와 COX-2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Raw 264.7을 100mm 배양 디쉬에 1×106cells/well로 시딩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LPS를 1μg/ml 농도로 2시간 처리해준 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 상등액을 제거한 후 trizol 라이시스 완충액을 각 웰에 1ml씩 분주하여 세포를 용해(lysis)한 후 클로로포름 200μl를 분주하고 20초간 위아래로 흔들어주었다. 그 후, 13,200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한 후, 이소프로판올 500μl가 들어있는 튜브에 옮겨 섞었다. 다시 13,2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75% EtOH-DEPC(diethylpyrocarbonate) 물을 각 튜브에 1ml씩 분주하고, 13,2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제거한 후,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DEPC를 처리한 증류수를 50μl씩 분주하여 녹인 후 96 웰 플레이트에 RNA 5μl와 멸균수 195μl를 첨가하여 260nm, 280nm에서 각각 흡광도를 측정하여 total RNA양을 측정하였다. Oligo (dT) 15 프라이머 (500μg/ml) 1μl, total RNA (2μg)와 뉴클레아제 프리-증류수로 10μl를 맞추고 75℃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5X 반응 완충액, MgCl2, PCR 뉴클레오티드 혼합물, RNase 억제제(rnasin), 역전사 효소(reverse transcriptase), 뉴클레아제 프리-증류수를 첨가하여 25℃에서 5분, 42℃에서 60분, 70℃에서 15분간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상기 합성한 cDNA를 5X green Go Taq flexi buffer, MgCl2, PCR 뉴클레오티드 혼합물 (10mM), 프라이머, Go Taq DNA polymerase, 뉴클레아제 프리-증류수가 포함된 PCR 튜브에 첨가하여 잘 섞은 후 PCR을 실행하였다. GAPDH, iNOS는 96℃에서 2분, 96℃에서 10초, 64℃에서 30초, 72℃에서 1분, 72℃에서 10분 (40 cycles), COX-2는 96℃에서 2분, 94℃에서 10초, 51℃에서 30초, 72℃에서 1분, 72℃에서 10분 (40 cycles)간 반응시켰다. PCR 반응물은 브롬화 에디튬(ethidium bromide)을 첨가한 1.5% 아가로스 겔을 이용하여 100V에서 40분간 전기영동한 후 LAS 4,000을 이용하여 밴드를 확인함으로써 분석하였다. 이때 세포의 여러 조건에서도 그 발현 정도의 차이가 거의 없는 GAPDH를 하우스키핑진으로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프라이머 서열을 표 1에 기재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5’ →3’)
GAPDH sense TGA AGG TCG GTG TGA ACG GAT TTG GC
anti-sense CAT GTA GGC CAT GAG GTC CAC CAC
COX-2 sense GGA GAG ACT ATC AAG ATA GT
anti-sense ATG GTC AGT AGA CTT TTA CA
iNOS sense AAT GGC AAC ATC AGG TCG GCC ATC ACT
anti-sense GCT GTG TGT CAC AGA AGT CTC GAA CTC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에 의해 증가된 iNOS와 COX-2의 mRNA 발현양이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단백질 발현량과 같은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MAPKs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MAPK 패밀리인 ERK1/2, p38, JNK-1의 활성화 정도를 알아보았다. ERK1/2, p-ERK, p38, p-p38, JNK-1, p-JNK-1에 대한 1차 항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3에서 개시한 웨스턴 블랏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ERK1/2, p38, JNK-1의 인산화가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어 MAPKs의 활성화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NF - κB 활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또 다른 인자인 NF-κB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전처리하고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Iκ-Bα의 분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Iκ-Bα 에 대한 1차 항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3에서 개시한 웨스턴 블랏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에 의해 증가된 Iκ-Bα의 단백질 발현양이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인 IL-1β, IL-6 및 TNF-α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3과 유사한 방식으로 RT-PCR을 수행하였다. 다만, 표 2에 개시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였으며, PCR 반응은 94℃에서 30초, 56℃에서 59초, 72℃에서 1분 (35 cycles)간 반응시켰다. 그 결과를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5’ →3’)
GAPDH sense TGA AGG TCG GTG TGA ACG GAT TTG GC
anti-sense CAT GTA GGC CAT GAG GTC CAC CAC
IL-1β sense AGG ACA CGA CTG CTT TCT TC
anti-sense GCA CCG CAG TAG GGA AGT GT
IL-6 sense GGC TTT TAA GTG GGG CTG TC
anti-sense CCC AAG ATC CAC TGC AAA TG
TNF-α sense GAG AGG AAC ACG TTC TGG CTC C
anti-sense TGC TGG AGG CTG AGG CAT CC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IL-6 및 TNF-α의 mRNA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피부염증 억제효과 확인
경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인체적용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체적용시험은 유효성 평가, 공개시험, 단일군, 단일기관 시험이며, 만 19 내지 65세의 남녀 모두를 포함하는 경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경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은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환부에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일 2회 분사하였으며, 시험 전(visit 1) 및 후(visit 3)의 소양감, 피부표면 온도, 경표피 수분 손실량, 피부 수분 함유량 및 피부 산화도를 비교하였다.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이외에 마사지, 팩, 스테로이드제, 히스타민제, 면역억제제의 사용을 금지하였다.
6-1. 소양감 정도 평가(Visual Analog Scale Assessment, VAS)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매 주 경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소양감 정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상 환자가 느끼는 소양감의 정도를 길이가 10cm인 선분 위에 표시(0:소양감이 없음, 10:심한 소양감)하도록 하고, 그 길이를 측정하였다. 매주 측정한 길이를 바탕으로 소양감 정도를 평가하였다. 소양감 정도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Visit VAS
Mean ±SD Min Max
Visit 1 6.36 1.97 3.0 10
Visit 3 3.55 1.99 0 7.0
변화량
(Visit 1-Visit 3)
-2.86 2.765 -9 1
p-value 0.000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 환자의 피부 소양감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사용 전(Visit 1) 평균 6.36이었으나, 최종 평가 시(Visit 3) 평균 3.55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이 피부 소양감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6-2. 피부표면 온도 측정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매 주 피부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피부표면 온도 측정은 정확한 피부상태 측정을 위하여 항온, 항습 시설이 갖추어진 피부진단실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피부진단실은 실내온도 20 내지 25℃, 실내습도 40 내지 60%가 유지된다. 피부표면 온도 측정은 대상 환자를 피부진단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게하여 피부를 적응시킨 후 피부용 온도계(Skin-thermometer ST5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부표면 온도 측정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Visit Temperature(℃)
Mean ±SD Min Max
Visit 1 31.05 1.09 28 32
Visit 3 30.73 1.12 29 33
변화량
(Visit 1-Visit 3)
-0.91 1.15 -2 2
p-value 0.202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 환자의 피부표면 온도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사용 전(Visit 1) 평균 31.05℃이었으나, 최종 평가 시(Visit 3) 평균 30.73℃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이 피부표면 온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6-3. 경표피 수분 손실량 측정(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매 주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경표피 수분 손실량 측정은 정확한 피부상태 측정을 위하여 항온, 항습 시설이 갖추어진 피부진단실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피부진단실은 실내온도 20 내지 25℃, 실내습도 40 내지 60%가 유지된다.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대상 환자를 피부진단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게하여 피부를 적응시킨 후 테와미터 TM300(tewameter TM3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경표피 수분 손실량 측정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Visit TEWL(g/hm2)
Mean ±SD Min Max
Visit 1 18.32 12.95 4 62
Visit 3 17.86 11.12 8 60
변화량
(Visit 1-Visit 3)
-6.36 16.63 -39 56
p-value 0.684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 환자의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사용 전(Visit 1) 평균 18.32g/hm2이었으나, 최종 평가 시(Visit 3) 평균 17.86g/hm2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이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6-4. 피부수분 함유량 측정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매 주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은 정확한 피부상태 측정을 위하여 항온, 항습 시설이 갖추어진 피부진단실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피부진단실은 실내온도 20 내지 25℃, 실내습도 40 내지 60%가 유지된다.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은 대상 환자를 피부진단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게하여 피부를 적응시킨 후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825)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Visit water content
Mean ±SD Min Max
Visit 1 22.00 10.52 2 44
Visit 3 39.86 19.89 3 93
변화량
(Visit 1-Visit 3)
-6.36 16.63 -39 56
p-value 0.000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 환자의 피부 수분 함유량은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사용 전(Visit 1) 평균 22.00이었으나, 최종 평가 시(Visit 3) 평균 39.86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이 피부 수분 함유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6-5. 피부산화도 측정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매 주 피부 산화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산화도 측정은 정확한 피부상태 측정을 위하여 항온, 항습 시설이 갖추어진 피부진단실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피부진단실은 실내온도 20 내지 25℃, 실내습도 40 내지 60%가 유지된다. 피부 산화도 측정은 대상 환자를 피부진단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게하여 피부를 적응시킨 후 pH 미터(pH905)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부 산화도 측정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Visit pH
Mean ±SD Min Max
Visit 1 5.68 0.57 5.0 7.0
Visit 3 5.32 0.78 4.0 7.0
변화량
(Visit 1-Visit 3)
-0.5455 0.91 -2 1
p-value 0.206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 환자의 피부 산화도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사용 전(Visit 1) 평균 5.68이었으나, 최종 평가 시(Visit 3) 평균 5.32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이 피부 산화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해,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은 생체 내 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도, NO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 유발인자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등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 1. 산제의 제조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 2. 정제의 제조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2-1.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0.5 %
베타-1,3-글루칸 1.0 %
부틸렌글리콜 2.0 %
프로필렌글리콜 2.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
폴리솔베이트 80 0.4 %
에탄올 10.0 %
트리에탄올아민 0.1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2-2. 크림의 제조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1.0 %
베타-1,3-글루칸 5.0 %
밀납 10.0 %
폴리솔베이트 60 1.5 %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
유동파라핀 10.0 %
스쿠알란 5.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
글리세린 5.0 %
부틸렌글리콜 3.0 %
프로필렌글리콜 3.0 %
트리에탄올아민 0.2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Claims (7)

