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493A - 용지 접이 장치와,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및 용지 접기 방법 - Google Patents

용지 접이 장치와,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및 용지 접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493A
KR20180129493A KR1020170065627A KR20170065627A KR20180129493A KR 20180129493 A KR20180129493 A KR 20180129493A KR 1020170065627 A KR1020170065627 A KR 1020170065627A KR 20170065627 A KR20170065627 A KR 20170065627A KR 20180129493 A KR20180129493 A KR 20180129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ath
paper
guide
n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후카사와
김수연
박정규
신재현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9493A/ko
Priority to PCT/KR2018/000420 priority patent/WO2018216875A1/en
Publication of KR2018012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493A/ko
Priority to US16/694,247 priority patent/US1097492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18Oscillating or reciprocating blade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25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between two se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2Stationary guides or smoo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4Fold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16Rotary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5Folding, unfolding
    • B65H2301/452Folding, unfolding utilising rotary fo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65H2301/51611Binding processes involving at least a binding element traversing the handled material, e.g. stap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3Arrangements of rollers facing a transport surface
    • B65H2404/1531Arrangements of rollers facing a transport surface the transport surface being a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3Oscillating,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e.g. diverting means
    • B65H2404/631Juxtaposed diverting means with each an independant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개시된 용지 접이 장치는, 접이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을 지지하여 용지를 최초 접힘 위치에 정렬시키는 위치결정부재와, 서로 맞물려 접이 닙을 형성하고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접이 롤러와, 접이 경로 상의 용지를 접이 닙으로 밀어넣는 삽입 위치와 접이 경로로부터 도피된 후퇴 위치로 이동되는 푸쉬 부재와, 접이 닙을 통과한 용지를 접이 경로로 되돌리는 경로로서 한 쌍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에 마련되는 안내 경로와, 접이 닙의 출구에 위치되어 용지를 안내 경로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전환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용지 접이 장치와,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및 용지 접기 방법{sheet folding device, finish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sheet folding method }
시트 상의 매체를 접는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용지 접이 장치는 시트 상의 매체(이하, '용지'라 한다)를 다양한 형태로 접는다. 용지 접이 장치는 복사기, 프린터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후처리 장치에 채용될 수 있으며, 독립적인 장치(stand alone device)일 수도 있다.
용지 접이 장치는 용지를 한 번, 또는 두 번 이상 접을 수 있다. 용지를 두 번 이상 접기 위하여 둘 이상의 롤러 쌍이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지를 접는 횟수에 대응되는 갯수의 롤러 쌍이 채용되면,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장치의 가격 또한 높아질 수 있다.
구조가 간단하고 컴팩트한 용지 접이 장치와 방법,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용지 접이 장치는, 접이 경로; 상기 접이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을 지지하여 용지를 최초 접힘 위치에 정렬시키는 위치결정부재; 서로 맞물려 접이 닙을 형성하고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접이 롤러; 상기 접이 경로 상의 용지를 접이 닙으로 밀어넣는 삽입 위치와, 상기 접이 경로로부터 도피된 후퇴 위치로 이동되는 푸쉬 부재; 상기 접이 닙을 통과한 용지를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리는 경로로서,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에 마련되는 안내 경로; 상기 접이 닙의 출구에 위치되어 용지를 상기 안내 경로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전환부재;를 구비한다.
일 측면에 따른 후처리 장치는, 인쇄부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후처리 하는 후처리 장치로서, 전술한 용지 접이 장치;를 구비한다.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 제17항에 기재된 후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용지 접기 방법은, 접이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을 위치결정부재에 지지시켜 용지를 최초 접이 위치에 정렬시키는 단계; 쉬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접이 경로 상의 용지를 제1, 제2롤러가 맞물려 형성되는 접이 닙으로 밀어넣어 1회 접는 단계; 기 접이 닙을 통과하여 1회 접힌 용지를 상기 제1, 제2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를 돌아서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한 용지 접이 장치와,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형태의 용지 접기가 가능하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용지 접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제1전환부재가 제1전환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제2전환부재가 제2전환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V자 접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단순 4분할 접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Z자 접기 또는 3분할 접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C자 접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이중문 접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말아 접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W자 접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W자 접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용지 접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4는 용지 접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5는 용지 접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용지 접이 장치를 이용한 이중문 접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이중문 형태로 접힌 용지를 접이 닙으로 재진입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용지 접이 장치와 용지 접기 방법,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장치(100)와, 후처리 장치(finisher)(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인쇄장치(100)는 급지장치로부터 공급된 시트 상의 매체(이하, 용지라 한다.)에 화상을 인쇄한다. 급지 장치는, 예를 들어 인쇄장치(100)의 아래에 설치되는 주 카세트 급지 장치(main cassette feeder)(210), 주 카세트 급지 장치(main cassette feeder)(210)의 아래에 설치되는 부 카세트 급지 장치(secondary cassette feeder)(220), 주 카세트 급지 장치(main cassette feeder)(210)의 아래 또는 부 카세트 급지 장치(secondary cassette feeder)(220)의 아래에 설치되는 대용량 급지 장치(high capacity feeder)(230), 또는 인쇄장치(100)측부에 설치되는 대용량 급지 장치(high capacity feeder)(240) 등일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급지 장치는 다목적 트레이(MPT: multi-purpose tray)일 수도 있다.
