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965A - 중계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중계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965A
KR20180127965A KR1020187021394A KR20187021394A KR20180127965A KR 20180127965 A KR20180127965 A KR 20180127965A KR 1020187021394 A KR1020187021394 A KR 1020187021394A KR 20187021394 A KR20187021394 A KR 20187021394A KR 20180127965 A KR20180127965 A KR 20180127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erminal equipment
equipment
pdu
remo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펭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2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0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t the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복잡도를 낮추고 지연을 감소할 수 있는 중계 전송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며, 상기 방법은 중계 단말 장비가, 송신단 장비로부터 수신단 장비에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RNTI을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다.

Description

중계 전송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계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 간(Device-to-Device, D2D) 기술은 인접한 단말 장비가 근거리 범위 내에서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포워딩할 필요가 없이 직접 링크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D2D 통신은 셀룰러 시스템과 허가 주파수대 자원을 공유하고 통일된 셀룰러-D2D 혼합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네트워크에서, 일부 단말 장비는 여전히 셀룰러 통신 모드에서 작동되고(즉,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다른 단말 장비와 통신함), 일부 단말 장비는 D2D 통신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다(즉, 다른 단말 장비와의 직접 링크를 통해 다른 단말 장비와 데이터의 직접 전송을 진행함).
또한, D2D 릴레이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와 단말 장비 간의 데이터 전송을 보조할 수 있다. 이때, D2D 릴레이와 D2D 단말기 간에는 D2D 통신 모드를 적용하고, D2D 릴레이와 네트워크 장비 간에는 셀룰러 통신 모드를 사용한다. D2D 릴레이는 반이중(half duplex)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포워딩하며, 수신하고 포워딩하는 과정에서 모드 전환을 진행한다.
종래 기술에서, D2D 릴레이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계층(즉 레이어 3)을 통해 D2D 단말기와 네트워크 장비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며,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대해, 레이어 1(즉 물리계층), 레이어 2(매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을 포함함) 및 레이어 3을 차례로 거쳐 역 캡슐화 처리를 수행하고, 레이어 3, 레이어 2 및 레이어 1의 캡슐화 처리를 차례로 거쳐 데이터의 중계를 구현하며, 복잡도가 높고 데이터 처리 지연이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계(relay) 전송의 처리 복잡도를 낮추고 데이터 지연을 감소할 수 있는 중계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측면은 중계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중계 단말 장비가, 송신단 장비로부터 수신단 장비에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first layer-2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RNTI)을 이용하여 스크램블링한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second layer-2 PDU)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중계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user-plane protocol stack)은 레이어 1 및 레이어 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어 2는 MAC 계층만 포함하거나 또는, RLC 계층 및 PDCP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레이어 3(즉 IP 계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 또는 RNTI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포워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측은 레이어 2에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 2에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제2 레이어 2 PDU를 얻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단 장비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 또는 RNTI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 2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고,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포워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한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에 따라 할당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리포트(Buffer Status Report, BSR)에 따라 할당한 것일 수 있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레이어 2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MAC 계층, PDCP 계층 및 RLC 계층 중 하나에 설정(configure)되거나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계층은 MAC 계층과 PDCP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적응계층에 설정된다.
이때, 선택적으로,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예를 들어, 레이어 2 식별자)가 적응계층에 설정되면, 즉 적응계층에서 캡슐화와 식별을 진행하면,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하며, 적응계층에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레이어 2에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식별하지 않고,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직접 캡슐화 처리하여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는 제2 레이어 2 PDU에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fier)를 포함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중계 데이터가 포함됨을 확정하고, 적응계층에서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하여,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상기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중계 데이터가 포함됨을 확정하고, 적응계층에서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자신에게 송신된 것인지를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레이어 2 식별자에 대응하는 단말 장비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상기 대응하는 단말 장비 식별자가 포함된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프리앰블에 따라 송신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그랜트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포함함 -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BSR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BSR에 따라 송신한 PDCCH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PDCCH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함 -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PDCCH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PDCCH는 업링크 그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PDCCH 중의 업링크 그랜트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상기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 식별자에 대응하는 레이어 2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상기 대응하는 레이어 2 식별자가 포함된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와 상기 제2 레이어 2 PDU 중 D2D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에 이용되는 D2D 통신 기술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레이어 2 PDU와 상기 제2 레이어 2 PDU 중 셀룰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레이어 2 PDU는 구체적으로 MAC PDU이다.
상기 D2D 통신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중계 단말 장비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상기 D2D 통신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셀룰러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 통신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셀룰러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PDU는 구체적으로 RLC PDU 또는 PDCP PDU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D2D 통신 기술이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의 사이드링크(SideLink) 기술이면, 상기 PC5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송된 PDU는 구체적으로 MAC PDU, RLC PDU 또는 PDCP PDU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D2D 통신 기술이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기술이면, 상기 PC5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송된 PDU는 구체적으로 WLAN 중의 상응하는 레이어 2의 PDU일 수 있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MAC PDU의 MAC 제어 요소 필드(Control Element field)에서 운반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9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의해 포워딩된 것임을 확정할 수 있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10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것이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중계 전송된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의해 점용된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가 중계 단말 장비에 의해 포워딩된 것임을 확정할 수 있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11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네트워크 장비가 중계 특정 RNTI로 스크램블링된 PDCCH를 통해 스케줄링한 것이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에 의해 이용된 중계 특정 RNTI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수신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중계 특정 RNTI에 의해 어드레싱한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2가 적응계층을 포함하면,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를 통해 포워딩한 것임을 확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12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송신단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연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연결 설정 요청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통신 링크를 설정하도록 요청함 - ;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연결 설정 요청에 따라 베어러 설정 요청(bearer establishment request)을 핵심망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핵심망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 EPS)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함 - ;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송신된 베어러 설정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베어러 설정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설정한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EPS 베어러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셀룰러 데이터 전송 채널,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데이터 전송 채널을 포함함 - ; 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13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물리계층 구성 정보 및 레이어 2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물리계층 구성 정보 및 레이어 2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레이어 2 구성 정보는 레이어 2 중 중계 전송과 관련된 계층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이어 2 구성 정보는 레이어 2 중 원격 단말 장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정보의 계층의 구성 정보, 예를 들어 MAC 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물리계층 구성 정보는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의 정보 및/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RNTI와 프리앰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단말 장비와 원격 단말 장비 간에서 중계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제1 전송 자원의 정보, 및/또는 중계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간에서 중계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제2 전송 자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레이어 2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레이어 2 식별자 및/또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전송 자원의 정보 및/또는 레이어 2 식별자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1 측면의 제14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 RLC 계층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상기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또는 RLC 계층 구성 정보에 따라 구성하도록, 상기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또는 RLC 계층 구성 정보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은 다른 중계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송신단 장비가, 수신단 장비에 송신할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제1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및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MAC 계층, PDCP 계층 및 RLC 계층 중 하나에 설정되거나, 상기 송신단 장비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계층은 MAC 계층과 PDCP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적응계층에 설정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구체적으로 MAC PDU이고;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D2D 통신 기술에 대응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MAC PDU의 MAC 제어 요소 필드에서 운반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단 장비가 중계 특정 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PDCCH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PDCCH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중계 특정 RNTI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송신단 장비가 제1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가 포함된 베어러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EPS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 상기 EPS 베어러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셀룰러 데이터 전송 채널,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데이터 전송 채널을 포함함 - ; 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2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MAC 계층 구성 정보 및 물리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 RLC 계층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물리계층 구성 정보는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의 정보 및/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RNTI와 프리앰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단말 장비와 원격 단말 장비 간에서 중계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제1 전송 자원의 정보, 및/또는 중계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간에서 중계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제2 전송 자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레이어 2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레이어 2 식별자 및/또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은 다른 중계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수신단 장비가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송신단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생성한 것이며,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RNTI을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및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다.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MAC 계층, PDCP 계층 및 RLC 계층 중 하나에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와 상기 수신단 장비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계층은 MAC 계층과 PDCP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적응계층에 설정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3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단말 장비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3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수신단 장비가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프리앰블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그랜트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포함함 -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 장비가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점용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3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수신단 장비가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BSR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BSR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PDCCH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가능한 구현방식을 결합하여, 제3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레이어 2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2가 적응계층을 포함하면,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의해 포워딩된 것임을 확정할 수 있다.