  1.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잎돼지풀은 줄기, 잎, 꽃 및 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4.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고제, 크림제, 겔제, 로션제, 액제, 드레싱제, 패취제, 수포제, 테이프제, 연무제, 외용산제 및 스프레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7.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80059856A 2017-05-25 2018-05-25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801296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20 2017-05-25
KR20170064620 2017-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691A true KR20180129691A (ko) 2018-12-05

Family

ID=6474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856A KR20180129691A (ko) 2017-05-25 2018-05-25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96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325A (ko) * 2021-05-27 2022-12-06 (주)아로마뉴텍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325A (ko) * 2021-05-27 2022-12-06 (주)아로마뉴텍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071B1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07995B1 (ko) 여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19132625A1 (ko)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9145345A1 (ja) 冬虫夏草菌セミタケを含む外用剤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101252107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05094860A1 (ja) 末梢血流改善剤
KR102334546B1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CN101472597A (zh) 核转录因子ap-1的表达抑制剂及使用其的药品和制品
KR100679853B1 (ko) 가죽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1168555A (ja) 鑑別方法
KR101892626B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11168555A5 (ko)
KR20160059271A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9691A (ko)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77889A (ko) 송엽 또는 송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069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두산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270290B1 (ko) 진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6957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236417B1 (ko) 호랑가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