인쇄장치(100)은 전자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열승화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P)에 칼라화상을 인쇄한다. 전술한 인쇄방식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캐너 장치(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300)는 원고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독취부재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방식과, 독취부재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방식과, 이들의 복합 방식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캐너 장치(300)의 원리와 구조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처리 장치(400)는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를 한 번 이상 접는 용지 접이 장치(700)를 구비할 수 있다. 후처리 장치(400)는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를 정렬하는 정렬 장치(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정렬 장치(500)는 용지(P)의 단부에 제본 핀(staple)을 박거나 천공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후처리 장치(400)는 용지(P)의 중앙부에 제본 핀(staple)을 박는 중철 제본장치(middle stapler)(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정렬 장치(500)와 중철 제본장치(600)의 구조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용지 접이 장치(700)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용지 접이 장치(700)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이 경로(710)와, 접이 롤러(720)가 도시되어 있다. 접이 롤러(720)는 접이 경로(710) 중에 위치된다. 접이 롤러(720)는 서로 맞물려 접이 닙(folding nip)(N)을 형성하고 회전되는 제1, 제2롤러(721)(722)를 포함한다. 접이 경로(N)를 기준으로 하여 제1롤러(721)는 상류측에, 제2롤러(722)는 하류측에 위치된다.
접이 닙(N)의 입구측에는 접이 경로(710) 상의 용지(P)를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 삽입 위치(도 2의 점선)와, 접이 경로(710)로부터 도피된 후퇴 위치(도 2의 실선)로 이동되는 푸쉬 부재(750)가 배치된다. 푸쉬 부재(750)는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751)에 의하여 삽입 위치와, 후퇴 위치로 이동된다. 액추에이터(751)는 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푸쉬 부재(750)가 삽입위치와 후퇴위치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푸쉬 부재(750)는 삽입 위치와 후퇴 위치로 회동될 수도 있다.
위치결정부재(740)는 접이 경로(710) 상의 용지(P)를 최초 접힘 위치에 정렬시킨다.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송된 용지(P)의 선단(PF)은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된다. 위치결정부재(740)는 승강부재(741)에 의하여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동된다. 위치결정부재(740)의 위치에 의하여 적어도 용지(P)의 최초의 접힘 위치가 결정된다. 위치결정부재(740)의 위치는 도시되지 않은 위치검출센서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승강부재(741)는 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 회전 모터와 직선이동기구의 조합, 회전 모터와 회전식 벨트 또는 체인의 조합 등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용지(P)의 1회 접기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한 장 또는 다수의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송되어 그 선단(PF)이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된다. 푸쉬 부재(750)가 삽입 위치로 이동되면서 용지(P)의 중앙부를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용지(P)가 접이 닙(N)으로 밀려들어가면서 1회 접혀서 접이 닙(N)의 출구로 나온다. 접힌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하여, V자 접기(V-fold)가 가능하다. 접는 위치는 위치결정부재(740)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지 접이 장치(700)는 하나의 접이 롤러(720)를 이용하여 2회 이상의 접기가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용지 접이 장치(700)는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접이 경로(710)로 다시 안내하여 접이 닙(N)의 입구 쪽으로 되돌려 보내는 안내경로와, 접이 닙(N)의 출구에 위치되어 용지(P)를 배출롤러(760)와 안내 경로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전환부재를 구비한다. 안내 경로는 제1롤러(721)와 제2롤러(722)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 경로는 제1롤러(721)와 제2롤러(722)의 주위에 각각 마련되는 제1안내 경로(761)와 제2안내경로(762)를 구비하며, 전환부재는 용지(P)를 제1안내 경로(761)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1전환부재(731)와 용지(P)를 제2안내 경로(762)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2전환부재(732)를 구비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제2전환부재(731)(732)를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마련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에는 용지(P)를 검출하는 제1, 제2센서(771)(77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센서(771)(772)는 2회째 또는 3회 이후의 접기 타이밍, 즉 푸쉬 부재(750)의 구동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참조부호로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에는 제1, 제2롤러(721)(722)와 맞물려 용기(P)를 이송시키는 종동 롤러들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롤러(721)와 제2롤러(722)가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일측 가이드를 형성한다. 즉,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는 제1, 제2안내 경로(761)(762)를 따라 제1, 제2롤러(721)(722)에 감기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접이 닙(N)의 출구 쪽으로 되돌려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용지(P)를 배출롤러(760)로 안내하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도 3과 도 4는 전환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전환부재(731)가 제1전환위치에 위치된다. 접이 닙(N)으로부터 나온 용지(P)는 제1전환부재(731)에 의하여 제1안내경로(761)로 안내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전환부재(732)가 제2전환위치에 위치된다. 접이 닙(N)으로부터 나온 용지(P)는 제2전환부재(732)에 의하여 제2안내경로(762)로 안내된다.
상술한 구성에 위하여, 1회 접힌 용지(P)를 제1안내경로(761) 또는 제2안내경로(762)를 통하여 접이 닙(N)의 입구 측으로 되돌리고, 다시 푸쉬 부재(750)를 이용하여 접이 닙(N)으로 밀어넣음으로써 2회 접기가 가능하다. 1회 접힌 용지(P)의 중앙부를 다시 한 번 접음으로써 단순 4분할 접기(4-fold)가 가능하다. 또한, 제1안내경로(761) 또는 제2안내경로(762)를 이용하여 2회 접기를 수행함으로서 3분할 접기인 C자 접기(C-fold) 또는 Z자 접기(Z-fold)가 가능하다. 또한, 용지(P)를 제1안내경로(761)와 제2안내경로(762)를 순차로 통과시키면서 3회 접기를 수행함으로써 이중문 접기(double gate fold), 말아 접기(roll fold), W자 접기(W-fold) 등이 가능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용지 접기 방법을 설명한다.