제4 측면은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는 중계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측면은 상술한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는 다른 중계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술한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6 측면은 상술한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는 다른 중계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술한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7 측면은 저장 유닛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다른 중계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 유닛은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면, 상기 수행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8 측면은 저장 유닛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다른 중계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 유닛은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면, 상기 수행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9 측면은 저장 유닛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다른 중계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 유닛은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면, 상기 수행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0 측면은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제11 측면은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제12 측면은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제13 측면은 중계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중계 단말 장비, 원격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레이어 1 및 레이어 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레이어 1, 레이어 2 및 레이어 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레이어 1, 레이어 2 및 레이어 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레이어 1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1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1과 각각 피어 계층이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레이어 2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2와 각각 피어 계층이고, 상기 원격 단말 장비, 상기 중계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사이는 레이어 2 PDU의 방식으로 중계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레이어 1 및 레이어 2만 포함하고 레이어 3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레이어 2는 중계 전송의 원격 단말 장비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중계 단말 장비의 레이어 2는 원격 단말 장비 식별자를 식별하고 캡슐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 식별자는 구체적으로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 예를 들어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레이어 2 식별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응계층은 원격 단말 장비 식별자를 식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응계층은 상기 MAC 계층과 PDCP 계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중의 송신단 장비는 제5 측면 또는 제5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중의 수신단 장비는 제6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장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제7 측면 또는 제7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중의 송신단 장비는 제8 측면 또는 제8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중의 수신단 장비는 제9 측면 또는 제9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방식 중의 장치일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방안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중계 전송 방법 및 장치는, 중계 단말 장비가 레이어 2 중계의 방식으로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간의 데이터를 중계하며, 원격 단말 장비 또는 네트워크 장비가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한 레이어 2 PDU에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의 RNTI를 통해 상기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를 스크램블링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 또는 RNTI에 따라, 상기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고, 상기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 중 중계 단말 장비가 레이어 3 중계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중계 단말 장비의 처리 복잡도를 낮추고, 중계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감소하며, 시스템 전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이하 설명된 첨부 도면이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임은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창조성 노동을 하지 않고 이러한 첨부 도면에 따라 다른 첨부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장비의 중계 통신을 위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 실예의 개략도이다.
도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장비의 중계 통신을 위한 다른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 실예의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중계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중계 전송 방법 중 MAC PDU 구성 실예의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원격 단말 장비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원격 단말 장비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중계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설명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지 전부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 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이해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흔히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관련된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할 뿐이며,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이 3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 뒤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100)는 단말 장비와 통신하는 장비일 수 있다. 각 네트워크 장비(100)는 특정된 지리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 장비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장비(100)는 GSM 시스템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 중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이거나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제어기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장비, 웨어러블 장비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비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장비 등 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장비(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한 복수 개의 단말 장비(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비(120)는 이동하거나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장비(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이동 장비,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장비,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휴대폰, 무선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핸드헬드형 장비, 컴퓨팅 장비 또는 무선 변조 복조 장치에 연결된 다른 처리 장비, 차량용 장비, 웨어러블 장비,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비 또는 미래 진화된 PLMN 중의 단말 장비 등 일 수 있다.
도1은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와 6 개의 단말 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네트워크 장비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수량의 단말 장비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 MME),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비(120)는 셀룰러 통신 모드 또는 D2D 통신 모드로 통신할 수 있으며, 셀룰러 통신 모드에서,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다른 단말 장비와 통신할 수 있고, D2D 통신 모드에서, 단말 장비는 D2D 링크를 통해 다른 단말 장비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복수 개의 단말 장비(120)에는 셀룰러 단말 장비, D2D 단말 장비 및 중계 단말 장비가 포함되고, 셀룰러 단말 장비는 셀룰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110)와 통신한다. D2D 단말 장비는 중계 단말 장비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와의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며, 중계 단말 장비와 D2D 단말 장비 간에는 PC5 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D2D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며, 상기 D2D 통신 기술은 구체적으로 LTE 중의 사이드링크(SideLink, SL) 기술일 수도 있고, WLAN 중의 WIFI 또는 블루투스 등 기술 또는 다른 D2D 통신 기술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중계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간에는 Uu 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셀룰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종래 기술에서, 중계 단말 장비는 레이어 3 중계 방식으로 중계하며, 데이터 처리 지연이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계 단말 장비는 레이어 2 중계 방식으로 네트워크 장비와 D2D 단말 장비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할 수 있으며, 이때, Uu 인터페이스와 PC5 인터페이스는 모두 레이어 2 PDU(예를 들어, MAC PDU, RLC PDU 또는 PDCP PDU) 방식으로 중계 전송할 수 있다. 도2a 및 도2b는 각각 각 장비의 중계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 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선택적으로, 중계 단말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레이어 1 및 레이어 2를 포함할 수 있고, D2D 단말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레이어 1, 레이어 2 및 레이어 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레이어 1, 레이어 2 및 레이어 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레이어 1은 상기 D2D 단말 장비의 레이어 1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1과 각각 피어 계층이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레이어 2는 상기 D2D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2와 각각 피어 계층이고, 이때, D2D 단말 장비, 중계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사이는 레이어 2 PDU의 방식으로 중계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레이어 1 및 레이어 2만 포함하고 레이어 3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레이어 2는 중계 전송의 원격 단말 장비를 식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단말 장비의 레이어 2는 D2D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식별하고 캡슐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2a에서, D2D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레이어 1(즉 물리(Physics, PHY)계층), 레이어 2 및 더 높은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어 2는 MAC 계층, RLC 계층 및 PDCP 계층을 포함한다. 중계 단말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레이어 1 및 레이어 2만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어 2는 MAC 계층만 포함하거나, MAC 계층 및 RLC 계층만 포함하거나, MAC 계층, RLC 계층 및 PDCP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2D 단말 장비, 중계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간의 데이터 중계 전송은 D2D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식별하여 중계 전송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D2D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의 식별은 레이어 2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도2b에서, D2D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2는 대등하게 적응계층을 새로 추가한다. 이때, D2D 단말 장비의 프로토콜 스택은 PDCP 계층, RLC 계층, 적응(ADPtive, ADP)계층, 및 PC5 인터페이스가 이용하는 D2D 통신 기술에 대응하는 더 낮은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D2D 통신 기술이 구체적으로 LTE의 사이드링크 기술이면, 상기 더 낮은 계층은 구체적으로 MAC 계층 및 PHY 계층일 수 있고, 상기 D2D 통신 기술이 블루투스 또는 WIFI 기술 등과 같은 다른 통신 기술이면, 상기 더 낮은 계층은 상기 다른 통신 기술 중 MAC 계층 및 물리계층에 대응하는 계층일 수 있다. 