[V자 접기(V-fold)]
도 5는 V자 접기 과정을 보여준다. 도 5에서는 접이 롤러(720), 위치결정부재(740), 푸쉬 부재(750), 및 제1, 제2전환부재(731)(732)만이 간략하게 도시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740)는 접이 닙(N)의 입구측에 용지(P)의 중앙부가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즉, 접이 닙(N)으로부터 위치결정부재(740)까지의 거리는 용지(P)의 길이(L)의 1/2이다.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용지(P)를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송시킨다. 한 장 또는 다수의 용지(P)의 선단(PF)을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시킨다. 그런 다음,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½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5의 (b)). 용지(P)는 접이 닙(N)을 통과하면서 ½L 지점이 접힌다.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V자 형태로 접힌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배출된다(도 5의 (c)).
다수의 용지(P)는 중철 제본장치(600)에 의하여 중앙부에 제본 핀이 박힌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위치결정부재(740)는 도 5의 (a)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된 다수의 용지(P)의 선단(PF)이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되면, 다수의 용지(P)의 ½L 지점이 중철 제본장치(600)에 위치된다. 중철 제본장치(600)를 이용하여 다수의 용지(P)의 ½L 지점에 제본 핀을 박는다. 그런 다음, 위치결정부재(740)를 도 5의 (a)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다수의 용지(P)의 ½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5의 (b)).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다수의 용지(P)는 접이 닙(N)을 통과하면서 ½L 지점이 접힌다.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V자 형태로 접힌 다수의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배출된다(도 5의 (c)).
[단순 4분할 접기(4-fold)]
도 6은 단순 4분할 접기 과정을 보여준다. 도 6에서는 접이 롤러(720), 위치결정부재(740), 푸쉬 부재(750), 및 제1, 제2전환부재(731)(732)만이 간략하게 도시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740)는 접이 닙(N)의 입구측에 용지(P)의 ½L 지점이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용지(P)를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송시킨다. 한 장 또는 다수의 용지(P)의 선단(PF)을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시킨다. 그런 다음,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½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6의 (b)). 용지(P)는 접이 닙(N)을 통과하면서 ½L 지점이 접힌다.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안내경로(761) 또는 제2안내경로(762)를 따라 이송시켜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전환부재(732)를 제2전환위치에 위치시키고, 제2안내경로(762)를 따라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6의 (c), (d)).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역방향으로 이송되어 1회 접힌 용지(P)의 중앙부, 즉 용지(P)의 ¼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6의 (e)),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¼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6의 (f)).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2회 접힌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배출된다(도 6의 (g)).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Z자 접기(Z-fold) 또는 3분할 접기(3-fold outside)]
도 7은 Z자 접기 또는 3분할 접기 과정을 보여준다. 도 7에서는 접이 롤러(720), 위치결정부재(740), 푸쉬 부재(750), 및 제1, 제2전환부재(731)(732)만이 간략하게 도시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740)는 접이 닙(N)의 입구측에 용지(P)의 ¼L 지점(3분할 접기의 경우 ⅓L 지점)이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용지(P)를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송시킨다. 한 장 또는 다수의 용지(P)의 선단(PF)을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시킨다. 그런 다음,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¼L 지점(3분할 접기의 경우 ⅓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7의 (b)). 용지(P)는 접이 닙(N)을 통과하면서 ¼L 지점(3분할 접기의 경우 ⅓L 지점)이 접힌다.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 제2롤러(721)(722) 중에서 용지(P)의 선단(PF)이 위치된 쪽의 롤러, 즉 제2롤러(722)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2전환부재(732)를 제2전환위치에 위치시키고, 제2안내경로(762)를 따라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7의 (c), (d)).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역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½L 지점(3분할 접기의 경우 ⅔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7의 (e)),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½L 지점(3분할 접기의 경우 ⅔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7의 (f)).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Z자 형태(3분할 형태)로 접힌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배출된다(도 7의 (g)).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C자 접기(C-fold)]
도 8은 C자 접기 과정을 보여준다. 도 8에서는 접이 롤러(720), 위치결정부재(740), 푸쉬 부재(750), 및 제1, 제2전환부재(731)(732)만이 간략하게 도시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740)는 접이 닙(N)의 입구측에 용지(P)의 ⅓L 지점이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용지(P)를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송시킨다. 한 장 또는 다수의 용지(P)의 선단(PF)을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시킨다. 그런 다음,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⅓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8의 (b)). 용지(P)는 접이 닙(N)을 통과하면서 ⅓L 지점이 접힌다.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 제2롤러(721)(722) 중에서 용지(P)의 선단(PF)의 반대쪽의 롤러, 즉 제1롤러(721)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1전환부재(731)를 제1전환위치에 위치시키고, 제1안내경로(761)를 따라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8의 (c), (d)).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⅔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8의 (e)),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⅔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8의 (f)).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C자 형태로 접힌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배출된다(도 8의 (g)).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중문 접기(double gate fold)]
도 9는 이중문 접기 과정을 보여준다. 도 9에서는 접이 롤러(720), 위치결정부재(740), 푸쉬 부재(750), 및 제1, 제2전환부재(731)(732)만이 간략하게 도시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740)는 접이 닙(N)의 입구측에 용지(P)의 ¼L 지점이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용지(P)를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송시킨다. 한 장 또는 다수의 용지(P)의 선단(PF)을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시킨다. 그런 다음,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¼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9의 (b)). 용지(P)는 접이 닙(N)을 통과하면서 ¼L 지점이 접힌다.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 제2롤러(721)(722) 중에서 용지(P)의 선단(PF)의 반대쪽의 롤러, 즉 제1롤러(721)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1전환부재(731)를 제1전환위치에 위치시키고, 제1안내경로(761)를 따라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9의 (c), (d)).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¾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9의 (e)),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¾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9의 (f)).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두 번째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 제2롤러(721)(722) 중에서 용지(P)의 선단(PF)의 반대쪽의 롤러, 즉 제2롤러(722)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2전환부재(732)를 제2전환위치에 위치시키고, 제2안내경로(762)를 따라 두 번째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9의 (g)).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역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½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9의 (h)),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½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9의 (i)).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중문 형태로 접힌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배출된다(도 9의 (j)).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말아 접기(roll-fold)]