중계 단말 장비의 중계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D2D 통신 기술에 대응하는 레이어 1 및 레이어 2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의 중계 프로토콜 스택은 PDCP 계층, RLC 계층, ADP 계층, MAC 계층 및 PHY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해의 편리를 위하여, 이하 MAC 계층 및 물리계층을 예로 실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응계층은 MAC 계층과 RLC 계층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고, RLC 계층과 PDCP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응계층은 D2D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선택적으로, 중계 전송을 지시하는 중계 특정 LCID를 식별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적응계층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각 종 D2D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한 데이터를 통신 기술과 무관한 형식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처리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송하여 추가적인 처리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응계층은 D2D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는 중계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중계 단말 장비가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한 레이어 2 PDU는 D2D 단말 장비의 어떤 정보도 포함하지 않고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통해 중계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중계 전송 방법(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방법(200)은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200)은 업링크 데이터의 중계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원격 단말 장비는 중계 단말 장비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장비에 전송하며, 이때, 송신단 장비는 구체적으로 원격 단말 장비(D2D 단말 장비라고도 칭함)이고, 수신단 장비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장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200)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중계 전송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장비는 중계 단말 장비를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원격 단말 장비에 전송하며, 이때,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수신단 장비는 원격 단말 장비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S210에 있어서, 송신단 장비는 송신할 데이터 또는 송신할 정보를 캡슐화 처리하여 제1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생성한다.
이해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레이어 2 PDU는 데이터의 제일 밖의 계층 또는 제일 높은 계층이 장비의 레이어 2에서 캡슐화되는 것을 가리킨다. 선택적으로, 레이어 2는 MAC 계층, RLC 계층 및 PDCP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응하게 상기 레이어 2 PDU는 구체적으로 MAC PDU, RLC PDU 또는 PDCP PDU를 가리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2가 적응계층을 더 포함하면, PC5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되는 레이어 2 PDU의 구체적인 형식은 PC5 인터페이스가 이용하는 D2D 통신 기술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2D 통신 기술이 LTE의 사이드링크 기술이면, 상기 PC5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레이어 2 PDU는 구체적으로 MAC PDU일 수 있고, 상기 D2D 통신 기술이 블루투스 또는 WIFI 기술이면, 상기 PC5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레이어 2 PDU는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또는 WIFI 기술 중 MAC PDU에 대응하는 레이어 2 PDU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레이어 2를 통해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장비 식별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비 식별자는 사전에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장비 식별자는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장비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사용자 식별자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특정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특정 식별자는 중계 전송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유일하게 식별한다. 상기 특정 식별자는 사전에 정의된 것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하도록, 상기 특정 식별자의 길이는 단말 장비 식별자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식별자는 레이어 2 식별자(즉, 장비의 레이어 2에서 캡슐화와 파싱을 진행하는 식별자)일 수 있으며, 상기 레이어 2 식별자는 사전에 정의된 것이거나 네트워크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이어 2 식별자는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베어러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레이어 2 식별자는 PDCP 계층, RLC 계층 또는 MAC 계층에 구비될 수 있다. 즉, PDCP 계층, RLC 계층 또는 MAC 계층에 의해 캡슐화 및 파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2가 독립된 적응계층을 더 포함하면, 상기 레이어 2 식별자는 적응계층 또는 D2D 통신 기술의 상응하는 계층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단말 장비와 원격 단말 장비 간의 PC5 인터페이스가 사이드링크 기술을 이용하면, 상기 레이어 2 식별자는 MAC 계층에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가 별도의 적응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적응계층에 의해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의 캡슐화와 파싱을 진행하면, 원격 단말 장비 또는 네트워크 장비가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을 때, 데이터를 차례로 PDCP 계층, RLC 계층 및 적응계층 캡슐화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응계층에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예를 들어,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가 별도의 적응계층을 구비하지 않고 MAC 계층에 의해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의 파싱과 캡슐화를 진행하면, 원격 단말 장비 또는 네트워크 장비가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을 때,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비가 네트워크 측의 원격 단말 장비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를 차례로 PDCP 계층, RLC 계층 및 MAC 계층 캡슐화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MAC 계층에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예를 들어,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20에 있어서, 송신단 장비는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논리 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fier, LCID) 필드 또는 베어러 식별자 필드(bearer identifier fiel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논리 채널 식별자 필드 또는 베어러 식별자 필드의 설정은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 또는 정보가 포워딩되어야 함을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중계 데이터로 확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어러 식별자 필드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베어러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논리 채널 식별자 필드는 중계 특정 LCID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가 중계 데이터이고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의해 포워딩되어야 함을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 특정 LCID는 사전에 구성된 것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할당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베어러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중계 특정 LCID를 할당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가 점용한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다른 방식으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중계 데이터로 확정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 또는 RNTI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포워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 2에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제2 레이어 2 PDU를 얻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3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송신단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며,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레이어 2에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식별자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는 네트워크 장비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 스케줄링한 것이며, 상기 PDCCH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RNTI)로 스크램블링된다. 이때,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에 의해 이용된 RNTI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RNTI는 사전에 정의된 것이거나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베어러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RNTI를 할당한다. 이때,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에 의해 이용된 RNTI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 2에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한다.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송신단 장비 간의 인터페이스 통신 프로토콜을 충족할 수 있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수신단 장비 간의 인터페이스 통신 프로토콜을 충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별도의 적응계층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차례로 역 캡슐화(decapsulation) 및 캡슐화(encapsulation) 처리를 진행하여 제1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제2 인터페이스의 MAC PDU로 전환할 수 있으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송신단 장비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수신단 장비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송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고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PC5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이다.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고 수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PC5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중계 데이터로 확정할 때, PC5 인터페이스의 통신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PC5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충족하는 제2 레이어 2 PDU를 얻고 이를 PC5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평면(PC5-User Plane, PC5-U)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송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중계 데이터로 확정할 때, Uu 인터페이스의 통신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Uu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충족하는 제2 레이어 2 PDU(예를 들어, LTE Uu MAC PDU)를 얻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예를 들어,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고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단말 장비 식별자에 대응하는 레이어 2 식별자를 확정하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상기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핵심망 장비(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업링크 그랜트 요청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중계 단말 장비가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해야 할 때 개시한 업링크 그랜트 요청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스케줄링 요청을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며, 스케줄링 요청은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를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스케줄링 요청에 따라 상기 중계 단말 장비를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업링크 그랜트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업링크 그랜트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전송 자원을 지시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프리앰블을 확정하고,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함으로써 업링크 그랜트 요청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수신된 상기 프리앰블에 따라, 할당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점용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더 절약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버퍼 