도 10은 말아 접기 과정을 보여준다. 도 10에서는 접이 롤러(720), 위치결정부재(740), 푸쉬 부재(750), 및 제1, 제2전환부재(731)(732)만이 간략하게 도시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740)는 접이 닙(N)의 입구측에 용지(P)의 ¼L 지점이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용지(P)를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송시킨다. 한 장 또는 다수의 용지(P)의 선단(PF)을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시킨다. 그런 다음,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¼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0의 (b)). 용지(P)는 접이 닙(N)을 통과하면서 ¼L 지점이 접힌다.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 제2롤러(721)(722) 중에서 용지(P)의 선단(PF)의 반대쪽의 롤러, 즉 제1롤러(721)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1전환부재(731)를 제1전환위치에 위치시키고, 제1안내경로(761)를 따라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10의 (c), (d)).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½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10의 (e)),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½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0의 (f)).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두 번째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다시 제1롤러(721)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1전환부재(731)는 제1전환위치에 유지된다. 제1안내경로(761)를 따라 두 번째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10의 (g)).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¾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10의 (h)),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¾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0의 (i)).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말아 접기 형태로 접힌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배출된다(도 10의 (j)).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W자 접기(W-fold)]
도 11은 W자 접기 과정을 보여준다. 도 11에서는 접이 롤러(720), 위치결정부재(740), 푸쉬 부재(750), 및 제1, 제2전환부재(731)(732)만이 간략하게 도시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740)는 접이 닙(N)의 입구측에 용지(P)의 ¼L 지점이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용지(P)를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송시킨다. 한 장 또는 다수의 용지(P)의 선단(PF)을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시킨다. 그런 다음,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¼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1의 (b)). 용지(P)는 접이 닙(N)을 통과하면서 ¼L 지점이 접힌다.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 제2롤러(721)(722) 중에서 용지(P)의 선단(PF)의 반대쪽의 롤러, 즉 제1롤러(721)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1전환부재(731)를 제1전환위치에 위치시키고, 제1안내경로(761)를 따라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11의 (c), (d)).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¾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11의 (e)),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¾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1의 (f)).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두 번째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다시 제1롤러(721)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1전환부재(731)는 제1전환위치에 유지된다. 두 번째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안내경로(761)를 따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11의 (g)).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½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11의 (h)),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½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1의 (i)).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W자 형태로 접힌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배출된다(도 11의 (j)).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W자 접기(W-fold)의 다른 방법]
도 12는 W자 접기의 다른 방법을 보여준다. 도 12에서는 접이 롤러(720), 위치결정부재(740), 푸쉬 부재(750), 및 제1, 제2전환부재(731)(732)만이 간략하게 도시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740)는 접이 닙(N)의 입구측에 용지(P)의 ¼L 지점이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용지(P)를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송시킨다. 한 장 또는 다수의 용지(P)의 선단(PF)을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시킨다. 그런 다음,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¼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2의 (b)). 용지(P)는 접이 닙(N)을 통과하면서 ¼L 지점이 접힌다.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 제2롤러(721)(722) 중에서 용지(P)의 선단(PF) 쪽의 롤러, 즉 제2롤러(722)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2전환부재(732)를 제2전환위치에 위치시키고, 제2안내경로(762)를 따라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12의 (c), (d)).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역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½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12의 (e)),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½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2의 (f)).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두 번째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롤러(721)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1전환부재(731)는 제1전환위치에 유지된다. 두 번째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안내경로(761)를 따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12의 (g)).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¾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12의 (h)),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¾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2의 (i)).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W자 형태로 접힌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배출된다(도 12의 (j)).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4분할 접기와 Z자 접기 및 W자 접기(첫번째 방법)가 가능하기 위하여는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길이가 적용 가능한 최대 용지(P)의 길이(L) 1/2 이상이 되어야 한다.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길이라 함은,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가 제1, 제2안내 경로(761)(762)를 따라 다시 접이 닙(N)에 도달되기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롤러(721)(722)가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일측 가이드를 형성하므로, 제1, 제2롤러(721)(722)의 외주의 길이가 적용 가능한 최대 용지(P)의 길이(L)의 1/2 이상이 되어야 한다.
단순 3분할 접기가 가능하기 위하여는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길이가 적용 가능한 최대 용지(P)의 길이(L)의 1/3 이상이 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롤러(721)(722)가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일측 가이드를 형성하므로, 제1, 제2롤러(721)(722)의 외주의 길이가 적용 가능한 최대 용지(P)의 길이(L)의 1/3 이상이 되어야 한다.
C자 접기가 가능하기 위하여는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길이가 적용 가능한 최대 용지(P)의 길이(L)의 2/3 이상이 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롤러(721)(722)가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일측 가이드를 형성하므로, 제1, 제2롤러(721)(722)의 외주의 길이가 적용 가능한 최대 용지(P)의 길이(L)의 2/3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중문 접기, 말아 접기, 및 W자 접기(두번째 방법)가 가능하기 위하여는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길이가 적용 가능한 최대 용지(P)의 길이(L)의 3/4 이상이 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롤러(721)(722)가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일측 가이드를 형성하므로, 제1, 제2롤러(721)(722)의 외주의 길이가 적용 가능한 최대 용지(P)의 길이(L)의 3/4 이상이 되어야 한다.
전술한 관계를 감안하면, 제1, 제2안내경로(761)(762)의 길이는 적어도 적용 가능한 최대 용지(P)의 길이(L)의 1/3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제1, 제2롤러(721)(722)가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일측 가이드를 형성하는 경우, 제1, 제2롤러(721)(722)의 외주의 길이를 적용 가능한 최대 용지(P)의 길이(L)의 1/3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3은 용지 접이 장치(700a)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용지 접이 장치(700a)는 제1, 제2안내 경로(761)(762)가 제1외측 가이드(761a)와 제1내측 가이드(761b) 및 제2외측 가이드(762a)와 제2내측 가이드(762b)에 의하여 각각 정의되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용지 접이 장치(700)와 차이가 있다. 참조부호로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에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면서 제1, 제2안내 경로(761)(762)를 따라 용지(P)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 쌍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용지 접이 장치(700)에 적용된 제1, 제2롤러(721)(722)의 외주의 길이에 대한 제한이 본 실시예의 용지 접이 장치(700a)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제2롤러(721)(722)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다만, 제1, 제2안내 경로(761)(762)의 길이는 접이 방식에 따라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도 14는 용지 접이 장치(700b)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용지 접이 장치(700b)는 안내 경로가 내측 안내경로와 외측 안내경로를 구비하는 점과, 접이 닙(N)을 통과하여 전환부재에 의하여 안내 경로로 안내된 용지를 내측 안내경로와 외측 안내경로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게이트 부재는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용지 접이 장치(700)와 차이가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안내 경로(761)는 제1내측 안내 경로(761-1)와 제1외측 안내경로(761-2)를 구비한다. 제1내측 안내 경로(761-1)는 제1롤러(721)에 인접하는 경로이며, 제1외측 안내경로(761-2)는 제1내측 안내 경로(761-1)의 외측에 위치된다. 제1롤러(721)의 외주는 제1내측 안내 경로(761-1)의 일측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가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질 때의 용지(P)의 이송 거리는 제1외측 안내경로(761-2)를 통과하는 경우가 제1내측 안내 경로(761-1)를 통과하는 경우보다 길다. 제1게이트 부재(733)는 제1전환부재(731)에 의하여 제1안내 경로(761)로 안내된 용지(P)를 선택적으로 제1내측 안내 경로(761-1)와 제1외측 안내경로(761-2)로 안내한다. 예를 들어, 제1게이트 부재(733)는 용지(P)를 제1내측 안내 경로(761-1)와 안내하는 위치(실선으로 도시)와 제1외측 안내경로(761-2)로 안내하는 위치(점선으로 도시)로 회동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게이트 부재(773)는 솔레노이드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안내 경로(762)는 제2내측 안내 경로(762-1)와 제2외측 안내경로(762-2)를 구비한다. 제2내측 안내 경로(762-1)는 제2롤러(722)에 인접하는 경로이며, 제2외측 안내경로(762-2)는 제2내측 안내 경로(762-1)의 외측에 위치된다. 제2롤러(722)의 외주는 제2내측 안내 경로(762-1)의 일측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가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질 때의 용지(P)의 이송 거리는 제2외측 안내경로(762-2)를 통과하는 경우가 제2내측 안내 경로(762-1)를 통과하는 경우보다 길다. 제2게이트 부재(734)는 제2전환부재(732)에 의하여 제2안내 경로(762)로 안내된 용지(P)를 선택적으로 제2내측 안내 경로(762-1)와 제2외측 안내경로(762-2)로 안내한다. 예를 들어, 제2게이트 부재(734)는 용지(P)를 제2내측 안내 경로(762-1)와 안내하는 위치(실선으로 도시)와 제2외측 안내경로(762-2)로 안내하는 위치(점선으로 도시)로 회동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게이트 부재(773)는 솔레노이드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참조부호로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제2내측 안내 경로(761-1)(762-1)에는 제1, 제2롤러(721)(722)와 맞물려 회전되면서 제1, 제2내측 안내 경로(761-1)(762-1)를 따라 용지(P)를 이송시키는 종동 롤러들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참조부호로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제2외측 안내 경로(761-2)(762-2)에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면서 제1, 제2외측 안내 경로(761-2)(762-2)를 따라 용지(P)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 쌍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이 방식에 따른 안내 경로의 길이 조건을 충족하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어서, 다양한 방식으로 접기가 가능하다. 또한, 길이가 짧은 용지(P)는 제1, 제2내측 안내 경로(761-1)(762-1)로 안내할 수 있으며, 길이가 긴 용지(P)는 제1, 제2외측 안내 경로(761-2)(762-2)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용지(P)를 다양한 방식으로 접을 수 있다.
제1, 제2외측 안내 경로(761-2)(762-2)의 곡률반경은 제1, 제2내측 안내 경로(761-1)(762-1)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용지(P)의 두께나 강성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한 안내 경로로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껍거나 강성이 큰 용지(P)는 곡률반경이 큰 제1, 제2외측 안내 경로(761-2)(762-2)로 안내하고, 얇거나 강성이 작은 용지(P)는 곡률반경이 작은 제1, 제2외측 안내 경로(761-2)(762-2)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5는 용지 접이 장치(700c)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용지 접이 장치(700c)는 안내 경로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용지(P)를 접이 경로(710)로 안내하는 안내 위치와, 안내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위치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용지 접이 장치(700)와 차이가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 부재(781)는 제1안내 경로(761)의 출구측에 위치된다. 제1가이드 부재(781)는 제1도피 위치(a1)로부터 제1안내 위치(b1)로 이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 부재(781)는 제1롤러(721)의 회전축에 제1도피 위치(a1)와 제2안내 위치(b1)로 회동되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가이드 부재(781)는 엑추에이터에 의하여 제1도피 위치(a1)와 제1안내 위치(b1)로 회동된다.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회전 모터일 수 있다. 회전 모터는 예를 들어 기어에 의하여 제1가이드 부재(78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안내 위치(b1)에서 제1가이드 부재(781)는 제1안내 경로(761)를 따라 이송된 용지(P)가 접이 경로(710)로 안정적으로 진입되도록 용지(P)를 안내한다.