상태 리포트(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BSR에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예를 들어, 레이어 2 식별자 또는 단말 장비 식별자)가 포함되며,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BSR를 수신한 후,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식별하고 PDCCH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여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으며, 상기 PDCCH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PDCCH를 수신한 후, 상기 PDCCH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단말 장비를 확정할 수 있으며,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고 수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레이어 2 식별자에 대응하는 단말 장비 식별자를 확정하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상기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단말 장비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자신에게 송신한 것인지를 확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데이터 중계 전송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식별하고,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 간의 데이터 중계 전송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자신의 레이어 2 식별자를 모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가 중계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적응계층을 포함하면, 상기 지시 정보는 중계 특정 LC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수신된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중계 단말 장비를 통해 중계된 것임을 확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예를 들어, 단말 장비 식별자 등)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4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단 장비에 송신한다.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포워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한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수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점용한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중계 데이터가 포함되고 중계 단말 장비에 의해 포워딩된 것임을 확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신단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파싱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가 포함되면,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통해,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가 중계 데이터임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핵심망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핵심망 장비(예를 들어, P-GW) 사이에 이미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채널(예를 들어, GPRS 터널링 프로토콜(GPRS Tunneling Protocol, GTP))이 설정되었으면,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GTP 터널을 통해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핵심망 장비에 송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예를 들어, 수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통해 송신된 것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점용한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의해 포워딩된 것임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자신에게 송신된 것인지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자신에게 송신한 것임을 확정하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해 추가 디코딩 처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자신에게 송신한 것이 아님을 확정하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버릴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레이어 2 중계의 방식으로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간의 데이터를 중계하며, 예를 들어,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MAC 중계의 방식으로 중계한다. 이때,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원격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사이는 모두 MAC PDU의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MAC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예를 들어,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 또는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MAC PDU의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에서 운반될 수 있으며, 상기 MAC CE는 기존의 MAC CE 또는 새로 추가된 MAC CE일 수 있으나(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와 MAC CE 중의 비트 간의 대응관계
비트 레이어 2 식별자
00000000 식별자 1
... ... … …
11111111 식별자 X
선택적으로, 중계 전송을 진행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vled Packet System, EPS) 베어러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EPS 베어러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P-GW 간의 데이터 전송 채널(예를 들어 GTP 터널)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설정한 무선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베어러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셀룰러 데이터 전송 채널,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데이터 전송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연결 설정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설정 요청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통신 링크를 설정하도록 요청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설정 요청은 구체적으로 직접 통신 요청이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의 PC5 연결을 설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연결 설정 요청에 따라 베어러 설정 요청을 핵심망 장비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핵심망 장비는 MME일 수 있으며, 상기 MME는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에 포함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P-GW에 송신하여, 상기 P-GW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데이터 전송 채널(예를 들어, GTP 터널)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송신된 베어러 설정 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러 설정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설정한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상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레이어 2 구성 정보(예를 들어, MAC 계층 구성 정보) 및 물리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사용자 평면 피어 계층의 구성 정보(예를 들어,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또는 RLC 계층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MAC 계층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레이어 2 식별자 및/또는 중계 특정 LC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리계층 구성 정보는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의 정보,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프리앰블, 및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RNTI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베어러 설정 응답에 따라, 연결 설정 응답을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설정 응답은 상기 물리계층 구성 정보 및 상기 MAC 계층 구성 정보 중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중계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구성 정보(예를 들어, 레이어 2 식별자 및/또는 전송 자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상술한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또는 RLC 계층 구성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설정 응답이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또는 RLC 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수신된 상기 중계 단말 장비의 D2D 방송 메시지에 따라, PDCP 계층 및/또는 RLC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설정 응답이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또는 RLC 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상기 연결 설정 응답에 포함된 RLC 계층 구성 정보 및/또는 PDCP 계층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레이어 2를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중계 전송 방법에 따르면, 중계 단말 장비가 레이어 2 중계의 방식으로 원격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간의 데이터를 중계하며, 원격 단말 장비 또는 네트워크 장비가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한 레이어 2 PDU에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거나, 네트워크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의 RNTI를 통해 상기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를 스크램블링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 또는 RNTI에 따라, 상기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고, 상기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 중 중계 단말 장비가 레이어 3 중계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중계 단말 장비의 처리 복잡도를 낮추고, 중계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감소하며, 시스템 전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주의할 것은, 이러한 예들은 단지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이하의 예들에서 셀룰러 네트워크가 이미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PDN 연결과 베어러를 설정한 것으로 가정하고, 원격 단말 장비가 구체적으로 원격 UE이고, 중계 단말 장비가 구체적으로 중계 UE이며, 네트워크 장비가 구체적으로 eNB이고, PC5 인터페이스의 레이어 2 PDU와 Uu 인터페이스의 레이어 2 PDU가 모두 MAC PDU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해할 것은,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가 적응계층을 포함하고, PC5 인터페이스가 LTE 사이드링크 기술과는 상이한 다른 D2D 통신 기술을 이용하면, 상기 PC5 인터페이스의 PDU는 상기 다른 D2D 통신 기술에 대응하는 레이어 2의 PDU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된 중계 전송 방법(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방법(300)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중계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방법(300)의 중계 전송 과정에서,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식별한다.
S310에 있어서, P-GW는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를 베어러 설정 과정에 할당한 S1-U 인터페이스의 GTP-U를 통해 eNB에 송신한다.
S320에 있어서, eNB는 GTP-U로부터의 원격 단말 장비의 데이터를 수신한 후, 데이터를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로 캡슐화하며, 상기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 중의 MAC CE에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 또는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한다.
S330에 있어서, eNB는 중계 특정 RNTI 어드레싱의 PDCCH를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고 물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에서 상기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eNB는 중계 특정 RNTI를 통해 상기 PDCCH를 스크램블링하여 상기 PDCCH가 중계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었음을 지시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중계 특정 RNTI에 따라 어드레싱을 진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34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수신한 후, 상기 MAC PDU에 포함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 또는 단말 장비 식별자를 파싱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PC5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얻을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자신의 레이어 2 식별자를 알고 있으면, 상기 PC5 인터페이스의 MAC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원격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와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관련할 수 있으며, 상기 PC5 인터페이스의 MAC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35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중계 전송을 위한 특정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상기 PC5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송신한다.