제2가이드 부재(782)는 제2안내 경로(762)의 출구측에 위치된다. 제2가이드 부재(782)는 제2도피 위치(a2)로부터 제2안내 위치(b2)로 이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가이드 부재(782)는 제2롤러(722)의 회전축에 제2도피 위치(a2)와 제2안내 위치(b1)로 회동되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가이드 부재(782)는 엑추에이터에 의하여 제2도피 위치(a2)와 제2안내 위치(b2)로 회동된다.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회전 모터일 수 있다. 회전 모터는 예를 들어 기어에 의하여 제2가이드 부재(78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안내 위치(b2)에서 제2가이드 부재(782)는 제2안내 경로(762)를 따라 이송된 용지(P)가 접이 경로(710)로 안정적으로 진입되도록 용지(P)를 안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안내 경로로부터 나온 용지(P)가 안정적으로 접이 경로(710)로 진입되도록 할 수 있어, 2회째 이후의 접기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부재(781)는 제1차단 위치(c1)를 더 가질 수 있다. 제1차단 위치(c1)는 제2안내 경로(762)로부터 나와서 접이 경로(710)를 따라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P)가 제1안내 경로(761)의 출구를 통하여 제1안내 경로(761)로 역방향으로 진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위치이다. 마찬가지로, 제2가이드 부재(782)는 제2차단 위치(c2)를 더 가질 수 있다. 제2차단 위치(c2)는 제1안내 경로(761)로부터 나와서 접이 경로(710)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P)가 제2안내 경로(762)의 출구를 통하여 제2안내 경로(762)로 역방향으로 진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위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제2안내 경로(761)(762)로부터 나온 용지(P)가 제2, 제1안내 경로(762)(761)로 역방향으로 진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어, 용지 접이 장치의 작동 에러를 방지하고, 용지 접이 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용지 접이 장치(700c)를 이용한 이중문 접기 과정을 보여준다. 도 16에서는 접이 롤러(720), 위치결정부재(740), 푸쉬 부재(750), 제1, 제2전환부재(731)(732), 및 제1, 제2가이드 부재(781)(782)만이 간략하게 도시된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740)는 접이 닙(N)의 입구측에 용지(P)의 ¼L 지점이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제1가이드 부재(781)는 제1안내 위치(b1)에 위치되며, 제2가이드 부재(782)는 접이 경로(710)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P)가 제2안내 경로(762)의 출구를 통하여 진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차단 위치(c2)에 위치된다. 인쇄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용지(P)를 접이 경로(710)를 따라 이송시킨다. 한 장 또는 다수의 용지(P)의 선단(PF)을 위치결정부재(740)에 지지시킨다. 제1가이드 부재(781)는 제1도피 위치(a1)로, 제2가이드 부재(782)는 제2도피 위치(a2)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¼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6의 (b)). 용지(P)는 접이 닙(N)을 통과하면서 ¼L 지점이 접힌다.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 제2롤러(721)(722) 중에서 용지(P)의 선단(PF)의 반대쪽의 롤러, 즉 제1롤러(721)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1전환부재(731)를 제1전환위치에 위치시키고,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1안내경로(761)를 따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때, 제1가이드 부재(781)는 용지(P)를 접이 경로(710)로 안내하는 제1안내 위치(b1)에 위치되며, 제2가이드 부재(782)는 접이 경로(710)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P)가 제2안내 경로(762)로 진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차단 위치(c2)에 위치된다(도 16의 (c), (d)).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¾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16의 (e)), 제1, 제2가이드 부재(781)(782)를 각각 제1, 제2도피 위치(a1)(a2)로 이동시키고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¾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6의 (f)).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제, 두 번째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제2롤러(722)의 주위를 따라 이송하여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 이를 위하여, 제2전환부재(732)를 제2전환위치에 위치시키고, 제2안내경로(762)를 따라 두 번째로 접이 닙(N)을 통과한 용지(P)를 접이 닙(N)의 입구로 되돌려보낸다(도 16의 (g)). 제2가이드 부재(782)는 제2안내 위치(b2)에 위치되며, 제1가이드 부재(781)는 접이 경로(710)를 따라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P)가 제1안내 경로(761)의 출구를 통하여 진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차단 위치(c1)에 위치된다. 용지(P)가 접이 경로(710)를 따라 역방향으로 이송되어 용지(P)의 ½L 지점이 접이 닙(N) 부근에 도달되면(도 16의 (h)), 제1, 제2가이드 부재(781)(782)를 각각 제1, 제2도피 위치(a1)(a2)로 이동시키고 푸쉬 부재(75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용지(P)의 ½L 지점을 접이 닙(N)으로 밀어넣는다(도 16의 (i)).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중문 형태로 접힌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배출된다(도 16의 (j)). 푸쉬 부재(750)는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제1, 제2가이드 부재(781)(782)의 제1, 제2차단 위치(c1)(c2)는 각각 제1, 제2안내 경로(761)(762)로부터 나온 용지(P)가 다시 접이 닙(N)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하는 위치일 수도 있다. 물론, 제1, 제2가이드 부재(781)(782)는 제1, 제2차단 위치(c1)(c2)와는 별도로 제1, 제2안내 경로(761)(762)로부터 나온 용지(P)를 다시 접이 닙(N)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하는 제1, 제2재진입 위치를 더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지(P)의 접이 닙(N)에의 재진입에 의하면, 접힌 용지(P)를 한 번 더 제1, 제2롤러(721)(722) 사이에서 눌러서 강한 접이 선을 넣을 수 있다.