S360에 있어서, 원격 단말 장비는 PC5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수신한 후, 상기 MAC PDU를 파싱 처리한다. 상기 MAC PDU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면, 데이터를 높은 계층에 보내 추가 처리를 진행하고, 아니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상기 MAC PDU를 버린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된 중계 전송 방법(4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방법(400)은 다운링크 데이터의 중계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방법(400)의 중계 전송 과정에서, 원격 단말 장비의 RNTI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식별한다.
S410은 S310과 동일하며,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S420에 있어서, eNB는 GTP-U로부터의 원격 단말 장비의 데이터를 수신한 후, 데이터를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로 캡슐화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는 상기 원격 UE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S430에 있어서, eNB는 PDCCH를 통해 중계 단말 장비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고, PDSCH에서 상기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PDCCH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RNTI로 스크램블링된 것이다.
이때,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원격 단말 장비의 상기 RNTI에 따라 어드레싱을 진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RNTI는 중계 전송 과정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RNTI는 사전에 정의된 것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어러 설정 과정에서 할당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44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수신한 후, 상기 MAC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에 의해 이용된 RNTI에 따라, 상기 MAC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고, 상기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PC5 인터페이스의 MAC PDU로 캡슐화할 수 있으며, 상기 PC5 인터페이스의 MAC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RNTI와 관련된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S450~S460은 S350~S360과 동일하며,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된 중계 전송 방법(5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방법(500)은 업링크 데이터의 중계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방법(500)의 중계 전송 과정에서,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 또는 단말 장비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식별한다.
S510에 있어서, 원격 단말 장비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송신할 데이터가 있으면, 원격 단말 장비는 데이터를 MAC PDU로 캡슐화하며, 상기 MAC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한다.
S520에 있어서, 원격 단말 장비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계 전송을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상기 MAC PDU를 송신한다.
S53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원격 단말 장비로부터의 MAC PDU를 수신한 후, PC5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파싱하며, 상기 PC5 인터페이스의 MAC PDU에 포함된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레이어 2 식별자에 따라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캡슐화하며,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는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레이어 2 식별자 또는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S540에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업링크 그랜트 요청을 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기존의 프로세스를 통해 업링크 그랜트 요청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55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eNB가 업링크 그랜트 과정에서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eNB에 송신한다.
S560에 있어서, eNB는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파싱하여,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 또는 단말 장비 식별자를 식별한다.
S570에 있어서, eNB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MAC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상기 레이어 2 식별자 또는 단말 장비 식별자에 대응하는 GTP-U에서 P-GW에 전송한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된 중계 전송 방법(6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방법(600)은 업링크 데이터의 중계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S610~S620은 S510~S520과 동일하며,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S63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원격 단말 장비로부터의 MAC PDU를 수신한 후, 수신된 PC5 인터페이스의 상기 MAC PDU를 파싱하여, 상기 MAC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고, 상기 PC5 인터페이스의 상기 MAC PDU를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로 캡슐화한다.
S64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PC5 인터페이스의 MAC PDU에 포함된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레이어 2 식별자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구성한 프리앰블을 확정하고, 상기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업링크 그랜트 요청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eNB는 중계 단말 장비의 상기 프리앰블을 수신한 후, 상기 프리앰블에 따라 원격 단말 장비의 데이터를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베어러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상기 프리앰블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할당한 상기 프리앰블을 수신한 후, 상기 프리앰블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관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65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eNB가 업링크 그랜트 과정에서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eNB에 송신할 수 있다.
S660~S670은 S560~S570과 동일하며,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중계 단말 장비는 원격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업링크 그랜트를 요청한다. 상기 eNB는 상기 프리앰블을 수신한 후, 상기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고, 상기 중계 단말 장비를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eNB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관련할 수 있다. 그 후, eNB가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를 수신한 후,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에 대응하는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u 인터페이스의 MAC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더 감소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베어러를 설정하는 방법(7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방법(700)에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이미 셀룰러 네트워크(예를 들어, 진화형 범용 지상 무선 접속망(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에 부착되거나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이미 셀룰러 네트워크와 PDN 연결을 설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710에 있어서, 원격 단말 장비는 중계 단말 장비를 발견하고 상주한다.
S720에 있어서, 원격 단말 장비는 직접 통신 요청(Direct Communication Request)을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직접 통신 요청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및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PDN 연결의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접 통신 요청은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D2D 통신 링크, 예를 들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PC5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73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원격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직접 통신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및 PDN 연결의 IP 주소를 MME에 리포팅한다.
S740에 있어서, MME는 상기 단말 장비 식별자 및 IP 주소를 저장하고 이를 S-GW / P-GW에 전송할 수 있다.
S750에 있어서, MME 및 S-GW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S1-U 인터페이스의 GTP 터널(예를 들어, 터널 엔드포인트 식별자(Tunnel Endpoint Identifier, TEID) 등을 할당한다.
S760에 있어서, eNB는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무선 베어러를 할당하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계층 2 식별자 및/또는 RNT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베어러는 상기 접속망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셀룰러 데이터 전송 채널,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데이터 전송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물리계층 구성 정보 및 MAC 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물리계층 구성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77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직접 통신 응답을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직접 통신 응답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RRC 컨테이너에는 RLC 계층 구성 및/또는 PDCP 계층 구성이 캡슐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직접 통신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직접 통신 응답 중의 RRC 구성에 따라, 상응한 RLC 계층 및/또는 PDCP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직접 통신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레이어 2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베어러를 설정하는 다른 방법(8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방법(800)에서, 원격 단말 장비가 아직 디폴트 PDN 연결을 설정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S810에 있어서, 원격 단말 장비는 중계 단말 장비를 발견하고 상주한다.
S820에 있어서, 원격 단말 장비는 직접 통신 요청을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직접 통신 요청은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및 PDN 연결을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접 통신 요청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PC5 연결을 설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셀룰러 네트워크 간의 PDN 연결을 설정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S83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상기 직접 통신 요청에 따라, PDN 연결 설정 요청을 MME에 송신하고 원격 단말 장비의 PDN 연결을 설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PDN 연결 설정 요청은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S840에 있어서, 핵심망 장비(MME 또는 S-GW/P-GW)는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PDN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IP 주소를 할당한다.
S850에 있어서, MME는 PDN 연결 설정 응답을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PDN 연결 설정 응답은 PDN 연결의 구성 정보, 예를 들어 IP 주소 등을 포함한다.
S860에 있어서, MME는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S1-U GTP 터널, 예를 들어 TEID 등을 할당한다.
S870에 있어서, eNB는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중계 단말 장비와 eNB 간의 무선 베어러를 할당하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계층 2 식별자 및/또는 RNTI를 포함할 수 있다.