도 17은 이중문 형태로 접힌 용지(P)를 접이 닙(N)으로 재진입시키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6의 (i)과정 후에,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전환 부재(731)를 제1전환위치로 전환시켜, 이중문 형태로 접힌 용지(P)를 제1안내 경로(761)로 진입시킨다. 그런 다음, 제1가이드 부재(781)를 제1차단위치(c1)(또는 제1재진입 위치(d1))로 이동시킨다(도 17의 (b)). 그러면,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내 경로(761)로부터 나온 용지(P)는 다시 접이 닙(N)으로 재진입된다. 이때, 제1, 제2전환부재(731)(732)는 배출 위치에 위치되며, 용지(P)는 배출롤러(760)에 의하여 배출된다(도 17의 (d)). 필요에 따라서는 도 17의 (a) 내지 (c)단계가 2회 이상 수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재진입 과정은 4분할 접기, Z자 접기, W자 접기, 단순 3분할 접기, C자 접기, 이중문 접기, 및 말아 접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인쇄장치 210...주 카세트 급지 장치
220...부 카세트 급지 장치 230, 240...대용량 급지 장치
300...스캐너 장치 400...후처리 장치
500...정렬 장치 600...중철 제본 장치
700, 700a, 700b, 700c...용지 접이 장치
710...접이 경로 720...접이 롤러
721, 722...제1, 제2롤러 730...전환부재
731, 732...제1, 제2전환부재 733, 734...제1, 제2게이트 부재
740...위치결정부재 741...승강 부재
750...푸쉬 부재 751...액추에이터
760...배출롤러 761, 762...제1, 제2안내경로
761-1, 762-1...제1, 제2내측 경로 761-2, 762-2...제1, 제2외측 경로
771, 772...제1, 제2센서 781, 782...제1, 제2가이드 부재
N...접이 닙

Claims (29)

  1. 접이 경로;
    상기 접이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을 지지하여 용지를 최초 접힘 위치에 정렬시키는 위치결정부재;
    서로 맞물려 접이 닙을 형성하고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접이 롤러;
    상기 접이 경로 상의 용지를 접이 닙으로 밀어넣는 삽입 위치와, 상기 접이 경로로부터 도피된 후퇴 위치로 이동되는 푸쉬 부재;
    상기 접이 닙을 통과한 용지를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리는 경로로서,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에 마련되는 안내 경로;
    상기 접이 닙의 출구에 위치되어 용지를 상기 안내 경로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전환부재;를 구비하는 용지 접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로의 길이는 최대 용지 길이의 1/3 이상인 용지 접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안내 경로의 내측 가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상기 안내 경로의 내측 가이드를 형성하는 롤러의 외주의 길이는 최대 용지 길이의 1/3 이상인 용지 접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로는 상기 롤러에 인접한 내측 경로와, 상기 내측 경로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경로를 포함하는 용지 접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용지를 상기 내측 경로와 외측 경로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게이트 부재;를 더 구비하는 용지 접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로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상기 접이 경로로 안내하는 안내 위치와, 상기 안내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는 용지 접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상기 안내 경로가 배치된 롤러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용지 접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안내 경로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상기 접이 닙으로 재진입시키는 재진입 위치로 이동 가능한 용지 접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접이 경로 상의 용지가 상기 안내 경로로 역방향으로 진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이동 가능한 용지 접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제1롤러와 제2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경로는 상기 제1롤러의 주위에 마련되는 제1안내경로와, 상기 제2롤러의 주위에 마련되는 제2안내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접이 닙을 통과한 용지를 상기 제1안내 경로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1전환부재와, 상기 제2안내 경로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2전환부재를 구비하는 용지 접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안내 경로의 길이는 최대 용지 길이의 1/3 이상인 용지 접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롤러는 상기 안내 경로의 내측 가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제2롤러의 외주의 길이는 최대 용지 길이의 1/3 이상인 용지 접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 경로와 상기 제2안내 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되는 롤러에 인접한 내측 경로와, 상기 내측 경로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 접이 장치는, 용지를 상기 내측 경로와 외측 경로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게이트 부재;를 더 구비하는 용지 접이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안내 경로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상기 접이 경로로 안내하는 안내 위치와, 상기 안내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이동가능한 제1, 제2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는 용지 접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제2안내 경로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상기 접이 닙으로 재진입시키는 재진입 위치로 이동 가능한 용지 접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가이드 부재는 상기 접이 경로 상의 용지가 상기 제1, 제2안내 경로로 역방향으로 진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이동 가능한 용지 접이 장치.
  17. 인쇄부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후처리 하는 후처리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지 접이 장치;를 구비하는 후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로부터 나오는 용지를 정렬시키는 정렬 장치;를 더 구비하는 후처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접이 장치의 상류측에 위치되어 용지에 제본 핀을 박는 중철 제본장치;를 더 구비하는 후처리 장치.