S880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는 직접 통신 응답을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직접 통신 응답은 RRC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RRC 컨테이너는 RLC 계층 구성 및/또는 PDCP 계층 구성이 캡슐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직접 통신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직접 통신 응답 중의 RRC 구성에 따라, 상응한 RLC 계층 및/또는 PDCP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직접 통신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레이어 2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의할 것은, 도5 내지 도10의 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가 제공된 도5 내지 도10의 예에 따라 다양한 등가적인 수정 또는 변경을 진행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 속한다.
이해할 것은, 상술한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수행되는 선후 순서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응당 그 기능 및 내재적 논리에 의해 확정되어야 하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을 구성해서는 안된다.
이상에서 도2 내지 도10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전송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11 내지 도16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전송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중계 전송 장치(900)를 도시하며, 상기 장치(900)는,
송신단 장비가 수신단 장비에 송신한 제1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910), -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상기 수신 유닛(9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처리 유닛(920);
상기 처리 유닛(92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930); 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리 유닛(9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어 2 식별자에 대응하는 단말 장비 식별자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상기 대응하는 단말 장비 식별자가 포함된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처리 유닛(920)은 또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확정하고;
상기 송신 유닛(930)은 또한 상기 처리 유닛(920)에 의해 확정된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수신 유닛(91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프리앰블에 따라 송신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그랜트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지시하며;
상기 송신 유닛(930)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9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업링크 그랜트가 지시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송신 유닛(930)은 또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기 전에,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BSR에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수신 유닛(91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BSR에 따라 송신한 PDCCH를 수신하며, 상기 PDCCH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930)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9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PDCCH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리 유닛(9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 식별자에 대응하는 레이어 2 식별자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상기 대응하는 레이어 2 식별자가 포함된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리 유닛(920)은 또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의해 포워딩된 것임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처리 유닛(920)은 또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송신 유닛(930)은 구체적으로 중계 전송의 전송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 단말 장비는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점용한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가 중계 단말 장비에 의해 포워딩된 것임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네트워크 장비가 중계 특정 RNTI로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처리 유닛(920)은 또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가 이용하는 중계 특정 RNTI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910)은 또한 송신단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연결 설정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연결 설정 요청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통신 링크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송신 유닛(930)은 또한 상기 연결 설정 요청에 따라 베어러 설정 요청을 핵심망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핵심망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EPS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91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송신된 베어러 설정 응답을 수신하며, 상기 베어러 설정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설정한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EPS 베어러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셀룰러 데이터 전송 채널,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데이터 전송 채널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MAC 계층 구성 정보 및 물리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송신 유닛(930)은 또한 연결 설정 응답을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연결 설정 응답은 상기 물리계층 구성 정보 및 상기 MAC 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예에서, 장치(900)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 중의 중계 단말 장비일 수 있고, 장치(900)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중계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각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장치(1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장치(1100)는,
수신단 장비에 송신할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제1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처리 유닛(1110), -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상기 처리 유닛(11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1120); 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1100)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상기 장치(1100)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100)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송신 유닛(1120)은 구체적으로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100)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송신 유닛(1120)은 또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기 전에, 중계 특정 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PDCCH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PDCCH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중계 특정 RNTI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100)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장치(1100)는
상기 처리 유닛(1110)이 제1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가 포함된 베어러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1110)은 또한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EPS 베어러를 설정하며, 상기 EPS 베어러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셀룰러 데이터 전송 채널,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데이터 전송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1120)은 또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설정 응답을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MAC 계층 구성 정보 및 물리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또는 RLC 계층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인 예에서, 장치(1100)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 중의 송신단 장비일 수 있고, 장치(1100)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 중 송신단 장비에 대응하는 각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장치(1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장치(1200)는,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1210), -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송신단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생성한 것이며,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상기 수신 유닛(12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처리 유닛(1220); 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장치(1200)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장치(1200)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200)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리 유닛(12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단말 장비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200)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수신 유닛(1210)은 또한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장치(1200)는 상기 수신 유닛(12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프리앰블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그랜트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지시하며;
상기 수신 유닛(12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송신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그랜트가 지시하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며;
상기 처리 유닛(12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점용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200)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수신 유닛(1210)은 또한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장치(1200)는, 상기 수신 유닛(12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BSR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PDCCH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12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200)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리 유닛(12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레이어 2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한다.
선택적인 예에서, 장치(1200)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 중의 수신단 장비일 수 있고, 장치(1200)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 중 수신단 장비에 대응하는 각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할 것은, 상술한 장치(900), 장치(1100) 및 장치(1200)는 모두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된다. 여기의 용어 '유닛'은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전자 회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예를 들어, 공유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또는 그룹 프로세서 등)와 메모리, 합병 논리 회로 및/또는 설명된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를 가리킬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중계 전송 장치(1300)를 도시하며, 상기 장치(1300)는,
송신단 장비가 수신단 장비에 송신한 제1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하는 수신기(1310), -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상기 수신기(13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320);
상기 프로세서(132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는 송신기(1330); 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다.
이해할 것은, 장치(1300)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 중의 중계 단말 장비일 수 있고, 상술한 방법 실시예 중 중계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각 단계 및/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장치(13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는 롬 및 램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장비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 및/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장치(1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장치(1400)는,
수신단 장비에 송신할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제1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프로세서(1410), -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상기 프로세서(14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송수신기(1420); 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1400)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상기 장치(1400)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다.
이해할 것은, 장치(1400)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 중의 송신단 장비일 수 있고, 상술한 방법 실시예 중 송신단 장비에 대응하는 각 단계 및/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장치(14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는 롬 및 램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장비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 및/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중계 전송 장치(15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장치(1500)는,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하는 송수신기(1510), -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송신단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생성한 것이며,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상기 송수신기(15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프로세서(1520); 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장치(1500)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장치(1500)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다.
이해할 것은, 장치(1500)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 중의 수신단 장비일 수 있고, 상술한 방법 실시예 중 수신단 장비에 대응하는 각 단계 및/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장치(15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는 롬 및 램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장비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 및/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해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해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직접 구현되어 수행 완성되거나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수행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램, 플래시, 롬, 피롬 또는 이이피롬, 레지스터 등 본 분야에서 성숙된 저장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중의 명령을 수행하고 그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할 것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주로 실시예들 간의 상이점을 강조하였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점들은 서로 참조할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결부하여 설명한 각 방법 단계 및 유닛을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으로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술한 설명에서는 기능에 따라 개괄적으로 각 실시예의 단계 및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로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수행할 것인지는 기술적 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의거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서로 다른 방법을 각 특정된 응용에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리와 간결을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하면 되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제공된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논리 기능적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되거나 다른 한 시스템에 집적되거나 일부 특징이 간략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나타내거나 토론한 상호 간의 커플링, 직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의 연결일 수도 있다.
상기 분리된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나타낸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의 목적을 이룰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되거나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술한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시,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의 본질적 또는 종래 기술에 공헌을 이바지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장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 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여러 개의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각종 등가적인 변경과 교체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과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68)

  1. 중계 전송 방법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가, 송신단 장비로부터 수신단 장비에 송신된 제1 두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매체 접속 제어(MAC)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 및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중 하나에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계층은 MAC 계층과 PDCP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적응계층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레이어 2 식별자에 대응하는 단말 장비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상기 대응하는 단말 장비 식별자가 포함된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프리앰블에 따라 송신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그랜트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포함함 -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BSR에 따라 송신한 PDCCH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PDCCH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함 -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PDCCH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 식별자에 대응하는 레이어 2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상기 대응하는 레이어 2 식별자가 포함된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와 상기 제2 레이어 2 PDU 중 D2D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에 이용되는 D2D 통신 기술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레이어 2 PDU와 상기 제2 레이어 2 PDU 중 셀룰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레이어 2 PDU는 구체적으로 MAC PD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MAC PDU의 MAC 제어 요소 필드에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것이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네트워크 장비가 중계 특정 RNTI로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한 것이며;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에 의해 이용된 중계 특정 RNTI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송신단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연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연결 설정 요청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통신 링크를 설정하도록 요청함 - ;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연결 설정 요청에 따라 베어러 설정 요청을 핵심망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핵심망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송신된 베어러 설정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베어러 설정 응답은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EPS 베어러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셀룰러 데이터 전송 채널,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데이터 전송 채널을 포함함 -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MAC 계층 구성 정보 및 물리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연결 설정 응답을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설정 응답은 상기 물리계층 구성 정보 및 상기 MAC 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 RLC 계층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레이어 2 식별자 및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17. 중계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 장비가, 수신단 장비에 송신할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제1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및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매체 접속 제어(MAC)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 및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중 하나에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계층은 MAC 계층과 PDCP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적응계층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20.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구체적으로 MAC PDU이고;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D2D 통신 기술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MAC PDU의 MAC 제어 요소 필드에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22.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23.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24.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단 장비가 중계 특정 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PDCCH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PDCCH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중계 특정 RNTI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25.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송신단 장비가 제1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가 포함된 베어러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 상기 EPS 베어러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셀룰러 데이터 전송 채널,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데이터 전송 채널을 포함함 - ;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설정 응답을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MAC 계층 구성 정보 및 물리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MAC 계층 구성 정보 및 물리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 RLC 계층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27. 청구항 25 또는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레이어 2 식별자 및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28. 중계 전송 방법에 있어서,
    수신단 장비가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송신단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생성한 것이며,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및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매체 접속 제어(MAC)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 및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중 하나에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와 상기 수신단 장비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계층은 MAC 계층과 PDCP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적응계층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31. 청구항 29 또는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단말 장비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32. 청구항 28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수신단 장비가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프리앰블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그랜트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포함함 -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 장비가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점용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33. 청구항 28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수신단 장비가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BSR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PDCCH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34. 청구항 28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레이어 2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방법.
  35. 중계 전송 장치에 있어서,
    송신단 장비가 수신단 장비에 송신한 제1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 -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처리 유닛; 및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매체 접속 제어(MAC)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 및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중 하나에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계층은 MAC 계층과 PDCP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적응계층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38. 청구항 35 내지 청구항 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어 2 식별자에 대응하는 단말 장비 식별자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상기 대응하는 단말 장비 식별자가 포함된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39. 청구항 35 내지 청구항 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확정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확정된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프리앰블에 따라 송신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그랜트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지시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업링크 그랜트가 지시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40. 청구항 35 내지 청구항 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수신단 장비에 송신하기 전에,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BSR에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BSR에 따라 송신한 PDCCH를 수신하며, 상기 PDCCH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PDCCH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41. 청구항 35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비 식별자에 대응하는 레이어 2 식별자를 확정하며;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상기 대응하는 레이어 2 식별자가 포함된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42. 청구항 35 내지 청구항 4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와 상기 제2 레이어 2 PDU 중 D2D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에 이용되는 D2D 통신 기술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레이어 2 PDU와 상기 제2 레이어 2 PDU 중 셀룰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레이어 2 PDU는 구체적으로 MAC PD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MAC PDU의 MAC 제어 요소 필드에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44. 청구항 35 내지 청구항 4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45. 청구항 35 내지 청구항 4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가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것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46. 청구항 35 내지 청구항 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가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네트워크 장비가 중계 특정 RNTI로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한 것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제2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에 의해 이용되는 중계 특정 RNTI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47. 청구항 35 내지 청구항 4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송신단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연결 설정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연결 설정 요청은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통신 링크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연결 설정 요청에 따라 베어러 설정 요청을 핵심망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핵심망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EPS 베어러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셀룰러 데이터 전송 채널,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데이터 전송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송신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설정 응답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48.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MAC 계층 구성 정보 및 물리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연결 설정 응답을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연결 설정 응답은 상기 물리계층 구성 정보 및 상기 MAC 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49.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 RLC 계층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50. 청구항 45 내지 청구항 4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레이어 2 식별자 및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51. 중계 전송 장치에 있어서,
    수신단 장비에 송신할 데이터를 캡슐화 처리하여 제1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처리 유닛, -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및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수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52.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53.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매체 접속 제어(MAC)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 및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중 하나에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장치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계층은 MAC 계층과 PDCP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적응계층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54. 청구항 51 내지 청구항 5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구체적으로 MAC PDU이고;
    상기 장치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D2D 통신 기술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55.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MAC PDU의 MAC 제어 요소 필드에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56. 청구항 51 내지 청구항 5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특정 논리 채널 식별자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57. 청구항 51 내지 청구항 5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중계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58. 청구항 51 내지 청구항 5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기 전에, 중계 특정 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PDCCH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며, 상기 PDCCH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중계 특정 RNTI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워딩해야 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59. 청구항 51 내지 청구항 5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처리 유닛이 제1 레이어 2 PDU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가 포함된 베어러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베어러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러를 설정하며, 상기 EPS 베어러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상기 중계 단말 장비 간의 셀룰러 데이터 전송 채널, 및 상기 중계 단말 장비와 상기 원격 단말 장비 간의 D2D 데이터 전송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설정 응답을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60.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MAC 계층 구성 정보 및 물리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MAC 계층 구성 정보 및 물리계층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PDCP 계층 구성 정보 및 RLC 계층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61. 청구항 59 또는 청구항 60에 있어서,
    상기 EPS 베어러의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위해 할당한 레이어 2 식별자 및 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62. 중계 전송 장치에 있어서,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 -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송신단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1 레이어 2 PDU에 따라 생성한 것이며,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레이어 2 PDU는 원격 단말 장비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스케줄링된 것임 - ; 및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처리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단 장비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고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장비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이고 상기 장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63. 청구항 62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 또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64. 청구항 63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매체 접속 제어(MAC)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 및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중 하나에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 장비와 상기 장치의 레이어 2는 적응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계층은 MAC 계층과 PDCP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는 적응계층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65. 청구항 63 또는 청구항 64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이면,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단말 장비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66. 청구항 62 내지 청구항 6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수신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프리앰블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그랜트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가 할당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지시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 장비가 상기 송신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그랜트가 지시하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가 점용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67. 청구항 62 내지 청구항 6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제2 레이어 2 PDU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중계 단말 장비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수신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BSR에 따라,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PDCCH를 상기 중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68. 청구항 62 내지 청구항 6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단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이어 2 PDU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의 레이어 2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포함된 레이어 2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 2 PDU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단말 장비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전송 장치.