  20.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
    제17항에 기재된 후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접이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을 위치결정부재에 지지시켜 용지를 최초 접이 위치에 정렬시키는 단계;
    푸쉬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접이 경로 상의 용지를 제1, 제2롤러가 맞물려 형성되는 접이 닙으로 밀어넣어 1회 접는 단계;
    상기 접이 닙을 통과하여 1회 접힌 용지를 상기 제1, 제2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를 돌아서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지 접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에는 접이 닙을 나온 용지를 상기 접이 경로로 안내하는 안내 경로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 경로는 상기 제1, 제2롤러 중 대응되는 롤러에 인접한 내측 경로와 상기 내측 경로의 외측에 위치되는 내측 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리는 단계는 용지의 길이와 두께와 강성에 따라서 상기 내측 경로와 상기 외측 경로로 선택적으로 용지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지 접기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경로로 돌리는 단계는, 상기 제1, 제2롤러 중 상기 1회 접힌 용지의 선단이 위치되는 쪽의 롤러의 주위를 돌아서 용지를 되돌리는 용지 접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려진 용지를 상기 푸쉬 부재를 이용하여 다시 상기 접이 닙으로 밀어넣는 2회 접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용지 접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2회 접힌 용지를 상기 제1, 제2롤러 중 상기 1회 접힌 용지의 선단이 위치되는 쪽의 롤러의 반대쪽 롤러의 주위를 돌아서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리는 단계;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려진 용지를 상기 푸쉬 부재를 이용하여 다시 상기 접이 닙으로 밀어넣는 3회 접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용지 접기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경로로 돌리는 단계는, 상기 제1, 제2롤러 중 상기 1회 접힌 용지의 선단이 위치되는 쪽의 반대쪽 롤러의 주위를 돌아서 용지를 되돌리는 용지 접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려진 용지를 상기 푸쉬 부재를 이용하여 다시 상기 접이 닙으로 밀어넣는 2회 접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용지 접기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2회 접힌 용지를 상기 제1, 제2롤러 중 상기 1회 접힌 용지의 선단이 위치되는 쪽의 롤러의 주위를 돌아서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리는 단계;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려진 용지를 상기 푸쉬 부재를 이용하여 다시 상기 접이 닙으로 밀어넣는 3회 접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용지 접기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2회 접힌 용지를 상기 제1, 제2롤러 중 상기 1회 접힌 용지의 선단이 위치되는 쪽의 반대쪽 롤러의 주위를 돌아서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리는 단계;
    상기 접이 경로로 되돌려진 용지를 상기 푸쉬 부재를 이용하여 다시 상기 접이 닙으로 밀어넣는 3회 접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용지 접기 방법.
KR1020170065627A 2017-05-26 2017-05-26 용지 접이 장치와,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및 용지 접기 방법 KR20180129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627A KR20180129493A (ko) 2017-05-26 2017-05-26 용지 접이 장치와,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및 용지 접기 방법
PCT/KR2018/000420 WO2018216875A1 (en) 2017-05-26 2018-01-09 Sheet folding based on a single folding roller
US16/694,247 US10974921B2 (en) 2017-05-26 2019-11-25 Sheet folding based on a single folding 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627A KR20180129493A (ko) 2017-05-26 2017-05-26 용지 접이 장치와,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및 용지 접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493A true KR20180129493A (ko) 2018-12-05

Family

ID=6439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627A KR20180129493A (ko) 2017-05-26 2017-05-26 용지 접이 장치와,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및 용지 접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74921B2 (ko)
KR (1) KR20180129493A (ko)
WO (1) WO2018216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319A (ko) * 2017-08-28 2019-03-0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용지 접이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N110288756B (zh) * 2018-03-13 2021-12-21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输送装置及现金循环处理设备
KR20200029864A (ko) * 2018-09-11 2020-03-1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이송 롤러가 접이 롤러 주위로 부분적으로 회전 가능한 용지 접이 장치
JP7433899B2 (ja) * 2019-12-26 2024-02-20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6556A (en) * 1990-07-31 1991-12-31 Xerox Corporation Compact, single fold plate, bi-roll folder, with z-fold capability
US5769774A (en) * 1996-04-22 1998-06-23 Pitney Bowes Inc. Folder with recycling feed path
DE10143042A1 (de) * 2000-09-08 2002-05-02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richtung zum Falzen von Druckexemplaren
US6592506B1 (en) * 2002-06-25 2003-07-15 Pitney Bowes Inc. Folder apparatus
US6939283B2 (en) * 2003-08-12 2005-09-06 Xerox Corporation Booklet maker with flexible gate upstream of crease rolls
US7101332B2 (en) * 2003-10-09 2006-09-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heet folding and trimming apparatus
JP2007153617A (ja) * 2005-11-11 2007-06-21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302383A (ja) * 2006-05-10 2007-11-22 Horizon International Inc 紙折装置
JP5564976B2 (ja) * 2010-02-22 2014-08-06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後処理装置
EP2746205B2 (en) * 2012-12-18 2017-08-23 Neopost Technologies Loop folding system for providing c, z or half-fold sheets
JP6089690B2 (ja) * 2012-12-26 2017-03-08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497083B2 (ja) * 2014-05-12 2019-04-10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
US10899573B2 (en) * 2018-03-19 2021-01-26 Ricoh Company, Ltd. Folding device with skew cor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87100A1 (en) 2020-03-19
US10974921B2 (en) 2021-04-13
WO2018216875A1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9493A (ko) 용지 접이 장치와, 이를 채용한 후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및 용지 접기 방법
US8590880B2 (en) Sheet folding apparatus and image formation system provided with the apparatus
US8585032B2 (en) Sheet folding apparatus and image formation system provided with the apparatus
US8256757B2 (en) Sheet folding apparatus with skew correction mechanism and image formation system provided with the sheet folding apparatus
US8777824B2 (en) Sheet fol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folding method
JP5625354B2 (ja) シート状媒体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225391B2 (en) Sheet folding device with conveying roller capable of partially rotating around folding roller
JP2014076877A (ja) シート折り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9751274B2 (en) Sheet folding apparatus and image formation system provided with the apparatus
JP2011184147A (ja) 用紙後処理装置
JP6079260B2 (ja) シート折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83650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4204906B2 (ja) シート加工装置
JP4533840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90023319A (ko) 용지 접이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11093689A (ja) シート折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5446831B2 (ja) 用紙折り装置
WO2022168751A1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シート後処理装置
JP5549373B2 (ja) シート折り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折り方法
JP7271225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595009B2 (ja) シート折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4931731B2 (ja) シート搬送ユニット、シート後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シート搬送方法
JP2011195255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30286B2 (ja) 紙折り装置
JP5716907B2 (ja) シート折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