KR1020187021394A 2016-03-30 2016-03-30 중계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1279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7913 WO2017166138A1 (zh) 2016-03-30 2016-03-30 中继传输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965A true KR20180127965A (ko) 2018-11-30

Family

ID=5996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394A KR20180127965A (ko) 2016-03-30 2016-03-30 중계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40729B2 (ko)
EP (1) EP3393055A4 (ko)
JP (1) JP6714707B2 (ko)
KR (1) KR20180127965A (ko)
CN (1) CN108521851B (ko)
TW (1) TWI729106B (ko)
WO (1) WO2017166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1789B2 (en) 2016-06-03 2020-11-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relay transmission
CN109691197B (zh) * 2016-09-30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CN109479297B (zh) * 2016-11-26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sidelink资源调度方法、装置和系统
US10912114B2 (en) 2017-05-05 2021-02-02 Qualcomm Incorporated Relaying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10893557B2 (en) 2017-05-05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Relaying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11219054B2 (en) * 2017-05-05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Relaying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CN109842919B (zh) * 2017-11-28 2021-11-2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终端与基站的通信、终端的入网方法和装置
WO2019153295A1 (zh) * 2018-02-11 2019-08-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通信系统、方法及装置
CN111989951B (zh) * 2018-10-26 2022-06-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转发方法及装置、网络设备
CN112153596B (zh) * 2019-06-26 2022-08-3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V2x单播mac pdu的组织和传输方法、设备及装置
CN114762366B (zh) * 2019-11-29 2023-09-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传输方法及通信装置
WO2021134697A1 (zh) * 2019-12-31 2021-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1246588B (zh) * 2020-01-10 2021-10-26 北京邮电大学 Nr系统中的解决不同优先级业务之间无序调度的方法
CN113676873A (zh) * 2020-05-15 2021-11-19 夏普株式会社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及用户设备
CN113810923A (zh) * 2020-06-11 2021-12-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承载配置方法、装置及终端
KR20220003456A (ko) * 2020-07-01 2022-01-10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대-ue 릴레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사이드링크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038554A1 (en) * 2020-08-21 2022-02-03 Arvind Merwaday Edge computing local breakout
CN112422444B (zh) * 2020-10-09 2022-07-19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报文跨卡转发的方法及装置
CN116711231A (zh) * 2021-04-05 2023-09-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发送方法、消息接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087262A1 (zh) * 2021-11-19 2023-05-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及通信装置
CN117528702A (zh) * 2022-07-29 2024-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606312A (zh) * 2022-08-15 2023-01-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Cn) 数据传输方法、装置、存储介质及芯片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1456B1 (en) 2008-09-26 2014-03-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trol signaling in system supporting relayed connections
US8355388B2 (en) 2008-12-17 2013-01-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itial access to relays
WO2010113267A1 (ja) 2009-03-31 2010-10-0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中継局、基地局、中継方法、及び通信方法
US20100302999A1 (en) * 2009-05-29 2010-12-02 Yan Hui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in wireless networks
CN102098725B (zh) * 2009-12-15 2015-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网关与中继终端间传输数据的系统及方法
EP2534905B1 (en) 2010-02-11 2016-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nk adaptation in type-ii relay network
CN101820361B (zh) 2010-03-26 2014-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对多协议通信组件管理的方法及装置
KR101887062B1 (ko) * 2010-04-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GB2493785B (en) * 2011-08-19 2016-04-20 Sca Ipla Holding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WO2013027014A1 (en) 2011-08-19 2013-02-28 Sca Ipla Holdings Inc. Relay device and method
GB2493782B (en) 2011-08-19 2016-07-27 Nvidia Corp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WO2013125766A1 (ko) * 2012-02-20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379651B (zh) 2012-04-13 2016-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号的方法和装置
CN102759784B (zh) 2012-07-20 2017-10-20 上海天信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终端中继支架
WO2015081553A1 (zh) 2013-12-06 2015-06-1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装置和系统
GB2523328A (en) * 2014-02-19 2015-08-26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10212642B2 (en) 2014-02-27 2019-02-19 Nokia Technology Oy Device-to-device based user equipment to network relay
US9883513B2 (en) 2014-03-19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of device-to-device scheduling assignment for mode1
JP6478429B2 (ja) * 2014-07-31 2019-03-06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リレー実装方法および装置
EP2983425B1 (en) 2014-08-08 2019-03-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2D Data Transmission - Timing Advance for Idle Mode UE
CN105451208A (zh) 2014-08-22 2016-03-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实现设备到设备发现的方法及装置
US20160323777A1 (en) 2015-04-28 2016-11-03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e-to-network relay based on device to device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332152B (zh) * 2015-06-30 2019-09-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以及相关设备
EP3326423B1 (en) * 2015-07-23 2024-04-17 Apple Inc. Layer 2 relay protocols and mobility relay method
EP3148285B1 (en) * 2015-09-25 2019-04-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radio bearer mapping for proximity services ue to network relay with associated priority signalling
US10116578B2 (en) * 2015-10-22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optimizing wireless wide area network-wireless local area network aggregation
US20190059015A1 (en) * 2016-02-24 2019-02-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using non-3gpp radio access techn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41789B2 (en) * 2016-06-03 2020-11-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relay transmission
US20180192461A1 (en) 2017-01-05 2018-07-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non-3gpp or non-ip device to lte-based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3055A4 (en) 2019-08-07
CN108521851A (zh) 2018-09-11
TW201735718A (zh) 2017-10-01
US20190029061A1 (en) 2019-01-24
TWI729106B (zh) 2021-06-01
JP2019519946A (ja) 2019-07-11
EP3393055A1 (en) 2018-10-24
CN108521851B (zh) 2021-06-29
US11140729B2 (en) 2021-10-05
WO2017166138A1 (zh) 2017-10-05
JP6714707B2 (ja)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7965A (ko) 중계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546811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fronthaul interface, method for performing access for a UE,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handover for a UE, data forward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10973000B2 (en) Message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JP6714708B2 (ja) 中継伝送のための方法
US11343874B2 (en) Relay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190016485A (ko) 중계 전송 방법 및 장치
JP6953584B2 (ja) 中継伝送方法及び装置
JP7018092B2 (ja) 中継伝送のための方法、装置、及び中継端末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